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438A -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438A
KR20110086438A KR1020100006172A KR20100006172A KR20110086438A KR 20110086438 A KR20110086438 A KR 20110086438A KR 1020100006172 A KR1020100006172 A KR 1020100006172A KR 20100006172 A KR20100006172 A KR 20100006172A KR 20110086438 A KR20110086438 A KR 20110086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ice
semi
embossed
gimb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5254B1 (ko
Inventor
안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일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일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일푸드
Priority to KR102010000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2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하부성형틀의 공간부 하측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김밥재료를 넣은 다음 다시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 공간부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를 이룬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밥을 압착시키고 나서 상부성형틀을 상부로 분리하고 하부성형틀에서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김을 말아서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김밥 성형틀(1)에 있어서, 상기 김밥 성형틀(1)은 하단 양측에 받침부(26)와 상부 외측에 플랜지(2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23)와 상기 공간부(23)에 지지턱(24)을 이룬 하측에 반원형부(22)와 상기 반원형부(2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25)를 형성한 하부성형틀(20)과, 상기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3)에 삽입하여 밥을 압착하고 빼낼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측에 플랜지(1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몸체 하단이 내부로 오목한 반원형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부(1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13)를 형성한 상부성형틀(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Roll forming frame and Roll for method manufacturing roll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하부성형틀의 공간부 하측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김밥재료를 넣은 다음 다시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 공간부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를 이룬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밥을 압착시키고 나서 상부성형틀을 상부로 분리하고 하부성형틀에서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김을 말아서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밥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주 먹는 음식 중 하나로서, 밥을 김으로 싸서 만든 것을 말한다.
또한 김밥은 공부하는 학생들이나 직장인들에게 식사 대용 음식으로 각광을 받는 음식이기도 하다.
통상적으로 김밥은 판매자가 주로 김에다 적당량의 밥을 펼쳐놓은 다음 여러 가지 김밥용 반찬재료를 넣고 손으로 둥글게 말아주는 방법으로 둥글게 말린 밥의 중심에 반찬재료가 끼워진 상태로 만든 다음 일정 크기로 썰어서 김밥을 만들고 있으며, 또는 김에다 맨밥이나 볶음밥을 적당량 깔아놓고 둥글게 말아주는 방법으로 김밥을 만들기도 하는데, 맨밥을 김으로 싸서 만든 것이 충무김밥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김밥은 모두 김에다 밥을 적당량 깔아준 다음 김을 원통형으로 둥글게 말아주는 방법으로 제조하게 되므로서 손이 많이 가고 또 단단하게 말아야 하므로 만드는 사람이 힘도 많이 들게 되며, 특히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김밥 제조틀은 성형틀안에 밥을 넣고 압착틀로 압착하였을시 성형틀에 삽입되어 밥을 압착하였던 압착틀이 밥에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성형틀에서 압착틀을 빼내었다 하더라도 압착틀에 의해 압착 성형된 밥이 성형틀 내면에 붙어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실용화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목적은 김밥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성형틀에 밥을 적당량 투입한 다음 상부성형틀로 압착 성형한 후에 상기 상부성형틀을 분리하고 하부성형틀의 하단 양측 분리부를 눌러 하부성형틀에서 롤형상의 밥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의 반원형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를 형성하여 롤형상 밥이 성형틀에 붙지않고 손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한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성형틀의 공간부 하측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김밥재료를 넣은 다음 다시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 공간부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를 이룬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밥을 압착시키고 나서 상부성형틀을 상부로 분리하고 하부성형틀에서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김을 말아서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김밥 성형틀을 이용하여 일반 가정이나 음식 업소에서 김밥을 짧은 시간에 많이 만들 수 있게 하는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에 있어서, 상기 김밥 성형틀은 하단 양측에 받침부와 상부 외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지지턱을 이룬 하측에 반원형부(22)와 상기 반원형부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를 형성한 하부성형틀과, 상기 하부성형틀의 공간부에 삽입하여 밥을 압착하고 빼낼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몸체 하단이 내부로 오목한 반원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부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를 형성한 상부성형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성형틀의 반원형부 바닥에는 양측으로 대향되게 일면은 연결되고 삼면이 절개된 절개부를 이룬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의 하단 중앙과 절개된 끝단에 각각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은 합성수지재로 불투명,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성형틀의 반원형부 내측에 밥 또는 복음밥이 잘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에 다수개의 작은 돌기들이 형성되게 2중으로 엠보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성형틀의 반원형부 내측에 밥 또는 복음밥이 잘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와, 상기 엠보싱부에 다수개의 작은 돌기들이 형성되게 2중으로 엠보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김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단 양측에 받침부와 상부 외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지지턱을 이룬 하측에 반원형부(22)와 상기 반원형부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를 형성한 엠보싱부를 형성한 하부성형틀과, 상기 하부성형틀의 공간부에 삽입하여 밥을 압착하고 빼낼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몸체 하단이 내부로 오목한 반원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부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를 형성한 엠보싱부를 형성한 상부성형틀로 이루어진 김밥 성형틀과,
상기 하부성형틀의 공간부 하측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일정한 두께로 밥을 넣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에 넣은 밥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김밥재료를 넣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에 넣은 김밥재료 위에 다시 밥을 일정한 두께로 넣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 공간부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를 이룬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밥을 압착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을 거쳐 압착된 상부성형틀을 상부로 분리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을 거쳐 하부성형틀에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펼쳐진 김에 올려 놓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을 거쳐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에 김을 말아서 김밥을 만드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을 거쳐 상기 김밥을 먹기좋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김밥 성형틀을 이용하여 김밥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성형틀에 밥을 적당량 투입한 다음 상부성형틀로 압착 성형한 후에 상기 상부성형틀을 분리하고 하부성형틀의 하단 양측 분리부를 눌러주는 작업으로 하부성형틀에서 롤형상의 밥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의 반원형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를 형성하여 롤형상 밥이 성형틀에 붙지않고 손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성형틀의 공간부 하측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김밥재료를 넣은 다음 다시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 공간부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를 이룬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밥을 압착시키고 나서 상부성형틀을 상부로 분리하고 하부성형틀에서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김을 말아서 손쉽게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김밥 성형틀을 이용하여 일반 가정이나 김밥 업소에서 김밥을 짧은 시간에 많이 만들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이 분리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이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에 김밥을 만들기 위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성형틀에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압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김밥 제조과정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이 분리된 분리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성형틀과 상부성형틀이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에 김밥을 만들기 위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성형틀에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압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김밥 제조과정을 나타낸 블럭도 이다.
본 발명은 하부성형틀의 공간부 하측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김밥재료를 넣은 다음 다시 밥이나 볶음밥을 넣고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 공간부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를 이룬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밥을 압착시키고 나서 상부성형틀을 상부로 분리하고 하부성형틀에서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김을 말아서 김밥을 제조할 수 있는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김밥 성형틀(1)에 있어서,
상기 김밥 성형틀(1)은 하단 양측에 받침부(26)와 상부 외측에 플랜지(2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23)와 상기 공간부(23)에 지지턱(24)을 이룬 하측에 반원형부(22)와 상기 반원형부(2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25a)를 형성한 엠보싱부(25)를 형성한 하부성형틀(20)을 구성한다.
상기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3)에 삽입하여 압착하고 빼낼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측에 플랜지(1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몸체 하단이 내부로 오목한 반원형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부(1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13a)를 형성한 엠보싱부(13)를 형성한 상부성형틀(1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하부성형틀(20)의 반원형부(22) 바닥에는 양측으로 대향되게 일면이 연결되고 삼면이 절개된 절개부(29)를 이룬 분리부(27)와 상기 분리부(27)의 하단 중앙과 절개된 끝단에 각각 지지하는 지지돌기(2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분리부(27)은 일체로된 일면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성형틀(20)과 상부성형틀(10)은 합성수지재로 불투명,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성형틀(20)의 반원형부(22) 내측에 밥 또는 복음밥이 잘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25)와, 상기 엠보싱부(25)에 다수개의 작은 돌기(25a)들이 형성되게 2중으로 엠보싱된 것이다.
상기 상부성형틀(10)의 반원형부(12) 내측에 밥 또는 복음밥이 잘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13)와, 상기 엠보싱부(13)에 다수개의 작은 돌기(13a)들이 형성되게 2중으로 엠보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김밥 제조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김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단 양측에 받침부(26)와 상부 외측에 플랜지(2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23)와 상기 공간부(23)에 지지턱(24)을 이룬 하측에 반원형부(22)와 상기 반원형부(2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25a)를 형성한 엠보싱부(25)를 형성한 하부성형틀(20)과, 상기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3)에 삽입하고 빼낼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측에 플랜지(1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몸체 하단이 내부로 오목한 반원형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부(1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13a)를 형성한 엠보싱부(13)를 형성한 상부성형틀(10)로 이루어진 김밥 성형틀(1)과,
상기 하부성형틀의 공간부 하측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일정한 두께로 밥을 넣는 제1과정(S1)과, 상기 제1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에 넣은 밥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김밥재료를 넣는 제2과정(S2)과, 상기 제2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에 넣은 김밥재료 위에 다시 밥을 일정한 두께로 넣는 제3과정(S3)과, 상기 제3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 공간부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를 이룬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밥을 압착시키는 제4과정(S4)과, 상기 제4과정을 거쳐 압착된 상부성형틀을 상부로 분리하는 제5과정(S5)과, 상기 제5과정을 거쳐 하부성형틀에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펼쳐진 김에 올려 놓는 제6과정(S6)과, 상기 제6과정을 거쳐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에 김을 말아서 김밥을 만드는 제7과정(S7)과, 상기 제7과정을 거쳐 상기 김밥을 먹기좋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제8과정(S8)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도 1,4와 같이 하부성형틀(20)과 상부성형틀(1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3) 내부에 밥(또는 볶음밥)을 적당 높이로 채워준다.
그리고 상기 하부성형틀(20)에 넣은 밥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김밥재료를 넣는다.
상기 하부성형틀(20)에 넣은 김밥재료 위에 다시 밥을 일정한 두께로 넣어 채워준다.
상기 하부성형틀(20)의 상부 공간부(23)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12)를 이룬 상부성형틀(10)을 삽입하여 밥을 눌러 압착시키면 밥이 롤형상으로 압착이 된다.
이때 상부성형틀(10)의 하단이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3) 지지턱(24)에 닿게 되면 밥을 누르는 압착이 적당하여 밥이 롤형상으로 압착 적당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밥이 압착되면 상부성형틀(10)을 상부로 분리하고, 하부성형틀(20)에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펼쳐진 김에 올려 놓는다.
이때, 하부성형틀(20)에서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은 반원형부(22)에 돌출된 엠보싱부(25)의 돌기(25a)들에 의해 달라붙지 않고 잘 떨어져 서로 분리가 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혹시 하부성형틀(20)의 반원형부(22)에서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이 압착되어 잘 빠지지 않으면 반원형부(22) 바닥에 양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된 삼면이 절개된 절개부(29)를 이룬 분리부(27)를 내측으로 누르면 반원형부(22)에서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이 손쉽게 빠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에 김을 말아서 김밥을 만들고, 상기 김밥을 먹기좋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김밥 성형틀 10 : 상부성형틀
11 : 플랜지 12 : 반원형부
13 : 엠보싱부 13a : 돌기
20 : 하부성형틀 21 : 플랜지
22 : 반원형부 23 : 공간부
24 : 지지턱 25 : 엠보싱부
25a : 돌기 26 : 받침부
27 : 분리부 28 : 지지돌기
29 : 절개부

Claims (5)

  1. 김밥 성형틀(1)에 있어서,
    상기 김밥 성형틀(1)은 하단 양측에 받침부(26)와 상부 외측에 플랜지(2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23)와 상기 공간부(23)에 지지턱(24)을 이룬 하측에 반원형부(22)와 상기 반원형부(2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25)를 형성한 하부성형틀(20)과,
    상기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3)에 삽입하여 밥을 압착하고 빼낼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측에 플랜지(1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몸체 하단이 내부로 오목한 반원형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부(1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13)를 형성한 상부성형틀(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성형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틀(20)의 반원형부(22) 바닥에는 양측으로 대향되게 일면이 연결되고 삼면이 절개된 절개부(29)를 이룬 분리부(27)와 상기 분리부(27)의 하단 중앙과 절개된 끝단에 각각 지지하는 지지돌기(2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성형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틀(20)과 상부성형틀(10)은 합성수지재로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성형틀.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틀(20)의 반원형부(22) 내측에 밥 또는 복음밥이 잘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25)와, 상기 엠보싱부(25)에 다수개의 작은 돌기(25a)들이 형성되게 2중으로 엠보싱되고, 상기 상부성형틀(10)의 반원형부(12) 내측에 밥 또는 복음밥이 잘 떨어질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반원형으로 돌출되게 엠보싱된 엠보싱부(13)와, 상기 엠보싱부(13)에 다수개의 작은 돌기(13a)들이 형성되게 2중으로 엠보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성형틀.
  5. 김밥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단 양측에 받침부(26)와 상부 외측에 플랜지(2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23)와 상기 공간부(23)에 지지턱(24)을 이룬 하측에 반원형부(22)와 상기 반원형부(2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25a)를 형성한 엠보싱부(25)를 형성한 하부성형틀(20)과, 상기 하부성형틀(20)의 공간부(23)에 삽입하고 빼낼수 있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외측에 플랜지(11)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몸체 하단이 내부로 오목한 반원형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반원형부(1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돌출되게 2중 엠보싱된 돌기(13a)를 형성한 엠보싱부(13)를 형성한 상부성형틀(10)로 이루어진 김밥 성형틀(1)과,
    상기 하부성형틀의 공간부 하측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일정한 두께로 밥을 넣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에 넣은 밥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김밥재료를 넣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에 넣은 김밥재료 위에 다시 밥을 일정한 두께로 넣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거쳐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 공간부에 하측 내부가 반원형부를 이룬 상부성형틀을 삽입하여 밥을 압착시키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을 거쳐 압착된 상부성형틀을 상부로 분리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을 거쳐 하부성형틀에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을 꺼내어 펼쳐진 김에 올려 놓는 제6과정과, 상기 제6과정을 거쳐 롤형상으로 뭉쳐진 밥에 김을 말아서 김밥을 만드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을 거쳐 상기 김밥을 먹기좋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제8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김밥 제조 방법.
KR1020100006172A 2010-01-22 2010-01-22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KR101155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172A KR101155254B1 (ko) 2010-01-22 2010-01-22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172A KR101155254B1 (ko) 2010-01-22 2010-01-22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438A true KR20110086438A (ko) 2011-07-28
KR101155254B1 KR101155254B1 (ko) 2012-06-13

Family

ID=4492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172A KR101155254B1 (ko) 2010-01-22 2010-01-22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41B1 (ko) * 2013-06-20 2015-07-31 삼성웰스토리 주식회사 밥으로 만든 즉석 음식물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10Y1 (ko) * 2003-12-26 2004-04-01 삼해상사주식회사 삼각김밥용 성형틀
KR20060011768A (ko) * 2004-11-03 2006-02-03 조수현 김밥성형틀 및 그를 사용하여 만든 김밥
KR200397652Y1 (ko) * 2005-07-07 2005-10-06 최명환 김밥 제조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254B1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254B1 (ko) 김밥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JP3187074U (ja) 巻き寿司用調理器具
KR200397652Y1 (ko) 김밥 제조틀
JP2013042710A (ja) おにぎり成形器及びおにぎり成形法
CN201770066U (zh) 茶叶包装盒结构
KR101139321B1 (ko) 김밥 제조장치
JP3133881U (ja) 米飯成型器
CN205441238U (zh) 一种新型饺子盒
JP5920800B1 (ja) 蓋部材付ティーバッグ
CN209142604U (zh) 剥药器
CN204368581U (zh) 一种免粘胶的缓冲茶饼包装盒
CN103253456A (zh) 一种自动卫生棉盒
JP3127451U (ja) おにぎりバ−ガ−型枠
CN105193309A (zh) 一种包饺子器
CN210901162U (zh) 蜂巢饼模具
KR20090108218A (ko) 압착된 건조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되는 압착된 건조 물티슈
CN203138191U (zh) 一种挤压器
CN204702000U (zh) 蛋糕盒
CN203593280U (zh) 一种盛装茶叶的圆锥形茶叶盒
KR200227576Y1 (ko) 김밥 성형기
CN204218553U (zh) 一种带牙签的餐具
CN201923500U (zh) 一种鞋盒
CN206494353U (zh) 一种糖果包装结构
CN203844516U (zh) 一种茶叶工艺品
CN204317409U (zh) 一种普洱茶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