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625A -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 - Google Patents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625A
KR20110079625A KR1020117006583A KR20117006583A KR20110079625A KR 20110079625 A KR20110079625 A KR 20110079625A KR 1020117006583 A KR1020117006583 A KR 1020117006583A KR 20117006583 A KR20117006583 A KR 20117006583A KR 20110079625 A KR20110079625 A KR 2011007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adio base
uplink signal
transmission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토 모리모토
요시히사 기시야마
모토히로 탄노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7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values 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송신전력 제어방법은, 제2 무선기지국 eNB#2가, 셀 #2에 있어서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제1 무선기지국 eNB#1에 대해 전송하는 공정과, 제1 무선기지국 eNB#1이, 셀 #1에 있어서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제2 무선기지국 eNB#2로부터 전송된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 {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BASE STATION }
본 발명은,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 무선기지국(eNB)이 자립적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자립분산형 네트워크와, 특정한 무선기지국(eNB)이 각 무선기지국(RRE)을 제어하는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가 혼재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자립분산형 네트워크 및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의 각각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인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어떻게 제어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자립분산형 네트워크 및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가 혼재하고 있는 환경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의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제1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1 셀과 제2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2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이, 상기 제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는 공정 A와,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이, 상기 제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공정 B와, 상기 이동국이, 수신한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공정 C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이, 레이어 1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이, 최대비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이, 레이어 2 신호 또는 레이어 3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이, 선택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는, 제1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1 셀과 제2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2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은, 수신한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레이어 1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최대비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레이어 2 신호 또는 레이어 3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선택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제1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1 셀과 제2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2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기지국으로서 기능하는 무선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합성부와,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레이어 1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최대비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레이어 2 신호 또는 레이어 3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선택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제1 셀을 관리하는 제1 무선기지국과, 제2 셀을 관리하는 제2 무선기지국과, 제3 셀을 관리하는 제3 무선기지국과, 제4 셀을 관리하는 제4 무선기지국과, 제5 셀을 관리하는 제5 무선기지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기지국 및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자립분산 제어가 수행되는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무선기지국 및 상기 제4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5 무선기지국에 의해 집중적으로 제어되는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제1 무선기지국과 상기 제2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3 무선기지국과 상기 제4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3 무선기지국 및 상기 제4 무선기지국은, 각각 상기 제3 셀 및 상기 제4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3 상향링크 신호 및 제4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5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3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4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무선기지국 또는 상기 제4 무선기지국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무선기지국과 상기 제3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3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5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3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무선기지국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립분산형 네트워크 및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가 혼재하고 있는 환경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의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eNB)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UE)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경 예 1에 따른 무선기지국(RRE)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경 예 1에 따른 무선기지국(eNB)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경 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경 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 및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가 혼재하고 있으며,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과 동일한 무선 액세스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에는, 무선기지국 eNB#1 내지 eNB#3이 접속되어 있으며, 각 무선기지국 eNB#1 내지 eNB#3이, 서로 제어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자율적으로, 배하의 셀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무선기지국 eNB#1 내지 eNB#3 끼리는, 고속의 무선 전송로나 유선 전송로로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좋으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에는, 무선기지국 eNB#10, RRE(Remote Radio Equipment) #1 내지 RRE#3이 접속되어 있으며, 무선기지국 eNB#10이, 각 무선기지국 RRE#1 내지 RRE#3 배하의 셀에 있어서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무선기지국 RRE#1 내지 RRE#3은, 고속의 무선 전송로나 유선 전송로로 직접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 및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동일 주파수가 복수의 셀에 있어서 반복 사용되고 있다.
또, 이동국(UE)은,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 및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 내의 각 무선기지국 eNB#1 내지 eNB#3(이하, 무선기지국(eNB))은, 이동국 신호 수신부(11)와, 전송부(12)와, 무선기지국 신호 수신부(13)와, 합성부(14)와, 수신품질 측정부(15)와, 송신전력 제어부(16)와, 송신전력 제어신호 송신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 신호 수신부(11)는, 무선기지국(eNB) 배하의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UE)으로부터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예를 들면, 제어신호나 데이터신호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무선기지국(eNB) 배하의 셀이, 해당 이동국(UE)의 서빙셀이 아닌 경우, 전송부(12)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해당 이동국(UE)의 서빙셀을 관리하는 다른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기지국 신호 수신부(13)는,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예를 들면, 상기 다른 무선기지국 배하의 셀에 있어서 수신된 해당 이동국(UE)으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무선기지국(eNB) 배하의 셀이, 상술한 이동국(UE)의 서빙셀인 경우, 합성부(14)는, 상기 무선기지국(eNB) 배하의 셀에 있어서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상향링크 신호(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술한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해당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합성부(14)는, 상술한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레이어 1 신호로서 해당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최대비 합성(MRC:Maximal Ratio Combining)에 의해 해당 제1 상향링크 신호와 해당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합성부(14)는, 상술한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레이어 2 신호 또는 레이어 3 신호로서 해당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선택 합성에 의해 해당 제1 상향링크 신호와 해당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수신품질 측정부(15)는, 합성부(14)에 의해 합성된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신품질로서는, 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나, 수신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등이 상정된다.
송신전력 제어부(16)는, 수신품질 측정부(15)에 의해 측정된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송신전력 제어부(16)는, 수신품질 측정부(15)에 의해 측정된 수신품질이 목표값에 가까워지도록, 해당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의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전력 제어신호 송신부(17)는, 송신전력 제어부(16)에 의해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해당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UE)은, 송신전력 제어신호 수신부(21)와, 송신전력 결정부(22)와, 송신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전력 제어신호 수신부(21)는, 상술한 무선기지국(eNB), 즉, 해당 이동국(UE)의 서빙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eNB), 혹은, 해당 이동국(UE)이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각 셀을 관리하는 각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전력 결정부(22)는, 송신전력 제어신호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부(23)는, 송신전력 결정부(22)에 의해 결정된 송신전력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0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eNB#1 배하의 셀 #1과 무선기지국 eNB#2 배하의 셀 #2와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UE)이, 상향링크 신호로서 데이터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셀 #1이, 이동국(UE)의 서빙셀인 것으로 한다.
단계 S1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eNB#2는, 셀 #2에 있어서 수신한 이동국(UE)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무선기지국 eNB#1로 전송한다.
단계 S10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eNB#1은, 셀 #1에 있어서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신호(제1 상향링크 신호)와, 무선기지국 eNB#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신호(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한다.
단계 S10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eNB#1은, 합성 후의 데이터신호(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eNB#1은, 이동국(UE)에 대해,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1006에 있어서, 이동국(UE)은, 수신한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작용·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르면,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에 있어서, 이동국(UE)의 서빙셀을 관리하는 무선기지국 eNB#1이, 해당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무선기지국 eNB#1의 상위노드(예를 들면, 무선제어장치(RNC)나 교환국(MME) 등)가,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고속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변경 예 1)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 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차이점에 착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경 예 1에 있어서,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RRE)은, 이동국 신호 수신부(31)와, 이동국 신호 송신부(32)와, 송신전력 제어신호 수신부(33)와, 송신전력 제어신호 송신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 신호 수신부(31)는, 무선기지국(RRE) 배하의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UE)으로부터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예를 들면, 제어신호나 데이터신호 등)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국 신호 송신부(32)는, 이동국 신호 수신부(31)에 의해 수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해당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무선기지국(eNB)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전력 제어신호 수신부(33)는, 해당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해당 이동국(UE)에 대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전력 제어신호 송신부(34)는, 송신전력 제어신호 수신부(33)에 의해 수신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해당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변경 예 1에 있어서,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를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무선기지국(eNB)은, 무선기지국 신호 수신부(41)와, 합성부(42)와, 수신품질 측정부(43)와, 송신전력 제어부(44)와, 송신전력 제어신호 송신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기지국 신호 수신부(41)는,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기지국(RRE)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예를 들면, 각 무선기지국(RRE) 배하의 셀에 있어서 수신된 이동국(UE)으로부터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합성부(42)는, 무선기지국 신호 수신부(41)에 의해 수신된 복수의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신품질 측정부(43)는, 합성부(42)에 의해 합성된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신품질로서는, 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나, 수신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등이 상정된다.
송신전력 제어부(44)는, 수신품질 측정부(43)에 의해 측정된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송신전력 제어부(44)는, 수신품질 측정부(43)에 의해 측정된 수신품질이 목표값에 가까워지도록, 해당 송신전력 제어신호로서의 TPC 커맨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전력 제어신호 송신부(45)는, 송신전력 제어부(44)에 의해 생성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해당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첫째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변경 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예에서는, 이동국(UE)은,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 내의 무선기지국 RRE#1 배하의 셀 #11과 무선기지국 RRE#2 배하의 셀 #12와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2001에 있어서, 이동국(UE)이, 상향링크 신호로서 데이터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2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RRE#1은, 셀 #11에 있어서 수신한 이동국(UE)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무선기지국 eNB#10으로 전송하고, 단계 S2003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RRE#2는, 셀 #12에 있어서 수신한 이동국(UE)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무선기지국 eNB#10으로 전송한다.
단계 S20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eNB#10은, 무선기지국 RRE#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신호(상향링크 신호)와, 무선기지국 RRE#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신호(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한다.
단계 S20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eNB#10은, 합성 후의 데이터신호(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S2006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eNB#10은, 무선기지국 RRE#1에 대해,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2007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RRE#1은, 이동국(UE)에 대해,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S2008에 있어서, 이동국(UE)은, 수신한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둘째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변경 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예에서는, 이동국(UE)은,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 내의 무선기지국 eNB#2 배하의 셀 #2와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 내의 무선기지국 RRE#1 배하의 셀 #11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3001에 있어서, 이동국(UE)이, 상향링크 신호로서 데이터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3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RRE#1은, 셀 #11에 있어서 수신한 이동국(UE)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무선기지국 eNB#10으로 전송한다.
무선기지국 eNB#2는, 단계 S3003에 있어서, 셀 #2에 있어서 수신한 이동국(UE)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단계 S3004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한다.
한편, 무선기지국 eNB#10은, 단계 S3005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RRE#1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신호(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단계 S3006에 있어서,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무선기지국 RRE#1을 통해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한다.
단계 S3007에 있어서,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 eNB#2로부터 수신한 송신전력 제어신호 및 무선기지국 RRE#1로부터 수신한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 eNB#2로부터 수신한 송신전력 제어신호 및 무선기지국 RRE#1로부터 수신한 송신전력 제어신호의 양방이,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올리는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올리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내리도록 동작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르면,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 및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가 혼재하고 있는 환경에 있어서, 이동국(UE)이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셀의 종류에 따라, 해당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유연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UE)이나 무선기지국(eNB)이나 무선기지국(RRE)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UE)이나 무선기지국(eNB)이나 무선기지국(RR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이동국(UE)이나 무선기지국(eNB)이나 무선기지국(RR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Claims (11)

  1. 제1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1 셀과 제2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2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이, 상기 제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는 공정 A;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이, 상기 제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공정 B;
    상기 이동국이, 수신한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공정 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이, 레이어 1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이, 최대비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이, 레이어 2 신호 또는 레이어 3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이, 선택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전력 제어방법.
  4. 제1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1 셀과 제2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2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은, 수신한 상기 송신전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레이어 1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최대비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레이어 2 신호 또는 레이어 3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선택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7. 제1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1 셀과 제2 무선기지국 배하의 제2 셀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기지국으로서 기능하는 무선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합성부;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레이어 1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최대비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레이어 2 신호 또는 레이어 3 신호로서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선택 합성에 의해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2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10. 제1 셀을 관리하는 제1 무선기지국과, 제2 셀을 관리하는 제2 무선기지국과, 제3 셀을 관리하는 제3 무선기지국과, 제4 셀을 관리하는 제4 무선기지국과, 제5 셀을 관리하는 제5 무선기지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기지국 및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자립분산 제어형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무선기지국 및 상기 제4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5 무선기지국에 의한 집중 제어형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국이, 상기 제1 무선기지국과 상기 제2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1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2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3 무선기지국과 상기 제4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3 무선기지국 및 상기 제4 무선기지국은, 각각 상기 제3 셀 및 상기 제4 셀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제3 상향링크 신호 및 제4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5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3 상향링크 신호와 상기 제4 상향링크 신호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무선기지국 또는 상기 제4 무선기지국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무선기지국과 상기 제3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1 상향링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3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제5 무선기지국에 대해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5 무선기지국은, 상기 제3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신호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전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무선기지국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KR1020117006583A 2008-09-22 2009-09-17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 KR201100796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2658A JP5085481B2 (ja) 2008-09-22 2008-09-22 送信電力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JPJP-P-2008-242658 2008-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625A true KR20110079625A (ko) 2011-07-07

Family

ID=4203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583A KR20110079625A (ko) 2008-09-22 2009-09-17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28641B2 (ko)
EP (1) EP2334125A4 (ko)
JP (1) JP5085481B2 (ko)
KR (1) KR20110079625A (ko)
CN (1) CN102160432B (ko)
WO (1) WO201003277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966A1 (ko) * 2011-11-07 2013-05-16 주식회사 팬택 협력형 다중 포인트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송수신 포인트의 상향링크 통신방법, 그 송수신 포인트, 그 단말
WO2013069994A1 (ko) * 2011-11-08 201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92B1 (ko) * 2006-08-30 2007-10-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간 간섭을 제어하는 방법
KR100753369B1 (ko) 2006-08-30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간 간섭을 저감하는 방법
JP5080607B2 (ja) * 2010-04-05 2012-11-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9210666B2 (en) 2011-10-03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and timing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schemes
EP2853120A1 (en) * 2012-05-23 2015-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pow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8384B2 (ja) * 1996-03-18 1998-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
JP3352593B2 (ja) * 1996-05-22 2002-12-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中送信電力制御方法
GB2337414A (en) * 1998-05-14 1999-11-17 Fujitsu Ltd Soft handoff in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s
JP3499466B2 (ja) * 1999-07-09 2004-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3736429B2 (ja) * 2001-02-21 2006-01-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並びに通信制御方法
KR20030019904A (ko) 2001-06-06 2003-03-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셀룰라 무선 전송 장치 및 셀룰라 무선 전송 방법
US7190964B2 (en) * 2001-08-20 2007-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1xEV-DV systems
JP4216694B2 (ja) * 2003-11-07 2009-0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送信電力設定方法
JP3779303B2 (ja) * 2003-12-16 2006-05-24 株式会社東芝 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の基地局
US8848574B2 (en) 2005-03-15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A94402C2 (ru) * 2005-03-15 2011-05-10 Кве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Управление помехой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4840326B2 (ja) * 2005-03-28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移動端末
EP2252105B1 (en) 2005-03-28 2020-01-15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handover controlling method,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mobile terminal
JP4837957B2 (ja) * 2005-08-23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基地局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通信方法
EP2020154B8 (en) * 2006-05-17 2015-12-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with best-effort macro diversity
US8340679B1 (en) * 2010-05-18 2012-12-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daptive power control with an overall power control comm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966A1 (ko) * 2011-11-07 2013-05-16 주식회사 팬택 협력형 다중 포인트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송수신 포인트의 상향링크 통신방법, 그 송수신 포인트, 그 단말
WO2013069994A1 (ko) * 2011-11-08 201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0432B (zh) 2013-11-27
EP2334125A1 (en) 2011-06-15
CN102160432A (zh) 2011-08-17
JP2010074740A (ja) 2010-04-02
JP5085481B2 (ja) 2012-11-28
US8428641B2 (en) 2013-04-23
US20110218015A1 (en) 2011-09-08
EP2334125A4 (en) 2014-07-09
WO2010032774A1 (ja)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49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mobility through beam tracking in new radio access system
TWI321964B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on channel coverage using beamforming antennas
KR20110079625A (ko) 송신전력 제어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무선기지국
KR1019800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475051B1 (ko) 분리된 다운링크 및 업링크
JP5776791B2 (ja)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端末
US200700322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163692B2 (ja) 無線制御装置及び移動通信制御方法
US20120083275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56267A1 (en) Power compensat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8547905B2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500864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2115229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経路選択方法
US7548527B2 (en) Securing a connection in a radio system
JP409908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20080045601A (ko) 랜덤액세스 방법 및 랜덤액세스 응답 방법
US11363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am sweeping optimization based on a service threshold
JP400951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制御局
KR101742428B1 (ko)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 및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
JP397200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10505611B2 (en) Method for obtaining channel spati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JP2006211326A (ja) 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