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554A -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554A
KR20060036554A KR1020040085545A KR20040085545A KR20060036554A KR 20060036554 A KR20060036554 A KR 20060036554A KR 1020040085545 A KR1020040085545 A KR 1020040085545A KR 20040085545 A KR20040085545 A KR 20040085545A KR 20060036554 A KR20060036554 A KR 20060036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umidity
unit
tim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139B1 (ko
Inventor
김상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139B1/ko
Priority to DE112005000844T priority patent/DE112005000844T5/de
Priority to PCT/KR2005/003583 priority patent/WO2006046835A1/en
Priority to US10/584,866 priority patent/US7765715B2/en
Publication of KR2006003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습기 발생량을 측정함으로써 건조도 레벨 및 포량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정확하게 건조 종료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럼, 응축기, 모터 및 히터를 구비한 응축식 건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건조코스 및 건조도 등을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드럼에 투입된 건조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감지부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라 발생되는 습도발생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초기 건조 진행 후 상기 습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전압값이 기 설정전압값에 도달하는 시간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른 를 습도발생량을 감안하여 건조 종료시점을 파악한 후 해당 건조 행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 및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하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응축기에 상대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부를 장착하여 보다 정확하게 드럼내의 건조 포량을 감지하여 예상 건조시간을 산출하고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건조 종료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응축식/건조기/상대 습도감지

Description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A) condensing type dry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응축식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시간별 습도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습도 감지부 200 : 키 입력부
300 : 제어부 400 : 부하구동부
500 : 모터 600 : 히터
700 : 디스플레이부 800 : 온도 감지부
900 : 저장부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습기 발생 량을 측정함으로써 건조도 레벨 및 포량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정확하게 건조 종료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장치가 구비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드럼의 회전 운동을 이용한 장치이다. 즉, 드럼이 회전 하면서 드럼 내부에 있는 세탁물도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이 상승 및 낙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에 의하여 세탁수와의 충돌이 발생하고, 상기 충돌에 의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물이 제거된다.
또한, 드럼식 건조기의 경우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 연소장치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 대상물에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드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응축식 드럼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12)과, 상기 드럼(12)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13)와, 상기 드럼(12)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벨트(1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벨트(11)와 연결되는 모터축(21)과,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7)와,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17)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16)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6)의 맞은편에서 상기 모터축(21)과 연결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건조팬(18)과, 상기 건조팬(18)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드럼(12)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내부에 발열부(20)가 장착된 건조덕트(19)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어(13)가 삽입되는 개구부 하측에 형성되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습공기에 포함된 보푸라기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필터(14)와, 상기 린트필터(14)로 들어간 공기가 컨덴서(미도시)로 이동되는 통로인 순환덕트(15)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7)가 회전하게 되고, 또한 상기 건조덕트(19) 내에 부착된 히터(20)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벨트(11)가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1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 내부에 있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내벽을 따라 함께 회전하고 최상측부에 이르면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대상물은 상기 드럼의 내벽에 부착된 리프트(미도시)에 의하여 상승된다.
한편,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건조팬(18)이 모터(17)의 회전과 함께 작동하게 되어, 상기 린트 필터(14)를 거친 순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19)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히터를 거쳐 고온 건조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 내부를 지나면서 건조 대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다시 상기 린트 필터(14)에 의해 필터링 된 다음,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미도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냉각팬(16)이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기 외부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냉각팬(16)을 지나 상기 컨덴서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로 이동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냉각팬(16)에 의해 흡입되어 컨덴서로 이동된 실내 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기 컨덴서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컨덴서의 형상에 의하여 서로 혼합되지 않고 열교환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컨덴서를 지나면서 상기 실내 공기에 열을 빼앗기면서 저온 다습한 공기로 변화된다. 그리고, 온도가 낮아 지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컨덴서의 바닥으로 떨어져서,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미도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섬프로 이동된 수분은 응축 펌프에 의하여 건조기 상부에 위치한 응축수 저장고(미도시)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컨덴서를 지나는 실내 공기는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의 열을 빼앗아 저온 다습한 공기로 전환 시키고, 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는 상기 드럼(12)이 회전하면서 옷감이 상기 드럼(12)의 소정영역에 장착된 전극센서(도시생략)에 터치되면 서 옷감의 저항치 변화에 의해 건조도를 감지하였다.
그러나, 옷감이 소량인 경우 상기 드럼(12)내에 달라 붙어 있거나, 상기 전극센서(도시생략)까지 옷감이 오지 않는 경우가 발생됨에 따라 건조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건조 종료시점을 정확히 판단하는데는 어느정도 유리한 면이 있긴 하였지만, 건조하고자 하는 포가 많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전극센서(도시생략)에 건조포가 접촉하는 회수가 작아지게 됨에 따라 실제로 건조가 완료되지 않았는데도 건조가 다 되었다고 판단하여 건조를 종료시키거나, 건조가 완료되었는데도 계속해서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조불량 발생률이 높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불만을 야기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 건조포의 습도를 감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조 종료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 응축기, 모터 및 히터를 구비한 응축식 건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건조코스 및 건조도 등을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드럼에 투입된 건조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감지부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라 발생되는 습도발생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초기 건조 진행 후 상기 습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전압값이 기 설정전압값에 도달하는 시간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른 를 습도발생량을 감안하여 건조 종료시점을 파악한 후 해당 건조 행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 및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하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습도 감지부는 상대 습도센서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습도 감지부는 상기 응축기의 소정영역에 장착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예상 건조시간 및 동작상태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드럼, 습도감지부, 히터 및 모터를 구비한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건조코스 및 건조도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습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감지값이 기 설정전압(ΔVm)에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시간 및 상기 선택된 해당 코스 및 건조 도에 따라 예상 건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예상 건조시간에 따라 해당 건조행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상 건조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제 1 상수(K1), 디폴트 시간(DT) 및 기 설정전압(ΔVm)을 곱한 값과, 제 2 상수(K2), 기 설정전압(ΔVm), 상기 건조코스에 따라 설정된 습도 발생량에 따른 전압값(ΔVx)을 곱한 값의 합으로 측정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기 설정전압(ΔVm)에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값은 소량 건조시의 최저 감지값이며, 최저 감지값 까지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시간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습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전압레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포의 습도량을 감지하기 위해 응축기(도시생략)의 소정영역에 장착되는 습도 감지부(100)와, 사용자가 원하는 건조코스 및 건조도 등을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부(200)와,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라 발생되는 습도발생량을 저장하기 위 한 저장부(900)와, 초기 건조 진행 후 상기 습도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전압값이 기 설정 전압값에 도달하는 시간 및 상기 키 입력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른 습도 발생량을 감안하여 예상 건조시간을 파악한 후 해당 건조 행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500) 및 히터(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하구동부(400)와, 온도 감지부(8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예상 건조시간 및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7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200)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고, 원하는 건조도 및 건조코스를 선택한 후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습도감지부(100)는 상기 응축기(도시생략) 부위에 장착되어 건조포에서 발생되는 습기의 발생량을 척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초기 건조 진행 직후 기 설정전압(ΔVm)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을 기 설정된 산출식에 적용함에 따라 예상 건조시간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기 설정전압(ΔVm)은 최소 부하일 경우 최저감지값일 때 감지되는 전압값이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예상 건조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700)에 디스플레이 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쉽게 건조시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 (300)는 상기 산출된 예상 건조시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 코스에 따라 건조종료 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해당 건조 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부하구동부(4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건이 1장일 경우와 같이 최소 부하일 경우 감지되는 최저 전압값(ΔVm)이 감지되는 시간 및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라서 예상 종료시점을 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건이 3장일 경우에 기 설정전압(ΔVm)에 도달되는 시간은 약 15분이며, 수건이 5장일 경우는 약 20분, 수건이 7장일 경우는 약 25분 등으로 포량이 많으면 많을 수록 설정전압에 도달되는 시간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건조코스 및 건조도를 선택한다(S101∼S102).
그리고, 사용자가 동작명령을 입력하면 기 설정전압(ΔVm)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S104)).
이어서 상기 기 설정전압(ΔVm)에 도달한 시간을 측정한다(S105).
또한 상기 측정된 시간을 소정의 산출식에 적용함에 따라 예상 건조시간을 측정한다(S106).
이때, 상기 소정의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4048906049-PAT00001
여기서, 상기 K1,K2는 상수이며, 측정시간(DT)는 기 설정전압(ΔVm)까지 소요된 측정시간이며, ΔVx는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전압값이다. 즉, 습도 발생량은 면> 나일론> 란제리> 운동복 순이며, 그에 따라 상기 ΔVx가 순차적으로 ΔVx1 > ΔVx2 >ΔVx3 >ΔVx4 등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산출된 예상 건조시간에 따라 건조행정을 수행하면서, 다시 한번 설정 전압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7). 이때 설정 전압은 상기 산출된 예상 건조시간에 따라 설정된 전압이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S107), 상기 설정 전압이면 해당 건조행정을 종료한다(S10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응축기에 상대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감지부를 장착하여 보다 정확하게 드럼내의 건조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둘째, 포량이 소량일지라도 감지하여 예상 건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셋째, 포량 및 사용자 요구에 따라 예상 건조시간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건조 종료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드럼, 응축기, 모터 및 히터를 구비한 응축식 건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건조코스 및 건조도 등을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드럼에 투입된 건조포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 감지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라 발생되는 습도발생량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초기 건조 진행 후 상기 습도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전압값이 기 설정전압값에 도달하는 시간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건조코스에 따른 를 습도발생량을 감안하여 건조 종료시점을 파악한 후 해당 건조 행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 및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부하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감지부는 상대 습도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감지부는 상기 응축기의 소정영역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식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산출된 예상 건조시간 및 동작상태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건조기.
  5. 드럼, 습도감지부, 히터 및 모터를 구비한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건조코스 및 건조도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습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감지값이 기 설정값에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시간 및 상기 선택된 해당 코스 및 건조도에 따라 예상 건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예상 건조시간에 따라 해당 건조행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건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제 1 상수(K1), 디폴트 시간(DT) 및 기 설정전압(ΔVm)을 곱한 값과, 제 2 상수(K2), 기 설정전압(ΔVm), 상기 건조코스에 따라 설정된 전압값(ΔVx)을 곱한 값의 합으로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값에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값은 소량 건조시의 최저 감지값이며, 최저 감지값 까지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20040085545A 2004-10-26 2004-10-26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3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545A KR101138139B1 (ko) 2004-10-26 2004-10-26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DE112005000844T DE112005000844T5 (de) 2004-10-26 2005-10-26 Trocknungsvorrichtung und Steuerungsverfahren derselben
PCT/KR2005/003583 WO2006046835A1 (en) 2004-10-26 2005-10-26 Dry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0/584,866 US7765715B2 (en) 2004-10-26 2005-10-26 Dry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545A KR101138139B1 (ko) 2004-10-26 2004-10-26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554A true KR20060036554A (ko) 2006-05-02
KR101138139B1 KR101138139B1 (ko) 2012-04-23

Family

ID=3622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545A KR101138139B1 (ko) 2004-10-26 2004-10-26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65715B2 (ko)
KR (1) KR101138139B1 (ko)
DE (1) DE112005000844T5 (ko)
WO (1) WO2006046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DE10260149A1 (de)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Leitwertes von Wäsche,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Schichtbildung auf Elektroden
US8104192B2 (en) * 2005-03-31 2012-01-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CA2599353C (en) * 2006-09-06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A2599375C (en) * 2006-09-06 2011-06-21 Lg Electronics Inc.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US8528229B2 (en) 2009-02-19 2013-09-1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maging control
US8549770B2 (en) * 2009-12-18 2013-10-0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with drying uniformity determination
US8245415B2 (en) 2009-12-18 2012-08-2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load size in a clothes dryer using an infrared sensor
MX2010008115A (es) * 2010-07-23 2012-01-23 Mabe Sa De Cv Metodo de secado con ahorro de energia.
US8601717B2 (en) 2010-07-26 2013-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cycle capacity enhancement
US8353114B2 (en) 2010-07-26 2013-01-1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cycle with auxiliary heating
US8528227B2 (en) 2010-07-26 2013-09-1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igerant cycle capacity acceleration
EP2458077B1 (en) * 2010-11-29 2015-05-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able-drum laundry drier and a rotatable-drum laundry drier implementing the method
EP2458078B2 (en) * 2010-11-29 2022-07-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otatable-drum laundry dr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able-drum laundry drier
US9080282B2 (en) * 2012-01-30 2015-07-14 Alliance Laundry Systems, Llc Laundry moisture sensing, control, diagnostic and method
KR102011817B1 (ko) * 2012-12-31 201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4120591B (zh) * 2013-04-24 2018-05-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控制方法
US9371609B2 (en) 2014-06-24 2016-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Dryer appliances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DE102018218580A1 (de) * 2018-10-30 2020-04-30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 luftführendes Haushaltsgerät
US11008697B2 (en) 2019-09-27 2021-05-1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sensors, and methods of operation
KR20230102608A (ko) * 2021-12-30 202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764A (en) * 1990-10-16 1993-05-04 Sharp Kabushiki Kaisha Tumbler type washing/drying machine
KR940006251B1 (ko) * 1991-12-31 1994-07-13 주식회사 금성사 의류건조기의 건조시간 제어장치
US5649372A (en) * 1996-03-14 1997-07-22 American Dryer Corporation Drying cycle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ying as a function of humidity and temperature
KR100659659B1 (ko) * 2001-03-29 2006-12-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건조기의 건조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57432B1 (ko) * 2002-11-26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습도감지 보상방법
KR100494575B1 (ko) * 2003-03-10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습도센서를 이용한 건조 장치 및 방법
KR101064017B1 (ko) * 2003-11-03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2969A1 (en) 2009-07-09
DE112005000844T5 (de) 2007-04-05
US7765715B2 (en) 2010-08-03
KR101138139B1 (ko) 2012-04-23
WO2006046835A1 (en)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139B1 (ko)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48963B1 (ko) 세탁건조기/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RU2459020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барабанной сушилкой для белья
US9359713B2 (en) Drying apparatus,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rying apparatus
EP2392726B1 (en) Dryer and method of detecting value of dryness
US20070144031A1 (en) Condensing type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EP2746458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JP5501091B2 (ja) 洗濯乾燥機
KR101053608B1 (ko)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14001858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50436A1 (en) A heat pump laundry dryer
KR100539540B1 (ko)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 및 그를 이용한 자동 건조 방법
KR20060120883A (ko) 응축식 건조기의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024920B1 (ko) 자동 건조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588715B1 (ko) 세탁기의 자동 건조방법
KR20190057659A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US20230064924A1 (en) Laundry appliance with adaptive drying cycle based on load size and load type
JP3026650B2 (ja) 洗濯機
KR100550799B1 (ko) 드럼세탁기의 자동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16927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자동 건조 제어방법
KR100679426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210130662A (ko)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85222A (ko) 세탁물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41658A (ko) 응축식 의류건조기 및 그 만수위 감지방법
JP2004321689A (ja) 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