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538A - 이중 후크 기구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도어 - Google Patents

이중 후크 기구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538A
KR20110091538A KR1020117013394A KR20117013394A KR20110091538A KR 20110091538 A KR20110091538 A KR 20110091538A KR 1020117013394 A KR1020117013394 A KR 1020117013394A KR 20117013394 A KR20117013394 A KR 20117013394A KR 20110091538 A KR20110091538 A KR 20110091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gear
door
hook
bay
gear b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브 암베르그
Original Assignee
메씨에르-다우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씨에르-다우티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씨에르-다우티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9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64C25/16Fairings movable in conjunction with undercarria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64C25/18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64C25/18Operating mechanisms
    • B64C25/20Operating mechanism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Hinge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를 개폐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후크 기구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도어{LANDING GEAR BAY DOOR WITH DOUBLE HOOK MECHANISM}
본 발명은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하는 데에 이용되는 도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에 배치된 랜딩기어 도어는 이륙 및 착륙 시에 랜딩기어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게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오늘날까지 랜딩기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데에는 독립적인 액추에이터나 일련의 링크 기구, 혹은 랜딩기어 도어에 장착된 후크가 이용되어 왔다.
독립적인 액추에이터가 이용되는 경우, 그 액추에이터들은 일반적으로 랜딩기어 베이(landing gear bay)의 전방 격벽(bulkhead)에 장착되어, 노즈 랜딩기어(nose landing gear)가 상승 및 하강할 때에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액추에이터 및 이와 관련하여 이용되는 장비에 의해 증가된 중량은 항공기 시스템에서의 허용할 수 없는 장비의 복잡성 및 중량 증가로 인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당해 산업 분야 내에서는 유압 요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이 전반적인 요망 사항이다.
대안적으로, 메인 피팅(fitting) 또는 드래그 브레이스(drag brace)에 의해 구동되는 일련의 링크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링크 기구의 사용은 설계하기가 곤란할 수 있고 모든 랜딩기어에 대한 옵션으로서 항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그러한 링크 기구를 사용하면, 랜딩기어가 펴진 경우에 랜딩기어 도어를 항시 닫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서, 항공기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에 후크를 사용하게 되면, 도어를 제위치에 유지하는 데에 매우 크고 고가의 스프링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그러한 후크의 사용은, 대체로 전술한 바와 같이 랜딩기어가 펴진 경우에 랜딩기어 도어를 닫지 못하여, 항공기의 공기 역학적 특성에 불이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희생하지 않고 고가의 부품의 사용을 요구하지도 않으면서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항공기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항공기의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하는 데에 이용되는 도어 기구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하는 데에 이용되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서로 직렬로 작동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2개의 후크를 포함하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제공한다. 제1 후크는 랜딩기어가 랜딩기어 베이 내로 접힐 때에 도어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2 후크는 랜딩기어가 펴져 있을 때에 도어를 다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서로 직렬로 작동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랜딩기어가 펴지거나 접힐 때에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후크를 포함하는,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에 이용하는 도어 기구를 제공한다. 제1 후크는 랜딩기어가 접힐 때에 랜딩기어 도어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2 후크는 랜딩기어가 펴져 있을 때에 랜딩기어 도어를 다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항공기 랜딩기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이 랜딩기어 조립체는, 접힌 위치와 펴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한편, 돌출부가 연장되어 나온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를 구비하는 랜딩기어; 랜딩기어가 접힌 위치에 있는 경우에 랜딩기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랜딩기어 베이를 포함하며, 이 랜딩기어 베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도어; 및 각각의 도어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도어 기구를 포함하며, 각각의 도어 기구는 서로 연결되는 한편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후크 부분을 포함하며, 이들 후크 부분의 회전이 도어를 개폐하게 되며, 각각의 후크 부분은 랜딩기어가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중에 랜딩기어 상의 돌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랜딩기어의 이동은 돌출부와 후크 부분 중 하나와의 접촉을 개시시켜 후크 부분을 회전시킨다.
또한, 항공기 랜딩기어 베이 도어에 이용되는 도어 기구가 제공되는데, 랜딩기어는 돌출부가 연장되어 나온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를 포함하며, 도어 기구는, 제1 연결 지점에서 항공기 기체에 연결되어 제1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후크; 및 제1 후크에 연결되는 한편 제2 연결 지점에서 항공기 기체에 연결되어 제2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후크 중 하나가 도어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후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제1 구성에서의 회전은 랜딩기어 도어를 개방하는 한편, 제2 구성에서의 회전은 랜딩기어 도어를 폐쇄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후크는 로드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제2 후크가 도어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후크는 제1 방향으로 제1 후크에 힘을 인가하는 압박 수단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후크 각각은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 상의 돌출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랜딩기어 베이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이 개폐 장치는, 제1 단부에서 랜딩기어 베이 도어에 연결된 도어 로드(door rod); 제1 연결 지점에서 랜딩기어 베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방향으로 제1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압박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연결 지점에서 랜딩기어 베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제2 단부에서 도어 로드에 연결된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커넥터는 서로 연결된 한편,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 커넥터는 랜딩기어 상에 위치한 돌출부와 독립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 커넥터 중 하나와 돌출부의 맞물림은 커넥터의 회전을 야기하고, 이 회전은 랜딩기어 베이 도어를 개폐하도록 도어 로드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를 개폐하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는 항공기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를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아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하나의 실시예를 랜딩기어가 펴진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하나의 실시예를 랜딩기어가 접히고 있는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하나의 실시예를 랜딩기어가 접힌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랜딩기어 베이와 항공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2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개략도이며,
도 6은 랜딩기어 베이와 항공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3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랜딩기어 베이와 항공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4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항공기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를 효과적으로 개폐하도록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에 이용되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는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하도록 함께 작동하는 2개의 후크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하는 설명은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들 중 하나의 도어와, 이 도어에 연결된 하나의 도어 기구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랜딩기어 베이가 일반적으로 2개의 도어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도어에 하나씩 2개의 도어 기구를 포함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좌측편의 도어 기구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우측편 도어 기구는 정반대의 구성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되는 전통적인 기구의 회전 축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는 2개의 후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중 후크 기구는 구성하기가 보다 용이한 한편, 통상적으로는 불가능하였던 도어를 다시 닫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서로 직렬로 작동하여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2개의 후크를 포함하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제공한다. 이들 후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랜딩기어 도어의 개폐가 필요할 때에 그 도어에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이중 후크 도어 기구는 도어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여 랜딩기어가 랜딩기어 베이 밖으로 펴질 수 있게 하는 한편, 그 후에는 랜딩기어 도어를 닫아 항공기의 공기역학적 특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랜딩기어의 일부, 특히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를 도시하는 것으로, 그 앞쪽에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낸 이중 후크 도어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개폐되는 도어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내에 수용되는 노즈 랜딩기어에 이용되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도시하고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중 후크 도어 기구가 도시한 특정 랜딩기어에 이용하는 데에 한정되진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할 수 있다면 임의의 랜딩기어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당업자라면 아래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포함하도록 기존의 랜딩기어 및 랜딩기어 베이를 개장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2로 나타낸 랜딩기어의 상부 브레이스는 그 한쪽 측면에서 나온 돌출부(14)를 포함한다. 이 돌출부는 본 명세서에서는 롤러로도 지칭한다. 돌출부(14)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의 일부분과 연결되도록 작동할 수 있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의 측면으로부터 튀어나오게 연장된다. 돌출부(14)는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의 이동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할 것이다. 게다가, 돌출부(14)는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와는 별도로 그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돌출부(14)는 이 돌출부가 수용되는 환경에 견디는 한편,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후크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를 견디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재료는 랜딩기어 베이가 노출될 수 있는 온도 범위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돌출부(14)는 표준형 롤러로 이루어지거나, 세부 부품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14)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4)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의 후크들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돌출부(14)는 후크 접촉 하중 및 전단 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는 2개의 후크 또는 커넥터, 즉 상부 후크(16)와 하부 후크(18)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후크(16, 18)는 각 후크 내에 돌출부(14)를 수용하여 돌출부(14)에 대한 각각의 후크의 별개의 이동 및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후크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면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거나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부 후크(16)는 랜딩기어가 랜딩기어 베이 내로 접힐 때에 랜딩기어 도어를 닫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하부 후크(18)는 랜딩기어가 펴져 있을 때에 도어를 다시 닫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후크(16, 18) 및 그 용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시한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는 도 3에서 도면 부호 T로 나타낸 대체로 삼각형으로 도시한 3개의 지점에서 기체 또는 랜딩기어 베이에 연결된다.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도 역시 도 3에 도시한 삼각형 T1에서 기체에 연결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기체에 대한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의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의 부착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는 랜딩기어가 기어 상승 위치와 기어 하강 위치 간에 이동할 때에 도 3에 도시하고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어 개방 모멘트를 제공하여 랜딩기어 베이 도어를 개방하는 한편, 그 도어를 오버 센터 멈춤쇠(over-centre stop)에 대고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압박 수단, 즉 스프링(20)을 포함한다. 그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여분으로 2개의 스프링이 이용되지만, 본 발명이 2개의 스프링의 사용에 한정되진 않는다.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의 반대측 단부에서, 도어 로드(24)가 도어 기구(10)를 랜딩기어 베이 도어에 연결한다. 도어 로드(24)는 반대측 단부에서 하부 후크(18)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베이 도어에 도어 로드(24)를 연결함으로써, 도어 기구(10)가 베이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베이 도어에 대한 도어 로드의 구체적인 연결은 도시하진 않았지만, 도어 로드(24)는 볼트 너트와 구형 베어링을 이용하여 베이 도어에 부착될 수 있다. 베이 도어에 대한 도어 로드(24)의 연결이 그러한 형태의 연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기타 연결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어 로드(24)는 하부 후크(18)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 너트와 구형 베어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연결이 그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 기타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된 상부 및 하부 후크(16, 18)를 살펴보면, 이들 두 후크는 모두 돌출부(14)에 연결되어 이 돌출부(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두 후크(16, 18)는 모두 본체부, 즉 상부 후크 본체부(26) 및 하부 후크 본체부(28)를 포함하며, 이들 본체부는 상부 후크 본체부(26) 및 하부 후크 본체부(28)로부터 각각 멀어지게 연장하는 돌출 후크부, 즉 상부 후크부(30) 및 하부 후크부(32)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후크부(30, 32) 각각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와 연결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된다.
상부 후크부(30) 및 하부 후크부(32)는 모두 후크 형상을 형성하는 도면 부호 33으로 나타낸 2개의 아암을 포함한다. 상부 후크부(30)는 도면에서 상부 후크 본체부(26) 뒤에 다른 하나의 아암이 위치하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아암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부 후크부(30)는 위치 A에서 상부 후크 본체부(26)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후크부(32)는 위치 B에서 하부 후크 본체부(28)에 연결된다.
각각의 후크부에 위치하는 2개의 아암(33)들은 그 사이에 리세스를 형성한다. 각각의 후크부에서 제2의 보다 작은 아암은 어떠한 얼음 축적물이 도어 기구를 잡고 있는 경우에 돌출부(14) 또는 롤러가 제2 아암에 충돌하여 하부 및 상부 후크를 이동시키게 강제할 수 있다. 통상의 작동 조건 중에는 제2 이암이 이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부 및 하부 후크(16, 18), 특히 상부 및 하부 후크부(30, 32)와 아암(33)이 여전히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기능을 하고 돌출부(14)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면 그 구성 요소들에 대해 다른 형상 및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하부 후크(18)에 대한 상부 후크(16)의 연결은 링크 로드(34)에 의해 이루어진다. 링크 로드(34)는 2개의 후크(16, 18)를 연결하여, 이들 후크가 직렬로 작동하는 한편,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게 한다. 게다가, 링크 로드(34)는 상부 후크(16)에서부터 하부 후크(18)를 거쳐 도어 로드(24)로 하중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 도어 로드(24)는 또한 도어 로드가 연결된 도어에 그 하중을 전달하여 도어를 열거나, 대안적으로 하중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가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링크 로드(34)는 2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 후크(16, 18)의 각 단부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품들의 연결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 한정되진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작동에 대해 도면, 특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은 노즈 랜딩기어를 도시하는 것으로, 노즈 랜딩기어 베이의 좌측 도어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 도어는 도면에 도시하고 설명하는 것과는 정반대의 구성을 갖는 도어 기구를 포함할 것이다.
먼저, 랜딩기어가 하강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가 펴진 위치에 있는 경우, 도어는 닫힌 채로 유지된다. 도면 부호 40이 닫힌 도어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위치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도시하지만,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를 포함하고 랜딩기어 베이에 대한 랜딩기어 위치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40)는 하부 후크(18), 특히 하부 후크부(32)에서의 돌출부(14)의 접촉으로 인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랜딩기어가 접히기 시작함에 따라, 돌출부(14)를 구비한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가 도 2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돌출부(14)는 하부 후크(18)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기 시작한다. 스프링(20)의 힘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도록 상부 후크(16)에 작용한다. 스프링(20)의 힘은 상부 후크(16)에 대한 연결 지점에서 끌어당겨져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상부 후크(16)가 회전하게 할 것이다. 일단 돌출부(14)가 하부 후크(18)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기 시작하면, 하부 후크(18)는 자유로이 회전하게 된다. 상부 후크(1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끌어당기는 스프링의 힘은 또한 링크 로드(34)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으로 변환되며, 이 힘은 또한 하부 후크(18)가 돌출부(14)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회전은 하중을 도어 로드(24)를 통해 도어 쪽으로 전달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를 개방할 것이다.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와 돌출부(14)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14)가 더 이상 하부 후크와 접촉하지 않고 아직 상부 후크와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 즉 상부 및 하부 후크(16, 18)가 자유롭게 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에, 상부 후크(1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끌어당기는 스프링(20)의 힘은 상부 후크가 도 3에 도시한 오버-센터 멈춤쇠(42)에 기대지게 할 것이다. 이 위치에서, 도어는 개방되며, 오버-센터 멈춤쇠(42)와 스프링(20)의 힘이 도어가 펄럭이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오버-센터 멈춤쇠(42)가 기체에 연결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 위치에서, 상부 후크(16) 또는 하부 후크(18) 중 어느 것도 돌출부(14)에 연결되거나 맞대지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이중 후크 도어 기구(10)와 랜딩기어 간에 어떠한 연결도 존재하지 않는다.
랜딩기어가 랜딩기어 베이 내로 접힐 때에,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와 돌출부(14)는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궁극적으로 돌출부(14)가 상부 후크(16)와 접촉하게 할 것이다. 돌출부(14)가 상부 후크(16)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와 돌출부(14)의 계속된 반시계 방향 운동은 상부 후크(16)가 도 4에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또한 링크 로드(34)를 위로 잡아 당겨, 하부 후크(18)가 도 4에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것이다. 하부 후크(18)의 반시계 방향 운동은 도어 로드(24)를 도 4의 화살표 I 방향으로 위로 잡아 당겨 도어를 닫히게 당길 것이다. 게다가, 상부 후크(16)의 시계 방향 회전은 스프링(20)을 도 4의 화살표 J 방향으로 연신시키게 된다.
이 때, 랜딩기어는 랜딩기어 베이 내에 완전히 접힌 위치로 있게 되며, 베이 도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된다.
랜딩기어를 하강시킬 경우, 돌출부를 구비한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가 펴지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이 반대로 발생할 것이다.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와 돌출부(14)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상부 후크(1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할 것이다. 이는 또한 하부 후크(18)를 향해 아래쪽으로 링크 로드(34)에 힘을 가하게 되며, 이는 또한 하부 후크(1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것이다. 하부 후크(18)의 시계 방향 회전은 도어를 향해 도어 로드(24)를 아래쪽으로 밀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힘을 도어에 인가할 것이다. 이 단계에서, 랜딩기어 베이 도어는 개방될 것이고, 랜딩기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속 펴질 것이다.
랜딩기어가 계속해서 펴짐에 따라, 돌출부는 상부 후크(16)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여 더 이상 상부 후크와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이 때, 도 3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된다.
랜딩기어가 계속 펴짐에 따라 돌출부(14)는 궁극적으로 하부 후크(18)와 접촉할 것이다. 돌출부(14)가 하부 후크(18)와 연결되는 경우,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12)와 돌출부(14)의 시계 방향 운동은 하부 후크(1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도어 로드(24)에 가해진 힘을 해제시켜 도어에 가해진 하중을 해제함으로써 도어가 닫히게 할 것이다. 이 때, 랜딩기어는 완전히 펴진 위치로 있게 되며, 랜딩기어 도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후크 도어 기구를 포함하도록 기존의 랜딩기어를 개장할 수 있다. 기존의 랜딩기어를 개장하기 위해서는, 이중 후크 도어 기구의 후크들이 연결되도록 전술한 롤러와 같은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상부 브레이스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돌출부의 배치는, 기하학적 형상, 타이어에 대한 도어 타이밍, 하중 및 모멘트 아암을 비롯한 랜딩기어 및 랜딩기어 베이의 초기 구조에 좌우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그러한 요건에 기초하여 랜딩기어에서의 돌출부의 바람직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 후크 도어 기구가 도어를 개폐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 및 여유를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랜딩기어 베이 내에 추가적인 수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 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상세한 설명이 제한적인 의미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은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때에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수정예 또는 실시예 모두를 포함하고자 한 것이다. 게다가, 청구의 범위의 모든 청구항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임의의 공개 문헌, 특허 및 특허 출원은 각각의 공개 문헌, 특허 또는 특허 출원에 대해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개별적으로 나타낸 경우에는 동일한 정도로 참조로 그 전체 내용이 포함된다.
10 : 이중 후크 도어 기구
12 : 상부 드래그 브레이스
14 : 돌출부 또는 롤러
16 : 상부 후크
18 : 하부 후크
20 : 스프링
24 : 도어 로드
26 : 상부 후크 본체부
28 : 하부 후크 본체부
30 : 상부 후크부
32 : 하부 후크부
33 : 아암
34 : 링크 로드

Claims (19)

  1. 항공기의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상기 랜딩기어 베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후크 기구; 및
    상기 랜딩기어 베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기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에 연결되는 제2 후크 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후크 기구는 서로 연결되는 한편,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후크 기구의 회전이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를 개폐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크 기구 각각은 랜딩기어의 접힘 및 펴짐 중에 랜딩기어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작동할 수 있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크 기구 각각의 연결은 랜딩기어 상에 위치한 피벗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기어는 제1 및 제2 후크 기구 각각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벗 핀을 포함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핀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후크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가능한 연결은 해당 후크 기구의 회전이 도어를 개폐하게 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 기구는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에 연결된 도어 로드(door rod)에 연결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7. 항공기 랜딩기어에 이용되는 랜딩기어 도어 기구로서,
    상기 랜딩기어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기구는,
    제1 연결 지점에서 항공기 기체에 연결되어 제1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커넥터; 및
    제1 커넥터 및 랜딩기어 도어에 연결되는 한편 제2 연결 지점에서 항공기 기체에 연결되어, 제2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각각은 해당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독립적으로 랜딩기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의 회전 및 각각의 커넥터의 랜딩기어에 대한 분리 가능한 연결은 랜딩기어 도어의 개폐를 제공하는 것인 랜딩기어 도어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각각 랜딩기어 상의 돌출부와 독립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인 랜딩기어 도어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중 하나와 돌출부의 맞물림은 랜딩기어의 접힘 및/또는 펴짐 중에 해당 커넥터의 회전을 개시시키는 것인 랜딩기어 도어 기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의 회전은 다른 커넥터의 그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의 동시 회전은 항공기 랜딩기어 도어를 개폐하는 것인 랜딩기어 도어 기구.
  11. 항공기의 랜딩기어 베이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상기 랜딩기어 베이 도어에 연결된 도어 로드;
    제1 단부에서 상기 도어 로드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제1 연결 지점에서 랜딩기어 베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 수단; 및
    상기 제1 연결 수단에 연결되는 한편, 제2 연결 지점에서 랜딩기어 베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수단은 랜딩기어 상에 위치한 피벗 지점과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수단 중 하나와 피벗 지점의 연결은 랜딩기어의 접힘 및 펴짐 중에 제1 및 제2 연결 수단을 회전시켜,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를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 로드의 동시 이동을 제공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수단은 각각 랜딩기어 상에 위치한 피벗 지점과 연결되는 후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수단은 제2 연결 수단을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압박하는 압박 수단에 연결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15. 랜딩기어 베이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제1 단부에서 랜딩기어 베이 도어에 연결된 도어 로드;
    제1 연결 지점에서 랜딩기어 베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연결 지점에서 랜딩기어 베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제2 단부에서 도어 로드에 연결된 제2 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서로 연결된 한편,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랜딩기어 상에 위치한 돌출부와 독립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중 하나와 돌출부의 맞물림은 커넥터의 회전을 야기하고, 이 회전은 랜딩기어 베이 도어를 개폐하도록 도어 로드의 이동으로 변환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상기 돌출부와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작동할 수 있는 후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로드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압박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커넥터가 제1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압박하는 스프링에 연결되는 것인 랜딩기어 베이의 도어 개폐 장치.
KR1020117013394A 2008-12-05 2009-12-03 이중 후크 기구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도어 KR201100915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353008P 2008-12-05 2008-12-05
US61/193,530 2008-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538A true KR20110091538A (ko) 2011-08-11

Family

ID=4222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394A KR20110091538A (ko) 2008-12-05 2009-12-03 이중 후크 기구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도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231078B2 (ko)
EP (1) EP2352671B8 (ko)
JP (1) JP2012510913A (ko)
KR (1) KR20110091538A (ko)
CN (1) CN102239085B (ko)
BR (1) BRPI0921264A2 (ko)
CA (1) CA2742167C (ko)
IL (1) IL212828A0 (ko)
RU (1) RU2486103C2 (ko)
WO (1) WO2010063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1538A (ko) * 2008-12-05 2011-08-11 메씨에르-다우티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후크 기구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도어
FR2947526B1 (fr) * 2009-07-03 2012-04-20 Messier Dowty Sa Dispositif pour manoeuvrer des trappes fermant la soute d'un atterriseur d'aeronef
FR2983170B1 (fr) * 2011-11-30 2014-09-19 Airbus Operations Sas Structure avant de fuselage d'aeronef comprenant un train d'atterrissage
EP2644499B1 (en) * 2012-03-27 2014-03-19 Airbus Operations (S.A.S.) Aircraft door install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FR3005030B1 (fr) * 2013-04-25 2016-12-09 Akka Ingenierie Produit Systeme d'ouverture et de fermeture d'une case de train
CN103600837B (zh) 2013-10-25 2016-03-09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用于控制飞机起落架舱门的连杆机构
GB2528131A (en) * 2014-07-11 2016-01-13 Airbus Uk Ltd Door abutment
FR3025492A1 (fr) * 2014-09-05 2016-03-11 Airbus Operations Sas Aeronef comportant deux portes de train d'atterrissage et un systeme de manœuvre desdites portes
FR3045008B1 (fr) * 2015-12-11 2018-01-12 Airbus Operations Procede et systeme pour la commande de trappes avant et arriere couplees d’une case de train d’atterrissage d’aeronef.
US10259568B2 (en) * 2016-12-14 2019-04-16 Goodrich Corporation Non-jamming shrink latch assembly for retractable aircraft landing gear
CN107512387B (zh) * 2017-07-04 2020-04-03 西安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起落架舱门拉杆定力工艺装置及调装方法
FR3082502B1 (fr) * 2018-06-19 2020-09-04 Safran Landing Systems Procede de manœuvre de portes de soute d'atterrisseur d'aeronef
CN110920903B (zh) * 2019-12-09 2023-11-28 中航沈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舱门通风口盖除冰机构
CN114248912A (zh) * 2020-09-22 2022-03-29 海鹰航空通用装备有限责任公司 用于小型固定翼无人机的起落架收放与舱门联动机构
CN114368474B (zh) * 2022-01-17 2023-08-15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起落架舱门顺序收放联动机构以及联动方法
CN114275150A (zh) * 2022-01-19 2022-04-05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用于辅助起落架应急放的舱门装置及包括该装置的飞机
CN114802720A (zh) * 2022-02-18 2022-07-29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起落架护板联动机构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2251A (en) * 1942-03-19 1948-10-26 North American Aviation Inc Retractable landing gear fairing
US2567114A (en) * 1945-05-07 1951-09-04 Curtiss Wright Corp Latch mechanism
US2538878A (en) * 1948-02-05 1951-01-23 Curtiss Wright Corp Retractable landing gear
US2668031A (en) * 1950-09-13 1954-02-02 North American Aviation Inc Aircraft arresting gear
US2630990A (en) * 1951-03-01 1953-03-10 Glenn L Martin Co Retractable landing gear
US2661171A (en) * 1951-10-11 1953-12-01 Glenn L Martin Co Up and down lock mechanism for retractable landing gear for aircraft
US2670156A (en) * 1951-11-02 1954-02-23 John R Clark Catapult hook mechanism
US2937541A (en) * 1956-01-17 1960-05-24 Charles B Barlow Fail-safe up lock mechanism
FR2036686B1 (ko) * 1969-01-31 1974-02-22 Messier Hispano Sa
FR2061559B2 (ko) * 1969-06-27 1974-06-14 Messier Hispano Sa
JP3147539B2 (ja) * 1992-10-05 2001-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航空機の降着装置
RU2133694C1 (ru) * 1997-10-14 1999-07-27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творка ниши шасс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6027070A (en) * 1998-02-17 2000-02-22 Triumph Controls, Inc. Aircraft landing gear manual release assembly
US6367253B2 (en) * 1999-12-20 2002-04-09 Las, L.L.C. Shape memory alloy actuators for aircraft landing gear
US6345786B1 (en) * 2000-03-03 2002-02-12 The Boeing Company Linked multi-segment landing gear door for aircraft
US6352221B1 (en) * 2000-03-03 2002-03-05 The Boeing Company Rotary landing gear assembly
FR2836669B1 (fr) * 2002-03-04 2004-12-03 Messier Bugatti Dispositif d'accrochage, notamment pour l'accrochage d'un train d'atterrissage d'aeronef ou d'une trappe de train d'atterrissage d'aeronef
FR2836668B1 (fr) * 2002-03-04 2004-12-03 Messier Bugatti Dispositif d'accrochage, notamment pour l'accrochage d'un train d'atterrissage d'aeronef ou d'une trappe de train d'atterrissage d'aeronef, et procede de fonctionnement dudit dispositif
GB0208963D0 (en) * 2002-04-19 2002-05-29 Bae Systems Plc Landing gear door assembly
FR2866314B1 (fr) * 2004-02-13 2007-04-27 Airbus France Trappe de train d'atterrissage a cinematique controlee
DE102004036184A1 (de) * 2004-07-26 2006-02-16 Eurocopter Deutschland Gmbh Flugzeugtür-Anordnung mit einer um 180° schwenkenden Flugzeugtür
GB0511417D0 (en) * 2005-06-03 2005-07-13 Airbus Uk Ltd Landing gear
FR2886620B1 (fr) * 2005-06-07 2008-12-19 Airbus France Sas Systeme d'ouverture et de fermeture de trappe pour case de train d'atterrissage d'un aeronef
FR2893587B1 (fr) * 2005-11-21 2009-06-05 Airbus France Sas Case de train a structure dissociee
US8814094B2 (en) * 2008-04-04 2014-08-26 Tactair Fluid Controls, Inc. Locking mechanism with bi-modal actuator
KR20110091538A (ko) * 2008-12-05 2011-08-11 메씨에르-다우티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후크 기구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2671B8 (en) 2015-07-29
US20120292443A1 (en) 2012-11-22
CN102239085A (zh) 2011-11-09
CA2742167A1 (en) 2010-06-10
WO2010063110A1 (en) 2010-06-10
EP2352671A1 (en) 2011-08-10
JP2012510913A (ja) 2012-05-17
EP2352671A4 (en) 2014-02-19
US20100140395A1 (en) 2010-06-10
RU2486103C2 (ru) 2013-06-27
RU2011127503A (ru) 2013-01-10
CA2742167C (en) 2017-07-11
IL212828A0 (en) 2011-07-31
CN102239085B (zh) 2013-12-25
BRPI0921264A2 (pt) 2018-10-23
US8453965B2 (en) 2013-06-04
EP2352671B1 (en) 2015-04-15
US8231078B2 (en)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1538A (ko) 이중 후크 기구를 갖는 랜딩기어 베이 도어
EP3354564B1 (en) Single axle, semi-levered landing gear with shortening mechanism
US20130299633A1 (en) Landing gear for an aircraft
CA2992561C (en) Load-resistant spoiler mechanism for vehicle
EP2274201B1 (en) Spoiler deployment mechanism
RU2448018C2 (ru) Дверь для открытия и закрытия дверного проема в воздушном судне
US2012008055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landing gear assembly with a breaker strut
EP3000720B1 (en) Aircraft door actuator system
CN107792344B (zh) 飞行器的襟翼板的偏转机构
JP2013522120A (ja) セミレバー式着陸装置および関連方法
EP3789289B1 (en) Double over center crankshaft flap mechanism
CN103600837A (zh) 用于控制飞机起落架舱门的连杆机构
RU2720922C2 (ru) Механизм управления створкой шасс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узлом аварий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US8231079B2 (en) Aerodynamic braking device for aircraft
US11312474B2 (en) Flap actuation system with support catcher link
CN104015921A (zh) 飞行器舱门设备及包括该飞行器舱门设备的飞行器
JPS64700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