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925A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925A
KR20110087925A KR1020100007584A KR20100007584A KR20110087925A KR 20110087925 A KR20110087925 A KR 20110087925A KR 1020100007584 A KR1020100007584 A KR 1020100007584A KR 20100007584 A KR20100007584 A KR 20100007584A KR 20110087925 A KR20110087925 A KR 20110087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nsor
housing
cas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713B1 (ko
Inventor
유선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7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08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using one or more blowing devices, e.g. nozzle bar, the effective area of which is adjustable to the width of th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건조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센서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공기의 유동방향의 후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의류건조기 내부의 드럼에 투입된 건조물의 양과 위치에 관계없이 건조물의 정확한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송풍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이나 배기덕트에 구비된 습도센서에 린트 등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체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습도센서의 전면에 린트가 쌓여 오작동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를 건조하는 기기인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조기 내부에 투입되어 건조되는 건조물의 건조도를 검출하기 위해서 배기덕트에 습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건조기라 함은 일반적으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의류를 내부로 투입하고,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건조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의 구성을 보면, 건조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조과정에서 드럼을 빠져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는데, 공기가 건조기 내부를 순환하면서 응축기에서 열교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식 건조기와,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키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진다.
그런데, 의류건조기는 내부에 투입되어 건조되는 의류가 소비자가 의도하는 적절한 수준으로 건조가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의류의 건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의류의 건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는, 건조기 내부의 드럼에서 건조가 진행되고 있는 의류에 직접 접촉하여 의류의 건조도를 직접 측정하는 건조도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고,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종래 의류건조기 일예를 보면, 두 개의 금속판이 나란히 위치하고 각 금속판에 전선이 연결된 일렉트로드 센서를 건조기 내부에 구비한 후, 양측 금속판 사이에 건조물이 걸쳐졌을 때, 건조물의 저항값을 전압의 변화로 읽어 들여 건조도를 검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도센서를 건조기 도어측에 설치된 두 개의 금속판에 의해서만 검출하게 되므로, 건조물의 용량이 작을 경우 의류가 센서에 접촉하지 않아 건조도 검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의류건조기의 다른 예로는, 건조기의 배기덕트에 저항식 습도센서를 배치하여 건조도를 판단하기도 하였다. 저항식 습도센서란, 도전성 고분자 중합체를 이용한 것으로, 이것은 고분자 중합체가 수분을 흡착하면 고분자 물질의 전해질이 이동하여 저항이 감소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이러한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건조도를 판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식 습도센서 역시 특성상 정밀하게 습도를 측정하지 못하고, 불량율이 높아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에 체결된 센서하우징에 린트가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센서하우징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이러한 린트 등의 이물질로 인해 공기가 직접 습도센서에 닿지 못하게 되어 정확한 습도를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류건조기 내부의 드럼에 투입된 건조물의 양과 위치에 관계없이 건조물의 정확한 건조도를 측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덕트에 구비된 센서하우징에 린트 등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센서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공기의 유동방향의 후방을 향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를 수용하여 상기 팬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부착되며 상기 팬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상기 센서하우징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는 상기 케이스 공기유입구의 직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의 공기유입구와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사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공기를 안내하며, 상기 밀폐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은 상기 공기유입구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또는, 상기 밀폐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은 상기 공기유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타측의 일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하고 타측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센서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필터는 반투과성 재질의 테프론 필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센서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공기의 유동방향의 후방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센서하우징이 배기덕트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의류건조기 내부의 드럼에 투입된 건조물의 양과 위치에 관계없이 건조물의 정확한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송풍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이나 배기덕트에 구비된 습도센서에 린트 등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체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습도센서의 전면에 린트가 쌓여 오작동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에 장착되는 팬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4 본 발명에 따른 센서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센서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정전용략식 습도센서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의 모습이며,
도 6a는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밀폐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밀폐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캡이 제거된 센서하우징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100)는 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건조물인 의류를 본체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0), 상기 투입구(120)를 개폐하는 도어(130), 상기 투입구(120)의 상측에서 의류건조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컨트롤 패널(150)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는, 본체(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서 건조물이 건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드럼(160)과,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70)와, 상기 구동모터(170)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16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190)와, 드럼(160)의 후방에서 열풍을 드럼으로 유도하는 흡입덕트(200)와, 상기 흡입덕트(200)의 입구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210)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160)의 전방 하측에는 드럼(16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린트필터(220) 및 상기 린트필터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린트덕트(230)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덕트(230)의 일측에는 린트덕트(23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240)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25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250)은 상기 린트덕트(23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팬하우징(26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50)은 상기 구동모터(170)의 구동축(미도시)에 결합되어 구동모터 작동시 함께 작동한다. 상기 배기덕트(15)는 그 일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송풍팬(250)에 의해서 린트덕트로부터 강제 송출되는 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에서 팬하우징(260)을 보면, 상기 송풍팬(250)은 팬하우징(260) 내부에 수용되고, 팬하우징(260)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170)가 배치된다. 송풍팬(25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의류건조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팬하우징(260)의 후방에는 의류건조기 본체의 외부로 연통되는 배기덕트(240)가 연결되고, 배기덕트(240)는 팬하우징(260)의 후방에 형성된 배기덕트 연결구(261)에 장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상기 팬하우징(260)의 일측에 관통공(265)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드럼에서 배기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하우징(300)이 장착되고, 상기 센서하우징는 건조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의 우측 상세도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센서하우징(300)이 팬하우징(260)의 일측에 장착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보면, 본 발명의 센서하우징(300)의 케이스(310)가 팬하우징(260)의 내부에 배치되고, 캡(330)은 팬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다. 즉, 센서하우징의 케이스와 캡의 사이에는 팬하우징이 개재하여 체결되어, 상기 센서하우징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가 밀폐되는 구성이다. 그림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방향이며, 공기유입구(320)는 공기의 흐름방향의 후방을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센서하우징의 구성 및 팬하우징에서의 배치방향 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센서하우징(3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센서하우징(300)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350) 및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의 모습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센서하우징(300)는, 케이스(310)와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캡(33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310)에는 측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구(3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서 캡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서만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공기 중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해서, 인쇄회로기판(350)과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가 배치된다.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50)의 전면에 장착되며, 장착된 모습을 보면 인쇄회로기판(350)의 전면에서 일정두께만큼 돌출된 형상이다.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란,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차이로 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고분자를 감습재료로 하여 이곳에 수분이 흡착되면 유전율이 증가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공기중 수분의 차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기존의 저항형 습도센서는 정밀한 측정이 불가능하고 오류발생이 많은데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식 습도센서는 오류발생이 적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내부에는 감습재료(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감습재로로 공기를 유도하여 공기 중 습도를 감지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이 감습재료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해서, 공기가 유입되는 가이드홀(365)이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하우징(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정전용량식 습도센서로 안내하는 밀폐부재(380)의 정면 모습이며, 도 6b는 상기 밀폐부재(380)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밀폐부재(380)은 대략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의 외형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내외부를 밀폐할 수 잇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밀폐부재는 고무재질의 일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 중공은 아래쪽이 평평한 하부면(381)으로 된 단면이 반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b의 종단면도에서 나타나 있듯이, 상기 밀폐부재(380)의 길이방향 형상을 보면, 상부(383)와 하부(385)가 단차가 있어서, 하부(385)가 상부(383)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단차부 형상을 갖는 것은 상기 센서하우징(300)에 장착될 때,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를 효과적으로 감싸기 위한 것이다. 밀폐부재(380)에서 공기의 흐름방향을 보면, 센서하우징(300)로 유입되는 공기는 도 6b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로 유입된다.
도 7은 상기 센서하우징(300)의 종단면도이며,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캡(330)을 제거한 모습이다. 상기 센서하우징(300)의 케이스(31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350)이 장착되고,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는 약간 돌출된 상태로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0)의 공기유입구(320)와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 사이에는 밀폐부재(380)이 배치되어 실링된다. 즉, 상기 밀폐부재(380)의 전면부가 상기 케이스(310)의 공기유입구(320)에 끼워지고, 상기 밀폐부재(380)의 후면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50)에 맞닿게 장착된다.
그런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는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서 약간 돌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밀폐부재(380)이 유입되는 공기를 완전히 실링하기 위해서, 밀폐부재(380)의 단차진 상부(383)는 돌출된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에 접하고, 밀폐부재(380)의 하부(385)는 인쇄회로기판(350)에 직접 접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의류건조기의 배기덕트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310)의 공기유입구(320)로 유입되어 다른 공기와 혼합되거나 다른 부분으로 누설되지 않고,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로, 더 구체적으로는 정전용량식 습도센서(360)의 가이드홀(365)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하우징(300)의 공기유입구(320)의 전면에는 반투과성 재질의 에어필터(37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는 반투과성 재질인 테프론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센서하우징(300)의 케이스 내부로 린트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며 또한 습기 맺힘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310)의 공기유입구(320) 주위에는 상기 에어필터(370)가 부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폭의 단차를 형성한 부착면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350)의 상측에는 커넥터(355)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서 인쇄회로기판은 의류건조기의 제어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가 감지한 의류건조기 배기덕트 또는 팬하우징 내부의 습도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로 전달된다.
의류건조기의 팬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에는 린트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팬하우징에 장착된 센서하우징에 이들 이물질이 쌓이는 경우 센서하우징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하우징(300)는 케이스(310)가 팬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10)의 공기유입구(320)가 팬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등지고 배치되도록 설치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직접적으로 상기 공기유입구(320)에 부딪히지 않도록 하였다. 즉, 도 7의 그림에서 보듯이, 케이스(310)의 공기유입구(320)는 공기의 흐름방향(도 7 그림의 화살표방향)으로 보아 하류쪽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 팬하우징에 배치되는 상기 센서하우징(300)는 위와 같은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배기덕트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센서하우징에 쌓여서 센서하우징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센서하우징(300) 케이스(310)의 공기유입구(320)가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방향의 하류쪽을 향하게 함으로써 공기유입구에 린트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식 습도센서를 구비한 센서하우징(300)이 송풍팬을 감싸는 팬하징(260)에 설치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센서하우징의 위치가 반드시 팬하우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는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드럼의 공기가 배출되어 유동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상기 센서하우징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하우징은 의류건조기 내부의 배기덕트(24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경우에도 센서하우징(300) 케이스(310)의 공기유입구(320)는 배기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방향의 하류쪽을 향하게 함으로써 공기유입구에 린트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의류건조기 110: 본체
120: 투입구 130: 도어
150: 컨트롤패널 160: 드럼
200: 흡입덕트 210: 히터
220: 린트필터 230: 린트덕트
240: 배기덕트 250: 송풍팬
260: 팬하우징 261: 배기덕트 연결구
265: 관통공 300: 센서하우징
310: 케이스 320: 공기유입구
330: 캡 350: 인쇄회로기판
360: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365: 가이드홀
370: 센서필터 380: 밀폐부재
383: 상부 385: 하부

Claims (14)

  1. 건조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장착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
    상기 팬하우징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센서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공기의 유동방향의 후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은,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를 수용하여, 상기 팬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부착되며, 상기 팬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는 상기 케이스 공기유입구의 직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공기유입구와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사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은 상기 공기유입구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부재의 일측은 상기 공기유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타측의 일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하고 타측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센서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필터는 반투과성 재질의 테프론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0. 건조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및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센서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공기의 유동방향의 후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는 상기 케이스 공기유입구의 직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공기유입구와 상기 정전용량식 습도센서 사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공기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반투과성 테프론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00007584A 2010-01-27 2010-01-27 의류건조기 KR10166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84A KR101667713B1 (ko) 2010-01-27 2010-01-27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84A KR101667713B1 (ko) 2010-01-27 2010-01-27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25A true KR20110087925A (ko) 2011-08-03
KR101667713B1 KR101667713B1 (ko) 2016-10-19

Family

ID=4492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584A KR101667713B1 (ko) 2010-01-27 2010-01-27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007A1 (en) * 2013-12-02 2015-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WO2017206235A1 (zh) * 2016-05-31 2017-12-0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或洗干一体机
WO2023210864A1 (ko) * 2022-04-25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습도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577A (ko) 2019-10-25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863A (ja) * 1994-10-03 1996-07-30 Ford Motor Co 質量空気流センサーのハウジング構造
KR100469479B1 (ko) * 2003-04-2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대습도센서를 이용한 건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94287A (ko) * 2004-03-22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습도 센서의 장착 구조
KR100702818B1 (ko) * 1999-09-07 2007-04-0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유동 매질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863A (ja) * 1994-10-03 1996-07-30 Ford Motor Co 質量空気流センサーのハウジング構造
KR100702818B1 (ko) * 1999-09-07 2007-04-0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유동 매질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KR100469479B1 (ko) * 2003-04-25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대습도센서를 이용한 건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94287A (ko) * 2004-03-22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의 습도 센서의 장착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007A1 (en) * 2013-12-02 2015-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CN105793483A (zh) * 2013-12-02 2016-07-20 三星电子株式会社 干衣机
US9435070B2 (en) 2013-12-02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US9816223B2 (en) 2013-12-02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CN105793483B (zh) * 2013-12-02 2020-03-03 三星电子株式会社 干衣机
WO2017206235A1 (zh) * 2016-05-31 2017-12-0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或洗干一体机
WO2023210864A1 (ko) * 2022-04-25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용 습도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713B1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597B1 (ko) 배기식 건조장치
US9758920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detecting device for insertion of filter
CN105793483B (zh) 干衣机
EP1731656B1 (en) Foam sensor of a drum washing machine
US20090126220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ndstill of a drum in a tumble dryer, and tumble dryer which is suitable for this purpose
US20070251118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0106289B1 (en) Laundry dryer with a lint filter monitoring device
KR20040095771A (ko) 자동 건조기의 센서 장착 구조
KR20110087925A (ko) 의류건조기
KR100651864B1 (ko) 자동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10087926A (ko) 의류건조기의 습도센서 및 이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20110013005A (ko) 수위센서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CN1283877C (zh) 干燥度测量装置
KR20040049186A (ko)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EP2126188A1 (en) A washer / dryer with output from humidity sensor selectively input to control unit
CN109137379A (zh) 壁装式洗衣机
JP2014150978A (ja) 衣類乾燥機
KR100662769B1 (ko) 의류 건조기의 건조량 감지 방법
JP2005083960A (ja) 湿度検出装置
KR20050095434A (ko) 의류건조기
JP2017046896A (ja) 乾燥機及び洗濯機
KR101122081B1 (ko) 건조기의 드럼 회전 및 습도 감지장치
KR101137317B1 (ko)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KR20070044238A (ko) 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KR20060120883A (ko) 응축식 건조기의 검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