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557A -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557A
KR20110088557A KR1020117013026A KR20117013026A KR20110088557A KR 20110088557 A KR20110088557 A KR 20110088557A KR 1020117013026 A KR1020117013026 A KR 1020117013026A KR 20117013026 A KR20117013026 A KR 20117013026A KR 20110088557 A KR20110088557 A KR 20110088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
interference
subcarriers
signal
err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252B1 (ko
Inventor
준 마시노
다카토시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6Assessment of spectral gaps suitable for allo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e.g. for carrier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6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narrowband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 H04L1/0065Serial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8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2Avoidance of ingress interference, e.g. ham radio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진 무선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해야 할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캐리어의 진폭치를 영으로 한 널(Null) 서브 캐리어로 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의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해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얻음과 동시에 상기 널 서브 캐리어를 사용한 서브 캐리어에서 미리 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검출한 경우 해당 서브 캐리어에 간섭이 생긴다고 판정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relessly}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8년 12월 19일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원2008-324412호 및 2009년 3월 3일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원2009-04978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무선 통신 분야에서 유한한 주파수 자원의 고갈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어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주파수 공용형의 무선 통신이 있다. 도 18은, 주파수 대역을 공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합의 일례로서, 주파수 채널이 다른 2개의 무선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 전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시한 것처럼 무선LAN 기지국(10a),(10b)과 수신 장치(20a)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LAN 기지국(10a)는 중심 주파수fa인 채널CH1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무선LAN 기지국(10b)는 중심 주파수fb(fa<fb)인 채널CH5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수신 장치(20a)는 무선LAN 기지국(10a),(10b)의 쌍방의 무선 신호가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중심 주파수fa의 무선 신호와 통신 주파수fb의 무선 신호가 서로 부분적으로 간섭한 신호를 수신한다.
아울러 주파수 대역을 서로 공용하는 다른 예로서, 무선LAN 시스템과 Bluetooth(등록상표)와 WiMAX(등록상표)의 조합 등이 있으며, 다른 통신 방식의 시스템끼리 주파수를 공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무선LAN 기지국(10a)를 통신 대상으로 할 경우, 중심 주파수fa인 희망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과, 중심 주파수fb인 무선LAN 기지국(10b)로부터의 간섭 신호의 송신 주파수 대역이 부분적으로 오버랩(간섭)된다. 이와 같은 주파수 공용형의 무선 통신에서, 수신 장치(20a)는 에러 정정 등을 효율적으로 행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희망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오버랩되는 간섭 신호의 존재를 정확하게 검출할 필요가 있다.
간섭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트레이닝 신호, 사운딩 신호와 같은 기지 패턴의 신호를 사용하여 간섭 신호를 측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버스트 전송에서의 비송신 구간이나 데이터 구간에 의도적으로 마련된 널 (null) 신호 구간을 사용하여 간섭 신호를 측정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개2007-282120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은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기술에서는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혹은 전송로 변동으로의 추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본원발명의 일태양은,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진 무선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해야 할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캐리어의 진폭치를 0으로 한 널 서브 캐리어로 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의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해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얻음과 동시에 상기 널 서브 캐리어를 사용한 서브 캐리어에서 미리 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검출한 경우 해당 서브 캐리어에 간섭이 생긴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2]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구분된 타임 슬롯마다 상기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하는 상기 서브 캐리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어느 서브 캐리어를 상기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하는지는 사전에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주파수가 가장 높은 서브 캐리어에서 중심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를 향해 순서대로 상기 널 서브 캐리어가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주파수가 가장 낮은 서브 캐리어에서 중심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를 향해 순서대로 상기 널 서브 캐리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널 서브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의 서브 캐리어로 랜덤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설정되는 상기 널 서브 캐리어의 수는, 전방 에러 정정 부호에서의 부호화율 또는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간의 전반로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간섭파가 검출된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를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된 상기 간섭파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속되는 상기 타임 슬롯에서의 간섭파 검출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어느 서브 캐리어에 상기 간섭파가 상기 연속하는 타임 슬롯의 어느 타임 슬롯에 존재했는지를 추정하고, 해당 간섭파가 존재한 서브 캐리어의 변조 심볼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전방 에러 부호를 적용하고 전방 에러 부호화된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가 출력하는 상기 변조 신호에 대해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상기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된 서브 캐리어에 할당되는 상기 변조 신호의 송신 전력을 0으로 하는 펑쳐링 (puncturing)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된 서브 캐리어에서의 수신 신호를 무효 신호로 하여 해당 수신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복조 및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생성하는 에러 정정 부호화부와,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변조하여 복수의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제1 변조부와, 복수의 변조 심볼에 대해 일부의 진폭치가 0이 되는 블럭 부호화를 행하는 블럭 부호화부와, 블럭 부호화된 변조 심볼을 각 서브 캐리어에 배치하여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변조부와, 상기 변조 신호로부터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송신 신호로부터 서브 캐리어마다 상기 블럭 부호화된 변조 심볼을 취득하는 제2 복조부와, 상기 블럭 부호화된 변조 심볼에 대해 상기 블럭 부호화부의 블럭 부호화에 따른 블럭 복호화를 행하는 블럭 복호부와, 블럭 복호화된 상기 변조 심볼에 대해 상기 제1 변조부의 변조에 따른 복조를 하는 제1 복조부와, 복조 후의 값을 사용하여 상기 에러 정정 부호화부의 에러 정정 부호화에 따른 에러 정정 처리 및 복호 처리를 함으로써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에러 정정 복호부와,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부가 생성한 송신 신호에서 진폭치가 0이 된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을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수신한 송신 신호로부터, 상기 판정부에 의해 진폭치가 0이 되었다고 판정된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간섭 신호로서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판정부가,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에러 정정 부호화부와 같은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제1 변조부와 같은 변조를 행하고, 상기 블럭 부호화부와 같은 블럭 부호화를 행함으로써 상기 송신부가 생성한 송신 신호에서 진폭치가 0이 되는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 장치가, 검출된 간섭 신호에 기초하여 간섭이 생기는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대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의 상기 에러 정정 부호화부 또는 상기 제1 변조부는 상기 간섭 대역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부호화율 또는 변조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또 본 발명의 일태양은,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진 무선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해야 할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캐리어의 진폭치를 0으로 한 널 서브 캐리어로 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의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해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얻음과 동시에 상기 널 서브 캐리어를 사용한 서브 캐리어에서 미리 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검출한 경우 해당 서브 캐리어에 간섭이 생긴다고 판정하는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송신 장치에서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에러 정정 부호화한 후에 에러 정정 부호화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 캐리어의 일부를 진폭치가 0인 널 서브 캐리어로서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널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간섭 신호로서 검출함과 동시에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함으로써 송신 데이터를 복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해야 할 데이터에 널 서브 캐리어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가하지 않고 널 서브 캐리어를 생성하기 때문에 송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럭도이다.
도 2A는, 멀티 캐리어 중첩 전송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B는, 멀티 캐리어 중첩 전송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동실시형태에서의 널 서브 캐리어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송신 프레임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동실시형태에서의 널 서브 캐리어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송신 프레임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동실시형태에서의 널 서브 캐리어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송신 프레임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럭도이다.
도 7은, 동실시형태에서의 널 서브 캐리어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송신 프레임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동실시형태에서의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동실시형태에서의 송신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동실시형태에서의 블럭 부호화후의 각 성상점(Constellation Point)의 출현 확률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A는, 송신 신호의 개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B는, 송신 신호의 개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동실시형태에서의 송신 장치의 송신 처리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동실시형태에서의 수신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5는, 동실시형태에서의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송신 장치의 변형예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수신 장치의 변형예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8은, 주파수 대역을 공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조합의 일예의 시스템 전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1)의 구성과, 송신 장치(10) 및 수신 장치(2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럭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10)와, 송신 장치(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20)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는, 멀티 캐리어 통신으로서 0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을 사용하여 멀티 캐리어 중첩 전송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 캐리어 중첩 전송 방식이란,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 중 하나이다. 도 2A 및 도 2B는, 멀티 캐리어 중첩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일반적으로 근접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사이에 가드 밴드를 마련하여 상호 간섭을 피한다.
그러나 가드 밴드는 어떠한 통신에도 사용되지 않아 주파수 이용 효율의 향상을 저해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그래서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가드 밴드를 마련하지 않고 서로의 신호가 간섭하는 것을 전제로 통신을 하는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중첩시켜 배치하고, 상호 간섭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호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신호를 활용한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점유하는 주파수 대역을 삭감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개선한다.
도 1로 되돌아와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 장치(10)는, 데이터 변조부(101), S/P(시리얼/패러럴) 변환부(102), 펑쳐 패턴 생성부(103), 펑쳐링 처리부(104), IFFT(l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5), P/S(패러럴-시리얼) 변환부(106) 및 무선 통신부(107)를 구비한다.
변조부(101)는, 송신하는 비트 데이터가 입력되고, 입력된 비트 데이터에 대해 전방 에러 정정 부합(Forwarding Error Correction; FEC)을 적용하여 전방 에러 정정 부호화한 비트 데이터를 변조한 변조 심볼을 S/P변환부(102)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변조부(101)는 전방 에러 정정 부호, 예를 들면 컨벌루션 (convolution) 부호, 터보 부호,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LDPC: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를 사용하고, 변조에, 예를 들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4위상 편이 변조)나 16QAM(16-position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점 직교 진폭 변조)나 64QAM(64-position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점 직교 진폭 변조)을 사용한다.
S/P변환부(102)는 변조부(101)에서 출력된 변조 심볼을 시리얼-패러렐 변환하여 펑쳐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 펑쳐 (puncture) 패턴 생성부(103)는 통신에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중 어느 한 서브 캐리어에 송신 전력을 0으로 하는 널(Null)을 할당하는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널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널 패턴 정보를 펑쳐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 펑쳐링 처리부(104)는 S/P변환부(102)가 출력하는 직병렬화(시리얼-패러렐 변환)된 변조 심볼 중 펑쳐 패턴 생성부(103)가 출력하는 널 패턴 정보에 의해 지정된 변조 심볼을 전력이 0인 널로 변경하여 IFFT부(105)에 출력한다.
IFFT부(105)는 펑쳐링 처리부(104)가 출력하는 변조 심볼에 역FFT처리에 의해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신호를 P/S변환부(106)에 출력한다.
P/S변환부(106)는 IFFT부(105)가 출력한 신호에 대해 패러럴-시리얼 변환을 하여 무선 통신부(107)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107)는 안테나가 접속되고, P/S변환부(106)가 출력하는 병직렬화(패러럴-시리얼 변환)된 신호를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에 업컨버팅하여 수신 장치(20)에 송신한다.
계속해서 수신 장치(20)는 무선 통신부(201), S/P변환부(202), FFT(Fast Fourier Transform)부(203)와, P/S변환부(204), 간섭 대역 검출부(205) 및 복조부(206)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201)는 안테나가 접속되고, 송신 장치(10)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다운 컨버팅하여 변조 심볼을 S/P변환부(202)로 출력한다.
S/P변환부(202)는 무선 통신부(201)가 수신하는 변조 심볼을 시리얼-패러렐 변환하여 FFT부(203)에 출력한다. FFT부(203)는 S/P변환부(202)가 출력하는 직병렬화된 변조 심볼을 FFT처리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변조 심볼로 변환하여 P/S변환부(204)에 출력한다.
P/S변환부(204)는 FFT부(203)가 출력하는 변환한 변조 심볼을 패러럴-시리얼 변환한 변조 심볼을 간섭 대역 검출부(205)와 복조부(206)에 출력한다.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널 서브 캐리어에 할당되는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널 패턴 정보를 기억하고 널 서브 캐리어에 설정된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로부터 미리 정한 수신 전력을 초과하는 신호를 검출했을 때 해당 서브 캐리어에 간섭파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고, 간섭파의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한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대역 정보를 복조부(206)에 출력한다. 또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검출한 간섭파의 수신 전력을 검출한다. 여기에서 간섭파의 검출은, 예를 들면 제어 신호 등으로 선택된 널 패턴 정보에 따라 간섭 대역 검출부(205)가 널 서브 캐리어의 수신 전력을 검출함으로써 행한다.
복조부(206)는 P/S변환부(204)가 출력한 변조 심볼 중 간섭 대역 검출부(205)가 출력하는 간섭 대역 정보에 의해 간섭파의 영향이 있다고 나타나는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을 사용하지 않고 에러 정정 복호와 복조를 행하여 얻어진 비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복조부(206)는 널 서브 캐리어에 설정된 서브 캐리어로부터 수신한 수신 신호를 무효 신호로 하여 해당 수신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에러 정정 복호와 복조를 행한다.
다음으로 널 서브 캐리어의 설정과 간섭파의 검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널 서브 캐리어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송신 프레임의 개념도이다. 횡축은 서브 캐리어(주파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타임 슬롯(시간)을 나타낸다. 각 송신 프레임은 각각이 다른 주파수에 설치되는 서브 캐리어를 10개 포함하고,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구분된 타임 슬롯을 4개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한 것처럼 펑쳐 패턴 생성부(103)가 각각의 송신 프레임에 미리 정한 서브 캐리어(서브 캐리어2,4,7,9)에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한다.
파선I1으로 둘러싸인 서브 캐리어에 간섭파가 존재할 때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다음과 같이 간섭파의 영향을 받는 서브 캐리어를 검출한다.
타임 슬롯1에서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배치한 널 서브 캐리어 각각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로부터는 사전에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전력이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타임 슬롯에 간섭 대역이 없다고 판정한다. 여기에서 사전에 정해진 기준치란, 어느 정도의 수신 전력이 검출되면 간섭파가 존재하는지를 통계적 혹은 경험적으로 정한 값으로서, 화이트 노이즈 등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전력치이다.
타임 슬롯2∼4에서는,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간섭파가 존재함으로써 수신 전력이 미리 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가진 변조 심볼을 널 서브 캐리어9에 검출한다. 이로써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멀티 캐리어 중첩 전송 방식을 적용할 경우 통신 대역의 양단에 간섭 대역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서브 캐리어(10)에도 간섭파가 존재한다고 추정한다. 또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서브 캐리어7에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이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간섭 대역의 경계가 서브 캐리어8 또는 서브 캐리어9에 있다고 판정하고, 서브 캐리어8∼10을 간섭파의 영향을 받은 서브 캐리어로 판정하여 간섭 대역 정보를 복조부(206)에 출력한다.
아울러 여기에서는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서브 캐리어8을 간섭파의 영향을 받은 간섭 대역으로 판정하였으나, 서브 캐리어9∼10을 간섭 대역으로 판정해도 좋다. 도시한 것처럼 간섭 대역 검출부(205)가 서브 캐리어9에 간섭파를 검출하고 서브 캐리어7에 간섭파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간섭 대역의 경계가 서브 캐리어8 또는 서브 캐리어9 중 하나에 존재한다. 또 간섭 대역 검출부(205)가 실제와 다른 판정을 하더라도 에러 정정 복호에 의해 올바르게 비트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간섭 대역 검출부(205)는 타임 슬롯마다 간섭 대역을 판정하였는데, 송신 프레임 단위로 판정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4는 널 서브 캐리어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송신 프레임의 개념도이다. 도 3과 같이 횡축 방향은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고, 종축 방향은 타임 슬롯을 나타낸다. 또 도 4는 파선I2로 둘러싸인 서브 캐리어에 간섭파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송신 프레임은 10의 서브 캐리어와 4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되고, 도시한 것처럼 펑쳐 패턴 생성부(103)가 타임 슬롯마다 다르며 미리 정한 서브 캐리어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한다. 도시하는 예에서, 펑쳐 패턴 생성부(103)는, 타임 슬롯1에서는 서브 캐리어1,10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타임 슬롯2에서는 서브 캐리어2,9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타임 슬롯3에서는 서브 캐리어3,8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타임 슬롯4에서는 서브 캐리어4,7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한다.
도시한 것처럼 펑쳐 패턴 생성부(103)는 널 서브 캐리어를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양단에서,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중앙을 향해 타임 슬롯마다 다른 위치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간섭 대역 검출부(205)가 송신 프레임 단위로 간섭 대역의 경계를 판단함으로써 송신 프레임중에 간섭 대역이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면, 송신 프레임에서 간섭 대역의 경계가 서브 캐리어8에 있다고 판정하고, 타임 슬롯1∼4에서 서브 캐리어8∼10이 간섭 대역임을 나타내는 간섭 대역 정보를 복조부(206)에 출력한다.
도시한 펑쳐 패턴 생성부(103)가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양단에서 중앙을 향해 널 서브 캐리어를 순서대로 각 슬롯에 배치함으로써 간섭 대역 검출부(205)가 송신 프레임의 어느 서브 캐리어에 간섭파가 영향을 주었는지를 쉽게 추정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멀티 캐리어 중첩 전송 방식을 적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간섭파가 생기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추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널 서브 캐리어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송신 프레임의 개념도이다. 도 3과 마찬가지로, 횡축 방향은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고 종축 방향은 슬롯을 나타낸다. 송신 프레임은 10의 서브 캐리어와 4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도시한 것처럼 펑쳐 패턴 생성부(103)가 슬롯마다 다르며 미리 정한 서브 캐리어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한다. 도시하는 예에서 펑쳐 패턴 생성부(103)는, 슬롯1에서는 서브 캐리어2,5,8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슬롯2에서는 서브 캐리어1,4,7,10으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슬롯3에서는 서브 캐리어3,7,9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슬롯4에서는 서브 캐리어4,5,8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펑쳐 패턴 생성부(103)가 널 서브 캐리어를 쐐기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송신 프레임중의 서브 캐리어 전체에 대해 간섭파를 검출할 수 있고,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어느 서브 캐리어에 간섭 대역이 생겨도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간섭 대역 검출부(205)가 널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의 수신 전력에 의해 간섭파의 영향을 받은 서브 캐리어인 간섭 대역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간섭 대역 정보를 복조부(206)에 출력한다. 이로써 복조부(206)는 간섭파의 영향을 받았을, 혹은 간섭파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는 변조 심볼을 사용하지 않고 에러 정정 복호와 복조를 행하기 때문에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송신 프레임중의 슬롯마다 간섭파 및 간섭 대역의 검출을 하기 때문에 간섭파의 발생에 대해 양호한 추종성으로 간섭파를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널 서브 캐리어를 배치하는 3개의 예를 나타냈으나, 상술한 배치 이외의 패턴에 널 서브 캐리어를 배치해도 좋고, 랜덤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 각 슬롯에 설정하는 널 서브 캐리어수는 전방 에러 정정 부호에서의 부호화율에 따라 설정된다. 널 서브 캐리어로서 설정됨으로써 송신되지 않는 변조 심볼이 존재하더라도 수신 장치(20)가 비트 데이터를 올바르게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할 수 있는 범위에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해도 좋다. 이 때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간의 전반로 특성에 따라 널 서브 캐리어수를 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3)의 구성과, 송신 장치(12) 및 수신 장치(22)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블럭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3)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12)와, 송신 장치(1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22)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무선 통신 시스템(3)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과 마찬가지로 멀티 캐리어 통신으로서 0FDM방식을 사용하고 멀티 캐리어 중첩 전송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 장치(12)는, 변조부(101), S/P변환부(102), 펑쳐링 처리부(104), IFFT부(105), P/S변환부(106), 무선 통신부(127), 타이머부(123) 및 평쳐 패턴 생성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송신 장치(12)는 제1 실시형태의 송신 장치(10)에 비해 평쳐 패턴 생성부(124), 타이머부(123) 및 무선 통신부(127)가 다르고 다른 구성은 같기 때문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101,102,104∼106)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타이머부(123)는 비트 데이터의 전송 개시에 따라 리셋되고, 이후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면 1송신 프레임 시간 간격, 여러 프레임들의 시간 간격이나 통신 특성에 맞춘 실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가 만료되면 평쳐 패턴 생성부(124)에 일정 시간 간격 경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리셋하여 다시 카운트를 개시한다.
평쳐 패턴 생성부(124)는 제1 실시형태의 펑쳐 패턴 생성부(103)와 동일한 동작으로 통신에 사용하는 서브 캐리어 중 어느 서브 캐리어에 송신 전력을 0으로 하는 널(Null)을 할당할지를 나타내는 널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널 패턴 정보를 펑쳐링 처리부(104)에 출력하고, 또한 수신 장치(22)로부터의 간섭파 검출 정보의 피드백에 따라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는 널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널 패턴 정보를 펑쳐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127)는 제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부(107)의 동작, 안테나가 접속되어 P/S변환부(106)가 출력하는 병직렬화된 신호를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에 업컨버팅하여 수신 장치(22)에 송신하고, 또한 수신 장치(22)에서 널 서브 캐리어로 사전에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이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평쳐 패턴 생성부(124)에 출력한다.
수신 장치(22)는 무선 통신부(221), S/P변환부(202), FFT부(203), P/S변환부(204), 간섭 대역 검출부(225), 타이머부(227) 및 복조부(206)를 구비한다. 아울러 수신 장치(22)는, 제1 실시형태의 수신 장치(20)에 비해 무선 통신부(221), 간섭 대역 검출부(225)를 구비하는 점이 다르고 다른 구성은 같기 때문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202∼204,206)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타이머부(227)는 송신 장치(12)의 타이머부(123)와 동기하여 동작하고, 비트 데이터의 전송 개시에 따라 리셋되고, 이후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면 1송신 프레임 시간 간격, 여러 프레임들의 시간 간격이나 통신의 특성에 맞춘 실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가 만료되면 간섭 대역 검출부(225)에 일정 시간 간격 경과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리셋하여 다시 카운트를 개시한다. 아울러 타이머부(227)와 타이머부(123)를 동기시키려면, 예를 들면 비트 데이터 전송을 개시할 때의 제어 신호 등을 사용하여 행한다.
간섭 대역 검출부(225)는, 제1 실시형태의 간섭 대역 검출부(205)와 동일하게 널 패턴 정보를 기억하고, 널 서브 캐리어에 설정된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로부터 미리 정한 수신 전력을 초과하는 신호를 검출했을 때 해당 서브 캐리어에 간섭파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고, 간섭파의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한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대역 정보를 복조부(206)에 출력함과 동시에 검출한 간섭파의 수신 전력을 검출한다.
또한 간섭 대역 검출부(225)는 타이머부(227)가 출력하는 타이밍 정보에 따라 널 패턴 정보의 전환을 초기화한다.
무선 통신부(221)는 제1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부(201)와 동일하게 안테나가 접속되어 송신 장치(12)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다운 컨버팅하여 변조 심볼을 S/P변환부(202)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221)는 간섭 대역 검출부(225)가 출력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송신 장치(12)에 제어 채널이나 제어 신호 등으로서 송신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3)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동실시형태에서의 송신 프레임의 널 서브 캐리어의 배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송신 프레임의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타임 슬롯1∼4에서 파선I3으로 둘러싸인 서브 캐리어8∼10이 간섭 대역으로 되어 있다.
또 도 8은, 송신 장치(12)와 수신 장치(22)의 동작을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 타이머부(123),(227)는 1송신 프레임에서 카운트를 만료하고 리셋하는 구성으로 한다.
우선 타이머부(123)는 비트 데이터의 전송에 따라 리셋된다(스텝S11), 또 타이머부(227)는 타이머부(123)에 동기하여 리셋된다(스텝S12).
평쳐 패턴 생성부(124)는 비트 데이터의 송신이 개시되면 서브 캐리어1과 10을 널 서브 캐리어로 하는 패턴1을 펑쳐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스텝S13).
펑쳐링 처리부(104)가 평쳐 패턴 생성부(124)에서 입력된 패턴1에 따라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널 서브 캐리어가 설정된 변조 심볼이 IFFT부(105), P/S변환부(106), 무선 통신부(127)에서 순서대로 처리되어 타임 슬롯1의 신호를 수신 장치(22)에 송신한다(스텝S14).
수신 장치(22)에서 무선 통신부(221)가 송신 장치(12)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S/P변환부(202), FFT부(203), P/S변환부(204)의 순서대로 처리되어 간섭 대역 검출부(225) 및 복조부(206)에 입력된다.
간섭 대역 검출부(225)는 널 심볼에 설정된 서브 캐리어(10)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로부터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서브 캐리어(10)에 검출하고(스텝S15), 서브 캐리어(10)에 간섭파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를 복조부(206)와 무선 통신부(221)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221)는 간섭 대역 검출부(225)가 출력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송신 장치(12)에 송신한다(스텝S16).
송신 장치(12)에서 무선 통신부(127)는 수신 장치(22)로부터 간섭파 검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평쳐 패턴 생성부(124)에 출력한다. 평쳐 패턴 생성부(124)는 서브 캐리어(10)에 간섭파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가 입력되면 간섭 대역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해 널 서브 캐리어를 통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쪽에 배치하고, 서브 캐리어3,8을 널 서브 캐리어로 하는 패턴2를 펑쳐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스텝S17).
펑쳐링 처리부(104)는 평쳐 패턴 생성부(124)가 출력한 패턴2에 따라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IFFT부(105)는 널 서브 캐리어가 설정된 변조 심볼을 역FFT에 의해 변환하고, P/S변환부(106)는 역FFT처리된 변조 심볼을 병직렬화하고, 무선 통신부(127)는 병직렬화한 변조 심볼을 수신 장치(22)에 송신한다(스텝S18).
수신 장치(22)에서 무선 통신부(221)가 송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S/P변환부(202), FFT부(203), P/S변환부(204)의 순서대로 처리되어 간섭 대역 검출부(225) 및 복조부(206)에 입력된다.
간섭 대역 검출부(225)는 널 심볼에 설정된 서브 캐리어8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로부터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서브 캐리어8에 검출하고(스텝S19), 서브 캐리어(10)에 간섭파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를 복조부(206)와 무선 통신부(221)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221)는 간섭 대역 검출부(225)가 출력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송신 장치(12)에 송신한다(스텝S20).
송신 장치(12)에서 무선 통신부(127)는, 수신 장치(22)로부터 간섭파 검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평쳐 패턴 생성부(124)에 출력한다. 평쳐 패턴 생성부(124)는 서브 캐리어8에 간섭파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가 입력되면, 나아가 널 서브 캐리어를 통신 대역의 중심 주파수쪽에 배치하여 간섭 대역의 경계에 대한 탐색 범위를 좁히고 간섭 대역의 경계를 검출하기 위해 서브 캐리어5,8을 널 서브 캐리어로 하는 패턴3을 펑쳐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스텝S21).
펑쳐링 처리부(104)는 평쳐 패턴 생성부(124)가 출력한 패턴3에 따라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IFFT부(105)는 널 서브 캐리어가 설정된 변조 심볼을 역FFT에 의해 변환하고, P/S변환부(106)는 역FFT처리된 변조 심볼을 병직렬화하고, 무선 통신부(127)는 병직렬화한 변조 심볼을 수신 장치(22)에 송신한다(스텝S22).
수신 장치(22)에서 무선 통신부(221)가 송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S/P변환부(202), FFT부(203), P/S변환부(204)의 순서대로 처리되어 간섭 대역 검출부(225) 및 복조부(206)에 입력된다.
간섭 대역 검출부(225)는 널 심볼에 설정된 서브 캐리어8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로부터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서브 캐리어8에 검출하고(스텝S23), 서브 캐리어(10)에 간섭파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를 복조부(206)와 무선 통신부(221)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221)는 간섭 대역 검출부(225)가 출력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송신 장치(12)에 송신한다(스텝S24).
송신 장치(12)에서 무선 통신부(127)는 수신 장치(22)로부터 간섭파 검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평쳐 패턴 생성부(124)에 출력한다. 평쳐 패턴 생성부(124)는 서브 캐리어8에 간섭파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가 입력되면, 간섭 대역의 경계가 서브 캐리어6∼8 중 어느 하나에 있다고 하여 서브 캐리어6,7을 널 서브 캐리어로 하는 패턴4를 펑쳐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스텝S25).
펑쳐링 처리부(104)는 평쳐 패턴 생성부(124)가 출력한 패턴4에 따라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고, IFFT부(105)는 널 서브 캐리어가 설정된 변조 심볼을 역FFT에 의해 변환하고, P/S변환부(106)는 역FFT처리된 변조 심볼을 병직렬화(패러럴-시리얼 변환)하고, 무선 통신부(127)는 병직렬화한 변조 심볼을 수신 장치(22)에 송신한다(스텝S26).
수신 장치(22)에서 무선 통신부(221)가 송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S/P변환부(202), FFT부(203), P/S변환부(204)의 순서대로 처리되어 간섭 대역 검출부(225) 및 복조부(206)에 입력된다.
간섭 대역 검출부(225)는, 널 심볼에 설정된 서브 캐리어6,7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로부터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이 검출되지 않고(스텝S27), 서브 캐리어(10)에 간섭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를 복조부(206)와 무선 통신부(221)에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221)는 간섭 대역 검출부(225)가 출력한 간섭파 검출 정보를 송신 장치(12)에 송신한다(스텝S28).
1송신 프레임의 4타임 슬롯의 송신이 완료되면 타이머부(123)가 카운트를 만료하고 1송신 프레임의 송신이 완료된 것을 평쳐 패턴 생성부(124)에 통지한다(스텝S29).
이후 송신 장치(12)는 상술한 스텝과 같이 동작하는데, 널 서브 캐리어를 어느 서브 캐리어에 설정할지는, 간섭파가 검출된 서브 캐리어에 따라 다르다.
또 수신 장치(22)에서 타이머부(227)가 카운트를 만료하고, 1송신 프레임분의 송신이 완료된 것을 간섭 대역 검출부(225)에 통지한다(스텝S29a).
간섭 대역 검출부(225)는 본 송신 프레임의 간섭파 검출 위치의 계열로부터, 서브 캐리어8에 간섭 대역의 경계가 있다고 판정하고, 본 송신 프레임에서 서브 캐리어8∼10을 간섭 대역으로 하는 간섭 대역 정보를 복조부(206)에 출력한다(스텝S30).
복조부(206)는 타임 슬롯1∼4에서 서브 캐리어8∼10의 변조 심볼을 사용하지 않고 에러 정정 복호와 복조를 하여 비트 데이터를 검출한다(스텝S31).
상술한 것처럼 수신 장치(22)의 간섭 대역 검출부(225)가 송신 장치(12)의 평쳐 패턴 생성부(124)에, 간섭파를 검출한 서브 캐리어의 정보를 피드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간섭 대역의 특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 평쳐 패턴 생성부(124)는 간섭파의 존재가 통지되었을 때 널 서브 캐리어를 많이 배치함으로써 적은 간섭파의 검출 횟수로 간섭 대역의 경계를 검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 복조부(206)는 간섭 대역 정보에 의해 간섭파의 영향이 있다고 표시되는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을 사용하지 않고 에러 정정 복호와 복조를 한다고 하였으나, 해당 변조 심볼을 간섭파의 영향이 없는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에 대해 신뢰도가 낮은 변조 심볼로서 중량 부여를 행하고 에러 정정 복호와 변조에 사용해도 좋다. 상술한 것처럼 간섭파의 영향을 받은 서브 캐리어에 대응하는 변조 심볼을 사용하지 않는 동작은 해당 변조 심볼에 대한 신뢰도가 0인 경우이다. 또 변조 심볼에 중량 부여를 행할 경우 중량 부여 계수는 고정치여도 좋고 검출한 간섭파의 수신 전력에 따라 변화시켜도 좋다.
또 변조부(101)에서의 부호화율을 낮춤으로써 널 서브 캐리어로서 설정하는 서브 캐리어수를 증가시켜도 좋다. 이로써 간섭파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환경에서 간섭파가 발생한 서브 캐리어 및 간섭파가 발생한 기간을 상세히 검출할 수 있어 간섭파의 발생에 대해 추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간섭파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환경인지 여부는, 수신 장치에서 어느 정도의 간섭파가 검출되었는지에 따라 동적으로 검출하여 송신 장치에 피드백해도 좋다.
또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 간섭 대역 검출부(205),(225)는 널 서브 캐리어에 설정되는 서브 캐리어를 기억하고 있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송신 장치(10),(11),(12)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 등에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되는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널 패턴 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그 때 간섭 대역 검출부(205),(225)가 검출한 간섭파의 수신 전력에 따라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는 널 패턴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는 내부에 컴퓨터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상술한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는 처리 및 간섭 대역을 검출하는 처리 과정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여기에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을 말한다. 또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에 배신하고, 이 배신된 컴퓨터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제3 실시형태>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멀티 캐리어 전송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5)의 개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5)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송신 장치(50) 및 수신 장치(60)를 구비한다. 또 무선 통신 시스템(5)에 포함되는 송신 장치(50) 및 수신 장치(60)의 대수는, 도 9와 같이 각각 1대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복수대 함유되어도 좋다. 또 도 9에서는 송신 장치(50)가 기지국 장치이고 수신 장치(60)이 무선 통신 단말이지만, 반대로 송신 장치(50)가 무선 통신 단말이고 수신 장치(60)이 기지국 장치가 되어도 좋다.
무선 통신 단말은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을 하는 단말 장치로서,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나 무선LAN(Local Area Network)단말이나 WiMAX(등록상표)(Worldwide l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단말 등의 장치이다.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휴대전화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 장치나 무선LAN 라우터나 WiMAX(등록상표)기지국 등의 장치이다. 송신 장치(50)와 수신 장치(60)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장치(50)와 수신 장치(60)는, 예를 들면 OFDM(0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한다.
도 10은, 동실시형태에서의 송신 장치(5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한 것처럼 송신 장치(50)는 FEC부호화부(501), 제1 변조부(502), 블럭 부호화부(503), 직병렬 변환부(504), 제2 변조부(505), 송신부(506), 안테나(507)를 구비한다.
FEC부호화부(501)는 송신 대상의 데이터의 비트열을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전방 에러 정정)에 따라 에러 정정 부호화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생성한다.
제1 변조부(502)는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에 대해 변조 처리(매핑 처리)를 행함으로써 복수의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제1 변조부(502)는, 예를 들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8PSK(Octuple Phase Shift Keying) 등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 처리를 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에 따른 진폭치 및 위상치의 조합(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블럭 부호화부(503)는 제1 변조부(502)에 의해 생성된 변조 심볼에 대해 블럭 부호화 처리를 한다. 블럭 부호화부(503)에는 가역 연산(블록 복호) 가능하고 블럭 부호화후의 신호의 일부 진폭이 0이 되는 블럭 부호화 수법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블럭 부호화부(503)는 수학식 1과 같은 직교 행렬의 일종인 아다마르(Hadamard)를 사용하여 블럭 부호화 처리를 한다. 수학식 1에서 d1,d2는 각각 변조 심볼을 나타내고, b1,b2는 각각 블럭 부호화후의 변조 심볼(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을 나타낸다. 아울러 블럭 부호화부(503)는 아다마르뿐 아니라 M계열이나 스크램블 부호를 사용해도 좋다.
Figure pct00001
도 11은, 블럭 부호화후의 각 성상점(constellationp oint)의 출현 확률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종축Q는 직교 성분을 나타내고 횡축I는 동상 성분을 나타낸다. 도 11은, 등전력QPSK(4성상점)에 의해 변조된 변조 심볼이 2×2아다마르에 의해 블럭 부호화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변조 심볼d1,d2의 조합은 16종류이다. 또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b1,b2의 성상점은 9종류이고, 그 중 진폭이 제로가 되는 성상점(0,0)의 출현 확률은 25%가 된다.
도 10으로 되돌아가 송신 장치(50)의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직병렬 변환부(504)는 블럭 부호화부(503)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에 대해 직병렬 변환(시리얼/패러럴 변환)을 행한다.
제2 변조부(505)는 직병렬 변환부(504)에 의해 병렬이 된 각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을 각 서브 캐리어에 배치하고 IFFT(l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역푸리에 변환)나 병직렬 변환(패러럴/시리얼 변환)이나 가드 인터벌을 삽입함으로써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부(506)는 변조 신호에 대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이나 전력 증폭이나 업컨버팅 등의 처리를 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안테나(507)는 송신부(506)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송신 신호의 개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A에서, 횡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진폭을 나타낸다. 도 12A는 종래의 멀티 캐리어 방식(QPSK변조, OFDM)에 따라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도시하고, 도 12B는 송신 장치(50)에 의해 생성되는 송신 신호를 도시한다.
도 12A에서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 각각의 진폭은 a1으로서 균일하고, 진폭이 0이 되는 서브 캐리어(이하, 이와 같은 서브 캐리어를 「널 서브 캐리어」라고 한다)는 없다.
이에 반해 도 12B에서는, 진폭이 상대적으로 큰 a2의 서브 캐리어와, 진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a1의 서브 캐리어와, 진폭이 0인 널 서브 캐리어가 존재한다. 널 서브 캐리어는, 도 12B의 위쪽 화살표가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고, 블럭 부호화부(503)에서 진폭치가 0이 된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이 배치된 서브 캐리어이다.
다음으로 송신 장치(50)의 동작 및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송신 장치(50)의 송신 처리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우선 FEC부호화부(501)가 송신 대상의 데이터의 비트열을 FEC에 따라 에러 정정 부호화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생성한다(스텝S101). 다음으로, 제1 변조부(502)가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변조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스텝S102). 다음으로, 블럭 부호화부(503)가 변조 심볼에 대해 블럭 부호화 처리를 한다(스텝S103). 다음으로, 직병렬 변환부(504)가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에 대해 직병렬 변환을 한다(스텝S104). 다음으로, 제2 변조부(505)가 IFFT처리를 행하고(스텝S105), 병직렬 변환이나 가드 인터벌의 삽입을 행한다(스텝S106). 다음으로, 송신부(506)가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스텝S107). 그리고 안테나(507)가 송신 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하여(스텝S108), 이 흐름도에 도시된 송신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수신 장치(6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동실시형태에서의 수신 장치(6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한 것처럼 수신 장치(60)는 안테나(601), 수신부(602), 제2 복조부(603), 병직렬 변환부(604), 블럭 복호부(605), 제1 복조부(606), FEC복호부(607), 널 서브 캐리어 판정부(608), 간섭 신호 검출부(609)를 구비한다.
안테나(601)는 송신 장치(50)에 의해 송신된 송신 신호와, 다른 송신 장치에 의해 송신된 간섭 신호가 합성된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602)는 수신된 수신 신호에 대해 다운 컨버팅을 행하고,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하여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제2 복조부(603)는 변조 신호에 대해 가드 인터벌의 제거나 직병렬 변환이나 FFT(Fast Fourier Transform: 패스트 푸리에 변환)나 프리앰블 정보를 사용한 주파수 영역 등화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병직렬 변환부(604)는 병렬로 나열된 복수의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에 대해 병직렬 변환을 한다.
블럭 복호부(605)는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에 대해 송신 장치(50)의 블럭 부호화부(503)에 의한 블럭 부호화 처리에 따른 블럭 복호화 처리를 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블럭 부호화부(503)가 수학식 1과 같은 아다마르를 사용하여 블럭 부호화 처리를 할 경우에는 블럭 복호부(605)는 수학식 2와 같은 아다마르 역행렬을 사용하여 블럭 복호화 처리를 한다.
Figure pct00002
제1 복조부(606)는 송신 장치(50)의 제1 변조부(502)에 의한 변조 처리에 따른 복조 처리(디매핑 처리)를 변조 심볼에 대해 행함으로써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생성한다.
FEC복호부(607)는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에 대해 FEC에 따른 에러 정정 처리 및 복호화 처리를 함으로써 송신 대상이 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널 서브 캐리어 판정부(608)는 송신 신호에서 널 서브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던 주파수 대역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FEC복호부(607)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에 대해 송신 장치(50)의 FEC부호화부(501), 제1 변조부(502), 블럭 부호화부(503)와 동일한 처리를 함으로써 레플리카 신호를 생성하고, 널 서브 캐리어가 배치되어 있던 주파수 대역(이하, 「널 주파수 대역」이라고 한다)을 판정한다.
간섭 신호 검출부(609)는, 수신 신호로부터 널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성분을 측정하고 간섭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간섭 신호 검출부(609)는 수신 신호로부터 널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성분의 진폭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면 널 주파수 대역에 간섭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또 간섭 신호 검출부(609)는 각 널 주파수 대역에서 검출된 간섭 신호의 유무나 진폭을 주파수 대역과 대응시켜 검출 결과로서 기억해도 좋다. 이 경우, 수신 장치(60)가 수신하는 신호의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검출 결과가 얻어지면, 간섭 신호 검출부(609)는 간섭 신호의 검출 결과로서 기억하고 있던 각 주파수 대역수의 검출 결과를 출력해도 좋다.
다음으로, 수신 장치(60)의 동작 및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수신 장치(60)의 수신 처리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우선 안테나(601)가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스텝S201), 수신부(602)가 수신 신호로부터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스텝S202). 다음으로, 제2 복조부(603)가 변조 신호에 대해 가드 인터벌의 제거나 직병렬 변환을 한다(스텝S203). 다음으로, 제2 복조부(603)가 FFT를 행함으로써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스텝S204). 다음으로, 병직렬 변환부(604)가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에 대해 병직렬 변환을 한다(스텝S205). 다음으로, 블럭 복호부(605)가 블럭 부호화 변조 심볼에 대해 블럭 복호화 처리를 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스텝S206). 다음으로, 제1 복조부(606)가 변조 심볼을 복조함으로써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생성한다(스텝S2O7). 다음으로, FEC복호부(607)가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에러 정정 복호화하여 송신 대상이 된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S208).
다음으로, 널 서브 캐리어 판정부(608)가 레플리카 신호를 생성하고(스텝S209), 널 주파수 대역을 판정한다(스텝S210). 다음으로, 간섭 신호 검출부(609)가 널 주파수 대역에서 간섭 신호를 검출한다(스텝S211).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5)에서는, 송신 장치(50)의 블럭 부호화부(503)가 블럭 부호화 처리를 하기 때문에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은 널 서브 캐리어를 의도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송신 신호에서 송신 대상의 데이터 일부를 가진 널 서브 캐리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량을 줄이지 않고 널 서브 캐리어를 가진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60)에서 널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널 주파수 대역)을 판정하고 이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 측정을 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효율 저하를 억제하면서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5)에서는 수신 장치(60)에서 널 주파수 대역에서만 간섭 신호를 검출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송신 신호에 발생하는 널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은 일정하지 않고 송신 신호마다 변화되기 때문에 수신 장치(60)에서 송신 신호를 복수회 수신하고 각각에서 간섭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5)이나 수신 장치(60)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전체에서의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래와 같이 버스트 전송에서의 비송신 구간이나 데이터 구간에 의도적으로 마련된 널 신호 구간을 사용하여 간섭 신호를 측정하는 기술에서는, 간섭 신호의 측정이 간헐적이 되므로 전송로 특성의 변동에 대한 추종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일치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5)에서는, 송신 장치(50)가 항상 블럭 부호화 처리를 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전송로 특성 변동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16 및 도 17은,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5)의 송신 장치(50) 및 수신 장치(6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송신 장치(50)는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수신부(508)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 수신 장치(60)는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송신부(610)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송신 장치(50)는 수신 장치(60)에서 송신되는 간섭 대역 정보를 수신하고 간섭 대역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의 송신 장치(50) 및 수신 장치(6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송신부(610)는 간섭 신호 검출부(60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간섭 대역 정보를 생성한다. 간섭 대역 정보란, 송신 장치(50)와 수신 장치(60)간의 무선 통신에서의 간섭 신호에 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간섭이 발생한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정보나, 간섭 신호의 진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 간섭 대역 정보는 FEC복호부(607)의 에러 정정 복호화 처리에서 산출된 에러율의 정보도 포함한다. 그리고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송신부(610)는 간섭 대역 정보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 처리나 변조 처리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처리나 업컨버팅 처리 등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무선 신호(간섭 대역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안테나(601)에서 송신 장치(50)로 송신한다.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수신부(508)는 안테나(507)에 의해 수신된 간섭 대역 정보 신호에 대해 다운 컨버팅 처리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나 복조 처리나 에러 정정 복호화 처리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 간섭 대역 정보 신호로부터 간섭 대역 정보를 취득한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FEC부호화부(501)는, 간섭 대역 정보에 포함되는 에러율에 기초한 적응 변조 처리를 함으로써 부호화율을 변경한다. 아울러 적응 변조 처리는 기존 기술에 의해 가능하다. 예를 들면 FEC부호화부(501)는 에러율이 높은 경우에는 현재 적용되어 있는 부호화율보다도 부호화율을 낮게 설정하여 간섭에 대한 내성을 높이고, 반대로 에러율이 낮은 경우에는 현재 적용되어 있는 부호화율보다도 부호화율을 높게 설정하여 간섭에 대한 내성을 낮춘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제1 변조부(502)는 간섭 대역 정보에 포함되는 에러율에 기초한 적응 변조 처리를 함으로써 복수의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아울러 적응 변조 처리는 기존 기술에 의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변조부(502)는 에러율이 높은 경우에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변조 방법보다도 변조 다치수가 낮고 간섭에 대한 내성이 높은 변조 방법에 의해 변조 심볼을 생성하고, 반대로 에러율이 낮은 경우에는 현재 적용되어 있는 변조 방법보다도 변조 다치수가 높고 간섭에 대한 내성이 낮은 변조 방법에 의해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상술한 제3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송신 장치(50)에서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고 진폭치가 0인 서브 캐리어를 의도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송신 대상의 데이터 일부를 가진 서브 캐리어로서 진폭치가 0인 서브 캐리어가 생성된다. 그리고 수신 장치(60)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송신 장치(50)에서 진폭치가 0이 된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간섭 신호로서 검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의 전송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설명에서는, 수신 장치(60)에 의한 간섭 신호의 검출 결과는 송신 장치(50)로의 간섭 대역 정보 신호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었으나, 간섭 신호의 검출 결과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존의 다른 용도에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간섭 신호의 검출 결과를 제2 복조부(603) 등에 피드백함으로써 간섭 신호에 따른 복조 처리를 실현하여 복조 처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수신 장치(60)가 구성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등도 포함된다.
1,3,5 무선 통신 시스템
10,12,50 송신 장치
10a,10b 무선LAN 기지국
20,22,20a,60 수신 장치
101 변조부
102 S/P변환부
103 펑쳐 패턴 생성부
104 펑쳐링 처리부
105 IFFT부
106 P/S변환부, 107 무선 통신부
123 타이머부
124 펑쳐 패턴 생성부
127 무선 통신부
201 무선 통신부
202 S/P변환부
2O3 FFT부
204 P/S변환부
205 간섭 대역 검출부
206 복조부
221 무선 통신부
225 간섭 대역 검출부
227 타이머부
501 FEC부호화부
502 제1 변조부
503 블럭 부호화부
504 직병렬 변환부
505 제2 변조부
506 송신부
507,601 안테나
508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수신부
602 수신부
603 제2 복조부
604 병직렬 변환부
605 블럭 복호부
606 제1 복조부
6O7 FEC복호부
608 널 서브 캐리어 판정부
609 간섭 신호 검출부
610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송신부

Claims (14)

  1.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진 무선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해야 할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캐리어의 진폭치를 0으로 한 널 서브 캐리어로 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의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해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얻음과 동시에 상기 널 서브 캐리어를 사용한 서브 캐리어에서 미리 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검출한 경우 해당 서브 캐리어에 간섭이 생긴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구분된 타임 슬롯마다 상기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하는 상기 서브 캐리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어느 서브 캐리어를 상기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하는지는 사전에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주파수가 가장 높은 서브 캐리어에서 중심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를 향해 순서대로 상기 널 서브 캐리어가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주파수가 가장 낮은 서브 캐리어에서 중심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를 향해 순서대로 상기 널 서브 캐리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널 서브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의 서브 캐리어로 랜덤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설정되는 상기 널 서브 캐리어의 수는, 전방 에러 정정 부호에서의 부호화율 또는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간의 전반로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간섭파가 검출된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파 검출 정보를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된 상기 간섭파 검출 정보에 따라 상기 널 서브 캐리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연속하는 상기 타임 슬롯에서의 간섭파 검출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어느 서브 캐리어에 상기 간섭파가 상기 연속하는 타임 슬롯의 어느 타임 슬롯에 존재했는지를 추정하고, 해당 간섭파가 존재한 서브 캐리어의 변조 심볼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전방 에러 부호를 적용하고, 전방 에러 부호화된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변조하여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
    상기 변조부가 출력하는 상기 변조 신호에 대해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상기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된 서브 캐리어에 할당되는 상기 변조 신호의 송신 전력을 0으로 하는 펑쳐링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널 서브 캐리어로 설정된 서브 캐리어에서의 수신 신호를 무효 신호로 하여 해당 수신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복조 및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생성하는 에러 정정 부호화부,
    에러 정정 부호화 비트를 변조하여 복수의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제1 변조부,
    복수의 변조 심볼에 대해 일부의 진폭치가 0이 되는 블럭 부호화를 행하는 블럭 부호화부,
    블럭 부호화된 변조 심볼을 각 서브 캐리어에 배치하여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변조부,
    상기 변조 신호로부터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송신 신호로부터 서브 캐리어마다 상기 블럭 부호화된 변조 심볼을 취득하는 제2 복조부,
    상기 블럭 부호화된 변조 심볼에 대해 상기 블럭 부호화부의 블럭 부호화에 따른 블럭 복호화를 행하는 블럭 복호부,
    블럭 복호화된 상기 변조 심볼에 대해 상기 제1 변조부의 변조에 따른 복조를 하는 제1 복조부,
    복조 후의 값을 사용하여 상기 에러 정정 부호화부의 에러 정정 부호화에 따른 에러 정정 처리 및 복호 처리를 함으로써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에러 정정 복호부,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부가 생성한 송신 신호에서 진폭치가 0이 된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을 판정하는 판정부,
    상기 수신한 송신 신호로부터, 상기 판정부에 의해 진폭치가 0이 되었다고 판정된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간섭 신호로서 검출하는 검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가,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에러 정정 부호화부와 같은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제1 변조부와 같은 변조를 행하고, 상기 블럭 부호화부와 같은 블럭 부호화를 행함으로써 상기 송신부가 생성한 송신 신호에서 진폭치가 0이 되는 서브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검출된 간섭 신호에 기초하여 간섭이 생기는 서브 캐리어를 나타내는 간섭 대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장치에 송신하는 간섭 대역 정보 신호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의 상기 에러 정정 부호화부 또는 상기 제1 변조부는 상기 간섭 대역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부호화율 또는 변조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복수의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진 무선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해야 할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해 에러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 캐리어의 진폭치를 0으로 한 널 서브 캐리어로 하여 에러 정정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 장치가 상기 복수의 서브 캐리어의 신호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해 에러 정정 복호를 행하여 상기 송신 대상 데이터를 얻음과 동시에 상기 널 서브 캐리어를 사용한 서브 캐리어에서 미리 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신 전력을 검출한 경우 해당 서브 캐리어에 간섭이 생긴다고 판정하는 과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17013026A 2008-12-19 2009-12-1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331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4412 2008-12-19
JP2008324412 2008-12-19
JP2009049785 2009-03-03
JPJP-P-2009-049785 2009-03-03
PCT/JP2009/007021 WO2010070925A1 (ja) 2008-12-19 2009-12-18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129A Division KR101535559B1 (ko) 2008-12-19 2009-12-1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557A true KR20110088557A (ko) 2011-08-03
KR101331252B1 KR101331252B1 (ko) 2013-11-19

Family

ID=422686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026A KR101331252B1 (ko) 2008-12-19 2009-12-1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0137020129A KR101535559B1 (ko) 2008-12-19 2009-12-1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129A KR101535559B1 (ko) 2008-12-19 2009-12-18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44404B2 (ko)
EP (2) EP2348655B1 (ko)
JP (2) JP5399412B2 (ko)
KR (2) KR101331252B1 (ko)
CN (1) CN102246444B (ko)
WO (1) WO20100709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375A (ko) * 2011-11-1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진폭 변조 심볼 매핑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8655B1 (en) * 2008-12-19 2015-08-2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relessly
CN102468914B (zh) * 2010-11-16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预编码方法及装置
US9509417B2 (en) * 2011-10-13 2016-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in which a terminal transceives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JP5977666B2 (ja) 2012-12-26 2016-08-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周波数選択性妨害訂正方法
WO2014124661A1 (en) * 2013-02-12 2014-08-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Zero insertion for isi free ofdm reception
JP2015032992A (ja) * 2013-08-02 2015-02-16 株式会社東芝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9780899B2 (en) 2013-09-24 2017-10-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US9548836B2 (en) * 2013-11-26 2017-01-17 Broadcom Corporation Upstream burst noise detection
EP2916506B1 (en) 2014-03-07 2019-07-31 Vodafone GmbH Walsh-Hadamard transformed GFDM radio transmission
US9673905B1 (en) * 2014-03-18 2017-06-06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device for demarcating data bursts
WO2015176271A1 (zh) * 2014-05-22 2015-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发送、接收的方法、装置及系统
US10958391B2 (en) * 2014-11-18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Tone pl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P3211948B1 (en) 2014-11-24 2019-07-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9686114B2 (en) * 2015-06-26 2017-06-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mmunicating one or more symbols with multiple pilot signals and nulls
TWI577159B (zh) * 2015-08-13 2017-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資料分配方法、訊號接收方法、無線傳送及接收裝置
EP3537678B1 (en) * 2018-03-08 2022-05-04 Institut Mines Telecom - IMT Atlantique - Bretagne - Pays de la Loire Pseudo-guard intervals insertion in an fbmc transmitter
EP3570467A1 (en) * 2018-05-17 2019-11-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ceiver and method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narrowband spurs during an ofdm signal reception
WO2019234932A1 (ja) * 2018-06-08 2019-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送信方法
CN115244861B (zh) * 2020-03-10 2024-04-09 三菱电机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和无线通信系统
US11611459B1 (en) * 2021-08-25 2023-03-21 Qualcomm Incorporated Symbol configuration for single-carrier for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wavefor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576B2 (ja) * 1999-05-18 2004-01-13 シャープ株式会社 Ofdm受信装置及びその周波数オフセット補償方法
CN1659817B (zh) 2002-09-12 2010-06-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电发送设备、无线电接收设备和选择发送对消副载波的方法
JP3657948B2 (ja) * 2002-09-12 2005-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送信キャンセルサブキャリアの選択方法
JP3697521B2 (ja) * 2003-04-21 2005-09-21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受信装置、受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WO2007014310A2 (en) * 2005-07-27 2007-02-01 Wionics Research Tone sensing and nulling in frequency-hopped multicarrier system
JP4575318B2 (ja) 2006-03-09 2010-11-04 株式会社東芝 基地局、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722752B2 (ja) 2006-04-11 2011-07-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Ofdm信号受信装置
JP2007312114A (ja) * 2006-05-18 2007-11-29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00048151A1 (en) 2007-02-15 2010-02-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EP2352351B1 (en) 2008-12-04 2015-02-2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Control station apparatus, transmitter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EP2348657B1 (en) 2008-12-18 2013-09-1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EP2348655B1 (en) * 2008-12-19 2015-08-26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reless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375A (ko) * 2011-11-1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진폭 변조 심볼 매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3563A1 (en) 2015-04-22
KR101535559B1 (ko) 2015-07-09
EP2348655B1 (en) 2015-08-26
WO2010070925A1 (ja) 2010-06-24
JP2014053904A (ja) 2014-03-20
EP2348655A1 (en) 2011-07-27
JPWO2010070925A1 (ja) 2012-05-24
EP2863563B1 (en) 2017-01-11
JP5399412B2 (ja) 2014-01-29
JP5634582B2 (ja) 2014-12-03
US20110243268A1 (en) 2011-10-06
CN102246444A (zh) 2011-11-16
KR101331252B1 (ko) 2013-11-19
CN102246444B (zh) 2015-08-26
KR20130093690A (ko) 2013-08-22
US8644404B2 (en) 2014-02-04
EP2348655A4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25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CN1921365B (zh) 发送设备、接收设备和发送方法
US88115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CN102113242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JP6088574B2 (ja) 信頼性のあるアンテナ設定検出のための物理放送チャンネル(pbch)伝送
US81895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an OF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0703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ilot ton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hannel using it
CA2809886C (en) Generation and application of a sub-codebook of an error control coding codebook
US8750276B2 (en) Transmission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547409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10007784A1 (en) Relay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00220806A1 (en)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radio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935747B2 (en) Transmitting node, receiving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KR101430609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US78397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p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93251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EP4203405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yload data with repetitions of a coded waveform
JP2006191701A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