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322A -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322A
KR20110088322A KR1020100011355A KR20100011355A KR20110088322A KR 20110088322 A KR20110088322 A KR 20110088322A KR 1020100011355 A KR1020100011355 A KR 1020100011355A KR 20100011355 A KR20100011355 A KR 20100011355A KR 20110088322 A KR20110088322 A KR 2011008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hamber
treatment chamber
contaminated soil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046B1 (ko
Inventor
송현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Publication of KR2011008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기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오염토양을 컨베이어벨트에 실어 건조실, 약품처리실, 열처리실 및 배기실로 연속 통과시키면서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경질류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약품처리실에서 화학적처리를 수행하고 중질류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열처리실에서 열분해방법으로 오염원을 분해시킨 뒤 상기 배기실에서 유증기를 흡착 제거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오염토양의 선별 및 오염원의 종류별 정화가 가능하며 장치의 소형화로 운반부피를 줄일 수 있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에 공급되는 오염토양을 열처리실로 통과시키면서 다수개의 토치로 가열하여 오염원을 열분해 제거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선단에는 오염토양을 선별하는 선별기가 구비되어 자갈이나 이물질을 걸러낸 오염토양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직접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무한괘도식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어 오염토양을 받는 다수개의 내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처리실의 선단에는 건조실 및 약품처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열처리실의 후단에는 배기실이 연이어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은 고압공기 또는 열풍을 오염토양에 분사 건조시키는 에어노즐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약품처리실의 내부에는 오염토양을 휘젓는 교반날개들이 형성된 교반축이 구비되며, 상기 교반축의 내부는 약품을 투입하는 투입관이 마련되며,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투입관과 연결되어 약품을 오염토양에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The sorting and purification apparatus of a contamination soil}
본 발명은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기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오염토양을 컨베이어벨트에 실어 건조실, 약품처리실, 열처리실 및 배기실로 연속 통과시키면서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경질류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약품처리실에서 화학적처리를 수행하고 중질류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열처리실에서 열분해방법으로 오염원을 분해시킨 뒤 상기 배기실에서 유증기를 흡착 제거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오염토양의 선별 및 오염원의 종류별 정화가 가능하며 상기 선별기에는 토양을 분쇄하여 뭉침을 풀어주고 약품을 분사하여 전처리하거나 또는 고압공기 및 스팀으로 토양의 유동성을 높이는 수단을 마련하여 정화성능을 높이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로 운반부피를 줄일 수 있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 및 유류저장탱크가 설치된 곳은 지반 내부로 기름이 유출되어 토양이 오염되는 실정이다. 오염토양을 정화시키는 방법으로 화학적처리, 증기추출법 및 열분해 처리법 등이 있다. 화학적처리란 계면활성제 및 산화제 등의 약품을 이용하여 토양으로 부터 오염원을 분리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 과정에서 흡착기를 이용하여 유증기 등의 유해가스를 흡착 제거하는 증기추출법이 병행 시행된다.
또한 오염 토양중에는 미세 분말 형태의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중금속 또는 중질류는 산화제 및 계면활성제 같은 중화제로 화학적 처리를 하더라도 제거되지 않고 토양에 계속 남게 된다. 특히 납, 수은 및 카드뮴 갖은 중금속은 미량이더도 인체에는 치명적이므로 오염토양을 정화시킬 때 필수적으로 제거해야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중금속 및 중질류를 제거하기 위해 플라즈마의 열기로 이를 열분해시켜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미국특허 US5,181,797호에는 플라즈마 토치를 토양 내부로 투입하여 중금속을 연소시켜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오염 토양의 주변에 다수개의 관정을 수직으로 뚫고 내부에 플라즈마 토치를 삽입해야 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특히 오염토양이 외부로 들어나지 않고 지반 내부에 남아 계속적인 가열에 의해 제거되는 방식이므로 국부적으로 토치의 열기가 미치지 않는 곳은 중금속이 제거되지 않고 남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특허공개 제2000-0049289호는 토치를 지반 내부에 수평으로 삽입하여 플라즈마 열기로 오염토양의 중금속을 연소 제거하는 방식이나, 이것 역시 오염토양이 지반 내부에 남아 있으므로 토치의 열기가 미치지 않는 곳이 발생되어 오염지역의 중금속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중금속이 열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토양 내부로 스며들어 오히려 오염지역이 확산되는 역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방식의 정화방법은 실용화되기 어려운 기술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화학적 처리 및 열분해처리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연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특허출원 제2009-95984호로 선출원 중에 있다.
본 발명은 선출원중인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기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오염토양을 컨베이어벨트에 실어 건조실, 약품처리실, 열처리실 및 배기실로 연속 통과시키면서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경질류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약품처리실에서 화학적처리를 수행하고 중질류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열처리실에서 열분해방법으로 오염원을 분해시킨 뒤 상기 배기실에서 유증기를 흡착 제거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오염토양의 선별 및 오염원의 종류별 정화가 가능하며 상기 선별기에는 토양을 분쇄하여 뭉침을 풀어주고 약품을 분사하여 전처리하거나 또는 고압공기 및 스팀으로 토양의 유동성을 높이는 수단을 마련하여 정화성능을 높이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로 운반부피를 줄일 수 있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에 공급되는 오염토양을 열처리실로 통과시키면서 다수개의 토치로 가열하여 오염원을 열분해 제거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선단에는 오염토양을 선별하는 선별기가 구비되어 자갈이나 이물질을 걸러낸 오염토양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직접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무한괘도식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어 오염토양을 받는 다수개의 내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처리실의 선단에는 건조실 및 약품처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열처리실의 후단에는 배기실이 연이어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은 고압공기 또는 열풍을 오염토양에 분사 건조시키는 에어노즐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약품처리실의 내부에는 오염토양을 휘젓는 교반날개들이 형성된 교반축이 구비되며, 상기 교반축의 내부는 약품을 투입하는 투입관이 마련되며,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투입관과 연결되어 약품을 오염토양에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기는 진동모터가 측벽에 부착되고 투입구에는 막대형 선별망이 부착되어 투입되는 오염토양중에 포함된 자갈이나 큰 돌맹이 불순물이 선별망을 타고 흘러 배출되므로 선별중에 막힘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선별기 하부 배출구는 컨베이어벨트의 선단과 바로 연결되어 오염토양이 컨베이어벨트에 낙하되어 이송되므로 별도의 연결수단이 불필요하여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기에는 하부 배출구에 분쇄실이 마련되어 분쇄날개들로 오염토양을 분쇄하므로 토양의 뭉침을 풀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균일하고 넓게 퍼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분쇄날개들 사이사이로 노즐을 마련하여 약품을 분사하거나 또는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토양의 유동성을 높이고 오염토양을 약품으로 1차 처리하여 다음 공정의 약품처리실에서 오염토양의 화학적처리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해준다.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나란하게 이송되는 한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된 다수개의 내열판들로 구성되어 오염토양이 실리도록 한 것이며,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건조실, 약품처리실, 열처리실 및 배기실을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오염토양의 종류에 따라 경질류의 경우 오염토양이 건조실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고 약품처리실에서 산화제 및 계면활성제에 의해 분해되어 제거되며, 이후 열처리실은 작동되지 않으므로 단순 통과되어 배기실에서 유증기가 회수되는 처리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중질류의 경우 약품처리실은 작동시키지 않고 열처리실의 토치만 작동시킨다. 이처럼 할 경우 건조실에서 열풍으로 건조된 뒤 약품처리실을 통과하여 열처리실에서 화염으로 열처리되며, 이때 오염원이 열분해 제거된 뒤 배기실에서 유증기가 회수되는 처리단계를 거친다. 또한 오염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약품처리실에서 약품은 투약하지 않고 단순히 교반날개들만 회전시켜 오염토양을 교반시킬 경우 열처리실에서의 열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치로 오염토양의 불순물을 선별하고 경질류 및 중질류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저렴하게 제작하고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운반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선별 및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선별 및 정화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약품처리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선별 및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선별 및 정화장치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약품처리실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선별 및 정화장치의 정단면도
도 1내지 도 3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정화장치는 선별기(10), 컨베이어벨트(20), 건조실(30), 약품처리실(40), 열처리실(50) 및 배기실(60)로 구성되는데, 상기 건조실(30), 약품처리실(40), 열처리실(50) 및 배기실(60)은 일렬로 배열되고 하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20) 및 오염토양이 지나가도록 통로(32)(42)(52)(62)가 수평적으로 연결 형성된다.
상기 선별기(10)는 상부의 진동부(10a)와 하부의 고정부(10b)로 분리구성되어 고정부(10b)는 건조실(30), 약품처리실(40) 및 열처리실(50)과 함께 차량 운반이 가능한 크기의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의 진동부(10a)는 입구에 경사진 선별망(11)이 구비되는데, 상기 선별망(11)은 막대형 환봉이 일정간격 배열된 형태로써, 자갈이나 큰 돌맹이는 경사진 선별망(11)을 타고 배출되며 오염토양은 내부로 투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선별기(10)의 외부에는 사방으로 진동모터(12)가 구비되고 그 하부는 스프링(13)으로 받쳐진 구성이며, 진동모터(12)에 의해 선별기(10)가 떨리면 스프링(13)에 의해 그 진동이 전파되면서 선별기(10)의 진동부(10a) 전체에 떨림이 발생되고 이 힘으로 오염토양은 선별망(11)에 적체되지 않고 하부의 배출구(14)로 이송되어 컨베이어벨트(20)에 낙하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20)는 구동 및 종동스프로킷휠(22)(23)에 걸린 체인(21)이 일정폭 떨어져 한쌍이 구비되며, 이들 체인(21) 사이에는 판상의 내열판(24)들이 다수개 연결되어 무한괘도식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통로(32)(42)(52)(62)를 따라 상기 건조실(30), 약품처리실(40), 열처리실(50) 및 배기실(60)을 단계별로 지나간다. 또한 상기 내열판(24)은 양단이 수직으로 세워진 가림막(25)으로 구성되어 오염토양의 흘러내림을 방지시킨다.
상기 건조실(30)은 다수개의 에어노즐(31)이 구비되어 토양에 고압공기 또는 열풍을 분사하여 토양을 건조시켜 토양의 뭉침을 억제시킨다.
상기 약품처리실(40)에는 다수개의 교반축(41)이 병설되며 이들 교반축(41)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교반날개(43)들이 구비되어 오염토양을 휘젓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축(41)은 내부가 중공상의 투입관(44)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투입관(44)과 통하는 다수개의 노즐(4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교반축(41)의 한쪽은 상기 투입관(44)과 연결된 로터리조인트(41a)가 구비되어 교반축(41)이 회전되더라도 정지상태에서 상기 투입관(44) 내부로 산화제 또는 계면활성제 같은 약품을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축(41)의 반대쪽에는 모터(41b)가 구비되어 교반축을 회전시킨다.
상기 열처리실(5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열판(24)으로 향하는 다수개의 토치(51)가 다수열 구비되어 오염토양의 표면에 약 800℃ ~ 1000℃의 고열을 분사하여 중금속을 산화 제거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기실(60)은 오염토양의 약품처리 및 열분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 및 폐가스를 배기팬(63)으로 배기시키는 배기구(61)가 마련되고, 유증기 회수기(64), 흡착기(65) 및 탈취기(66)를 거쳐 최종적으로 무해한 공기가 배기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는 오염지역의 토양을 선별기(10)에 투입하면 진동모터(12)에 의해 선별기(10)가 떨리면서 자갈과 이물질이 경사진 선별망(11)을 타고 흘러내려 배출되고 오염토양은 배출구(14)를 따라 컨베이어벨트(20)의 내열판(24)으로 낙하된다.
오염토양은 그 종류에 따라 처리과정이 달라지는데, 만약 경질유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열처리실(50)에서 처리하지 않고 약품처리실(40)에서 처리한다. 경질류에 오염된 토양이 내열판(24)에 실려 건조실(30)로 이송되는 동안 에어노즐(31)에서 고압공기가 분사되면 오염토양의 수분을 제거되고 뭉침이 억제된다. 이후 약품처리실(40)을 통과하는 동안 모터(41b)로 회전되는 상기 교반축(41)의 교반날개(43)들에 의해 토양이 휘저어지고 이때 투입관(44)으로 공급되는 계면활성제 또는 산화제가 노즐(45)에서 분사되어 오염토양이 화학적으로 분해되어 오염원이 분리된다.
상기 약품처리실(40)에서 오염원이 분리된 토양은 상기 열처리실(50)을 단순 거쳐 배기실(60)을 지나게 되는데, 화학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는 상부의 배기구(61)와 연결된 배기팬(63)으로 흡입된 뒤 유증기 회수기(64), 흡착기(65) 및 탈취기(66)를 거져 무공해 상태로 배기된다.
오염토양이 중질유에 오염된 경우 상기 약품처리실(40)은 교반축(41)만 작동시켜 오염토양을 뭉치지 않게 휘저어 주고 이후 상기 열처리실(50)에서 오염토양을 열분해시킨다.
오염토양이 중질유 및 중금속에 오염된 경우 상기 선별기(10)에서 이물질을 걸러 컨베이어벨트(20)의 내열판(24)으로 투입한다. 상기 내열판(24)을 한쪽으로 계속 순환되는 구조이므로 오염토양은 건조실(30)에서 고압공기로 건조되고 상기 약품처리실(40)의 교반날개(43)에 의해 휘저어지면서 뭉침이 억제되고 골고루 펼쳐진 상태로 열처리실(50)로 투입된다.
상기 열처리실(50)에는 다수개의 토치(51)가 병설되어 순간온도 약 1000℃의 고온이 토양에 직접 닿아 중질유 및 중금속을 열분해 제거시킨다. 이후 배기실(60)을 거쳐 배출되는데, 열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유증기 및 각종 폐가스는 배기구(61)와 연결된 배기팬(63)으로 흡입된 뒤 유증기 회수기(64), 흡착기(65) 및 탈취기(66)를 거져 무공해 상태로 배기된다.
도 4내지 도 6에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정화장치는 선별기의 구성을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선별기(10)는 상측 진동부(10a)의 투입구에 막대형 선별망(11)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돌맹이나 이물질이 걸러져 한쪽 경사면을 타고 흘러 배출되도록 구비되며, 하부 고정부(10b)의 배출구(14) 쪽에는 한쌍의 분쇄축(101)을 갖는 분쇄실(100)이 마련된다. 상기 분쇄실(100)은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쇄축(101)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된 분쇄날개(103)들을 감싸는 형태로써, 뭉쳐진 오염토양을 잘게 부숴 상기 컨베이어벨트(20)에 균일하게 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축(101)의 내부는 중공상태의 투입관(102)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노즐(104)이 상기 투입관(102)과 통하게 구비되며, 상기 분쇄축(101)의 한쪽 끝단은 로터리조인트(105)를 통하여 상기 투입관(102)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분쇄축(101)이 모터(106)에 의해 고속 회전되더라도 상기 로터리조인트(105)를 통하여 약품이나 고압공기 및 스팀이 투입관(101) 내부로 공급된 뒤 노즐(104)에서 오염토양으로 분사되어 토양을 1차 약품처리하거나 또는 토양의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선별기(10)는 스프링(13)에 의해 하부의 분쇄실(100)과 상부의 선별망(11)이 분리되어 상부의 진동모터(12)로 선별기(10)가 흔들릴때 그 진동이 하부의 분쇄실(100)에 전파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의 분쇄실(100)이 다리에 의해 지면이나 이동식 차량에 고정되면 진동모터(12)의 진동에 의해 선별기(10)가 강하게 진동되면서 떨림이 발생되어도 하부의 분쇄실(10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선별기(10)에서 내부로 투입되는 토양은 상기 분쇄축(101)의 회전으로 분쇄날개(103)들에 의해 잘게 부숴져 뭉침이 억제되고 하부의 배출구(14)에서 상기 컨베이이벨트(20)의 표면에 넓고 균일한 두께로 펼쳐져 낙하된다.
또한 상기 분쇄축(101)의 내부에는 투입관(102)이 마련되어 약품이나 고압공기 및 스팀이 공급되므로 노즐(104)에서 토양으로 이들이 분사되면 오염토양을 화학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토양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본 발명 한 실시예에서 약품처리실(40)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상기 분쇄실(100)의 노즐(104)에서 약품을 분사하여 경질유에 오염된 토양을 화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약품처리실(40)과 병행하여 토양을 다단계로 약품처리하거나 또는 한쪽은 고압공기나 스팀을 분사하고 다른 한쪽은 약품을 분사하는 등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만약 오염토양이 경질유에 오염된 것일 경우 상기 분쇄축(101)의 노즐(104)에서 약품을 분사하여 토양을 1차적으로 화학처리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20)의 약품처리실(40)에서 약품을 분사하여 토양을 2차적으로 처리하면 약품처리가 분산되고 약품에 노출되는 시간이 늘어나므로 오염토양의 정화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질유에 오염된 토양의 경우 상기 분쇄축(101)의 노즐(104)에서 고압공기나 스팀을 분사하여 토양의 유동성을 높여 뭉침을 억제한 상태로 선별기(10)에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스팀이나 고압공기로 처리되면서 분쇄된 오염토양이 컨베이어벨트(20)를 타고 열처리실(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토치(51)에 의해 열처리되어 오염원이 산화된다.
10 : 선별기 11 : 선별망
12 : 진동모터 13 : 스프링
20 : 컨베이어벨트 21 : 체인
22 : 구동스프로킷휠 23 : 종동스프로킷휠
24 : 내열판 25 : 가림막
30 : 건조실 31 : 에어노즐
32 : 통로 40 : 약품처리실
41 : 교반축 42 : 통로
43 : 교반날개 44 : 투입관
45 : 노즐 50 : 열처리실
51 : 토치 52 : 통로
60 : 배기실 61 : 배기구
62 : 통로 63 : 배기팬
64 : 유증기 회수기 65 : 흡착기
66 : 탈취기 100 : 분쇄실
101 : 분쇄축 102 : 투입관
103 : 분쇄날개 104 : 노즐
105 : 로터리조인트 106 : 모터

Claims (7)

  1. 컨베이어벨트에 공급되는 오염토양을 열처리실로 통과시키면서 다수개의 토치로 가열하여 오염원을 열분해 제거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선단에는 오염토양을 선별하는 선별기가 구비되어 자갈이나 이물질을 걸러낸 오염토양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직접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무한괘도식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어 오염토양을 받는 다수개의 내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처리실의 선단에는 건조실 및 약품처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열처리실의 후단에는 배기실이 연이어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은 고압공기 또는 열풍을 오염토양에 분사 건조시키는 에어노즐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약품처리실의 내부에는 오염토양을 휘젓는 교반날개들이 형성된 교반축이 구비되며, 상기 교반축의 내부는 약품을 투입하는 투입관이 마련되며,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투입관과 연결되어 약품을 오염토양에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 약품처리실, 열처리실 및 배기실의 하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및 오염토양이 지나가도록 통로가 연결 형성되고,
    상기 선별기는 한쪽으로 경사진 다수개의 환봉이 일정간격 떨어진 선별망이 입구에 구비되며 외부에는 진동모터 및 스프링이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상기 선별기에 떨림이 발생되면서 자갈 및 이물질은 선별망을 타고 경사진 방향으로 배출되고 오염토양은 내부를 거쳐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열판으로 낙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경질유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약품처리실에서 계면활성제 또는 산화제로 약품처리하고,
    중질유에 오염된 토양은 상기 열처리실에서 토치로 열분해시키되 상기 약품처리실의 교반축은 약품을 투입하지 않고 회전시켜 오염토양이 펼쳐지며 열처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내열판은 양쪽으로 가림막이 구비되어 오염토양의 흘러내림을 막으며,
    상기 배기실은 후방에 배기구가 형성되어 배기팬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팬은 유증기회수기, 흡착기 및 탈취기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오염토양의 약품처리 및 열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정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5. 컨베이어벨트에 공급되는 오염토양을 열처리실로 통과시키면서 다수개의 토치로 가열하여 오염원을 열분해 제거하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선단에는 오염토양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선별기를 구비하되, 상기 선별기는 배출구가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 선별망은 스프링 위에 놓여 진동모터의 떨림으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고, 상기 배출구 쪽에는 분쇄실이 구비되어 한쌍의 분쇄축이 회전되면 분쇄날개들로 뭉쳐진 토양이 잘게 부숴져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낙하되도록 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무한괘도식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체인 사이에 연결되어 오염토양을 받는 다수개의 내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처리실의 선단에는 건조실이 구비되고, 상기 열처리실의 후단에는 배기실이 연이어 구비되며,
    상기 건조실은 고압공기 또는 열풍을 오염토양에 분사 건조시키는 에어노즐이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축의 내부는 중공상태의 투입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투입관과 연결되어 약품 또는 고압공기 및 스팀을 오염토양에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실과 건조실의 사이에 약품처리실이 구비되고,
    상기 약품처리실의 내부에는 오염토양을 휘젓는 교반날개들이 형성된 교반축이 구비되며, 상기 교반축의 내부는 약품을 투입하는 투입관이 마련되며, 상기 교반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투입관과 연결되어 약품을 오염토양에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KR1020100011355A 2010-01-28 2010-02-08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KR101139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83 2010-01-28
KR20100007783 2010-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22A true KR20110088322A (ko) 2011-08-03
KR101139046B1 KR101139046B1 (ko) 2012-04-30

Family

ID=4492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355A KR101139046B1 (ko) 2010-01-28 2010-02-08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04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46B1 (ko) * 2015-10-30 2017-03-06 한성수산식품 (주) 새우젓의 이물질을 수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펼침장치.
CN110918637A (zh) * 2019-12-20 2020-03-27 煜环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修复土壤用搅拌混合系统及工艺
KR102158605B1 (ko) * 2020-05-20 2020-09-22 (주)자연과환경 사여과조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KR102184625B1 (ko) * 2020-05-06 2020-11-3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친환경 리사이클형 오염토양 정화장치
CN113695381A (zh) * 2021-09-08 2021-11-26 陈冲 一种矿山生态修复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45901B1 (ko) * 2021-06-04 2022-01-0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자주식 통합기능 토양혼합장치
KR102355019B1 (ko) * 2021-06-04 2022-02-09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자주식 통합기능 토양혼합장치를 이용한 토양 정화방법
KR102468032B1 (ko) * 2022-05-30 2022-11-18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열탈착 효율을 향상시킨 열탈착 시스템
CN116351863A (zh) * 2023-04-19 2023-06-30 云南师范大学 一种土壤修复用追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60Y1 (ko) * 2013-03-07 2013-06-13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토양 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7658A (ja) * 2004-12-17 2006-06-29 Jipangu Energy:Kk 汚染土壌の無害化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870445B1 (ko) * 2008-07-14 2008-11-25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토양 복원장치
KR100894053B1 (ko) 2008-10-23 2009-04-20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다단식 토양 복원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46B1 (ko) * 2015-10-30 2017-03-06 한성수산식품 (주) 새우젓의 이물질을 수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펼침장치.
CN110918637A (zh) * 2019-12-20 2020-03-27 煜环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修复土壤用搅拌混合系统及工艺
KR102184625B1 (ko) * 2020-05-06 2020-11-30 (주)한국환경복원기술 친환경 리사이클형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2158605B1 (ko) * 2020-05-20 2020-09-22 (주)자연과환경 사여과조를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KR102345901B1 (ko) * 2021-06-04 2022-01-0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자주식 통합기능 토양혼합장치
KR102355019B1 (ko) * 2021-06-04 2022-02-09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자주식 통합기능 토양혼합장치를 이용한 토양 정화방법
CN113695381A (zh) * 2021-09-08 2021-11-26 陈冲 一种矿山生态修复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695381B (zh) * 2021-09-08 2022-06-10 陈冲 一种矿山生态修复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68032B1 (ko) * 2022-05-30 2022-11-18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열탈착 효율을 향상시킨 열탈착 시스템
CN116351863A (zh) * 2023-04-19 2023-06-30 云南师范大学 一种土壤修复用追肥装置
CN116351863B (zh) * 2023-04-19 2023-10-03 云南师范大学 一种土壤修复用追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046B1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046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정화장치
US4951417A (en) Method of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0958292B1 (ko)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1485776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아스콘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0633111B1 (ko) 토양 세척 장치
KR100861334B1 (ko) 토양 세척장치
KR100952702B1 (ko)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장치
US5337684A (en) Material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545845B1 (ko) 어망 건조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96416B1 (ko) 열 변형 파쇄를 이용한 복합오염 토양의 유류와 중금속 동시 탈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203455B1 (ko)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0847262B1 (ko) 토양 연속 세척장치
CN112108512A (zh) 基于再生型尾气脱附助剂的有机污染土壤修复装置及方法
KR101769439B1 (ko) 도상자갈용 세척장치
KR100711940B1 (ko) 폐가스 정화처리장치용 습식유닛
KR100939979B1 (ko) 중금속 오염토양 연속 정화장치
CN104759462A (zh) 一种具有尾气处理功能的土壤淋洗提质修复装置
KR100958550B1 (ko) 열탈착식 다단 토양 복원장치
KR101014188B1 (ko) 오염토양 정화장치
KR20100046479A (ko) 수평식 다단 토양 복원장치
KR100870447B1 (ko) 토양 연속 복원장치
JP2002219444A (ja) 揮発性有機化合物を含む汚染土壌の浄化装置
US5193291A (en) Soil remedi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894053B1 (ko) 다단식 토양 복원장치
CN108262342B (zh) 一种含油污泥磁化裂解生物修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