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6574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6574A
KR20070056574A KR1020050115458A KR20050115458A KR20070056574A KR 20070056574 A KR20070056574 A KR 20070056574A KR 1020050115458 A KR1020050115458 A KR 1020050115458A KR 20050115458 A KR20050115458 A KR 20050115458A KR 20070056574 A KR20070056574 A KR 20070056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d
incoming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15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6574A/ko
Publication of KR2007005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3Line monitoring circuits for detecting caller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되는 상기 착신 신호에서 CID를 추출하여 상기 CID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CID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CID가 존재하는 경우 일반수신모드를 진행하고, 상기 C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거부모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수신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상태에 따라 CID가 존재하지 않는 착신 신호의 경우 이를 거부함으로써, 발신자정보 표시제한 서비스를 이용한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惡意)의 착신 요구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신자 표시, CID, 착신거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Method for rejecting call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02 : 표시부
104 : 입력부 120 : 음성처리부
122 : 수화부 124 : 송화부
130 : 신호처리부 132 : RF송신부
134 : RF수신부 140 : 메모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자정보 표신제한에 의해 발신자정보(Caller Identification)를 알 수 없는 착신 신호에 대하여 수신거부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또한 그 기능에 있어서, 단순한 통화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점차 지능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대표적인 부가 기능으로서 장난 전화나 폭력 전화 및 원하지 않는 발신자의 착신 요구에 대처할 수 있도록 발신자정보(발신자 이름, 전화번호 등, 이하 'CID'라 칭함)를 표시해 주는 CID 표시 서비스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자신의 CID를 감추고자 할 경우 수신자의 단말기에 CID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CID 표시제한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CID 표시제한 서비스의 경우 수신자가 발신자의 정보를 알 수 없는 익명성을 노리고 거는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惡意)의 착신 요구에 의해 수신자에게 심한 정신적 압박감, 스트레스, 불안감 등을 주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CID 표시제한 서비스에 의한 범죄 행위에 대상이 되지 않는 원천적인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CID 표시제한 서비스에 의한 불필요한 착신 요구를 제한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선을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에서 CID 표시제한 서비스에 의해 CID가 불분명할 경우 착신 신호 자체를 차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서비스 업체를 이용할 경우 별도의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수신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상태에 따라 CID가 존재하지 않는 착신 신호의 경우 이를 거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은,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되는 상기 착신 신호에서 CID를 추출하여 상기 CID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CID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CID가 존재하는 경우 일반수신모드를 진행하고, 상기 C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거부모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CID 표시제한에 대한 수신거부 설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CID표시 제한에 대한 수신거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착신 신호에 대하여 일반수신모드로 진행하고, CID표시 제한에 대한 수신거부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CID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일반수신모드는, CID가 포함된 상기 착신 신호에 대하여 착신벨 또는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신거부모드는, CID가 포함되지 않은 상기 착신 신호에 대하여 착신벨 또는 진동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CID가 포함되지 않은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전화기,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밝혀둔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00), 표시부(102), 입력부(104), 음성 처리부(120), RF 송수신부(132, 134), 신호 처리부(130), 메모리부(140)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즉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거부 설정상태에 따라 CID 표시제한 서비스에 의해 수신되는 착신 신호에 C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수신거부 절차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C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착신 신호에 수신거부가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신되는 착신 신호에 CID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CID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수신절차를 수행하고, C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수신거부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C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착신 신호에 수신거부가 비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신되는 착신 신호의 CID의 유무와 상관없이 착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절차를 수행한다.
표시부(10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러한 표시부(102)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유기 EL 등도 사용되고 있다.
입력부(104)는 0∼9의 숫자 키들과 메뉴, 문자 전송키, 통화, 종료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입력부(104)에는 C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착신 신호에 대한 수신거부설정 버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달리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음성 처리부(120)는 제어부(100)로부터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송화부(124)를 통해 송출하고, 수화부(122)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RF 송신부(132)는 신호 처리부(130)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안테나(136)를 통해 출력하고, RF 수신부(134)는 안테나(136)를 통하여 수신되는 RF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신호 처리부(130)로 제공한다.
신호 처리부(130)는 RF 송신부(132)와 RF 수신부(134) 및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즉,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확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에는 역확산 및 채널 복호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40)는 롬(ROM)(142), 램(RAM)(146), 플래쉬 램(Flash RAM)(144)을 포함하며, 롬(142)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가 저장된다. 램(146)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가 저장된다. 플래쉬 램(144)은 전화번호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 1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가 착신 신호를 수신한다(S110). 이때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가 CID 제한에 대 한 수신 거부상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2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수신설정 상태가 CID 제한에 대한 수신 거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되는 착신 신호에 포함된 CID의 유무와 상관없이 바로 일반 수신모드로 진행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설정 상태가 CID 제한에 대한 수신 거부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착신 신호에 포함된 CID를 추출하여 착신 신호에 CID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130).
여기서, 제어부(100)는 수신되는 착신 신호에 CID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신되는 착신 신호에 대하여 바로 일반 수신모드로 진행한다(S140). 또한, 제어부(100)는 수신되는 착신 신호에 C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수신 거부모드로 진행되어 착신되는 신호를 무시하거나, 무착신음을 전환된다(S150).
상술한 설명에서 제어부(100)는 일반 수신모드로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착신벨(또는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한다.
또한, 수신 거부모드로 진행되었을 경우에는 착신 신호 자체를 무시하거나, 사용자에가 착신벨(또는 진동)의 사용은 제한한 상태에서 CID가 포함되지 않은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부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CID의 유무에 따른 수신거부 동작 중에 착신거부 CID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CID가 수신될 경우 제어부는 이를 거부하는 절차를 포함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메모리부에 저장된 CID를 이 용한 수신거부 절차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수신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상태에 따라 CID가 존재하지 않는 착신 신호의 경우 이를 거부함으로써, CID 표시제한 서비스를 이용한 장난전화, 음란전화, 유혹전화, 및 협박전화 등과 같은 악의(惡意)의 착신 요구 착신 요구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되는 상기 착신 신호에서 CID를 추출하여 상기 CID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CID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CID가 존재하는 경우 일반수신모드를 진행하고, 상기 C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거부모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CID 표시제한에 대한 수신거부 설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CID표시 제한에 대한 수신거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착신 신호에 대하여 일반수신모드로 진행하고, CID표시 제한에 대한 수신거부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CID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수신모드는, CID가 포함된 상기 착신 신호에 대하여 착신벨 또는 진동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거부모드는, CID가 포함되지 않은 상기 착신 신호에 대하여 착신벨 또는 진동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CID가 포함되지 않은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KR1020050115458A 2005-11-30 2005-11-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KR20070056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458A KR20070056574A (ko) 2005-11-30 2005-11-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458A KR20070056574A (ko) 2005-11-30 2005-11-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574A true KR20070056574A (ko) 2007-06-04

Family

ID=3835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458A KR20070056574A (ko) 2005-11-30 2005-11-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65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3665A (zh) * 2014-09-23 2014-12-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拒接来电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10572517A (zh) * 2019-09-10 2019-12-13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拒接来电的处理方法、被叫终端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3665A (zh) * 2014-09-23 2014-12-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拒接来电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10572517A (zh) * 2019-09-10 2019-12-13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拒接来电的处理方法、被叫终端及存储介质
CN110572517B (zh) * 2019-09-10 2021-09-10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拒接来电的处理方法、被叫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5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call in wireless terminal
KR10130528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응급전화 통화방법
US8666028B2 (en) Intermediary monitoring control
KR20070065688A (ko)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657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부방법
JPH11308360A (ja) 電話機における受信文字の表示方法
US20080233887A1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CN105721717A (zh) 一种手机响铃控制方法及系统
KR100771160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팸통화 제어 방법
US20040077314A1 (en) Bluetooth smart mode switching for security and privacy
KR100851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호 처리방법
US20070105596A1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1007501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방법
KR20010017386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통화 대기 상태 제어 방법
KR100628108B1 (ko) 이동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 표시 제한 방법
KR20040043341A (ko) 카메라작동 강제제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영상단말기와그 제어방법
KR10074273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20060007283A (ko) 이동단말기의 오통화 예방 방법
KR100539873B1 (ko) 이동단말기의미확인수신단문메시지검색방법
KR1006434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알람 설정 방법
KR20030048196A (ko)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JP2001292229A (ja) 携帯通信装置及び信号通信方法
KR100601404B1 (ko) 무단 사용 억제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