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853A -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853A
KR20110079853A KR1020117012259A KR20117012259A KR20110079853A KR 20110079853 A KR20110079853 A KR 20110079853A KR 1020117012259 A KR1020117012259 A KR 1020117012259A KR 20117012259 A KR20117012259 A KR 20117012259A KR 20110079853 A KR20110079853 A KR 2011007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ase station
transmitter
recei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마크 나덴
Original Assignee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7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전화 네트워크는 미리 결정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전송 노드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해준다. 데이터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표준에 따르는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 노드의 데이터 수신기에 송신된다. 수신된 데이터는 전송 노드 내에 있는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 노드의 데이터 송신기에 전송된다. 데이터 송신기는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표준에 따르는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제2 기지국에 송신한다. 전송 노드 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노드 내에서만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상기 인터페이스는 동작 표준에 따르지 않는다. 데이터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노드를 경유하여 제1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신기는 제1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고 송신기는 제2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인다.

Description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TRANSFERRING DATA IN A MOBILE TELEPHONY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네트워크, 그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노드 및 그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핸드셋과 같은 사용자 장치가 무선 링크를 경유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지국들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은 많은 세대를 거쳐 급속한 발전을 겪어왔다. 아날로그 변조를 이용한 초기에 배포된 시스템은 2세대 디지털 시스템으로 대체되었으며, 2세대 디지털 시스템 그 자체도 현재 UMTS 및 CDMA와 같은 3세대 디지털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3세대 표준은 2세대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처리량보다 더 많은 처리량을 제공하며; 이러한 추세는 종종 간략히 LTE라고 하는 소위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에 의한 제안으로 계속 이어져 왔는데, 이는 더 넓은 주파수 대역, 스펙트럼상에서 효율적인 변조 기술, 및 또한 잠재적으로 공간적으로 다양한 전파 경로를 활용하여 용량을 증가시켜, 잠재적으로 계속 더 큰 용량을 제공한다(다중 입력 다중 출력).
이동 전화 시스템과는 별개로, 무선 액세스 시스템도 또한 발전해 왔는데, 이는 초기에는 가입자의 건물에 있는 사용자 장치와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사이의 "라스트 마일(last mile)"(또는 그 부근)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는 전형적으로 전화기 또는 컴퓨터가 연결되는 단말기로서, 초기 시스템에서는 기지국들 사이에서 사용자 장치의 이동성 또는 로밍이 제공되지 않았다. 그러나, 와이맥스(WiMax) 표준(IEEE 802.16)은 이러한 단말기가 높은 데이터 속도의 무선 액세스 시스템을 통해 PSTN에 연결되는 수단을 제공하였다.
WiMax 및 LTE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발전해 왔지만, 이들 둘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전형적으로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는 고용량 무선 데이터 시스템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으며, 또한 이들 둘은 셀룰러 배치에서 셀룰러 무선 시스템으로서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셀룰러 무선 시스템은 이동 전화 핸드셋 또는 무선 단말기와 같은 사용자 장치, 각기 잠재적으로 셀(cell)이라고 알려져 있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 배치된 많은 사용자 장치들과의 액세스 링크라고 불리는 것을 통해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 및 각각의 기지국과 PSTN과 같은 전화 통신 네트워크 사이에서 백홀(backhaul)이라고 알려져 있는 양방향 커넥션을 포함한다.
셀룰러 무선 시스템의 데이터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것은 다시 백홀의 용량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무선-발원 트래픽(wireless-originating traffic)을 종종 완전히 상이한 네트워크 내에 있는 그의 목적지로 전달해야 하는 연결이기 때문이다. 셀룰러 무선 시스템의 초기 세대에서, 백홀은 (그러한 커넥션이 기지국 근처에 존재하는 경우) 다른 통신 운영자로부터 임대한 하나 이상의 커넥션에 의해 제공되었다; 그러나, 데이터 속도의 증가로 인해, 필요로 하는 임대 회선(leased lines)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임대 회선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되는 운영 비용도 역시 증가됨으로, 고용량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비경제적이다.
임대 회선의 한가지 대안으로서, 마이크로파 링크 또는 광섬유 링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용 백홀 링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백홀 방법들 각각은 비용과 관련이 있었다. 전용 파이버 링크는 설치시 주로 토목 공사 비용에 기인한 자본 비용 면에서 비쌀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도시 지역에서 특히 심각하다. 마이크로파 링크 또한 설비 자본 비용을 수반하고 빔 폭이 협소하여 안테나를 정밀하게 정렬해야함으로 전문적인 설치를 필요로 한다.
각각의 개별 기지국마다 하나의 전용 백홀 링크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한가지 대안으로서, 셀룰러 무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백홀 트래픽을 중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백홀용으로 셀룰러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기지국은 중계기 노드(relay node)라고 알려져 있는 전방향성 안테나를 갖는 소형의 저전력 기지국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미 전용 백홀이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을 넘어 셀룰러 무선 커버리지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이 예에서, 기지국(2a ... 2g)은 마이크로파 링크(4a ... 4c)를 통해 마이크로파 국(6)에 연결되고 그래서 전화통신 네트워크(8)에 연결된다.
도 2는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동작하는 종래의 중계기 노드를 도시하며; 그 동작은 예를 들어 IEEE 802.16j에 따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2b)는 중계기 노드(10)와 통신한다. 중계기 노드(10)는 셀룰러 무선 자원과 별개로 백홀 링크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중계기 노드에는 인접 기지국(2)에 그리고 이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백홀 데이터를 중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무선 자원 타임슬롯이 할당되며, 인접 기지국(2)은 자체적으로 마이크로파 링크를 통해 마이크로파 국(6)에 연결되어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전화통신 네트워크(8)에 연결된다. 사용자 장치(12a)는 기지국(2)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동 전화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문적 연구에 의하면, 기지국들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해서 동작한다면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것은 기지국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 이를 위한 한가지 방법은 기존의 임대 회선 또는 전용 링크의 백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이는 백홀 네트워크에게 휠씬 더 많은 부담을 지운다. 다른 방법은 기지국들 사이에 전용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경제적이다.
이동 전화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들로부터, 및/또는 기지국들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데이터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표준에 따르는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데이터 수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표준에 따르는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노드가 제공되며, 상기 전송 노드는 상기 표준에 따라 동작하여 네트워크의 제1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표준에 따라 동작하여 네트워크의 제2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수신기를 송신기에 연결하며 수신기에 의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기에 전송하여 제2 기지국에 전송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가 제공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 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가 제1 기지국과 동기하고 네트워크의 동작 표준에 따라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제2 기지국과 동기하고 네트워크의 동작 표준에 따라 제2 기지국에 송신되게 해준다. 데이터는 동작 표준과는 독립적으로 수신기로부터 송신기로 전송된다. 송신기와 수신기는 이들 각각의 기지국과 동기화된다.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은 데이터의 리타이밍(retiming)을 포함함으로써, 각각의 기지국과 동기화되어 있는 수신기 및 송신기가 서로에 대해 비동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전송된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지국들을 상호 협력하게 해주는 데이터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백홀 데이터(backhaul dat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기 및 송신기는 네트워크의 무선 자원의 상이한 부분들을 사용하여 이들 각각의 기지국과 통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이크로파 링크와 같은 전용의 추가 링크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백홀 네트워크 내에서 임대 회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그리고 추가적인 또는 전용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기존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기지국들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게 해준다. 본 실시예의 송신기 및 수신기는 네트워크의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따라서, 새로운 프로토콜이 요구되지 않으며 기지국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만 기술되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이동 전화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종래의 중계기 노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기지국과 통신하는 데이터 전송 노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노드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대안의 데이터 전송 노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IEEE 802.16j에 따르는 신호의 일예의 프레임 구조도이다.
대체적으로, 본 발명은 셀룰러 무선 시스템 내의 셀룰러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명료성을 위하여, 본 방법 및 장치는 IEEE802.16 (WiMax) 또는 LTE와 같은 이동 전화 표준에 따르는 고속 패킷 데이터 시스템의 문맥에서 기술되지만, 이것은 예를 든 것이며 기술된 본 방법 및 장치는 이러한 예로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IEEE802.16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데이터는 프레임 내에서 OFDM에 의해 전송된다. 도 7에는 중계기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 IEEE802.16j 표준의 문맥에서의 프레임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의 수평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수직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프레임은 시간상으로 데이터가 기지국으로부터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중계기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DL), 및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중계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서브 프레임(UL)으로 분리된다. 다운링크 부분은 시간상으로 프리앰블이 선행될 수 있으며 MAP를 포함할 수 있다.
MAP는 상이한 사용자에 대한 프레임 섹션의 할당을 표시한다.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와 중계기에 할당된 프레임 섹션은 그 프레임 내에서 시간 슬롯(수평축) 및 주파수(수직축)의 조합으로 규정된다. 프레임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 프레임은 중계기 영역 및 액세스 영역으로 분리된다. 중계기 영역 내의 데이터는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의 링크를 위해서만 사용되며 사용자 단말기에는 수신되지 않는다. 액세스 영역 내의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들)에만 수신되고 중계기에는 수신되지 않는다. 프레임은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비인접 영역을 포함하여 프레임의 다른 배치도 가능하다. 중계기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주파수 및 시간의 할당은 미리 네트워크 전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먼저, 기지국들 사이에서 협력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교환과 관련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아래 설명에서, 간략한 설명을 위해 "중계기(relay)" 및 "사용자 단말기(user terminal)"가 참조된다. 자명해지듯이, 일부 실시예에서 "중계기"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RF 신호로서 재전송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RF를 수신하고 RF를 재전송(또는 기저대역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RF에서 전송)하지 않지만, 네트워크의 동작 표준, 예를 들어 IEEE802.16j의 중계기 요건을 따르며 그래서 그와 연관된 기지국에게는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기, 송신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그것은 기저 대역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RF에서 전송(또는 RF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른 디바이스에 기저 대역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네트워크의 동작 표준, 예를 들어 IEEE802.16e의 사용자 단말기 요건을 따르며 그래서 그와 연관된 기지국에게는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이동 전화 네트워크의 기지국 BS1(2a) 및 기지국 BS2(2b)은 데이터 전송 노드(5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기지국들(2a 및 2b)은 네트워크의 동작 표준과 동일한 동작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통상적인 기지국들이다. 아래의 설명은 데이터를 기지국(2a)으로부터 전송 노드(50)를 경유하여 기지국(2b)으로 전송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 예에서, 전송 노드(50)는 IEEE802.16j를 따르며, 기지국(2a)으로부터 프레임의 다운링크(DL) 부분의 중계기 영역 내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계기(RS)를 포함한다. 이 전송 노드는 IEEE802.16e 또는 IEEE802.16j를 따르며 프레임의 업링크(UL) 부분의 액세스 영역 내에서 기지국(2b)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UT)를 더 포함한다. 중계기(RS)는 인터페이스(I/F1)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UT)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인터페이스는 중계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기에 전송하고 처리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표준에 따를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이 인터페이스는 단지 전송 노드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뿐이고, 네트워크의 어떠한 무선 자원도 사용하지 않으며 전송 노드 외부의 어떠한 디바이스와도 통신하지 않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동작에 따라, 중계기(RS)는 기지국(2a)과 동기화되어 있으며, 즉, 중계기(RS)는 프레임의 중계기 영역 동안에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인 동작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UT)는 기지국(2b)과 동기화되어 있으며, 즉, 사용자 단말기(UT)는 프레임의 액세스 영역 동안에 기지국(2b)에 전송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인터페이스(I/F1)는 중계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I/F1)는 본 명세서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는 기지국(2b)으로부터 전송 노드(50)를 경유하여 기지국(2a)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데이터는 기지국(2b)으로부터 다운링크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UT)에 수신되며, 다른 인터페이스(I/F2)를 경유하여 중계기(RS)로 전송되고 이 중계기에 의해 업링크를 경유하여 기지국(2a)으로 송신된다.
도 4를 참조하면,데이터를 기지국(2a)으로부터 기지국(2b)으로 전송하는 것만을 고려한 전송 노드(50)의 일예가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전송 노드는 전화 표준에 따르는 중계기(RS), 및 전화 표준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기(UT)를 포함한다. 중계기는 안테나(32)를 구비하며 사용자 단말기는 안테나(34)를 구비한다. 중계기는 수신된 RF를 기저 대역으로 다운 변환하고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통상의 방식으로 동작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기(39)를 구비한다. 이 수신기는 전형적으로 기지국(2a)과 동기하여 동작할 것이다. 이 예에서, 중계기는 프레임의 중계기 영역 내에서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인터페이스(I/F1)에 공급될 데이터를 선택하는 중계기 프로세서(40)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I/F1)는 프로세서(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노드는 또한 전화 표준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기(UT)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프로세서(46) 및 변조기/송신기(48)를 구비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페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변조기/송신기(48)에 공급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변조 및 업변환 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전형적으로 기지국(2b)과 동기하여 동작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안테나(34)를 통해 기지국 BS2(2b)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안테나들(32, 34)은 별개의 안테나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에게는 어떤 구현예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중계기가 동일한 물리적 안테나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일예에서, 디지털 데이터는 변조 또는 처리하지 않고도 중계기(RS)로부터 사용자 단말기(UT)에 전송된다. 그러나, 이 데이터는 프로세서(42)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중계기는 선택적으로 다른 중계기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업 변환기 및 송신기(39)와 안테나(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목적의 통상적인 중계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적으로 OA&M(동작, 관리 및 유지보수)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선택적으로 인테나(33)를 통해 RF를 수신하고 이 RF를 다운 변환하고 복조된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도록 통상적인 방식으로 동작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수신기(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RS)는 기지국 BS1(2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계기는 기지국 BS1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만일 중계기(RS)가 업 변환기/송신기(39)를 포함하면 다른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중계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 및
다른 데이터를 선택할 것이다.
다른 사용자 단말기 및/또는 중계기와 기지국 BS2에 전달될 데이터의 선택은 프레임 내의 통상적인 어드레싱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도 7 참조). 일반적으로 다른 노드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트래픽 채널 내에서 사용자 데이터로 보일 것이며 따라서 관리 및 제어 데이터와는 구별될 것이다. 이러한 채널들 간의 구별은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에 마련되어 있다. 중계기는 데이터와 연관된 어드레싱 정보로부터 수신 데이터의 특정 블록의 목적지 노드가 무엇인지를 검출할 것이다: (IEEE802.16j에서 이것이 MAP의 목적이다). 만일 목적지 노드가 BS2라면, 전송 노드는 BS2에 그 데이터를 전달할 것이다. 데이터 전송 노드는 그 전송 노드가 측정으로부터 생성한 새로운 데이터 중 일부를 예를 들어 BS2를 향한 패킷에 추가로 삽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송 노드 내의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데이터를 BS2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다른 데이터는 특히 다른 기지국 BS2(2b)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기지국 BS1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데이터는 중계기(RS)로부터 인터페이스(I/F1)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UT)에 전달되어 그 인터페이스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지 않는다.
다른 데이터는 통상적인 중계기에 의해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및/또는 환경 측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중계기에 의해 전달되지 않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중계기에 의해, 예를 들어, 효과적인 동작, 예컨대, 효율적인 자원 할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사용될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제1 기지국 BS1은 a) 네트워크(전형적으로 PSTN에 기지국들을 연결하는 마이크로파 점대점 또는 유선 네트워크); b) 수신된 업링크 신호 또는 (예컨대 기지국 BS1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그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의거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한 측정치; 및/또는 c) 기지국 BS1의 내부 동작(예컨대, 이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미래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그 자체의 스케줄러가 할당한 자원을 알 것이다)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정밀하게 자원 할당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대개 환경이라고 지칭되는) 네트워크 특성을 더 일반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데이터는 네트워크상의 부하(즉, 사용 중인 자원의 비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 데이터는 제2 기지국 BS2에 대한 메시지로 어셈블되며, 이것은 전송 노드에 의해 제2 기지국 BS2에 전달된다.
어떤 정보는 보통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통상의 중계기 자체를 대상으로 전송되어 중계기가 효과적으로 동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정보는 네트워크 내 어떤 다른 노드를 통해 전달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중계기 그 자체는 전술한 b) 및 c)에서 BS와 유사하게, 즉 b) 중계기 그 자체가 수신된 업링크 신호 또는 (예컨대, 상기 중계기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들에 의해 제공된) 그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의거하여 생성한 측정치로부터 c) 상기 중계기의 내부 동작(예컨대, 이 중계기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미래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그 자체의 스케줄러가 할당한 자원을 알 것이다)으로부터 일부 측정을 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보통 통상의 중계기에 의해 전달되지 않을 것인데, 왜냐하면 이것은 보통 중계기 동작을 돕고자 하는 내부 목적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협력을 목적으로 전송 노드에 의해 제2 기지국 BS2에 전송되는데, 왜냐하면 이것은 기지국들 BS1 및 BS2가 동작하고 있는 무선 및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켜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른 데이터는 인터페이스(I/F1)의 프로세서(42)에 제공되며, 이 프로세서는 적어도 데이터의 크기를 줄여주고 그 데이터를 해석하여 기지국들 BS1 및 BS2가 협력할 수 있게 해주는 특정한 척도를 유도한다. 이러한 척도의 일예는 간섭 맵(interference map)이다. 프로세서(42)는 수신 신호를 통해 무선 자원의 사용 또는 데이터의 버스트 타임(burst-times) 또는 무선 채널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 BS1에 의해 다른 노드에 대해 이루어지는 무선 자원의 미래의 사용을 나타낼 수 있는 무선 자원의 요청/허가와 그에 따라 협력하는 기지국 BS2에 사용될 수 없는 자원을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UT)는 통상의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인터페이스(I/F1)로부터 그러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그 데이터를 인코드하고, 변조하고 기지국 BS2에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송 노드(50)는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이동 전화 표준에 따라 기지국(2b)과 통신하는 제2 중계기에 연결된 기지국(2a)과 이동 전화 표준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중계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송 노드(50)는 인터페이스(I/F)에 의해 이동 전화 표준에 따라 기지국(2b)과 통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30)에 연결된 기지국(2a)과 이동 전화 표준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전송 노드들은 도 4의 전송 노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노드는 다음과 같이, 즉, A) 협력하는 기지국들 BS1 및 BS2 둘 다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또는 B) 협력하는 기지국들 중 하나에게 중계기 노드로 그리고 다른 기지국들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또는 C) 협력하는 기지국들 둘 다에게 중계기 노드로 보이도록 구현될 수 있다.
A) 도 6을 참조하면, 전송 노드가 두 개의 사용자 단말기 UT1 및 UT2를 구비하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 기지국 BS1은 전송 노드의 사용자 단말기 UT1에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이러한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 노드에 전송한다. 전송 노드는 또한 기지국 BS2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 UT2를 구비한다. 내부적으로, 전송 노드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UT1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UT2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은 필요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이러한 통신은 전적으로 전송 노드 내부에서 일어나며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에게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자 단말기 UT2는 BS1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유도된 정보를 BS2에 전송할 목적으로 BS2로부터 업링크 자원을 요청한다. 전송 노드는 사용자 단말기들 UT1 및 UT2에 의해 나타내고, 각각의 기지국들 BS1 및 BS2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이중 특성을 갖는다. 사용자 단말기 UT1은 기지국 BS1과 연관되고 동기화되는 반면에, 사용자 단말기 UT2는 기지국 BS2와 연관되고 동기화된다.
B) 도 4를 참조하면, 전송 노드가 중계기 노드 RS 및 사용자 단말기 UT를 구비하는 경우, 기지국 BS1은 중계기 RS1에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이러한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 노드에 전송한다. 전송 노드는 기지국 BS2에게 사용자 단말기 UT로 보인다. 내부적으로, 전송 노드는 정보를 중계기 RS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UT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은 필요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이러한 통신은 전적으로 전송 노드 내부에서 일어나며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에게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자 단말기 UT는 기지국 BS1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유도된 정보를 기지국 BS2에 전송할 목적으로 업링크 자원을 요청한다. 전송 노드는 중계기 RS 및 사용자 단말기 UT에 의해 나타내고, 각각의 기지국들 BS1 및 BS2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이중 특성을 갖는다. 중계기 RS는 BS1과 연관되고 동기화되는 반면에, 사용자 단말기 UT는 BS2와 연관되고 동기화된다.
C) 도 5를 참조하면, 전송 노드가 두 개의 중계기 노드들 RS1 및 RS2를 구비하는 경우, 기지국 BS1은 중계기 RS1에 다운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이러한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 노드에 전송한다. 전송 노드는 기지국 BS2에게 중계기 RS2로 보인다. 내부적으로, 전송 노드는 정보를 중계기 RS1으로부터 중계기 RS2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 자원은 필요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이러한 통신은 전적으로 전송 노드 내부에서 일어나며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에게는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중계기 노드 RS2는 기지국 BS1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유도된 정보를 기지국 BS2에 전송할 목적으로 기지국 BS2로부터 업링크 자원을 요청한다. 전송 노드는 중계기 노드들 RS1 및 RS2에 의해 나타나고, 각각의 기지국들 BS1 및 BS2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이중 특성을 갖는다. 중계기 노드 RS1은 기지국 BS1과 연결되고 동기화되는 반면에, 중계기 노드 RS2는 기지국 BS2와 연결되어 동기화된다.
중앙집중형 스케줄링의 경우, 스케줄링 결정은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지국들 BS1 및 BS2 사이에서 자원 할당을 조정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A)(도 6)의 경우, 기지국 BS2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 UT2와 기지국 BS2 사이의 업링크 통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은 기지국 BS1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 UT1와 기지국 BS1 사이의 업링크 통신을 위해 할당된 것과 동일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송 노드가 동일 자원을 사용하여 두 기지국들에 두 가지 상이한 데이터 세트들을 전송해야 한다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UT1와 BS1 사이의 업링크 통신은 해당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 데이터를 교환한 결과이거나 또는 기지국 BS2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유도된 정보의 전송 노드에 의한 통신의 필요성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전송 노드가 C)(도 5)의 경우에서와 같이 두 기지국들에게 중계기 노드로 보이는 경우에 유사한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전송 노드가 B)(도 4)의 경우에서와 같이 기지국 중 하나에게 중계기 노드 RS로 그리고 다른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면, 중계기 노드와 상기 하나의 기지국 사이의 통신은 "중계기 영역" 내에서 일어나고, 이는 상기 다른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 UT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 영역"에 직교할 것이다. 따라서, 두 기지국들과의 업링크 통신을 위해 또는 실제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노드로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동일한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 요청하는 형태의 충돌은 없을 것이다.
분산형 스케줄링의 경우, 스케줄링 결정은 전송 노드를 포함하여 각각의 노드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전송 노드와 두 기지국 BS1 및 BS2 사이의 업링크 통신에 필요한 자원 할당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기지국들로부터의 다운링크 통신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일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송 노드가 두 개의 사용자 단말기들로, 또는 두 개의 중계기들로 보일 수 있지만,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협력하는 기지국들 중 하나에게 중계기 노드로 다른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전송 노드이다. 수신기 및 송신기는 무선 자원의 상이한 부분들을 사용한다. 본 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 및 송신기는 프레임의 상이한 영역들을 사용하여 이들과 연관된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전술한 전송 노드의 예는 두 기지국들이 통신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그렇지 않으면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없다. 기지국들은 매우 타당한 많은 이유들 때문에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의 안테나는 전형적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지 않은데, 그렇게 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정상 동작시에 과도하게 높은 수준의 간섭을 야기할 것이기 때문이다.
전송 노드는 기지국들이 구성요소인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예컨대, 용량 증가, 지연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지국들 사이에서 협력하게 해준다. 이를 위해, 협력하는 기지국들 사이에서 전송 노드를 통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각각의 기지국은 그 기지국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관한 더 양호한 정보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기지국들 중 하나의 의해 그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기들과 통신하는데 바람직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자원이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사용 중인지를 알게 되면, 협력하는 제2 기지국 BS2는 그 자신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기들과의 통신을 위해 다른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상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그것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들이 환경에 의해 다른 기지국의 간섭으로부터 차폐되는 경우 동일 자원이 두 기지국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간섭 맵은 전송 노드를 통해 기지국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셈블될 수 있다. 소위 "소프트 주파수 재사용"은 또한 그러한 수단에 의해 가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기지국들은 저전력이지만 동일한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정보는 비교적 콤팩트하며 기지국들 사이에서 통신할 자원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 진보된 수준에서, 제1 기지국 BS1에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의 일부는 제2 기지국 BS2에 전달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제2 기지국 BS2은 그의 수신기에서 이를 사용하여 그 자신과 연관된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의 신호를 더 양호하게 복조하고 디코딩할 수 있다.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원하는 신호와 제1 기지국 BS1과 통신하는 단말기들과 연관된 간섭을 혼합한 것일 수 있을 것이다.
제1 기지국을 향하고 간섭을 이루는 데이터를 앎으로써, 그의 영향은 감소되거나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전송 노드를 통해 기지국들 사이에서 더 많은 정보의 교환을 필요로 하며, 이는 시스템 설계자가 협력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필요한 자원의 양과 처리량을 향상시키는데서 얻어지는 사용자 단말기의 이익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trade-off)을 결정하는 것이다.
전송 노드(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들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예들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WiMax 또는 LTE로 국한되지 않고 다른 이동 전화 표준, 예를 들어 IMT 어드밴스드 표준 하에서 개발되는 표준의 문맥에서 적용될 수 있다.
전송 노드(50)는 두 개보다 많은 수의 기지국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노드는 세 개의 셀들과 연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노드는 기지국들(2a, 2b 및 2d)에 의해 서비스되는 세 개의 인접 셀들의 교차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Max에서는 다수의 프레임 영역들이 허용된다. 전송 노드 내에 추가의 중계기 노드를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제1 중계기 노드는 기지국 BS1과 연관되고 사용자 단말기 UT는 기지국 BS2와 연관된다. 제2 중계기 노드는 또 다른 기지국 BS3와 연관될 것이며 인터페이스 I/F1는 제1 및 제2 중계기와 사용자 단말기의 세 개 사이를 모두 인터페이스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개념이 예를 들어 전송 노드에 추가의 중계기를 도입함으로써 두 개보다 많은 기지국들 사이의 협력을 가능하도록 확장된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며, 이때 전송 노드의 각각의 중계기 노드 및 사용자 단말기는 별개의 프레임 영역에 의존한다. 추가 중계기를 도입하는 대신에,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노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BS2로부터 BS1 으로, BS2로부터 BS3로 그리고 BS1으로부터 BS3로의 역방향 경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순방향 경로 및 역방향 경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기지국들 사이에서 이들이 상호 협력하게 해주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송 노드는 기지국들 사이에서 어떠한 데이터라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홀 데이터는 백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기지국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수신기와 송신기 사이에서 복조되지 않고 디코딩되지 않은 형태로,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RF) 또는 중간 주파수(IF) 신호로서, 또는 제로 또는 제로 근접 중간 주파수에서 기저대역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이들 신호는 나이퀴스트(Nyquist) 샘플링되거나, 오버 샘플링되거나, 또는 언더 샘플링될 수 있는 샘플링된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신호는 샘플링된 수신 신호 벡터로서 전송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벡터는 변조 심볼을 나타내며, 이에 대한 장점은 수신 및 재전송 사이에서 데이터 처리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대안으로, 데이터는 수신된 다음에 복조되며/되거나 디코딩되고 그런 다음 다시 인코딩되고 다시 변조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 장점은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그 데이터를 압축하여 재전송을 필요로 하지 않는 컴포넌트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수신, 복조 및 재변조는 재전송 전에 그 신호로부터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유사하게, 디코딩 및 재코딩은 에러 정정 코딩을 이용하여 재전송 신호의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럼으로써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노드는 수신기로부터 송신기로 전송될 데이터를 선택한다. 다양한 옵션들이 이용가능하다. 중계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것 일 수 있다. 즉,
1) 중계기 영역에서 수신된 모든 데이터;
2) 중계기 영역에서 수신되어 선택된 데이터; 및
3) 데이터의 설명.
데이터 선택기는 적절한 제어하에서 1) 또는 2)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기는 송신기에 전송될 데이터를 선택하는 프로세서(40)를 구비한다. 그러나 인터페이스의 프로세서(42)는 송신기에 전송될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어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어떠한 특징이라도 단독으로, 또는 기술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실시예들 중 어떤 다른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 중 어떤 다른 실시예의 어떤 조합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전술하지 않은 등가물 및 변형물도 또한 첨부의 청구범위에서 규정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미리 결정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표준에 따르는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데이터 전송 노드의 데이터 수신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노드의 데이터 송신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표준에 따르는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기는 상기 제1 기지국과 동기화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기는 상기 제2 기지국과 동기화되며,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송신기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와 동기화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에서 상기 전송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들 사이에서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네트워크 관리 정보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노드는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다른 데이터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고 추출하여 이를 상기 송신기에 전송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노드는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 사이에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송신기에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인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에 중계기로 보이는 상기 디바이스는 IEEE802.16j에 따르는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에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상기 디바이스는 IEEE802.16e에 따르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표준에 따르는 제3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다른 데이터 수신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 송신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표준에 따르는 제4 통신 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백홀 네트워크(backhaul network)에 연결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백홀 데이터인 방법.
  16. 미리 결정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노드로서,
    상기 표준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제1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수신기,
    상기 표준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제2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기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 전송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되도록 구성된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노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기지국의 동작과 동기화하여 동작가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송신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2 기지국과 동기화하여 동작가능한 데이터 전송 노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송신기에 전송될 상기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동작가능한 데이터 선택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노드.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노드는 상기 수신기와 상기 송신기 사이에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송신기에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가능한 데이터 전송 노드.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인 데이터 전송 노드.
  21.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인 데이터 전송 노드.
  22.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중계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인 데이터 전송 노드.
  23.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1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이고 상기 송신기는 동작시에 상기 제2 기지국에게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디바이스인 데이터 전송 노드.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에 중계기로 보이는 상기 디바이스는 IEEE802.16j에 따르는 데이터 전송 노드.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에 사용자 단말기로 보이는 상기 디바이스는 IEEE802.16e에 따르는 데이터 전송 노드.
  26.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수신기,
    상기 표준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상기 제1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송신기, 및
    상기 다른 수신기와 상기 다른 송신기에 연결되며 상기 다른 수신기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송신기에 전송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전송되도록 구성된 다른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노드.
  27. 미리 결정된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전화 네트워크로서,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노드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노드는 각각의 상기 기지국들에 의해 서비스되는 두 개의 셀들의 경계에 배치되는 네트워크.
KR1020117012259A 2008-10-28 2009-10-27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KR20110079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59,484 US20100103869A1 (en) 2008-10-28 2008-10-28 Transferring data in a mobile telephony network
US12/259,484 2008-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853A true KR20110079853A (ko) 2011-07-08

Family

ID=4150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259A KR20110079853A (ko) 2008-10-28 2009-10-27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103869A1 (ko)
EP (1) EP2363011A1 (ko)
JP (1) JP2012507230A (ko)
KR (1) KR20110079853A (ko)
CN (1) CN102282909A (ko)
BR (1) BRPI0920095A2 (ko)
CA (1) CA2744277A1 (ko)
RU (1) RU2011123468A (ko)
WO (1) WO2010049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5648B2 (en) * 2009-07-01 2012-09-11 Alvarion Ltd. Resource allo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251776B2 (ja) 2009-07-27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基地局、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および中継装置
US9794949B2 (en) 2010-07-30 2017-10-1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istributed rate allocation and collision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2594487B (zh) * 2011-01-13 2016-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及无线通信中的编码协作方法
US8655348B2 (en) * 2011-02-18 2014-02-18 Pctel, Inc.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network data
WO2012122508A2 (en) 2011-03-09 2012-09-13 Board Of Regents Network rou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3075294A1 (en) * 2011-11-23 2013-05-30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point communications
US8989207B2 (en) 2012-09-27 2015-03-24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priority in multiple-persona cellular devices
CN104218989B (zh) * 2013-06-03 2019-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支持中继的可见光信息传输方法、中继节点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1571B2 (en) * 2002-09-27 2008-0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ckhaul
US7349665B1 (en) * 2003-12-17 2008-03-2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a wireless signal
CN1964521B (zh) * 2005-11-11 2010-05-12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一种在无线通信网络中的无线自回传方法及装置
CN1964219B (zh) * 2005-11-11 2016-01-2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实现中继的方法和设备
EP1883178A3 (en) * 2006-07-28 2011-11-30 Nortel Networks Limited Space time block code communications with co-operative relays
US8116256B2 (en) * 2006-08-18 2012-02-14 Fujitsu Limited Wireless data frame structure among nodes
US8116771B2 (en) * 2007-11-20 2012-02-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paging group updat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obile relay stations
EP2091298B1 (en) * 2008-02-18 2012-05-16 Alcatel Lucent FDD inband backhauling and method thereof
US20110014938A1 (en) * 2008-03-06 2011-01-20 Runcom Technologies Ltd. Asymmetric bands allocation in downlink and uplink using the same fft size
US8520559B2 (en) * 2008-04-02 2013-08-27 Alcatel Lucent Method for routing via access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3011A1 (en) 2011-09-07
CA2744277A1 (en) 2010-05-06
US20100103869A1 (en) 2010-04-29
CN102282909A (zh) 2011-12-14
RU2011123468A (ru) 2012-12-27
JP2012507230A (ja) 2012-03-22
BRPI0920095A2 (pt) 2015-12-15
WO2010049427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5341B2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JP5504970B2 (ja) 管理サーバ、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中継装置
KR20110079853A (ko) 이동 전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JP4982277B2 (ja) 中継局による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及び空間分割デュプレクス通信方法
EP2612521B1 (en) Cooperative relay system
US908833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P2343940B1 (en) Intra-donor cell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type I relay
JP5521638B2 (ja)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端末
EP20390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reduction
JP519120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データ構造
KR20140044394A (ko) 백홀 자원의 할당
JP2011091783A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中継装置、および通信端末
EP2449847B1 (en) Method and apparatus utilising protocols
CN101262268B (zh) 支持中继的蜂窝系统实现无线链路正交的方法及中继设备
KR20120016238A (ko) 멀티-스트림 무선 중계기
JP6020671B2 (ja) 中小規模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KR101735847B1 (ko) 기지국 장치, 중계국 장치,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N104919722A (zh) 用于移动对象的中继系统
US20120083199A1 (en) Partitioning Resources on a Target Side of a Handover of a User Equipment Based on Data Traffic Indication
US9083432B2 (en) Relay method, and relay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1024212A (ja) 協調型のセルネットワークで送信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方法
US20230077071A1 (en) Improved relay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733443B2 (ja) 管理サーバ、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