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597A -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597A
KR20110092597A KR1020100012106A KR20100012106A KR20110092597A KR 20110092597 A KR20110092597 A KR 20110092597A KR 1020100012106 A KR1020100012106 A KR 1020100012106A KR 20100012106 A KR20100012106 A KR 20100012106A KR 20110092597 A KR20110092597 A KR 20110092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ornament
metal ornament
support plat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은
Original Assignee
이경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은 filed Critical 이경은
Priority to KR102010001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2597A/ko
Publication of KR2011009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4Metallic leaves or foils, e.g. gold lea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이나 지갑 또는 의류 등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한 금속 장식구에 있어, 특히 박판 형태로 된 금속 장식구와, 상기 금속 장식구가 삽입되게 한 안치홈부를 갖는 받침판을 각기 구비하고, 이들 금속 장식구와 안치홈부에는 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 금속 장식구가 부착되기 위한 대상물의 소재에는 미세통공을 관통 형성하여, 이들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의 접착층이 미세통공을 통해 연결되며 상호 간의 견고한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박판 형태로 제작되는 금속 장식구에 의해 미세한 무늬나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금속 장식구의 미려함과 정밀함을 동시에 연출할 수 있는 것이고, 받침판을 이용하여 전체면이 접착 형태로 부착되는 금속 장식구는 대상물의 소재에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의 휨이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안정적인 부착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받침판의 안치홈부 내에 대상물의 소재와 함께 안착 형태로 부착되는 금속 장식구는 상기 대상물의 소재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상의 걸림에 의한 불편함이 전혀 없으면서도 소재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편 등이 전혀 없어 대상물의 소재 내,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더욱 고급스러우면서도 미려한 장식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Method for attaching metal ornament and attachement stru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가방이나 지갑 또는 의류 등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한 금속 장식구에 있어, 특히 상기 금속 장식구를 다양한 대상물에 대하여 접착 고정방식으로 부착되게 하되, 금속 장식구를 대상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받침판에는 상기 장식구가 삽입되게 한 안치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대상물에는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에 도포된 접착제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한 미세통공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상기 금속 장식구가 대상물의 부착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대상물에 작용하는 다양한 외력으로부터 상기 금속 장식구가 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이나 지갑 또는 벨트나 구두 및 의복 등의 다양한 물품(이하, 대상물이라 칭함) 표면에는 이들 대상물의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사의 고유한 로고나 마크 또는 도안의 형태로 된 금속 장식구가 부착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은 금속 장식구는 다양한 소재로 된 금속판재의 표면에 크롬 도금층을 형성하여 장식구 자체로의 미려한 장식 효과를 연출하면서도 금속 장식구가 부착된 대상물을 더욱 고급스럽게 하는 것이며, 상기 금속 장식구를 통해 제조사 고유의 심미감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금속 장식구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된 금속 장식구와 그 금속 장식구를 대상물의 소재에 부착 고정되게 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장식구의 일측에는 받침판에 형성된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체결편이 다수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금속 장식구 및 그 금속 장식구에 대한 부착구조를 살펴보면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금속 장식구(100)는 다양한 두께를 갖는 금속편을 절단하거나 주물 생산하여 그 표면에 다양한 도금층을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장식구(100)의 일측면에는 얇은 판재로 된 체결편(101)(101')이 용접에 의해 다수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받침판(110)에는 상기 금속 장식구(100)의 체결편(101)(101')과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를 갖는 체결공(111)(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금속 장식구(100)를 부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대상물의 소재(120)에 상기 체결편(101)(101')과 동일 위치 및 개수의 삽입공(도면에서는 미도시됨)을 관통 형성한 상태에서,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금속 장식구(100)의 체결편(101)(101')이 대상물의 소재(120)를 관통되게 하여 내측으로 돌출시킨 후, 상기 체결편(101)(101')으로 받침판(110)의 체결공(111)(111')이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그 받침판(110)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체결편(101)(101')을 밴딩 절곡시켜 상호 간의 결합 및 소재(120)에 대한 금속 장식구(100)의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금속 장식구에 대한 부착방법 및 구조는 대상물의 소재에 대하여 외면과 내면에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체결편의 절곡을 통해 결합하는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결국 상기의 금속 장식구는 대상물의 소재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금속 장식구가 대상물의 소재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지갑과 같이 주머니로부터 빈번하게 넣거나 빼야하는 물품인 경우 상기와 같이 돌출된 형태의 금속 장식구가 주머니와의 걸림이 발생하여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유발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대상물의 소재 내면에 위치하는 받침판 및 절곡 형태의 체결편 역시 소재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체결편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받침판의 표면으로부터 이격 돌출된 상태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결국 상기의 받침판과 체결편은 소재의 내면에 위치하는 다양한 내피재 또는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당한 불편함을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 장식구에 대한 부착방법 및 구조는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이 부분적인 위치와 개수를 갖는 체결편에 의존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의 금속 장식구에 대하여 대상물의 소재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 외력에 의해 상기의 금속 장식판이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금속 장식구에 대한 휨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용시 더더욱 간섭을 유발함은 물론 자칫 날카로운 절단면으로부터 부상을 입거나 의복 등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박판 형태로 된 금속 장식구와, 상기 금속 장식구가 삽입되게 한 안치홈부를 갖는 받침판을 각기 구비하고, 이들 금속 장식구와 안치홈부에는 접착층을 형성하며, 상기 금속 장식구가 부착되기 위한 대상물의 소재에는 미세통공을 관통 형성하여, 이들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의 접착층이 미세통공을 통해 연결되며 상호 간의 견고한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금속 장식구 및 그 부착방법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특징의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박판 형태로 된 금속 장식구에 대한 성형공정과; 상기 금속 장식구가 삽입되는 안치홈부를 갖는 받침판의 성형공정과; 상기 금속 장식구가 부착되기 위한 대상물의 소재 표면에 대한 미세통공의 형성공정을 각기 수행하고, 상기 금속 장식구와 안치홈부에는 접착제의 도포에 의한 접착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의 소재에 대하여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을 서로 대응 가압시켜, 금속 장식구와 안치홈부에 형성된 접착층이 미세통공을 통해 서로 연결 상태로 경화되게 하고, 상기 금속 장식구와 상응하는 대상물의 소재는 그 금속 장식구와 함께 받침판의 안치홈부 내에 삽입되어 상호 접착 고정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박판 형태로 제작되는 금속 장식구에 의해 미세한 무늬나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금속 장식구의 미려함과 정밀함을 동시에 연출할 수 있는 것이고, 받침판을 이용하여 전체면이 접착 형태로 부착되는 금속 장식구는 대상물의 소재에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의 휨이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안정적인 부착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받침판의 안치홈부 내에 대상물의 소재와 함께 안착 형태로 부착되는 금속 장식구는 상기 대상물의 소재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사용상의 걸림에 의한 불편함이 전혀 없으면서도 소재 내측으로 돌출되는 체결편 등이 전혀 없어 대상물의 소재 내,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므로 더욱 고급스러우면서도 미려한 장식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금속 장식구 및 받침판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금속 장식구가 소재에 결합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 및 소재에 대한 분리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이 소재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장식구가 대상물에 부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장식구(10)는 종래의 금속 장식구에 비하여 현저히 얇은 상태로의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서 종래의 금속 장식구는 부착면에 대하여 다수의 체결편을 용접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금속 장식구에 대한 용접 가능 두께를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을 갖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금속 장식구(10)는 상기의 체결편이 불필요하므로 자유롭게 두께의 조절이 가능하여 박판 형태로의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금속 장식구(10)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인해 통상적으로 프레스 금형에 의해 타발되는 형태의 금속 장식구(10)는 더욱 미세하고 정밀한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세밀한 형태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금속 장식구(10)는 표면에 대하여 크롬 도금이나 니켈 또는 금이나 은과 같은 도금층을 형성하여 미려한 광택 및 색감을 자유롭게 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금속 장식구(10)와 대응하는 형태로 된 받침판(20)은 일측면에 상기 금속 장식구(1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안치홈부(21)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의 안치홈부(21)는 금속 장식구(10)의 테두리로부터 금속 장식구(10)가 부착될 대상물의 소재(30) 두께를 합한 깊이와 넓이를 갖고 확장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의 안치홈부(21)로는 금속 장식구(10)와 함께 이와 대응하는 대상물의 소재(30)가 삽입 안치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대상물의 소재(30) 외표면에 금속 장식구(1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의 금속 장식구(10)를 받침판(20)에 대하여 가압하게 되면 대상물의 소재(30)는 금속 장식구(10)의 가압력과 안치홈부(21)의 형상으로 인해 상기 안치홈부(21) 내에 끼워지며 절곡되는 것이고, 상기 금속 장식구(10)는 대상물의 소재(30)와 함께 안치홈부(21)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의 금속 장식구(10)는 대상물의 소재(3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의 대상물은 통상적으로 가방이나 지갑 또는 혁대나 구두 및 각종 의복류에 해당하는 것이고, 상기의 소재(30)는 이들 대상물의 외피재인 가죽이나 섬유 또는 비닐 등의 보편적인 외피재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금속 장식구(10)를 대상물의 소재(30)에 부착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우선 상기의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의 대응면에 대하여 접착제를 도포함에 따라 각기 접착층(11)(22)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은 미려한 광택성과 함께 우수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철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비철금속을 접착시키기 위한 적합한 형태의 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로 불리는 에폭시 수지에 의한 2액형 접착제가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이어 상기 대상물의 소재(30)에는 금속 장식구(10)가 부착될 위치에 미세통공(31)(31')을 관통 형성하는 사전 준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의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을 대상물의 소재(30)에 대하여 직접 접착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취급 안정성 및 접착제에 대한 경화시간의 단축을 위해 상기의 접착층(11)(22)에 대한 도포 후 별도의 건조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의 건조공정은 액상의 접착제를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에 각기 도포한 상태에서 자연 건조에 의한 방법이나 열풍 건조에 의한 방법으로 상기의 접착제가 겔 형태로 반응고되도록 하고, 겔 상태의 접착층(11)(22)이 형성되면 이들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을 대상물의 소재(30) 표면에 대하여 서로 맞대응시켜 가압 상태로 접착시키면 빠른 접착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대상물 소재(30)에 형성된 미세통공(31)(31')은 금속 장식구(10)에 형성된 접착층(11)과 받침판(20)의 안치홈부(21)에 형성된 접착층(22)을 서로 연결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대상물 소재(30)에 대하여 접착층(11)(22)을 갖는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을 서로 가압 밀착시키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이들 접착층(11)(22)은 대상물의 소재(30)에 형성된 미세통공(31)(31')으로 유입되면서 상호 간의 연결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들 접착층(11)(22)이 경화된 이후에는 상기 대상물의 소재(30)에 대하여 금속 장식구(10)의 전체면과 받침판(20)이 견고하게 연결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받침판(20)에는 대상물의 소재(30)를 포함하여 금속 장식구(10)가 삽입되기 위한 안치홈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금속 장식구(10)는 대상물의 소재(30) 표면으로부터 전혀 돌출되지 않아 대상물에 대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은 대상물의 소재(30)에 대하여 접착층(11)(22)의 연결로 인해 일체화 접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와 같은 대상물의 소재(30)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에서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의 금속 장식구(10)는 받침판(20)에 대하여 전체면이 일체화 접착된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대상물의 소재(30)에 작용하는 외력은 금속 장식구(10)에 직접 작용하는 것이 아닌 금속 장식구(10)를 포함한 받침판(20) 전체에 작용하게 되므로 이들 구성물의 조합 형태로 인한 강성으로 인해 상기 금속 장식구(10)가 단독으로 휘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므로 고품질의 부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6의 도시와 같이 지갑 등의 대상물 표면으로 노출되는 금속 장식구(10)는 대상물의 소재(30) 표면으로부터 전혀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미세하고 정밀한 형상으로의 가공이 가능하여 장식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접착에 의한 부착 강도가 우수하고 받침판(20)과 일체화 접착되어 있어 외력으로부터의 휨에 대한 버팀력이 뛰어나 그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금속 장식구 11 : 접착층
20 : 받침판 21 : 안치홈부
22 : 접착층
30 : 소재 31,31' : 미세통공

Claims (4)

  1. 박판 형태로 된 금속 장식구에 대한 성형공정과; 상기 금속 장식구가 삽입되는 안치홈부를 갖는 받침판의 성형공정과; 상기 금속 장식구가 부착되기 위한 대상물의 소재 표면에 대한 미세통공의 형성공정을 각기 수행하고,
    상기 금속 장식구와 안치홈부에는 접착제의 도포에 의한 접착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의 소재에 대하여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을 서로 대응 가압시켜, 금속 장식구와 안치홈부에 형성된 접착층이 대상물의 소재에 형성된 미세통공을 통해 서로 연결 상태로 경화되게 하고, 상기 금속 장식구와 상응하는 대상물의 소재는 그 금속 장식구와 함께 받침판의 안치홈부 내에 삽입되어 상호 접착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금속 장식구와 안치홈부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중 선택된 하나의 과정을 통해 겔 상태가 되게 한 건조공정을 더 수행하여, 대상물의 소재에 대하여 금속 장식구와 받침판을 서로 대응 가압시켜 접착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3. 박판 형태로 된 금속 장식구(10)와 안치홈부(21)를 갖는 받침판(20)을 각기 구비하여, 상기 금속 장식구(10) 및 받침판(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대상물의 소재(30) 표면에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을 부착 형성하되,
    상기 금속 장식구(10)와 안치홈부(21)에는 접착층(11)(22)을 각기 도포 형성하고, 상기 대상물의 소재(30)에는 미세통공(31)(31')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의 접착층(11)(22)이 미세통공(31)(31')을 따라 서로 연결된 상태로 경화되어, 대상물의 소재(30)에 대하여 금속 장식구(10)와 받침판(20)이 서로 일체화 접착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장식구의 부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받침판(20)의 안치홈부(21)에는, 금속 장식구(10)와 대응하는 대상물의 소재(30)를 포함하여 상기의 금속 장식구(10)가 삽입 안치됨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소재(30) 표면으로 금속 장식구(10)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장식구의 부착구조.
KR1020100012106A 2010-02-09 2010-02-09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KR20110092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06A KR20110092597A (ko) 2010-02-09 2010-02-09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06A KR20110092597A (ko) 2010-02-09 2010-02-09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97A true KR20110092597A (ko) 2011-08-18

Family

ID=4492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106A KR20110092597A (ko) 2010-02-09 2010-02-09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25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946A1 (ko) 2015-11-26 2017-06-01 박승동 조립형 장식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946A1 (ko) 2015-11-26 2017-06-01 박승동 조립형 장식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5838B (zh) 包含夹持在切割金属板下的附件的便于携带的装饰件
US20100075073A1 (en) Articl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ornaments
KR100704457B1 (ko) 혁대용 장식버클
CN106659015B (zh) 一种电子产品框体一体成型结构件及其制作方法
MY158267A (en) Release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utilizing same
KR20190113915A (ko) 타공 강성 구조물 아래에 평탄화된 라이닝을 구비한 휴대용 장식 요소
US5685174A (en) Decorative connector and method for affixing same
KR100932527B1 (ko) 혁대용 아크릴문양 장식버클
KR20110092597A (ko) 금속 장식구의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CN102871329A (zh) 一种鞋包、服装用装饰品及其制造工艺
KR101240824B1 (ko) 혁대용 합성수지 장식버클
KR20170079044A (ko) 가죽 제품의 표면에 부착하는 장식물
US20140082900A1 (en) Button with snap backs
KR101300399B1 (ko) 자연문양 효과를 갖는 포마이카 장식버클 및 그 제조방법
CN106794706B (zh) 包括支座和嵌入在支座中并且可见的装饰设计元件的物品
KR100932526B1 (ko) 고무장식 혁대용 버클
KR20150022546A (ko) 장식물 장착 구조
KR100914015B1 (ko) 의류용 장식구
KR102275518B1 (ko)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79413Y1 (ko) 몰드프레임에 구성되는 장신구용 장식
JP5764244B2 (ja) 装飾品用保持金具
KR102130911B1 (ko) 스크레치 방지 가능한 버클
JP2018094728A (ja) ペン用アクセサリー
KR200395465Y1 (ko) 핫픽스가 고정된 벨트
KR20160001304U (ko) 홀더가 형성되는 장신구용 장식파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