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247A -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247A
KR20110079247A KR1020090136253A KR20090136253A KR20110079247A KR 20110079247 A KR20110079247 A KR 20110079247A KR 1020090136253 A KR1020090136253 A KR 1020090136253A KR 20090136253 A KR20090136253 A KR 20090136253A KR 20110079247 A KR20110079247 A KR 20110079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yrolysis
waste
chamber
combustibl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012B1 (ko
Inventor
곽연호
김용학
천경호
김건태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0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6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recirculation of unburned solid or gaseous matter into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10Waste heat recuperation reintroducing the heat in the same process, e.g. for pre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을 가지는 건조기,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된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실 및 열분해실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실을 가지는 열분해장치, 열분해장치로부터 가연성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를 연소실에 공급하는 연소가스 회수수단,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건조실에 공급하는 배기가스 회수수단, 건조실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를 연소장치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폐가스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90136253
건조, 기체화, 열분해, 폐기물

Description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Combustible Waste Gas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에 의하여 기체화(가스화)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의 시스템이라 함은 복합적인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연성폐기물의 기체화에는 가연성폐기물의 열분해를 이루는 장치가 이용되는데, 이 열분해장치에는 가연성폐기물로서 수분을 함유하는 것과 그러하지 아니하는 것이 뒤섞인 폐기물이 투입된다. 열분해장치에 의한 가연성폐기물의 기체화에는 투입되는 가연성폐기물이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수록, 이에 비례하여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따라서 이전에는 가연성폐기물의 기체화 전에 함수폐기물을 제거하는 선별단계를 거치거나 함수폐기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를 거치고는 하였는데, 선별단계의 경우에는 함수폐기물이 서로 뭉치는 현상으로 정확한 선별이 어렵고 힘들다는 문제가 있었고, 건조단계의 경우에는 건조열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전의 열분해장치를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을 보면, 열분해장치 등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고온의 열에너지를 가지는 것임에도 정화처리 이 후, 별다른 활용 없이 그대로 대기로 방출하고는 하였는바, 이와 관련 적절한 활용방안 마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화 대상인 가연성폐기물의 건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가스의 에너지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연성폐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을 가지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된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실 및 이 열분해실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실을 가지는 열분해장치와; 상기 열분해장치의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건조기의 건조실에 공급하는 배기가스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배기가스 회수수단은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상기 건조실로 수송하는 배기가스 회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은 상기 열분해장치로부터 가연성폐기물의 열분해 시 생성되는 가연성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를 상기 열분해장치의 연소실에 공급하는 연소가스 회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은 상기 열분해장치의 연소실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소가스 회수수단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의 연소가스를 수송하는 연소가스 회수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풍기는 상기 연소가스 회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은 가연성폐기물의 건조에 이용되고서 상기 건조기의 건조실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를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폐가스 회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폐가스 회수수단은 상기 건조실로부터의 폐가스를 상기 연소장치로 수송하는 폐가스 회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은 상기 폐가스 회수수단에 의하여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되는 폐가스와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되는 연소공기 간의 열교환을 이루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 연소가스의 일부를 제공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보일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은 상기 열분해장치로부터 가연성폐기물의 열분해 시 생성되는 차르를 제공받아 금속을 제거하는 선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은 상기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된 가연성폐기물을 상기 열분해장치에 공급하는 폐기물 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폐기물 공급장치는 가연성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호 퍼와;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배출되는 가연성폐기물을 상기 열분해장치로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수단과; 상기 투입호퍼의 배출구에 이 배출구를 통한 폐기물 배출방향과 교차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폐기물 해체날개와; 상기 폐기물 해체날개를 회전시키는 날개 회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폐기물 이송수단은 상기 폐기물 해체날개의 축선과 나란히 있도록 상기 투입호퍼의 배출구에 연결된 이송드럼과; 이 이송드럼의 내부에 길이를 따라 배치된 이송스크루와; 이 이송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스크루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 회전기구는 상기 이송스크루의 회전력을 상기 폐기물 해체날개의 축에 전하는 전동기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연성폐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을 가지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된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실 및 이 열분해실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실을 가지는 열분해장치와; 상기 열분해장치로부터 가연성폐기물의 열분해 시 생성되는 가연성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를 상기 건조기의 건조실에 공급하는 연소가스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실 및 이 열분해실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실을 가지는 열분해장치와; 상기 열분해장치로부터 가연성폐기물의 열분해 시 생성되는 가연성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일부가 상기 열분해장치의 연소실을 경유한 후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되도록 순환시키는 가스순환수단을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너지 측면에서는 그 활용도를 대폭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환경적으로는 NOx의 배출농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이하, 제1실시예)이 도시된 구성도로, 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가연성폐기물을 공급하는 폐기물 공급장치(10), 이 폐기물 공급장치(10)로부터 제공되는 가연성폐기물을 무산소 또는 저산소 상태에서 간접적으로 가열하여 열분해하는 로터리 킬른(rotary kiln)식의 열분해장치(20)를 포함한다.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과정에서는 부산물로서 가연성가스와 탄화물인 차르(char)가 생성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는 가연성가스를 제공받아 완전연소시키는 연소장치(30) 및 차르를 제공받아 금속을 제거하는 자력식의 선별기(40)를 더 포함하고, 이 밖으로는 보일러(50), 건조기(60), 가스순환수단(72,74,76) 및 열교환기(80)를 더 포함한다. 보일러(50)는 연소장치(30)로부터 연소가스를 제공받아 스팀을 생성한다. 건조기(60)는 열분해장 치(20)에 의한 가연성폐기물의 기체화단계 전에 가연성폐기물을 건조하고, 폐기물 공급장치(10)는 이 건조기(60)에 의하여 건조된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장치(20)에 공급한다. 가스순환수단(70)은 연소장치(30)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일부가 열분해장치(20), 건조기(6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연소장치(30)로 되돌아오도록 순환시킨다. 열교환기(80)는 가스순환수단(70)에 의하여 연소장치(30)로 되돌아오는 가스(폐가스)와 연소장치(30)에 공급되는 외부공기(연소공기) 간의 열교환을 이룬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폐기물 공급장치(10)가 도시된 부분단면도이다. 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공급장치(10)는 가연성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10), 이 투입호퍼(110)의 폐기물 배출구(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해체날개(120), 폐기물 배출구(112)에 연결되며 내부공간을 폐기물 이송통로(132)로 하는 일직선형의 이송드럼(130), 이 이송드럼(130)의 내부공간에 폐기물 이송통로(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이송스크루(140), 이 이송스크루(140)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스크루 구동수단(150), 이송스크루(140)의 회전력을 해체날개(120)에 이 해체날개(120)가 간헐적으로 회전되도록 전달하는 전동기구(160)를 포함한다.
해체날개(120)는 폐기물 배출구(112)가 가연성폐기물의 엉킴, 들러붙음 현상 등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해체날개(120)는 한 개,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단위날개(122)를 포함하는데, 이 복수 개의 단위날개(122)는 날개 축(124)에 서로 이격된 것과 동시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날개 축(124)은 폐기물 배출구(112)를 통한 폐기물 배출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날개 축(124)의 양쪽은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고, 날개 축(124)의 양단 부분 중 한쪽은 투입호퍼(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날개 축(124)이 폐기물의 배출방향과 수직인 구조는 단위날개(122)의 회전이 폐기물 배출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이 단위날개(122)가 폐기물 배출에 지장을 초래함이 없도록 한 것이다. 물론, 날개 축(124)을 폐기물 배출방향과 직교시키지 않고 단순히 교차시키더라도, 가연성폐기물은 날개 축(124)이 폐기물 배출방향과 나란한 것보다 원활히 배출된다. 이에, 날개 축(124)은 폐기물 배출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송드럼(130)과 이송스크루(140)는 둘 모두 날개 축(124)과 나란하여 이 날개 축(124)과 평행을 이룬다. 이송드럼(130)의 양쪽 중 한쪽은 폐기물 배출구(112)와 연결되고 다른 쪽은 열분해장치(20)와 연결된다. 이송스크루(140)는 스크루날개(142) 및 스크루 축(144)을 포함하는데, 스크루날개(142)는 스크루 축(144)의 둘레에 나선상의 궤적을 그리도록 감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크루 축(144)은 이송드럼(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스크루 축(144)의 양단 부분 중 한쪽은 날개 축(124)의 돌출부(124a)의 직하에 위치하도록 이송드럼(130)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렇게 이송드럼(13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44a)의 끝 부분에는 스크루 구동수단(150)을 구성하는 모터가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는 전동기구(160)를 나타낸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날개 회전기구의 역할을 하는 전동기구(160)는 스크루 축(144)의 돌출부(144a)에 장착된 구동날개(161), 날개 축(124)의 돌출부(124a)에 장착된 종동날개(165)를 포함하는데, 구동날개(161)와 종동날개(165)는 둘 모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단위날개(162,166)를 가지며, 이 양 단위날개(162,166)는 서로 맞물 수 있게 설계되어 구동날개(161)가 회전되면 이 회전력이 종동날개(165)에 전달된다. 구동날개(161)의 각 단위날개(162)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종동날개(165)의 각 단위날개(166)는 막대형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종동날개(165)의 단위날개(166)는 구동날개(161)의 단위날개(162)와의 맞물림이 원활하도록 단부가 각각 구동날개(161)에 의하여 회전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꺾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폐기물 공급장치(10)는 그 스크루 구동수단(150)을 작동시키면 이송스크루(140)가 회전되고 이 이송스크루(140)의 회전력이 구동날개(161)와 종동날개(165)에 의하여 해체날개(120)에 전달, 해체날개(120)가 회전된다. 투입호퍼(110)에는 건조기(60)에 의하여 건조가 이루어진 가연성폐기물이 투입되고, 이 투입된 가연성폐기물은 폐기물 배출방향과 직교하는 축선(즉, 날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단위날개(122)에 의하여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출되어 이송드럼(130)의 내부로 낙하된 후, 폐기물 이송통로(132)를 따라 이송되어 열분해장치(20)에 공급된다.
가연성폐기물에 열을 가하여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장치는 원통형의 열분해드럼(21), 투입유닛(22), 배출유닛(23) 및 연소로(24)를 포함한다.
열분해드럼(21)은 지지수단에 의하여 기초구조물의 상측에 눕혀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된다. 열분해드럼(21)의 양단 중 한쪽에는 폐기물 공급장치(10)로부터의 가연성폐기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1i)가 마련 되고, 열분해드럼(21)의 내부공간인 열분해실에서는 투입된 가연성폐기물이 열분해되며, 열분해드럼(21)의 양단 중 다른 쪽에는 가연성가스와 차르가 배출되는 배출구(21o)가 마련된다. 이러한 열분해드럼(21)은 회전 시 그 안의 가연성폐기물이 길이를 따라 배출구(21o) 측으로 이송되도록 일정한 각도 경사질 수도 있고, 내주에 나선형의 이송날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투입유닛(22)은 열분해드럼(21)의 투입구(21i) 측에, 배출유닛(23)은 열분해드럼(21)의 배출구(21o) 측에 각각 설치되는바, 열분해드럼(21)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이 열분해드럼(21)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투입유닛(22)은 열분해드럼(21)의 가연성폐기물 투입과정에서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고, 배출유닛(23)은 가연성가스 및 차르 배출과정에서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참고로, 폐기물 공급장치(10)로부터의 가연성폐기물은 투입유닛(22)을 거쳐 열분해드럼(21)에 투입되고, 이 열분해드럼(21)으로부터의 가연성가스와 차르는 배출유닛(23)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연소로(24)는 투입유닛(21)과 배출유닛(23) 사이에 배치되며 열분해드럼(21)의 둘레에서 이 열분해드럼(21)의 둘레를 감싸되, 열분해드럼(21)의 회전운동을 방해함이 없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이 같이 설치된 때 열분해드럼(21)과의 사이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 즉 연소실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소로(24)는 가열유닛(25)에 의하여 가열되는바, 그 양쪽 중 한쪽에는 연소가스 유입구(24i)가, 다른 쪽에는 연소가스 배출구(24o)가 각각 마련된다.
연소장치(30)는 연소로(31)와 버너(32)을 포함한다. 연소장치(30)는 그 연소 로(31)가 가연성가스 배기관(26)을 매개로 하여 배출유닛(23)과 연결되어 열분해장치(20)로부터 약 600℃의 가연성가스를 제공받는 한편, 연소공기 공급관(33)과 압입송풍기(34)를 포함하는 연소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를 제공받는다.
선별기(40)는 차르 배출관(27)을 매개로 배출유닛(23)과 서로 연결되고, 차르 배출관(27) 상에는 열분해장치(20)로부터의 차르를 선별기(40) 측으로 이송시키는 차르 이송장치(41)가 설치된다. 선별기(40)에 의하여 금속이 제거된 차르 및 제거된 금속은 각각 저장조(42,43)에 저장된다.
보일러(50)는 연소가스 배기관(35)을 매개로 연소장치(30)의 연소로(31)와 서로 연결되어 스팀 생성을 위한 열원을 연소장치(30)로부터 공급받는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일러(5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반건식 반응탑(semi dry reactor), 백 필터(bag filter) 및 연돌을 순차적으로 지나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건조기(60)는 내부를 가연성폐기물이 건조되는 건조실로 하는 건조로(61) 및 건조열 발생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건조기(60)에 의하여 건조된 가연성폐기물은 운반장치에 의하여 폐기물 공급장치(10)로 이송, 폐기물 공급장치(10)의 투입호퍼(110)에 투입될 수 있다.
가스순환수단(72,74,76)은 연소가스 회수관(72), 배기가스 회수관(74) 및 폐가스 회수관(76)을 포함한다. 연소장치(30)의 연소로(31)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열분해장치(20)에서는 열분해드럼(21)의 가열에 이용되고, 건조기(60)에서는 가연성폐기물의 건조에 이용된다. 연소가스 회수관(72)은 연소가스 배기관(35)에서 분기되고 연소가스 유입구(24i)에 연결되어 열분해장치(20)의 연소실에 연소가스를 공급한다. 배기가스 회수관(74)은 연소가스 배출구(24o)에 한쪽 끝 부분이 연결되고 다른 쪽은 건조로(61)에 연결되어 건조기(60)의 건조실에 열분해장치(20)의 연소로(24)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열분해드럼(21)의 가열에 이용된 후, 배기되는 가스)를 공급한다. 폐가스 회수관(76)은 건조기(60)의 건조로(61)와 연소장치(30)의 연소로(31)에 연결되어 연소장치(30)의 연소로(31)에 건조로(61)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가연성폐기물의 건조에 이용된 후, 배기되는 가스)를 공급한다.
연소가스 회수관(72)에는 열분해장치(20)의 연소실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기(28)가 연결되어, 이 열풍기(28)로부터의 가열공기는 연소장치(30)로부터의 연소가스와 함께 연소가스 회수관(72)을 따라 수송되어 열분해장치(20)의 연소실에 공급된다. 참고로, 열분해장치(20)의 연소실에 공급되는 가스는 750~800℃이고, 건조기(60)의 건조실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500~550℃이며, 연소장치(30)의 연소로(31)에 공급되는 폐가스의 온도는 300~350℃이다.
열교환기(80)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두 개씩 가지는데, 어느 하나의 유입구와 유출구에는 연소장치(30)에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6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연소공기 공급관(33)이 연결되고, 나머지 유입구와 유출구에는 건조로(61)로부터 배출되는 폐가스가 열교환기(6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폐가스 회수관(76)이 연결된다. 열교환기(60)는 그 내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폐가스의 열교환을 이루고 열교환과정에서 외부공기와 폐가스가 서로 혼합됨이 없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78은 유인송풍기로, 이 유인송풍기(78)는 폐가스 회수관(76) 상에 설치되어 폐가스를 강제 이송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에 의하면, 열분해장치(20)에 공급되는 가연성폐기물은 열분해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가연성가스와 차르가 생성된다.
열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연성가스는 연소장치(30)에 공급되어 완전연소된다. 이러한 가연성가스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약 900℃의 연소가스 중 일부는 보일러(50)에 공급되어 스팀 생성을 위한 열원으로 이용된다. 이 약 900℃의 연소가스 중 나머지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회수관(72)에 의하여 열분해장치(20)에 공급되어 열분해드럼(21)의 가열에 이용되고, 배기가스 회수관(74)에 의하여 건조기(60)에 공급되어 가연성폐기물의 건조에 이용된 후, 폐가스 회수관(76)에 의하여 연소장치(30)에 공급되어 연소된다.
압입송풍기(34)에 의하여 연소공기 공급라인(33)을 따라 수송되는 외부공기는 열교환기(80)를 거쳐 연소장치(30)에 공급되는바, 이 열교환기(80)를 거치는 과정 중 열교환기(80)를 통과하는 폐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예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이하, 제2실시예)이 도시된 구성도로, 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연소장치(30)로부터의 연소가스는 건조기(60)의 건조실에 공급되고, 열풍기(28)로부터의 가열공기는 열분해장치(20)의 연소실에 직접 공급되며, 열분해장치(20)로부터의 배기가스는 건조기(60) 의 건조실과 연소장치(30)의 연소로(31)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되도록 구성한 점만이 상이하다. 즉, 제2실시예는 가스순환수단에 의한 순환구조를 변경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기물 공급장치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동기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는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폐기물 공급장치 20 : 열분해장치
30 : 연소장치 40 : 선별기
50 : 보일러 60 : 건조기
72 : 연소가스 회수관 74 : 배기가스 회수관
76 : 폐가스 회수관 80 : 열교환기

Claims (8)

  1. 가연성폐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을 가지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된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실 및 이 열분해실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실을 가지는 열분해장치와;
    상기 열분해장치의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건조기의 건조실에 공급하는 배기가스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장치로부터 가연성폐기물의 열분해 시 생성되는 가연성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를 상기 열분해장치의 연소실에 공급하는 연소가스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장치의 연소실에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기를 더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회수수단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의 연소가스를 수송하는 연소 가스 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기는 상기 연소가스 회수관에 연결된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건조실로부터 가연성폐기물의 건조에 이용되고서 배출되는 폐가스를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하여 연소시키는 폐가스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폐가스 회수수단에 의하여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되는 폐가스와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되는 연소공기 간의 열교환을 이루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7. 가연성폐기물을 건조하는 건조실을 가지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된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실 및 이 열분해실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실을 가지는 열분해장치와;
    상기 열분해장치로부터 가연성폐기물의 열분해 시 생성되는 가연성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를 상기 건조기의 건조실에 공급하는 연소가스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8. 가연성폐기물을 열분해하는 열분해실 및 이 열분해실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실을 가지는 열분해장치와;
    상기 열분해장치로부터 가연성폐기물의 열분해 시 생성되는 가연성가스를 제공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일부가 상기 열분해장치의 연소실을 경유한 후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되도록 순환시키는 가스순환수단을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KR1020090136253A 2009-12-31 2009-12-31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KR10116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253A KR101167012B1 (ko) 2009-12-31 2009-12-31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253A KR101167012B1 (ko) 2009-12-31 2009-12-31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247A true KR20110079247A (ko) 2011-07-07
KR101167012B1 KR101167012B1 (ko) 2012-07-24

Family

ID=4491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253A KR101167012B1 (ko) 2009-12-31 2009-12-31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0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21B1 (ko) * 2012-02-23 2013-06-03 나문주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장치
KR101270724B1 (ko) * 2012-11-30 2013-06-03 이석정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WO2013125928A1 (ko) * 2012-02-23 2013-08-29 Kim Pill Sung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KR20220103394A (ko) * 2021-01-15 2022-07-22 황현아 복합열원을 이용한 폐기물 탄화장치
KR102450826B1 (ko) * 2022-04-05 2022-10-06 김일 히트스틱 제조 시스템에서 발생한 소각물을 소각한 폐열을 이용한 바이오차 제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992B1 (ko) * 2017-07-12 2018-09-05 한국메탈실리콘 주식회사 폐자원재활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1562A (ja) 2004-06-11 2005-12-22 Hitachi Ltd 廃棄物処理装置
JP5297066B2 (ja) * 2008-03-28 2013-09-25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汚泥炭化処理設備における熱分解ガス処理方法及び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21B1 (ko) * 2012-02-23 2013-06-03 나문주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장치
WO2013125928A1 (ko) * 2012-02-23 2013-08-29 Kim Pill Sung 폐기물의 탄화 및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KR101270724B1 (ko) * 2012-11-30 2013-06-03 이석정 폐기물의 열분해 가스화 연소장치
KR20220103394A (ko) * 2021-01-15 2022-07-22 황현아 복합열원을 이용한 폐기물 탄화장치
KR102450826B1 (ko) * 2022-04-05 2022-10-06 김일 히트스틱 제조 시스템에서 발생한 소각물을 소각한 폐열을 이용한 바이오차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012B1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012B1 (ko)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KR101916958B1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KR100894899B1 (ko) 초고온 건조시스템
US20190376742A1 (en) A slurry drying plant, a method for drying slurry and use of a slurry drying plant
KR20180054939A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JP2011137613A (ja) 乾燥装置
KR101158906B1 (ko) 유기물 건조장치
JP2011190969A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1223910B1 (ko) 폐활성탄 재생장치
KR100466914B1 (ko) 탄화장치
KR101167018B1 (ko) 가연성폐기물 기체화시스템
KR101058229B1 (ko) 폐기물 고형연료화용 건조장치
JP2020067187A (ja) 乾燥装置、及び乾燥システム
KR20230046576A (ko) 고체 연료 건조 및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발열 시스템
CN217127251U (zh) 一种污泥处理系统
JP3435568B2 (ja) 連続炭化装置および連続炭化方法
KR100490051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JP2013015301A (ja) 含水物の加熱処理装置
KR101408686B1 (ko) 가연성 물질의 탄화 장치
KR200335340Y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장치
KR20050017626A (ko) 폐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CN216574840U (zh) 全连续热解热风系统
CN117209113A (zh) 一种具有多点热风炉装置的污泥热解反应釜
KR20100116148A (ko) 폐기물 공급장치
KR101011435B1 (ko) 폐기물 공급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가연성폐기물 기체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