KR20110093719A -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719A
KR20110093719A KR1020110012233A KR20110012233A KR20110093719A KR 20110093719 A KR20110093719 A KR 20110093719A KR 1020110012233 A KR1020110012233 A KR 1020110012233A KR 20110012233 A KR20110012233 A KR 20110012233A KR 20110093719 A KR20110093719 A KR 2011009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cost
space
construction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이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상 filed Critical 이기상
Publication of KR2011009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부 공간 또는 부위별로 원가 내역 정보를 바탕으로 한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면, 공사를 구성하는 모든 공간 단위에서, 모든 공종 단위, 공종을 구성하는 모든 자재나 모든 노무 단위 및 모든 공사비 구성 항목 단위에서의 공사비의 정밀하고도 다차원적인 파악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장점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면, 기성 업무가 정확해져 과소 또는 과대 기성 청구나 정산, 과소 또는 과대 기성 사정에 따른 문제 등과 같은 건설 기성 업무에 따르는 불확실성에 기반한 제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VE가 정확하고 정밀해 지며, 자재 및 노무 관리가 정확해져 공사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Small Space or Element Information and the Method on it}
본 발명은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부 공간 또는 부위별로 원가 내역 정보를 바탕으로 한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는 건축물을 구현하기 위하여 건축주(도급자)가 시공자(수급자)와의 공사도급 계약을 체결하여 진행된다. 그 계약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사를 완료 후 공사 대금을 지급함으로써 계약의 주 과정이 종결된다. 일반적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건설 산업에서 시공자는 제시된 계약 내용(설계 도서 등)을 최소의 비용으로 완수하고자 하는 경제 원칙에 입각하여 건설 공사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자와 마찬가지로 건축주 역시 최저의 비용으로 최대의 품질을 달성하려는 입장으로 건설 공사를 진행하다 보니, 공사 대금의 적정성, 공사 대금 변경의 타당성, 공사 대금의 지급 방법, 공사 완성물인 건축물의 부실 시공 하자 등을 둘러싸고 상당한 분쟁이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건설 공사의 분쟁은 다수의 당사자가 관여하게 됨으로써 분쟁의 성격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경우가 많다. 설계부터 시공과 감리 그리고 준공 후의 하자 보수 등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계약이 이행되기 때문에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 발주자, 수급인, 하수급인, 보증인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관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 전부를 계약서에 명문화하기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많기 때문에 복잡하게 얽힌 이해관계로 인하여 분쟁의 발생 가능성이 크고, 원인과 책임 소재의 규명도 쉽지 않다. 또한 건설 공사는 일의 완성을 목적으로 하는 도급 계약의 성격을 갖는 수주산업이기 때문에 계약 당시 상품에 대한 검증이 어렵고 준공시점에 가서야 계약 본래의 목적 달성 여부의 판단이 가능하므로 분쟁 발생 시 당사자 간의 의무 불이행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대부분 건설 공사는 대부분 그 금액규모가 적지 아니하고 공사의 완성에 일정한 기간을 요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사 계약 이행 중에 있어서도 돌발적인 계약 외적 요인의 출현 등으로 인하여 설계 변경, 추가 공사, 이행 지체 등이 초래되기 쉽다. 이때 비용이나 책임 부담을 둘러싼 클레임이나 분쟁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1을 참조하면서 기존의 공종별 내역서의 기성 청구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한다. 기존의 공종별 내역서로는 공사 진척도 파악이 어렵다. 기존의 공종별 내역서를 기반으로 하는 국내 건설 공사의 기성 공사비 산정 방법은 작업진도의 산출과 무관한 기성고 산정과 많은 양의 서류작성과 복잡한 절차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 기성산정 및 지급 방법의 근거 법령은 "국가계약법"이며, 각 발주기관은 이 법규를 근거로 하여 당해 기관에 맞게 지침을 만들어 적용하고 있다. 이들 법 규정에 의하면 기성만을 위한 일회성의 서류 작성을 포함한 많은 양의 서류작업 업무와 복잡한 기성 신청 및 기성 대금 지급 절차로 인해 계약자(시공자)는 물론 발주자, 감리자 등 공사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은 업무 수행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게 되며, 건설 공사 진척율 산정 시에는 보통 기성 처리에 의한 기성율 산정과 보할 공정표에 의한 개략적 진척율 산정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확한 진척율 산정과 공사 현황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 건설 사업 관리 또는 건축 감리를 수행하는 건설 공사에서 월별, 또는 준공 공사별 기성 청구 시에도 전문 인력에 의해, 각 완성된 부분의 공사별로 수량을 집계하여야 하고, 이를 기초로 기성 청구 내역서를 작성 후 원가를 별도로 계산하여 산출하여야 하나 공간별 내역의 구분이 안되어 있는 "공종별 내역서"로는 실질적인 기성 공사비 집계에 한계가 있다.
기존의 공종별 내역서로는 기성 공사 부분의 공종별 기성 공사 수량 산출에서 오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현행의 기성 공사비의 산정 시 공사 대금의 적정 여부를 따지는 경우를 세심히 관찰해 보면 기성 청구 공사비의 산정은 주로 시공사에서 현재의 내역서 형태인 공종별 내역서를 근거로 다시 기성 수량을 산출하는데 이러한 기성 공사비 내역서는 공종별 집계 수량을 근거하기 때문에 해당 월의 기성 공사 부분의 공사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기가 어렵다.
기존의 공종별 내역서로는 기성 공사비의 총공사비의 내역서 작성에 애로가 있다. 이러한 현행의 "공종별 공사비 내역서"는 공종의 개념으로 공사 항목의 수량이 전체 공사 집계 내지는 건물별 집계 정도만 가능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세부 공간별 공사 대금 내역 정보의 디테일한 표현이 어렵다.
또한, 각 공간별 공종별 공사비 내역서 외에 각종 경비의 비목별 원가 요율로 산출한 제경비, 일반관리비, 공사손해보험료, 이윤, 부가세 등을 정리한 "원가 계산서"를 작성하여야 전체 기성 공사비의 파악이 가능해 지는데 현재의 공종별 내역서 체계하에서는 공간의 정보가 없고, 공종별 수량의 집계 정보를 근거로 직접비를 계산한 후 "갑지"에서 제경비, 일반관리비, 공사손해보험료, 이윤, 부가세 등을 계상하기 때문에 부위별 공사의 총공사원가 (직접공사비 + 제경비 + 일반관리비 + 공사손해보험료 + 이윤 + 부가세 등)의 파악이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세부 공간의 부위별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은 기존의 건설 공사비를 표현하는 공종별 공사비 내역서의 문제점과 원가 계산 방식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동시에 갈수록 증가하는 클레임과 분쟁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아래와 같은 다양한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 세부물의 세부 공간의 부위별 기성 관리 시스템의 정착은 전반적인 공사 관리 업무 개선의 시금석이 될 것이다.
한편, 설계에서, 시공, 유지 관리에 이르는 건설의 전 단계를 관통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효용성과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IT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건설 정보의 근간이 되는 CAD 데이터의 범용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이 현실화되고 있다. IAI(International Alliance for Interoperability)의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와 같은 건설 정보의 통합을 위한 기본 프로토콜이 국제적인 노력에 의하여 성장하였고, 다양한 건설 소프트웨어에서 IFC가 프로토콜로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결과적으로 BIM이라는 개념으로 대중화하기 시작하였고, 미국과 유럽 등에서 설계와 시공 프로세스를 관통하는 통합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인정하여 제도적 뒷받침을 받으면서 확산되고 있다.
"BIM" 이라 함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 주기 동안 의사 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정보 체계)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 절차를 포함하여 지칭한다. "BIM 성과품"이라 함은 BIM을 적용하는 사업에서 최종적으로 완성된 BIM 산출물의 집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계약서나 시방서 또는 과업 지시서 등에 명시된다.
BIM에서 사용되는 객체 분류 체계는 모델 데이터를 구성하는 물리적 객체 단위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목록을 말하며, 여기에서는 이를 공간 객체와 부위 객체로 분류한다. "공간 객체"라 함은 BIM객체의 하나로서 공간 객체는 시설물의 층, 구역 및 실 등 공간의 범위를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객체를 말한다. 공간 객체는 건물의 층, 구역, 실 등 각종 공간의 범위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객체로서 개념적으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공간 객체는 스페이스 프로그램 등에 의하여 분류하며 사용 여부는 필요에 따라 정한다. "부위"라 함은 물리적인 관점에서 시설물의 한 부분으로서 공간을 둘러싸고, 공간의 기능을 지원하는 시설물의 구성 요소를 말한다. "부위 객체"라 함은 BIM객체의 하나로서 부위를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객체를 말한다. 부위 객체는 기둥, 벽, 문, 창 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시설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는 기관이 사용하는 기술적 분류 체계에 의하되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목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입력대상은 부위 객체 분류 목록을 대상으로 전문 분야별로 최소 입력 요구 대상을 설정한다.
BIM 속성 분류 체계는 개개의 객체 분류 단위가 공통으로 가진 내부적 특성의 집합을 말한다. 객체별 속성은 식별, 형상, 물성, 참고 등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기관이 사용하는 기술적 분류 체계에 의하되 확보가 여의치 않은 경우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목록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대상은 BIM 속성 분류 체계를 대상으로 전문 분야별로 최소 입력 요구 대상의 목록을 설정한다. 모델 데이터의 객체별 속성은 단계별로 구분하여 입력하도록 계획할 수 있다.
도 2는 국토해양부 공고 제 2009 - 781호 건설 정보 분류 체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하나의 시설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구성되고, 각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부위 또는 각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이 공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구성되는 공종 분류 체계를 가질 수 있다.)이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공종에는 인력, 자재, 장비 등과 같은 자원이 배정될 수 있게 된다.
각각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설물분류"는 건설활동의 최종 결과물로서의 시설물과 그 주변 환경요인의 사용목적, 용도 및 기능에 따른 분류를 말한다. "공간분류"는 공간용도와 물리적인 부위요소에 의하여 구성되는 면적 또는 체적 및 개념적 구획을 구분한 분류를 말한다. "부위분류"는 물리적인 관점에서 시설물의 한 부분으로서 공간을 둘러싸고, 공간의 기능을 지원하는 시설물의 구성요소의 분류를 말한다. "공종 분류"는 기술적으로 시설물의 한 부위를 구성하는 작업단위로서 제반 자원을 동원하여 고안된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작업 및 작업결과의 분류를 말한다. "자원분류"는 건설 공종에 투입되는 자원을 물리적 자원인 자재와 작업을 지원하는 장비, 그리고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인력으로 구성된, 자재분류, 장비분류, 인력분류를 말한다. 분류면(주제면)"은 어떤 사물의 다양한 측면(관점)에 대한 공통의 특성끼리 모은 분류를 말한다. "조합분류"는 분류하고자 하는 정보의 정의를 위하여 두 개 이상의 동일 혹은 다른 분류면(주제면)의 분류를 조합하여 분류하는 방법을 말한다.
현재 건설공사에서 관급공사의 경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의거 "원가 계산"에 의한 예정 가격의 작성 준칙에 따라 예산 편성, 발주, 계약관리 등의 각종 행정 행위를 진행한다. 원가 계산의 요율의 차이는 있겠지만 민간 건설 공사도 상기의 공사 원가의 틀 속에서 공사비 내역서를 작성하여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공사 내역서의 작성은 기술별, 대공사 항목, 소공사 항목, 항목별로 물량을 집계 후 단가(자재비, 노무비, 경비)를 적용하여 직접 공사비 내역서를 작성하여 집계한 후 최종 집계표의 갑지로 각종 제경비, 일반관리비, 공사손해보험료, 이윤, 부가세 등을 원가 요율로 적용하여 당해 프로젝트(공사)의 원가 계산서를 작성하여 총 공사비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때, 을지는 공사의 양에 따라 매우 많은 장이 나올 수 있으나, 갑지는 최종 집계표를 대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통상 1장으로 정리된다.
이러한 비율분석 방식으로 산출한 제경비, 일반관리비, 공사손해보험료, 이윤, 부가세 등의 제반 금액을 '간접공사비' 또는 '제경비' '간접비'등으로 칭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직접공사비 외에 발생하는 제반 금액을 '간접공사비'로 통일하여 다루기로 한다.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도 이러한 관행을 반영하여 개발, 운영되고 있다. 도 4는 기존의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이 아파트 공사를 예시로 한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서에 대한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단가 정보 데이터(자재비, 노무비, 경비 등으로 구성된다.)와 수량 산출서 데이터(공사 항목에 따라 각 호수, 동에 대한 수량 집계 데이터로 구성된다.)가 입력된다.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 동별로 공사 항목별 내역서를 생성하고, 다시 동별 집계를 한 다음, 공사 항목별로 집계하여 전체 집계 데이터를 생성해 낸다. 전체 집계 데이터에는 직접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정보가 을지의 역할을 한다. 전체 집계 데이터에 원가 요율 정보를 적용하여, 전체 공사비(직접 공사비와 간접 공사비의 합계를 포함함) 계산해 낸다. 이와 같은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사 항목별 집계표 생성 단계에서 직접비만 집계되므로, 공사 항목별, 세부 공간 단위 별로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공사비 내역서의 작성은 공종별 단가 정보 및 공종별 수량 집계 정보로 공사 물량을 집계한 다음, 1동 공종별 내역서 및 2동 공종별 내역서 등과 같이 내역 작업을 수행하고, 1동 집계표 및 2동 집계표 등과 같은 동별 집계를 수행한 다음, 공종별 집계를 수행하고, 전체 직접비 집계표를 생성한다. 상기 전체 직접비 집계표에 대하여 직접 공사비 비목별 금액에 비율 분석(원가 요율을 입력)하여, 전체 집계표를 대상으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생성하고, 전체 집계표를 대상으로 직접 공사비와 간접 공사비를 합계하여 전체 공사비 내역을 완성한다.
공사 전체에 대하여 직접비를 총계를 집계하고, 전체 직접비 구성 항목에 비율 분석 방식으로 전체 공사에 대한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종래의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스상의 문제점은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공사비 구성 항목별 상세한 공사비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종래에는 각 세부 공간별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공사에 대하여 직접 공사비를 집계한 다음, 집계된 전체 공사의 직접 공사비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기존의 공사비 내역 시스템은 원가 요율 정보가 집계 데이터의 생성 후에 적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의 총원가를 파악하는 데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첫째, 관급공사 예정 가격 작성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건설공사에서 현재의 내역서 작성 시스템으로는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로는 공사물량을 산출하나, 공사비 내역서의 작성 시는 각 공사 항목 항목별 원가를 별도로 계상하지 않는 한, 공사비 총액대비 당해 부분의 공사비를 바로 파악할 수 없어, 이를 위해서는 별도로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 내역서를 만들고, 원가를 별도로 계산하여 반영하지 않으면 그 총 투입비용의 파악이 불가능하다.
둘째, 현행의 공종별 내역시스템은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전체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산출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세부 공간별로 또는 부위별로의 정밀한 공사비 분석이 불가능하다.
셋째,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공사 진행 여부가 정밀하게 점검될 수는 있어도,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전체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산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점검된 공사 진행에 따른 정확한 기성 공사비의 산정과 기성 공사비 청구를 위한 기성 공사비의 산정 또한 거의 불가능하다.
넷째, 상기의 "공종별 내역 시스템"의 문제점들이 건설사업관리에서 기성지급의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건설 사업 관리, 또는 건축 감리를 수행하는 건설 공사에서 월별, 또는 준공 공사별 기성 청구 시에도 전문 인력에 의해, 각 완성된 부분의 공사별로 수량을 집계하여야 하고, 이를 기초로 기성 청구 내역서를 작성 후 원가를 별도로 계산하여 산출하여야만 그 금액을 확정할 수 있으나, 워낙 방대한 작업이라, 거의 실무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고, 대표 공종을 기준으로 한 공정율을 근거로 기성내역서를 청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발주처도 이러한 기성내역의 수량을 검증할만한 별도의 내역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아, 통상적으로 기성청구금액을 기준으로 공정율에 따른 비율 분배방식으로 공사비를 지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구체적인 공간별 수량에 근거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사, 협력사의 도산 시 잔여기성금액의 과부족 등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하는 주 원인이 되고 있다.
다섯째, 건설현장의 공정관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현재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수행작업량, 공정의 단위를 산출하는 기준이 없기 때문에 통상으로 공사비로 입력하고, 액티비티에 직접비 또는 대표공사 항목금액(직접비)을 기준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정밀한 실 투입공사비 산출이 어렵고, 별도의 실 투입공사비 내역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공정 관리 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EVMS)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설 공사의 공정 관리에도 각 액티비티 당 직접 공사비를 분개하여 그 보할 비율과 전체 공사비(공사 원가)에 적용하여 공정율에 반영하므로, 공정율 산출 시 오차가 발생하고, 실제적인 투입 공사비와 괴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여섯째, 대형 공동주택의 재건축현장의 준공 시 공사비 정산을 따른 분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또한 공동 주택의 공사비 체계 역시 직접비와 간접비가 별도로 반영되어 있고, 세부공간별로 분개가 불가능하므로 분양 원가를 공개하더라도, 세부 공간 단위로 산출 및 검증이 어렵기 때문에 시공사와 분쟁이 빈번히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도 5는 직접 공사비 집계 및 원가 계산 후에 총 공사비 파악이 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계산서(갑지)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세부 공간에 대하여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은 동별 공간에 대하여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은 공종별 원가 내역서에서 공종별로 직접 공사비만 표현되어 있어, 총 공사비 정밀한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공사비 내역 시스템은 원가 요율 정보가 집계 데이터의 생성 후에 적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의 총원가의 정확한 파악이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정확하고도 정교한 기성 청구 금액을 산정하거나, 기성 사정 금액을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한편, 이러한 기존의 공사비 내역 시스템은 원가 요율 정보가 집계 데이터의 생성 후에 적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의 총원가의 정확한 파악이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정확하고도 정교한 기성 청구 금액을 산정하거나, 기성 사정 금액을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VE(Value Engineering)는 일반적 개념은 로렌스 마일스(Lawrence D.Miles)가 제창한 바와 같이, 제품을 구입하는 고객은 그 제품의 기능을 사는 것이기 때문에, 획득 가능한 자재, 장비, 인력으로 어떻게 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느냐에 근거를 두고 출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대체안의 창출 및 개발에 있어서 제품중심의 유형적 사고를 기능 중심의 무형적 사고로 전환하는 것이며, 점차 기능의 개념이 가치의 개념으로 확대되어 재정립되는 것이다. VE는 "최저의 생애 주기 비용(Life Cycle Cost : 이하 LCC라 한다)으로써 필요한 기능을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 분석에 쏟는 조직적인 노력이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VE를 단순한 설계 검토나 원가 절감 수단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VE가 결과적으로 원가 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능 중심의 검증을 통하여 시간, 성능, 비용 간의 적절한 균형을 추구하므로, VE에서 제시하는 대안은 최적안(Optimum Solution)이지 최선안(Best Solution)은 아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VE를 통한 원가 절감이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팀 접근을 통해 불필요한 기능을 찾아서 제거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기능 정의와 기능 분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VE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종래의 원가 절감 방식은 프로젝트 수행 주체에 따라 구성 요소별로 원가를 절감시키려고 하였으나, VE를 적용한 방식에서는 기능을 구분하여 기본 기능과 필수 2차 기능은 유지하되 불필요한 기능은 제거하고 설계 착상에 의한 기능은 다른 대체안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이나 프로젝트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VE는 제품이나 시설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정리하여 분석함으로써 필수 기능인 주기능과 2차 기능인 법적, 제도적 필요기능 그리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은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고 설계자의 착상에 의한 기능을 대상으로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상하여 대체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VE는 기존의 설계, 제품, 질서, 시스템을 무시하거나 잘못을 찾아내기보다는 기능의 필요성 여부에 주안점을 두고 개선안을 발굴하는 창조적 접근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가장 돋보이는 방식이다.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유통 구조가 단순화되어 가고 있는 지구촌(Global Standard) 시대에는 세계가 단일 시장으로 무한 경쟁 속에서 지속적인 매출을 증가시키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가 없다. 따라서, VE의 필요성은 생산 설비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유통 수단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요소에 이르기까지 원가 절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더욱 절실하다. VE는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고정 관념을 탈피하는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 기능 중심의 접근을 사고의 기본으로 하고 있다.
국내 설계VE 제도 1.1. 건설 기술관리법 시행령 2003년에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 기술관리법 시행령 제38조의4에서부터 제39조의19까지, 15개 조항을 신설(2000.3.28)하여 공공사업 수행의 절차와 기준을 법제화하였다. 이는 예산낭비와 부실시공의 부작용을 줄이고 건설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책임의식을 향상시키며, 사후관리를 강화하여 공공건설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중 제38조의13에서는 공사비 100억 원 이상인 건설 공사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시행함에 있어, 설계 대상시설물을 설계내용에 대하여 주요 기능별로 경제성 및 현장적용의 타당성(이하 "설계의 경제성 등"이라 한다)을 직접 검토하거나, 법 제22조의 규정에 의한 설계감리자 등의 전문가로 하여금 검토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VE 대상공사의 정의 2005년 개정된 법령에서는 공공 공사 중, 총 공사비가 100억 원 이상인 건설 공사의 기본 및 실시설계에 대해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를 실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VE 제안의 반영 규정 발주청이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를 통한 제안 내용을 당해 설계내용에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제안 내용의 적용이 기술적으로 곤란하거나 과다한 비용증가가 요구되는 등의 경우에는 제외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1.1.3. VE 분석 방침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의 시기, 횟수, 대가기준 및 구체적인 검토 방법과 절차 등에 관한 필요사항은, 설계의경제성등검토에관한시행지침, 에 따르고, 그 수행결과에 대해서는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1.2.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시행지침 국토해양부는 건설 기술관리법시행령제38조13의 규정을 통하여 공공건설사업의 예산절감, 기능향상, 구조적 안전, 품질확보를 목적으로, 설계VE 수행절차와 업무내용 등을 구체화한 "설계의경제성등검토에관한시행지침(이하 "시행지침"이라 함)"을 수립하고 고시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미국의 시공 VE 제도(VECP)와 유사한 기술 개발 보상 제도가 오래 전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다. 기술 개발 보상 제도는 계약 상대자가 신청한 새로운 기술, 공법 등(정부 설계와 동등 이상의 기능, 효과를 가진 기술, 기자재 등을 포함)을 사용함으로써 공사비의 절감, 시공 기간의 단축을 기함으로써 건설 기술의 개발을 고취시키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1999년 12월에 개최된 "건설 산업의 예산절감사례 발표회" 자료에 따르면, 건설 교통부 산하 기관의 예산 절감 수범 사례로서 공법 변경 및 시공 방법 개선 등을 통해 총 6, 274억 원의 예산을 절약하여 사례당 평균 약 298억 원(10%)의 예산절감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도로공사는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총 757건의 설계 VE를 통하여, 5,745억 원을 절감하였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투자 대비 회수율(ROI) 측면에서 보면, 2003년의 경우 4.8억 원을 투자하여 151억 원을 절감하여 ROI 31이라는 큰 성과를 얻기도 하였다. 이는 그 동안 건설 교통부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온 공공 건설 사업 효율화 종합 대책과 기술 개발 보상 제도 및 예산성과금 지급 제도 등의 제도적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어 나가고 있는 것으로서, 향후 공공 건설 사업 추진 및 예산 집행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기 부여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건설 공사에서 관급 공사의 경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에 의거 "원가 계산"에 의한 예정 가격의 작성준칙에 따라 예산 편성, 발주, 계약 관리 등의 각종 행정 행위를 진행한다. 원가 계산의 요율의 차이는 있겠지만 민간건설 공사도 상기의 공사 원가의 틀 속에서 공사내역서를 작성하여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공사내역서의 작성은 기술별, 대공종, 소공종, 항목별로 물량을 집계 후 단가(자재비, 노무비, 경비)를 적용하여 직접비 내역서(원가연결)를 작성하여 집계한 후 최종 집계표의 갑지로 각종 간접비 원가 요율을 적용하여 당해 프로젝트의 원가 계산 내역서를 작성하여 총 공사비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내역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에서 세부 공간의 총원가를 파악하는 데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현재 발주 금액 100억 이상의 관급 공사에서 VE 기법을 통한 원가 절감 및 품질 개선을 위한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서 당초 설계서의 원가 계산서와 내역서가 세부 공간별, 항목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고, 분류 자체도 불가능하여 원가 분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계의 경제성 등의 검토"를 위한 원 설계안의 원가 분석과 대안(개선)설계안의 원가 비교를 위해서는 기존의 내역서를 기초로 하지만 각 세부 공간별 항목별로 공사비 내역과 원가 계산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재산출하여야만 한다. 또한 건설 기술 개발 보상 제도에 근거한 시공 VE 역시 상기 설계 VE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공사비 내역서 및 원가 계산서를 기초로 원가 분석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세부 공간별, 항목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하다. VE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설계 경제성 등의 검토에서 예시하였듯이 각 세부 공간별 항목별로 공사비 내역 및 원가 계산을 다시 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난해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만 정밀한 VE가 가능하다.
도 133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수행 중 비용 모델의 공종별 공사비 산출 시 내역서의 직접비 금액에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하여 분개하므로, 정밀한 공종별 총원가 산출에 오류가 발생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34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수행 시 기능 평가 작성 시 기능 평가의 금액도 역시 도 133에서의 비용 모델에서 그 금액을 가져오므로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 산출에 애로가 있고, 공간별 구분이 안 되어 기능별 금액 분개가 별도의 수작업을 통하여야만 가능하고 정확한 기능별 금액 분개가 안 되고 있다. 나아가, 도 135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수행 시 생애 주기 비용 분석 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 공간별-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 공간별-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렵다. 이 경우 대안(개선안)의 세부공간별-항목별 공사비 산출도 원 설계안과 마찬가지로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산출에 애로가 있고, 이로 인한 절감 예상액 산출도 오차 발생 가능성이 크다. 한편, 도 136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제안서 작성 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의 생애주기분석에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공간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공간별 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도 137에서와 같이 종래의 VE 수행 과정의 공사 비용 산출서 작성 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의 생애 주기 분석에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공간별-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공간별 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 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렵다. 이에, 이에 VE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의 내역서의 단가 및 세부 공간의 정보를 활용하여,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공종별-공간별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원 설계안 분석과 대안(개선)설계안의 분석이 즉시 가능한 건설 VE를 위한 원가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여 건설 산업 발전에 미약하지만 일조하고자 한다.
KR1020010007818A KR1020010092638A KR10-0900315-000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금회 미성 공사비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네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섯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의 기타 정보 처리 방법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여섯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VE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곱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자재 관리 정보 처리 방법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여덟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노무 관리 정보 처리 방법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아홉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랭킹 정보 처리 방법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열번째 기술적 과제는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 공간 정보에 기반한 공사비를 구성하는 직접비 항목별, 자재 종류별 및/또는 노무 종류별로 별도 처리되는 확장 단가 정보 처리 방법 및 상기 확장 단가 정보 처리 방법으로 생성되는 확장 단가 정보를 활용한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성 공사비 정보를 처리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수량 반영 확장 공사비 정보인 것이며, 상기 수량 반영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 단가 정보인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공종별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의 합계로 구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하여,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하여,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사전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하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송 받아 처리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법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공종에 대한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성 신청 확인 정보는 공종별로 완료된 공사의 수량, 완료 여부, 완료율 및 기성 확인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사진,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전회 기성 사정 정보를 반영한 미사정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전회 기성 사정 정보를 반영한 미사정 공종 정보는 상기 전회 기성 사정 정보가 세부 공간별-공종별 완료된 공사 수량인 경우,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계약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하며, 전회 기성 사정 시 사정된 공사 수량 정보 또는 미사정 공사 수량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이거나, 상기 전회 기성 사정 정보가 세부 공간별-공종별 완료 여부인 경우, 전회 기성 사정 시 미완료로 사정된 것이거나, 상기 전회 기성 사정 정보가 세부 공간별-공종별 완료율인 경우,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전회 기성 사정 시 사정된 완료율 또는 미사정 완료율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입수 받은 공종별 기성 신청 확인 정보로부터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입수 받은 기성 신청 확인 정보 중 전회 기성 사정된 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제외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전회 기성 사정 정보를 반영한 미사정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입수되는 상기 미사정 공종을 대상으로 한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기성 신청 확인 정보로 처리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며, 상기 부위 정보는 공종별 및 세부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성을 지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부위별 원가 내역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며, 상기 부위 정보는 공종별 및 세부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성을 지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공간에 관련된 부위별 공종 정보를 제공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에 관련된 부위별 공종 정보를 제공 것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세부 공간에 관련된 부위를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다음,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부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 추출하여, 추출된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세부 공간에 관련된 부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위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추출하고, 부위별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법은 부위별로 상기 부위에 관련된 공종별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발주자 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발주자 측 시스템 또는 상기 발주자 측 시스템을 사용하는 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은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세부 공간별로 상기 세부 공간에 관계되는 공종에 대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상위 공간과의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구성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공간 구성 정보는 별도의 독립된 데이터 형태로 입수되거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입수하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세부 공간과 상기 상위 공간 간의 대응 정보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원별 집계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차원은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 공종 차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 차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집계 정보의 생성은 세부 공간별 집계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 차원은 부위 차원을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집계 정보의 생성은 부위별 집계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 차원은 2단 이상의 공간 분류 계층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세부 공간은 부위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공간 분류 계층 구조 상에서 최말단 계층인 것이며, 부위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세부 공간 하위에 부위 정보가 대응될 수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종 차원은 2단 이상의 계층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공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공종 분류 체계상의 계층 구조를 따르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기 설정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상기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출력물을 생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 설정된 출력물에는 집계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세부 공간별로 생성되는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및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하여 상위 공간별로 생성되는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는 기 설정된 공종 분류 체계상의 공종 분류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및 상기 하위 공종이 포함되는 상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한정하여 기 설정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며, 상기 부위 정보는 공종별 및 세부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성을 지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기 설정된 출력물에는 집계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세부 공간별로 생성되는 부위별-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및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하여 상위 공간별로 생성되는 부위별-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부위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는 기 설정된 공종 분류 체계상의 공종 분류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및 상기 하위 공종이 포함되는 상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부위와 관련된 기 설정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부위와 관련된 기 설정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는 상기 부위가 관련되는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또는 상기 부위가 관련되는 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이며, 상기 시스템은 3D CAD 시스템, VE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정산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지원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 상기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는 데이터 입수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기성 정보 생성 엔진; 및 상기 데이터 입수부가 입수하는 데이터,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및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DB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데이터 입수부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방법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를 인증하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공종에 대한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법인 것이며, 상기 기성 신청 확인 정보는 공종별로 완료된 공사의 수량, 완료 여부, 완료율 및 기성 확인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사진,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입수 받은 상기 기성 신청 확인 정보는 시공자 측 기성 정보 입력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며, 상기 부위 정보는 공종별 및 세부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성을 지니는 것인 것이며, 상기 데이터 입수부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방법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를 인증하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별 공종 정보를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부위별 공종에 대한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법인 것이며, 상기 기성 신청 확인 정보는 공종별로 완료된 공사의 수량, 완료 여부, 완료율 및 기성 확인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사진,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입수 받은 상기 기성 신청 확인 정보는 시공자 측 기성 정보 입력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 공종 차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 차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차원별 집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DB부의 생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하는 데이터는 차원별 큐브 데이터 구조를 가진 것이며, 상기 큐브 데이터 구조에는 상기 차원별 집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집계 정보에는 롤업 연산 결과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기 설정된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 및 상기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가 입수하는 출력 선택 정보를 반영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가 입수하는 출력 선택 정보를 반영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출력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 설정된 출력물에는 집계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세부 공간별로 생성되는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및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하여 상위 공간별로 생성되는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기 설정된 출력물에는 집계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세부 공간별로 생성되는 부위별-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및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하여 상위 공간별로 생성되는 부위별-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부위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는 기 설정된 공종 분류 체계상의 공종 분류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및 상기 하위 공종이 포함되는 상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선택적으로 상기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는 기 설정된 공종 분류 체계상의 공종 분류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및 상기 하위 공종이 포함되는 상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과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 간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 데이터부; 및 상기 공종과 상기 공종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종 간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는 공종 데이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공간 데이터부는 상기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부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는 수량 반영 공사비 정보이거나,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상기 공사비 정보가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인 경우,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은 상기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에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성 공사비 정보를 처리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K)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L) 상기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M)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N)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수량 반영 확장 공사비 정보인 것이며, 상기 수량 반영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 단가 정보인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공종별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의 합계로 구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하여,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하여,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사전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하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송 받아 처리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법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공종에 대한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성 사정 확인 정보는 공종별로 완료된 공사의 수량, 완료 여부, 완료율 및 기성 확인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사진,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 정보 또는 모든 미사정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반영한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반영한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시공자 측 시스템으로부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입수 받고, 입수된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정보 처리하여, 상기 정보 처리된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에서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종 정보는 상기 금회 기성 신청 정보가 세부 공간별-공종별 완료된 공사 수량인 경우,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계약 공사 수량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금회 기성 신청 시 신청된 공사 수량 정보인 것이거나, 상기 금회 기성 신청 정보가 세부 공간별-공종별 완료 여부인 경우, 금회 기성 신청 시 완료로 신청된 것이거나, 상기 금회 기성 신청 정보가 세부 공간별-공종별 완료율인 경우,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금회 기성 신청 시 신청된 완료율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반영한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가 정보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의 범위 내에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사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미사정 공종 정보에 대한 전송 요청을 입수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미사정 공종을 추출하여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는 상기 미사정 공종에 대하여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 정보 또는 모든 미사정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입수 받은 공종별 기성 사정 확인 정보로부터 금회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상기 입수 받은 기성 사정 확인 정보 중 전회 기성 사정된 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제외하는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하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반영한 공종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의 범위 내에서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및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K) 단계의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며, 상기 부위 정보는 공종별 및 세부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성을 지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부위별 원가 내역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K) 단계의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며, 상기 부위 정보는 공종별 및 세부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성을 지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세부 공간에 관련된 부위별 공종 정보를 제공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에 관련된 부위별 공종 정보를 제공 것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세부 공간에 관련된 부위를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다음,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부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 추출하여, 추출된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세부 공간에 관련된 부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부위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추출하고, 부위별 공종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법은 부위별로 상기 부위에 관련된 공종별 기성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시공자 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시공자 측 시스템 또는 상기 시공자 측 시스템을 사용하는 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은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세부 공간별로 상기 세부 공간에 관계되는 공종에 대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원별 집계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차원은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 공종 차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 차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집계 정보의 생성은 세부 공간별 집계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 및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관련된 기 설정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부위와 관련된 기 설정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세부 공간과 관련된 기 설정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에는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또는 상기 부위가 관련되는 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부위와 관련된 기 설정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에는 상기 부위가 관련되는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또는 상기 부위가 관련되는 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이며, 상기 시스템은 3D CAD 시스템, VE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정산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지원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 상기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는 데이터 입수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기성 정보 생성 엔진; 및 상기 데이터 입수부가 입수하는 데이터,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및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DB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데이터 입수부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방법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를 인증하고,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공종에 대한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법인 것이며, 상기 기성 사정 확인 정보는 공종별로 완료된 공사의 수량, 완료 여부, 완료율 및 기성 확인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사진,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입수 받은 상기 기성 사정 확인 정보는 시공자 측 기성 정보 입력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며, 상기 부위 정보는 공종별 및 세부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성을 지니는 것인 것이며, 상기 데이터 입수부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 방법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를 인증하고,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세부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별 공종 정보를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부위별 공종에 대한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법인 것이며, 상기 기성 사정 확인 정보는 공종별로 완료된 공사의 수량, 완료 여부, 완료율 및 기성 확인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사진, 동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입수 받은 상기 기성 사정 확인 정보는 시공자 측 기성 정보 입력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 공종 차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 차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차원별 집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DB부의 생성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하는 데이터는 차원별 큐브 데이터 구조를 가진 것이며, 상기 큐브 데이터 구조에는 상기 차원별 집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집계 정보에는 롤업 연산 결과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기 설정된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 및 상기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가 입수하는 출력 선택 정보를 반영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가 입수하는 출력 선택 정보를 반영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하는 출력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기 설정된 출력물에는 집계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세부 공간별로 생성되는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및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하여 상위 공간별로 생성되는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상기 기 설정된 출력물에는 집계 정보가 포함된 상기 세부 공간별로 생성되는 부위별-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및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하여 상위 공간별로 생성되는 부위별-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부위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거나, 상기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에는 기 설정된 공종 분류 체계상의 공종 분류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및 상기 하위 공종이 포함되는 상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거나, 선택적으로 상기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에는 기 설정된 공종 분류 체계상의 공종 분류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 및 상기 하위 공종이 포함되는 상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성 공사비 정보를 처리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O)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P) 상기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R)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S)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수량 반영 확장 공사비 정보인 것이며, 상기 수량 반영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 단가 정보인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공종별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의 합계로 구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하여,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하여,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와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처리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사전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하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는 시공자 측에서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계약 공사 수량에서 전회까지의 기성 사정 공사 수량 및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정보 처리하여 생성하는 방법, 발주자 측에서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계약 공사 수량에서 전회까지의 기성 사정 공사 수량 및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정보 처리하여 생성하는 방법 및 시공자 측에서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계약 공사 수량에서 전회까지의 기성 사정 공사 수량 및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정보 처리하여 생성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 이상이 채용되어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 단계의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하여 있는 것이며, 상기 부위 정보는 공종별 및 세부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성을 지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제3의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제3의 시스템 또는 상기 제3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3의 시스템은 시공자 측 시스템 및 발주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성 공사비 정보를 처리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W)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X) 상기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Y)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Z)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수량 반영 확장 공사비 정보인 것이며, 상기 수량 반영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 정보를 반영하여,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 단가 정보인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위 확장 공사비 정보는 상기 공종별로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의 합계로 구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하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는 시공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 및 발주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시공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와 상기 발주자 측의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의 차이가 발생하는 모든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하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는 상기 시공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 및 상기 발주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시공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에는 존재하고, 상기 발주자 측의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에는 존재하지 않는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하는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는 상기 시공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 및 상기 발주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시공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에는 존재하지 않고 상기 발주자 측의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에는 존재하는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사 수량 정보는 공종별로 완료된 공사의 수량, 완료 여부, 완료율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에는 부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A)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단계; (B)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상기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단계; (C) 상기 제1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종은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종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간은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니 이상의 상위 공간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위 공간 분류는 부위(element)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입력 받는 정보는 원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입력 받는 정보는 상기 원 설계안에서 변동이 발생한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분석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 및 상기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니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공사 규모 및 공사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상기 단가 정보에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에는 상기 직접 노무비 정보를 입력 변수값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상기 규칙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공종별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선행적으로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 실시 이전에, 상기 (C) 단계가 먼저 실시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B) 단계 및 상기 (D) 단계 실시 이전에 상기 (E) 단계가 먼저 실시되는 것인 것이며, 이 경우, 상기 (E) 단계의 상기 기 설정된 분석 정보는 공종별 공사비에 관련된 비용 모델 및 기능 평가에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입력 받는 정보는 원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B) 단계에서 입력 받는 정보는 상기 원 설계안에서 변동이 발생한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정보인 것이며, 상기 기 설정된 분석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 설계안 및 상기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분석 정보인 것이며,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니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석 정보는 공사비의 생애 주기 분석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F) 입력 받거나, 선택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출력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물은 비용 모델 분석서, 기능 평가 분석서, 생애 주기 비용 분석서, VE 제안서, 공사 비용 산출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분석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분석 정보에는 비교 정보가 더 포함되며, 상기 비교 정보는 상기 제1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 설정된 기준으로 연산 처리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BIM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BIM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거나,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상기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공간별, 공사비 항목별 및 공종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집계 정보 및 재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니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간 분류에는 최하위 세부 공간 내지는 부위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종 분류에는 최하위 공종 분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재집계 정보는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을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단위 공간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 집계한 것이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를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공종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 집계한 것이며, 상기 공사비 항목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직접 공사비 집계 정보 및 상기 간접 공사비 집계 정보를 합산한 집계 정보 또는 상기 합산한 집계 정보에 부가세 및 기타 총원가를 구성하는 비용을 포함한 총 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 받고, 적어도 1회 이상에 걸쳐 상기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데이터 입수부; 상기 제1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상기 제1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분석 정보 및 기 설정된 출력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 상기 데이터 입수부가 입력 받는 데이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물 양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DB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원가 내역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 및 상기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집계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니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방법 및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공종별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 시 상기 간접 공사비 생성 규칙 정보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선행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방법에서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상기 규칙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공간별, 공사비 항목별 및 공종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집계 정보 및 재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니 이상의 상위-하위 공간 분류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하위 공종 분류별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지거나 선택되는 공사비를 구성하거나 공사비 분류 체계상의 공사비 항목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간 분류에는 최하위 세부 공간 내지는 부위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상위-하위 공종 분류에는 최하위 공종 분류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재집계 정보는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을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단위 공간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 집계한 것이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최하위 공종 분류를 하위 구성 요소로 하는 상위 공사 항목별로 적어도 1 단계 이상으로 재 집계한 것이며, 상기 공사비 항목별에 대한 재집계 정보인 경우, 상기 직접 공사비 집계 정보 및 상기 간접 공사비 집계 정보를 합산한 집계 정보 또는 상기 합산한 집계 정보에 부가세 및 기타 총원가를 구성하는 비용을 포함한 총 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BIM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BIM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거나,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과 연동하거나 상기 건설 관련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상기 건설 관련 설계 시스템의 하위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한 공간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공간에 대하여, 상기 공간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C) 상기 입수 받은 공종별에 대한 자재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및 (D) 상기 공종 정보 및 상기 자재 정보로 기 설정되거나 입수된 기간 기준으로 상기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재에 대하여 자재 종류별 필요 자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상위 공간인 것이며, 상기 상위 공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상위 공간에 대하여 상기 (B) 단계, (C) 단계 및 (D) 단계를 실시하는 제1 방법, 상기 상위 공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부 공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위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세부 공간 또는 상기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 또는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대하여,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 각각에 대하여 상기 (B) 단계, (C) 단계 및 (D) 단계를 실시하는 제2 방법 및 상기 상위 공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부 공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위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세부 공간 또는 상기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들 또는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들에 대하여, 상기 세부 공간들 또는 상기 부위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상기 (B) 단계, (C) 단계 및 (D) 단계를 실시하는 제3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종 정보는 공종 및 상기 공종에 대한 공사 수량 정보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공종별 자재 정보는 표준 품셈 정보, 단가 정보, BIM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자재 정보는 자재 종류 및 자재 종류별 자재량 정보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공간인 것이고,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필요 자재 수량 정보는 상기 상위 공간을 기준으로 생성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로 생성되는 것인 제1 방법 및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위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공간인 것이고,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필요 자재 수량 정보는 상기 상위 공간을 기준으로 생성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별로 생성되는 것인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실시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의 실시 전에, 상기 입수된 공종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종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을 대상으로 상기 (D) 단계를 실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의 실시 전에, 상기 입수된 자재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재 정보에 포함된 자재 종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재를 대상으로 상기 (D) 단계를 실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자재 정보는 자재 종류 및 자재 종류별 자재량 정보인 것인 것이며, (E) 자재 종류별 취급 단위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F) 상기 (D) 단계에서 생성하는 자재 종류별 필요 수량 정보를 상기 (E) 단계에서 입수한 상기 자재 종류별 취급 단위 정보로 처리하여, 자재 취급 단위별 필요 자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입수하는 공간 선택 정보는 3D CAD 시스템 또는 BIM 시스템에서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을 통하여 입수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한 공간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공간에 대하여, 상기 공간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C) 상기 입수 받은 공종별에 대한 노무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및 (D) 상기 공종 정보 및 상기 노무 정보로 기 설정되거나 입수된 기간 기준으로 상기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무에 대하여 노무 종류별 필요 노무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상위 공간인 것이며, 상기 상위 공간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상위 공간에 대하여 상기 (B) 단계, (C) 단계 및 (D) 단계를 실시하는 제1 방법, 상기 상위 공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부 공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위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세부 공간 또는 상기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 또는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대하여,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 각각에 대하여 상기 (B) 단계, (C) 단계 및 (D) 단계를 실시하는 제2 방법 및 상기 상위 공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부 공간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위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세부 공간 또는 상기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들 또는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들에 대하여, 상기 세부 공간들 또는 상기 부위들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상기 (B) 단계, (C) 단계 및 (D) 단계를 실시하는 제3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실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종 정보는 공종 및 상기 공종에 대한 공사 수량 정보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공종별 노무 정보는 표준 품셈 정보, 단가 정보, BIM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노무 정보는 노무 종류 및 노무 종류별 노무량 정보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공간인 것이고,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필요 노무 수량 정보는 상기 상위 공간을 기준으로 생성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로 생성되는 것인 제1 방법 및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부위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공간인 것이고,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필요 노무 수량 정보는 상기 상위 공간을 기준으로 생성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별로 생성되는 것인 제2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실시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의 실시 전에, 상기 입수된 공종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종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을 대상으로 상기 (D) 단계를 실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의 실시 전에, 상기 입수된 노무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노무 정보에 포함된 노무 종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무를 대상으로 상기 (D) 단계를 실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입수하는 공간 선택 정보는 3D CAD 시스템 또는 BIM 시스템에서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을 통하여 입수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한 공간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공간에 대하여, 상기 공간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용 항목 기준 정보를 입수 받거나 기 설정된 비용 항목 기준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 (C) 상기 입수 받거나 사용되는 비용 항목 기준별로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공간의 하위 공간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생성된 하위 공간별 공사비 정보로 상기 비용 항목 기준별 상기 하위 공간별 공사비 랭킹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하위 공간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 또는 적어도 2 이상의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공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을 포함하는 차상위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용 항목 기준 정보의 비용 항목 기준은 상기 공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에 대하여, 상기 하위 공간별 총 공사비, 상기 하위 공간별 직접 공사비, 상기 하위 공간별 간접 공사비나 제 경비, 상기 하위 공간별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상기 하위 공간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위 공간은 상기 공간이 세부 공간인 경우에는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가 되거나, 상기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공간인 경우에는 상기 세부 공간이 되거나, 상기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을 포함하는 차상위 공간인 경우에는 상기 상위 공간이 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E) 생성된 상기 하위 공간별 공사비 랭킹 정보를 상기 하위 공간을 표시하는 도면 이미지 상에 시각화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입수하는 공간 선택 정보는 3D CAD 시스템 또는 BIM 시스템에서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을 통하여 입수하는 것이며, 상기 도면 이미지는 3D CAD 이미지 또는 BIM 시스템이 제공하는 도면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용 항목 기준 정보는 공종별 비용 항목 기준 정보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종은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공간에 관련된 공종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며,
상기 공종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공종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받거나,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공간과 관련된 모든 공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용 항목 기준은 공종별로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자재비,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노무비,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경비, 상기 자재비에 대응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포함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노무비에 대응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포함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경비에 대응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포함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용 항목 기준은 공종별로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개별 자재별 자재비,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개별 노무별 노무비,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개별 경비별 경비, 상기 개별 자재별 자재비에 대응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포함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개별 노무별 노무비에 대응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포함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개별 경비별 경비에 대응되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포함하는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공종에 대하여, 상기 공종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용 항목 기준 정보를 입수 받거나 기 설정된 비용 항목 기준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 (C)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 받은 공종에 대하여 상기 입수 받거나 사용되는 비용 항목 기준별로 공종별 비용 항목 기준별 확장 단가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비용 항목 기준은 상기 공종에 관계된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단가 정보는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에 포함된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상기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단가 정보와 관련된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단가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단가 정보는 공종별 단가 정보에서 입수하는 것이며,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는 공종별로 단위 수량에 대하여 단가 정보가 구성되는 제1 방식 및 공종별로의 공사 수량에 대하여 단가 정보가 구성되는 제2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용 항목 기준은 상기 공종에 관계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자재 및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노무 중 어느 하나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용 항목 기준이 자재인 경우, 상기 확장 단가 정보는 상기 자재에 대한 자재비를 직접 공사비로 하고, 원가 요율을 입수하여, 상기 직접 공사비와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직접 공사비와 관련된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자재비와 상기 생성된 간접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재별 확장 단가 정보가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용 항목 기준이 노무인 경우, 상기 확장 단가 정보는 상기 노무에 대한 노무비를 직접 공사비로 하고, 원가 요율을 입수하여, 상기 직접 공사비와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직접 공사비와 관련된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노무비와 상기 생성된 간접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노무별 확장 단가 정보가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종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용 항목 기준 정보는 표준 품셈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의 실시 전이나, 상기 (A) 단계의 실시 후에, (D) 상기 공종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한 공간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생성하는 공사비 정보는
(D) 상기 (D) 단계에서 입수되는 공간별 공사비 정보인 것이며, 상기 공간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a) 상기 공종이 관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공종별 비용 항목 기준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공간의 하위 공간별로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위 공간은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상위 공간이거나, 상기 상위 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상위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에서 입수하는 공간 선택 정보는 3D CAD 시스템 또는 BIM 시스템에서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을 통하여 입수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실시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설 사업 관리를 위한 원가 관리가 용이해 진다. 건설 공사의 항목별 내역, 각 세부 공간 항목별 및/또는 부위별 내역이 즉시 파악 가능하고, 항목의 공사비 대비 전체 공사비와의 비율, 직접 공사비, 간접 공사비, 원가 요율, 부가세 등의 항목당 공사 원가를 구성하는 모든 내용이 모든 공사 범위에서 가장 작은 단위나 차원에서 가장 큰 단위나 차원에서까지 한번에 동시에 분석되므로 내역서 관리, 공사비의 관리가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둘째, 그리고, 건설 공사의 공사 수행 후 월별, 또는 준공 공사별 기성 청구 시에도 각 세부 공간의 공종 항목의 완성, 미완성 여부만 판단하여 입력하면 즉시 실 투입 공사비, 공사 수량 등이 확정되므로 현장 기성 관리 업무, 설계 변경 등의 업무 효율이 극대화된다.
셋째, 기존의 시공자 위주가 아닌 시공자와 발주자(감리,CM등) 상호 양방향의 세부 공간의 부위별 공사 항목의 완성, 미완성 여부의 정밀한 검사가 가능하여 실 투입 공사비, 공사 수량 등이 검사 즉시 확정되므로 진행 공정의 기성수량의 산출, 기성 공사비의 금액 확정의 초정밀화가 가능하여 공사 원가 관리 업무의 개선이 예상된다.
넷째, 과다, 과소 기성금 지급이 방지될 수 있다. 관급 또는 대형 건설 공사에의 공사 대금의 기성금 산출의 정확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기존의 시공자의 요청에 의한 기성 검사의 부실로 인한 시공 물량에 대비 현저히 과다 또는 과소한 기성금의 지급이 원천적으로 예방되어 공사비 운용이 혁신적으로 개선된다.
다섯째, 건설 과정에서의 각종 참여자들의 공사비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보의 파악이 가능하여 내역서 관리, 공사비의 관리가 획기적으로 정확해질 것이다. 나아가, 모든 공종의 세부 공간별 부위별 공사비의 산출이 가능하므로 공사비를 둘러싼 분쟁이 최소화될 것이며, 건설 공사의 분쟁 발생 시에도 공사 비용의 산출과 분석에 효과적으로 대처가 가능하다.
여섯째, 현장의 건설기술개발 보상제등 시공의 경제성 검토 업무 시 비용 모델의 총원가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VE기법에 적용할 항목별 비용 분배가 바로 가능하므로, VE 수행 시 금액 분개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전체 공사비와 비교가 가능하므로 효율적이고, 정밀한 VE가 가능해져 건설업 전체에 장기적인 성장 요인이 될 것이다.
일곱째, 본 발명을 활용하면, 실비 정산 계약 방식의 활성화 될 수 있다. 세부 공간별, 부위별 공사비 정산이 가능하고 간접비의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므로 실비 정산 계약 방식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여덟째, 정밀하고도 정확하며 신속한 VE가 가능하게 된다. 본원의 발명 방식에 의한 공종별-공간별 건설 VE 지원 시스템은 각 "공사 항목"의 "규격", "수량", "단가", "금액" 등의 직접 공사비 부분과 "간접 노무비", "산재, 고용보험료", "건강, 퇴직연금보험료", "안전관리비", "기타경비", "환경보전비", 등의 "경비"와 "일반 관리비", "이윤" 등의 간접 공사비, 부가세, 관급자재, 총원가 부분으로 구분되며 공사 항목의 수량과 단가를 입력하면 직접 공사비 금액이 생성되면서 간접 공사비의 원가 요율 정보를 근거로 해당 원가 셀에 수식이 자동 생성함으로써 내역서가 완성되는 원가 계산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여 원 설계안 내역과 개선 설계(대안 설계)안 내역의 세부 공간별, 공종별, 항목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건설 공사의 원 설계안 분석과 대안(개선) 설계안의 정밀하고도 정확한 비교가 필요한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해진다.
아홉째,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에 대한 정밀하고도 정확한 비교를 통해서, 특히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와 "건설 기술 개발 보상 제도"에 기초한 건설 VE를 위한 원가 분석과 이외의 설계 변경, 건축물의 전체 또는 부분적 성능 개선, 리모델링 공사 등의 각종 제안의 비교 등 아주 다양한 분야에 걸쳐 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열째, 정밀한 자재 관리가 가능하게 되어, 자재의 최적 배치 및 자재의 효율적인 관리로 자재 재고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재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열한번째, 정밀한 노무 관리가 가능하게 되어, 노무의 최적 배치, 노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예측으로 노무 투입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열두번째, 세부 공간이나 부위별로 공사비 소요 금액, 자재 투입량, 노무 투입량 등과 같은 각종 계산 정보의 수치화된 랭킹을 알 수 있게 되어, 공사, 자재, 노무 투입의 우선 순위나 중요도 파악이 가능하며, VE 등의 공사비 절감을 위한 각종 행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열세번째, 공사비 구성 항목별, 자재별, 노무별 확장 단가 정보를 알 수 있게 되어 공사비의 정밀하고도 다차원적 파악이 가능하게 되어, 공사비 절감의 우선 순위나 관리 우선 순위를 알 수 있게 되어, 종국적으로 공사비 절감에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성 업무 처리 프로세스의 일례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건설 정보 분류 체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은 BIM 설계 도면의 제작 소프트웨어 및 설계 도면의 일 실시예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스에서 원가 계산 시점 구분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직접 공사비 집계 및 원가 계산 후에 총 공사비 파악이 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계산서(갑지)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세부 공간에 대하여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동별 공간에 대하여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은 공종별 원가 내역서에서 공종별로 직접 공사비만 표현되어 있어, 총 공사비 정밀한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동일한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이 함께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동일한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시공자 측이 주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동일한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발주자 측이 주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정보를 입수하고, 부위 정보를 반영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부위별)-공종별-세부공간별 공사 수량 정보의 일 예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공종별 단가 정보(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를 계산하기 위한 원가 요율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7은 예시적으로 3가지 공종에 대하여 CONC인력비빔타설, 합판거푸집, 철근현장가공 및 조립 공종에 대하여 수량 1을 기준으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는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8은 단위 수량 대신 실제 공사 수량을 사용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는 일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일 실시예적 집합을 보여주고 있다. 데이터 필드들은 그룹핑 될 수 있는데, 회수 구분 필드 그룹, 세부 공간 위치 정보 필드 그룹(시설물-공간-부위 등(건축 대상의 공간 분류 계층 체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함), 공종 정보 필드 그룹(대공종-소공종-항목(품명)) 등의 공종 분류 계층 체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함), 직접비 구성 항목별 단가 정보 필드, 간접비 구성 항목 필드 그룹, 추가 경비 및 실비 보수 경비 필드 그룹, 발주처 직구매 자재, 폐기물 처리비 등 별도 금액 필드 그룹, 관급 자재비 등 기타 필드 그룹, 총원가 필드 그룹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0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일 실시예적 구성이다.
도 21은 모든 공간에 대하여 집계한 공종별 집계 데이터 및 공종 분류 체계에 따른 소계가 포함된 본 발명의 집계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준다.
도 22는 세부 공간인 골조에 대한 공종별 집계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준다.
도 23은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 집계 데이터 및 공종 분류 체계에 따른 상위 공종별 소계 정보가 포함된 집계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준다.
도 24는 간접 공사비 정보가 정확하게 산출되는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5는 부위별(골조, 벽, 바닥, 천정)로의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가 정확하게 산출되어 있는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6은 도서관 전체에 대한 부위별로 소계 정보가 생성되어 있으며,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총계 정보가 정확하게 생성되어, 부위별 및 부위별로 해당되는 공종별로 전체 공사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출력물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7은 세부 공간 골조에 대하여 각 세부 공간별로 해당되는 부위별로의 소계 정보가 생성되어 있으며,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총계 정보가 정확하게 생성되어, 세부 공간별로 해당되는 부위의 종류, 해당되는 부위별 및 부위별로 해당되는 공종별로 전체 공사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출력물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8은 세부 공간인 1층 어린이 열람실에 대하여, 각 세부 공간별로 해당되는 부위별로의 소계 정보가 생성되어 있으며,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총계 정보가 정확하게 생성되어, 세부 공간별로 해당되는 부위의 종류, 해당되는 부위별 및 부위별로 해당되는 공종별로 전체 공사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출력물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9는 천정 부위에 해당하는 공종별로 전체 공사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출력물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사 대금 신청 및 사정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회차별,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이 기성 공사비 산출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공종에 대한 기성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토대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5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6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기성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토대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7은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개념적 도면이다.
도 38은 발주자 측의 사정 승인 정보로 금회 기성 신청 정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9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여 발주자 측의 사정 승인 정보로 금회 기성 신청 정보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40은 발주자 측 시스템 또는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별 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 이를 고려하여 차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41은 발주자 측 시스템 또는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세부 공간별 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 이를 고려하여 차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42는 부위 정보와 함께 관련된 세부 공간별 공종을 제공하는 1회 기성 청구에 포함되는 세부 공간별 공사 내역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43은 부위 정보와 없이 세부 공간별 공종만을 제공하는 1회 기성 청구에 포함되는 세부 공간별 공사 내역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44는 세부 공간 골조(공통)에 대한 CONC인력비빔타설이라는 공종에 대하여 실제 공사 수량을 고려하여 생성된 세부공간별-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45는 세부 공간 골조(공통)에 대한 CONC인력비빔타설이라는 공종에 대하여 단위 공사 수량으로 생성된 세부공간별-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46에서 예시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세부 공간인 골조(공통)에 대하여, 상기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공종인 conc인력비빔타설 공종, 합판 거푸집 공종, 철근 현장 가공 및 조립 공종 등의 3가지 공종에 대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8은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확장 단가 정보,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9는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입수 되거나 설정된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회한 정보를 가공하여 원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0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부위 선택 정보 및 출력 선택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회한 정보를 가공하여 원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1은 규격, 단위나 수량과 같은 정보도 포함되어 있는 생성된 금회 기성 신청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52는 규격, 단위나 수량과 같은 정보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생성된 금회 기성 신청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53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기성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토대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6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7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기성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토대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8은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개념적 도면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관한 또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0은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관한 또 다른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확장 단가 정보,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1은 2회차의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부위별 세부 공간별 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의 예시이다.
도 62는 1층 어린이 열람실의 벽 부위에 대한 세부 공간별-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3은 1층 어린이 열람실의 바닥 부위에 대한 세부 공간별-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4는 1층 어린이 열람실의 천정 부위에 대한 세부 공간별-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5는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별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66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별 부위별 공사비 정보를 소계 및 전체 합계 정보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도 67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1층 열람실 1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별 부위별 공사비 정보를 소계 및 전체 합계 정보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도 68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2층 열람실2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별 부위별 공사비 정보를 소계 및 전체 합계 정보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도 69는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도서관 전체에 대하여 모든 공종별 부위별 공사비 정보를 소계 및 전체 합계 정보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도 70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와 관련하여,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별 공종별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1은 열람실 1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하여 직접 공사비 합계 및 간접 공사비 합계 정보만을 출력하는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2는 구성 항목이 많은 간접 공사비에 대해서는 간접 공사비 합계 정보만을 출력하는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3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와 관련하여 공종별 전체 공사비 신청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4는 같이 발주자 측은 2층 열람실2에 대하여, 경량철골천정틀 공종, 디럭스타일붙이기 공종, 수성페인트, 로울러칠 공종, 인테리어필름 공종 및 암면흡음텍스 공종에 대하여 시공자 측이 신청한 공사 수량 100이 아닌 50으로 사정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공사 수량 도면이다.
도 75는 2층 열람실2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로, 시공자 측의 도 68에 나타난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 대응되는 발주자 측의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6은 시공자 측의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 대한 도서관 전체에 대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인 도 69에 대응되는 발주자 측의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도 77은 열람실 2에 대한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의 일례로 공종별(상위 공종-하위 공종별)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8은 도서관 전체에 대한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의 일례로 공종별(상위 공종-하위 공종별)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9는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입수 되거나 설정된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회한 정보를 가공하여 원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0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부위 선택 정보 및 출력 선택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회한 정보를 가공하여 원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1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미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2는 미성 공사 수량 정보에 대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83은 2층 열람실2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4는 2층 서고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5는 2층 화장실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6은 전체 도서관 공사를 기준으로 한 전체 미성 공사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7은 층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8은 전체 미성 공사비 내역(공사 원가 계산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9는 2층 열람실 2에 대한 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90은 2층 서고에 대한 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91은 2층 화장실에 대한 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92는 전체 미성 공사에 대한 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93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금회 사정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공사 수량에 대한 금회 기준 전체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기준으로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고,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4는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금회 사정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공사 수량에 대한 금회 기준 전체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기준으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고,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선택된 부위에 대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5는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금회 사정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된 세부 공간 만에 관련된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기준으로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고,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6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금회 사정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된 부위에 대한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기준으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고,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선택된 부위에 대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7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8 회차별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99는 도 98과의 관계에서 회차별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와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 대한 개념적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00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한 시공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 및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한 발주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하고 차이를 추출하여, 기 설정된 원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1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한 시공자 측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 및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한 발주자 측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하고 차이를 추출하여, 기 설정된 원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2는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고,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여, 생성된 양자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3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고,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여, 생성된 양자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4는 1회차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다.
도 105는 1회차 공종별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도 106은 1회차 기성 사정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다.
도 107은 1회차 공종별 기성 사정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도 108은 2회차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다.
도 109는 2회차 공종별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도 110은 2회차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다.
도 111은 2회차 공종별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도 112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선택된 부위 등과 같은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있을 경우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13은 BIM 작동 화면에 대한 도면으로 특정한 부위 객체가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부위 객체는 다른 칼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그 경계가 표시되는 것을 보여 주는 BIM 시스템에서의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14는 BIM 시스템에서 부위 선택 시, 선택된 부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사비 내역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15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재료비만으로 확장 단가 정보 생성하는 것과 같은 원가 내역을 구성하는 비용 항목 중 일부만으로 관련되는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16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노무비만으로 확장 단가 정보 생성하는 것과 같은 원가 내역을 구성하는 비용 항목 중 일부만으로 관련되는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17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재료비, 노무비, 경미 등과 같이 원가 내역을 구성하는 비용 항목 중 복수개의 일부만으로 관련되는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18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공종별 확장 단가 집계표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확장 단가 집계표는 직접비 항목에 해당하는 재료비 항목에, 이 재료비에 해당되는 간접 공사비가 같이 표시되어 있거나, 노무비 항목에 이 노무비에 해당하는 간접 공사비가 같이 표시되어 있거나 하여, 직접비 항목별 직접비와 이 직접비 항목과 관련되는 간접 공사비 등 확장 단가 정보 중 직접비를 제외한 금액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
도 119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표준 품셈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하는 공종별로 그 공종에 필요한 개별 재료, 개별 노무 등에 대한 단가 정보, 이들 단가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되는 확장 단가 정보의 합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20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표준 품셈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하는 공종별로 그 공종에 필요한 개별 재료, 개별 노무 등에 대한 단가 정보, 이들 단가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되는 확장 단가 정보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 및 그 합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21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의 자재 관리 정보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22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노무 관리 정보 생성 엔진의 노무 관리 정보 처리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23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랭킹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랭킹 정보 생성의 대상이 되는 공사 대상(건물 등)에 대한 층별 단면 간략 도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24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랭킹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특정 공간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별 공사비 랭킹 정보가 생성된 예시 데이터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25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랭킹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특정 공간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별 공사비 랭킹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26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랭킹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세부 공간별 공사비 랭킹 정보의 시각적 표현 방법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27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랭킹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특정 세부 공간을 구성하는 부위에 대한 해당 공종별 랭킹 정보가 생성된 예시 데이터를 보여 주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28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랭킹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특정 세부 공간을 구성하는 부위에 대한 해당 공종별 공사비 랭킹 정보의 시각적 표현 방법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29은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생성하는 1회 기성 신청 내역 정보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0은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생성하는 공간별 1회 기성 사정 내역 정보의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31은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생성하는 2회 기성 신청 내역 정보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2는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생성하는 2회 기성 사정 내역 정보의 예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33는 종래의 VE 수행 중 비용 모델의 공종별 공사비 산출 시 내역서의 직접비 금액에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하여 분개하므로, 정밀한 공종별 총원가 산출에 오류가 발생 가능한 것을 보여주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134은 종래의 VE 수행 시 기능 평가 작성 시 기능 평가의 금액도 역시 도 133에서의 비용 모델에서 그 금액을 가져오므로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산출에 애로가 있고, 공간별 구분이 안 되어 기능별 금액 분개가 별도의 수작업을 통하여야만 가능하고 정확한 기능별 금액 분개가 안 되는 것을 보여 주는 현재 비용 배분표의 예시 도면이다.
도 135은 종래의 VE 수행 시 생애 주기 비용 분석 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 공간별-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 공간별-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려움을 보여 주는 도면으로, 이 경우 대안(개선안)의 세부공간별-항목별 공사비 산출도 원 설계안과 마찬가지로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산출에 애로가 있고, 이로 인한 절감 예상액 산출도 오차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주는 생애 주기 비용 분석표의 예시 도면이다.
도 136은 종래의 VE 제안서 작성 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의 생애주기분석에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공간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공간별 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려움을 보여 주는 VE 제안서 예시 도면이다.
도 137는 종래의 VE 수행 과정의 공사 비용 산출서 작성 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의 생애 주기 분석에서 기존의 공사비가 세부공간별-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원 설계안의 세부공간별 항목별 공사비 분개가 어렵고 직접비 분개 후 간접비는 적절히 추정 분개하여, 정밀한 항목별 총원가가 파악이 어려움을 보여 주는 공사 비용 산출서의 예시 도면이다.
도 13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서는 변동 정보 발생 전에 입력 정보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원가 내역 정보로 비용 모델용 출력물 등을 작성하고, 변동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변동 정보를 반영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39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서는 변동 정보 발생 전후에 입력 정보로 각각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원가 내역 정보로 변동 정보를 반영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상기 흐름도에서는 변동 정보 발생 전에 입력 정보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원가 내역 정보로 비용 모델용 출력물 등을 작성하고, 변동 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변동 정보를 반영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또 다른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41은 원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직접 공사비와 간접 공사비가 일목요연하게 한 행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도 142은 원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상위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3는 원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총 공사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4은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5은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특정 상위 공간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 원가 내역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6는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생성된 총 공사에 대한 본 발명의 원가 계산 내역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7은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상위 공간별 원 설계안에 따른 총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총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8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세부 공간별 원 설계안에 따른 총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총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9은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중 차이가 나는 공종별 및 대략적인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50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중 차이가 나는 공종별 및 세부적인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51는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변경 부분의 공종별 단가 정보 분석표이다. 도 151는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변경되는 공종별로 자재와 노무의 종류에 따른 단가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도 9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에서 함께 사용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며, 도 10은 시공자 측을 주 사용자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며, 도 11은 발주자 측을 주 사용자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는 공사를 발주하는 자와 그 공사를 수행하는 자로 대별될 수 있다. 공사 발주자 측의 예는 건축주, 공사의 발주자, 감리자, 건축주를 위한 건설 관리 회사 등이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공사 수행자(시공사)측의 예시는 건설사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먼저 도 9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9의 방식과 차이가 나는 도 10 또는 도 11의 특유한 것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한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는 데이터 입수부(1110) 및 사용자와의 원활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모듈(1100);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 및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1400)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각종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모듈(1500)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듈(1500)에는 원가 요율 정보를 관리하는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1510)과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52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1510)는 원가 요율이 변동되는 경우, 변동되는 원가 요율 정보를 관리한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사용하거나, 정보를 주고 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컴퓨터(2000))와 유무선 네트워크(6000)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2000)에는 ,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임의의 단말, 또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2000)의 예로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 시공자 측 시스템(3000), 발주자 측 시스템(4000)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의 시스템(5000) 등이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에는 기성 공사비 정보 처리를 위한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 VE 공사비 정보 처리를 위한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 및 기타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를 처리하는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에는 사용자 컴퓨터(2000)로부터 데이터를 입수하는 데이터 입수부(1110)가 있다. 상기 데이터 입수부(1110)는 입수하는 데이터의 출처 내지 성격에 따라서, 원가 내역 산정을 위한 기초적인 데이터를 입수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입수부(1111), 기성 정보 처리와 관련된 시공자 측 데이터를 입수하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1112), 기성 정보 처리와 관련되어 발주자 측 데이터를 입수하는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1113)가 있다. 상기 데이터 입수부(1110)는 선택적으로 특별한 형태 또는 기 설정된 형태의 폼으로 데이터를 입수하는 경우, 입수 데이터 폼을 제공하는 입수 데이터 폼 제공부(미도시)와 특별한 별도 사항을 입력 받는 별도 사항 입수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에는 사용자가 출력 받기를 원하는 출력 정보 또는 출력물의 종류 또는 상기 출력물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는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 및 상기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형태의 출력물을 제공하는 출력물 제공부(1130)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은 사용자 컴퓨터(2000)와 전산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는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5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특정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공간 객체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1140)이 있으며, 상기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1140)는 선택적으로 최하위 공간 객체인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부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공간 객체라는 용어는 물리적 객체 중에서의 공간 객체 및 물리적 객체 중에서의 부위 객체를 포함하는 뜻으로 사용된다. 3D CAD 시스템에서는 천장이나 벽 등과 같은 물리적 객체 중의 부위 객체도 선택할 수 있지만, 건물의 층, 구역, 실 등과 같은 부위로 둘러싸인 물리적 객체 중의 공간 객체도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며, 기술(description)의 편의상 본 발명의 공간 객체에는 부위 객체도 포함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기성 정보 처리를 위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생성되는 확장 공사비 정보로, 본 발명의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처리할 수 있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원 또는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집계 데이터의 생성은 본 발명의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처리한다.
본 발명은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성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에는 공간 분류의 최하위 단위인 부위 단위로 기성 정보를 처리하는 부위 단위 정보 처리부(131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정보 또는 출력물 정보를 생성하는데, 상기 출력 정보 또는 출력물 정보의 생성은 본 발명의 출력물 생성부(1320)가 수행한다.
본 발명의 입수되거나 생성되는 정보는 DB부(1400)에 저장된다. 상기 DB부(1400)는 입수 데이터를 저장하는 입수 데이터 저장부(1410)와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생성 데이터 저장부(14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입수 데이터 저장부(1410)에는 입수되는 데이터의 성격이나 출처에 따라 공종별 단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가 정보 데이터부(1411),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를 저장하는 수량 산출 정보 데이터부(1412), 원가 요율 정보를 저장하는 원가 요율 정보 데이터부(1413), 공종의 계층 구조 정보를 저장하는 공종 데이터부(1414), 시설물을 이루는 공간의 계층 구조를 저장하는 공간 데이터부(14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수 데이터 저장부(1410)에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로부터 입수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시공자 측 기성 입력 데이터부 및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로부터 입수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발주자 측 기성 입력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생성 데이터 저장부(1420)에는 집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집계 데이터 저장부(1421), 출력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 정보 저장부(1422), 특화 정보를 저장하는 특화 정보 저장부, 시공자 측 기성 생성 정보를 저장하는 시공자 측 기성 정보 생성 데이터부(1424)와 발주자 측 기성 생성 정보를 저장하는 발주자 측 기성 정보 생성 데이터부(1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부는 표준 품셈 데이터부(1430)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준 품셈 데이터부(1430)는 표준 품셈을 구성하는 자재, 노무, 취급 단위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는데, 이들은 하나의 DB 또는 데이터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각각 표준 품셈별 자재 데이터부(1431), 표준 품셈별 노무 데이터부(1432) 및 자재별 취급 단위 데이터부(1433)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공종 분류란 대공종-중공종-소공종-항목(품명) 등과 같이 공종을 최상위 계층부터 최하위 계층까지에 대한 공종의 분류 체계로 하나의 최하위 계층의 공종은 자신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신의 상위 공종에 속하게 된다. 상기 공간 분류란 최하위 부위 단위부터, 최상위 시설물 단위까지의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공간에 대한 구성 체계를 말한다. 예를 들면, 도서관이라는 시설물에 대하여, 1층, 및 2층은 층 단위의 공간이며, 1층을 구성하는 열람실 1, 어린이 열람실 등은 세부 공간이며, 열람실 1을 구성하는 천장, 바닥, 벽체 등은 부위에 해당하는 공간 객체가 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정보 처리하는 방법을 우선적으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최초 입력되는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수량 정보, 공사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로부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S11),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며(S12),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수량 산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S13).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S21)하고,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S22)하여,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23)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공종별 수량 산출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S24)하고,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요청한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반영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25)한다.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는 도 14과 같이 하나의 정보 단위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별개의 2개 이상의 독립된 정보 단위로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부위별 정보 처리는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 있으며, 세부 공간별 정보 처리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부위별 정보 처리를 포함하여 설명하나 상기 "(부위별-)공간별"의 표현과 같이, "부위별-"에 괄호 처리를 하여 부위별은 선택적 정보 처리일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이하, 분설한다.
먼저, 데이터의 입력부터 설명한다. 도 14는 도서관 공사에 대한 공종(품명)별 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 (산출)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부위 정보가 품명(공종)에 추가적으로 대응되어 있어, 도 14의 공사 수량 정보는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 정보가 된다. 상기 부위는 공사 수량 정보에서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BIM 등과 같은 체제 하 또는 부위별로의 정밀한 정보 처리에서는 유용한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도 15는 공종별 단가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6은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를 계산하기 위한 원가 요율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14의 예시와 같은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S21)한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입수하는 정보에는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하기 표1과 같은 별도의 데이터로 입력될 수도 있다.
도서관 1층 어린이 열람실 열람실1
2층 열람실2 서고 화장실
공간 분류 체계별 공사비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입력 데이터로 표 1의 시설물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공간 구성 정보)의 일례와 도 14의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가 있다. 상기 표 1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서관이라는 시설물은 예시적으로 2개의 층으로 되어 있고, 각 층은 표 1에 예시되는 세부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즉, 1층은 어린이 열람실, 열람실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2층은 열람실2, 서고 및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각 세부 공간은 각층별, 각 건물별로의 소속/분류 정보가 더 입력되어 공간 데이터부(1415)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14의 수량 산출 정보에는 공종의 앞쪽에 부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량 산출 정보는 "부위:공종:세부 공간"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위:공종:세부 공간"의 대응 관계에서 "공종"을 무시하게 되면, "부위:세부 공간"의 대응 관계가 생성되게 되고, 이러한 대응 관계 정보로서 1) 각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n개의 부위와 2) 각 부위에 대응되는 m개의 세부 공간이 나오게 된다. 만약, 상기 도 14에는 세부 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데, 만약 상기 수량 산출 정보에서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에 해당하는 층별 집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거나, "층"의 상위에 해당하는 다른 공간별 부분 집계가 있는 경우, 상기 집계 정보로서 표 1에 대응되는 시설물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공간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표 1 및 도 14의 데이터가 있거나 또는 도 14의 데이터에 공간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집계 정보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부위:공종:임의 단위의 공간"에 대한 대응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각 세부 공간은 각층별, 각 건물별로의 소속/분류 정보가 더 입력되어 공간 데이터부(1415)를 구성하게 된다. 공간 데이터부(1415)로 세부 공간 DB의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부위 정보는 표1과 같은 공간 구성 정보에 더 포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표 1에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도 14의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에 누락되지 않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 도 14에 있는 데이터의 공종 옆에 있는 부위가 없다면, 비록 열람실 1이 n개의 부위로 구성되고 있다는 정보가 있어도, 열람실 1과 관련된 m개의 공종이 있는 경우, ni번째 부위가 어느 mj번째 공종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부위별로 공사 수량을 확정할 수 없고, 공종별로 단가 정보가 있어도 공종 mj가 어느 부위 ni에 대응되는지를 알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부위 ni에 대한 공사비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공종에 따라서 단가 정보가 결정되므로,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에서 공종에 대응되는 부위가 입력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15는 입력 데이터로서 단가 정보 데이터의 일례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단가 정보에는 공종(품명)별로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직접비 구성 항목별 직접비가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6에서는 입력 데이터로 원가 요율 정보가 입력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예를 들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은 직접 공사비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S22)한다. 도 1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S11)한다. 이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12)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S13)한다.
상기 원가 요율 정보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접 공사비 중 간접 노무비는 직접 공사비 정보의 노무비*10.50%, 산재-고용 보험비는 (상기 직접 공사비의 노무비 + 상기 간접 노무비)*3.61% 등과 같은 각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규칙 정보를 말한다. 물론,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이 상기 산재-고용 보험비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산재-고용 보험비 정보의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간접 노무비 정보가 필요하므로, 상기 간접 노무비는 상기 산재-고용 보험비보다 우선적으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특정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계산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간접 공사비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필요로 하는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을 예로 들어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에는 예시적으로 3가지 공종에 대하여 CONC인력비빔타설, 합판거푸집, 철근현장가공 및 조립 공종이 있다. 상기 각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는 공사 수량 단위를 1로 기준으로 할 때, 하기 표2와 같다.
항 목 규 격 단위 수량 직 접 공 사 비
(1) 재 료 비 (2) 노 무 비 (3) 경 비 (4) 직접비소계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단가 금액
CONC인력
비빔타설
1:3:6(300M3↓) M3 1     147,069 147,069     147,069 147,069
합판거푸집 3회 M2 1 4,865 4,865 15,402 15,402     20,267 20,267
철근현장가공 및 조립 보통(미할증) 1 11,087 11,087 358,447 358,447     369,534 369,534
상기 [표 2]의 공종별 직접 공사비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여 하기 [표 3] 내지 [표 5]과 같은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
 항 목 노무비 경 비
(5)간접노무비 (6)산재,고용보험
보험료
(7)연금,퇴직보험료 (8)건강보험료 (9)노인장기요양보험료
(2)*10.5% 산재보험료 3.61%
고용보험료 0.67%
=((2)+(5))*4.27%
연금보험료 2.43%
퇴직공제부금 2.3%
=(2)*4.73%
(2)*1.49% (8)*0%
CONC인력비빔타설 15,442 6,939 6,956 2,191  
합판거푸집 1,617 727 729 229  
철근현장가공 및 조립 37,637 16,913 16,955 5,341  
항 목   경 비
(10)안전관리비 (11)기타경비 (12)환경보전비
공사손해보험료
(13)경비소계
((1)+(2)+(19))
*1.81%
((1)+(2)+(5))*5.9% 환경보전비 0.30%
지급보증수수료 0.018%
=((1)+(2)+(3))*0.318%
SUM((6):(12))
CONC인력비빔타설 2,662 9,588 468 28,805
합판거푸집 367 1,291 64 3,407
철근현장가공 및 조립 6,689 24,023 1,175 71,095
항 목 (14)일반관리비 (15)이윤
((4)+(5)+(12))*4.7% ((2)+(3)+(5)+(13)+(14))*15%
CONC인력비빔타설 8,992 30,046
합판거푸집 1,189 3,242
철근현장가공 및 조립 22,478 73,449
이때, 상기 공종별로 기 설정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모두 생성해 내면, 상기 공종별로 상기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와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결합하여 통합된 공사비 구성 항목별 정보인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공종별 수량 산출 정보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7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상기 표 3 및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표 4의 확장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도 17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은 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17에는 확장 단가 정보 및 직접 공사비 합계 정보 및 간접 공사비 합계 정보 및 부가 가치세 및 (19)기타를 포함하는 공종별 총원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17에는 예시적으로 3가지 공종에 대하여 CONC인력비빔타설, 합판거푸집, 철근현장가공 및 조립 공종에 대하여 생성되어 있는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보여 주고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는 모든 공종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상기 도 17에 나와 있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특정한 세부 공간에 관련되는 공종에 대해서만 생성할 수 있으므로,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세부 공간은 최하위 세부 공간부터, 상기 최하위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까지 관련된 공종을 대응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최하위 세부 공간별로 세부 공간별-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해 놓으면,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공간 계층별로 집계(roll-up 연산이 그 한 예가 될 수 있다.)하는 방식으로 상위 공간별-공종별에 대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까지 생성해 놓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특정한 부위와 관련된 공종에 대해서만 생성할 수 있으므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생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며, 상기 부위가 관련되는 세부 공간,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상위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계 정보가 포함되는 부위별-세부/상위 공간별-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과 같이 단위 수량 1을 기준으로 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 각 공종에 대한 세부 공간별 실제 공사 수량과 상기 단위 수량 1을 기준으로 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곱하는 방식으로 세부 공간별 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는 공종별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7에서는 수량 1을 기준으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었으나, 도 18과 같이 실제 공사 수량인 100(만약 특정한 공종의 공사 수량이 5라면 5를 사용하여)을 사용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할 것이다. 수량 1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상기 도 18에 나와 있는 단가를 제외한 모든 금액의 1/100이 될 것이다.(공사 수량이 모두 100이 때문임) 즉, 상기 출력물에서는 공종별로의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합계, 부가세, 기타 및 총원가 정보가 생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와 간접 공사비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 상기 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S24)되게 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담당한다.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는 상기 공종별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를 참조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크게 2가지 계열이 있다. 하나는 기 설정된 다차원 집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기 설정된 몇 개의 집계 데이터만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먼저 다차원 집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다차원 집계 데이터는 본 발명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의 다차원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생성한다.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는 공종별, 공간별로 집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집계 데이터가 생성하는 대표적인 집계 예시는 도 21 내지 도 2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은 도서관 전체, 도 22는 골조(공통), 도 23은 1층 어린이 열람실에 대한 집계 데이터가 생성되어 있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21 내지 도 23에서의 각종 소계 등은 집계 데이터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각종 집계는 공종 구성 체계별로 집계할 수도 있으며, 공간 구성 체계별로도 집계할 수 있으며, 공종-공간 중 어느 하나를 고정해 놓고 고정되지 않은 어느 하나에 대하여 집계할 수도 있으며, 공종-공간-부위 중 어느 2 이상을 고정해 놓고, 고정되지 않은 어느 하나에 대해서 집계할 수도 있으며, 공종-공간-부위 중 어느 1 이상을 고정해 놓고 고정되지 않은 2가지에 대해서 각각의 방향으로 집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종4(품명004-1.0B벽돌쌓기)를 고정해 놓고, 각 공간별(1층 어린이 열람실, 1층 열람실 1, 2층 열람실 2, 2층 서고, 2층 화장실)에 대하여 집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종 4에 대한 집계 정보는 전체 도서관에 대한 공종 4에 대한 집계 정보가 될 것이다. 물론, 1층을 구성하는 어린이 열람실과 열람실 1에 대해서만 집계한다면, 공종 4에 대한 1층에 대한 집계 정보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집계 데이터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출력물이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은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생성한 집계 데이터 중에서 원가 내역 정보 출력물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것들은 출력물로 바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크게 3~5개 이상의 차원(축)으로 되어 있다. 첫번째 차원은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이며, 두번째 차원은 공종 차원이며, 세번째 차원은 공간 차원이며, 상기 공간 차원의 최하위에는 부위가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때에 따라서는 부위가 개념적으로는 공간 차원의 최하위 요소이지만, 데이터 처리에서 독립된 차원처럼 취급할 수도 있다. 이때, 부위는 최하위 공간 구성 단위이므로, 부위들 간에는 계층 구조가 없는 것이 통상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구성하는 값은 f(x,y,z,w)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부위 정보가 없다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구성하는 값은 f(x,y,z)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f(x,y,z,w)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원에 대한 소계값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이때, 상기 x는 공종 차원, y는 공간 차원, z는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 w는 부위 차원이 될 수 있을 것이며, f는 상기 (x, y, z, w)가 결정되는 경우 결정되는 셀 값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최초로 입수되는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하여, f(x,y,z,w)을 생성한다. 상기 수량 정보는 (xi, yj, wk)가 결정 나면 결정 나게 된다. 상기 f(x,y,z,w)와 같은 다차원 데이터 또는 큐브(cube)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전산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례를 들어서 f(x,y,z,w)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을 호출하여, 주어진 xi, yj, wk의 모든 조합별로, 우선적으로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 확장 공사비 정보란 zl에 대한 모든 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는 공종별로 단위 수량(수량 1, 예시적으로 도 17 참고) 또는 기준 수량(예시적으로 수량 100, 도 18 참고)을 기준으로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 17에서 알 수 있듯이 예시적인 3가지 공종에 대해서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및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의 공사비 정보가 zl이 된다. 상기 zl에 실제 공사 수량 100을 곱하게 되면 도 18가 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주어진 xi, yj, wk의 모든 조합별로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와 상기 수량 산출 정보로 z=z(xi, yj, wk)를 모든 xi, 모든 yj, 모든 wk의 모든 조합별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b) 및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도 본 발명의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과 같이 주어진 xi, yj, wk의 모든 조합별로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와 상기 수량 산출 정보로 z=z(xi, yj, wk)를 모든 xi, 모든 yj, 모든 wk의 모든 조합별로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작동하는 방식은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b)과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의 작동 방식에도 준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때,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확장된 공사비 단가 정보(직접 공사비 단가 +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단가)를 먼저 생성하고, 수량 산출 정보로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은 직접 공사비 단가에 수량 산출 정보를 먼저 반영한 다음, 수량 산출 정보가 반영된 직접 공사비 정보(직접 공사비 단가*공사 수량)로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확장 공사비 정보(확장 공사비 단가*공사 수량)를 생성하는 제2 방법도 당연히 채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xi는 부위를 제외한(여기서는 wk를 사용하므로) 공간 분류의 최하위 공간i을 말하며(예를 들면 1층의 세부 공간인 어린이 열람실, 열람실 1이 xi가 될 수 있다.), yj는 최하위 공종 분류(예를 들면, 도 15의 단가 정보에 나와 있는 공종이 jy가 될 수 있다.), wk는 (최하위) 부위 분류(예를 들면, 천정, 벽, 바닥, 골조 등이 wk의 예가 될 수 있다)가 된다. 한편, zl은 공사비 구성 항목이 된다.
이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 또는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다차원)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 또는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미도시)가 부분합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부분합은 x, y, z, w 각각에 대하여 각 차원별로 생성할 수 있다. z 차원의 부분합에는 직접 공사비 소계, 간접 공사비 소계(간접 공사비 구성 그룹별 소계가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총 소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 시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간 차원을 우선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모든 yj, wk 조합 각각에 대하여(z에 대한 부분합은 생성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xi에 대한 부분합을 생성한다. 즉, 특정한 공종, 특정한 부위에 대하여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1, 어린이 열람실, 화장실 1과 관련된 공사비를 1층의 공사비로 소계를 계산하고, 1층 및 2층의 공사비를 시설물인 도서관의 공사비로 총계한다. 이어, 모든 xi, wk의 조합에 대하여 yj에 대한 부분합을 생성한다. 만약 공종 분류가 상기 공간 분류처럼 n개의 계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계층에 대한 소계 및 계층 간의 소계 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1개 계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종 전체에 소계 정보를 생성하면 된다. 이어, 모든 xi, yj의 조합에 대하여 wk에 대한 부분합을 생성한다. 부분합의 생성은 (xi, yj, zl, wk)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차원 또는 어느 2개 이상의 차원의 조합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특정한 조합에 대해서는 생성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예를 든다면, 특정한 zl에 대해서, (xi, yj, wk)의 모든 조합별로 부분합을 생성해 놓을 필요는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 (간접 노무비를 특정 공간별, 특정 공종별, 특정 부위별에 대해서 생성해 놓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간접 노무비는 전체 간접비 구성 항목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 타당하므로, 특단의 경우가 아니라면 이와 같은 데이터 생성은 불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필드의 일 실시예적 집합을 보여주고 있다. 데이터 필드들은 그룹핑 될 수 있는데, 회수 구분 필드 그룹, 세부 공간 위치 정보 필드 그룹(시설물-공간-부위 등(건축 대상의 공간 분류 계층 체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함), 공종 정보 필드 그룹(대공종-소종종-항목(품명)) 등의 공종 분류 계층 체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함), 직접비 구성 항목별 단가 정보 필드 그룹, 간접비 구성 항목 필드 그룹, 추가 경비 및 실비 보수 경비 필드 그룹, 발주처 직구매 자재, 폐기물 처리비 등 별도 금액 필드 그룹, 관급 자재비 등 기타 필드 그룹, 총원가 필드 그룹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일종은 도 20에 예시되어 있다. 2차원 평면에는 3차원 정보를 시각적으로 도시해 낼 수 없으므로, 시각화의 편의상 도 20에는 천정, 벽, 바닥, 골조라는 부위가 하나의 화면에 나와 있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부위가 독립된 차원이 되는 경우에는 특정한 부위 1개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정보가 나와야 한다. 즉, 특정한 부위가 천정이라면, 상기 도 20에서 1) 코드 표시에서 "천정"이라는 말이 없어야 하며(천정에 대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이므로, 천정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표시되지 않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2) 벽, 바닥, 골조 및 그 각각의 이하에 있는 항목들도 없어져야 한다. 다만, 도 20에서는 하나의 도면으로 4개 차원의 데이터를 보여 주려고 하기 때문에 부위 차원을 독립된 축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항목이 표시되는 곳에 천정, 벽, 바닥, 골조로 표시하였다. 그러므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구성은 도 20에서 표시되는 것과 다른 형태인 f(x1,y,z,w1)(x1은 도서관 1층 어린이 열람실, w1은 천정)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물론,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도 20과 같은 형태로 정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도 20과 같은 큐브 데이터를 생성해 놓으면, 상기 본 발명의 여러 출력물을 슬라이스(slice) 또는 다이스(dice)하는 방식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집계 정보의 생성 시 롤업(roll up) 연산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롤업 연산이란, 어린이 열람실, 열람실 1 (직하위 구성 요소들)로 1층(직상위 구성 요소)이 구성될 때, 1층을 구성하는 값에는 어린이 열람실, 열람실 1의 값을 합산(직하위 구성 요소들의 값을 합산)하여 1층에 대한 값(직상위 구성 요소의 값)으로 하는 연산을 말한다. 상기 부분합/중간집계 정보의 생성은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f(x,y,z,w)를 구성하는 각종 셀들 중에서는 다수의 null 데이터 가 존재함은 당연할 것이다. (특정 세부 공간에 특정 공종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f를 계산하는 순서와 방법은 극히 다양할 수 있을 것이며, 당업자는 이들 다양한 방법 중 최적의 방법(계산량이 적거나, 계산 속도가 빠른 방법 등)을 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들어옴도 당연할 것이다.
한편, 다수의 null 데이터를 피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도 21 내지 도 28에 나와 있는 본 발명의 출력물을 예시적으로 가정하고, 각 출력물 형태가 필요한 데이터만을 배치(batch) 방식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수행한다. 상기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는 출력물에 필요한 정형적인 집계 데이터만 생성한다. 상기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는 xi, yj, zl, wk의 모든 조합에 대해서 f(xi, yj, zl, wk)를 생성해 놓는 것이 아니라, xi, yj, zl, wk 중 필요한 어느 2 이상에 대해서 집계 데이터를 생성해 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사비 구성 항목은 사실상 필수적인 것이므로, 공사비 구성 항목인 zl은 가로축에 고정적으로 포함하고, 세로축에는 공종이나 부위별 공종이 나오는 것을 각 세부 공간별,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별로 상세한 공사비 내역 또는 간략 공사비 내역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은 공종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 정보에 부위 정보가 대응되어 있을 때에는 부위 단위의 내역 정보가 포함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8에는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출력물의 다양한 예시가 제시되어 있다. 도 21은 모든 공간에 대하여 집계한 공종별 집계 데이터 및 공종 분류 체계에 따른 소계가 포함된 본 발명의 집계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준다. 도 22는 세부 공간인 골조에 대한 공종별 집계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준다. 도 23은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 집계 데이터 및 공종 분류 체계에 따른 상위 공종별 소계 정보가 포함된 집계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준다. 도 24는 간접 공사비 정보가 정확하게 산출되는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5는 부위별(골조, 벽, 바닥, 천정)로의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가 정확하게 산출되어 있는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5과 같은 결과물은 부위를 축으로 하여 각 부위별로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집계 정보(집계되는 축은 공간, 공종이 된다.)로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계 정보는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생성할 수 있지만,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모든 축을 대상으로 하여 집계 데이터를 생성해 놓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이 규칙(각 부위별로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공간과 공종을 집계하라는 명령 내지는 규칙)을 참조하여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도서관 전체에 대한 부위별로 소계 정보가 생성되어 있으며,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총계 정보가 정확하게 생성되어, 부위별 및 부위별로 해당되는 공종별로 전체 공사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출력물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7은 세부 공간 골조에 대하여, 도 28은 세부 공간인 1층 어린이 열람실에 대하여, 각 세부 공간별로 해당되는 부위별로의 소계 정보가 생성되어 있으며,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총계 정보가 정확하게 생성되어, 세부 공간별로 해당되는 부위의 종류, 해당되는 부위별 및 부위별로 해당되는 공종별로 전체 공사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생성하는 출력물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물론, 상기 도 17 내지 도 28에 나와 있는 정보는 본 발명 사상을 시각적으로 보여 주기 위한 것으로, 실제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이와는 다른 형식(이는 데이터 저장 방식의 문제로, 이렇게 저장되는 데이터로, 도 17 내지 도 28에 있는 정보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으로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 정보인 결과물의 종류, 결과물에 포함될 정보에 대하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컴퓨터(2000)로부터 1층 어린이 열람실에 대하여 어린이 열람실을 구성하는 부위별로 각 부위별에 해당 공종별의 전체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은 도 28과 같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2000)에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은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컴퓨터(2000)에,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여, 1층 중에서도 어린이 열람실을 선택 받으며, 출력물의 내용 정보로서, 부위별+해당 공종별 공사비 정보를 선택 받으며, 출력되는 내용의 범위로 직접비에 대해서는 직접비 구성 항목별로의 공사비 정보를, 간접비에 대해서는 간접비 총계 정보를 출력하도록 선택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은 상기 f(x,y,z,w) 중에서, x1으로 도서관 1층 어린이 열람실을, w로 상기 수량 산출 정보 상에서 포함된 부위 정보인 천장, 벽, 바닥, 골조와 각 부위별 대응 공종 정보("부위:공종:세부 공간"의 대응 정보를 참조함)에 한정하여 이들에 대응되는 f(어린이 열람실,yj,zl,wk)를 추출한다. wk는 천장, 벽, 바닥이며, yj는 wk에 관련된 것만 추출된다. 추출된 f(어린이 열람실,yj,zl,wk)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출력물의 형식에 맞추어(예를 들면, 직접비에 대해서는 직접비 구성 항목별로의 공사비 정보를, 간접비에 대해서는 간접비 총계 정보를 출력을 반영하여 zl을 가공 처리하는 것, 천장, 벽, 바닥 부위별로 대응되는 공종별로 소계 정보를 생성 처리하는 것 등을 포함하여) 도 28과 같은 내역 정보 출력물을 생성한다.
이어,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기성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생성하는 기성 정보를 크게 2가지 계열이 있다. 하나는 시공자 측이 공사 대금의 청구 등을 위하여 생성하는 기성 신청 정보이며, 다른 하나는 발주자 측에서 공사 대금의 지급 등을 위하여 생성하는 기성 사정 정보이다. 기성 신청과 기성 사정은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각 회마다 기성 신청 정보와 기성 사정 정보고 생성될 필요가 있다. 특정한 회수를 기준으로 그 특정 회수의 이전을 전회라 하고, 특정 회수를 금회라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이용하는 공사 대금 신청 및 사정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도 30에서 알 수 있듯이, 시공자 측은 계약 내역서 데이터를 참조하여 공정 현황의 완료 여부를 체크하고, 금회 완료된 공정에 대하여 기성 청구를 하며, 발주자 측은 기성 검사 및 사정을 수행한다. 기성 청구와 사정에 따라 대금 청구 및 지급 또는 계약 변경이 일어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이용하여, 각 회차/차수별,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이 기성 공사비 산출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이다. 건설 공사에 대한 계약이 성립하면, 계약 금액, 계약 공사 내용(공사 수량, 공사 단가, 공간)에 대한 정보와 확정되게 된다. 공사가 개시되면 적어도 1회 이상의 회차별로 기성 공사에 대한 기성 신청과 기성 사정이 발생하게 되며, 각 회차별로 누계 기성과 미성 내역/금액이 관리될 수 있게 된다. 공사 내용에 대한 변경이 있는 경우, 미성 내역/금액이 변동될 수도 있다. 한편, 공기 연장으로 인한 추가 경비 등으로 간접비가 변경될 수 있으며, ESC 지수 조정이나 물가 연동에 따라 단가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설계 변경이나 투입 자재 정산 등을 통해 수량이 변경될 수도 있다. 변경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변경된 간접비, 단가, 공사 수량 등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정보 처리에 반영될 수도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활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고(S51),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S52),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S53),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S54).
이어, 도 33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활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1) 금회 기성 신청의 대상이 되는 공종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을 확정하는 단계, 2) 확정된 공종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에 대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통하여 금회 기성 신청을 위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금회 기설 신청의 대상이 되는 공종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을 확정하는 방법은 시공자 측 담당자가 공종별-세부 공간별로 특정한 공종의 수행 여부(시공, 부분 시공, 미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 수행량(공사 수량으로 정수가 될 수도 있지만, 100% 이하의 %나 100% 이상의 %가 될 수도 있다.) 정보를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를 통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부위 정보가 포함된 기성 신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공사 수량을 확정할 때, 공간 분류의 최하위 단위인 부위 정보를 활용하여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로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할 수도 있다.
도 33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S110),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다(S111).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를 사용하는 시공자 측 담당자는 세부 공간별로 공사의 진척을 점검할 수 있는데,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이러한 점검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특정한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으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DB부(1400)를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 정보를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에 전송한다.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 정보는 공간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 정보를 처리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공종 정보를 미사정 공종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사정 공종 정보란 전회 사정 시에 청구되지 않은 공종을 말하며, 금회에 수행된 공종이거나, 적어도 전회 사정 시에 반영되지 않은 공종을 포함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미사정 공종을 전송(S113)하게 되면,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다(S114). 물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사용자는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를 통하여 상기 세부 공간과 관련된 상기 공종에 대한 사진, 동영상 등을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사진, 동영상 등을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사진, 동영상 등은 이러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자의 컴퓨터(단말기)에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사진이나 상기 동영상 등은 금회 기성 신청에 대한 증빙, 사실 확인 또는 증거 자료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은 기성 신청을 사정하는 발주자 측에서도 특정한 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의 진척 상황(완료 여부, 공정율/진척율/완료율, 공사 수량 등)을 확인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활용하는 경우, 기성 사정을 수행하는 발주자 측이 직접 공사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거나, 방문하는 회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 사진 정보가 기성 신청 회수 또는 월/분기 등의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축적되면 상기 세부 공간별-공종별로 공사의 진척 상황을 파노라마처럼 확인해 볼 수 있게 되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사정 공종에 대하여 금회 기성 신청의 대상에 포함시킬 지의 여부, 공정율(공사 수량에 대응됨)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확인된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저장하고(S115),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116).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상세한 방법은 후술한다. 도 33의 방법은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4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으로,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공종에 대한 기성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토대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S121),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S122), 시공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공종을 전송하고(S123),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공종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기성 확인 정보를 입수 받고(S124),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추출하고(S125),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저장하며(S126),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127).
도 33의 방법과 도 34의 방법은 차이는 도 33은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에서 사실상 금회 기성 신청 정보가 결정되는 반면, 도 33에서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 금회 기성 신청 정보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물론, 실제 시스템의 구현에서는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 사용자의 오류 가능성과 데이터 처리상의 무결성/점검 등의 이유로 이중 체크를 할 수도 있어, 도 33의 방법을 기본으로 하되 도 34의 방법이 병행하여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원칙적으로 상시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에 상기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미사정 공종을 전송하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사용자는 미사정 공종에 대해 공사 수행 여부나 수량 또는 완료율에 대해 입력하고,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대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입력된 정보가 금회 기성 신청 정보로서 타당한 것인지를 점검할 수도 있다.
도 35 내지 도 36에 개시된 방법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여 본 발명 사상을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5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도 33에 대응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S131),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으며(S132), 시공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부위 및 부위별 미사정 공종을 전송하고(S133),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 미사정 공종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를 입수 받고(S134), 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확인된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세부 공간에 대응하여 저장하며(S135),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136).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 상기 세부 공간과 관련된 부위 및 부위별 미사정 공종을 전송한다.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사용자는 부위별 미사정 공종에 대하여 공사 현장에서 부위별로 대응되는 공종에 대하여 공사 수행 여부나 수량 또는 완료율에 대해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 미사정 공종에 대한 공사 수행 여부, 수량, 완료율 등의 정보를 금회 기성 신청 확인 정보로 입수 받는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확인된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세부 공간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도 36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기성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토대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34의 방법에 대응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S141),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S142), 시공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부위 및 부위별 공종을 전송하고(S143),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공종별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기성 확인 정보를 입수 받고(S144),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추출하고(S145),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저장하고(S146),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147).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으면, 상기 DB부(1400)를 검색하여, 상기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부위 및 부위별 공종을 추출하고,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 상기 세부 공간과 관련되어 추출된 상기 부위 및 부위별 공종에 관한 정보를 전한다.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사용자는 부위별 공종에 대하여 공사 현장에서 부위별로 대응되는 공종에 대하여 공사 수행 여부나 수량 또는 완료율에 대해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시공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공종별에 대한 공사 수행 여부, 수량, 완료율 등의 정보를 기성 확인 정보로 입수 받는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입수 받은 기성 확인 정보 및 전회 기성 사정 정보를 사용하여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저장한다. 이어, 상기 저장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를 사용하는 화면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는 PDA, 스마트폰 또는 임의의 휴대 가능하며,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 특정한 세부 공간에 대한 (부위별로) 공종에 대한 시공자 측의 금회 기성 신청에 포함시킬 공종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도 37의 (주황색으로 된) 2개의 동그라미 친 부분으로 알 수 있듯이, 금회 청구하는 2층 열람실 2의 벽 부위의 1.0B 벽돌쌓기에 대해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를 사용하는 자가 완료로 표시하면, 상기 세부 공간-부위의 상기 1.0B 벽돌쌓기 공종은 공사 수량 100으로 기성 신청에 포함되게 된다. 도 37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화면에는 공간, 부위, 검사 내용, 회차(1회, 금회 등)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으로부터 전송되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가 사용자는 검사 내용에 표기를 하게 되고, 관련 정보로 사진 등을 찍어서(카메라가 달린 스마트폰 등은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예가 된다.),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가 검사 내용과 함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시공자 측의 공사에 대한 대금의 신청은 발주자 측의 공사에 대한 사정을 전제로 한다. 발주자 측은 신청한 대로 공사 대금을 지불할 수도 있지만, 공사 대금의 신청이 제대로 정확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은 발주자 측이 시공 현장에서 세부 공간별로 신청한 공종에 대응되는 공사의 수행 여부, 수량, 완료율 등을 점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별로 상기 시공자 측이 생성하는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전달하고, 금회 기성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세부 공간별로 신청한 공종에 대응되는 공사의 수행 여부, 수량, 완료율 등을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를 상기 건설 기성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금회 기성 사정 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공자 측이 생성하는 금회 기성 신청 정보에는 세부 공간별로 신청한 공종에 대응되는 공사의 수행 여부, 수량, 완료율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S211),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별 시공자 측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발주자 측 단말기로 전송하고(S212),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에 대한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S213),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생성(구성)하고(S214),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215).
도 39에는 도 38과는 달리 부위 정보를 포함하여 정보 처리하는 본 발명 사상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S221), 세부 공간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시공자 측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발주자 측 단말기로 전송하고(S222),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에 대한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S223),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생성(구성)하고(S224),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225).
도 38과 도 39는 기성 사정을 수행할 때, 시공자 측에서 생성하는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법은 비록 시공자 측에서 실제 공사량보다 과소하게 기성 신청을 했더라도, 신청된 범위 내에서만 사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방법이 된다. 물론,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의 사용자는 실제 공사 현장에서 실제 공사 수행 실적이 기성 신청된 공사 정보를 초과할 때, 초과된 부분이 대한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초과된 부분의 금회 기성 사정 정보는 세부 공간별로 초과된 공종 수행 여부의 판단, 초과된 수량의 판단, 초과된 완료율의 판단이 있을 수 있으며, 각 부위별로도 초과된 공종 수행 여부의 판단, 초과된 수량의 판단, 초과된 완료율의 판단이 있을 수 있다. 초과된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로부터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금회 기성 사정 정보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초과된 기성 사정 정보를 사용하여 최종적인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할 것인지, 아니면 금회 기성 신청 정보의 범위 내에서 최종적인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할 것인지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운영자 또는 발주자 측의 금회 기성 사정 정책에 따라 선택적일 수 있다.
상기 도 38과 도 39에 개시된 방법은 1개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물론, 도 10 내지 도 11에 나와 있듯이 상기 시공자 측과 상기 발주자 측이 다른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시공자 측이 사용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 상기 발주자 측이 사용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으로 상기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라면 도 38과 도 39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물론, 상기 시공자 측과 상기 발주자 측이 다른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의 호환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보장하기 위하여, (부위를 포함한) 공간 분류 체계,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저장 체계 등 각종 데이터 구조나 체계가 기 설정된 약속이나 표준을 따르거나, 일치 또는 호환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회차별 차액 공사 수량은 통상적으로 금회 사정 공사 수량이 금회 신청 공사 수량보다 적은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특별한 경우에는 공종에 따라서 신청 공사 수량보다 사정 공사 수량이 더 많을 수도 있을 것이다. 후자의 특별한 경우에는 시공자 측이 보수적으로 판단하여 공사 완료된 수량을 신청했으나, 발주자 측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공사가 신청된 수량보다 더 많이 수행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이다. (이런 경우는 다수 일어날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경우로, 기성 신청 시점보다 기성 사정 시점이 뒤가 되는 경우, 기성 신청 시점보다 기성 사정 시점에 공사가 더 많이 진척되어 있을 수 있다.) 발주자 측이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를 통해서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접속하고, 특정한 세부 공간을 선택하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에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 또는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부위별) 공종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를 사용하는 발주자 측은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를 통해,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82과 같은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이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과 다를 경우, 상기 발주자 측 시스템(4000) 또는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로부터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이 상기 시공자 측 시스템(3000)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40과 도 41은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82과 같이 금회 사정 공사 수량 정보가 구성되는 경우, 시공자 측은 3회 기성 신청을 할 때, 상기 2회 기성 사정 결과를 반영하여 기성 신청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시공자 측은 2회 기성 사정에서 인정받지 못한 공사 수량 중 3회차 기성 신청 시에 시공으로 인정받기를 원하는 공사 수량에 포함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발주자 측도 시공된 공사에 대해서 공사 대금을 정확하게 지급하는 데는 시공자 측의 보다 정확한 기성 신청이 있어야 하므로, 발주자 측이 시공자 측에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0은 전달되는 금회 기성 사정 정보에 부위 정보가 없는 경우이며, 도 41은 부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40에서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발주자 측 시스템(4000) 또는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별 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S231),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고려하여 공종별-세부 공간별 차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구성하고(S232), 공종별-세부 공간별 차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233).
한편, 도 41에서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발주자 측 시스템(4000) 또는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S241),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고려하여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차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구성하고(S242),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차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243).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을 포함한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2는 1회 기성 청구에 포함되는 세부 공간별 공사 내역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42에서는 세부 공간의 일종인 골조(공통)에 대하여 conc인력비빔타설 공종, 합판 거푸집 공종, 철근 현장 가공 및 조립 공종 등의 3가지 공종이 제1회 기성 청구와 관련되어 있고, 수량은 각각 100임을 알 수 있다. 상기 conc인력비빔타설 공종, 합판 거푸집 공종, 철근 현장 가공 및 조립 공종에 대한 일위 대가(단가 정보) 및 요율 정보는 도 15 및 도 16에 개시된 바와 같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로부터 접속을 받은 다음,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에 상기 도서관에 대한 세부 공간(골조(공통), 1층 어린이 열람실 등)을 제시하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로부터 골조(공통)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경우, 상기 골조(공통)에 대한 공종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처리하는 방법은 도 42에서와 같이 부위 정보와 함께 관련된 공종을 제공하는 방법(도 42에서와 같이 "골조"라는 부위 정보를 통하여 conc인력비빔타설 공종, 합판 거푸집 공종, 철근 현장 가공 및 조립 공종이 골조(공통)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3과 같이 그 세부 공간과 관련된 공종만 제공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43에서는 선택된 세부 공간인 골조(공통)과 관련된 공종만이 추출되어 제공되고,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는 도 43과 같이 추출된 관련 공종에 대하여 공사 수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43에서는 도 42과는 달리 부위 정보가 없을 수도 있지만, 도 42과 같이 부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부위 정보가 포함되어 처리되는 경우라면, 후자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는 도 42나 도 43과 같은 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 또는 제3의 시스템(5000)(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3의 시스템(5000)(미도시)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에서 입수한 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상기 제3의 시스템(5000)은 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 받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에게 공사 수량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광의적으로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일례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도 42 또는 상기 도 43과 같은 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고,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하여,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 구성(S23)하고,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공종별 수량 산출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 도 44는 세부 공간 골조(공통)에 대한 CONC인력비빔타설이라는 공종에 대하여 생성된 세부공간별-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확장 단가 정보는 공사 수량(여기서는 100)이 고려된 확장 단가 정보이다. 상기 확장 단가 정보는 도 45와 같이 공종별로 공사 수량을 단위 수량 1로 처리하여, 상기 단위 수량을 기준으로 한 확장 단가 정보를 먼저 구성한 다음, 상기 확장 단가 정보에 수량 정보를 곱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도 45에 나온 수치 정보에 공사 수량인 100을 곱하면 도 44에서 나온 결과와 동등해 진다. (물론, 표시상에서 맨 뒤의 수치값은 달라 보일 수도 있는데, 이는 표시상의 반올림 등으로 생기는 현상일 뿐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도 44 내지 도 45의 정보로 도 46과 같은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46에서 예시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세부 공간인 골조(공통)에 대하여, 상기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공종인 conc인력비빔타설 공종, 합판 거푸집 공종, 철근 현장 가공 및 조립 공종 등의 3가지 공종에 대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는 직접비 소계와 간접비 소계 및 총원가 등과 같은 중간 집계 데이터도 함께 생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은 부위 정보의 포함과 불 포함하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금회 기성 신청 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7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금회 기성 신청 시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금회 기성 신청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S411),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금회 기성 신청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412),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S413).
도 48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금회 기성 신청 시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금회 기성 신청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S421),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금회 기성 신청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422), 확장 단가 정보,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S423).
이어, 본 발명의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금회 기성 신청 정보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과 부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49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의 기성 원가 내역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기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511),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입수 되거나 설정된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512), 조회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513),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514).
도 50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의 기성 원가 내역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선택 정보를 포함한 기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521), 부위 선택 정보 및 출력 선택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522), 조회된 금회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부위 선택 정보 및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523),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부위 정보가 포함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524).
부위에 대한 선택은 BIM 등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선택된 부위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경우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정보 처리 방법은 도 112에 예시되어 있다. 도 112에 예시되어 있으며, 후술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도 51 내지 도 52과 같은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1에서와 같이 금회 기성 신청 정보는 규격, 단위나 수량과 같은 정보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 합계 정보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52과 같이 간략한 형태의 금회 기성 신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회 금회 기성 청구가 발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1회 금회 기성 청구가 있는 경우, 상기 청구에 대하여 제1회 금회 기성 사정이 발생하게 된다. 도 53을 참조하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된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고(S61),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여(S62),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S63),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S64).
이어, 도 54 내지 도 57과 도 11을 참조하면서, 발주자 측이 독자적으로 기성 사정을 수행하고, 금회 기성 사정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술한다.
이어, 도 54 내지 도 5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활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1) 금회 기성 사정의 대상이 되는 공종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을 확정하는 단계, 2) 확정된 공종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에 대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통하여 금회 기성 사정을 위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금회 기성 사정의 대상이 되는 공종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을 확정하는 방법은 발주자 측 담당자가 공종별-세부 공간별로 특정한 공종의 수행 여부(시공, 부분 시공, 미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 수행량(공사 수량으로 정수가 될 수도 있지만, 100% 이하의 %나 100% 이상의 %가 될 수도 있다.) 정보를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를 통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부위 정보가 포함된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공사 수량을 확정할 때, 공간 분류의 최하위 단위인 부위 정보를 활용하여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로 공사 수량 정보를 확정할 수도 있다.
도 54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S311),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S312), 발주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미사정 공종을 전송하고(S313),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S314), 금회 기성 사정된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저장하고(S315),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316).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다.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를 사용하는 발주자 측 담당자는 세부 공간별로 공사의 진척을 점검할 수 있는데,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이러한 점검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특정한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으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DB부(1400)를 검색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 정보를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에 전송한다. 상기 세부 공간에 대한 공종 정보는 공간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 정보를 처리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공종 정보를 미사정 공종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사정 공종 정보란 전회 사정 시에 처리되지 않은 공종을 말하며, 금회에 수행된 공종이거나, 적어도 전회 사정 시에 반영되지 않은 공종을 포함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발주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미사정 공종을 전송하게 되면,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입수 받는다.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의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사정 공종에 대하여 금회 기성 사정의 대상에 포함시킬 지의 여부, 공정율(공사 수량에 대응됨)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생성한다. 물론, 공종에 대하여 금회 기성 사정의 대상에 포함시킬 지의 여부, 공정율, 수량 등은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이 다르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나, 양자가 충돌할 경우, 협의에 의하든가, 아니면 공사 대금을 지급하는 것은 발주자 측이므로, 발주자 측의 판단이 우선시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확인된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저장하고,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상세한 방법은 후술한다. 도 54의 방법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5 본 발명의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으로,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공종에 대한 기성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토대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S321),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S322), 발주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공종을 전송하고(S323),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공종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S324), 기성 확인 정보와 전회 기성 사정 정보 등을 조회하여,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추출)하고(S325),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저장하고(S326),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327).
도 54의 방법과 도 55의 방법은 차이는 도 54는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에서 사실상 금회 기성 사정 정보가 결정되는 반면, 도 54에서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 금회 기성 사정 정보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물론, 실제 시스템의 구현에서는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 사용자의 오류 가능성과 데이터 처리상의 무결성/점검 등의 이유로 이중 체크를 할 수도 있어, 도 54의 방법을 기본으로 하되 도 55의 방법이 병행하여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원칙적으로 상시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에 상기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미사정 공종을 전송하고,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의 사용자는 미사정 공종에 대해 공사 수행 여부나 수량 또는 완료율에 대해 입력하고,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대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입력된 정보가 금회 기성 사정 정보로서 타당한 것인지를 점검할 수도 있다.
도 56 내지 도 57에 개시된 방법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여 본 발명 사상을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6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토대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도 54에 대응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S331),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S332), 발주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부위 및 부위별 미사정 공종을 전송하고(S333),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 미사정 공종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S334), 금회 기성 사정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저장하고(S335),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336).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의 사용자는 부위별 미사정 공종에 대하여 공사 현장에서 부위별로 대응되는 공종에 대하여 공사 수행 여부나 수량 또는 완료율에 대해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 미사정 공종에 대한 공사 수행 여부, 수량, 완료율 등의 정보를 금회 기성 사정 확인 정보로 입수 받는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확인된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세부 공간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도 57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 생성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미사정 공종에 대한 기성 확인 정보를 전달받고,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토대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55의 방법에 대응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S341),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S342), 발주자 측 단말기로 세부 공간과 관련된 부위 및 부위별 공종을 전송하고(S343),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공종별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한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 받고(S344),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추출)하고(S345),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저장하고(S346),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347).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접속 받고, 상기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으면, 상기 DB부(1400)를 검색하여, 상기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부위 및 부위별 공종을 추출하고, 상기 발주자 측 단말기로 상기 세부 공간과 관련되어 추출된 상기 부위 및 부위별 공종에 관한 정보를 전한다.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의 사용자는 부위별 공종에 대하여 공사 현장에서 부위별로 대응되는 공종에 대하여 공사 수행 여부나 수량 또는 완료율에 대해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발주자 측 단말기로부터 부위별-공종별에 대한 공사 수행 여부, 수량, 완료율 등의 정보를 기성 확인 정보로 입수 받는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입수 받은 기성 확인 정보 및 전회 기성 사정 정보를 사용하여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생성하고,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저장한다. 이어, 상기 저장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를 사용하는 화면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는 PDA, 스마트폰 또는 임의의 휴대 가능하며,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 특정한 세부 공간에 대한 (부위별로) 공종에 대한 시공자 측의 금회 기성 사정에 포함시킬 공종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도 58의 (주황색으로 된) 2개의 동그라미 친 부분으로 알 수 있듯이, 금회 사정하는 2층 열람실 2의 천정 부위의 경량철골천정틀에 대해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를 사용하는 자가 완료율 50%로 표시하면, 상기 세부 공간-부위의 상기 경량철골천정틀 공종은 공사 수량 50(100*50%)으로 기성 사정에 포함되게 된다. 도 58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의 화면에는 공간, 부위, 검사 내용, 회차(1회, 금회 등)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으로부터 전송되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가 사용자는 검사 내용에 표기를 하게 되고, 관련 정보로 사진 등을 찍어서(카메라가 달린 스마트폰 등은 상기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100)의 예가 된다.), 상기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가 검사 내용과 함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사진 등은 증거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은 부위 정보의 포함과 불 포함하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금회 기성 사정 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금회 기성 사정 시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금회 기성 생성 시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과 동등할 수 있다.
도 59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금회 기성 사정 시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금회 기성 사정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S431),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금회 기성 사정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432),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S433).
도 60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금회 기성 사정 시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금회 기성 사정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S441),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금회 기성 사정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442), 확장 단가 정보,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S443).
시공자 측의 금회 기성 신청 정보가 있는 경우, 발주자 측은 금회 기성 신청에 대하여, 신청한 대로 금회 기성 사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신청한 대로 승인하지 않고 변경을 가한 금회 기성 사정을 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1회 금회 기성 사정은 제1회 금회 기성 신청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이어, 시공자 측에서 제2회 금회 기성 청구가 발생하고, 발주자 측의 금회 기성 신청에 대해 변경을 가한 금회 기성 사정을 하는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1은 2회차의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부위별 세부 공간별 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이다. 도 6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층 어린이 열람실과 1층 열람실 및 2층 열람실에 다수의 공종에서 공사 수량 정보가 대응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공종에는 부위 정보가 대응되어 있기 때문에, 부위별 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도 산출될 수 있으며, 부위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 정보도 산출될 수 있으며, 세부 공간별-공종별-부위별 공사 수량 정보도 아울러 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도 61에 알 수 있듯이, 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부위는 벽, 천정, 바닥 등 3가지 부위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의 상기 데이터 입수부(1110)는 도 61과 같은 시공자 측의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된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도 61과 같은 공사 수량 정보, 단가 정보(제1회 금회 기성 신청 때의 것과 변동이 없다면 저장된 제1회 금회 기성 신청 때의 단가 정보를 사용하며, 변동이 있다면 제2회 금회 기성 신청에 맞추어 변동된 단가 정보를 사용한다.) 및 원가 요율 정보(제1회 금회 기성 신청 때의 것과 변동이 없다면 저장된 제1회 금회 기성 신청 때의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하며, 변동이 있다면 제2회 금회 기성 신청에 맞추어 변동된 원가 요율 정보를 사용한다.)를 활용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상기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 도 62 내지 도 77은 생성된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의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62는 1층 어린이 열람실의 벽 부위에 대한 세부 공간별-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제2회 금회 기성 신청의 관점에서 1층 어린이 열람실의 벽 부위에 대해서는 1.0B벽돌쌓기 공종, 벽, MDF붙임 공종, 수성페인트,로울러칠 공종, 및 인테리어필름 공종 등의 4개의 공종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2에서 알 수 있듯이 벽 부위에 대한 모든 공사비에 대한 소계 정보가 있어,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의 벽 부위만에 대한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63은 1층 어린이 열람실의 바닥 부위에 대한 세부 공간별-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4는 1층 어린이 열람실의 천정 부위에 대한 세부 공간별-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5는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별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65에서는 소계 정보가 있는데, 상기 소계 정보는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 해당된다. 도 66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별 부위별 공사비 정보를 소계 및 전체 합계 정보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도 67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1층 열람실 1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별 부위별 공사비 정보를 소계 및 전체 합계 정보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도 68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2층 열람실2라는 세부 공간에 대한 모든 공종별 부위별 공사비 정보를 소계 및 전체 합계 정보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도 69는 제2회 금회 기성 신청과 관련하여, 도서관 전체에 대하여 모든 공종별 부위별 공사비 정보를 소계 및 전체 합계 정보와 함께 보여 주고 있다.
도 70 내지 도 73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생성하는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 중 공종별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70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와 관련하여,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별 공종별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예를 들어 수장 공사라는 공종에는 세부 공종으로 디럭스타일붙이기 공종, 인테리어필름 공종, 및 암면흡음텍스 공종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70에서 알 수 있듯이 수장 공사라는 상위 공종 대한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별 공사비의 소계 정보가 함께 생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70과 같이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상세하게 출력하여 줄 수도 있지만, 도 71이나 도 72와 같이 직접 공사비 합계 정보 및/또는 간접 공사비 합계 정보만을 출력하여 제공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1은 열람실 1이라는 세부 공간에 대하여 직접 공사비 합계 및 간접 공사비 합계 정보만을 출력하는 예시를 보여 주고 있으며, 도 72는 구성 항목이 많은 간접 공사비에 대해서는 간접 공사비 합계 정보만을 출력하는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3은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와 관련하여 공종별 전체 공사비 신청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3에서 알 수 있듯이, 수장 공사 등과 같은 상위 공종별 소계 정보가 아울러 생성되며, 특정한 상위 공종을 구성하는 하위 공종(디럭스타일붙이기 공종, 인테리어필름 공종, 및 암면흡음텍스 공종)에 대한 공사비 신청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제2회 금회 기성 신청에 대하여 발주자 측은 시공자 측의 금회 기성 신청의 근거가 되는 공사 수행 실적에 대하여 시공자 측과는 다른 평가를 내릴 수 있다. 도 74와 같이 발주자 측은 2층 열람실2에 대하여, 경량철골천정틀 공종, 디럭스타일붙이기 공종, 수성페인트,로울러칠 공종, 인테리어필름 공종 및 암면흡음텍스 공종에 대하여 시공자 측이 신청한 공사 수량 100이 아닌 50으로 사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5개의 공종은 천정이라는 부위와 관련된 공종이 2개, 벽과 관련된 공종이 2개, 바닥과 관련된 공종이 1개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주자 측은 자신이 사정한 내용을 토대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발주자 측은 각 세부 공간별로, 또는 각 세부 공간의 각 부위별로 공종별로 공사의 수량, 공사의 완료/완결 여부, 공사의 진척도에 대해 사정할 수 있다. 상기 사정은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220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74와 같은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도 61과 같은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로 처리했던 도 62 내지 도 73과 같은 방식으로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5 내지 도 78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생성하는 예시적인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5는 2층 열람실2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로, 시공자 측의 도 68에 나타난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 대응되는 발주자 측의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5과 도 68에 대한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도 75에 나타난 공사비는 도 68에 나타난 공사비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6은 시공자 측의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 대한 도서관 전체에 대한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인 도 69에 대응되는 발주자 측의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도 69와는 달리, 도서관 2층의 열람실 2라는 세부 공간의 공사 수량 정보에서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이 다르게 되므로, 도 69의 정보와 도 76의 정보는 차이가 나게 된다. 도 77은 열람실 2에 대한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의 일례로 공종별(상위 공종-하위 공종별)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8은 도서관 전체에 대한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의 일례로 공종별(상위 공종-하위 공종별) 제2회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7은 시공자 측의 제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에 대한 도 72에 대응되며, 도 78은 도 73에 각각 대응된다.
도 79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의 기성 원가 내역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기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531),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입수 되거나 설정된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532), 조회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533),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534).
도 80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의 기성 원가 내역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선택 정보를 포함한 기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541), 부위 선택 정보 및 출력 선택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사정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542), 조회된 금회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부위 선택 정보 및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543),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부위 정보가 포함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544).
한편, 부위별 또는 세부 공간별로 관련되어 있는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가 사전에 생성된 것이 있거나, 공유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구성)하는 단계는 생략되거나, 이미 생성된 확장 단가 정보를 읽어 오거나 전송 받는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특히, 하나의 건설 공사에 대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상기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측이 생성해 놓은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는 다른 측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시공자 측의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과 발주자 측의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확장 단가 정보는 공종별로 단위 수량을 기준으로 생성해 놓고, 확장 단가 정보에 신청 공사 수량 또는 사정 공사 수량을 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후술하는 금회 기성 미성 공사비 정보의 처리나,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 처리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어, 미성 공사비 정보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미성 공사란 완료 되지 않은 공사를 말한다. 완료의 기준은 1) 발주자 측에서 완료를 승인하지 않은 공사가 그 한 예가 될 수 있다. 도 82에서 알 수 있듯이, 2회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에서 발주자 측에서 승인하지 않은 공사(공사 수량 중 50으로 표기된 것들)와 시공자 측에서 기성 신청을 하지 않은 공사(공사 수량 중 100으로 표기된 것들)를 합친 것도 미성 공사량의 일 측정 기준일 수 있다.
도 81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사정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미성 사정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고(S71), 금회 기준 미성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S72),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S73),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미성 신청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S74).
도 82과 같은 미성 공사 수량이 있을 때,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82과 같은 미성 공사 수량을 특정/입력 받을 수 있다. 미성 공사 수량의 특정 또는 입력은 전체 공사 수량 중에서 금회까지 기성 사정된 공사 수량의 총량을 제외한 공사 수량으로 특정 또는 입력되거나(차집합 방식 = 전체 계약된 공사 수량 -기성 사정된 공사 수량의 합계), 미성 공사 수량을 도 82 등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 받은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미성 공사에 대한 세부 공간별-공종별 또는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비의 계산은 시공자 측뿐만 아니라 발주자 측에서도 중요한 일일 수 있다. 상기 미성 공사에 대한 공사비 계산은 각 회차별로 기성 사정이 완료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82과 같은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토대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도 61과 같은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로 처리했던 도 62 내지 도 73과 같은 방식으로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3 내지 도 88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생성하는 예시적인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3은 2층 열람실2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도 84는 2층 서고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도 85는 2층 화장실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으며, 도 86은 전체 도서관 공사를 기준으로 한 전체 미성 공사에 대한 부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보여 주고 있다. 도 83 내지도 86에서는 부위별 미성 공사비 소계 정보가 함께 계산되어 있으며, 전체 미성 공사비 합계 정보가 함께 처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87과 같은 층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해 낼 수 있으며, 도 88과 같은 전체 미성 공사비 내역(공사 원가 계산서)를 생성해 낼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89 내지 도 92과 같은 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도 89는 2층 열람실 2에 대한 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이며, 도 90은 2층 서고에 대한 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이며, 도 91은 2층 화장실에 대한 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이며, 도 92는 전체 미성 공사에 대한 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3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금회 사정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공사 수량에 대한 금회 기준 전체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기준으로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고,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금회 사정 기준 금회 미성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생성하고(S611), 금회 미성 공사 수량과 관련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S612),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미성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S613), 금회 미성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미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614), 세부 공간 선택 정보 및 기타 출력 선택 정보를 활용하여, 금회 미성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615), 조회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616),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617).
도 94는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금회 사정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공사 수량에 대한 금회 기준 전체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기준으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고,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선택된 부위에 대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금회 사정 기준 금회 미성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생성하고(S621), 금회 미성 공사 수량과 관련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S622), 확장 단가 정보,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미성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S623), 금회 미성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미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624), 조회된 금회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부위 선택 정보 및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625),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부위 정보가 포함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626).
도 95는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금회 사정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된 세부 공간 만에 관련된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기준으로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고,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금회 사정 기준 특정한 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631), 선택된 세부 공간에 대한 금회 사정 기준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생성하고(S632), 선택된 세부 공간과 관련된 금회 미성 공사 수량과 관련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S633), 확장 단가 정보, 선택된 세부 공간과 관련된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미성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S634), 금회 미성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미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635), 세부 공간 선택 정보 및 기타 출력 선택 정보를 활용하여, 금회 미성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636), 조회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637),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638).
도 96은 본 발명의 원내의 생성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으로, 금회 사정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된 부위에 대한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기준으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생성해 놓고,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한 다음, 선택된 부위에 대한 부위별-세부 공간별-공종별 미성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금회 사정 기준 특정한 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641), 선택된 부위에 대한 금회 사정 기준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공사 수량 정보를 생성하고(S642), 선택된 부위와 관련된 금회 미성 공사 수량과 관련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고(S643), 확장 단가 정보, 선택된 부위와 관련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미성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미성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S644), 금회 미성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미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645), 부위 선택 정보 및 기타 출력 선택 정보를 활용하여, 금회 미성과 관련되어 생성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646), 조회된 금회 미성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647),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648).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금회 기성 신청과 금회 기성 사정 간에 차이가 날 경우, 차이가 나는 공사에만 한정하여 도 62 내지 도 73과 같은 차액 공사비 정보로서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액 공사비 정보란 금회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와 금회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와의 차이가 나는 공사비 정보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차액 공사비 정보로서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7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공종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 정보를 입수하고(S81), 금회 기성 차이 공사 수량 정보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S82),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S83),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금회 기성 차이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S84).
도 82에서 공사 수량 정보가 50으로 표기된 것은 금회 기성 신청은 공사 수량 100으로 신청했는데, 금회 기성 사정은 50으로만 사정해 주어서, 미성으로 처리된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의 공사 수량, 공사 진척율, 완성/미완성의 판단 등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 회차별 차액 공사 수량 정보이다.
도 98 내지 도 99는 회차별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와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에 대한 개념적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99에서 알 수 있듯이, 1회차에서는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와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가 일치했지만, 2회차에서는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는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보다 특정 세부 공간에 대하여 특정 공종(부위별 정보 포함)별로 차이가 나는 특징이 있다. 회차별로 차이가 나는 공사 수량 정보를 금회 기성 차이 정보라 명명한다. 도 82에서 공사 수량 정보가 50으로 표기된 것이 금회 기성 차이 정보가 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금회 기성 차이 정보를 입수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82의 공사 수량 정보가 50으로 표기된 공종만으로 도 62 내지 도 73과 같은 기 설정된 금회 차액 공사비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금회 차액 공사비 정보는 시공자 측에서 어느 세부 공간의 어느 공종에서 문제(시공자 측과 발주자 측의 인식의 차이 등)이 발생했는지, 어느 세부 공간의 어느 부위의 어느 공종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되어, 공사 진척 시의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하거나 예방할 수 있으며, 차회 기성 신청 시에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금회 차액 공사비 정보를 통하여 상기 시공자 측은 어느 세부 공간의, 어느 공종의 또는 어느 부위에서 수령하지 못한 공사비(금회 사정되지 않은 공사비는 금회에 지급되지 않으며, 금회 신청 시 수령 예상하는 공사비와 실제 지급 받는 공사비가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시공자 측은 자금/재무 흐름에서 예상치 못하는 문제/곤경이 발생할 수도 있다.)가 얼마인 지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금회 차액 공사비 정보는 발주자 측에서도 시공자 측의 공사 진행에서 구조적인 문제(인식의 차이, 시공자들이 완결되었다고 주장하나 완결을 인정할 수 없는 공종의 발견 등을 통해서, 시공자 측의 공사 진행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나옴)을 미리 발견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공사 진행에 도움을 받고, 공기 내에 공사가 완료될 수 있는데 기여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00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와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로 차액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한 시공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 및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한 발주자 측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하고(S711), 시공자 측의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와 발주자 측의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의 차이에 대응되는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정보를 생성(추출)하고(S712), 금회 기성 차이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S713),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714), 확장 단가 정보,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정보에 포함된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고(S715),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사용한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716).
도 101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금회 기성 사정 공사 수량 정보와 금회 기성 신청 공사 수량 정보로 차액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한 시공자 측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 및 공사 수량 정보를 포함한 발주자 측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를 입수하고(S721), 시공자 측의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정보와 발주자 측의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정보의 차이에 대응되는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정보를 생성(추출)하고(S722),
금회 기성 차이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S723),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724), 확장 단가 정보,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정보에 포함된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차이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고(S725),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사용한 기 설정된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S726).
도 102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와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로 차액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고(S731), 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고(S732),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기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733),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입수 되거나 설정된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734), 조회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735),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736).
도 103은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와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로 차액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신청 수량 정보를 사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고(S741), 부위별-공종별-세부 공간별 금회 기성 사정 수량 정보를 사용한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하고(S742), 금회 기성 차이 원가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한 기성 원가 내역 출력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S743),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입수 되거나 설정된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조회하고(S744), 조회된 금회 기성 신청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금회 기성 사정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출력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의 생성을 위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 추출하거나 추출 후 가공하고(S745), 추출되거나 추출 후 가공된 출력물 생성 필요 정보로 선택되거나 설정된 양식의 출력물 생성한다(S746).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104 내지 도 111과 같은 회차별로 공종별 기성 신청 내역서 및 공종별 기성 사정 내역서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4는 1회차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며, 도 105는 공종별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도 104는 1회차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며, 도 105는 공종별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도 106은 1회차 기성 사정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며, 도 107은 공종별 기성 사정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도 108은 2회차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며, 도 109는 공종별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도 110은 2회차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집계 정보의 일 예시이며, 도 111은 공종별 기성 청구 내역에 대한 공사비 정보이다. 2회차부터는 누계 기성 신청 공사비 정보와 누계 기성 사정 공사비 정보다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생성하는 공사비 정보인 세부 공간별-공종별 공사비 내역서, 부위별-공종별 공사비 내역서, 세부 공간별-부위별-공종별 공사비 내역서 등에는 직접 공사비 정보 이외에도 정확한 간접 공사비 정보가 항상 함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간접 공사비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여, 모든 공종에 대하여 확장 공사비 정보가 정확하게 생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세부 공간별 및/또는 부위별로 해당되는 개별 최하위 (단위) 공종에 대하여, 정확한 전체 공사비 정보(직접 공사비뿐만 아니라 간접 공사비 정보까지 생성하여 전체 공사비 정보를 구성함)를 생성함으로써, 최하위 세부 공간별로도 정확한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부위별로도 정확한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최하위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세부 공간 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한 공사비 정보도 정확하게 생성되게 된다.
그리고, 세부 공간을 구성하는 부위별-공종별 정확한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있으므로, 모든 집계 단위 또는 전체 공사에서 임의의 지정된 일부에 대해서도 정확한 공사비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임의의 지정된 일부의 예시는 1) 복수 개의 특정 세부 공간, 2) 특정 세부 공간의 복수 개의 특정 부위, 3) 특정 세부 공간의 특정 공종, 4)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부위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또는 2 이상의 특정 공종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BIM 이나 3D CAD 등에서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등으로 임의의 공간을 지정하는 경우, 그 지정된 공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들의 집합 또는 그 지정된 공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의 집합에 대하여 관련된 전체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도 상기 임의의 지정된 일부의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공종별 기성 청구 내역 정보나 기성 사정 내역 정보 이외에도 도 129 내지 도 132에서 알 수 있듯이 공간별로 기성 청구 내역 정보 및 기성 사정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도 129과 같은 상위 공간별(1층, 2층 등은 2층 서고라는 세부 공간보다 상위 공간이다)부위별 1회 기성 청구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은 1층이라는 상위 공간에 대응되는 모든 부위별에 대하여, 각 부위별 1회 기성 청구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1층이라는 상위 공간에 대응되는 하위 공간별로, 하위 공간마다에 대응되는 부위별로 1회 기성 청구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위 공간별 부위별 1회 기성 청구 내역 정보를 상기 하위 공간이 대응되는 상위 공간별로 집계 연산하여, 도 129과 같은 1회 기성 청구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0는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생성하는 공간별 1회 기성 사정 내역 정보의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는 전술한 누계 기성 금액 정보나 미성 금액 정보나 기성율(전체 공사 금액 대비 기성 사정까지의 공사 금액 정보로 기성율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방식으로도 기성율을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1은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생성하는 2회 기성 신청 내역 정보의 예시를, 도 132는 상기 기성 정보 생성 엔진(1300a)이 생성하는 2회 기성 사정 내역 정보의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세부 공간 또는 특정한 부위가 상기 3D CAD 시스템이나 상기 BIM 지원 시스템 등을 통해 지정되었을 때,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이들 시스템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도 1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은 사용자 컴퓨터(2000)(3D CAD 시스템이나 상기 BIM 지원 시스템 등)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등의 공간 객체의 선택 정보를 전송 받고(S31), 상기 공간 객체에 대한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출력될 원가 내역 정보를 결정(S32)하고,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선택된 공간 객체에 대응하는 설정되거나 선택되는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33)하여, 생성된 원가 내역 정보를 직접 또는 경유하여 사용자 컴퓨터(2000)에 전송(S34)한다.
도 113은 BIM 지원 시스템 또는 3D 캐드 시스템 등에서 마우스나 터치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로 임의의 공간 객체나 부위 객체를 지정 또는 선택했을 때, 지정 또는 선택된 공간 객체나 부위 객체가 시각적으로 분리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 준다. 도 3에서와 같은 BIM 지원 시스템 또는 3D 캐드 시스템에서 천정 등에 클릭했을 경우, 상기 BIM 지원 시스템 또는 3D 캐드 시스템은 클릭한 지점이 포함된 공간 객체나 부위 객체를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보여 줄 수 있다. 도 113에서는 도 3을 구성하는 이미지에서 선택된 객체가 보라색 굵은 선으로 다른 객체와 구분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도 114는 선택된 공간 객체에 대응하는 원가 내역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선택된 공간 객체에 대응하는 원가 내역 정보가 생성되는 방법은 도 11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4에서는 도서관 2층 열람실 2의 천정 부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선택된 천정 부위에 대한 공종별 총원가 정보가 제공됨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총원가 정보에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비 정보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확장 단가 정보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도 114에서는 선택된 부위 객체에 대응하는 공종 2개와 상기 공종 각각에 대한 총원가 정보, 재료비, 노무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관련된 공종별 공사비의 합계(소계) 정보도 제공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입장에서는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한 상기 객체를 특정할 수 있는 대한 메타 정보가 있으면, 상기 메타 정보로 도 114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된 객체에 대한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타 정보는 태그 정보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태그 정보의 일례는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로, 객체에 대한 식별자, 객체명, 객체가 속한 상위 공간(천정 부위의 경우, 천정 부위가 속한 열람실 2라는 세부 공간, 열람실 2가 속하는 도서관 2층이라는 상위 공간, 도서관 2층이 속하는 도서관이라는 전체 공간 등이 메타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도서관 2층의 열람실 2의 천정 부위를 인지할 경우, 상기 부위와 관련된 공종 및 공종별 수량 정보를 입수할 수 있고,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요율 정보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사비 정보를 즉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도서관 2층의 열람실 2의 천정 부위를 인지하는 경우, 기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또는 기 생성된 집계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도 114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생성될 수 있는 공사비 정보의 다양한 형태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3D CAD 시스템이나 BIM 지원 시스템 등과 같은 제3의 시스템(5000)과 연동, 정보 교환, 활용 또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유무선 네트워크(6000)로 3D CAD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3D CAD 시스템은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공간 객체로 천정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통상적인 3D CAD 시스템의 경우, 각 공간 객체는 분리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한꺼번에 2개 이상의 공간 객체가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공간 객체는 천정이며, 상기 천정은 어린이 열람실에 있는 천정이 된다.) 이 경우 상기 3D CAD 시스템은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물의 종류와 표시될 정보의 종류(이 출력물의 종류와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상기 3D CAD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받는 것일 수 있다.)및 상기 사용자의 공간 객체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300)을 통해서 도 29와 같은 1층 어린이 열람실의 천정 부위의 원가 내역에 대한 정보를 1층 어린이 열람실의 천정 부위와 관련된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본 출력물에서는 간접비는 간접비 총액 정보만이 선택된 것으로 한다.)로 생성하여 상기 3D CAD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1층 어린이 열람실의 모든 부위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도 28 에 나와 있는 모든 부위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3D CAD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상기 3D CAD 시스템에서 공간 객체로서 1층 어린이 열람실보다 상위의 공간 객체인 도서관 건물 전체를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도 26과 같은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3D CAD 시스템에 전송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특정한 출력물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1)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3D CAD 시스템에 디폴트(default) 출력물 종류와 디폴트 표시 내용이 있는 경우 상기 디폴트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을 전송(상기 전송은 상기 3D CAD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2000)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상기 3D CAD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사용자 컴퓨터(2000)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해 줄 수 있을 것이며, 2) 상기 사용자 컴퓨터(2000) 또는 상기 3D CAD 시스템(상기 3D CAD 시스템은 다시 사용자 컴퓨터(2000)로 전송할 수도 있다)으로 상기 공간 객체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가 내역 출력물의 종류 및 표시되는 내용에 대한 선택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직접 또는 상기 3D CAD 시스템을 경유하여 전송 받아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2000)에 직접 또는 상기 3D CAD 시스템을 경유하여 전송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인 BIM 지원 시스템은 부위별로 공간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으며, 부가 정보를 맵핑하거나 연동할 수 있다. 이에 상기 BIM 지원 시스템은 상기 3D CAD 시스템과 같이 특정한 부위와 같은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하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BIM 지원 시스템 상기 선택된 부위에 대응되는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BIM 지원 시스템의 각 부위, 각 세부 공간, 각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에는 상기 공간에 대응되는 공간 객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생성한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가 연계되거나, 연동되거나,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BIM은 건설 설계뿐만 아니라, 건설의 전체 라이프 타임과 관련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건축물의 전체 라이프 타임을 통하여 상기 BIM 지원 시스템이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세부 공간 또는 1개의 부위에 특정한 공정이 있을 때, 그 공종에는 재료비나 노무비 등과 같은 직접비 구성 요소가 2개 이상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는 각 공종에 대하여 상기 모든 직접비 구성 요소를 분리하여 처리하지 않고, 공종별로 처리하여,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였다. 이에, 직접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발명 사상을 제시한다. 도 115는 경량철골천정틀이라는 공종에 대해 직접비 중 재료비만에 대한 확장 단가 정보가 구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확장 단가 정보는 도 115에서와 같이 실제 수량을 기준으로 생성될 수도 있지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 수량 1을 기준으로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5에서 나온 확장 단가 정보 중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을 제외한 금액에 수량인 50을 나누게 되면, 단위 수량 1에 대한 재료비만의 확장 공사비 정보가 된다.
도 116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가 노무비만으로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예를 보여 주고 있으며, 도 117은 재료비와 노무비를 구분하여 확장 단가 정보가 구성되며, 이들의 합계(소계)에 대한 확장 단가 정보가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합계(소계)에 대한 확장 단가 정보가 전술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가 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상기 도 115 내지 도 117에서와 같이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공종별 직접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공종별 직접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를 다차원으로 합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다차원의 예는 공간 차원(부위별->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로 구성되는 세부 공간별->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으로 구성되는 상위 공간 등)으로 확장하면서 합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합산은 재료비만의 합산도 가능할 것이며, 재료비에 근거한 확장 단가 정보 구성 항목별(예를 들면 안전 관리비 등), 공간 차원별 합산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가 상기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공종별 직접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를 마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처럼 취급하여 본 발명 사상이 제공하는 각종 합산 및 리포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18 내지 도 119는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가 생성하는 상기 합산 정보의 일례를 보여 준다. 도 118은 경량철골천증틀이라는 공종에 대한 재료비를 중심으로 한 확장 단가 정보(재료비 225,500과 간접공사비 등 59,801)가 함께 나타나며, 이 재료비에 근거한 총공사비 정보가 소계인 284,801(225,500 + 59,801)이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한편, 도 118에는 노무비에 대해서도 동등한 정보가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총원가 986,894는 재료비에 기인한 총원가와 노무비에 기인한 총원가의 합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부위 등과 같이 최하위 공간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최하위 공간 단위에 대응하는 각 공종별로 직접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 항목(재료비, 노무비, 경비) 각각에 대하여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로 공간 체계별, 공종 체계별 총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부위 등과 같은 최하위 공간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최하위 공간 단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하여, 상기 공종을 구성하는 직접비 구성 항목 중 재료비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재료별로 개별 재료별 재료비가 있는 경우나, 노무비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노무별로 개별 노무별 노무비가 있을 수 있다. 도 119에는 시멘트로르타르바름 18mm라는 공종에 대하여, 1 제곱미터 당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개별 재료인 시멘트와 모래의 재료비 정보가 나타나 있으며,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개별 노무인 미장공, 보통인부, 보통인부(비빔)의 노무비 정보가 나타나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도 119와 같은 개별 재료별 재료비 정보, 개별 노무별 노무비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상기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개별 재료별 재료비에 대응되는 확장 단가 정보나 개별 노무별 노무비에 대응되는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확장 단가 정보는 단위 수량별로 생성된 다음 수량을 곱하는 방식으로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공종에 대응되는 수량을 포함한 개별 재료별 재료비 금액이나 개별 노무별 노무비 금액을 기준으로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0은 개별 재료별 재료비 정보별, 개별 노무별 노무비 정보별로 확장 단가 정보가 생성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20에서 예시되듯이, 시멘트로르타르바름 18mm라는 공종에 시멘트라는 재료에 대하여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와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 및 총 공사비 정보에 포함되는 관련된 기타 공사비를 포함하여 확장 단가 정보가 생성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시멘트로르타르바름 18mm라는 공종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kg당 단가가 83원, 1 제곱 미터를 바르는데 필요한 시멘트 수량은 10.55kg이며, 재료비 금액은 870원이며, 상기 시멘트와 관련된 확장 단가 정보를 고려한 총 공사비는 1102원이 된다.
상기 도 120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표준품셈별로 상기 표준품셈을 구성하는 개별 재료비, 개별 노무비, 개별 경비별로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해 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부위 등과 같은 최하위 공간 단위에 필요한 공종별 수량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수량 정보에 대응하여,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1층 열람실 1 바닥이라는 특정 부위에 필요한 표준품셈 시멘트로르타르바름 18mm(1 제곱미터 기준)라는 공종의 수량이 100인 경우, 상기 도 120에 나와 있는 모든 수치값에 100이라는 수량을 곱하게 되면, 1층 열람실 1 바닥이라는 부위별로, 상기 부위에 대응되는 특정 공종을 구성하는 개별 재료별, 개별 노무별, 개별 경비별로 각각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부위 등과 같은 최하위 공간 단위 별로 재료 취급 단위별 수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1층 열람실 1 바닥에 시멘트로르타르바름 18mm라는 표준품셈에 나와 있는 공종을 100제곱미터 수량만큼 적용하는 경우, 필요한 시멘트 량을 10.55kg*100=1055kg을 계산할 수 있고, 시멘트의 취급 단위는 40kg/포라는 취급 단위 정보를 활용하여, 1055/40포 = 26.4포의 시멘트라는 재료 취급 단위별 수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모래에 대하여, 0.0227*100입방 미터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며, 미장공 노무에 대하여0.06*100=6인 이라는 노무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설명한 바와 같이 부위 등과 같은 최하위 공간 단위 별로, 개별 재료별로 재료 취급 단위별 수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개별 노무별로 노무 취급 단위별 수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상기와 같은 부위별로 개별 자재별로 재료 취급 단위별 수량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부위에 특정 재료를 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최적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예를 들면, 1층 열람실 1 바닥 부위에는 시멘트 26.4포를 배치하는 것이 최적일 것이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26.4포라는 수치적인 값이 나올 경우, 반올림과 같은 최적 배치 정보 생성 규칙을 적용하여 27포를 배치하게 하거나, 5%의 여유를 두고 포 단위로 처리하는 최적 배치 정보 생성 규칙이 있는 경우, 26.4*(1+0.05)=27.7을 반올림한 28포를 배치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1층 열람실 1 바닥에 시멘트로르타르바름 18mm라는 표준품셈에 나와 있는 공종이 2개월(공사 기간 정보)에 걸쳐서 진행되고, 시멘트는 매월 2회(재료 공급 주기 정보 또는 재료 공급 회수 정보 또는 재료 공급 시기 정보) 배포된다는 등과 같은 최하위 공간 단위의 공종별 공사 진행 계획 정보가 있는 경우, 열람실 1 바닥과 관련해서는 최초 시멘트 배포량은 26.4/2(개월 수)/2회(월별) = 6.6포이라는 특정 시기별 또는 특정 주기별, 특정 회수별과 같은 특정 단위별로의 최적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시멘트라는 재료를 통하여 부위별 최적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했으나, 본 사상은 다른 재료에 대해서도 동등하거나 대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최적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미장공과 같은 개별 노무에 대해서도 동등하거나 대등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상기 최적 배치 정보 생성을 통하여, 특정 시점별로의 자재 과부족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1층 열람실 1 바닥에 시멘트로르타르바름 18mm 공종을 적용할 때, 공사 속도가 예정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진행된 경우, 최초로 6.6포를 공급한 경우, 이 6.6포는 1/2개월이 아닌 1/4개월만에 소모되므로, 1/4개월이 다 지나기 전에 6.6포를 공급하도록 정보 처리하거나, 6.6포의 2배를 공급하도록 정보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6.6포의 2배를 공급하는 경우, 3/4개월이 마치기 직전 시점에 시멘트 6.6포를 투입해야 한다는 최적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가 생성하는 최적 배치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상기 재료나 노무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공사 속도가 예정보다 2배 빠르게 진행되고, 최초로 6.6포를 공급한 경우 시멘트 공급은 주문 후 현장 도착 및 배치까지 3일이 걸린다고 할 때, 1/4개월이 지나는 시점의 3일 전에 시멘트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는 상기 최적 배치 정보 생성을 통하여, 특정 시점별로의 노무의 과부족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1은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가 관리하는 자재 관리 프로세스의 일 례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특정 시점별로 자재 투입량 집계표와 필요한 공종별 자재 수량 정보를 참조하여 자재의 과부족을 판단하고, 자재 투입 보고서(자재 부족, 자재 과량)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1은 본 발명의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의 자재 관리 프로세스의 일 례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이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Smmp11)하고, 상위 공간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 입수(Smmp12)한다. 상기 예시에서 바닥이라는 부위를 기준으로 보면 부위의 상위 공간인 1층 열람실 1이 세부 공간으로서의 상위 공간이 되고, 1층 열람실 1이라는 세부 공간을 기준으로 보면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인 1층이 상위 공간이 된다.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상위 공간이 선택되면, 그 상위 공간의 직하위 공간들을 제시할 수 있으며, 특정한 직하위 공간이 선택되면, 그 직하위 공간의 직하위 공간들을 제시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 해당 공종 및 공종별 수량을 입수(Smmp13)한다. 예시에서는 1층 열람실 1 바닥이라는 부위에 대하여 시멘트로르타르바름 18mm라는 표준품셈에 나와 있는 공종과 100이라는 수량 정보를 입수한다. 이어,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표준 품셈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공종에 대한 자재 종류 및 자재량 정보를 입수(Smmp14)한다. 예시에서는 필요한 자재는 시멘트이며, 표준품셈으로는 10.55kg의 자재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어,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해당 공종별 및 자재 종류별 특정 기간 기준 필요 자재 수량 정보 생성(Smmp15)한다. 상기 예시에서는 필요한 시멘트 량을 10.55kg*100=1055kg이 된다. 만약 상기 바닥 부위에 대응하여 이미 1000kg의 시멘트가 공급되어 있다면, 1055-1000 = 55kg의 필요 자재 수량 정보가 생성되며, 만약 2달에 걸쳐 1055kg이 필요하고, 이번 달에만 필요한 양이 전체의 1/2이라면, 필요 자재 수량은 1055/2=527.5kg이 된다. 한편,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자재별 취급 단위(예를 들면 시멘트는 포 단위로 취급되며, 1포는 40kg인 경우, 40kg이 시멘트라는 자재의 취급 단위가 된다.) 정보 입수(Smmp16)하고, 필요 자재 수량 정보와 취급 단위 정보로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해당 공종별 및 자재 종류별로 취급 단위를 기준으로 한 특정 기간 기준 필요 자재 수량 정보 생성(Smmp17)한다.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1층 열람실 1 바닥이라는 부위에 시멘트라는 자재 취급 단위로서 1055/40포 = 26.4포라는 필요 자재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1층 열람실 1 바닥이라는 최하위 공간 단위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1층 열람실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들 전체에 대하여, 1층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하여, 상기 건물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들 전체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재료별(예를 들면 시멘트) 최적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노무별(예를 들면 미장공) 최적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개별 재료별 또는 개별 노무별 상위 공간 단위의 최적 배치 정보는 상기 상위 공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들의 하위 공간별 최적 배치 정보의 합산(부분합, roll up 연산)으로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자재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d)는 특정 세부 공간이나 부위에 필요한 다른 공종별 및 공종별 필요 자재별로 상기와 같은 계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최종적으로 임의의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공간의 하위 공간별로 해당 공종별 및 자재 종류별로 취급 단위를 기준으로 한 특정 기간 기준 필요 자재 수량 정보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노무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e)은 상기 자재 관리 프로세스와 대등한 방법으로 노무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2는 상기 노무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e)의 노무 관리 정보 처리 방법의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노무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e)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이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Slmp11)하고, 상위 공간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 입수(Slmp12)하며,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 해당 공종 및 공종별 수량 입수(Slmp13)하고, 해당 공종에 대한 자재 종류 및 노무량 입수(Slmp14)한다. 상기 입수한 정보들로 상기 노무 관리 정보 생성 엔진(1300e)는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해당 공종별 및 노무 종류별 특정 기간 기준 필요 노무 수량 정보 생성(Slmp15)한다.
상기와 같은 개별 재료별 최적 배치 정보의 생성을 통하여, 재료의 과부족에 따른 낭비나 공사 지연, 불필요한 비용의 증대를 막을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은 개별 노무별 최적 배치 정보의 생성을 통하여, 노무의 과부족에 따른 인력 낭비나 공사 지연, 불필요한 인력 비용의 증대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어, 특정 상위 공간을 구성하는 하위 공간별 공사비 랭킹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정 상위 공간은 복수 개의 하위 공간으로 구성된다. 하위 공간은 세부 공간 또는 부위가 그 대상이 된다. 도 123은 랭킹 정보 생성의 대상이 되는 공사 대상으로서의 지하 2층, 지상 4층(옥탑 1층 포함)짜리 건물의 단면도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2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2층은 총 14개의 세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은 상기 세부 공간별로 총 공사비 정보를 계산할 수 있고, 그 계산 결과를 기준으로 랭킹(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24는 건물의 특정 공간인 2층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별 공사비 랭킹 정보가 생성된 예시 데이터의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24에서는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가 전체 공사비를 기준으로 총 공사비 랭킹 정보를 생성했지만, 상기 랭킹은 전체 공사비가 아닌, 직접비 소계별 공사비 정보, 간접비 소계별 공사비 정보, 직접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 간접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비용 항목별로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나아가,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상기 2층을 구성하는 14개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별로 총 공사비 정보, 직접비 소계별 공사비 정보, 간접비 소계별 공사비 정보, 직접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 간접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공종별로 랭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2층에 대응되는 모든 공종별 합산이 아닌 특정 공종을 기준으로 2층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별로의 비용 항목별로 공사비 랭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124에서는 세부 공간을 기준으로 한 랭킹 정보를 생성했지만,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세부 공간을 구성하는 부위별로의 랭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공종별로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랭킹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5 특정 공간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별 공사비 랭킹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된 특정 공간의 도면을 보여 주고 있다. 세부 공간별로 공사비 랭킹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세부 공간별로 공사비 랭킹을 수치로 부여하거나(도 125에서는 랭킹 순위를 원 문자로 표현), 랭킹을 색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BIM이나 3D CAD와 같이 세부 공간이 구분되는 경우, 세부 공간별 랭킹 정보는 상기 BIM이나 3D CAD가 시각적으로 제시될 때 함께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가 도 125와 같이 세부 공간별 랭킹 정보의 시각화뿐만 아니라, 부위별 랭킹 정보의 시각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면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26은 본 발명의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가 세부 공간별로 랭킹 정보를 시각화 처리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예시에서의 2층과 같이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Srss11)한다. 이어,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상기 예시에서의 14개 세부 공간과 같이, 상기 상위 공간을 구성하는 세부 공간 정보를 입수(Srss12)한다. 상기 예시에서의 세부 공간별 전체 공사비 총계와 같이 세부 공간별 랭킹 처리 대상이 되는 비용 항목 기준을 입수(Srss13)한다.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도 124 및 도 125와 같이 비용 항목 기준별 세부 공간별로 공사비 정보 생성(Srss14) 및 공사비 정보로 세부 공간별 랭킹 정보 생성(Srss15)하고, 도 126과 같이 상위 공간을 표현하는 BIM 또는 3D CAD와 같은 도면에 세부 공간별로 랭킹 정보 시각화 처리(Srss16)한다.
도 128은 본 발명의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가 부위별로 랭킹 정보를 시각화 처리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Srps11)한다. 이어,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상기 상위 공간을 구성하는 부위 정보를 입수(Srps12)한다.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또는 설정에 따라 부위별 랭킹 처리 대상이 되는 비용 항목 기준을 입수(Srps13)한다. 상기 랭킹 정보 생성 엔진(1300f)는 비용 항목 기준별 부위별로 공사비 정보 생성(Srps14) 및 공사비 정보로 부위별 랭킹 정보 생성(Srps15)하고, 도 126과 같이 상위 공간을 표현하는 BIM 또는 3D CAD와 같은 도면에 부위별로 랭킹 정보 시각화 처리(Srps16)한다.
각 공사비 랭킹은 하위 공간별 총 공사비, 하위 공간별 직접비, 하위 공간별 간접 공사비나 제 경비, 하위 공간별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하위 공간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하위 공간별 공종별 총 공사비, 하위 공간별 공종별 직접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하위 공간별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위 공간별 총 공사비, 상기 하위 공간별 직접비, 상기 하위 공간별 간접 공사비나 제 경비, 상기 하위 공간별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상기 하위 공간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상기 하위 공간별 공종별 총 공사비, 상기 하위 공간별 공종별 직접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상기 하위 공간별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는 생성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의 건설 VE 지원 정보 생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대안 설계가 발생하는 경우, 공종(공종 분류 체계상의 하위 공종인 품명, 항목, 내역 항목, 품목, 비목을 포함한다.)에서 변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공종의 변동은 물론이며, 공종에 따른 단가 정보가 변동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공종별-공간별 수량이 변동될 수도 있다. 한편, 변경 설계 시 등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원가 요율이 변동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변경 설계는 1차 또는 n차 이상 발생할 수 있으며, 각 차수마다 변동 정보는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등에 따라 몇 개의 차수를 묶어서 1개의 큰 차수 단위로 정보 처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DB부(1400)는 상기 단가 정보, 공종별-공간별 공사 수량, 원가 요율 등에서 변동이 있을 경우, 변동을 공종을 기준으로는 물론이며, 대안 설계의 차수별로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건설 VE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설계 변경이나 대안 설계의 관점에서 공사비의 변동 파악이 중요하게 된다. 설계 변경이나 대안 설계가 있을 경우(이하, 대안 설계라고 통칭한다.), 개별 대안 설계는 개별 대안 설계 단위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개별 대안 설계 단위를 묶은 그룹 단위로 하여 개별 대안 설계를 차수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의 경우에는 공종i1와 공종i2를 대안 설계로 도입할 수 있으며, 공종i와 공종i2를 각각으로 차수 변경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공종i1와 공종i2를 그룹화하여 1개의 차수로 관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공종i별로 차수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차수 관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기존의 공종j(공종 j는 여러 개의 공종일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여기서는 공종 i(여러 개의 공종일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에 의해 대체되는 공종의 의미로 공종 j를 사용한다.)의 대안 설계로서 대신에 공종i가 들어오게 되면 공종별 단가 정보(직접 공사비 정보)가 변동이 있게 되고, 공종별 수량 정보도 변동이 있을 수 있게 된다. 공종i의 도입에 따라 직접 공사비 정보의 변동이 있게 되면,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도 변동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입수 받은 대안 설계인 공종i에 따른 공종별 단가 정보, 공종별 수량 정보 및/또는 원가 요율 정보(변동이 있을 경우에만)를 기초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물론, 이 경우, 공종j에 대한 공종별 수량 정보 등은 삭제되거나 비처리 되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대안 설계가 발생한 공종i와 관련된 부분에 한정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전체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재생성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차수별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수는 상기 차수의 발생 원인이 된 공종i와 연동하여 관리된다.
한편, 상기 차수는 최초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대해 변동을 줄 수 있는 임의의 요소가 된다. 공종의 변동은 변동의 일례가 된다. 예를 들어, 원가 요율이 변동되거나, 새로운 비용 요소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거나(예를 들면 공사 지연으로 인한 지연 공사비 등의 발생) 등과 같은 각종 변동 요인이 발생할 때도 새로운 차수가 생성되고, 이 차수에 대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차수를 하나의 차원/축으로 고려할 때,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구성하는 값은 f(x,y,z,w)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x는 공종축, y는 공간 축, z는 공사비 구성 항목축, w는 차수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최초로 입수되는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하여, f(x,y,z,1)을 생성하고, 대안 설계 등으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또는 원가 요율 정보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동을 제2 입력 정보로 하여 f(x,y,z,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갑인 f(x,y,z,w)를 전산 처리에서 수행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저장해 놓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통상적인 방법에는 x의 종류별, x의 부분합별로 (y, z)의 값을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며, y의 종류(공종 레벨 또는 공종의 하위 품목 레벨)별로 별도의 파일로 (x, z)값을 생성해 놓을 수 있을 것이며, 상기 z에 대해서 z를 이루는 모든 세부 항목별로의 값을 저장해 놓거나, 상기 세부 항목별 값에 부분합(예를 들면 직접 공사비 부분합 = 자재비 + 노무비 + 경비, 간접 공사비 부분합 등), 또는 상기 세부 항목별 값, 부분합 및 전체합을 저장해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셀의 개수는 x개수, y개수, z 개수의 곱을 최소값으로 하며, 부분합과 관련된 셀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셀들 중에서는 다수의 null 데이터 가 존재함은 당연할 것이다. (특정 세부 공간에 특정 공종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f를 계산하는 순서와 방법은 극히 다양할 수 있을 것이며, 당업자는 이들 다양한 방법 중 최적의 방법(계산량이 적거나, 계산 속도가 빠른 방법 등)을 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들어옴도 당연할 것이다.
도 141 내지 도 143에는 각각 원 설계안에 따른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 여러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1층 전체, 여러 층을 포함하고 있는 공사 대상 전체에 대한 원가 계산 내역서의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44 내지 도 146는 대안 설계안에 대한 1층 어린이 열람실이라는 세부 공간, 여러 세부 공간을 포함하는 1층 전체, 여러 층을 포함하고 있는 공사 대상 전체에 대한 원가 계산 내역서의 예시를 보여 주고 있다. 원 설계안에는 MBF붙임 공종이 있는 반면 대안 설계안에는 SGP 판넬이 포함되고, MBF붙임 공종은 없어졌으며, 1.0B 벽돌쌓기 공종은 수량이 변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가 VE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 방법은 도 138과 관련되어 있다. 대안 설계 발생 전의 사항(제1 입력 정보)인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SVe21)받고, 제1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1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f(x,y,z,1))를 생성(SVe22)하고, 상기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기반한 각종 분석 정보(출력물(예시적으로 도 141, 도 142, 도 143 등)이 그 한 예가 된다.)를 생성(SVe23)한다. 이어, 대안 설계를 반영한 입력 정보(제2 입력 정보)인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SVe24)하고,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인 제2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인 (f(x,y,z,2))를 생성(SVe25)한다. 이어,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를 참조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SVe26)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출력물로 생성(SVe27)한다. 상기 분석 정보에는 기 설정된 형태의 비교 분석 정보일 수 있다. 제1 원가 내역 정보는 제1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와 동등한 의미가 되며, 제2 원가 내역 정보는 제2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와 동등한 의미가 된다.
상기 출력물은 출력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출력물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기 설정된 제3의 시스템이 인지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3의 시스템은 3D CAD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정산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지원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제3의 시스템의 일부, 또는 상기 제3의 시스템과 유무선 네트워크(6000)를 통하여 연계/연동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먼저,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하고, 제1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며,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를 사용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공종,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하여,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둘째 방법은 제1 입력 정보와 제2 입력 정보를 동시 또는 큰 시간적 차이를 두지 않고 입력 받아, 각각에 대해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인 f(x,y,z,1) 및 f(x,y,z,2)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비교 분석 정보를 기 설정된 형식으로 생성한 다음 출력해 준다. 도 139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SVe31)하고,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SVe32)하여, 제1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Ve33)하고,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Ve34)하며,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SVe35)하고, 분석 정보를 출력물로 생성(SVe36)한다.
셋째 방법은 제1 입력 정보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f(x,y,z,1)를 생성하고, 제2 입력 정보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f(x,y,z,2)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비교 분석 정보를 기 설정된 형식으로 생성한 다음 출력해 주는 방법이다. 도 140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제1 입력 정보로 입수(SVe41)하여, 제1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1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Ve42)하고,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변동 정보를 제2 입력 정보로 입수(SVe43)하여,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기 설정된 제2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Ve44)하고, 제1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및 상기 제2 입력 정보로 생성되는 원가 내역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VE 지원 정보로 기 설정된 분석 정보를 생성(SVe45)하여, 분석 정보를 출력물로 생성(SVe46)한다.
상기 첫째 방법은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인 f(x,y,z,1)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 정보(예시적으로 도 141, 도 142, 도 143 등)를 제공하여, 대안 설계 포인트를 추출해 내는 경우에 더욱더 잘 활용될 수 있다. 공종을 중심으로 f(x,y,z,1)에 대한 다면적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 비용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공종을 추출하기가 용이하게 되며, 대안 설계를 기획할 때, 이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가 생성하는 상기 VE 지원 정보는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에 대한 기 설정된 비교 정보의 생성을 포함한다. 도 147 내지 도 151는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이 생성하는 상기 비교 정보에 관련된 기 설정된 형식의 출력물의 일 실시예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47은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에 따른 총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총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48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세부 공간별 원 설계안에 따른 총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총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도 147에서 알 수 있듯이, 대안 설계의 채택 시 전체적으로 131,462,237원이 절감됨을 알 수 있다. 도 148에서 알 수 있듯이, 2층 서고2라는 세부 공간에 대해서는 32,865,559원이 절감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도 마찬가지로, 대안 설계안 구성 요소가 n(n은 정수)개가 있을 때, 상기 ni마다 상기 ni에 의해 삭제되거나 변동되는 원 설계안 구성 요소가 mij개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은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할 때, 대안 설계안 구성 요소 ni별로 상기 ni에 관련된 대안 설계안의 공사 원가와 ni에 의해서 변경되는 mij에 관한 원 설계안의 공사 원가를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은 모든 ni에 대한 공사비 원가 내역의 합산 정보와, 모든 ni에 대한 모든 mij의 공사비 원가 내역 합산 정보를 함께 비교하여 제공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안 설계에 공종 2개, 대안 설계에 따라 영향 받는 원 설계안의 공종 2개로 설명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일 뿐이며, 대안 설계와 관련된 공종도 n개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며, 본 발명 사상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적용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49은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이 생성하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중 차이가 나는 공종별 및 대략적인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50는 본 발명의 VE 지원 정보로서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중 차이가 나는 공종별 및 세부적인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사비와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및 그 차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의 공사비 비교가 가능한 분석 결과물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도 149 내지 도 150에서 알 수 있듯이,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에 대한 공사비 구성 항목별 절감액이 정확하게 산출되며, 일목요연하게 비교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세부 공간별로 비교 정보를 생성했지만,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은 부위별로의 비교 출력도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을 통하여 부위별 정보를 포함하는 부위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부위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원 설계안에 따른 공종과 관련된 원가 내역과 대안 설계안에 따른 공종과 관련된 원가 내역을 부위별로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부위는 수량과의 관계에서 각 공종과 1:n로 대응되어 있어야 한다. 즉, 하나의 세부 공간에 n개의 부위가 있을 때, 각 n개의 각 부위에는 하나 이상의 공종이 대응되어 있고, 각 공종에는 각 부위별-세부 공간별 공사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부위별 비교를 통하여, 대안 설계안이 어느 부위에서 얼마나 공사비를 어떻게 절감할 수 있는 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대안 설계안에 다수 개의 공종이 대응되는 경우, 다수개의 공종별 또는 다수개의 공종을 합하여 상기 공종들이 어느 부위에 대응되는 지를 추출하고, 대안 설계에 따라 어느 부위에 얼마만큼의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는 지를 알 수 있는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대안 설계가 어느 부위와 관련되어 있으며, 그 부위에서 얼마나 많은 공사비가 절감(특별한 경우에 따라서는 절상)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151는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 변경 부분의 공종별 단가 정보 분석표이다. 도 151는 원 설계안과 대안 설계안에 대하여 변경되는 공종별로 자재와 노무의 종류에 따른 전체 단가 정보, 재료비, 노무비 및 경비 각각의 관점에서의 변동 금액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모듈(11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공종-공간별 수량정보, 공종별 원가 정보, 원가 요율 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입수 받는 입수부가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물을 선택 받기 위한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가 있으며,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가 입수하는 출력 선택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물을 생성한다. 생성된 출력물은 본 발명의 출력물 제공부(1130)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2000)에 제공된다.
상기 도 150와 같은 출력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출력물의 형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다. 상기 선택 정보에는 가로축에 들어갈 정보(여기서는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 및 합계 정보), 원 설계안과 대안(개선) 설계안의 차이가 나는 공종 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이 있을 때, 상기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1300c)의 VE 지원 정보 처리부(1310)는 각 원 설계안의 선택된 공종에 대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와 대안 설계안의 선택된 공종에 대한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각각 원 설계안과 관련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대안 설계안과 관련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로부터 입수하고, 상기 각 공사비 정보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제시하고, 양자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차액을 연산하여 VE 지원 분석 정보로 제공한다. 이때, 대안 설계 항목이 n개인 경우, 상기 n개를 한꺼번에 제시하거나, 낱낱이 처리하거나, 몇 개의 그룹별로 묶어서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그룹핑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다.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사용자 컴퓨터(2000)는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적 사용자일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에는 3D CAD 시스템, VE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정산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지원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에 포함되어 있거나,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의 연동하여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연동에는 일부 또는 전체 기능의 호출, 특정한 정보의 송신과 수신 등이 포함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 산업 및 건설 산업을 지원하는 서비스업, 건설 정보 산업 등 건설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
1000 :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
1100 : 인터페이스 모듈
1110 : 데이터 입수부
1111 :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입수부
1112 :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
1113 :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수부
1120 :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
1130 : 출력물 제공부
1140 :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
1150 :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1200 :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1210 : 확장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
1220 : 집계 데이터 생성부
1300a : 기성 정보 생성 엔진
1300b :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
1300c : VE 지원 정보 생성 엔진
1310 : 부위 단위 기성 정보 처리부
1320 : 출력물 생성부
1321 : 출력물 생성부
1322 : 출력물 폼 데이터부
1300a-1 : 시공자 측 기성 정보 생성 엔진
1300a-2 : 발주자 측 기성 정보 생성 엔진
1400 : DB부
1410 : 입수 데이터 저장부
1411 : 단가 정보 데이터부
1412 : 수량 산출 정보 데이터부
1413 : 원가 요율 정보 데이터부
1414 : 공종 데이터부
1415 : 공간 데이터부
1416 : 시공자 측 기성 정보 입력 데이터부
1417 : 발주자 측 기성 정보 입력 데이터부
1420 : 생성 데이터 저장부
1421 : 집계 데이터 저장부
1422 : 출력 정보 저장부
1423 : 특화 정보 저장부
1424 : 시공자 측 기성 정보 생성 데이터부
1425 : 발주자 측 기성 정보 생성 데이터부
1500 : 관리 모듈
1510 :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
1520 : 사용자 관리부
2000 : 사용자 컴퓨터
2100 : 시공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
2200 : 발주자 측 기성 데이터 입력 단말기
3000 : 시공자 측 시스템
4000 : 발주자 측 시스템
5000 : 제3의 시스템
6000 : 네트워크

Claims (1)

  1.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이 입수 받은 공간에 대하여 상기 하위 공간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별-공종별 공사 수량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
    (b) 상기 공사 수량 정보에 포함된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을 입수하고,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를 사용하여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간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0110012233A 2010-02-12 2011-02-11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93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3638 2010-02-12
KR1020100013638 2010-02-12
KR20100070400 2010-07-21
KR1020100070400 2010-07-21
KR20100099884 2010-10-13
KR1020100099884 2010-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719A true KR20110093719A (ko) 2011-08-18

Family

ID=4493026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232A KR101167850B1 (ko) 2010-02-12 2011-02-11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0110012229A KR101167848B1 (ko) 2010-02-12 2011-02-11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정확한 건설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0110012233A KR20110093719A (ko) 2010-02-12 2011-02-11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110012230A KR101167849B1 (ko) 2010-02-12 2011-02-11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랭킹 정보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0110012231A KR20110093717A (ko) 2010-02-12 2011-02-11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정확한 건설 자재 관리를 수행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232A KR101167850B1 (ko) 2010-02-12 2011-02-11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0110012229A KR101167848B1 (ko) 2010-02-12 2011-02-11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정확한 건설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230A KR101167849B1 (ko) 2010-02-12 2011-02-11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랭킹 정보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0110012231A KR20110093717A (ko) 2010-02-12 2011-02-11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정확한 건설 자재 관리를 수행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1167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388A (ko)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CN113177802A (zh) * 2021-04-16 2021-07-27 湖南宏源中柱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测量技术的工程造价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215B1 (ko) * 2012-07-03 2013-07-09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건설 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3106B1 (ko) * 2014-09-16 2016-10-06 현대건설 주식회사 Bim기반의 작업공간 간섭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95243B1 (ko) 2015-05-04 2016-02-19 주식회사 두올테크 Bim 기반의 현장 시설물 자동화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04337B1 (ko) * 2019-11-29 2021-01-19 한다움건설(주) 직관적인 단계별 선택을 이용한 건축물의 실시간 간편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US11416793B2 (en) 2020-01-10 2022-08-16 Procor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the impact of a change event
CN111476550B (zh) * 2020-05-13 2023-08-25 陕西铁路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工程造价审计系统
KR102530383B1 (ko) * 2020-05-22 2023-05-09 주식회사 대림 터널 시공문서 자동 생성 방법
KR102522782B1 (ko) * 2022-10-24 2023-04-17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리모델링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7119112A (zh) * 2023-08-08 2023-11-24 广东省建筑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工程造价咨询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238B1 (ko) 2001-06-15 2005-08-10 (주) 엘콘시스템 비용/일정/공간 체계를 조합한 건설정보 처리방법
JP2007102376A (ja) * 2005-09-30 2007-04-19 Being:Kk 積算装置
KR100951368B1 (ko) 2007-05-25 2010-04-0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설계연동 비용예측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컴퓨터가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388A (ko)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CN113177802A (zh) * 2021-04-16 2021-07-27 湖南宏源中柱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测量技术的工程造价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717A (ko) 2011-08-18
KR20110093718A (ko) 2011-08-18
KR20110093716A (ko) 2011-08-18
KR101167848B1 (ko) 2012-07-24
KR101167850B1 (ko) 2012-07-24
KR20110093715A (ko) 2011-08-18
KR101167849B1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849B1 (ko)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랭킹 정보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Prokopenko et al. Business process efficiency in a digital economy
KR101690211B1 (ko)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Reddy BIM for building owners and developers: making a business case for using BIM on projects
Higle et al. Sensitivity analysis and uncertainty in linear programming
JP2004506269A (ja) 構造のプロフィールを相互的に作成する方法
CN109558412A (zh) 装配式建筑建造平台的数据生长方法和装置
JP2004021364A (ja) 経営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
Choi et al. BIM-based benchmarking system for healthcare projects: Feasibility study and functional requirements
CN108846645A (zh) 一种企业扁平化管理方法及系统
Buchan Risk analysis-some practical suggestions
CN111738485A (zh) 一种工程项目造价数据管理系统及方法
KR101105327B1 (ko)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559070A (zh) 装配式建筑平台的设备生产信息管理方法及装置
KR100945523B1 (ko) 온라인 건설현장 관리 방법
KR101134106B1 (ko)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Mohandes et al. Exploiting the effectivenes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uring the stage of post construction
KR101081880B1 (ko)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사업관리용 기성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3288476A (ja) 生産ラインの統合ライン能力評価・管理運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統合ライン能力評価・管理運用方法
WO2011099826A2 (ko)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41884B1 (ko)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 원가 계산 정보를 사용하는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
KR20110093523A (ko)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002988B1 (ko)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
Moyles An analysis of the contractor's estimating process
KR20190084739A (ko) 원가 계산 통합자원 관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