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169A - 트롤 어구 - Google Patents

트롤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169A
KR20110090169A KR1020100009805A KR20100009805A KR20110090169A KR 20110090169 A KR20110090169 A KR 20110090169A KR 1020100009805 A KR1020100009805 A KR 1020100009805A KR 20100009805 A KR20100009805 A KR 20100009805A KR 20110090169 A KR20110090169 A KR 20110090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frame
inclined plate
trawl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184B1 (ko
Inventor
김성
오지나
심재설
이윤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0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1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네트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 내에 측면 프레임의 전·하단으로부터 후·상단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판을 구비한 트롤 어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롤 어구는 경사판의 갯수 및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심해에서 유영능력이 큰 해양생물을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롤 어구{Trawl fishing gear}
본 발명은 트롤 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트롤 어구에 구비된 네트의 모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바다의 중층에서 유영능력이 큰 해양생물을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트롤 어구에 관한 것이다.
트롤(trawl)식 어업이란 줄이 달린 네트를 수평방향으로 끌어 어획하는 방법으로, 주로 선박의 후미에 자루형 네트를 구비한 트롤 어구를 장착하여 바다에 서식하는 어류를 어획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트롤 어구의 사시도인 도 1 및 종래 기술에 따른 트롤 어구의 바닷속에서의 궤적을 나타낸 개념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선박(10)의 후미에 장착되는 상기 트롤 어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의 후미와 상기 네트(40)를 연결하는 끌줄(30) 및 후릿줄(21)과, 네트(40)의 개구부가 좌우로 벌어지도록 상기 끌줄(30)과 후릿줄(21)사이에 설치되는 전개판(20)과, 상기 네트(40)의 개구부가 상하로 벌어지도록 상기 네트(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부이(22) 및 추(23)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트롤 어구는 선박(10)의 속도에 따라 상기 네트(40)의 개구부의 크기가 달라지는 바, 상기 네트(40)의 모양이 달라져 상기 선박(10)의 이동거리에 따른 어획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트롤 어구를 이용하면, 상기 전개판(20)과, 부이(22) 및 추(23)의 무게로 인해 상기 트롤 어구를 바다에 던지거나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개판(20)과, 부이(22) 및 추(23)의 무게를 가볍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트롤 어구가 바다의 중층까지 가라앉지 않으므로 바다의 중층에서 어획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네트(40)의 앞에 위치한 끌줄(30)이 만드는 와류와 진동이 끌줄(30) 주변의 소형생물이나 어류를 흩어지게 하여 또한, 바다의 중층에서 유영능력이 큰 소형 해양생물을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는 끌줄(30)의 길이를 길게 한다고 하더라도 부력 등에 의해 네트(40)가 깊게 내려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최고 깊이에 도달한 이후 네트(40)를 회수할 때의 네트의 궤적(L)이 도 2와 같기 때문이다.
즉, 적정 깊이로 도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네트(40)를 회수하는 순간 네트가 거의 수직 방향으로 떠올라 각 수층의 대표성을 상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바다의 중층(심해)에서 어획이 가능하며, 유영능력이 큰 소형 해양생물 등을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트롤 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구조를 갖는 중앙 프레임과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네트 프레임, 일단은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네트 프레임의 전단에 체결되는 끌줄, 개구부가 상기 네트 프레임의 후단에 체결되는 자루형 네트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하단으로부터 후·상단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측면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트롤 어구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네트 프레임 상부에는 상기 선박이 이동할 때 상기 네트 프레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부이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판의 일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하단 모서리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판의 타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상단 모서리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판은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 프레임은 상기 경사판의 하측 일단과 상측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 프레임에 체결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프레임, 측면 프레임, 보조 프레임 또는 경사판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판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면에 대해 40도 내지 50도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의 모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동거리에 따른 어획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네트 프레임과 경사판을 설치하고 그 각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중층(심해)에서 조업이 가능하며, 유영능력이 큰 소형 해양생물 등을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토롤 어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롤 어구의 바닷속에서의 궤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트롤 어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의 바닷속에서의 궤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의 바닷속에서의 궤적을 측정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구조를 갖는 중앙 프레임과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네트 프레임; 일단은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전단에 체결되는 끌줄; 개구부가 상기 네트 프레임의 후단에 체결되는 자루형 네트;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하단으로부터 후·상단을 향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트롤 어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는 크게 네트 프레임(200), 끌줄(300), 네트(400) 및 경사판(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 프레임(200)은 후술할 네트(400)의 개구부가 해수의 영향으로 줄어들거나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네트(400)의 모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선박 이동거리에 따른 어획량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네트 프레임(200)은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구조를 가진 중앙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20, 230)으로 구성된다.
즉, 중앙 프레임(210) 및 측면 프레임(220, 230)은 바(bar) 또는 파이프(pipe)로 직사각형 형상의 골조를 형성하고 이를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로 완성함으로써, 네트 프레임의 이동 방향이 되는 전단, 해저를 향하는 하단, 해수면을 향하는 상단 및 네트(400)가 체결되는 후단을 구획하게 된다.
측면 프레임(220, 230)은 중앙 프레임(210)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210)에 연결 또는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프레임(220, 230)은 중앙 프레임(210)과 일체로 연결 또는 조립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면부호 215, 216으로 표시된 바 또는 파이프는 중앙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20, 230)의 측면을 동시에 구획하게 된다.
상기 중앙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20, 230)을 구성하는 바 또는 파이프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은 물론 플라스틱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과 플라스틱 재질을 병용할 수도 있다.
끌줄(300)의 일단은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네트 프레임(200)의 전단에 체결되어, 선박의 이동시 상기 네트 프레임(200)과 이에 체결된 네트(400)를 끌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네트 프레임(200)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네트 프레임(200)의 대칭되는 위치에 끌줄(300)을 2개 이상 체결한다. 특히, 상기 끌줄(300)의 타단은 상기 네트프레임(200)의 좌·우측면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후술하는 경사판(500)의 작용에 따라 상기 네트(400)의 이동방향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는 끌줄(300)이 중앙 프레임(210)의 좌·우측면 중앙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측면 프레임(220, 230)의 양 끝쪽 중앙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끌줄(300)은 상기 선박의 빠른 이동에 의하여도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내구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한편, 네트(400)는 전광후협의 자루형상을 가진 그물망으로써, 상기 네트 프레임(200)을 통해 들어온 어획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네트(400)는 개구부가 상기 중앙 프레임(210)의 후방에 체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반대편에는 수용된 상기 어획물을 저장할 수 있는 끝자루 네트(4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경사판(500)은 선박의 이동에 따른 해수와의 작용 및 반작용을 통해 상기 네트(400)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측면 프레임(220, 230)의 전·하단으로부터 후·상단을 향하여 측면 프레임(220, 230)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선박이 이동하면, 상대적으로 해수가 상기 선박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고, 이러한 해수의 상대적인 흐름에 의한 수압은 상기 경사판(500)을 밀어내어, 경사판(500)이 체결된 상기 네트 프레임(200)을 이동시킴으로써, 네트 프레임(200)에 체결된 네트(400)의 이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500)의 일단이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하단 모서리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판의 타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상단 모서리에 체결되는 경우, 네트 프레임(200)을 통과하는 해수가 상기 경사판(500)의 경사면을 따라 주변의 해수보다 위쪽으로 흐르게 되고, 상기 해수의 상대적인 흐름에 의해 상기 경사판(500)은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판(500)이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되면, 경사판(500)이 체결된 상기 네트 프레임(200)은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상기 네트 프레임(200)에 체결된 상기 네트(400)는 바다의 중층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를 이용하여 바다의 중층에서 어획하는 경우에 유리하며, 특히, 상기 네트 프레임(200)이 가벼운 소재로 만들어지더라도 바다의 중층 내지 심해에서의 어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사판(500)에 의하여 상기 네트 프레임(200)이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상기 네트 프레임(200)에 별도의 추 또는 그 밖의 무게를 조절하는 장치를 더 구비할 필요성이 없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의 무게를 더욱 가볍게 할 수 있다.
즉, 경사판(500)이 추의 역할도 하게 되어 네트 프레임(200) 및 네트(400)가 재부유하는 것을 방지하며, 경사판(500)의 효율이 높아 네트(400)를 깊은 수심까지 내릴 때 끌줄(30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판(500)을 통해 네트(4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트롤 어구를 이용하여 어획하고자 하는 바다의 어획지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중층(심해)에서의 어획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네트 프레임(200)의 전방에 위치한 끌줄(300)이 네트 프레임(200) 입구의 상부에 좌우 끝단에 위치하여 선박의 이동시 끌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와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어획할 수 있다.
경사판(50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은 물론 플라스틱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측면 프레임(220, 230)에 용접하거나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네트 프레임(200)과 그에 딸린 네트(400)의 깊이 및 궤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경사판(500)의 각도가 중요하다.
본 출원인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경사판(500)이 측면 프레임(220, 230)의 하면으로부터 40도 내지 50도가 되어야 심해에서의 어획 작업이 용이하며 선박에서 네트를 끌 때 네트의 궤적이 V자형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부이(600)는 네트 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네트 프레임(200)의 균형을 잡아주어 수중에서 네트(4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부이(600)는 네트 프레임(200) 상단의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경사판(500)에 의한 네트(400)의 이동방향 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다의 중층에 서식하는 어류를 어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다의 표층에서 어획하고자 하는 경우보다 그 부이(600)의 갯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이(600)를 설치하지 않고 네트 프레임(200)의 하부에 추를 연결하여 네트 프레임(200)의 균형을 잡아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트롤 어구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단히 설명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는 네트 프레임(200), 끌줄(300), 네트(400) 및 경사판(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 프레임(200)은 중앙 프레임(210), 측면 프레임(220, 230) 및 경사판(500)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250, 260)을 포함하며, 네트(400)의 개구부가 해수의 영향으로 줄어들거나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네트 프레임에 설치된 경사판(500) 등에 의해 네트(400)의 깊이 및 궤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 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중앙 프레임(210), 측면 프레임(220, 230) 및 보조 프레임(250, 260)은 바(bar) 또는 파이프(pipe)로 제작되어 직사각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를 형성한다.
보조 프레임(250, 260)은 측면 프레임(220, 230)과 별도로 제작되어 측면 프레임(220, 230)에 연결 또는 조립될 수도 있고, 측면 프레임(220, 23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중앙 프레임(210), 측면 프레임(220, 230) 및 보조 프레임(250, 26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은 물론 플라스틱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과 플라스틱 재질을 병용할 수도 있다.
경사판(500)은 선박의 이동에 따른 해수와의 작용 및 반작용을 통해 상기 네트(400)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측면 프레임(220, 230)의 전·하단으로부터 후·상단을 향하여 측면 프레임(220, 230) 내부에 경사지게 복수개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는 4개의 경사판(500)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2개, 3개 및 5개 이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경사판(500)의 고정을 원활히 하기 위해 보조 프레임(250, 26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프레임(250, 260)은 경사판(500)의 하측 일단과 상측 타단을 지지하여 고정시켜 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례를 설명하면, 4개(좌우 8개)의 경사판(500)이 존재하며 보조 프레임(250, 260)은 경사판(500)의 갯수보다 하나 적은 3개(좌우 6개)존재한다.
경사판(500)의 일단은 보조 프레임(250, 260)의 전·하단 모서리에 체결되고, 타단은 한 단계 위에 존재하는 보조 프레임(250, 260)의 후·상단 모서리에 체결된다.
다만, 가장 아래쪽에 존재하는 경사판(500)의 일단은 측면 프레임(220, 230)의 전·하단 모서리에 체결되고 타단은 보조 프레임(250, 260)에 체결되고, 가장 위쪽에 존재하는 경사판(500)의 일단은 보조 프레임(250, 260)에 체결되고 타단은 측면 프레임(220, 230)의 후·상단 모서리에 체결된다.
네트 프레임(200)을 통과하는 해수가 경사판(500)의 경사면을 따라 주변의 해수보다 위쪽으로 흐르게 되고, 상기 해수의 상대적인 흐름에 의해 상기 경사판(500)은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판(500)이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되면, 경사판(500)이 체결된 상기 네트 프레임(200)은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상기 네트 프레임(200)에 체결된 상기 네트(400)는 바다의 중층으로 쉽게 이동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를 이용하여 바다의 중층에서 어획하는 경우에 유리하며, 특히, 상기 네트 프레임(200)이 가벼운 소재로 만들어지더라도 바다의 중층 내지 심해에서의 어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500)에 의하여 상기 네트 프레임(200)이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상기 네트 프레임(200)에 별도의 추 또는 그 밖의 무게를 조절하는 장치를 더 구비할 필요성이 없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의 무게를 더욱 가볍게 할 수 있다.
즉, 경사판(500)이 추의 역할도 하게 되어 네트 프레임(200) 및 네트(400)가 재부유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경사판(50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은 물론 플라스틱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네트 프레임(200)과 그에 딸린 네트(400)의 깊이 및 궤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경사판(500)의 각도(α)가 중요하다.
본 출원인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경사판(500)의 각도(α)가 40도 내지 50도가 되어야 심해에서의 어획 작업이 용이하며 선박에서 네트를 끌 때 네트의 궤적이 V자형을 형성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판(500)을 통해 상기 네트(400)의 이동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트롤 어구를 이용하여 어획하고자 하는 바다의 어획지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심해에서의 어획 작업이 가능하다.
끌줄(300)의 일단은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네트 프레임(200)의 전단에 체결되어, 선박의 이동시 상기 네트 프레임(200)과 이에 체결된 네트(400)를 끌어주는 역할을 한다.
네트(400)는 전광후협의 자루형상을 가진 그물망으로써, 상기 네트 프레임(200)을 통해 들어온 어획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네트(400)는 개구부가 상기 후방프레임(220)에 체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반대편에는 수용된 상기 어획물을 저장할 수 있는 끝자루 네트(4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부이(600)는 네트 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네트 프레임(200)의 균형을 잡아주어 수중에서 네트(4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부이(600)는 상기 네트 프레임(200) 상단의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경사판(500)에 의한 네트(400)의 이동방향 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다의 중층에 서식하는 어류를 어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다의 표층에서 어획하고자 하는 경우보다 그 부이(600)의 갯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이(600)를 설치하지 않고 네트 프레임(200)의 하부에 추를 연결하여 네트 프레임(200)의 균형을 잡아줄 수도 있다.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 어구를 사용했을 때의 네트의 궤적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그 실측값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트롤 어구는 경사판을 설치함으로써, 선박(100)이 네트 프레임(200)과 그에 연결된 네트(400)을 끌면서 끌줄(300)을 내리고 회수하는 과정에서 네트 프레임(200)과 그에 연결된 네트(400)의 궤적(L)이 'V'자형을 그리도록 할 수 있어 심해에서 유영능력이 큰 소형 해양생물을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트롤 어구를 제작(경사판의 각도는 45도)하여 남해의 이어도 주변에서 실시하였고, 네트의 이동궤적을 수심기록계로 측정하였다(도 7).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네트의 이동궤적은 표층과 수심 44 m의 깊이에서 완벽한 “V"형이었다(도 7의 노랑색 실선의 네트의 이동 궤적,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수심을 나타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의 모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동거리에 따른 어획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네트 프레임과 경사판을 설치하고 그 각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중층(심해)에서 조업이 가능하며, 유영능력이 큰 소형 해양생물 등을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선박 200 : 네트 프레임
210 : 중앙 프레임 220, 230 : 측면 프레임
250, 260 : 보조 프레임 300 : 끌줄
400 : 네트 500 : 경사판
600 : 부이

Claims (7)

  1.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구조를 갖는 중앙 프레임과 직육면체 형상의 골조구조를 가지며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네트 프레임;
    일단은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네트 프레임의 전단에 체결되는 끌줄;
    개구부가 상기 네트 프레임의 후단에 체결되는 자루형 네트;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하단으로부터 후·상단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측면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경사판
    을 포함하는 트롤 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프레임 상부에는 상기 선박이 이동할 때 상기 네트 프레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부이가 존재하는 트롤 어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의 일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전·하단 모서리에 체결되고, 상기 경사판의 타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후·상단 모서리에 체결되는 트롤 어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복수개 존재하는 트롤 어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프레임은 상기 경사판의 하측 일단과 상측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경사판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 프레임에 체결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트롤 어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 측면 프레임, 보조 프레임 또는 경사판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트롤 어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면에 대해 40도 내지 50도 경사진 트롤 어구.
KR1020100009805A 2010-02-03 2010-02-03 트롤 어구 KR101085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05A KR101085184B1 (ko) 2010-02-03 2010-02-03 트롤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05A KR101085184B1 (ko) 2010-02-03 2010-02-03 트롤 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169A true KR20110090169A (ko) 2011-08-10
KR101085184B1 KR101085184B1 (ko) 2011-11-18

Family

ID=4492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805A KR101085184B1 (ko) 2010-02-03 2010-02-03 트롤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1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0946A (zh) * 2016-06-13 2016-08-31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单船南极磷虾拖网结构
CN111387148A (zh) * 2020-04-15 2020-07-10 广州鸿海海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磷虾捕捞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9073A (ja) 1982-02-15 1983-08-18 Hitachi Denshi Ltd オシロスコ−プ
JP3398756B2 (ja) 1998-09-30 2003-04-21 独立行政法人水産総合研究センター 潜行板付きトロール網
KR200204976Y1 (ko) 2000-06-07 2000-12-01 김종율 트롤망
KR100646453B1 (ko) 2006-06-02 2006-11-23 대한민국 해파리 분리 및 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0946A (zh) * 2016-06-13 2016-08-31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单船南极磷虾拖网结构
CN111387148A (zh) * 2020-04-15 2020-07-10 广州鸿海海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磷虾捕捞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184B1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3547B2 (ja) 半潜水型養殖システム
US11445708B2 (en) Floating marine plant for containing marine organisms
EP0393276B1 (en) Spar buoy pen system
EP3209124B1 (en) Submersible cage for aquaculture and method of adjusting the depth of said cage
JP7105292B2 (ja) 自動ケージネット沈下システム
PT1779723E (pt) Exploração submersível
JP2010029177A (ja) 外海用水中養殖装置
KR101845500B1 (ko) 잠수형 가두리장치
KR101085184B1 (ko) 트롤 어구
CN104488774B (zh) 复合式网箱
KR100991372B1 (ko) 트롤어구
JP6468885B2 (ja) 浮魚礁の本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浮魚礁
JP2004016118A (ja) 水中生物捕獲装置
JP5028632B2 (ja) 網口傾斜維持型トロール網採集装置
EP37970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ructure suspended in water
KR101111214B1 (ko) 웨빙이 적용된 끌그물식 어망
JP2000102333A (ja) 潜行板付きトロール網
CN209151983U (zh) 一种笼式养鱼装置
JP6578552B1 (ja) 開閉式浮沈生簀
JP7185244B1 (ja) 浮遊物捕集装置
CN216722782U (zh) 淡水渔业资源监测调查拖网
KR100291982B1 (ko) 내파성 가두리양식장
CN219812204U (zh) 一种高度可调拖曳式海底摄像装置
CN216164455U (zh) 一种用于海上网箱养殖的挡流装置
CN215736427U (zh) 一种能够降低洋流影响的海产品人工养殖用网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