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317B1 -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317B1
KR101137317B1 KR1020040091924A KR20040091924A KR101137317B1 KR 101137317 B1 KR101137317 B1 KR 101137317B1 KR 1020040091924 A KR1020040091924 A KR 1020040091924A KR 20040091924 A KR20040091924 A KR 20040091924A KR 101137317 B1 KR101137317 B1 KR 10113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eparator
drying
clothes dry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115A (ko
Inventor
윤주한
정성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3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4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에 수용되는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건조대상물의 정확한 건조도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리프트와; 상기 드럼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드럼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드럼 서포터와; 상기 드럼 서포터에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하는 건조도 센서와; 상기 드럼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의류건조기, 이동식 세퍼레이터

Description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clothes dryer having movement sepa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세퍼레이터의 구조를 나타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리프트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로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리프트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드럼 전방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드럼 후방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드럼
21: 리프트 100: 이동식 세퍼레이터
110: 몸체부 120: 고정부
121: 고정 가이드 122: 거치홈
200: 위치표시부 210: 고정홈부
220: 위치표시돌기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내에 투입된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관계없이 건조도센서가 정확한 건조도를 측정하여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기로서, 외기를 도입하여 히터로 가열한 다음, 가열된 고온의 외기를 회전상태의 드럼 내부에 인입시킴으로써,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 등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서 건조대상물이 건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드럼(20)과, 상기 드럼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리프트(21)와, 상기 드럼(20)의 전방에 설치되어 드럼(20)을 회전 지지하는 드럼서포터(60)와, 상기 드럼(20)과 동력전달벨트(55)로 연결되어 드럼(20)을 회전시 키는 구동 모터(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20)의 후방인 흡입덕트(30)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35)와, 상기 드럼(2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고 드럼(20) 내의 공기를 필터(43)를 통해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거른 후배출하는 린트덕트(40)와, 상기 린트덕트(40)와 연결되어 린트덕트(40)로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15)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45)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45)은 상기 구동모터(50)의 풀리(53) 반대편으로 연장된 구동축(미도시)에 결합되어 구동 모터(50)의 작동시 함께 작동한다.
한편, 상기 드럼(20)의 전방 하부측 드럼서포터(60)에는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건조도 센서(70)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도 센서(70)는 두 개의 금속판이 나란히 위치하고 각 금속판에 전선이 연결된 것으로서, 양측 금속판 사이에 건조대상물이 걸쳐져 회로가 이루어질 때 상기 건조대상물의 저항 값을 전압의 변화로 마이콤(미도시)에서 읽어 들여 건조대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건조도 센서(70)는 수분을 함유한 건조대상물이 양측 금속판에 동시에 접하게 되면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고, 건조대상물이 회로내의 저항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응되는 전압 값을 측정하여 마이콤이 이를 읽어 들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대상물이 건조되면서 수분함유량이 줄어들게 되면 저항 값은 이에 반비례하여 점점 커지게 되고, 이때 전압 값은 저항 값에 비례하여 커지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건조도 센서(70)를 통해 측정된 전압 값이 일정한 값에 도달하게 되면 마이콤에서 건조 완료 시점으로 판단하고 건조기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상기 건조도 센서(70) 즉, 드럼서포터(60)측에 설치된 두 개의 금속판에 의해서만 검출하게 되므로, 건조대상물의 용량이 작을 경우 검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건조도 센서(70)의 설치 위치상의 제한으로 인해, 건조대상물의 양 에 관계없이 항상 정확한 건조도 검출을 수행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건조대상물이 드럼(20)의 후방으로 몰릴 경우 등 건조대상물의 드럼(20)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건조대상물과 상기 건조도 센서(7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건조진행중인 상태에서도 건조대상물의 건조도가 검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건조행정을 종료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에 수용되는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건조대상물의 정확한 건조도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리프트와; 상기 드럼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드럼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드럼 서포터와; 상기 드럼 서포터에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하는 건조도 센서와; 상기 드럼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20)과, 상기 드럼(20)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리프트(21)와, 상기 드럼(20)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드럼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드럼 서포터(60)와, 상기 드럼 서포터(60)에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의 건조상태를 검출하는 건조도 센서(70)와, 상기 드럼(2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는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드럼(20) 내의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위치를 제한하여 상기 건조도 센서(70)가 건조대상물의 건조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이 드럼(20)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를 드럼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20)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몸체부(110)에는 열풍이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공기통풍구(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에 공기통풍구(130)는 상기 드럼(20) 내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공기통풍구(130)를 통해 상기 건조대상물이 수용된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반경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각 리프트(21)와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고정 가이드(121)와, 상기 각 고정 가이드(12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0)를 각 리프트(21)에 거치 시키기 위한 거치홈(12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각 리프트(21)에는 드럼(20) 내에 수용되는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가 드럼(20)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위치표시부(200)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과 더불어 상기 설치된 이동식 세퍼레이터(100)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표시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표시부(200)는 상기 리프트(21)에 소정 간격을 두고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부(210)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간격이라 함은 상기 드럼(20) 내에 수용되는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가 설치되는 위치를 의미하는 바, 예컨대, 상기 고정홈부(210)를 리프트(21)의 전방, 중간, 후방 측에 형성하여, 상기 건조대상물이 소량, 중량, 대량에 따라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를 리프트의 전방 측, 중간 측, 후방 측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건조대상물의 수용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 때, 각 고정홈부(210)는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00)의 각 거치홈(122)과 결합됨으로써 드럼(20) 내에 고정되는 바, 이에 따라,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 또한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표시부(200)는 상기 리프트(21)의 적어도 한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한쌍의 위치표시돌기(220)인 것이다.
이 때, 상기 한쌍의 위치표시돌기(220)는 리프트의 양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리프트(21)에 이동식 세퍼레이터(1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과 더불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함이 다.
즉, 상기 한쌍의 위치표시돌기(220)는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가 드럼(20) 내에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함과 더불어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전/후 이동되는 것이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드럼 내에 설치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20) 내로 투입되는 건조대상물의 용량을 확인한다.
예컨대, 드럼 내에 소량의 건조대상물이 수용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를 리프트(21)의 전방측에 형성된 위치표시부(200)에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의 각 거치홈(122)을 상기 각 리프트(21)에 형성된 위치표시부(200)인 고정홈부(210)에 끼워 넣거나 또는, 한쌍의 위치표시돌기(220)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가 상기 드럼 내에 설치되면, 상기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범위는 상기 드럼의 전방측으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 서포터(60)에 설치된 상기 건조도 센서(70)는 건조 행정 동안 이동식 세퍼레이터(100)에 의해 이동 영역이 제한된 건조대상물의 건조도를 정확히 검출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드럼(20) 내에 수용되는 건조대상물의 용량이 많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100)를 드럼(20)의 후방측으로 이 동시켜 설치한 다음 건조 행정을 실시하면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 내에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것에 따라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관계없이 건조도 센서가 드럼 내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를 정확히 측정하여 건조 행정이 원활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트에 고정홈부 및 위치표시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그 부위에 고정됨에 따라 건조 진행 과정 동안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리프트와;
    상기 드럼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드럼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드럼 서포터와;
    상기 드럼 서포터에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하는 건조도 센서와;
    건조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리프터 내측에서 상기 드럼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변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터는
    둘레면이 드럼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드럼 내에 설치된 리프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열풍이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공기통풍구가 형성됨을 특징으 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 반경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상기 각 리프트와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고정 가이드와,
    상기 각 고정 가이드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를 각 리프트에 거치 시키기 위한 거치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리프트에는 드럼에 수용되는 건조물의 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식 세퍼레이트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위치표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기 리프트에 소정 간격을 두고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부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부는
    상기 리프트의 적어도 한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한쌍의 위치표시돌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돌기는 리프트의 양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KR1020040091924A 2004-11-11 2004-11-11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KR101137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24A KR101137317B1 (ko) 2004-11-11 2004-11-11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24A KR101137317B1 (ko) 2004-11-11 2004-11-11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15A KR20060044115A (ko) 2006-05-16
KR101137317B1 true KR101137317B1 (ko) 2012-04-20

Family

ID=3714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924A KR101137317B1 (ko) 2004-11-11 2004-11-11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3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819Y1 (ko) * 1993-01-12 1998-04-18 배순훈 전기 의류 건조기용 수물 건조기구
KR20040049186A (ko) * 2002-12-05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819Y1 (ko) * 1993-01-12 1998-04-18 배순훈 전기 의류 건조기용 수물 건조기구
KR20040049186A (ko) * 2002-12-05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15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597B1 (ko) 배기식 건조장치
US20070251118A1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793483B (zh) 干衣机
US20090126220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ndstill of a drum in a tumble dryer, and tumble dryer which is suitable for this purpose
KR100747589B1 (ko) 건조기의 제어회로 및 그 행정 제어방법
KR100651864B1 (ko) 자동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2336419B1 (en) Clothes dryer
BRPI0811006B1 (pt) Method for controlling a drum cloth dryer
JP2018143646A (ja) 乾燥検知デバイ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類乾燥検知システム
KR100568521B1 (ko) 의류건조기
KR101637447B1 (ko) 의류건조기의 습도센서 및 이를 구비한 의류건조기
KR100499525B1 (ko)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KR101137317B1 (ko) 이동식 세퍼레이터가 구비된 의류건조기
KR101667713B1 (ko) 의류건조기
JP2766569B2 (ja) 衣類乾燥機
WO2008077969A1 (en) A washer / dryer with output from humidity sensor selectively input to control unit
KR100698143B1 (ko) 의류 건조기
KR101233160B1 (ko) 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KR20050095434A (ko) 의류건조기
KR100499511B1 (ko)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의 덕트
CN101086129A (zh) 衣物烘干机
KR100747588B1 (ko) 건조기의 제어회로 및 그 건조도 감지방법
KR20060096626A (ko) 건조기의 랙 구조
KR20060120883A (ko) 응축식 건조기의 검사장치 및 방법
KR20220169750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