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054A -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054A
KR20110093054A KR1020100012856A KR20100012856A KR20110093054A KR 20110093054 A KR20110093054 A KR 20110093054A KR 1020100012856 A KR1020100012856 A KR 1020100012856A KR 20100012856 A KR20100012856 A KR 20100012856A KR 20110093054 A KR20110093054 A KR 20110093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base station
simo
traffic loa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718B1 (ko
Inventor
김수종
맹승주
강지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718B1/ko
Priority to US13/025,962 priority patent/US8565827B2/en
Publication of KR2011009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3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taking into account loading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기지국은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MIMO 모드가 사용중인 경우, 상기 MIMO 모드를 SIMO 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SIMO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각 서비스영역에 대해 할당 가능한 자원 블록(RB)들의 개수를 미리 정해지는 값으로 제한하고, 상기 RB들의 제한된 개수에 근거하여, 기지국의 송신 출력에 관련된 전력 증폭기(PA) 바이어스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지국의 소모 전력을 절약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B}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기지국에서 전력 소모를 절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체 서비스영역을 복수의 셀들로 분할하고 상기 셀들을 기지국들(Base Station: BS 혹은 Node Bs)을 통해 각각 커버함으로써 셀들간을 이동하는 단말(Mobile Station: MS, 혹은 User Equipment: UE)들이 끊김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지국은 디지털 통신 처리를 수행하는 모뎀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RF부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셀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단말들에 의해 요청되는 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트래픽 처리는 기지국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서비스영역인 셀 혹은 셀 내에 포함되는 각 섹터에 대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자원 블록이 할당되며, 통상 각각의 자원 블록에 대해 별도의 송수신 경로가 요구된다.
한편, 최근 무선 통신 시장에서 음성 통화뿐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무선 전송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전송 기술들 중의 하나인 MIMO 기술은 최근 크게 주목 받는 분야로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MIMO 기술은 송수신단에서 각각 다중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추가적인 주파수나 송신 전력의 할당 없이도 채널 전송 용량을 안테나 수에 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MIMO 기술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송수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송수신 경로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여,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크게 증가시킨다.
최근 환경 및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제한된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단말에서뿐만 아니라, 기지국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약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방지하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지국에서 트래픽 부하(traffic load)가 적을 때 필요 이상의 전력이 사용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지국에서 트래픽 부하가 적을 때 사용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가 사용중인 경우, 상기 MIMO 모드를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SIMO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각 서비스영역에 대해 할당 가능한 자원 블록(RB)들의 개수를 미리 정해지는 값으로 제한하는 과정과, 상기 RB들의 제한된 개수에 근거하여, 기지국의 송신 출력에 관련된 전력 증폭기(PA) 바이어스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가 사용중인 경우, 상기 MIMO 모드를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로 전환하도록 결정하는 전력 절약 판단부와, 상기 SIMO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각 서비스영역에 대해 할당 가능한 자원 블록(RB)들의 개수를 미리 정해지는 값으로 제한하는 전력 절약 판단부와, 상기 RB들의 제한된 개수에 근거하여, 기지국의 송신 출력에 관련된 전력 증폭기(PA) 바이어스를 감소시키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트래픽 부하가 적을 때 필요 이상의 전력이 사용되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즉 본 발명의 기법을 사용하면, 기지국에서 트래픽 부하가 적을 시 사용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IMO 기술을 사용하는 기지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력 절약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력 절약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약 모드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의 배경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IMO 기술을 사용하는 기지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102)은 복수의 송신(Transmit: Tx) 안테나들(112)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 안테나들(202)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단말(104)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단말(104) 또한 하나 혹은 복수의 수신(Reception: Rx) 안테나들(114)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들(114)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기지국(102)은 단말(104)로 데이터를 송신함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112)을 사용할지 어느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를 MIMO 모드라 칭하고,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를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라 칭한다. 통상적으로 기지국(102)은 단말(104)의 채널 상황과 기지국(102)의 여유 자원 등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단말(104)에 대해 MIMO 모드를 사용할지 혹은 SIMO 모드를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전력 절약 판단부(210), 전력 제어부(220), 자원 할당부(230), 송수신부(24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와 관련이 없는 기지국의 구성은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시스템 운영자의 설정과 기지국의 전력 소모 및 트래픽 부하 량 등에 따라 전력 절약 모드를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전력 제어부(220), 자원 할당부(230) 및 송수신부(240)에게 알린다. 구체적으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호의 개수 및 각 호에 할당된 무선 자원, 즉 자원 블록과 안테나 개수 등을 확인함으로써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확인된 트래픽 부하 량을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전력 절약 모드를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은 사용중인 자원의 정규화된 양 혹은 기지국의 최대 트래픽 용량에 대응한 비율로서 측정될 수 있다.
전력 제어부(220)는 상기 전력 절약 모드의 사용 여부를 참고하여 무선자원(Radio Resource) 별 전력할당을 결정한 후, 할당 결과를 송수신부(240)로 통보한다. 마찬가지로 자원 할당부(230)는 상기 전력 절약 모드 사용 여부를 참고하여 기지국에 연결된 각 단말에 해당하는 무선자원을 할당한 후, 할당 결과를 송수신부(240)로 통보한다. 송수신부(240)는 송신 안테나들에 연결되며 필터 및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송신 경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할당 결과들을 바탕으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전력 제어부(220) 및 자원 할당부(230)에서 상기 전력 절약 모드를 사용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기지국이 서비스하고 있는 트래픽 부하 량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은 기지국이 서비스하고 있는 단말들의 개수와 각 단말에 대해 제공되어야 하는 트래픽 양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전력 절약 모드를 사용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 기지국은 MIMO 모드를 SIMO 모드로 전환하거나 혹은 할당 가능한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의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 및 그에 따른 증폭기와 필터 등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송신 경로들을 사용하는 MIMO 모드에 비해, 단지 하나의 송신 안테나 및 하나의 송신 경로만을 사용하는 SIMO 모드가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기 때문이다. 또한 통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증가할 때마다 그에 따라 요구되는 PA 바이어스 전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할당 가능한 자원 블록의 개수를 사용 가능한 최대값보다 적은 소정의 값으로 제한하고, 제한된 자원 블록의 개수에 근거하여 PA 바이어스를 낮추어 기지국의 소모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력 절약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MIMO 모드를 사용하여 하향링크(Downlink) 전송을 수행하는 기지국이 전력 절약을 위해 SIMO 모드로 전송 방식을 전환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과정 302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트래픽 부하 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과정 304에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측정된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트래픽 부하량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으면, 과정 306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현재 MIMO 모드가 사용 중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MIMO 모드가 사용중이 아니면, 즉 SIMO 모드가 사용중이면 과정 302로 복귀한다. 반면 MIMO 모드가 사용중이면, 과정 308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SIMO 모드를 사용하여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할 것을 전력 제어부(220)와 자원 할당부(230)에 명령한다.
트래픽 부하량에 의해 MIMO 모드를 SIMO 모드로 전환한 경우, SIMO 모드에서도 MIMO 모드에서의 서비스영역(coverage)를 보장하기 위해 전력 제어부(220) 및 자원 할당부(230)에서 다음과 같은 동작들이 수행된다.
- SIMO 모드에서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톤 당 전력은 MIMO 모드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 SIMO 모드에서의 데이터 톤당 전력은 RS 톤과 같게 설정되며, 데이터를 위해 사용하는 자원 블록(RB)의 개수는 MIMO 모드의 경우보다 적도록 제한된다.
- SIMO 모드에서의 제어 채널의 톤 당 전력은 RS 톤과 같게 설정되며, 사용하는 제어 채널의 개수는 MIMO 모드의 경우보다 적도록 제한된다.
자원 할당부(230)에서는 전력 절약 판단부(210)로부터 SIMO 모드의 사용을 통보받은 경우, SIMO 모드를 기반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송수신부(240)는 전력 제어부(220)와 자원 할당부(230)의 할당 결과를 바탕으로 MIMO 모드를 위한 송신 경로들을 하나만 남기고 모두 턴 오프 하며, 나머지 송신 경로를 통해 단말과 통신을 하기 위해 송신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트래픽 부하량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지 않으면, 과정 310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MIMO 모드가 제한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이전에 트래픽 부하량에 의해 SIMO 모드로 강제로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MIMO 모드가 제한중이 아니라면 과정 302로 복귀한다. 반면 MIMO 모드가 제한중이라면 과정 312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MIMO 모드를 이용한 통신을 허용할 것을 전력 제어부(220)와 자원 할당부(230)에게 통보하여 정상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정상 통신은, 단말들의 채널 상황 및 기지국의 용량 등에 따라 MIMO 모드 혹은 SIMO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의미한다.
전력 제어부(220) 및 자원 할당부(230)는 MIMO 모드가 사용 가능함을 통보받으면, MIMO 모드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 및 무선 자원별 전력할당을 결정하며, 송수신부(240)는 상기 할당 결과들을 바탕으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처리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력 절약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기지국에서 할당하는 RB 개수를 제한하고 PA 바이어스 전력을 낮추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과정 402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트래픽 부하 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과정 404에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측정된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트래픽 부하량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으면, 과정 406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할당 가능한 RB 개수를 결정한다. 일 예로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기지국의 서비스영역, 즉 셀 혹은 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섹터들 각각에 대해, 할당 가능한 RB 개수를, 정상 동작시에 비해 낮게 제한한다. 일 예로 전력 절약 모드 사용시 섹터별 RB 개수는, 현재 할당되어 사용중인 RB 개수로 제한된다. 다른 예로 전력 절약 모드 사용시 섹터별 RB 개수는, 섹터별로 할당 가능한 최대 개수에 비해 70%, 50%, 30% 등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RB 개수의 제한 비율은 시스템 운영자의 설정 혹은 기지국의 상태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과정 408에서 자원 할당부(230)는 상기 제한된 개수의 RB들을 사용하여 자원을 할당하며 송수신부(240)는 상기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즉 자원 할당부(230)는 한정된 개수의 RB들을 통신 중인 단말들에게 할당하는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또한 이때 섹터별 RB들의 한정된 개수에 근거하여 해당 섹터의 PA 바이어스가 미리 정해지는 비율, 혹은 기지국이나 상위 시스템에서 정해지는 비율만큼 하향 조절된다.
한편, 상기 트래픽 부하량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지 않으면, 과정 410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RB 개수가 제한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이전에 트래픽 부하량에 의해 RB 개수가 제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RB 개수가 제한중이 아니라면 과정 402로 복귀한다. 반면 RB 개수가 제한중이라면 과정 412에서 전력 절약 판단부(210)는 RB 개수의 제한을 해제하여 정상 통신을 위한 값으로 상향 조절하며, 이를 자원 할당부(230) 및 송수신부(240)에 통보하여 정상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정상 통신은, 단말들의 채널 상황 및 기지국의 용량 등에 따라 RB들을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경우의 동작을 의미한다.
자원 할당부(230)는 RB 개수의 제한이 해제됨을 통보받으면, 섹터당 할당 가능한 RB 개수의 제한을 고려하지 않고 자원 할당을 수행하며, 송수신부(240)는 하향 조절된 PA 바이어스를 원래대로 복구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약 모드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앞서 언급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가 모두 적용되는 경우의 전력 절약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축에서 5MHz의 대역폭은 각각 12개의 부반송파들(subcarriers)로 이루어지는 25개의 RB들로 분할되며, 시간 축에서 1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14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심볼들로 구성된다. 1 서브프레임과 1 RB로 구성되는 각각 자원 단위는 안테나 0 혹은 안테나 1로 할당되며, 각 자원 단위 내에는 안테나별로 상이한 RS 패턴에 따라 정의되는 위치들에 RS 톤들이 배치된다. 나머지 톤들은 데이터를 위해 사용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량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2x2 MIMO 모드(510)가 사용되며, 전체 25개의 RB들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각 안테나 상에서, RS 톤들은 A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 PSD)를 가지고 전송되며, 데이터 톤들은 A/2의 PSD를 가지고 전송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량이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 기지국의 전송 방식은 1x2 SIMO 모드(512)로 전환되며, 할당 가능한 RB들은 10개로 제한된다. 또한 안테나 상에서 RS 톤들과 데이터 톤들은 동일하게 A의 PSD를 가지고 전송된다.
도 5a와 도 5b를 비교하면, 100%의 트래픽 부하가 사용중인 경우 MIMO 모드에서는 120W를 사용하는 반면, 임계치 미만의 트래픽 부하가 사용중인 경우 SIMO 모드에서는 60W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50%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SIMO 모드에서, MIMO 모드와 동일한 서비스영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안테나에서 사용하는 RS 톤들의 총 전력은 20W로 MIMO 모드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가 사용중인 경우, 상기 MIMO 모드를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SIMO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SIMO 모드에서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톤당 전력을 상기 MIMO 모드에서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SIMO 모드에서의 데이터 톤당 전력을 상기 RS 톤당 전력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SIMO 모드에서의 제어 채널 톤당 전력을 상기 RS 톤당 전력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SIMO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채널들의 개수를 상기 MIMO 모드에서보다 적도록 제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IMO 모드로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상기 임계치 이상이 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SIMO 모드를 상기 MIMO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MIMO 모드로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5.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각 서비스영역에 대해 할당 가능한 자원 블록(RB)들의 개수를 미리 정해지는 값으로 제한하는 과정과,
    상기 RB들의 제한된 개수에 근거하여, 기지국의 송신 출력에 관련된 전력 증폭기(PA) 바이어스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하는 과정은,
    상기 RB들의 개수는, 상기 각 서비스영역에 대해 할당 가능한 최대값보다 작도록 미리 정해지는 값으로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절감 방법.
  7.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가 사용중인 경우, 상기 MIMO 모드를 SIMO(Sing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로 전환하도록 결정하는 전력 절약 판단부와,
    상기 SIMO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IMO 모드에서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톤당 전력을 상기 MIMO 모드에서와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SIMO 모드에서의 데이터 톤당 전력을 상기 RS 톤당 전력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SIMO 모드에서의 제어 채널 톤당 전력을 상기 RS 톤당 전력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IMO 모드에서 사용되는 제어 채널들의 개수를 상기 MIMO 모드에서보다 적도록 제한하는 자원 할당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SIMO 모드로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상기 임계치 이상이 되면, 상기 SIMO 모드를 상기 MIMO 모드로 전환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1.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의 트래픽 부하 량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트래픽 부하 량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각 서비스영역에 대해 할당 가능한 자원 블록(RB)들의 개수를 미리 정해지는 값으로 제한하는 전력 절약 판단부와,
    상기 RB들의 제한된 개수에 근거하여, 기지국의 송신 출력에 관련된 전력 증폭기(PA) 바이어스를 감소시키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RB들의 개수를, 상기 각 서비스영역에 대해 할당 가능한 최대값보다 작도록 미리 정해지는 값으로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KR1020100012856A 2010-02-11 2010-02-11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KR10155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856A KR101555718B1 (ko) 2010-02-11 2010-02-11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US13/025,962 US8565827B2 (en) 2010-02-11 2011-02-11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856A KR101555718B1 (ko) 2010-02-11 2010-02-11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054A true KR20110093054A (ko) 2011-08-18
KR101555718B1 KR101555718B1 (ko) 2015-09-25

Family

ID=4435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856A KR101555718B1 (ko) 2010-02-11 2010-02-11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65827B2 (ko)
KR (1) KR1015557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047A2 (ko) * 2011-09-06 2013-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에너지 효율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중앙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7200359A1 (ko) * 2016-05-20 2017-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경로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204655A1 (ko) * 2022-04-22 2023-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절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211244A1 (ko) * 2022-04-28 2023-1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170B1 (ko) 2009-09-29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778458B (zh) * 2010-01-05 2015-09-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节能方法及系统
JP2012004881A (ja) * 2010-06-17 2012-01-05 Ricoh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CN102440034A (zh) * 2011-10-31 2012-05-0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的节能处理方法及基站
US8880012B2 (en) * 2012-01-19 2014-11-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block based transmitter optim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282509B2 (en) 2012-01-25 2016-03-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mechanism for conserving power consumption of single-carrie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US20130198362A1 (en) * 2012-01-26 2013-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Identifying a Server to be Decommissioned
US9252828B2 (en) * 2012-02-06 2016-02-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witching antenna mod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8964819B2 (en) * 2012-04-02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Asymmetric mixed-mode powerline communication transceiver
CN103563438B (zh) * 2012-05-18 2017-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与系统
US9084117B2 (en) * 2012-07-03 2015-07-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mobility management in cell-breathing base station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140115371A1 (en) * 2012-10-18 2014-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commission of a Server in Wireless Environment
US9131368B2 (en) * 2012-11-02 2015-09-08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9655103B2 (en) * 2012-11-02 2017-05-16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n increased coverage are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GB2522046B (en) * 2014-01-10 2021-08-18 Vodafone Ip Licensing Ltd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for a cell of a node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P3108594B1 (en) 2014-02-19 2018-08-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transmission over a reduced number of physical antennas
GB2524243A (en) * 2014-03-17 2015-09-23 Ip Acces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amplifier
US10382304B2 (en) * 2015-03-31 2019-08-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quality of service
CN106304205B (zh) * 2015-05-14 2020-1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管理网络模式的方法和装置
US10721694B2 (en) 2015-05-18 2020-07-21 Mediatek Inc.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US20160345276A1 (en) * 2015-05-18 2016-11-24 Mediatek Inc.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CN113766610A (zh) * 2020-06-01 202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微波通信设备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0882B1 (en) * 2000-09-19 2004-07-06 Intel Corporation Mode selec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based on statistical parameters
US6662024B2 (en) * 2001-05-16 2003-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ownlink resources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047016B2 (en) * 2001-05-16 2006-05-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081698B2 (en) * 2006-06-29 2011-1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mechanism between OFDM-MIMO and LFDM-SIMO
EP2087610B1 (en) * 2006-10-31 2015-09-09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design and centralized scheduling for dynamic simo, su-mimo and mu-mimo operation for rl transmissions
WO2008154506A1 (en) * 2007-06-08 2008-12-18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modulation for communication channels in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KR101528782B1 (ko) * 2009-02-26 2015-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 환경에 따라 통신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270648B2 (ja) * 2010-12-08 2013-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基地局装置、アンテナ選択制御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6047A2 (ko) * 2011-09-06 2013-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에너지 효율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중앙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3036047A3 (ko) * 2011-09-06 2013-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에너지 효율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중앙제어 장치 및 방법
US9462551B2 (en) 2011-09-06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ntr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efficiency of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7200359A1 (ko) * 2016-05-20 2017-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경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980012B2 (en) 2016-05-20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h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3204655A1 (ko) * 2022-04-22 2023-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절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211244A1 (ko) * 2022-04-28 2023-1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65827B2 (en) 2013-10-22
KR101555718B1 (ko) 2015-09-25
US20110195741A1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718B1 (ko) 무선 통신 기지국의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
US10979960B2 (en)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supporting multimode communication links
KR101371618B1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JP537389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5566454B2 (ja) マルチ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を用いた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基地局と移動体端末との間のデータ送信のスケジューリング
CN103493388A (zh) 无线通信系统的多个小区中的协同传输方法
JP2012504370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動的なセクター生成
EP3606198A1 (en) Paging method and apparatus, sending end, receiving end,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30252622A1 (en) Radio base station, baseband processing apparatus,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2256258B (zh) 载频资源的分配方法及载频资源的分配装置
US88045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use of adaptive partial frequency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54302A (ko)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을 위한 다수의 동시 대역폭 부분
KR101164318B1 (ko) 멀티-캐리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캐리어 스위칭
US10264582B2 (en) Network device and user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20170332355A1 (en)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ystem
CN102781030A (zh) 无线通信系统中的载频信息测量方法及系统
CN105794281A (zh) 用于确定下行链路共享信道的下行链路传输功率的网络节点和方法
US20130107751A1 (en) Base station and method
CN107182059B (zh) 一种精细化分配资源的方法、装置及基带处理单元
EP3678418B1 (en) A wireless device and method performed thereby for camping on a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220054303A (ko) 셀룰러 네트워크 기지국을 위한 다수의 동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조정
CN102958070B (zh) 双路非平衡室分系统的性能平衡优化方法和装置
RU2009101501A (ru) Эффективное управление ресурсами радио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радиосвязи
US9301130B2 (en) Base st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N110636581A (zh) 一种小区切换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