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795A - 액상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액상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795A
KR20110080795A KR1020100001203A KR20100001203A KR20110080795A KR 20110080795 A KR20110080795 A KR 20110080795A KR 1020100001203 A KR1020100001203 A KR 1020100001203A KR 20100001203 A KR20100001203 A KR 20100001203A KR 20110080795 A KR20110080795 A KR 20110080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metering
circumferential surface
c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392B1 (ko
Inventor
김원석
Original Assignee
김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석 filed Critical 김원석
Priority to KR2010000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392B1/ko
Priority to PCT/KR2010/007689 priority patent/WO2011083904A2/ko
Publication of KR2011008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26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 G01F11/26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for liquid or semi-liquid
    • G01F11/263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is filled and emptied by tilting or inverting the supply vessel, e.g. bottle-emptying apparatus for liquid or semi-liquid with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용기용 캡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용기의 주입구와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주입구를 커버하며 관통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와 나선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계량하여 수용하는 계량수용부와; 상기 계량수용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계량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보호부;를 포함하여, 힘이 약한 유아, 어린이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없어 액상용기의 내용물로부터 어린이 등을 보호할 수 있고, 액상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고 다시 막을 때에 용이하게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계량하고자 하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손쉽게 계량할 수 있는 액상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상용기용 캡{Cap of liquid case}
본 발명은 액상용기용 캡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용기의 주입구와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주입구를 커버하며 관통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와 나선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계량하여 수용하는 계량수용부와; 상기 계량수용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계량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보호부;를 포함하여, 힘이 약한 유아, 어린이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없어 액상용기의 내용물로부터 어린이 등을 보호할 수 있고, 액상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고 다시 막을 때에 용이하게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계량하고자 하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손쉽게 계량할 수 있는 액상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용액을 담은 용기의 주입구에는 캡이 나선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며, 상기 캡을 나선회전시켜 캡을 용기로부터 제거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캡은 어린이도 쉽게 열 수 있어 상기 용기에 들어있는 화공약품 또는 의약품 등에 의해 피해를 보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어린이들이 의약품을 잘못 복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만 5세 미만의 어린이가 열기 어렵게 설계 고안된 약품용기나 표장의 대상품목을 확대하는 약사법 시행규칙을 제정하였다.
또한, 상기 캡을 열고서 내용물을 계량하기 위하서는 별도의 계량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대충 어림짐작하여 계량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상기와 같이 대충 어림짐작으로 계량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양을 계량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약품의 경우처럼 약효가 발효되기 위해서는 복용하여야 하는 양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대충 계량할 수가 없어서 별도의 계량기구를 약병과 함께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입법적으로 또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해서 용기의 내용물을 계량할 수 있으면서도 어린이들이 쉽게 열 수 없도록 설계된 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호부와 계량수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를 눌러서 회전돌출부를 삽입홈에 삽입하여 상기 보호부를 돌릴 때에만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서, 힘이 약한 유아, 어린이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없어 액상용기의 내용물로부터 어린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액상용기의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주면돌기와 외주면돌기를 포함하여 액상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고 다시 막을 때에 용이하게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액상용기의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량수용부에 결합하는 용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계량하고자 하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손쉽게 계량할 수 있는 액상용기용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에 용량조절부가 위치하여 일정부피를 차지하므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내용물은 상기 수용공간보다 작은 부피를 차지하여, 상기 뚜껑을 열어 수용공간에서 내용물이 인출하더라도 상기 내용물이 수용공간의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아서 사용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액상용기용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은 액상용기의 주입구와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주입구를 커버하며 관통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와 나선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계량하여 수용하는 계량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액상용기의 주입구와 연결되는 주입구연결부와; 상기 주입구연결부의 상측에서 축경되어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돌출된 나선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과 연결된 삽입봉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량수용부는 내주면의 상측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유입공을 형성하는 수용돌기와; 계량수용부의 외벽과 유입공이 형성된 수용돌기에 둘러쌓인 수용공간과, 상기 내주면의 하측에 나선돌출부가 삽입되는 나선형태로 파인 나선홈을 포함하며,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나선회전하여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삽입봉이 상기 유입공에서 이탈하고,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삽입봉이 상기 유입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용부는 상단에 계폐가 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파인 환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계량수용부의 내주면 하측에는 상기 환형홈에 삽입되는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환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나선회전할 때에 상승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계량수용부의 상단과 상기 삽입봉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리브와, 상기 리브 사이에 형성된 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은 상기 계량수용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계량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보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용부는 상단이 축경되어 형성되어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보호부는 내주면 상측에 환형형태로 돌출된 상부돌출턱과, 상기 상부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계량수용부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는 상단에 계폐가 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상부돌출턱 하면에 돌출되는 회전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턱 하면에 결합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계량수용부는 상기 하단부의 상면에 상기 회전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용부는 하단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외주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내주면에 돌출된 내주면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계량수용부를 상기 하우징부에서 용이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연결부는 외주면의 하측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환형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내주면 하측에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파여 상기 환형돌출턱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보호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은 상기 뚜껑 하면에 탈부착 결합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하는 용량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의 캡은 상기 보호부와 계량수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를 눌러서 회전돌출부를 삽입홈에 삽입하여 상기 보호부를 돌릴 때에만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서, 힘이 약한 유아, 어린이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없어 액상용기의 내용물로부터 어린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주면돌기와 외주면돌기를 포함하여 액상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고 다시 막을 때에 용이하게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량수용부에 결합하는 용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계량하고자 하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손쉽게 계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에 용량조절부가 위치하여 일정부피를 차지하므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내용물은 상기 수용공간보다 작은 부피를 차지하여, 상기 뚜껑을 열어 수용공간에서 내용물이 인출하더라도 상기 내용물이 수용공간의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아서 사용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이 액상용기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의 전체분해 사시도.
도 3는 계량수용부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에서 보호부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이 액상용기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의 전체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계량수용부의 부분절단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에서 보호부의 부분절단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액상용기용 캡(2)은 액상용기(1)의 주입구에 결합하여 액상용기(1)의 주입구를 커버하는 하우징부(21)와, 상기 하우징부(21)를 수용하며 액상용기(1)의 내용물을 계량하여 수용하는 계량수용부(23)와, 상기 하우징부(21)와 상기 계량수용부(23)를 수용하여 외면을 형성하는 보호부(25)와, 상기 계량수용부(23)에 삽입되어 계량수용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는 용량조절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21)는 액상용기(1)의 주입구와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1)의 주입구를 커버하며, 액상용기(1)의 내용물을 후술할 계량수용부(23)에 배출하는 구성으로, 주입구연결부(211), 결합부(213), 배출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구연결부(211)는 상기 액상용기(1)의 주입구와 나선결결합하여 상기 하우징부(21)와 상기 액상용기(1)를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주입구연결부(2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환형돌출턱(21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13)는 상기 계량수용부(23)와 결합하여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나선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주입구연결부(211)의 상면에서 축경되어 내부가 관통형성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결합부(213)의 외주면의 하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돌출된 나선돌출부(3131)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돌출부(3131)는 후술할 상기 계량수용부(23)의 나선홈(2335)에 삽입되어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에서 나선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부(213)의 상측에는 후술할 계량수용부(23)의 환형돌기(2334)가 삽입되어 상기 계량수용부(23)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환형홈(213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215)는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상기 계량수용부(23)로 내용물을 배출하는 부분으로, 후술할 계량수용부(23)의 유입공(2333a)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태의 삽입봉(2151)과 상기 삽입봉(2151)과 상기 결합부(213) 상측을 방사형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리브(2153)와, 상기 리브(2153) 사이에 형성된 다수개의 유출공(2155)을 포함한다.
상기 계량수용부(23)는 상기 하우징부(21)를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부(21)와 나선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1)의 내용물을 계량하여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단부(231)와 하단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부(231)는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태를 취하며 후술할 보호부(25)의 중공(2511)에 삽입되며 수용한 액상용기(1)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상단부(231)의 상단에는 힌지부재(23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통형태의 뚜껑(2311)을 포함한다. 상기 뚜껑(2311)의 하면의 중앙에는 후술할 용량조절부(27)와 나선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고정부(2311a)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부(233)는 상기 상단부(231)에 연장되며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단부(23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하단부(233)는 삽입홈(2311), 외주면돌기(2332), 수용돌기(2333), 환형돌기(2334), 나선홈(2335)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2311)은 상기 하단부(233)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파인 다수개의 홈으로, 상기 삽입홈(2311)에는 후술할 회전돌출턱이 삽입되어 상기 보호부(25)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나선회전가능하게 한다.
상기 외주면돌기(2332)는 상기 하단부(233)의 외주면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지어 90도로 절단된 형태를 취하여 경사면(2332a)과 수직면(2332b)을 형성한다. 상기 외주면돌기(2332)는 후술할 보호부(25)와 내주면돌기(254)와 맞물리어 상기 계량수용부(23)를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외주면돌기(2332)와 상기 내주면돌기(254)의 맞물리어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나선회전하는 작동과정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용돌기(2333)는 상기 하단부(233)의 내주면 상측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며, 상면이 평행하고 하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돌기(2333)의 뚜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형태를 취한다. 상기 유입공(2333a)은 상기 수용돌기(23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단부(233)의 내측에 형성된 공으로, 상기 하우징부(21)의 삽입봉(2151)이 삽입된다.
상기 환형돌기(2334)는 상기 하단부(233)의 수용돌기(2333) 하측에 환형의 형태로 돌출된 돌기로 상기 하우징부(21)의 환형홈(2133)에 삽입되어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계량수용부(23)는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나선회전하므로,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환형홈(2133)의 높이는 상기 환형돌기(2334)의 높이보다 더 크게하여야 한다.
상기 나선홈(2335)은 상기 하단부(233)의 환형돌기(2334) 하측에 나선형태로 파인 홈으로 상기 하우징부(21)의 나선돌출부(3131)가 삽입되어,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 나선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계량수용부(23)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용부(23)의 내면에는 외측면은 상단부(231)와 하단부(233)에 둘러쌓이고, 하면은 중공(2511)이 형성된 수용돌기(2333)가 위치하고, 상면은 두껑에 의해 커버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S)에는 상기 중공(2511)을 통해서 액상용기(1)의 내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S)은 일정한 부피를 형성하므로 상기 수용공간(S)에 액상용기(1)의 내용물을 가득 채우는 경우 일정부피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S)에 내용물을 계량수용하는 작동원리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부(25)는 상기 하우징부(21)와 상기 계량수용부(23)를 수용하여 외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내부관통된 원기둥형태를 취하며 상기 보호부(25)의 회전시 상기 계량수용부(23)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보호부(25)는 상부돌출턱(251), 회전돌출부(252), 탄성부재(253), 내주면돌기(254), 가이드홈(255)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돌출턱(251)은 상기 보호부(25)의 내주면 상측에 환형형태로 돌출된 턱으로, 상기 상부돌출턱(25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돌출턱(251)에 둘러쌓인 중공(2511)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2511)에는 상기 계량수용부(23)의 상단부(231)가 수용된다.
상기 회전돌출부(252)는 상기 상부돌출턱(251) 하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가 돌출되며, 상기 계량수용부(23)의 삽입홈(2311)에 삽입되어 상기 보호부(25)를 회전시킬 때에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나선회전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253)는 상기 상부돌출턱(251) 하면에 결합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53)는 상기 보호부(25)의 회전돌출부(252) 하면과 상기 하단부(233)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25)의 회전돌출부(252)가 상기 하단부(233)의 삽입홈(231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임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계량수용부(23)를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호부(25)를 눌러 상기 탄성부재(253)를 수축시켜 상기 회전돌출부(252)가 상기 삽입홈(2311)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내주면돌기(254)는 상기 보호부(25)의 내주면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경사지어 90도로 절단된 형태를 취하여 경사면(2541)과 수직면(2542)을 형성한다. 상기 내주면돌기(254)는 상기 계량수용부(23)의 외주면돌기(2332)와 맞물리어 상기 계량수용부(23)를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내주면돌기(254)와 상기 외주면돌기(2332)가 상기와 같이 경사면과 수직면을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내주면돌기(254)와 상기 외주면돌기(2332)가 상기 계량수용부(23)를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시계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해서다. 상기 내주면돌기(254)와 상기 외주면돌기(2332)의 맞물리어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나선회전하는 작동과정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255)은 상기 내주면 하측에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파인홈으로 상기 하우징부(21)의 환형돌출턱(2111)이 삽입되어 상기 보호부(25)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부(25)는 상기 계량수용부(23)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253)가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25)가 상하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가이드홈(255)의 높이는 상기 환형돌출턱(2111)의 높이보다 더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량조절부(27)는 일정형상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 상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2311)에 고정부(2311a)에 나선결합하여 상기 뚜껑(2311)을 닫았을 때 수용공간(S)에 위치한다. 상기 수용공간(S)은 일정한 부피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부피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양한 부피를 가지는 용량조절부(27)를 상기 뚜껑(2311)에 결합시킨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액상용기의 캡의 결합관계와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계량수용하는 작동과정을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액상용기의 캡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부(21)가 상기 주입구연결부(211)의 나사선(2113)과 대응되는 액상용기(1)의 주입구의 나사선에 의해 상기 액상용기(1)와 나선결합하고 있다. 상기 액상용기(1)와 결합한 상기 하우징부(21)의 환형홈(2133)에는 상기 계량수용부(23)의 환형돌기(2334)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21)의 나선돌출부(3131)가 상기 계량수용부(23)의 나선홈(2335)에 삽입되어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나선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있다. 상기 계량수용부(23)와 결합한 하우징부(21)의 환형돌출턱(2111)은 상기 보호부(25)의 가이드홈(255)에 삽입되어 상기 보호부(25)는 상기 하우징부(21)와 상기 계량수용부(23)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용량조절부(27)는 상기 뚜껑(2311)의 하면에 나사결합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액상용기(1)의 내용물을 계량수용하는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도 5의 상태에서 뚜껑(2311)을 열어서 용량조절부(27)를 삽입하고 뚜껑(2311)을 닫는다. 상기 수용공간(S)은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데 부피가 다른 용량조절부(27)를 삽입하여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공간(S)이 10ml의 내용물을 수용하는데 8ml의 내용물을 계량수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피가 2ml의 용량조절부(27)를 뚜껑(2311)의 하면에 결합하면 된다.
상기 용량조절부(27)를 삽입한 후에 상기 보호부(25)를 눌러 상기 탄성부재(253)를 수축시키면 상기 회전돌출부(252)가 상기 계량수용부(23)의 삽입홈(231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보호부(25)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계량수용부(23)는 상기 보호부(25)와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계량수용부(23)는 상기 하우징부(2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나선회전하여 상기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보호부(25)를 누르지 않고 보호부(25)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내주면돌기(254)와 상기 외주면돌기(2332)는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짐으로 상기 계량수용부(2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다. 상기 계량수용부(23)의 환형돌기(2334)는 상기 환형홈(2133)에 삽입되어 있음으로 상기 계량수용부(23)의 상승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유입공(2333a)에 삽입되어 있던 삽입봉(2151)이 이탈하여 상기 유입공(2333a)이 개방된다.
상기 삽입봉(2151)이 상기 유입공(2333a)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액상용기(1)를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액상용기(1)의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부(21)의 유출공(2155)을 따라 유입공(2333a)에 흘러들어가 도 6과 같이 상기 수용공간(S)에 저장된다. 상기 수용공간(S)에 내용물이 가득 찬 후에 상기 보호부(2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내주면돌기(254)의 수직면이 상기 외주면돌기(2332)의 수직면을 밀어서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부(25)를 눌러서 상기 보호부(25)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상기 계량수용부(23)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으나 보호부(25)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보호부(2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쉽게 상기 계량수용부(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계량수용부(23)가 상기 하우징부(21)에서 시계방향으로 나선회전함으로 상기 계량수용부(23)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삽입봉(2151)이 유입공(2333a)에 삽입되어 유입공(2333a)을 막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S)에는 액상용기(1)의 내용물이 가득차 계량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180도 회전하더라도 상기 수용공간(S)에 저장된 내용물을 다시 액상용기(1)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뚜껑(2311)을 열어 계량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용기용 캡은 상기 보호부와 계량수용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위치하여 상기 보호부를 눌러서 회전돌출부를 삽입홈에 삽입하여 상기 보호부를 돌릴 때에만 액상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서, 힘이 약한 유아, 어린이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없어 액상용기의 내용물로부터 어린이 등을 보호할 수 있고, 내주면돌기와 외주면돌기를 포함하여 액상용기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고 다시 막을 때에 용이하게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계량수용부에 결합하는 용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계량하고자 하는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손쉽게 계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액상용기 21: 하우징부 23: 계량수용부
25: 보호부 27: 용량조절부 211: 주입구연결부
213: 결합부 215: 배출부 231: 상단부
233: 하단부 251: 상부돌출턱 251: 회전돌출부
253: 탄성부재 254: 내주면돌기 255: 가이드홈
2111: 환형돌출턱 2131: 나선돌출부 2133: 환형홈
2151: 삽입봉 2153: 리브 2155: 유출공
2311: 뚜껑 2313: 힌지부재 2331: 삽입홈
2332: 외주면돌기 2333: 수용돌기 2334: 환형돌기
2335: 나선홈 2541: 경사면 2542: 수직면
2311a: 고정부 2332a: 경사면 2332b: 수직면
S: 수용공간

Claims (9)

  1. 액상용기의 주입구와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주입구를 커버하며 관통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와 나선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액상용기의 내용물을 계량하여 수용하는 계량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액상용기의 주입구와 연결되는 주입구연결부와; 상기 주입구연결부의 상측에서 축경되어 연장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태로 돌출된 나선돌출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측과 연결된 삽입봉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계량수용부는 내주면의 상측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유입공을 형성하는 수용돌기와; 계량수용부의 외벽과 유입공이 형성된 수용돌기에 둘러쌓인 수용공간과, 상기 내주면의 하측에 나선돌출부가 삽입되는 나선형태로 파인 나선홈을 포함하며,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나선회전하여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삽입봉이 상기 유입공에서 이탈하고,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삽입봉이 상기 유입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용부는 상단에 계폐가 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파인 환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계량수용부의 내주면 하측에는 상기 환형홈에 삽입되는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환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나선회전할 때에 상승높이를 제한하여 상기 계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계량수용부의 상단과 상기 삽입봉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리브와, 상기 리브 사이에 형성된 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용기용 캡은
    상기 계량수용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형성되며, 상기 계량수용부를 회전시키는 보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용부는 상단이 축경되어 형성되어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보호부는 내주면 상측에 환형형태로 돌출된 상부돌출턱과, 상기 상부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계량수용부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는 상단에 계폐가 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상부돌출턱 하면에 돌출되는 회전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턱 하면에 결합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계량수용부는 상기 하단부의 상면에 상기 회전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용부는 하단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외주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내주면에 돌출된 내주면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계량수용부를 상기 하우징부에서 용이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연결부는 외주면의 하측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환형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내주면 하측에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파여 상기 환형돌출턱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보호부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9. 제 5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용기용 캡은
    상기 뚜껑 하면에 탈부착 결합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용량을 조절하는 용량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용기용 캡.
KR20100001203A 2010-01-07 2010-01-07 액상용기용 캡 KR10118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1203A KR101185392B1 (ko) 2010-01-07 2010-01-07 액상용기용 캡
PCT/KR2010/007689 WO2011083904A2 (ko) 2010-01-07 2010-11-03 액상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1203A KR101185392B1 (ko) 2010-01-07 2010-01-07 액상용기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795A true KR20110080795A (ko) 2011-07-13
KR101185392B1 KR101185392B1 (ko) 2012-09-25

Family

ID=4430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1203A KR101185392B1 (ko) 2010-01-07 2010-01-07 액상용기용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5392B1 (ko)
WO (1) WO2011083904A2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859Y2 (ja) * 1989-09-20 1997-03-12 誠一 北林 定量流出装置
US6267273B1 (en) * 1998-01-23 2001-07-31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Constant-volume dispensing coating container
JP4141635B2 (ja) * 2000-12-28 2008-08-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計量式塗布容器
JP4141647B2 (ja) * 2001-01-31 2008-08-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計量塗布栓
JP4684648B2 (ja) * 2004-12-28 2011-05-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計量注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04A3 (ko) 2011-09-09
WO2011083904A2 (ko) 2011-07-14
KR101185392B1 (ko) 201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556B2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EP2847096B1 (en) Dispensing device
JP6413155B2 (ja) 内容物受取装置、開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KR101020774B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약제통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US20110163118A1 (en) Metered Dispenser
KR20170008189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KR101185392B1 (ko) 액상용기용 캡
JP5305337B2 (ja) 混合用容器
KR20140085029A (ko) 용기뚜껑
US9410836B2 (en) Dosing device
KR101560310B1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JP2005088937A (ja) 錠剤計量容器
KR101440916B1 (ko) 알약 정량배출 용기
JP4892269B2 (ja) 定量吐出容器
JP2007069947A (ja) 計量容器
KR102272885B1 (ko)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KR200369100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KR20150044869A (ko) 화장용 튜브용기
KR101752364B1 (ko) 용기 캡 구조체
US20120298699A1 (en) Controllable Medicinal Dosage Packaging for Liquid Medication
GB2518406A (en) A Safety Liquid Dispenser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CN214297434U (zh) 一种用于固体粉末的计量瓶盖
JP7364210B2 (ja) 固形物取り出し用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固形物収容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