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026A - 금속 이온용 용해제 - Google Patents

금속 이온용 용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026A
KR20110086026A KR1020117010448A KR20117010448A KR20110086026A KR 20110086026 A KR20110086026 A KR 20110086026A KR 1020117010448 A KR1020117010448 A KR 1020117010448A KR 20117010448 A KR20117010448 A KR 20117010448A KR 20110086026 A KR20110086026 A KR 2011008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bilizer
present
solubilizers
starch hydrolyzate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975B1 (ko
Inventor
알리레자 하지 베글리
마르크바르트 쿤쯔
크리스틴 크뢰네르
마티아스 모제르
바르트 레벡케
Original Assignee
쥐드주커 아게 만하임/옥센푸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5319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8602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쥐드주커 아게 만하임/옥센푸르트 filed Critical 쥐드주커 아게 만하임/옥센푸르트
Publication of KR2011008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6Hydroxy 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1/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starch
    • C08B31/18Oxidised star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 C08L3/10Oxidised star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해제로서 전분 가수분해물의 산화 산물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및 난용성 금속 화합물용 용해제, 금속 이온의 용해 방법, 그리고 상기 용해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이온용 용해제{SOLUBILIZER FOR METAL IONS}
본 발명은 용해제로서 전분 가수분해물의 산화 산물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및 난용성 금속 화합물을 위한 용해제, 금속 이온의 용해 방법, 그리고 상기 용해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금속염은 난용성 침전을 형성하는 성향으로 인해 여러 화학 및 산업 분야와 다양한 화학 기술 공정에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산업상 관련되는 난용성 금속 화합물은 무엇보다도 산화물, 수산화물, 인산염, 탄산염, 옥살산염, 규산염 및 유사한 화합물이고, 특히 주기율표의 제3 메인 그룹과 1-8 사이드 그룹의 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의 화합물이다. 금속 이온, 특히 난용성 금속 화합물, 예를 들어 난용성 침전을 형성하는 탄산칼슘의 가용화는 산업 공정과 공장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곤란한 금속 화합물의 침전을 방지하는 것은 수용액에서의 작업이 포함되는 공정과 특히 관련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착화합물 또는, 금속 이온을 “차폐(shield off)"하여 금속 화합물을 유지하는 착체 형성제라고도 불리우는 착체 형성 수단이 이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통상적인 약제에는, 예를 들어 EDTA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NTA), 구연산 또는 글루콘산이 있다.
EP 0472 042 A1에서는 칼슘을 격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산화된 글루코사이드 올리고머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Santacesaria et al., Carbohyate Polymers 23 (1994), pp. 35-46에서는 침전 형태를 통해 이들이 C2 및 C3에서 하이드록실기가 산화되는 올리고머라는 것을 보여준다. 산화된 탄수화물의 분산 효과는 보통 C2 및 C3 원자에서의 카복실기와 관련된다. 그러므로 탄수화물 올리고머 베이스의 공지의 착체 형성제는 적어도 C2 및 C3 원자에 카복실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글루콘산 Na과 같은 산화된 탄수화물 베이스의 공지의 착체 형성제는 고도로 농축된 수용액(예를 들어, 40% DM(건조물) 보다 높은)으로부터 용이하게 결정화된다. 불리하게도, 저농축된 용액은 저장 중에 신속하게 부패가 일어난다. 또한, 제품 중 높은 물 함량은 통상 바람직하지 않다. 불리하게도, 이들 제품은 저장 및 수송을 위해 결정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는 사용과 다음 공정을 어렵게 만든다. 한편, 고도로 농축된 저장-안정성 용액/시럽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의 비용-집약적 공정, 예를 들어 이온 교환 또는 전기투석이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진 문제점을 극복한 개선된 용해제를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적 문제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간 처리 또는 공정 없이 직접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용해제를 고도로 농축된 시럽으로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적 문제에 기초하는데, 여기에서 시럽은 바람직하게는 40% DM 이상, 특히 약 60-80% DM으로, 용이하게 저장 가능하고 부패하지 않는다. 더욱이, 시럽은 낮은 온도에서도 결정화되는 경향을 보이지 않아 제품의 저장과 수송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양호한 금속 이온 결합, 즉 난용성 금속 이온 또는 금속 화합물, 특히 칼슘 및 마그네슘 같은 알칼리토금속에 대하여, 매우 높은 pH 값, 특히 약 pH 13 이상에서 양호한 가용화 능력 또는 결합 능력을 보여주는 용해제를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적 문제에 근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염기성 pH 값, 예를 들어 적어도 pH 8에서도, 특히 철 및 가능하게는 제 8 사이드 그룹 및 제 1 내지 제 7 사이드 그룹의 금속 이온을 위한, 양호한 금속 이온 결합을 보여주는 용해제를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적 문제에 근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용해될 난용성 금속 이온 또는 금속 화합물에 대하여 동몰량 보다 적은 양에서, 예를 들어 1 몰 용해제와 2 몰 이상의 금속 화합물의 몰 비에서, 원하는 효과를 보여주고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효한 용해제를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적 문제에 근거한다.
본 발명은 난용성 금속 이온 또는 금속 화합물, 예를 들어 칼슘 및 칼슘 화합물에 대한 개선된 분산 능력을 갖는 용해제를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적 문제에 근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용이하게 생분해되는, 즉 미생물 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무엇보다도 천연 물질 사이클로 되돌아갈 수 있는 용해제를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적 문제에 근거한다.
본 발명은 용해제로서 전분 가수분해물의 C1 선택적 산화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산화 산물 또는 산화 산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및 난용성 금속 화합물을 위한 용해제를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것에 의하여 1차적으로 내재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금속 이온 또는 난용성 금속 화합물의 용해를 위해 사용될 때, 이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특성화되는 산화 산물 또는 산화 산물 혼합물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 수단 또는 용해제는 무엇보다도 산화된 모노머 및 올리고머 탄수화물, 특히 알돈산,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알데하이드 그룹(세미아세탈)이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C1 원자에서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독점적으로 산화되는 것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또는 용해 수단은 다중 산화되지 않으며 필수적으로 일산화되고, 바람직하게는 독점적으로 일산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은 C2 및 C3 원자가 카복실기로 산화되는 모노머 및 올리고머 탄수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변형에서는, 몰 당 C1 위치에서 하나의 카복실기의 형성을 독점적으로 허용하는 특정 촉매 산화 과정이 탄수화물의 산화에 사용되고, 따라서 전분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유도체의 성분; 올리고머의 사슬에서 C2 및 C3 위치 또는 관련된 C2 및 C3 위치에서의 하이드록실 그룹은 탄수화물 분자에서 변화하지 않고 유지된다.
이론에 구애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 산화되는 탄수화물 분자에서 산화되지 않는 다른 하이드록실기는 C1-위치 단일 카복실기의 양이온-결합 및 용해 작용을 보조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디- 및 올리고사카라이드의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부가적 효과는 이들 사카라이드 분자에서 많은 카복실기의 존재만이 착체 형성시 금속 이온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는 앞서의 생각에 반하여 발견되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를 확고히 하는 기술적 이점의 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온의 용해를 중개하는 약제 또는 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용해와 관련하여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산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용해제로서 사용되는 산화 산물 또는 산화 산물 혼합물은 놀랍게도 고도로 농축된, 60-80% DM, 통상적으로 70% DM의 시럽 형태로 생산, 저장, 수송 및 처리될 수 있는데, 이 산물에서는 결정화되는 불리한 성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난용성 금속 화합물의 침전을 용해시키거나 이러한 침전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또는 용해 수단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약제의 바람직한 사용 영역은 세제 조성물로서,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또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 성분과 함께, 임의로 알칼리화제,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및 다른 임의의 보조 성분과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조성물에서는, 특히 계면활성제 성분 및 알칼리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상승 효과가 일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적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특정 적용 및 사용이 이하에서 기술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놀랍게도 일차적으로 독점적으로 C1 원자에서 산화되는 탄수화물 또는 탄수화물 화합물이 개선된 용해제로서 적절하다는 것, 즉 보다 양호한 용해제로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특히 높거나 매우 높은 pH 값을 갖는 수용액, 따라서 매우 알칼리성인, 특히 수용액에서 금속 이온 및 난용성 금속 이온 화합물, 무엇보다도 알칼리토금속을 용액 중에 유지시키는 데 적합하다고 밝혀졌다. 높은 pH 값은 pH 11 이상의 범위인 것으로 이해되며, 매우 높은 pH는 pH 13 이상의 범위인 것으로 이해된다. 철 및 제8 사이드 그룹과 제1 내지 제7 사이드 그룹의 다른 사이드 그룹 금속의 경우, 본 발명은 또한 pH 8-10 범위, 특히 약 pH 8 또는 9의 pH 값에서의 용도를 바람직하게 제공하는데, 특히 강한 용해 효과가 그 범위에서 발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놀랍게도 금속 이온 및 난용성 금속 화합물을 용액 중에 유지하거나 용액 중에 넣어서 존재하는 침전 또는 침착을 재용해시키는 특성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에서 특히 고도로 현저한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비교되는 물질 그룹, 즉 산화된 탄수화물, 특히 글루콘산 또는 글루코네이트 및 락토비온산 또는 락토비오네이트를 갖는 다른 약제와 비교하여 특이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놀랍게도 폴리카복실 화합물, 예를 들어 다중산화된 올리고사카라이드 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특히 공지의 산화된 탄수화물과 같은 착체 형성제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소위 용해제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이는 격리제 및 분산제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관련되거나 유도된 효과를 포함한다. 사용 영역, 농축율 및 다른 조건에 따른 각각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기능 방식이나, 한 가지 또는 다른 효과가 우세할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이온 또는 금속 화합물의 효과적인 용해에는 본 용해제의 소량만이, 특히 금속 이온에 대하여 동몰량 보다 적은 양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금속 이온 및 난용성 금속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용해되거나 용액 중에 유지될 금속 이온의 양에 비하여) 매우 소량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1몰로는 적어도 2몰 이상 및 특히 3몰 이상의 금속 이온, 예를 들어 칼슘 이온 또는 난용성 금속 화합물, 예를 들어 탄산칼슘이 용해, 즉 용액 중에 유지되거나 용액으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에서, 용해제는 1:2 이상,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용해제 대 금속 화합물)의 몰비율로 사용된다.
이론에 구애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격리제로서, 단독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분산제로서, 및/또는 착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용해제는 그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데, 즉 특히 수용액에서, 난용성 금속 화합물의 형태인 금속 이온을 용액 중에 유지시키고 이에 따라 침전을 방지하거나 저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해(solubilization)"는 난용성 금속 화합물 및 특히 금속염을 용액으로 만들고 용액 중에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화학적 작용 양식, 따라서 용해제가 용액으로 유지하고 만드는 형태 및 방식은, 본 발명에 따라 이론으로 알려진 단일 메카니즘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본 용해제는 바람직하게는 독점적으로 격리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격리제(sequestering agent)"는 상호작용을 통해 이온의 특성, 특히 용해도를 변화시키는 물질 또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본 용해제는 바람직하게는 독점적으로 분산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분산제(dispersing agent)"의 특징은 그 침전이 저해되는 금속 이온에 대하여 동몰량 보다 훨씬 낮은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1몰로 금속 이온 또는 금속 화합물 적어도 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몰 이상, 가능하게는 4몰 이상이 용해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금속 화합물과 본 발명에 따른 약제/용해제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항상 1:1 보다 높고, 특히 2: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1 이상이다.
이론에 구애되지 않고, 착체-형성제로도 불리우는 착제는 침전이 방지되는 금속 이온에 대하여 적어도 동몰량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독점적으로 착제로서 작용한다. 용액 중의 금속 이온 전부를 착체로 만들기 위해, 금속 화합물과 본 발명에 따른 약제/용해제의 비율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양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전분 가수분해물로부터 얻어진다. 전분 가수분해물, 예를 들어 포도당 시럽은 실질적으로 공지의 방법으로 얻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분 가수분해물은 소위 말하는 테크니컬 포도당 시럽(technical glucose syrups) 또는 콘 시럽(corn syrups) 또는 소위 말하는 말토덱스트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전분 가수분해물(starch hydrolyzates)"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포도당, 말토스 및 올리고머 글루코스 화합물을 갖는 혼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전분 가수분해물은 DP2 내지 DP4의 중합도(DP, degree of polymerization)를 갖는 디- 또는 올리고머 화합물의 적어도 5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wt%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wt% 이상의 함량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분 가수분해물은 DP2 내지 DP4의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DP2의 화합물 10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wt% 이상, 85 wt% 이상의 함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분 가수분해물은 DP2의 화합물 90 wt%까지, 바람직하게는 95 wt%까지의 함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분 가수분해물은 DP2 화합물 5-90 wt%, 또는 10-85 wt%의 함량을 갖는다. 전분 가수분해물에서 나머지는 DP1, 즉 무엇보다도 전부 포도당이고, 가능하게는 DP3 또는 DP4 이상의 다른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한 변형에서, 전분 가수분해물은 DP2 및 DP3 화합물을 85 wt% 이하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테크니컬 포도당 시럽의 형태인 전분 가수분해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DE(dextrose equivalent) 40을 갖고, DE 50 내지 DE 6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DE 50 내지 DE 55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전분 가수분해물의 다른 변형에서 DE는 90 이상이다.
상기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정의된 전분 가수분해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수단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직접 산화, 즉 바람직한 촉매적 C1-선택적 산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경우 전분 가수분해물 또는 전분 가수분해물 조성물의 분자는, 1급 말단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알데하이드 그룹을 갖는 분자의 관련된 제1 아노머 C 원자에서, 즉 C1 위치의 원자에서 산 그룹/카복실 그룹으로 산화된다.
그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C1-산화된 모노카복실화된 탄수화물의 조성물 또는 혼합물이 산화 산물로서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알돈산 조성물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 산물은 바람직하게는 80 wt%, 특히 90 wt%, 특히 95 wt% 보다 많은 모노카복실화된 단당류 또는 다당류 및/또는 알돈산을 갖는다.
다른 변형에서는, 가능하게는 오염원을 갖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물질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약제를 생산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DE 103 19 917 A1 및 DE 10 2005 036 890 A1으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그 내용은 본 출원에 전체적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제조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특히 수용액에서의 전분 가수분해물이 지지체, 특히 탄소 지지체나 금속 산화물 지지체에 나노분산 금 입자를 포함하는 금 촉매 및 산소의 존재 중에 반응을 받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특히 전분 가수분해물의 알데하이드 그룹이 선택적으로 카복실 그룹으로 산화될 수 있다. 금 촉매의 금속 산화물 지지체는, 예를 들어 TiO2 지지체 또는 Al2O3 지지체가 될 수 있다. 지지된 금 촉매는, 예를 들어 약 0.1-5% 금, 바람직하게는 약 0.5-1% 금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는 pH 7-11 및 20-140 ℃, 바람직하게는 40-90 ℃의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산화는, 예를 들어 1-25 bar의 압력에서 실시될 수 있다. 공정 중 산소 및/또는 공기는, 예를 들어 산화 중에 전분 가수분해물을 통하는 기포로 될 수 있다. 공정 중 전분 가수분해물의 양과 금속 산화물 지지체에 포함되는 금의 양 사이의 비율은, 예를 들어 100 보다 클 수 있다.
전분 가수분해물의 선택적 산화를 위한 이와 같은 하나의 촉매는, 이러한 제조 공정으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초기 습윤(incipient wetness)" 공정에서 지지체를 산 금염화산 전구체 용액의 수용액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함침된 촉매 전구체는 다음에, 특히 실온과 동등하거나 이보다 높은 온도, 바람직하게는 60-200 ℃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60-100 ℃에서 건조된다. 다음에 이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건조 형태로 사용 가능하게 만들고, 금염화금 전구체 수용액의 용적은, 특히 최대로 지지체의 기공 용적에 대응한다. 금염화금 전구체 수용액을 건조 지지체로, 예를 들어 단계적으로, 지지체가 더 이상 용액을 흡수하지 않는 용적까지 가한다. 금염화산 전구체 수용액은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산과 조합된 0.1 몰/L 내지 12 몰/L, 바람직하게는 1-4 몰/L 농도인 염산 수용액의 HAuCl4 용액일 수 있다. 다른 촉매 전구체의 환원 단계는, 특히 250 ℃와 동등하거나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소 기류 중에, 또는 액상 환원으로서 실시될 수 있다. 환원은 이 경우 10-300 분, 바람직하게는 80-120 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수소의 기류는 5-15 vol%, 바람직하게는 10 vol%의 수소 농도를 가질 수 있고, 임의로 불활성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 및/또는 금염화산 전구체에 알칼리금속의 산화물, 알칼리토금속 및 희토류금속 중에서 선택된 추가의 도핑 첨가체를, 바람직하게는 0.01-1 wt%의 양으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용해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사용을 통해 내재된 산업적 문제를 해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사용은 극성 프로톤 용매 중에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중에서 일어난다.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은 이러한 금속 이온의 격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은 이러한 금속 화합물의 착체 형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금속 화합물을 위한 용해제의 사용으로, 약제는 이를 포함하거나 이로서 구성되는 전분 가수분해물의 C1-선택적 산화로부터 생산되거나 생산될 수 있는 산화 산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중합도 DP2 내지 DP3, 바람직하게는 DP2의 올리고머 화합물을 5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wt%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wt% 이상, 특히 85 wt%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화 산물은 DP2 내지 DP3, 바람직하게는 DP2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5-90 wt%, 또는 바람직하게는 10-85 wt%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용해제는 산업용 전분 가수분해물로부터 직접 얻어지지 않고, 90 wt% 보다 많은 C1-선택적으로 가수분해된 탄수화물, 특히 C1-선택적으로 산화된 알도스를 포함하거나 이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용해제는 금속 화합물, 특히 이- 또는 삼가 금속 양이온의 용해에 사용된다. 원소 주기율표의 제2 또는 제3 메인 그룹 및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및 제8 사이드 그룹의 금속, 특히 이들로부터 난용성 금속 화합물이 형성되는 금속의 금속 화합물 및 금속 이온의 용해가 달성될 것이다. 이들 금속은 특히 칼슘, 마그네슘, 망간, 동, 철, 아연, 니켈, 크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난용성(sparingly soluble)”은 용매, 특히 극성, 특히 프로톤 용매, 특히 물(H2O) 중에서 단지 소량만이 용해되는 금속 화합물의 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여기에서 “용액(solution)”은 용매 및 용해된 분자의 균일질 혼합물 또는 단일-상 균일질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용성 금속 화합물은 용매 L 당 1 g 이하(100 ㎎/L 이하) 및 특히 1 ㎎/L 이하의 용해성을 갖는다. 물론, 용해성은 온도, pH, 압력 및 용액 중 다른 이온의 존재와 같은 요인에 의존하고 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난용성 금속 화합물에의 사용과관련된다: 탄산염, 인산염, 황산염, 황화물, 수산화물, 산화물, 할로겐염(특히 염화물 및 브롬화물), 그리고 유기산, 카복실산의 화합물 및/또는 옥살산, 비누(석회 비누) 및 에탄올레이트와 같은 알콜 화합물 뿐 아니라 펙틴산염과 같은 유기 폴리머 화합물.
특히 바람직하게, 본 용해제는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및 인산칼슘과 같은 칼슘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용해제는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 황산마그네슘과 같은 마그네슘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용해제는 이산화망간/산화망간 및 수산화망간과 같은 망간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용해제는 수산화동 및 탄산동과 같은 동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용해제는 수산화철 및 탄산철과 같은 철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용해제는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알루미늄 화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용해제는 난용성 화합물로서 금속 이온의 침전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다른 바람직한 변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또는 수단은 이러한 난용성 금속 화합물의 침전 또는 침착을 방지하거나 용해시키도록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용해제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또는 적어도 대체물로서 염,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염,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의 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해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유일한 용해제로서 산화 산물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바람직하게는 이- 및 삼가 금속 양이온을 위한 용해제이다. 11 이상의 높은 pH 값, 특히 pH 12, 정말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pH 13 이상에서 제2 메인 그룹의 금속, 특히 칼슘 이온 및/또는 마그네슘 이온의 금속 화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또는 pH 8 이상, 특히 pH 8-9에서 사이드 그룹 금속, 특히 철 및 제8 사이드 그룹 및 제1 내지 제7 사이드 그룹의 다른 금속의 금속 화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용해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산화 산물의 알칼리금속염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및 난용성 금속 화합물, 특히 수용액에서 난용성 침전 또는 침착을 형성하는 것의 용해 방법을 사용 가능하게 만드는 것에 의해 내재하는 산업상 문제를 해결한다: 본 약제 또는 용해제를 적어도 하나의 금속 이온 및 적어도 하나의 용해제 분자로부터 쉽게 용해되는 유닛, 예를 들어 착체의 형성을 가능하게 만드는 조건 하에서 접촉시키는 것.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쉽게 용해되는 유닛은 하나 이상의 금속 이온 및 하나의 용해제 분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침전-저해 유닛은 적어도 2 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개의 금속 이온 및 하나의 용해제 분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극성 프로톤 용매의 용액에서, 특히 수용액에서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염기성 pH 값(21 ℃, 표준 조건 하에서 측정된)에서 실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본 방법은 pH 8 이상에서, 다른 변형에서는 pH 11 이상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pH 12 이상에서, 특히 pH 13 이상에서 실시된다. 최적 용해 효과는 pH 8-9에서 사이드 그룹 금속(제1 부터 제8 사이드 그룹), 특히 철의 금속 화합물에 대한 첫 번째 변형에서 존재하고; 다른 변형에서 특히 알칼리토금속, 특히 칼슘 및 마그네슘에 대한 최적은 pH 13-14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염기성 세제 용액, 특히 염기성 산업용 세제 용액에서 금속 화합물을 위한 용해제로서, 조성물 중 최종 사용자에 의해 중화될 수 있는 산 또는 염으로서, 매우 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놀랍게도 NTA 및 EDTA와 같은 전통적인 약제 보다 나은 대체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용도 중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수산화나트륨, 규산나트륨, 인산염 및/또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다른 성분과의 액체 혼합물로 사용된다. 이론에 구애되지 않고, 계면활성제 성분, 알칼리 및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상승 효과가 야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생분해 가능한 용해제로서의 용도이다.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약제가 그 화학적 구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알려진 분해 경로 및 대사 공정으로, 특히 미생물 효소 활동을 통해 특히 용이하게 분해 가능(decomposable 및 degradable)하고, 무엇보다도 유해 화합물이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가 높은 환경 친화성, 특히 생분해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공정에서 사용될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석회/석회 스파(lime spar), 칼사이트, 돌로마이트, 보일러 스케일 및 탄산염과 칼슘 비누의 혼합물과 같은 난용성 칼슘 화합물뿐만 아니라 난용성 마그네슘 화합물의 용해 및/또는 침전 방지를 위한 용해제의 용도이다. 수용액에서 칼슘과 마그네슘의 존재는 기본적으로 침착, 소위 말하는 석회 침착 형성의 높은 위험이 존재하는데, 이들 금속 이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난용성 화합물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임의로 계면활성제, 알칼리, 규산염,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또는 인산염과 조합하여, 세제 및 세척 약제를 위한 형성제(builder)로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표면의 습윤을 증진시키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임의로 설팜산과 조합하여, 침착으로부터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임의로 탄산나트륨 및 이의 수화물과 같은 알칼리와 조합하여, 주형 표면의 세척을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유리 제조에 사용되는 주형을 세척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는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유리 제조에 사용되는 주형은 녹, 규산염 및 탄산염의 침착을 방지하기 위해 규칙적인 세척이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용해제가 이 목적을 위해 50-100 g/L의 농도로 세척제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세척 용액은 추가로 약 200 g 소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콘크리트 침착 및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산업용 플랜트 또는 기계에서 침착 및 필름을 처리 또는 방지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녹 침착 및 오염을 처리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염료 침착 및 오염을 처리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황산칼슘 침착을 처리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금속 표면의 그리스를 제거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임의로 탄산염 및 수산화물과 같은 알칼리와 조합하여, 그리스를 제거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금속 표면의 그리스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는, 금속 표면에 난용성 염의 재침착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를 그리스 제거 용액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기도금에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전기도금에서 침착과 필름을 제거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는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식기세척용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식기세척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산업용 식기세척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본 용해제는 식기세척용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고형, 특히 분말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산업용 식기세척에 사용되는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더 알칼리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경질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바닥 또는 공작물 표면과 같은 경질 표면의 세척은 활성 약제가 농축된 형태인 세척 용액을 요구한다. 세척 용액은 금속 및 유기 물질의 잔사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사용은, 낮은 결정화 경향으로 인해, 특히 용해제가 보다 고도로 농축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 액체 제형에서 유리한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유리제품의 세척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사용은 유리제품 세척에 유리한데, 본 용해제가 쉽게 생분해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알칼리성 매질에서 사용될 때 매우 효과적이고 가수분해에 저항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사용은 침착과 필름의 형성을 방지하고 병목의 효과적인 세척을 유도한다. 또한, 세척 기구, 세탁기 및 세제 용기에서의 석회 침착과 보일러 스케일의 형성이 방지된다. 또한, 알루미늄 마개를 갖는 유리 제품 세척시 세척 시스템에서의 수산화알루미늄 침착의 형성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낮은 독성으로 인해 헹굼 과정이 보다 간단하고 짧기 때문에 비용과 자원, 특히 물이 절약될 수 있다. 놀랍게도, 잉크 제거의 개선도 보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식품 공장에서 기계 및 장치의 세척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예를 들어 낙농 산업에서 필터, 특히 한외여과 멤브레인을 세척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한외여과는 낙농 산업에서 우유 및 락토세럼(lactoserum)의 거대분자를 제거 및 농축하기 위한 매우 통상적인 분리 기술이다. 사용되는 멤브레인은 충분한 선택성과 투과성을 보장하고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규칙적인 세척을 필요로 한다.
본 용해제를 필터 세척에 사용할 때, 본 용해제는 바람직하게는 EDTA와 같은 다른 격리제를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세척 용액의 EDTA 농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사용을 통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맥주 제조시 침착을 방지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양조 산업에서는 불충분한 세척이 미생물의 성장과 칼슘 침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 특히 맥주의 풍미와 향의 열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설팜산과 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를 사용한 세척에 의해 방지될 수 있는데, 칼슘 침착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제지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제지용 기계의 세척을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생산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염료 생산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연마 또는 분쇄에서 첨가제로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식품에서 미량 원소의 용해를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미량 원소인 바륨, 망간, 동 및/또는 몰리브덴의 용해는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제조에서 알루민산나트륨의 안정화를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에칭 공정에서 수산화알루미늄 및 유사 화합물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직물 산업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실 및 방적사의 제조에서 본 용해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직물용 세척제 조성물 성분으로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직물용 표백제 조성물 성분으로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직물용 염색제 조성물 성분으로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콘크리트의 세팅을 지연시키기 위한 상기 주장 중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시멘트 또는 몰탈의 세팅을 지연시키기 위한 상기 주장 중 하나를 특징으로 하는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시멘트, 특히 천공, 예를 들어 오일 시추공에 사용되는 시멘트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세척 또는 세제 용액에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를 바람직하게는 유일한 용해제로서 포함하는 세척 또는 세제 용액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사진 및 필름의 현상액조 성분으로서의 본 용해제의 용도이다.
본 분야의 당업자라면 세척 용액으로 사용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양을 실질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문제 없이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용해제는 세척 용액 중에 2 wt%에서 100 wt%까지의 양으로 사용된다. 용도에 따라 각각의 경우, 본 용해제는 세척 용액 중에, 예를 들어 5 wt%까지, 7 wt%까지, 10-20 wt%까지, 특히 13 wt%까지, 또는 25 wt%까지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사용은, 낮은 결정화 경향으로 인해, 특히 본 용해제가 보다 높은 농도로 사용될 수 있는 액제 제형에서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용도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본 용해제가 pH 8 이상으로 시작되는 알칼리성 (수성) 용액에서 사용될 것을 제공하고; 바람직하게는 본 용해제는 pH 11 이상으로 시작되는 알칼리성 수용액에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본 용해제는 pH 12 이상,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으로 시작되어 사용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용해제는 pH 13.5 또는 14 이상으로 시작되는 높은 알칼리성 (수성) 용액에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시럽의 형태 또는 보통 액체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 태양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도 1은 고도로 염기성인 수용액 중에서 EDTA, NTA 및 글루코네이트와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탄산칼슘 분산능을 보여준다.
도 2는 고도로 염기성인 수용액 중에서 EDTA 및 글루코네이트와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4 가지 다른 용해제의 탄산칼슘 분산능을 보여준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제조( Sol . D)
시판되는 테크니컬 전분 가수분해물의 용액을 교반 용기에서 Al2O3-지지된 금 촉매 상에서 산화시켰다.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T=40-80 ℃, pH=7-11, p=1-25 bar O2. 반응 현탁액의 pH는 수산화나트륨 적정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반응은 완전 전환까지 실시하였다. 반응 종결시 촉매를 여과로 분리하였다. 형성된 산화된 시럽은 적절한 단순 공정(탈수)에 의해 더 이상의 정제 없이 농축되고(65-75% DM) 저장 가능한 용해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탄산칼슘 분산능의 비교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탄산칼슘 분산능(CCDC; calcium carbonate dispersing capacity)을 선행기술 용해제의 CCDC와 비교하였다. 덱스트로스 당량(DE; dextrose equivalent) 55-60 및 90 wt% DP2 화합물을 갖는 전분 가수분해물의 산화로부터 얻어진 선택적으로 C1-산화된 산물(Sol. A)을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로 사용하였다.
덱스트로스 당량(DE)은 조성물의 환원 분율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특히 Fehling에 따라, 측정하였다.
CCDC는 EDTA, NTA 및 Na 글루코네이트의 것과 비교하였다. CCDC 값은 F. Richter 및 E. W. Winkler(Calcium Binding Capacity, Tenside Surfactants Detergents 24 (1987), pp. 213-216)에 따라 측정하였다. CCDC는 0.5, 1, 1.5, 2, 2.5 및 3%의 NaOH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글루코네이트와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CCDC의 명확한 pH 의존성을 보여주지만,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의 효과는 매우 염기성인 용액에서 글루코네이트 보다 강하고 또한 EDTA 및 NTA의 경우 보다 더 강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용해제의 탄산칼슘 분산능의 비교 측정
실시예 2의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Sol. A)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3 가지 다른 용해제(Sol. B, Sol. C 및 Sol. D)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다른 DE 값과 DP2 및 DP3 함량을 갖는 전분 가수분해물을 실시예 1에 따라 산화시켰다.
Sol. B는 DP2 함량 5 % 및 약 95의 덱스트로스 당량(DE)을 갖는 전분 가수분해물로부터 제조되었다. Sol. C는 DP2 함량 40-46 % 및 DE 40-45의 전분 가수분해물로부터 제조되었다. Sol. D는 DP2 함량 70-80 % 및 약 DE 약 50-55의 전분 가수분해물로부터 제조되었다.
Sol. A, B, C 및 D의 CCDC를 글루코네이트 및 EDTA와 비교하였다. CCDC 값은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측정하였다. CCDC 값은 NaOH 농도 1, 2 및 3%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는 적어도 글루코네이트와 동등하게 양호한 CCDC를 보여준다. Sol. A, Sol. C 및 Sol. D는 세 가지 모든 측정 포인트에서 글루코네이트 보다 현저하게 양호한 CCDC를 보여준다.
실시예 4: 병 세척용 세제 용액
산업용 병 세척을 위한 세제 용액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40-70 wt%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10-20 wt%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10 wt%
-메타규산나트륨: 10-25 wt%
-삼인산나트륨 또는 폴리인산염: 5-10 wt%
실시예 5: 산업용 식기 세척용 세제 용액
a) 산업용 식기 세척을 위한 분말 세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질 수 있다:
-계면활성제: 3 wt%
-인산염: 50 wt%
-메타규산나트륨·5H2O: 25 wt%
-수산화나트륨: 15 wt%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5 wt%
-디클로로이소시아누레이트나트륨: 2 wt%
b) 산업용 식기 세척을 위한 액체 용액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물: 59 wt%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13 wt%
-수산화칼륨: 21 wt%
-메타규산나트륨·5H2O: 4 wt%
-탄산나트륨: 2 wt%
-차아염화나트륨: 1 wt%
실시예 6: 한외여과 멤브레인 세척용 조성물
예를 들어, 다음 조성물이 한외여과 멤브레인의 세척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49 wt%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25 wt%
-EDTA의 이나트륨염: 24 wt%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 wt%
이 조성물은 세제 용액에서, 예를 들어 10 g/L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7: 금속 표면의 화학적 그리스 제거용 조성물
여러 가지 조성물이 각각의 경우 세척될 금속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그리스 제거용 용액은, 예를 들어 아연 합금에서는 60 ℃, 철과 동 합금의 경우에는 75 ℃의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 데이터는 그리스 제거 용액 리터 당 물질의 그램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물은 용매로서 사용된다.
동 합금 아연 합금
수산화나트륨 40 15 8
탄산나트륨 15 5 8
오르토인산나트륨 15 5 10
붕사(borax) - - 5
본 발명에 따른 용해제 20 25 20
음이온 계면활성제 0.3 0.3 0.3

Claims (27)

  1. 전분 가수분해물의 C1 선택적 산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산화 산물을 용해제로 포함하는 난용성 금속 화합물용 용해제로서, 전분 가수분해물은 DP2 내지 DP4의 화합물 5 wt% 이상의 함량을 갖는 용해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분 가수분해물은 DP2 내지 DP4의 화합물 10-85 wt%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분 가수분해물은 DE 50 내지 DE 55 범위의 덱스트로스 당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90 wt% 보다 많은 모노카복실화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해제는 마그네슘, 망간, 칼슘, 동, 철, 아연, 니켈, 크롬 및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이- 또는 삼가 금속 양이온의 난용성 금속 화합물의 용해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제.
  6.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이온의 용해 방법: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를, 적어도 하나의 금속 이온과 적어도 하나의 용해제 분자의 복합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 하에서 접촉시키는 것.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금속 이온의 착체 형성을 위한 용도.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생물학적으로 용이하게 분해 가능한 용해제로서의 용도.
  9. 임의로 계면활성제, 알칼리, 규산염,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또는 인산염과 조합하여, 세제 및 세척 약제의 형성제(builder)로서의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용도.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표면의 습윤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
  11. 임의로 설팜산과 조합하여, 미생물의 층을 제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용도.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산업용 플랜트 또는 기계에서 잔사 및 침착을 제거 또는 방지하기 위한 용도.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식기 세척, 특히 산업용 식기 세척에서의 용도.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식기세척용 조성물의 성분으로서의 용도.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유리병 세척에서의 용도.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전기도금에서의 용도.
  17.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전기도금조에서 잔사 및 침착을 제거 또는 방지하기 위한 용도.
  18. 임의로 탄산염 및 수산화물과 조합하여, 그리스 제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용도.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콘크리트 침착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
  20.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직물용 세척제 조성물 성분으로서의 용도.
  21.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직물용 표백제 조성물 성분으로서의 용도.
  22.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직물용 염료 조성물 성분으로서의 용도.
  23. 임의로 탄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및 이의 수화물과 조합하여, 주형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용도.
  24.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콘크리트의 세팅을 지연시키기 위한 용도.
  25. 제 8 항 내지 제 24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도에 있어서, pH 8 이상으로 시작하는 약 알칼리 수용액에서의 용도.
  2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용해제의, 사진 및 필름의 현상액조 성분으로서의 용도.
  27.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난용성 금속 화합물용 용해제의 제조 방법:
    - DP2 및 DP4의 화합물 함량 5 wt% 이상의 전분 가수분해물 또는 전분 가수분해물 조성물을 사용 가능하게 하고,
    - 전분 가수분해물 또는 전분 가수분해물 조성물의 촉매적 산화로 전분 가수분해물의 최소 하나의 탄수화물의 C1-위치 C 원자가 단독으로 산화되는 것.
KR1020117010448A 2008-10-20 2009-10-19 금속 이온용 용해제 KR101595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3607A DE102008053607A1 (de) 2008-10-20 2008-10-20 Solubilisierungsmittel für Metallionen
DE102008053607.5 2008-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026A true KR20110086026A (ko) 2011-07-27
KR101595975B1 KR101595975B1 (ko) 2016-02-19

Family

ID=4153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448A KR101595975B1 (ko) 2008-10-20 2009-10-19 금속 이온용 용해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729008B2 (ko)
EP (1) EP2350248B1 (ko)
JP (1) JP5689419B2 (ko)
KR (1) KR101595975B1 (ko)
CN (1) CN102186961B (ko)
BR (1) BRPI0920146B1 (ko)
DE (1) DE102008053607A1 (ko)
EA (1) EA022738B1 (ko)
ES (1) ES2627354T3 (ko)
IL (1) IL212388A (ko)
WO (1) WO2010046070A1 (ko)
ZA (1) ZA2011033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5971A (ja) * 2011-09-30 2013-04-25 Yuken Industry Co Ltd 洗浄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92843A1 (en) 2012-08-03 2014-02-05 Tiense Suikerraffinaderij N.V. Use of C1-oxidised starch hydrolysates
US11618696B2 (en) 2013-08-15 2023-04-04 Applied Silver, Inc. Antimicrobial batch dilution system
US10640403B2 (en) 2013-08-15 2020-05-05 Applied Silver, Inc. Antimicrobial batch dilution system
US10000881B2 (en) 2013-12-06 2018-06-19 Applied Silver, Inc. Method for antimicrobial fabric application
US20170050870A1 (en) 2015-08-21 2017-02-23 Applied Silver,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Treating Textiles With An Antimicrobial Agent
CN109414020A (zh) 2016-05-12 2019-03-01 应用银股份有限公司 将金属离子分配到洗涤系统中的制品和方法
WO2018081774A1 (en) 2016-10-31 2018-05-03 Applied Silver, Inc. Dispensing of metal ions into batch laundry washers and dryers
US20200123700A1 (en) 2017-03-01 2020-04-23 Applied Silver,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treating textiles with an antimicrobial ag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2202A2 (fr) * 1986-01-30 1987-08-12 Roquette FrÀ¨res Procédé d'oxydation de di-, tri-, oligo- et polysaccharides en acides polyhydroxycarboxyliques, catalyseur mis en oeuvre et produits ainsi obtenus
EP0472042A1 (en) * 1990-08-13 1992-02-26 NOVAMONT S.p.A. Calcium-sequestering agents based on oxidised carbohydrates and their use as builders for detergen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1741A (en) * 1964-01-06 1968-01-02 Ashland Oil Inc Oxidation of starch subsequent to the oxidation of divalent lead to tetravalent leadwith ozone
CA964216A (en) 1969-05-19 1975-03-11 Lyckeby Starkelseforadling Ab Modified saccharide materials
JPS6092239A (ja) * 1983-10-24 1985-05-23 Kawaken Fine Chem Co Ltd グルコン酸の製造方法
IT1245063B (it) 1991-04-12 1994-09-13 Ferruzzi Ricerca & Tec Procedimento per l'ossidazione di carboidrati
FR2675514A1 (fr) * 1991-04-22 1992-10-23 Roquette Freres Produit de lavage a teneur reduite ou nulle en zeolithe.
FR2722200B1 (fr) 1994-07-06 1996-10-11 Roquette Freres Procede ameliore de degradation oxydative alcaline des sucres reducteurs et nouveaux produits ainsi obtenus
DE19600018A1 (de) * 1996-01-03 1997-07-10 Henkel Kgaa Waschmittel mit bestimmten oxidierten Oligosacchariden
EP0892041A1 (en) * 1997-07-15 1999-01-20 Instituut Voor Agrotechnologisch Onderzoek (Ato-Dlo) Use of oxidised polysaccharides in detergent compositions
DE10112136A1 (de) * 2001-03-14 2002-10-02 Henkel Kgaa Verhinderung von Textilschäden beim Waschen
DE10319917B4 (de) 2003-05-05 2009-01-02 Südzucker AG Mannheim/Ochsenfurt Verfahren zur selektiven Kohlenhydrat-Oxidation unter Verwendung geträgerter Gold-Katalysatoren
DE102005036890A1 (de) * 2005-08-05 2007-02-08 Südzucker AG Mannheim/Ochsenfurt Geträgerter Goldkatalys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2202A2 (fr) * 1986-01-30 1987-08-12 Roquette FrÀ¨res Procédé d'oxydation de di-, tri-, oligo- et polysaccharides en acides polyhydroxycarboxyliques, catalyseur mis en oeuvre et produits ainsi obtenus
EP0472042A1 (en) * 1990-08-13 1992-02-26 NOVAMONT S.p.A. Calcium-sequestering agents based on oxidised carbohydrates and their use as builders for deter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20146A2 (pt) 2017-04-25
EP2350248B1 (de) 2017-03-22
CN102186961B (zh) 2014-04-02
ZA201103315B (en) 2012-07-25
US20110250534A1 (en) 2011-10-13
DE102008053607A1 (de) 2010-04-22
EA201100622A1 (ru) 2012-02-28
WO2010046070A1 (de) 2010-04-29
WO2010046070A8 (de) 2010-07-15
CN102186961A (zh) 2011-09-14
JP2012505935A (ja) 2012-03-08
JP5689419B2 (ja) 2015-03-25
IL212388A (en) 2015-01-29
ES2627354T3 (es) 2017-07-27
EP2350248A1 (de) 2011-08-03
BRPI0920146B1 (pt) 2019-03-06
IL212388A0 (en) 2011-06-30
KR101595975B1 (ko) 2016-02-19
US8729008B2 (en) 2014-05-20
EA022738B1 (ru)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975B1 (ko) 금속 이온용 용해제
EP0703292B1 (en) Process for decreasing the build up of inorganic incrustations on textiles and detergent composition used in such a process
CA2688030C (en) Ware washing system containing polysaccharide
US4443270A (en) Rinse aid composition
US8247363B2 (en) MG++ chemistry and method for fouling inhibition in heat processing of liquid foods and industrial processes
EP3399014A1 (en) Development of an aluminum hydroxycarboxylate builder
EP2571971B1 (en) Clean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in removal
CA2251708A1 (en) Anti-etch bottle washing solution
WO2010065482A1 (en) Method to prevent or inhibit ware corrosion in ware washing
MX2013012288A (es) Composicion secuestrante de calcio.
US3985728A (en) Carboxymethylated materials derived from wood molass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EP3448975B1 (de) Formulierungen,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und geeignete komponenten
JPH05117688A (ja) 無ゼオライトまたは低ゼオライト洗剤
JP2021522393A (ja) ポリアスパラギン酸並びにオリゴ糖及び多糖をベースとするグラフトポリマーをフィルム抑制添加剤として含む食器洗い用洗剤製剤
JP4564358B2 (ja) 向上した汚れ除去を発揮する洗浄剤組成物
JPH05214367A (ja) 洗 剤
US5981742A (en) Glucuronyl arabinarat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JPH06346099A (ja) 高濃度アルカリ液体洗浄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2388308A1 (en) Clean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in removal
WO2020070544A1 (en) Detergent polymer and composition
JPH0360358B2 (ko)
CN116688760A (zh) 一种反渗透膜清洗保护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