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097A - 매체 자동지급기용 매체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자동지급기용 매체 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097A
KR20110090097A KR1020100009682A KR20100009682A KR20110090097A KR 20110090097 A KR20110090097 A KR 20110090097A KR 1020100009682 A KR1020100009682 A KR 1020100009682A KR 20100009682 A KR20100009682 A KR 20100009682A KR 20110090097 A KR20110090097 A KR 2011009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dia
medium
cas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0000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0097A/ko
Publication of KR2011009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07D7/162Length or width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권종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세트는, 내부에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20)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고정되고 매체의 일측이 접하는 고정가이드(24);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매체의 타측에 접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26)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가이드(26)와 고정가이드(24) 사이의 간격이 매체의 길이가 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가이드의 위치를 판별하여 매체의 길이를 파악한다. 권종에 따라 매체는 상이한 길이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정확한 권종의 판별이 가능하게 되고, 이동가이드의 위치감지는 광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체 자동지급기용 매체 판별장치{Media discriminating device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 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급하기 위한 매체를 집적하고 있는 카세트 내부에 집적된 매체의 권종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매체 자동지급기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매체자동지급기는 현금 등과 같은 매체의 입금 및 출금을 수행하는 기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에는 출금될 매체를 집적하고 있는 카세트가 내장되어 있다. 먼저 일반적인 카세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매체자동지급기의 내부에 설치된 카세트는, 일정한 형상의 케이싱(10)의 내부에는 매체의 집적을 위한 집적공간(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한 권종의 매체(m)가 카세트의 내부에 집적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매체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집적되어 있는데, 도 1에서 도면부호 L은, 매체의 길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매체(m)는 밀판(14)에 의하여 입구측으로 지지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스프링(s)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판(14)이 매체를 카세의트 입구 측으로 매체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집적공간(2)의 내부에 집적되어 있는 매체(m)의 상태를 보면, 케이싱(10)의 내부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12) 사이에서 매체는 길이방향(L)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밀판(14)에 의하여 입구 측으로 가압되는 지폐는 픽업롤러(16)에 의하여 픽업되어 입구(4)를 통하여 방출시킨다. 이 때 상기 매체(m)는 길이방향이 아닌 폭 방향으로 픽업되고 이송된다. 상기 픽업롤러(16)는 매체(m)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게 되고, 픽업된 매체는 도시하지 않은 이송롤러를 통하여 배출되어 소정의 경로를 따라 안내된 후 사용자에게 지급된다. 상기 이송롤러와 픽업롤러(16)는 일반적으로 벨트 구동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카세트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내부에 집적되어 있다가 외부로 배출될 때, 매체의 권종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권종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카세트는 권종에 따라서 복수 개가 매체자동지급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현재까지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출금되는 매체의 권종은 다양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권종이 발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출금되어야 하는 매체의 종류도 많아지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자동지급기 내부에는 만원권이 집적되어 있는 카세트와 오만원권이 집적되어 있는 카세트가 각각 장착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원하는 권종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만원권이 집적되어 있어야 하는 카세트에 오만원권이 집적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원하는 매수를 출금하게 되면 상술한 종래의 구성에 의해서는 권종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집적된 매체의 권종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매체자동지급기용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용 매체판별장치는, 내부에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고정되고 매체의 일측이 접하는 고정가이드;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매체의 타측에 접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 상기 이동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고정가이드와의 사이에 있는 매체의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이동가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고, 각각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센서와; 상기 발광소자에서의 광을 수광소자로 입사시키기 위하여, 이동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프리즘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가 매체의 타측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유지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가이드가 고정가이드 측으로 향하여 이동가능한 일방향 치형을 구비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이동가이드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자동지급기는, 이동가이드를 이용하여 카세트 내부에 집적된 매체의 권종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정확하게 대응하여 거래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잘못된 권종의 매체가 지급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다양한 권종에 대해서도, 신뢰도가 높은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의 카세트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카세트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B방향에서 본 예시도.
도 4는 도 2의 A방향에서 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용 카세트는, 내부에 매체의 집적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케이싱(2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20)은 매체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구(23)을 구비하고,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매체를 외부로 픽업하여 배출하기 위한 픽업롤러(32)가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롤러(32)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여, 외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0)의 내부 일측면에는 고정가이드(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24)는 매체의 일측면이 접촉하여 실질적으로 매체를 정렬하는 면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가이드(24)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매체(m)는 밀판(22)에 의하여 출입구 측으로 가압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판(22)은 탄성부재(28)에 의하여 매체를 상술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가이드(24)와 대향하는 측에는 이동가이드(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26)는 케이싱(20)의 내부에서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가이드(24)와의 사이에서 매체(m)를 길이 방향으로 정렬하고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24)와 이동가이드(26) 사이에서 매체(m)는 길이(L)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26)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의 전방지지부(31)와 후방지지부(33)에는 각각 탄성부재(34,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34,35)는 매체(m)의 길이에 따라 이동량이 상이한 상기 이동가이드(26)의 이동량을 수용하고,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가이드(26)를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이동가이드(26)는, 고정가이드(24)와의 사이에서 정렬되어 있는 매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카세트 내부에 집적되어 있는 매체의 권종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동가이드(26)는 상기 케이싱(20)의 내부에서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가이드(24)와의 사이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매체(m)의 길이에 대응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이드(26)는, 고정가이드(24) 측으로 이동하여, 매체(m)의 일측에 접촉되면 그 상태에서 상기 이동가이드(26)가 멈출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A 방향에서 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의 후면에 일방향 치형(42)을 구비하는 플레이트(44)를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44)는 탄성부재(46)에 의하여 상기 이동가이드(26)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이동가이드(26)는 고정가이드(24) 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일방향 치형을 타고 넘을 수는 있지만, 그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44)는 탄성부재(46)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일방향치형(42)는 상기 이동가이드(26)가 고정가이드(24) 측으로 타고 넘을 수 있는 치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가이드(26)는 상기 일방향치형(42)을 타고 넘어서 고정가이드(24)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상기 이동가이드(26)가 이동하여 매체(m)의 일측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고정가이드(24)와 이동가이드(26)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매체의 길이와 동일하게 된다. 참고로 지폐의 예를 들면, 현재 발행되고 있는 지폐의 길이는 권종에 따라서 일정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이동가이드(26)를 설치하고, 고정가이드(24)와의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매체의 길이(L)를 판단하고, 이러한 매체의 길이에 기초하여 고정가이드(24)와 이동가이드(26) 사이에 있는 권종을 판별하고자 한다.
상기 고정가이드(24)는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가이드(26)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가이드(24) 사이의 간격, 즉 매체의 길이(L)를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매체의 길이에 대한 정보는 미리 매체자동지급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이동가이드(26)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가이드(26)의 외측에 프리즘(30)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30)의 양측단부에는 발광소자(52)와 수광소자(54)로 구성되는 광센서(50)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52)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프리즘(30)을 경유하여 수광소자(54)로 입사될 것이고, 수광소자(54)는 이렇게 입사되는 광량에 기초하여 이동가이드(26)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센서(50)는 카세트 케이싱(2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발광소자(52)와 수광소자(54)로 구성되는 광센서(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센서(50)는 권종에 대응하는 수만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 개의 광센서(50) 중에서, 상기 프리즘(30)을 경유하면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수광소자(54)는, 상기 이동가이드(26)의 현재 위치에 의하여 하나가 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하나의 수광소자(54)에 입사되는 광량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즘(30)의 위치, 즉 이동가이드(26)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동가이드(26)의 위치를 파악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체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리즘(30)과 광센서(50)는 상기 이동가이드(26)의 현재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26)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가이드(24)와 이동가이드(26) 사이에 있는 매체의 길이를 알 수 있음도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실시예 이외에도, 상기 이동가이드(26)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광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프리즘(30)을 대신하여 반사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광센서 이외에도, 상기 이동가이드(26)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스위칭소자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일정한 간격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이동가이드(26)의 일단부와 접촉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스위칭소자를 케이싱(2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 이동가이드(26)의 현재 위치를 감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의 케이싱 내부에 고정된 고정가이드(24)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가이드(26)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가이드(24)와 이동가이드(26) 사이에 위치하는 매체(m)의 길이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매체의 길이에 기초하여 카세트 내부에 집적되어 있는 권종을 판단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20 ..... 케이싱 22 .... 밀판
24 ..... 고정가이드 26 ..... 이동가이드
28 ..... 탄성부재 30 ..... 프리즘
32 ..... 픽업롤러 42 ..... 일방향치형
44 ..... 플레이트 46 ..... 탄성부재
50 ..... 광센서 52 ..... 발광소자
54 ..... 수광소자

Claims (4)

  1. 내부에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고정되고 매체의 일측이 접하는 고정가이드;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가이드와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매체의 타측에 접할 수 있는 이동가이드;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고정가이드와의 사이에 있는 매체의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매체판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이동가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고, 각각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는 광센서와; 상기 발광소자에서의 광을 수광소자로 입사시키기 위하여, 이동가이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프리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매체판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가 매체의 타측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매체판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이동가이드가 고정가이드 측으로 향하여 이동가능한 일방향 치형을 구비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이동가이드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용 매체판별장치.
KR1020100009682A 2010-02-02 2010-02-02 매체 자동지급기용 매체 판별장치 KR20110090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82A KR20110090097A (ko) 2010-02-02 2010-02-02 매체 자동지급기용 매체 판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682A KR20110090097A (ko) 2010-02-02 2010-02-02 매체 자동지급기용 매체 판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097A true KR20110090097A (ko) 2011-08-10

Family

ID=4492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682A KR20110090097A (ko) 2010-02-02 2010-02-02 매체 자동지급기용 매체 판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00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13B1 (ko) * 2011-09-15 2013-04-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와 방법
KR101280658B1 (ko) * 2011-11-10 2013-07-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US9142076B2 (en) 2011-08-08 2015-09-22 Lg Cns Co., Ltd. Media case and bank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2076B2 (en) 2011-08-08 2015-09-22 Lg Cns Co., Ltd. Media case and banking machine
KR101254313B1 (ko) * 2011-09-15 2013-04-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와 방법
KR101280658B1 (ko) * 2011-11-10 2013-07-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4946A1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JP2012226494A (ja) 紙葉類処理装置
JP6424328B2 (ja) カード処理装置
KR101534412B1 (ko) 매체 처리 장치
JP5650317B2 (ja) 紙幣処理装置
US20100263983A1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WO2016076048A1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10090097A (ko) 매체 자동지급기용 매체 판별장치
JP6281406B2 (ja) 厚み検出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60000188A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WO2016059839A1 (ja) 媒体収容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H10291691A (ja) 複数の重なり合ったシート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現金支払い機構
JP2007210718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その保守システム
JP6398592B2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2021105894A (ja) 紙葉類処理装置
JP6424366B2 (ja) カード処理装置
KR101275926B1 (ko) 다발 반송 장치 및 지엽류 취급 장치
JP4250929B2 (ja) ゲーム場の台間装置
JP2018088071A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304528B1 (ko) 지폐 집적 배출수단을 구비한 출금기
KR102008574B1 (ko) 지폐집적장치
JP6983303B2 (ja) 紙葉類分離装置及び紙葉類分離方法
JP2020060940A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KR20150063213A (ko) 매체 처리 장치
JP6409525B2 (ja) 帯電防止機構及び媒体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