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725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8725A KR20110088725A KR1020100008358A KR20100008358A KR20110088725A KR 20110088725 A KR20110088725 A KR 20110088725A KR 1020100008358 A KR1020100008358 A KR 1020100008358A KR 20100008358 A KR20100008358 A KR 20100008358A KR 20110088725 A KR20110088725 A KR 201100887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ssification code
- user
- risk
- portable terminal
- predetermined mess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6 working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은,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의 전송에 대해 인증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번호가 유효할 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험상황을 간단하게 신고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범죄 발생 증가로 인해, 다양한 범죄예방 도구나 범죄 퇴치를 위한 수단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상호루라기나, 가스총, 고압발생기, 비상 조명기 등도 제시되고 있지만, 이러한 도구들은 범인과 직접 마주선 상태에서는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쉽지 않고, 아울러 범인을 퇴치하지 못하는 경우 직접적으로 범인과 대치해야 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더욱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생활필수품처럼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신고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지역 및 위치설명을 설명하여 범죄신고를 할 수 있다.
하지만, 범죄사고 같은 위험상황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신고자의 음성을 통해 위험상황을 설명하게 되면, 범인 등이 쉽게 상기 위험상황에 대한 신고를 인지하게 되어 더욱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거나 사건현장으로부터 도주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납치되어 경찰에 신고를 해야 할 경우 목소리는 낼 수 없어 전화만 하고 끊는 경우 경찰에서는 장난전화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어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신고자는 위험상황 발생시 해당 사건처리 부서를 파악하여 위치 및 상기 위험상황에 대해 설명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긴급한 상황에서 사고처리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위험상황 발생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위험상황을 간단하게 신고하여, 신속하게 사고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험상황 신고를 위한 메뉴를 추가하여 간단하게 신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사고신고를 하여 신속하게 사고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의 전송에 대해 인증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번호가 유효할 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수신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의 전송에 대해 인증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인증번호가 유효할 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수신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서 간단하게 위험발생 상황 신고를 할 수 있으므로,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해당 사고처리 부서로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험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메뉴 화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장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험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메뉴 화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장치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험발생 상황 신고 메뉴를 추가하여 간단하게 위험발생 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미리 약속된 위험상황 분류 코드를 정의하여, 신고자가 위험상황에 대응하는 위험 코드를 선택하여 해당 신고처리 부서로 전송함으로써 위험상황 신고가 가능하다.
또한, 위험 발생 신고 메뉴에서 위험코드 선택하여 신고할 시 위치정보가 함께 전송된다. 이때 기지정된 사용자 사진도 첨부되어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신고센터에서 신고가 접수되고 신고자의 신상정보, 위치정보, 위험상황 분류가 파악이 되면 해당부서에 신고가 접수되어 상황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1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휴대용 단말기는 102단계로 진행하여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화면을 도시하고 있는 하기 도 3을 보면, 화재, 의료사고, 교통사고, 신변위험 등등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해당 위험상황 분류코드(예: 신변위험)를 선택하면 된다(300).
만약,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이 화면 전체에 모두 표시되지 않을 시, 사용자의 스크롤(scroll) 조절에 따라 위험상황 분류코드가 검색되거나, 페이지 화면 단위로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이 검색되어 질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1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해당 위험상황 분류코드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102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구현에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106단계에서 화면에 인증번호 입력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인증번호 입력을 기다린다. 하기 도 3을 참조하면,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이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300), 장난 신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 화면에는 인증번호 입력 창이 표시된다(310). 상기 인증번호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비밀번호이거나, 해당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인증된 번호이다. 따라서, 상기 인증번호가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비밀번호일 경우, 인증번호 입력 화면 창에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인증번호가 해당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인증된 번호일 경우, 사용자는 해당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수신된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입력하면 된다.
만약, 106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인증번호가 입력될 시, 1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포함한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예: 화재 신고센터 혹은 교통사고 신고센터)로 전송한다. 구현에 따라서, 상기 GPS 위치정보 외에 추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신상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의 기설정된 사진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사진은 사용자가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SMS 메시지로 전송될 시, PID(Protocol ID) 파라미터 값을 통해 위험신고의 문자임을 구별할 수 있고 UDH(User Data Header) 값으로 위험 상황 분류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106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인증번호가 입력되지 않을 시, 해당 모드로 진행한다. 상기 해당 모드에서 인증번호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거나 현재 진행중인 위험상황 신고 메뉴가 종료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휴대용 단말기는 202단계로 진행하여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이 화면 전체에 모두 표시되지 않을 시, 사용자가 스크롤 (scroll) 이용하여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검색할 수 있거나, 페이지 화면 단위로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이 검색되어 질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해당 위험상황 분류코드가 선택되고. 206단계에서 선택된 해당 위험상황 분류코드가 전송되어야 하는 해당 신고센터의 전화번호를 검색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8단계에서 검색된 해당 신고센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GPS 위치정보를 포함한 SMS 또는 MMS 메시지를 상기 해당 신고센터로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서, 장난 신고 전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GPS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설정된 사진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 SMS 메시지로 전송될 시, PID 파라미터 값을 통해 위험신고의 문자임을 구별할 수 있고 UDH 값으로 위험 상황 분류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험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화재, 의료사고, 교통사고, 신변위험 등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이 표시된다(300). 여기서, 사용자가 표시된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되면(예: 신변위험), 다음 화면에는 인증번호 입력 창이 표시된다(310). 여기서, 상기 인증번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비밀번호이거나 인증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인증번호이다.
인증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상기 위험상황 분류코드 및 GPS 위치정보, 신상정보(사용자 사진) 등이 함께 사고센터로 전송된다. 상기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수신하는 사고센터에서는 상기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사고내용을 인지하여 처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장치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400), 입력부(402), 디스프레이부(408), RF 모듈(412), 기저대역처리부(414), 저장부(404), 코덱(4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위험발생 신고 메뉴를 기반으로 위험발생 상황 신고 기능 및 제어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상기 저장부(404)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8)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해당 위험상황 분류코드가 선택되면, 다음 화면에 인증번호 입력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8)에 표시한다. 상기 인증번호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비밀번호이거나, 해당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인증된 번호이다. 정확한 인증번호가 입력될 시,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 GPS 위치정보 및 신상정보를 SMS 또는 MMS 메시지를 통해 해당 신고센터로 전송한다.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는 상기 해당 신고센터의 전화번호 정보와 매핑되어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와 매핑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SMS 또는 MMS 메시지를 해당 신고센터로 전송한다.
저장부(404)는 상기 제어부(4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위험상황 분류 코드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04)는 상기 제어부(4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부(402)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비밀번호 혹은 인증번호 등등)를 상기 제어부(400)로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8)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08)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표시하거나 인증번호 입력 창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416)과, 상기 코덱(416)에 접속된 스피커(420) 및 마이크(418)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416)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420)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418)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41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414)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414)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414)는 상기 RF부(412)와 상기 제어부(4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상황 신고 메뉴를 통해 간단하게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SMS 혹은 MMS 메시지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전화통화 없이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위치파악과 신상정보가 용이하다. 또한, 위험 발생시 119등의 전화상으로 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신고 메뉴를 통하여 긴급하게 신고될 수 있다. 신고 접수 시 핸드폰번호를 통한 신상정보, 위치정보가 바로 전송되어 장난전화일 확률이 낮고 사고 파악이 쉬우며, 위험상황 분류 코드를 통하여 사고를 담당하는 부서에 직접 접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제어부 400, 입력부 402, 저장부 404, 디스플레이부 408.
Claims (20)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의 전송에 대해 인증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인증번호가 유효할 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분류코드는 위험상황들 각각에 대해 기정의된 설명들과 매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메시지에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사용자 사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수신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분류코드는 위험상황들 각각에 대해 기정의된 설명들과 매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메시지에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사용자 사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의 전송에 대해 인증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인증번호가 유효할 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분류코드는 위험상황들 각각에 대해 기정의된 설명들과 매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메시지에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사용자 사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위험발생 신고 메뉴가 선택될 시,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다수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를 수신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위험상황 분류코드에 해당하는 설명을 포함한 소정의 메시지를 해당 목적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 분류코드는 위험상황들 각각에 대해 기정의된 설명들과 매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메시지에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사용자 사진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8358A KR20110088725A (ko) | 2010-01-29 | 2010-01-29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US12/961,967 US20110189974A1 (en) | 2010-01-29 | 2010-12-07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accident in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8358A KR20110088725A (ko) | 2010-01-29 | 2010-01-29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8725A true KR20110088725A (ko) | 2011-08-04 |
Family
ID=4434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8358A KR20110088725A (ko) | 2010-01-29 | 2010-01-29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189974A1 (ko) |
KR (1) | KR2011008872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19363A (zh) * | 2019-09-20 | 2020-01-21 |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 定位上报方法、装置、智能终端和存储介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52804B2 (ja) * | 2013-08-27 | 2016-12-27 |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携帯端末、通報制御方法、及び、通報システム |
US9779174B2 (en) | 2014-05-11 | 2017-10-03 | Sap Se | Framework for anonymous reporting of social incident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17287B2 (en) * | 2002-11-27 | 2009-11-10 | Rga Intl, Inc. | Cellular messaging alert method and system |
US7248159B2 (en) * | 2003-03-01 | 2007-07-24 | User-Centric Ip, Lp | User-centric event reporting |
US8275352B2 (en) * | 2007-06-28 | 2012-09-25 | Apple Inc. | Location-based emergency information |
CH702487B1 (de) * | 2008-04-08 | 2011-07-15 | Paratus Ag | Verfahren zum Melden einer Notfallsituation per mobile Datenkommuniktation an eine Datenbank. |
-
2010
- 2010-01-29 KR KR1020100008358A patent/KR201100887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12-07 US US12/961,967 patent/US20110189974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19363A (zh) * | 2019-09-20 | 2020-01-21 |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 定位上报方法、装置、智能终端和存储介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189974A1 (en) | 2011-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97045B2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map information and evacuation route in case of emergency | |
US818564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MS short code messaging to facilitate the transmission of a status update for a security system | |
US10390203B2 (en) | Multimedia centric adaptive emergency response messaging apparatus and method | |
EP1560443A1 (en) | Message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20120003956A1 (en) |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 |
JP4602877B2 (ja) | 通信装置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 | |
KR20110088725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고 신고를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875082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emergency in call state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JP2011142370A (ja) | 緊急の通報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携帯電話機、プログラム及び通報方法 | |
US9521534B2 (en) |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and a public safety network in an emergency | |
US8610568B2 (en) |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 |
KR102403328B1 (ko) |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 |
US20050221796A1 (en) | Personal portable security system | |
JP5487642B2 (ja) | 防犯情報通知方法、防犯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 |
KR101663603B1 (ko) | Asterisk 서버 SIP, IAX2 프로토콜, CCTV 기능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안전 안심기능 시스템 구축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용 플랫폼 | |
KR20060112555A (ko) | 휴대폰의 착신정보를 컴퓨터에 알리는 방법 | |
US2006026545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ail server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 |
KR101629919B1 (ko) |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 |
JP2010098505A (ja) | 情報通知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 |
KR100640384B1 (ko) | 악의 호를 신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JP2014107581A (ja) |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 |
KR10085130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호 처리방법 | |
KR101775990B1 (ko) | Asterisk 서버 SIP, IAX2 프로토콜, CCTV 기능 또는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안전 안심기능 시스템 구축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용 플랫폼 | |
KR20100093816A (ko) |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침입자경보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070056574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