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281A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281A
KR20110086281A KR1020100005925A KR20100005925A KR20110086281A KR 20110086281 A KR20110086281 A KR 20110086281A KR 1020100005925 A KR1020100005925 A KR 1020100005925A KR 20100005925 A KR20100005925 A KR 20100005925A KR 20110086281 A KR20110086281 A KR 20110086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ell
getting
passeng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철신
임동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0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6281A/ko
Publication of KR2011008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은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탑승객의 하차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하차벨이 포함된 하차벨 작동유닛;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고, 탑승객으로부터 무선으로 하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차벨이 작동되도록 상기 하차벨 작동유닛을 수신된 하차신호를 전송하는 수신유닛; 상기 고유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주파수 설정이 가능하며, 탑승객에 의해 하차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탑승객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버스의 탑승객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하차벨을 작동시킬 수 있어 탑승객이 버스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도 하차벨을 작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탑승객의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Bus Stop Bell System using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탑승객들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버스에 설치된 하차벨을 작동시키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은 하차벨이 버스 좌우의 내측 벽면 또는 하차 도어 옆쪽의 특정부위나 손잡이용 파이프 등에 설치되어 있고, 버스 내부 벽면 또는 손잡이용 파이프에서부터 운전자의 위치까지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하차벨을 누르면 버스 내부에 부저가 울리면서 운전자는 정류장에 정차를 하여 하차 도어를 열어주게 된다.
이 같은 하차벨은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벨만 눌려도 버스 내 모든 하차벨에 불이 들어오면서 부저가 울리게 되고, 하차 도어가 열릴 때 모든 하차 벨의 불이 꺼지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하차벨 시스템은 탑승객이 하차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차벨을 누르기 위해서는 하차벨이 설치되어 있는 곳까지 이동해야 하는데, 운행중인 버스 내에서 탑승객이 하차벨을 누르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거나 이동하는 과정 중에 많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 또는 장애인 및 짐이 많은 탑승객 등의 경우, 이동중 사고율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출퇴근 시간대의 버스는 매우 혼잡하여 탑승객이 하차해야 하는 시점에 하차벨을 누르지 못하게 되어 하차해야 하는 정류장에서 하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 내 탑승객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하차벨을 작동시킬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탑승객이 버스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도 하차벨을 작동시킬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탑승객이 버스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도 하차벨을 작동시킴으로써 탑승객의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탑승객의 하차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하차벨이 포함된 하차벨 작동유닛;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고, 탑승객으로부터 무선으로 하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차벨이 작동되도록 상기 하차벨 작동유닛을 수신된 하차신호를 전송하는 수신유닛; 상기 고유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주파수 설정이 가능하며, 탑승객에 의해 하차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탑승객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신유닛은 설정된 고유주파수를 버스 승객이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유닛은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설정하는 고유주파수 설정부와,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전송된 하차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하차신호를 상기 하차벨 작동유닛으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탑승객 모바일기기는 탑승객이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설정부와, 탑승객에 의해 하차신호를 전송하도록 마련된 하차신호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유닛은 버스의 천장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버스 내 어느위치에서라도 탑승객이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객 모바일기기로부터 하차신호를 용이하게 전송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의 탑승객의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하차벨을 작동시킬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탑승객이 버스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도 하차벨을 작동시킬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탑승객이 버스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도 하차벨을 작동시킴으로써 탑승객의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의 작동상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100)은 하차벨 작동유닛(10), 수신유닛(20) 및 탑승객 모바일기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차벨 작동유닛(10)은 통상적인 버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차벨 시스템으로서, 하차벨(11), 알림부(12), 하차도어 개폐부(13) 및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차벨(11)은 버스의 내측에 승객에 의해 하차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소정의 버튼(11a)이 구비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하차신호가 인가되면 시각적으로 탑승객에게 하차신호가 인가되었음을 알려주는 램프(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2)는 램프 또는 부저 등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하차벨(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버스운전자의 주변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차벨(10)로부터 하차신호 인가되면, 후술할 제어부(14)를 통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버스운전자에게 하차신호가 인가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하차도어 개폐부(13)는 하차도어 주변에 설치되며, 버스운전자의 제어수단에 의해 하차도어를 개폐하고, 소정의 센서 등을 포함하여 하차도어가 개방되면 하차도어 개방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4)로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4)는 상술한 하차벨(11), 알림부(12) 및 하차도어 개폐부(13)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다수 개의 하차벨(11) 중 어느 하나의 하차벨(11)로부터 하차신호가 인가되면, 전체 하차벨(11)의 램프(11b)를 온(on)상태로 작동시켜 탑승객에게 하차벨(11)이 동작되었음을 인지시킴과 동시에 알림부(12)를 작동시켜 버스운전자에게도 하차벨(11)이 동작되었음을 인지시킨다.
또한, 하차도어 개폐부(13)로부터 하차도어 개방신호가 전송되면, 버스 내 전체 하차벨(11)의 램프(11b)를 오프(off)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탑승객의 하차신호 인가에 따라 하차벨(11) 및 알림부(12)가 작동되면, 버스운전자는 해당 정류장에 정차한 후 소정의 제어수단을 통해 하차도어 개폐부(13)에 개방신호를 전송하여 하차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수신유닛(20)은 고유주파수 설정부(21), 신호처리부(22)를 포함하여 버스 내부에 설치되되, 버스 내 어느 위치로부터 하차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천장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유주파수 설정부(21)는 무선 네트워크(Next Generation Network ; xG Network) 중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주파수 대역에 사용되는 주파수 중의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고유주파수를 탑승객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고유주파수 설정부(21)와 연결되어 고유주파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21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유닛(21A)은 버스 내 모든 탑승객의 위치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처리부(22)는 후술할 사용자 모바일기기(30)로부터 전송되는 하차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안테나를 포함하여 후술할 모바일기기(30)로부터 전송되는 하차신호를 제어부(14)로 전송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모바일기기(30)는 주파수 설정부(31)와 하차신호 전송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설정부(31)는 상술한 고유주파수 설정부(21)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차신호 전송부(32)는 탑승객이 하차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버튼이 포함된 형태로 마련되며, 탑승객이 하차신호 인가시 인가한 하차신호를 수신유닛(20)으로 전송하도록 마련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시스템의 작동도이다.
도 2를 참보하면, 먼저, 버스운전자 또는 버스관리자가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고유주파수 설정부(21)를 통해 설정하면, 탑승객들이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버스 천장 중앙영역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유닛(21A)를 통해 고유주파수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탑승객이 하차하고자 한다면, 디스플레이된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탑승객 모바일기기(30)의 주파수 설정부(31)를 통해 주파수를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와 일치시킨다.
이어, 하차신호 전송부(32)를 통해 하차신호를 전송하면 수신유닛(20)의 신호처리부(22)는 하차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하차신호를 제어부(14)로 전송한다.
제어부(14)는 하차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탑승객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차벨(11)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버스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부(1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버스 내 어느 위치에 있는 탑승객이더라도 사용자의 모바일기기(30)를 이용하여 하차벨(11)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탑승객이 하차벨(11)을 작동시키기 위해 하차벨(11)이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지 않고서도 하차벨(11)을 작동시킬 수 있어 이동 중 발생하는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퇴근 시간대 등의 혼잡한 버스 내에서 탑승객이 하차벨(11)을 작동시키지 못해 하차해야 하는 정류장에서 하차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차벨 작동유닛 11 : 하차벨
12 : 알림부 13 : 하차도어 개폐부
14 : 제어부 20 : 수신유닛
21 : 고유주파수 설정부 22 : 디스플레이부
23 : 송수신부 30 : 모바일기기
31 : 주파수 설정부 32 : 하차신호 전송부

Claims (5)

  1.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탑승객의 하차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하차벨이 포함된 하차벨 작동유닛;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고, 탑승객으로부터 무선으로 하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차벨이 작동되도록 상기 하차벨 작동유닛을 수신된 하차신호를 전송하는 수신유닛;
    상기 고유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주파수 설정이 가능하며, 탑승객에 의해 하차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탑승객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은 설정된 고유주파수를 버스 승객이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은 해당 버스의 고유주파수를 설정하는 고유주파수 설정부와,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전송된 하차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하차신호를 상기 하차벨 작동유닛으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하차벨 작동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객 모바일기기는 탑승객이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는 주파수 설정부와, 탑승객에 의해 하차신호를 전송하도록 마련된 하차신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은 버스의 천장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KR1020100005925A 2010-01-22 2010-01-22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KR20110086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25A KR20110086281A (ko) 2010-01-22 2010-01-22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25A KR20110086281A (ko) 2010-01-22 2010-01-22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81A true KR20110086281A (ko) 2011-07-28

Family

ID=4492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925A KR20110086281A (ko) 2010-01-22 2010-01-22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62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259A (ko) * 2013-12-02 2015-06-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Gps좌표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버스 원격 벨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60059680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모바일을 이용한 버스내 호출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259A (ko) * 2013-12-02 2015-06-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Gps좌표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버스 원격 벨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60059680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모바일을 이용한 버스내 호출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6908B2 (en) Context-aware collision devices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5785298B2 (ja) 関連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への車両相互参照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930155B1 (ko)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JP2023551784A (ja) 車両環境における無線周波数センシング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JP6093096B2 (ja) 両方向信号送受信装置を用いた救助隊員位置追跡装置
KR20110086281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버스 하차벨 작동시스템
JP2017037516A (ja) トンネル内の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トンネル内の非常用設備
JP2007327839A (ja) 移動体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80356514A1 (en) Mobile beacon for locating building occupants
KR102010320B1 (ko)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ES2866425T3 (es) Dispositivo concentrador
JP2015022352A (ja) 車載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JP3189644U (ja) 緊急遠隔通報システム
JP2014152511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50062408A (ko) 스마트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하차벨 시스템 및 그 방법법
JP201612463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20130113093A (ko) 아파트 방화문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09129118A (ja) 位置情報通報システム及び列車内情報通報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KR20130032182A (ko) 무선형 콜부저 시스템
KR100759999B1 (ko) 호 착·발신 및 위치등록 기능을 자동으로 절환하는 장치 및방법
KR101866124B1 (ko) 비화재보 확인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JPH08273070A (ja) 呼び戻し装置
KR100760000B1 (ko) 호 착·발신 및 위치등록 기능을 자동으로 절환하는 장치및 방법
JP2010020369A (ja) 非常連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