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912A - 화질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화질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912A
KR20110087912A KR1020100007565A KR20100007565A KR20110087912A KR 20110087912 A KR20110087912 A KR 20110087912A KR 1020100007565 A KR1020100007565 A KR 1020100007565A KR 20100007565 A KR20100007565 A KR 20100007565A KR 20110087912 A KR20110087912 A KR 20110087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quality
image
adjustment
patter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218B1 (ko
Inventor
박성진
남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2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서 화질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그 화질 조정 방법은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제1 화질 조정 방법은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조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조정값에 따라 제1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질 조정 방법{Method for adjusting image quality}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의 일종인 텔레비전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방송 신호에 대응되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텔레비전은 외부 기기, 예컨대, DVD 플레이어나 셋탑박스, 컴퓨터등과 연결되어 다양한 영상을 표시한다.
즉, 텔레비전은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및 외부 기기는 각각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화질 정보를 변경하여 화질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화질 정보는 영상신호의 밝기, 컨트라스트비, 선명도 및 색상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영상 표시 장치는 현재의 영상에 대한 화질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밝기, 컨트라스트비, 선명도, 색상등을 변경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또한 복수의 패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은,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제1 화질 조정 방법은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조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질 조정 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화질 조정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패턴들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이용하여 화질 조정을 수행하므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영상의 화질이 표준 화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존의 여러가지 메뉴를 조작하여 화질을 변경하여 둔 경우에도, 제안되는 몇단계의 화질 설정 과정을 수행하여 표준화질로의 설정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UI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따라서 외부 장치로부터 표준화질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준화질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전문가가 특정 색상에 대한 필터를 사용하여 색농도, 틴트등을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다방면으로 개시되는 실시예가 유용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표준화질뿐 아니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설정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화질 조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영상 표시 장치의 밝기(bright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영상 표시 장치의 컨트라스트(contrast)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은 영상 표시 장치의 틴트(tint)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 및 도 19는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색농도(color)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 및 도 21은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수평 선명도(Horizontal sharp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수직 선명도(Vertical sharp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색농도(color)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수평 선명도(Horizontal sharp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수직 선명도(Vertical sharp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색온도(color tmperatue)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영상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backlight)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화질 조정값을 적용할 외부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받는다(100 단계).
즉, 영상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를 위해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각각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미리 설정된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예를 들어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색농도(color), 틴트(tint), 선명도(sharpness),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 색온도(color tmperatue) 또는 백라이트(backlight)의 밝기 등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질 조정 방법이 선택되면,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한다(110 단계).
즉, 조정 가능한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전체에 대해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될 수 있다. 그와 달리,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일부의 화질 조정 항목에 대해서는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과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특정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이 수행되고, 나머지 화질 조정 항목에 대해서는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의 개수 또는 상기 사용자가 조정 가능한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의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화질 조정 방법 및 제2 화질 조정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 및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화질 조정 방법 및 제2 화질 조정 방법 중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과 제2 화질 조정 방법은 화질 조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화질 조정을 위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은 표준 화질 조정 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른 화질 조정에 의하면 입력되는 영상을 표준 화질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표준 화질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원본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영상 표시 장치가 영상 소스(source) 자체의 화질, 예를 들어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및 화면 전체 밝기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화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은 선호 화질 조정 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른 화질 조정에 의하면 입력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 화질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질 조정 방법을 제1, 2 화질 조정 방법, 예를 들어 표준 화질 조정 방법 및 선호 화질 조정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성향에 적응적인 화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을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제1 그룹에 대해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한다(111 단계).
즉, 화질 조정이 가능한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은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나뉠 수 있으며,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화질 조정 항목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관계없이 공통으로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틴트(tint) 및 백라이트(backlight) 밝기는 상기 제1 그룹에 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밝기, 컨트라스트, 틴트 및 백라이트 밝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관계없이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질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의 화질 조정 항목들에 대해 화질 조정이 수행된 후,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을 확인한다(112 단계).
사용자가 제1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제2 그룹에 대해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한다(113 단계).
한편, 사용자가 제2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화질 항목들에 대해 상기 제2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한다(114 단계).
즉, 화질 조정이 가능한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화질 조정 항목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에 따라 화질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색농도(color) 및 선명도(sharpness)는 상기 제2 그룹에 속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색농도 및 선명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질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화질 조정 방법은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조정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화질 항목, 예를 들어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 및 색온도(color tmperatue)에 대해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영상 표시 장치를 표준 화질로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디스플레이한다(121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화면 상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화질 조정 시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화질 조정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2 패턴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2 패턴은 영상 표시 장치의 내부 패턴일 수 있으며, 즉 영상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2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의 패턴 발생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화질 조정을 위한 조정값을 입력받는다(122 단계).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은 복수의 화질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에 대응되는 화질 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조정 가능한 화질 항목들인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백라이트 밝기 중 어느 하나를 변화시키기 위한 조정값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화시킨다(123 단계).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 조정값에 따라 변화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고정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패턴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처리를 거치기 전,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의미하며, 상기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는 화질 조정을 위한 화면 상에 상기 제1, 2 패턴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정값에 따라 영상 처리되어, 상기 조정값이 변화함에 의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가 변화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의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또는 백라이트 밝기 등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화된다 함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제1 패턴의 화질, 보다 상세하게는 조정하고자 하는 특정 화질 항목에 대응되는 화질 특성이 변화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화질 항목들 중 하나인 밝기(brightness)를 조정하는 경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 또는 제1 패턴에 포함된 특정 영역의 밝기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화질 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이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화질 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의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백라이트 밝기, 형상 또는 크기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질 항목들 중 제1 항목의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과 제2 항목의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은 상기 제1 항목에 대응되는 화질의 상태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정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과 컨트라스트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은 밝기 상태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항목의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과 제2 항목의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은 상기 복수의 화질 항목들 중 제3 항목에 대응되는 화질의 상태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정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과 컨트라스트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패턴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색상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고정되며, 그를 위해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입력된 조정값에 따라 수행되는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즉,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제2 패턴의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또는 백라이트 밝기 등은 상기 입력된 조정값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턴은 화질 조정에 있어 기준이 되는 패턴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제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화질 조정의 목적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변화되는 제1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일치되도록 하고, 상기 일치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상기 제2 패턴은 표준 화질을 가지도록 생성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패턴의 이미지는 화질 조정의 기준이 되도록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표준 화질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원본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영상 표시 장치가 영상 소스(source) 자체의 화질, 예를 들어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및 화면 전체 밝기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화질일 수 있다.
상기 제2 패턴은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을 가지도록 생성된 후 영상 표시 장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값에 따라 변화되는 제1 패턴과 달리 디스플레이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패턴(210)과 상이한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친 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턴이 가지는 표준 화질은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업체, 사용 지역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조정 가능한 복수의 화질 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이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화질 항목들 각각에 대하여,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의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백라이트 밝기 또는 형상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질 항목들 중 제1 항목의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과 제2 항목의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은 상기 제1 항목에 대응되는 화질의 상태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정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과 컨트라스트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은 밝기 상태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항목의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과 제2 항목의 화질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은 상기 복수의 화질 항목들 중 제3 항목에 대응되는 화질의 상태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정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과 컨트라스트 조정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패턴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색상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 후,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가 상기 제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124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제1, 2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한다 함은 제1, 2 패턴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가 객관적으로, 예를 들어 화질 측정 장치에 의한 측정 결과에 의해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뿐 아니라, 상기 제1, 2 패턴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상태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1 패턴이 표준 화질의 제2 패턴과 사용자의 시각에서 볼 때 일치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적응적인 화질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에 따라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하는 시점에 대한 판단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판단하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조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영상 표시 장치는 화질 조정을 위한 화면 상에 "제1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상기 제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일치하도록 조정값을 설정하라"는 의미의 문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시점의 조정값을 설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124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122 단계 및 상기 123 단계를 상기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할 때까지 반복한다.
또한, 상기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된 조정값을 설정한다(125 단계).
즉, 사용자가 상기 제1, 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는 해당 시점에서 입력된 제1 값으로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화질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화질 조정 방법은 선호 화질 조정 방법일 수 있으며,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해달 화질 항목에 대해 상기 표준 화질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감성 화질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영상 표시 장치는 메모리(150), 신호 처리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150)는 상기 제1 화질 보정 방법의 수행을 위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 중 어느 하나는 메모리(150)에 저장되지 않고, 외부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Flash RO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서로 상이한 포맷을 가지는 영상 신호로 생성되어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턴은 소정의 영상 부호화 방식, 좀 더 구체적으로는 MPEG 코딩 방식에 따라 압축된 영상 신호이며, 제2 패턴(220)은 압축되지 않은 R, G, B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160)는 입력된 조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을 영상 처리하여 출력하며, 그를 위해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정값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는 영상 표시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버튼들이거나 또는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입력되는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은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디스플레이되기 이전에 서로 상이한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에 저장된 상기 제2 패턴은 신호 처리부(160)를 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70)로 입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패턴이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조정값에 의해 변화되지 않고, 메모리(150)에 저장된 영상 신호의 화질, 예를 들어 표준 화질 그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패턴은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화질을 변화시키는 신호 처리부(160)를 거침으로써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가 변화되며, 그와 달리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신호 처리부(170)를 바이 패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는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의해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영상수신부가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영상 표시 장치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S-Video, Component, PC-Signal,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의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2 패턴(220)이 별도의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70)로 직접 입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와 달리 메모리(150)에 저장된 상기 제2 패턴은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친 후 디스플레이부(170)로 입력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2 패턴에 대해 수행되는 처리 과정은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관계없이 수행되고, 상기 제2 패턴은 조정값에 따른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블록을 바이 패스함으로써, 이 경우에도 상기 제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 조정값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제1, 2 패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LCD, PDP, ELD 또는 VFD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신호 처리부(160)는 영상 복호화부(161), 화질 인헨서(162), CSC 블록(163) 및 감마 보정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1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내부 패턴, 즉 상기 제1 패턴을 디스플레이부(170)가 처리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다수의 신호 처리 블럭들(161 내지 164)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61)는 휘도 성분(Y)과 색신호 성분(C)로 분리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디코딩(decoding)하며,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부(161)는 상기 색신호(C)에서 U,V를 분리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를 Y,U,V 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150)에 저장된 상기 제1 패턴은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 압축된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영상 복호화부(161)는 상기 압축된 제1 패턴의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 부호화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복호화할 수 있다.
그에 반해, 상기 제2 패턴의 영상 신호는 영상 복호화부(161)를 거치지 않으므로,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2 패턴은 압축되지 않은 형태, 예를 들어 Y,U,V 포맷 또는 R, G, B 포맷의 영상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화질 인헨서(16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색감 조정, 컨트라스트 조정(Contrast enhance), 색 조정(color enhance), 노이즈 필터링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될 영상의 화질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질 인핸서(16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은 화질 인핸서(162)를 거치지 않음으로써,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부(161)와 화질 인핸서(162) 사이에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frame buffer, 미도시), 인터레이싱(interlacing) 방식의 영상 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서(de interlacer, 미도시) 또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70)의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SC 블럭(163)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컬러 스페이스 변환(Color Space Converting)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 가능한 컬러 스페이스로 변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입력되는 YUV 신호를 RGB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SC 블럭(163)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되는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은 CSC 블럭(163)를 거치지 않음으로써,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되는 색상이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패턴은 CSC 블럭(163)를 거치지 않음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 가능한 RGB 포맷의 영상 신호로 생성되어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감마 보정부(164)는 CSC 블럭(163)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예를 들어 RGB 신호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감마 커브(gamma curve)에 따라 입력 휘도 레벨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마 보정부(16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패턴은 감마 보정부(164)를 거치지 않음으로써,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신호 처리 블럭들(161 내지 164)을 포함하는 신호 처리부(160)에 의해 영상 처리된 후 출력되는 상기 제1 패턴과 신호 처리부(160)를 거치지 않은 상기 제2 패턴은 영상 합성부(171)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영상 합성부(171)는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된 제1 패턴의 영상 신호와 조정값에 따른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제2 패턴을 합성하여 한 화면(200) 상에 상기 제1, 2 패턴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합성부(171)는 상기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별개의 레이어(layer)로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패턴의 영상 신호는 메모리(150)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화되는 상기 제1 패턴은 화질 조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일 수 있으며, 입력되는 조정값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1 패턴, 즉 테스트 패턴의 기준이 되는 가이드 패턴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패턴은 테스트 패턴, 상기 제2 패턴은 가이드 패턴으로 지칭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해칭의 차이는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 상태, 예를 들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밝기, 색상 또는 선명도 등과 같은 화질이 서로 상이함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동일한 해칭으로 표시된 영역은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상태가 서로 동일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을 위한 패턴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210)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는 입력되는 조정값이 변화함에 따라 함께 변화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정값이 변화함에 따라 가이드 패턴(220)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동일해지도록 변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테스트 패턴(210)과 가이드 패턴(220)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스트 패턴(210)과 가이드 패턴(220)은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값이 변화됨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가이드 패턴(220)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패턴(210) 또는 가이드 패턴(22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패턴이 화면(2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또는 백라이트 밝기 등의 화질 특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정값을 나타내기 위한 조정값 표시 OSD(On Screen Display)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정값 표시 OSD는 상기 조정값을 나타내는 바(bar)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조정값 표시 OSD는 상기 조정값에 따라 가변 표시되는 가변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정값 표시 OSD 중 상기 가변 영역(23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조정값에 관계없이 변화되지 않는 고정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은 숫자, 캐릭터, 추상적인 정도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화질 요소의 값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조정값 표시 OSD의 변화에 동기되어 변화될 수 있다.
즉,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은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이 변화됨에 따라 변화되며,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변화됨에 따라 그에 동기되어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값이 증가함에 따라 조정값을 표시하는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y측 방향으로 변화되고,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y측 방향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조정값이 감소함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y'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y'측 방향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패턴(220)은 복수의 이미지들(221, 222, 2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220)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221, 222, 223) 중 어느 하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화질 조정의 기준이 되는 디스플레이 상태, 즉 표준 화질을 가지는 표준 이미지일 수 있으며, 나머지는 상기 표준 이미지와 상이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가지는 예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 이미지들(222, 223)은 테스트 패턴(210)이 상기 표준 화질로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표준 이미지(221) 및 예시 이미지(222, 223)를 이용하여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표준 화질에 보다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210)에 인접하게 표준 이미지(221) 및 예시 이미지들(222, 223)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표준 이미지(221)와 예시 이미지들(222, 223)의 차이를 통해 표준 이미지(221)의 화질 특성, 테스트 패턴(210)이 가져야 할 표준 화질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과 가이드 패턴(220)에 포함된 표준 이미지(221)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테스트 패턴(210)의 하측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이드 패턴(220)은 표준 이미지(221) 및 표준 이미지(221)에 좌우로 배열된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패턴(220)에 포함된 이미지들은 x측 방향으로 제1 예시 이미지(222), 표준 이미지(221) 및 제2 예시 이미지(223)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조정값 표시 OSD의 변화에 동기되어 변화되며,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변화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테스트 패턴(210)는 제1 예시 이미지(222)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표준 이미지(223)의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조정에 있어, 조정값이 '20'인 경우, 테스트 패턴(210)이 디스플레이되는 밝기는 제1 예시 이미지(222)의 디스플레이 밝기와 표준 이미지(223)의 디스플레이 밝기 사이일 수 있다. 즉, 테스트 패턴(210)은 제1 예시 이미지(222)보다 밝게 디스플레이되고, 표준 이미지(221) 보다는 어둡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테스트 패턴(210) 및 가이드 패턴(220) 이외의 영상(24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240)은 디스플레이 화면(2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영상(240)은 영상 표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주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주 영상(240)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 테스트 패턴(210)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 가이드 패턴(220)이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영역 및 조정값 표시 OSD가 표시되는 제4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또한, 화면(2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주 영상(240)은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주 영상(240)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동시에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영상(240)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도 테스트 패턴(210)의 영상 신호와 같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신호 처리부(160)에서 신호 처리된 후 디스플레이부(170)로 입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 영상(240)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조정값이 증가하여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x측 방향으로 변화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x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표준 이미지(221)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에 반해,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x측 방향으로 변화됨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과 표준 이미지(222)의 x'측에 위치하는 제1 예시 이미지(222)는 디스플레이 상태의 차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x측 방향으로 변화됨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표준 이미지(222)의 x측에 위치하는 제2 예시 이미지(223)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조정값이 증가하여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제1 위치에 이르는 경우,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표준 이미지(221)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시각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테스트 패턴(210)과 표준 이미지(2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의 위치, 즉 제1 위치에 대응되는 제1 값으로 조정값이 설정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질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값이 증가함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화되고, 그와 동시에 주 영역(230)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변화된다.
예를 들어, 조정값이 변화함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의 밝기가 감소하는 경우, 그와 동시에 주 영역(230)의 밝기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조정값이 변화함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의 색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그와 동시에 주 영역(230)의 색농도도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주 영역(230)의 화질 특성은 테스트 패턴(210) 또는 테스트 패턴(210)에 포함된 일부 영역의 화질 특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조정값이 변화함에 따라 주 영역(230) 및 그와 동일한 화질 특성을 가지는 테스트 패턴(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동시에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정값이 상기 제1 값을 초과하여 증가함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상기 제1 위치를 지나 x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표준 이미지(222)의 x측에 위치하는 제2 예시 이미지(223)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에 반해,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상기 제1 위치를 지나 x측 방향으로 변화됨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과 표준 이미지(222)는 디스플레이 상태의 차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상기 제1 위치를 지나 x측 방향으로 변화됨에 따라, 테스트 패턴(210)과 제1 예시 이미지(222)도 디스플레이 상태의 차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상기 제1 위치를 지나 x측 방향으로 변화됨에 따라, 주 영상(240)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테스트 패턴(210)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함께 변화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은 복수의 화질 항목들, 예를 들어 밝기, 컨트라스트, 색농도, 틴트, 선명도 또는 백라이트의 밝기 등의 화질 항목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사용자가 표준 화질 조정 방법 및 선호 화질 조정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박스(201)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과 같은 입력 수단에 구비된 좌/우 키버튼을 이용하여 박스(201)에 표시 가능한 표준 화질 조정 및 선호 화질 조정 중 어느 하나의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200) 상에서 사용자가 상기 표준 화질 조정 중 선호 화질 조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제1 그룹에 속하는 화질 조정 항목들, 예를 들어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및 틴트(tint) 각각에 대한 화질 조정이 상기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영상 표시 장치의 밝기(bright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의 밝기(brightness)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조정 방법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방법, 즉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들(310, 3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영상 표시 장치에 구비된 신호 처리부(160)에 의해 영상 처리된 후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디스플레이되는데, 상기 신호 처리부(160)의 영상 처리에 적용되는 조정값의 초기값(defualt value) 또는 사용자의 잘못된 화질 설정 등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화질이 원본 영상의 화질, 즉 표준 화질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밝기를 작은 값으로 설정하여 둔 경우(밝기 조정값이 작게 설정된 경우) 영상의 검은 영역들이 서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밝기를 큰 값으로 설정하여 둔 경우(밝기 조정값이 크게 설정된 경우) 영상 내의 흰색 영역들이 서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에서 영상 밝기의 조정값이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의 검은 영역들에 대해서 색재현성이 떨어질 수 있며, 반대로 상기 밝기 조정값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영상 내의 흰색 영역들에 대해 색재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70)에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영상의 밝기를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테스트 패턴(310)은 서로 상이한 밝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가 서로 상이한 제1 영역(311), 제2 영역(312) 및 제3 영역(313)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영역(312)은 약 0 IRE 밝기를 가지고, 제1 영역(311)은 제2 영역(312) 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며, 제3 영역(313)은 제2 영역(312)보다 낮은 밝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테스트 패턴(310) 중 제1 영역(311)의 밝기는 + 4 IRE, 제2 영역(312)의 밝기는 0 IRE, 제3 영역(313)의 밝기는 - 4 IRE일 수 있다.
여기서, 색재현이 8bit로 이루어지는 경우 색의 밝기는 0 ~ 255의 계조로 표시될 수 있는데, 화질 규격상 16 ~ 235의 계조에 대한 색재현이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가장 어두운 검은색이 되는 16의 계조를 0 IRE로 설정하여 두는 경우에, 8의 계조를 - 4 IRE로, 24의 계조를 + 4 IRE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영상의 밝기가 표준 화질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8 계조의 영상 데이터와 16계조의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16계조의 영상 데이터와 24 계조의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테스트 패턴(310) 중 제2 영역(312)과 제3 영역(313)의 밝기 차이가 사용자의 시각적으로 식별되지 아니하고, 제1 영역(311)과 제2 영역(312)의 밝기 차이는 사용자의 시각적으로 식별되는 경우가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의 밝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의 밝기가 표준 화질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4a 및 4c로 도시되어 있고, 표준 화질의 경우가 4b로 도시되어 있다.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에서 직선의 y 절편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밝기가 증가하면 상기 직선의 y 절편이 증가하고, 밝기가 감소하면 상기 직선의 y 절편이 감소할 수 있다.
밝기 레벨이 4a의 직선 또는 4c의 직선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블랙 또는 화이트 계조에 대한 색 재현성이 떨어지는데, 직선 4a의 경우 실질적으로 색 재현이 가능한 -4 IRE 부터 96 IRE 까지의 계조가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직선 4c의 경우 + 4 IRE 부터 104 IRE 까지의 계조가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4b와 같이 0 IRE에서 100 IRE까지의 계조가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서 표현되도록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색재현이 8bit로 이루어지고, 16계조가 0 IRE이고 235계조가 100 IRE인 경우를 표준 화질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표준 화질의 경우 영상 데이터가 16계조 미만을 나타내는 경우는 모두 0 IRE로 화면(200) 상에 표시되고, 영상 데이터가 235계조를 초과하는 경우는 모두 100 IRE로 화면(2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3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제1, 2, 3 영역(311, 312, 313) 각각의 밝기 또는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패턴(310)을 구성하는 제1, 2, 3 영역(311, 312, 313)은 각각 - 2 IRE, 0 IRE 및 + 2 IRE의 밝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321, 322, 323)을 포함하는 가이드 패턴(320)이 표시되는 밝기 조정 메뉴창(3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320) 중 중앙에 배열된 표준 이미지(Recommended, 321)은 영상의 밝기를 표준 화질의 밝기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310)과 표준 이미지(3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패턴에 포함된 영역들의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표준 화질의 밝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표준 이미지(3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에서 테스트 패턴(310)이 디스플레이되는 컨트라스트를 가지도록 생성된 후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한 직선 4b와 같은 밝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표준 이미지(321)는 서로 밝기가 상이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표준 이미지(321)의 상기 제1 영역은 테스트 이미지(310)의 제1 영역(311)과 패턴 내 위치가 대응되며, 표준 이미지(321)의 상기 제2 영역은 테스트 이미지(310)의 제2, 3 영역(312, 313)과 패턴 내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310)과 표준 이미지(3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밝기가 표준 화질의 밝기와 일치하게, 실제로는 해당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일치하게 보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패턴(320) 중 표준 이미지(32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예시 이미지(Low, 3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정값, 즉 밝기 조정값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3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조정값을 감소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좌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3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1 예시 이미지(Low, 322)에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 이미지(Low, 322)는 전체 영역이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이미지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직선 4a와 같은 밝기 특성을 가져, - 4 IRE로부터 + 4 IRE 까지의 영상 데이터가 모두 0 IRE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밝기 조정값이 매우 낮아지는 경우, 각각 + 4 IRE, O IRE 및 - 4 IRE의 밝기를 가지는 테스트 패턴(310)의 영역들(311, 312, 313)이 모두 제1 예시 이미지(Low, 322)와 같이 0 IRE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패턴(320) 중 표준 이미지(32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예시 이미지(High, 323)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정값, 즉 밝기 조정값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3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조정값을 증가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우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3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2 예시 이미지(High, 322)에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323)는 서로 상이한 밝기를 가지는 3개의 영역들로 구성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직선 4c와 같은 밝기 특성을 가져, - 4 IRE로부터 0 IRE 까지의 영상 데이터도 화면상에서 표현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밝기 조정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제2 예시 이미지(High, 323)와 같이 각각 + 4 IRE, O IRE 및 - 4 IRE의 밝기를 가지는 테스트 패턴(310)의 영역들(311, 312, 313) 각각이 밝기가 서로 상이하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 조정 메뉴창(300)에는 테스트 패턴(310)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하측에 디스플레이된 표준 이미지(Recommended, 3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서로 일치하도록 밝기 값을 조정하라는 문구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테스트 패턴(310)과 표준 이미지(Recommended, 321)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일치시켜 조정값을 설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 조정 메뉴창(300)에는 조정하고자 하는 화질 항목(즉, 밝기(Brightness))가 표시되고, 입력되는 밝기 조정값을 나타내기 위한 조정값 표시 OSD(330) 및 복수의 입력 버튼들(340, 350)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TURN" 버튼(340)은 이전 페이지 또는 이전 화질 항목으로 돌아가기 위한 것이며, "⊙" 버튼(350)은 현재 입력된 조정값으로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310)과 표준 이미지(3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영역의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 버튼(350)을 선택하여, 상기 일치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으로 밝기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RETURN" 버튼(340) 및 "⊙" 버튼(350)은 영상 표시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와 달리 영상 표시 장치 외부의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3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테스트 패턴(310)의 형상, 크기, 영역의 개수 또는 영역들 각각의 밝기 등은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영상 표시 장치의 컨트라스트(contrast)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의 컨트라스트(contrast)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조정 방법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방법, 즉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컨트라스트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들(410, 4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테스트 패턴(410)은 서로 상이한 밝기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기가 서로 상이한 제1 영역(411), 제2 영역(412) 및 제3 영역(413)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영역(411)은 제2 영역(412) 보다 낮은 밝기를 가지며, 제3 영역(413)은 제2 영역(412)보다 높은 밝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영역(412)은 약 100 IRE의 밝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테스트 패턴(410) 중 제1 영역(411)의 밝기는 97.5 IRE, 제2 영역(412)의 밝기는 100 IRE, 제3 영역(413)의 밝기는 102.5 IRE일 수 있다.
영상의 밝기가 표준 화질로 설정되는 경우, 테스트 패턴(410) 중 제2 영역(412)과 제3 영역(413)의 밝기 차이가 사용자의 시각적으로 식별되지 아니하고, 제1 영역(411)과 제2 영역(412)의 밝기 차이는 사용자의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의 컨트라스트가 표준 화질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6a 및 6c로 도시되어 있고, 표준 화질의 경우가 6b로 도시되어 있다.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조정하는 것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에서 직선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컨트라스트가 증가하면 상기 직선의 기울기가 증가하며, 컨트라스트가 감소하면 상기 직선의 기울기가 감소할 수 있다.
밝기 레벨이 6a의 또는 6c의 직선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화이트 계조에 대한 색 재현성이 떨어지는데, 직선 6a의 경우 100 IRE를 초과하는 계조의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표현되고, 직선 4c의 경우 100 IRE 미만의 계조, 예를 들어 약 95 IRE 계조까지의 영상 데이터만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즉, 직선 4c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95 IRE 계조 이상의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표현될 수 없으며, 모두 100 IRE의 화이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된 6b와 같이 0 IRE에서 100 IRE까지의 계조가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서 표현되도록 컨트라스트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410) 중 97.5 IRE의 밝기를 가지는 제1 영역(411)과 100 IRE의 밝기를 가지는 제2 영역(412)은 밝기 차이가 사용자에게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100 IRE의 밝기를 가지는 제2 영역(412)과 102.5 IRE의 밝기를 가지는 제3 영역(413)은 밝기 차이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되게 함으로써,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표준 화질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4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제1, 2, 3 영역(411, 412, 413) 각각의 밝기 또는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패턴(410)을 구성하는 제1, 2, 3 영역(411, 412, 413)은 각각 104 IRE, 106 IRE 및 108 IRE의 밝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421, 422, 423)을 포함하는 가이드 패턴(420)이 표시되는 컨트라스트 조정 메뉴창(4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420) 중 중앙에 배열된 표준 이미지(Recommended, 421)은 영상의 컨트라스트를 표준 화질의 컨트라스트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410)과 표준 이미지(4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패턴에 포함된 영역들의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표준 화질의 컨트라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표준 이미지(4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에서 테스트 패턴(410)이 디스플레이되는 컨트라스트를 가지도록 생성된 후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직선 6b와 같은 밝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표준 이미지(421)는 서로 밝기가 상이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표준 이미지(421)의 상기 제1 영역은 테스트 이미지(410)의 제1 영역(411)과 패턴 내 위치가 대응되며, 표준 이미지(421)의 상기 제2 영역은 테스트 이미지(410)의 제2, 3 영역(412, 413)과 패턴 내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410)과 표준 이미지(4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컨트라스트가 표준 화질의 컨트라스트와 일치하게, 실제로는 해당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일치하게 보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패턴(420) 중 표준 이미지(42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예시 이미지(Low, 4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정값, 즉 컨트라스트 조정값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4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컨트라스트 값을 감소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위치가 좌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4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1 예시 이미지(Low, 4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 이미지(Low, 422)는 서로 상이한 밝기를 가지는 3개의 영역들로 구성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직선 6a와 같은 밝기 특성을 가져, 100 IRE로부터 102.5 IRE 까지의 영상 데이터도 화면(200) 상에서 표현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컨트라스트 값이 매우 낮아지는 경우, 제1 예시 이미지(Low, 421)와 같이 각각 97.5 IRE, 100 IRE 및 102.5 IRE의 밝기를 가지는 테스트 패턴(410)의 영역들(411, 412, 413) 각각이 밝기가 서로 상이하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패턴(420) 중 표준 이미지(42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예시 이미지(High, 423)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정값, 즉 컨트라스트 값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4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조정값을 증가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우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4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2 예시 이미지(High, 422)에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423)는 전체 영역이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이미지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직선 6c와 같은 밝기 특성을 가져, 97.5 IRE 이상의 계조를 가지는 영상 데이터가 모두 100 IRE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컨트라스트 조정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각각 97.5 IRE, 100 IRE 및 102.5 IRE의 밝기를 가지는 테스트 패턴(410)의 영역들(411, 412, 413)이 모두 제2 예시 이미지(High, 422)와 같이 100 IRE 계조, 즉 화이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410)과 표준 이미지(4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영역의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 버튼(450)을 선택하여, 상기 일치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으로 컨트라스트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4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테스트 패턴(410)의 형상, 크기, 영역의 개수 또는 영역들 각각의 밝기 등은 변경될 수 있다.
도 16은 영상 표시 장치의 틴트(tint)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6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틴트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들(610, 6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테스트 패턴(610)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이 서로 상이한 제1 영역(611) 및 제2 영역(612)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영역(611)은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및 옐로우(yellow) 중 어느 한 색을 가지며, 제2 영역(612)은 상기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중 다른 한 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테스트 패턴(610) 중 제1 영역(611)은 75%의 블루와 75%의 레드 색상이 혼합된 시안 색상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영역(612)은 75%의 블루와 75%의 그린 색상이 혼합된 마젠타 색상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색농도 조절의 경우와 같이, 테스트 패턴(610)의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160)의 최종단에서 블루 색상에 대응되는 신호만이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부(170)로 출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는 테스트 패턴(610) 중 블루 색상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영상의 틴트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색축이 이동하게 되는데, 어느 한 방향으로 틴트가 조절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하나의 색상에 대해서는 색농도가 증가하지만, 다른 하나의 색상에 대해서는 색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틴트 조정값이 변화되는 경우, 제1 영역(611)의 디스플레이되는 색이 변화되며, 그와 동시에 제2 영역(612)의 디스플레이되는 색도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되는 틴트 조정값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611)의 블루 색농도가 감소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612)의 블루 색농도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되는 틴트 조정값이 감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611)의 블루 색농도가 증가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612)의 블루 색농도는 감소할 수 있다.
영상의 틴트가 표준 화질로 설정되는 경우, 테스트 패턴(610) 중 제1 영역(611)과 제2 영역(612)의 디스플레이되는 색상 차이가 사용자의 시각적으로 식별되지 아니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610) 중 75% 시안 색을 가지는 제1 영역(611)과 75% 마젠타 색을 가지는 제2 영역(612)이 동일한 색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틴트(tint)를 표준 화질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6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제1, 2 영역(611, 612) 각각의 색 또는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621, 622, 623)을 포함하는 가이드 패턴(620)이 표시되는 틴트 조정 메뉴창(6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620) 중 중앙에 배열된 표준 이미지(Recommended, 521)은 영상의 틴트를 표준 화질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610)과 표준 이미지(6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패턴에 포함된 영역들의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표준 화질의 틴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표준 이미지(6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에서 테스트 패턴(610)이 디스플레이되는 틴트를 가지도록 생성된 후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균일한 색을 가지는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610)과 표준 이미지(6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틴트가 표준 화질과 일치하게, 실제로는 해당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일치하게 보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패턴(620) 중 표준 이미지(62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예시 이미지(Low, 6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틴트 조정값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6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틴트 조정값을 감소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좌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6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1 예시 이미지(Low, 6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 이미지(Low, 622)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2개의 영역들로 구성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보다 낮은 블루 색농도를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틴트 조정값이 매우 낮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610) 중 제1 영역(611)의 디스플레이되는 블루 색농도는 증가하고, 제2 영역(612)의 디스플레이되는 블루 색농도가 감소하여, 제1, 2 영역(611, 612)이 제1 예시 이미지(Low, 621)와 같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예시 이미지(Low, 621)와 같이 테스트 패턴(610) 중 제2 영역(612)은 제1 영역(611)보다 낮은 블루 색농도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620) 중 표준 이미지(62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예시 이미지(High, 6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틴트 조정값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6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틴트 조정값을 증가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우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6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2 예시 이미지(High, 6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622)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2개의 영역들로 구성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보다 높은 블루 색농도를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틴트 조정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610) 중 제1 영역(611)의 디스플레이되는 블루 색농도는 감소하고, 제2 영역(612)의 디스플레이되는 블루 색농도가 증가하여, 제1, 2 영역(611, 612)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622)와 같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예시 이미지(High, 622)와 같이 테스트 패턴(610) 중 제2 영역(612)은 제1 영역(611)보다 높은 블루 색농도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610)과 표준 이미지(6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영역의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 버튼(650)을 선택하여, 상기 일치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으로 틴트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6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테스트 패턴(610)의 형상, 크기, 영역의 개수 또는 영역들 각각의 밝기 등은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제1 그룹에 속하는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및 틴트(tint)에 대해서는 고정된 화질 조정 방법, 즉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이 조정되며, 제2 그룹에 속하는 색농도(color) 및 선명도(sharpness)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의해 화질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표준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화질 조정 항목들에 대해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상기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색농도(color)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8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색농도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들(510, 5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테스트 패턴(510)은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이 서로 상이한 제1 영역(511) 및 제2 영역(512)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영역(511)은 화이트 색을 가지며, 제2 영역(512)은 복수의 색상들, 예를 들어 레드(Red), 그린(Green) 및 블루(Blue) 중 어느 한 색상만을 포함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테스트 패턴(510) 중 제1 영역(511)은 R:G:B = 75%:75%:75로 이루어진 75%의 화이트 색상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영역(512)은 75%의 블루 색상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패턴(510)의 영상 신호는 신호 처리부(160)의 최종단에서 블루 색상에 대응되는 신호만이 추출되어 디스플레이부(170)로 출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는 테스트 패턴(510) 중 블루 색상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감마 보정부(164)는 입력되는 테스트 패턴(510)의 영상 신호 중 블루 색상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SC 블럭(163)에 의하여 YUV 신호가 RGB 신호로 변환된 테스트 패턴(510)의 영상 신호 중 블루 색상에 대응되는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영상 합성부(171)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정값인 색농도 값이 변화되는 경우, 제2 영역(512)이 디스플레이되는 색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되는 색농도 값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512)의 블루 색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되는 색농도 값이 감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512)의 블루 색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그와 달리, 화이트 색을 가지는 제1 영역(511)의 경우,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이 변화되어도 디스플레이 상태, 즉 디스플레이되는 색이 변화되지 않는다. 즉, 상기 입력되는 색농도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여도 제1 영역(511)의 블루 색농도는 원래의 75%를 유지하며, 그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조정값에 관계없이 제1 영역(511)의 디스플레이되는 색은 일정한 색농도의 블루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영상의 색농도가 표준 화질로 설정되는 경우, 테스트 패턴(510) 중 제1 영역(511)과 제2 영역(512)의 디스플레이되는 색상 차이가 사용자의 시각적으로 식별되지 아니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510) 중 75% 화이트 색을 가지는 제1 영역(511)과 75% 블루 색을 가지는 제2 영역(512)이 동일한 색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색농도(color)를 표준 화질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5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제1, 2 영역(511, 512) 각각의 색 또는 형상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521, 522, 523)을 포함하는 가이드 패턴(520)이 표시되는 색농도(color) 조정 메뉴창(5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520) 중 중앙에 배열된 표준 이미지(Recommended, 521)은 영상의 색농도를 표준 화질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510)과 표준 이미지(5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패턴에 포함된 영역들의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표준 화질의 색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표준 이미지(5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에서 테스트 패턴(510)이 디스플레이되는 색농도를 가지도록 생성된 후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균일한 색을 가지는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510)과 표준 이미지(5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색농도가 표준 화질과 일치하게, 실제로는 해당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일치하게 보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패턴(520) 중 표준 이미지(52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예시 이미지(Low, 5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정값, 즉 색농도 조정값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5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색농도 값을 감소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좌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5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1 예시 이미지(Low, 5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 이미지(Low, 522)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2개의 영역들로 구성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보다 낮은 블루 색농도를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색농도 값이 매우 낮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510) 중 제2 영역(512)의 디스플레이되는 블루 색농도가 감소하여, 제1, 2 영역(511, 512)이 제1 예시 이미지(Low, 521)와 같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예시 이미지(Low, 521)와 같이 테스트 패턴(510) 중 제2 영역(512)은 제1 영역(511)보다 낮은 블루 색농도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520) 중 표준 이미지(52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예시 이미지(High, 5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정값, 즉 색농도 조정값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5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색농도 값을 증가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우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5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2 예시 이미지(High, 5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522)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지는 2개의 영역들로 구성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보다 높은 블루 색농도를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색농도 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510) 중 제2 영역(512)의 디스플레이되는 블루 색농도가 증가하여, 제1, 2 영역(511, 512)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522)와 같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예시 이미지(High, 522)와 같이 테스트 패턴(510) 중 제2 영역(512)은 제1 영역(511)보다 높은 블루 색농도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510)과 표준 이미지(5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영역의 색이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 버튼(550)을 선택하여, 상기 일치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으로 색농도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5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테스트 패턴(510)의 형상, 크기, 영역의 개수 또는 영역들 각각의 밝기 등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블루 색상을 이용하여 색농도를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에 레드 또는 그린 색상을 이용하여 색농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상기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선명도(sharp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수평 선명도(Horizontal sharpness)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들(710, 7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패턴(710)과 가이드 패턴(720)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721, 722, 723)은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트 패턴(710)에서 표시되는 수직 라인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가이드 패턴(720)에 포함된 표준 이미지(721)에서 표시되는 수직 라인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하도록 조정값, 즉 수평 선명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기키 위하여 원 신호의 에지(edge)나 텍스쳐(texture)와 같이 고주파 성분을 가진 영역 부근에서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실시의 방안으로, 원 신호를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로 통과시키면, 도 21의 12B와 같은 형태의 신호가 되고, 이 신호에 대해서 'Coring'이나 'Thresholding'등의 방식을 적용하여 필터링 에러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성분에 가중치를 곱한 후에 원 신호에 더하면, 최종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12B와 같은 선명도가 향상된 결과의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즉, 원 신호에는 인위적인 오버슈트(overshoot)나 언더슈트(undershoot)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트랜지션(transition) 폭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선명도가 증가하게 된다. 가중치 값이 클수록 고주파 성분이 많이 증폭되므로 선명도를 더욱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가중치 값을 크게 설정하게 되면 선명도가 향상되나, 화면상에 피킹(peaking) 등이 발생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사용자에게는 눈에 거슬리는 잡음이 포함된 영상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선명도 조정값이 변화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영상 신호의 고주파 대역에 곱해지는 가중치가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710)에서 표시되는 라인의 선명도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되는 수평 선명도 조정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가중치가 증가하여, 테스트 패턴(710)에서 표시되는 수직 라인의 선명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되는 수평 선명도 조정값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가중치가 감소하여, 테스트 패턴(710)에서 표시되는 수직 라인의 선명도가 감소할 수 있다.
영상의 수평 선명도가 표준 화질로 설정되는 경우, 테스트 패턴(710)에서 표시되는 수직 라인이 밝기가 균일한 하나의 라인으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7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710)에서 포함된 수직 라인의 색상, 밝기 또는 개수 등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721, 722, 723)을 포함하는 가이드 패턴(720)이 표시되는 수평 선명도 조정 메뉴창(7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720) 중 중앙에 배열된 표준 이미지(Recommended, 721)은 영상의 수평 선명도를 표준 화질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710)과 표준 이미지(7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패턴에 포함된 수직 라인의 밝기 및 형상이 시각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표준 화질의 수평 선명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표준 이미지(7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에서 테스트 패턴(710)이 디스플레이되는 선명도를 가지도록 생성된 후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하나의 수직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710)과 표준 이미지(7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테스트 패턴(710)에서 표시되는 수직 라인은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수평 선명도가 표준 화질과 일치하게, 실제로는 해당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일치하게 보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패턴(720) 중 표준 이미지(72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예시 이미지(Low, 7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평 선명도 조정값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7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수평 선명도 조정값을 감소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좌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7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1 예시 이미지(Low, 7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 이미지(Low, 722)는 선명도가 낮은, 즉 라인과 주변의 경계가 불확실하여 상기 경계 부분의 밝기가 2 이상의 값을 가지는 수직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수평 선명도 조정값이 매우 낮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710)에서 표시되는 수직 라인의 수평 선명도가 감소되어 제1 예시 이미지(Low, 721)와 같이 수직 라인과 주변의 경계가 불확실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720) 중 표준 이미지(72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예시 이미지(High, 7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평 선명도 조정값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7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수평 선명도 조정값을 증가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우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7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2 예시 이미지(High, 7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722)는 밝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직 라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수평 선명도 조정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710)의 수직 라인 주변에서 피킹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수직 라인의 주변에 그 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는 라인이 디스플레이되어, 밝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직 라인들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평 선명도 조정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710)은 제2 예시 이미지(High, 722)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같이 수직 라인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화이트 색을 가지는 수직 라인들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밝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직 라인들이 식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710)과 표준 이미지(7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수직 라인의 밝기 및 형상이 일치하는 경우, "⊙" 버튼(750)을 선택하여, 상기 일치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으로 수평 선명도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수직 선명도(Vertical sharpness)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들(810, 8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패턴(810)과 가이드 패턴(820)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821, 822, 823)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트 패턴(810)에서 표시되는 수평 라인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가이드 패턴(820)에 포함된 표준 이미지(821)에서 표시되는 수평 라인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일치하도록 조정값, 즉 수직 선명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되는 수직 선명도 조정값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가중치가 증가하여, 테스트 패턴(810)에서 표시되는 수평 라인의 선명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되는 수직 선명도 조정값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가중치가 감소하여, 테스트 패턴(810)에서 표시되는 수평 라인의 선명도가 감소할 수 있다.
영상의 수직 선명도가 표준 화질로 설정되는 경우, 테스트 패턴(810)에서 표시되는 수평 라인이 밝기가 균일한 하나의 라인으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패턴(8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810)에서 포함된 수평 라인의 색상, 밝기 또는 개수 등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821, 822, 823)을 포함하는 가이드 패턴(820)이 표시되는 수직 선명도 조정 메뉴창(8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820) 중 중앙에 배열된 표준 이미지(Recommended, 821)은 영상의 수직 선명도를 표준 화질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810)과 표준 이미지(8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각 패턴에 포함된 수평 라인의 밝기 및 형상이 시각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표준 화질의 수직 선명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표준 이미지(8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에서 테스트 패턴(810)이 디스플레이되는 선명도를 가지도록 생성된 후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하나의 수직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810)과 표준 이미지(8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테스트 패턴(810)에서 표시되는 수평 라인은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수직 선명도가 표준 화질과 일치하게, 실제로는 해당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일치하게 보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패턴(820) 중 표준 이미지(82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예시 이미지(Low, 8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직 선명도 조정값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8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수직 선명도 조정값을 감소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좌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8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1 예시 이미지(Low, 8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 이미지(Low, 822)는 선명도가 낮은, 즉 라인과 주변의 경계가 불확실하여 상기 경계 부분의 밝기가 2 이상의 값을 가지는 수평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직 선명도 조정값이 매우 낮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810)에서 표시되는 수평 라인의 수직 선명도가 감소되어 제1 예시 이미지(Low, 821)와 같이 수평 라인과 주변의 경계가 불확실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820) 중 표준 이미지(82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예시 이미지(High, 8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직 선명도 조정값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8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수직 선명도 조정값을 증가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우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8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2 예시 이미지(High, 8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822)는 밝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평 라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직 선명도 조정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810)의 수평 라인 주변에서 피킹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수평 라인의 주변에 그 보다 높은 밝기를 가지는 라인이 디스플레이되어, 밝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평 라인들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직 선명도 조정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810)은 제2 예시 이미지(High, 822)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같이 수평 라인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화이트 색을 가지는 수평 라인들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밝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평 라인들이 식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810)과 표준 이미지(8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수평 라인의 밝기 및 형상이 일치하는 경우, "⊙" 버튼(850)을 선택하여, 상기 일치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으로 수직 선명도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표준 화질 조정을 선택한 경우, 도 1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수행하여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즉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틴트(tint), 색농도(color) 및 선명도(sharpness)에 대해 순차적으로 화질이 보정될 수 있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호 화질 조정 방법을 선택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화질 항목들에 대해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선호 화질 조정을 선택한 경우,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수행하여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제1 그룹의 항목들, 즉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및 틴트(tint)에 대해 화질 조정을 수행한 후, 제2 그룹의 색농도(color) 및 선명도(sharpness)에 대해서는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질이 보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르면, 해당 항목의 화질은 사용자가 입력한 조정값에 의해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 23은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색농도(color)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색농도(color)를 조정하기 위한 창(90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색농도 조정 메뉴창(900)은 사용자가 조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스(9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스(9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조정값은 소정 개수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색농도(color)에 대한 조정값으로서, "원본(Original)", "중간(Medium)" 및 "높음(High)"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가이드 패턴(9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패턴(920)은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921, 922, 9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패턴(920)에 포함된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921, 922, 923)은 각각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조정값들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패턴(920)에 포함된 제1 예시 이미지(922)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조정값들인 "원본(Original)", "중간(Medium)" 및 "높음(High)" 중 "원본(Original)"에 대응되며, 제2 예시 이미지(921)는 "중간(Medium)"에 대응되고, 제3 예시 이미지(923)는 "높음(High)"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921, 922, 923)은 대응되는 조정값에 따라서 화질, 즉 색농도(color)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예시 이미지(922)는 사용자가 조정값으로 "원본(Original)"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색농도(color)를 가지는 이미지이고, 제2 예시 이미지(921)는 "중간(Medium)"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색농도(color)를 가지는 이미지이며, 제3 예시 이미지(923)는 "높음(High)"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색농도(color)를 가지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된 예시 이미지들(921, 922, 923)을 확인한 후, 가장 선호하는 색농도를 가지는 "원본(Original)" 조정값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24는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수평 선명도(Horizontal Sharp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4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수평 선명도를 조정하기 위한 창(100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선명도 조정 메뉴 창(1000)은 사용자가 조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스(10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스(10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조정값은 소정 개수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평 선명도에 대한 조정값으로서, "원본(Original)", "중간(Medium)" 및 "높음(High)"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가이드 패턴(10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패턴(1020)은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1021, 1022, 10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패턴(1020)에 포함된 제1 예시 이미지(1022)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조정값들 중 "원본(Original)"에 대응되며, 제2 예시 이미지(1021)는 "중간(Medium)"에 대응되고, 제3 예시 이미지(1023)는 "높음(High)"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예시 이미지(1022)는 사용자가 조정값으로 "원본(Original)"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평 선명도를 가지는 이미지이고, 제2 예시 이미지(1021)는 "중간(Medium)"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평 선명도를 가지는 이미지이며, 제3 예시 이미지(1023)는 "높음(High)"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평 선명도를 가지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된 예시 이미지들(1021, 1022, 1023)을 확인한 후, 가장 선호하는 수평 선명도를 가지는 "중간(Medium)" 조정값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25는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수직 선명도(Vetical Sharpness)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5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수직 선명도를 조정하기 위한 창(110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선명도 조정 메뉴 창(1100)은 사용자가 조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스(11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스(11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조정값은 소정 개수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직 선명도에 대한 조정값으로서, "원본(Original)", "중간(Medium)" 및 "높음(High)"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가이드 패턴(11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패턴(1120)은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1121, 1122, 1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패턴(1120)에 포함된 제1 예시 이미지(1122)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조정값들 중 "원본(Original)"에 대응되며, 제2 예시 이미지(1121)는 "중간(Medium)"에 대응되고, 제3 예시 이미지(1123)는 "높음(High)"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예시 이미지(1122)는 사용자가 조정값으로 "원본(Original)"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직 선명도를 가지는 이미지이고, 제2 예시 이미지(1121)는 "중간(Medium)"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직 선명도를 가지는 이미지이며, 제3 예시 이미지(1123)는 "높음(High)"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직 선명도를 가지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된 예시 이미지들(1121, 1122, 1023)을 확인한 후, 가장 선호하는 수직 선명도를 가지는 "높음(High)" 조정값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선호 화질 조정을 선택한 경우, 상기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조정되지 않는 화질 조정 항목, 예를 들어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 및 색온도(color tmperatue)에 대한 화질 조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화질 조정 항목인 컨트라스트(contrast)는 외광에 의해 디스플레이로부터 반사되는 빛까지 포함한 영상의 최소 휘도에 대한 최대 휘도의 비를 의할 수 있다.
그에 반해, 상기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는 특정 영상 구역범위에서 극히 짧은 밀리초 시간 동안 백라이트(Backlight)를 이용해 순간적으로 화면의 광량을 조절(dimming)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최대 명암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6은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6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동적 명암비를 조정하기 위한 창(120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동적 명암비 조정 메뉴 창(1200)은 사용자가 조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스(12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스(12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조정값은 소정 개수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동적 명암비에 대한 조정값으로서, "꺼짐(Off)", "중간(Medium)" 및 "높음(High)"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가이드 패턴(12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패턴(1220)은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1221, 1222, 12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패턴(1220)에 포함된 제1 예시 이미지(1222)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조정값들 중 "꺼짐(Off)"에 대응되며, 제2 예시 이미지(1221)는 "중간(Medium)"에 대응되고, 제3 예시 이미지(1223)는 "높음(High)"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예시 이미지(1222)는 사용자가 조정값으로 "꺼짐(Off)"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동적 명암비를 가지는 이미지이고, 제2 예시 이미지(1221)는 "중간(Medium)"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동적 명암비를 가지는 이미지이며, 제3 예시 이미지(1223)는 "높음(High)"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동적 명암비를 가지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된 예시 이미지들(1221, 1222, 1223)을 확인한 후, 가장 선호하는 동적 명암비를 가지는 "꺼짐(Off)" 조정값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27은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색온도(color tmperatue)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7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상기 선호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색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창(130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색온도 조정 메뉴 창(1300)은 사용자가 조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박스(131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스(13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조정값은 소정 개수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색온도에 대한 조정값으로서, "따듯함(Warm)", "중간(Medium)" 및 "차가움(Cool)"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따듯함(Warm)", "중간(Medium)" 및 "차가움(Cool)"은 각각 6500K, 9300K 및 11000K의 색온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가이드 패턴(13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패턴(1320)은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1321, 1322, 13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패턴(1320)에 포함된 제1 예시 이미지(1322)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조정값들 중 "따듯함(Warm)"에 대응되며, 제2 예시 이미지(1321)는 "중간(Medium)"에 대응되고, 제3 예시 이미지(1223)는 "차가움(Cool)"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1 예시 이미지(1322)는 사용자가 조정값으로 "따듯함(Warm)"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색온도를 가지는 이미지이고, 제2 예시 이미지(1321)는 "중간(Medium)"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색온도를 가지는 이미지이며, 제3 예시 이미지(1323)는 "차가움(Cool)"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색온도를 가지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된 예시 이미지들(1321, 1322, 1323)을 확인한 후, 가장 선호하는 색온도를 가지는 "따듯함(Warm)" 조정값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27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주 영상(240)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10 내지 도 27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주 영상(24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주 영상은 조정값이 변화함에 따라 테스트 패턴과 동시에 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복수의 화질 항목들에 대한 화질 조정이 수행된 후, 백라이트(backlight)의 밝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28은 영상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backlight)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8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자체 발광력이 없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밝기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화질 조정 방법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방법, 즉 표준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기 위한 패턴들(1410, 14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패턴(1410)은 디스플레이 화면(200)의 전체 영역에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백라이트 조정값이 변화됨에 따라 테스트 패턴(1410)의 밝기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되는 백라이트 조정값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패턴(1410)의 밝기가 증가하고, 상기 백라이트 조정값이 감소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패턴(1410)의 밝기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는 복수의 이미지들(1421, 1422, 1423)을 포함하는 가이드 패턴(1420)이 표시되는 백라이트 조정 메뉴창(14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가이드 패턴(1420) 중 중앙에 배열된 표준 이미지(Recommended, 1421)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표준 화질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1410)과 표준 이미지(14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전체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도록 조정값을 설정함으로써 표준 화질을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표준 이미지(1421)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에서 테스트 패턴(1410)이 디스플레이되는 밝기를 가지도록 생성된 후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1410)과 표준 이미지(1421)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백라이트의 밝기가 표준 화질에 대응되도록, 실제로는 해당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대응되게 보이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패턴(1420) 중 표준 이미지(1421)의 좌측에 위치한 제1 예시 이미지(Low, 14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백라이트 조정값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14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백라이트 조정값을 감소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230)이 좌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14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1 예시 이미지(Low, 14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예시 이미지(Low, 1422)는 표준 이미지(1421)보다 낮은 화면 밝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조정값이 매우 낮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1410)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밝기가 제1 예시 이미지(Low, 1421)의 전체 밝기와 동일해지도록 어두워질 수 있다.
가이드 패턴(1420) 중 표준 이미지(1421)의 우측에 위치한 제2 예시 이미지(High, 142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백라이트 조정값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1410)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백라이트 조정값을 증가시킴에 따라 조정값 표시 OSD의 가변 영역(1430)이 우측 방향으로 변화되며, 그에 따라 테스트 패턴(1410)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제2 예시 이미지(High, 1422)와 동일해지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예시 이미지(High, 1422)는 표준 이미지(1421)보다 높은 화면 밝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백라이트 조정값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 테스트 패턴(1410)이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밝기가 제2 예시 이미지(High, 1422)의 전체 밝기와 동일해지도록 밝아질 수 있다.
사용자는 테스트 패턴(1410)과 표준 이미지(1421)의 디스플레이 상태, 즉 전체 밝기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경우, "⊙" 버튼(1450)을 선택하여, 상기 일치하는 시점에서의 조정값으로 백라이트 밝기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전체 구동 방식 또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 임펄시브(impulsive) 등과 같은 부분 구동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방식은 회로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로써, 실시예는 색대비비가 증대되고 화면상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에 대한 이미지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어 화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으로 구분되어 동작되며, 상기 분할 구동 영역의 휘도를 영상 신호의 휘도와 연계하여 영상의 검은색 부분은 휘도를 감소시키고 밝은 부분은 휘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명암비 및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별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백라이트 밝기 조정 방법이 수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별로 밝기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밝기 조정을 위한 테스트 패턴(1410)은 화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화질 조정 중 최종 단계에서 수행됨으로써 앞서 수행되었던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에 대한 최종 조정 결과를 전체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9는 외부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정 방법에 의해 설정된 조정값을 적용할 외부 입력을 선택받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화질 조정, 예를 들어 복수의 화질 항목들에 대한 조정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완료되는 화질 조정에 의한 설정 사항이 적용될 외부 입력을 선택하기 위한 외부 입력 선택창(1500)이 디스플레이 화면(20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입력 선택창(1500)에 표시된 복수의 외부 입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앞서 수행된 화질 조정에 따른 설정 사항을 적용할 외부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향키(1520) 및 "MARK" 버튼(1540)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 선택창(1500)에 표시된 복수의 외부 입력 중 상기 설정 사항을 적용할 1 이상의 외부 입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외부 입력 선택이 완료된 후 "⊙" 버튼(1530)을 눌러 상기 선택된 외부 입력에 상기 설정 사항을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RETURN" 버튼(1510)을 이용하여, 이전에 수행된 화질 조정 단계로 재진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복수의 화질 항목들 중 재조정하고자 하는 항목으로 이동하여 해당 항목에 대한 화질 조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 선택창(1500)에 표시된 복수의 외부 입력 중 1 이상의 외부 입력들은 상기 설정 사항을 적용할 외부 입력으로 미리 선택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 "DTV" 또는 "HDMI" 외부 입력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표준 화질로 설정된 조정값들을 적용할 외부 입력으로 미리 선택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와 더불어 상기한 바와 같은 화질 조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영상 신호를 제공하였던 외부 입력도 상기 설정 사항을 적용할 외부 입력으로 미리 선택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미리 선택된 외부 입력에 대해 상기 설정 사항을 적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방향키(1520)를 이용해 해당 외부 입력을 선택한 후 "MARK" 버튼(1540)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입력을 선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질 조정 방법 및 그를 위한 패턴 디스플레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질 조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화질 항목들에 대해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화질 조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및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 중 제1 화질 조정 방법은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조정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정값에 따라 상기 제1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조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제1 그룹의 화질 조정 항목들에 대해,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항목들 중 제2 그룹의 화질 조정 항목들에 대해,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상기 조정값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화질 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패턴은 상기 영상 표시 장치 내부에 저장되는 화질 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은 표준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예시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조정값이 제1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표준 이미지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화질 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값을 상기 제1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조정값이 제2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예시 이미지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가 시각적으로 일치하는 화질 조정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질 조정 방법들은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 및 제2 화질 조정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의 화질 조정 항목들은 상기 제1, 2 화질 조정 방법 중 상기 선택된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이 조정되는 화질 조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질 조정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정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질 조정 방법은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소정 개수의 조정값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은 상기 복수의 조정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화질 조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값들은
    원본(original), 중간(medium) 및 높음(high)를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은
    상기 대응되는 조정값에 따라 화질이 서로 상이한 화질 조정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화질 조정 항목들은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틴트(tint) 및 백라이트(backlight)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화질 조정 항목들은
    색농도(color) 및 선명도(sharpn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화질 조정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질 조정 방법은
    상기 제1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조정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화질 조정 항목에 대해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화질 조정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화질 조정 방법 중 상기 제2 화질 조정 방법이 선택된 경우,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 및 색온도(color tmperatue)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2 화질 조정 방법에 따라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예시 이미지들은 색농도, 선명도, 동적 명암 및 색온도 중 어느 하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질 항목들 중 밝기(brightness), 컨트라스트(contrast), 틴트(tint), 색농도(color), 선명도(sharpness), 백라이트(backlight) 밝기의 순서로 화질 조정을 수행하는 화질 조정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된 화질 조정에 따른 조정값을 적용할 외부 입력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질 조정 방법.

KR1020100007565A 2010-01-27 2010-01-27 화질 조정 방법 KR101635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65A KR101635218B1 (ko) 2010-01-27 2010-01-27 화질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65A KR101635218B1 (ko) 2010-01-27 2010-01-27 화질 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12A true KR20110087912A (ko) 2011-08-03
KR101635218B1 KR101635218B1 (ko) 2016-06-30

Family

ID=4492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565A KR101635218B1 (ko) 2010-01-27 2010-01-27 화질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2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974B1 (en) * 2002-06-28 2003-05-22 Seung Hyun Oh Display color correction pattern and display color cor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40103224A (ko) * 2003-05-31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표시상태 제어방법
JP2007147828A (ja) * 2005-11-25 2007-06-14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画質調整方法
JP2009110531A (ja) * 1996-11-22 2009-05-21 Microsoft Corp ウェブ・ブラウザを使用してテレビジョン表示コントロールを調整する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531A (ja) * 1996-11-22 2009-05-21 Microsoft Corp ウェブ・ブラウザを使用してテレビジョン表示コントロールを調整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384974B1 (en) * 2002-06-28 2003-05-22 Seung Hyun Oh Display color correction pattern and display color cor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40103224A (ko) * 2003-05-31 200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표시상태 제어방법
JP2007147828A (ja) * 2005-11-25 2007-06-14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画質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218B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979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0922461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654701B2 (en) Global display management based light modulation
US9230487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8462169B2 (en) Method and system of immersive generation for two-dimension still image and factor dominating method, imag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scaling parameter prediction method for generating immersive sensation
US8289272B2 (en) Control of a display
US20090009525A1 (en) Color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RU24790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CN111064942B (zh) 图像处理方法和设备
KR20070111381A (ko) 화상 보정 회로, 화상 보정 방법, 및 화상 디스플레이
CN111699507A (zh) 改进的高动态范围视频颜色重新映射
US7684638B2 (en) Dynamic image contrast enhancement device
US20200035194A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110068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837009B2 (ja) 液晶表示装置
Huang et al. Image quality evaluation for OLED-based smart-phone displays at various lighting conditions
JP2007336531A (ja) 画像補正回路、画像補正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063394B2 (ja) 画像処理装置
JP4390061B2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35218B1 (ko) 화질 조정 방법
JP2006259250A (ja) 表示装置
KR10024638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색 재현 방법 및 장치
EP3493195A1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valuating the colour output of a display device
JP5314585B2 (ja) 表示装置
JP5476108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