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068A - 밸브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068A
KR20110088068A KR1020100007798A KR20100007798A KR20110088068A KR 20110088068 A KR20110088068 A KR 20110088068A KR 1020100007798 A KR1020100007798 A KR 1020100007798A KR 20100007798 A KR20100007798 A KR 20100007798A KR 20110088068 A KR20110088068 A KR 20110088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sing
valve
plate membe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806B1 (ko
Inventor
김길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80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9/00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브의 핸들에 끼워져 핸들에 걸리는 복수의 밸브 조작 돌기가 하부면에 이격되게 돌출된 조작 판부재와, 상기 조작 판부재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이 구비된 조작 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밸브 조작 돌기를 밸브의 핸들에 결합시켜 상기 조작 핸들을 사용하여 간단히 밸브를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밸브의 개폐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좁은 장소에서 밸브의 개폐 조작할 때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여 작업 중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밸브 조작 장치{Handling Device for Valve}
본 발명은 밸브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작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의 생산 현장에는 각종 유체의 이송(주로 물,공기,산소 등)을 위한 유압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유압라인은 공급원, 저장소 등을 사용처와 연결하는 배관과, 그 배관에 설치된 펌프, 블로워 등의 이송장치와, 이송 및 배출을 단속하고 그 양을 조절하는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밸브는 배관의 관로를 개폐하여 관로 내의 유체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자적으로 자동 조작이 가능한 것과,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밸브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의 핸들에 끼워져 핸들에 걸리는 복수의 밸브 조작 돌기가 하부면에 이격되게 돌출된 조작 판부재와;
상기 조작 판부재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이 구비된 조작 축부재를 포함한 밸브 조작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 축부재는 상기 조작 판부재에 장착되는 제 1 축부와, 상기 제 1 축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이 구비된 제 2 축부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제 1 축부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제 1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축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플랜지부에 겹쳐지며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볼트 구멍과 대응되게 복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제 2 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축부와 상기 제 2 축부는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제 2 플랜지부를 맞붙인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볼트 구멍에 각각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플랜지 결합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밸브 조작 돌기는 상기 조작 판부재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작 판부재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 축부재는 상기 조작 판부재에 장착되는 제 1 회전 축부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이격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이 구비된 제 2 회전 축부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축 케이싱부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2 축 케이싱부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제 1 축 케이싱부를 연결, 분리시키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와 제 2 축 케이싱부를 연결, 분리시키는 제 2 고정부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가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제 2 회전 축부를 연결하는 축 연결부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조작 축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베어링부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 축부재는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와 제 2 축 케이싱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힌지 단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 단속부는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 중 어느 한 측에 축 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 상기 축 구멍에 축 결합하는 힌지 축이 구비되며, 상기 축 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힌지 축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측에는 탄성 걸림부가 돌출되고, 다른 한 측에는 상기 탄성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의 단속 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축 연결부는 상기 제 1 회전 축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 1 베벨 기어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가 직각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벨 기어에 맞물리게 상기 제 2 회전 축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 2 베벨 기어를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밸브의 개폐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좁은 장소에서 밸브의 개폐 조작할 때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여 작업 중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대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실시 예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작 판부재(10)는 원형 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판부재(10)의 하부에는 밸브의 핸들에 끼워져 핸들에 걸리는 복수의 밸브 조작 돌기(11)가 하부면에 이격되게 돌출된다.
상기 조작 판부재(10)의 중심에는 상부로 수직으로 돌출된 조작 축부재(20)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 축부재(20)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손을 파지하는 조작 핸들(20a)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 축부재(20)는 상기 조작 판부재(10)에 장착되는 제 1 축부(21)와, 상기 제 1 축부(21)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20a)이 구비된 제 2 축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축부(21)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제 1 플랜지부(21a)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축부(22)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플랜지부(21a)에 겹쳐지며 상기 제 1 플랜지부(21a)의 볼트 구멍과 대응되게 복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제 2 플랜지부(22a)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축부(21)와 상기 제 2 축부(22)는 상기 제 1 플랜지부(21a)와 제 2 플랜지부(22a)를 맞붙인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볼트 구멍에 각각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플랜지 결합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 축부재(20)는 밸브의 설치 장소에 따라 제 1 축부(21)와 제 2 축부(22)를 분리하여 조작 판부재(10)를 밸브의 핸들 상에 올려 상기 밸브 조작 돌기(11)가 핸들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제 1 축부(21)와 제 2 축부(22)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복수의 밸브 조작 돌기(11)는 상기 조작 판부재(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작 판부재(1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밸브 조작 돌기(11)는 상기 조작 판부재(10)의 하부면에 볼트 체결로 결합하여 분리 가능한 것을 일 예로 하며, 밸브의 핸들 형상에 따라 밸브 핸들(2)에 적합한 개수 및 위치로 상기 조작 판부재(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스트립의 산세 라인에서 혼산 조의 드레인 밸브(1)를 조작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혼산조의 드레인 밸브(1)의 밸브 핸들(2)은 원형 링 몸체부(2a)와, 상기 밸브 핸들(2)의 회전 축에서 방사상으로 상기 원형 링 몸체부(2a)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리브(2b)를 포함한다.
상기 혼산조의 드레인 밸브(1)가 설치된 상태에서 주변 구조물에 의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밸브 핸들(2)을 파지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밸브 조작 돌기(11)를 상기 복수의 리브(2b) 사이에 배치한 후 상기 조작 핸들(20a)을 잡고 돌리면 상기 밸브 조작 돌기(11)가 상기 리브(2b)에 걸리면서 상기 밸브 핸들(2)을 회전시켜 상기 드레인 밸브(1)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 축부재(2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판부재(10)에 장착되는 제 1 회전 축부(23)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이격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20a)이 구비된 제 2 회전 축부(24)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23)가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2 축 케이싱부(26)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23)와 제 1 축 케이싱부(25)를 연결, 분리시키는 제 1 고정부(27)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와 제 2 축 케이싱부(26)를 연결, 분리시키는 제 2 고정부(28)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가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회전 축부(23)와 제 2 회전 축부(24)를 연결하는 축 연결부(29)를 포함한다.
또 상기 조작 축부재(20)는 상기 제 1 회전 축부(23)와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베어링부(30)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베어링부(3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베어링부(30)의 외륜은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베어링부(30)의 내륜은 제 1 회전 축부(23)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베어링부(31)의 외륜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베어링부(31)의 내륜은 제 2 회전 축부(24)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베어링부(30) 및 제 2 베어링부(31)는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제 1 회전 축부(23), 제 2 축 케이싱부(26)와 제 2 회전 축부(24)를 일체화시키고 제 1 회전 축부(23) 및 제 2 회전 축부(24)가 각각 제 1 축 케이싱부(25) 및 제 2 축 케이싱부(26) 내에서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 축부재(20)는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제 2 축 케이싱부(26)의 회전을 단속하는 힌지 단속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단속부(40)는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제 2 축 케이싱부(26)가 일직선으로 상기 조작 판부재(10)의 상부로 수직으로 견고히 세워지게 하고,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가 회전하여 제 1 회전 축부(23)와 제 2 회전 축부(24)가 상기 축 연결부(29)로 연결될 때 연결된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 단속부(4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 중 어느 한 측에 축 구멍(41)이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 상기 축 구멍(41)에 축 결합하는 힌지 축(42)이 구비되며, 상기 축 구멍(41)의 내주면과 상기 힌지 축(42)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측에는 탄성 걸림부(41a)가 돌출되고, 다른 한 측에는 상기 탄성 걸림부(41a)가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의 단속 홈(42a)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축 구멍(41)의 내주면에 탄성 걸림부(41a)가 돌출되고, 상기 힌지 축(42)의 외주면에 복수의 단속 홈(42a)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는 상기 힌지 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탄성 걸림부(41a)가 상기 힌지 축(42)의 단속 홈(42a) 내로 삽입되면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는 상기 탄성 걸림부(41a)가 단속 홈(42a)에서 이탈되는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단속 홈(42a)에서 이탈된 탄성 걸림부(41a)가 다른 단속 홈(42a)에 삽입되는 작동이 반복되면서 회전되고 탄성 걸림부(41a)가 단속 홈(42a)에 삽입된 위치에 따라 회전된 각도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축 연결부(29)는 상기 제 1 회전 축부(23)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 1 베벨 기어(29a)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가 직각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벨 기어(29a)에 맞물리게 상기 제 2 회전 축부(24)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 2 베벨 기어(29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부(27)는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23)를 관통하는 제 1 고정 볼트(27a)와, 상기 제 1 고정 볼트(27a)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 1 고정 너트(27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고정부(28)는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를 관통하는 제 2 고정 볼트(28a)와, 상기 제 2 고정 볼트(28a)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 2 고정 너트(28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 볼트(27a)는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23)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고정 너트(27b)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23)를 일체화시켜 함께 회전되게 하며, 제 1 고정 너트(27b)를 풀어 분리하면 상기 상기 제 1 회전 축부(23)를 제 1 축 케이싱부(25)와 분리시켜 별도로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고정 볼트(28a)는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고정 너트(28b)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23)를 일체화시켜 함께 회전되게 하며, 제 2 고정 너트(28b)를 풀어 분리하면 상기 상기 제 2 회전 축부(24)를 제 2 축 케이싱부(26)와 분리시켜 별도로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제 2 축 케이싱부(26)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밸브의 밸브 핸들(2)을 조작할 경우에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23) 및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는 상기 제 1 고정부(27) 및 제 2 고정부(28)로 일체화되어 상기 조작 핸들(20a)의 조작으로 상기 조작 판부재(10)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조작하려는 밸브의 밸브 핸들(2) 상부에 구조물이 설치되어 밸브 핸들(2)을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일단 상기 제 1 고정부(27) 및 제 2 고정부(28)로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25)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23) 및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26)를 90도로 회전시켜 위치시킴으로서 제 1 베벨 기어(29a)와 제 2 베벨 기어(29b)를 맞물려 상기 제 1 회전 축부(23)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24)를 연결시킨다.
그 다음 상기 조작 핸들(20a)을 잡고 회전시키면 제 1 회전 축부(23)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회전 축부(24)로 전달되어 상기 조작 판부재(10)가 회전됨으로써 밸브의 개폐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가 설치된 주변 환경에 따라 상기 밸브 핸들(2)의 조작 위치를 변경하여 조작할 수 있어 작업자가 조작하기 어려운 곳에 설치된 밸브를 더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조작 판부재 11 : 밸브 조작 돌기
20 : 조작 축부재 21 : 제 1 축부
22 : 제 2 축부 23 : 제 1 회전 축부
24 : 제 2 회전 축부 25 : 제 1 축 케이싱부
26 : 제 2 축 케이싱부 27 : 제 1 고정부
28 : 제 2 고정부 29 : 축 연결부
30 : 제 1 베어링부 31 : 제 2 베어링부
40 : 힌지 단속부

Claims (9)

  1. 밸브의 핸들에 끼워져 핸들에 걸리는 복수의 밸브 조작 돌기가 하부면에 이격되게 돌출된 조작 판부재와;
    상기 조작 판부재의 상부면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이 구비된 조작 축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축부재는 상기 조작 판부재에 장착되는 제 1 축부와, 상기 제 1 축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이 구비된 제 2 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부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제 1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축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플랜지부에 겹쳐지며 상기 제 1 플랜지부의 볼트 구멍과 대응되게 복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제 2 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축부와 상기 제 2 축부는 상기 제 1 플랜지부와 제 2 플랜지부를 맞붙인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볼트 구멍에 각각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플랜지 결합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브 조작 돌기는 상기 조작 판부재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조작 판부재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축부재는 상기 조작 판부재에 장착되는 제 1 회전 축부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이격되며 상단에 조작 핸들이 구비된 제 2 회전 축부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축 케이싱부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 2 축 케이싱부와;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제 1 축 케이싱부를 연결, 분리시키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와 제 2 축 케이싱부를 연결, 분리시키는 제 2 고정부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가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제 2 회전 축부를 연결하는 축 연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 축부재는 상기 제 1 회전 축부와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베어링부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 축부재는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와 제 2 축 케이싱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힌지 단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 단속부는 상기 제 1 축 케이싱부와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 중 어느 한 측에 축 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한 측에 상기 축 구멍에 축 결합하는 힌지 축이 구비되며, 상기 축 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힌지 축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측에는 탄성 걸림부가 돌출되고, 다른 한 측에는 상기 탄성 걸림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복수의 단속 홈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축 연결부는 상기 제 1 회전 축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 1 베벨 기어와, 상기 제 2 회전 축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축 케이싱부가 직각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벨 기어에 맞물리게 상기 제 2 회전 축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 2 베벨 기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작 장치.
KR1020100007798A 2010-01-28 2010-01-28 밸브 조작 장치 KR101109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98A KR101109806B1 (ko) 2010-01-28 2010-01-28 밸브 조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798A KR101109806B1 (ko) 2010-01-28 2010-01-28 밸브 조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068A true KR20110088068A (ko) 2011-08-03
KR101109806B1 KR101109806B1 (ko) 2012-02-24

Family

ID=4492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798A KR101109806B1 (ko) 2010-01-28 2010-01-28 밸브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8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41Y1 (ko) * 2014-03-14 2015-05-04 삼성중공업(주) 밸브용 조작 장치
CN105736819A (zh) * 2016-04-27 2016-07-06 重庆科技学院 高压管道阀门扳手
CN108036098A (zh) * 2017-11-27 2018-05-15 上海乔力雅洗衣器材有限公司 多功能液力阀门开闭器
KR102644025B1 (ko) 2023-10-11 2024-03-06 주식회사 대동 밸브 핸들 조작용 회동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1869B (zh) * 2015-08-27 2018-12-14 湖北兴瑞硅材料有限公司 一种阀门助力器及其使用方法
KR102575282B1 (ko) * 2023-05-26 2023-09-06 김낙원 밸브 보조 핸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50Y1 (ko) * 1994-03-07 1996-08-28 조광옥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밸브 개폐기
KR200311771Y1 (ko) * 2003-01-30 2003-05-01 최정현 급수전 밸브 개폐공구
KR20050056580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제품의 레그 조립용 지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41Y1 (ko) * 2014-03-14 2015-05-04 삼성중공업(주) 밸브용 조작 장치
CN105736819A (zh) * 2016-04-27 2016-07-06 重庆科技学院 高压管道阀门扳手
CN108036098A (zh) * 2017-11-27 2018-05-15 上海乔力雅洗衣器材有限公司 多功能液力阀门开闭器
KR102644025B1 (ko) 2023-10-11 2024-03-06 주식회사 대동 밸브 핸들 조작용 회동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806B1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806B1 (ko) 밸브 조작 장치
KR100692167B1 (ko) 회전 절삭기
JP5754567B2 (ja) 残圧排気弁
WO2018076448A1 (zh) 电动船用挂桨机
WO2006039856A1 (fr) Nouveau type de melangeur d’alimentation
CN105455686A (zh) 一种螺旋升降搅拌器、杯盖及杯子
KR101788644B1 (ko) 교반기
US9724738B2 (en) Vessel spray cleaning device
KR200458696Y1 (ko) 교반기의 상부 구동장치
KR101642135B1 (ko) 밸브의 개폐보조장치
KR101168335B1 (ko) 수동 회전이 가능한 3방 밸브
JP7278029B2 (ja) 軸封部材、回転軸の軸封装置、横型ミキサ及びミキサ
JP3210566U (ja) 曝気装置
US10501914B2 (en) Coupling device and a faucet assembly having the same
JP5766410B2 (ja) コア嵌設装置及びその嵌設方法
JP4261615B1 (ja) 食品ミキサー
CN214090126U (zh) 移动式应急供水装置
JPS5835265Y2 (ja) 自動消火栓装置
WO2014105434A1 (en) Coupling device for a drive device, and drive device
KR100336157B1 (ko) 오일 배출 장치
JP5663217B2 (ja) 制流弁
JP4970155B2 (ja) 制水体設置装置
JP7004308B2 (ja) 電動式排水栓装置
CN209084241U (zh) 一种化水低位酸罐的进酸口连接装置
KR102072819B1 (ko) 밸브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