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759A -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759A
KR20110077759A KR1020090134416A KR20090134416A KR20110077759A KR 20110077759 A KR20110077759 A KR 20110077759A KR 1020090134416 A KR1020090134416 A KR 1020090134416A KR 20090134416 A KR20090134416 A KR 20090134416A KR 20110077759 A KR20110077759 A KR 20110077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image
unit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384B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09013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384B1/ko
Priority to ES14150921T priority patent/ES2880928T3/es
Priority to EP14150921.6A priority patent/EP2720030B8/en
Priority to EP10196588.7A priority patent/EP2341331B1/en
Priority to ES10196588.7T priority patent/ES2685772T3/es
Priority to US12/977,378 priority patent/US8791993B2/en
Priority to CN201010624511.2A priority patent/CN102117442B/zh
Publication of KR2011007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은 약품의 조제 정보 및 약품의 개별 포장별로 형성된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조제정보서버 및 상기 조제정보서버와 연결되어, 약품을 포장별로 촬영하고, 촬영된 약품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약품 조제 정보와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약품 조제의 결함을 판단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제, 약품, 검사, 결함, 영상

Description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Automatic inspection system and the method of prescription drugs}
본 발명은 조제된 약품의 결함여부를 자동으로 검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개별 포장된 약품의 영상을 분석하여, 조제 정보와 일치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및 약국에서 조제된 약품은 1회 복용량으로 개별 포장되고, 복용 기간 또는 횟수에 따라 포장된 약품이 환자에게 제공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약품은 조제 과정이 완료되면 개별 포장으로 밀봉되어, 조제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약품으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약품 포장지를 투명 재질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포장지에 밀봉된 약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조제 약품을 대량으로 관리하는 병원 및 약국에서 조제 상태의 정상여부를 개별 포장 약품을 확인하는 작업은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오랜 검사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색상이나 크기가 동일 또는 유사한 약품의 오류는 쉽게 판단할 수 없으므로 그로 인한 조제 약품의 불량 발생은 환자의 치료의 효과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해를 끼칠 수 있는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의 목적은 조제된 약품을 포장별로 촬영 후, 영상 분석을 통해 조제 약품의 정상여부를 검사하여, 약품 조제의 불량률을 낮추고 조제 약품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식별코드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조제 약품 포장지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약품의 조제 정보 조회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단일 포장 약품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각 약품의 패턴 정보를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각 약품별 기본 정보 및 패턴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촬영된 약품 영상의 패턴 정보와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라벨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조제 약품의 포장별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라벨을 생성하고, 부착하여, 결함 조제 약품을 식별하기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이동부를 더 구비하여, 바코드 인식, 조제 약품의 촬영 및 라벨 부착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약품의 크기, 수량, 외형 등의 다양한 패턴 정보로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를 판단하여, 조제 약품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이동부에 재배치부를 더 포함하여, 약포 내의 중첩된 약품 또는 촬영 방향이 잘못된 약품을 흔들어 재배치시킬 수 있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목적은 촬영된 조제 약품을 영상을 분석하여, 약품의 패턴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를 판단하여, 조제 약품 검사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약품의 개별 포장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조제 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약품의 컬러 영상과 더불어 흑백 영상을 생성하여, 약품의 개별 영역 분석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약품 영상을 개별 약품의 독립 영역을 분석하여, 개별 약품의 패턴 정보를 도출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조제 정보의 약품과 촬영된 약품의 외형에 따른 히스토그램 정보를 도출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조제 정보와 촬영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또는 약품 외형 히스토그램 정보와 불일치할 경우, 결함라벨을 부착하여, 결함 약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조명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하여, 조제 약품 포장지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획득된 약품 영상의 촬영 상태를 확인하여, 분석이 불가능한 약품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영상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은 약품의 조제 정보 및 약품의 개별 포장별로 형성된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조제정보서버 및 상기 조제정보서버와 연결되어, 약품을 포장별로 촬영하고, 촬영된 약품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약품 조제 정보와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약품 조제의 결함을 판단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의 검사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 및 조제정보서버와 연결되어, 약품 조제 정보에 따른 포장별 약품의 조제 이상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제 약품의 단일 포장 별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각 약품별 영상 분석을 통해 약품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촬영된 약품 영상의 약품 패턴을 분석하여, 조제 약품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약품패턴분석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제 약품 검사에 따라 발생된 검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은 조제정보서버로부터 약품 조제 정보를 검색하는 조제 정보 호출 단계, 조제 정보에 따른 약품패턴분석부의 약품 패턴 정보를 확인하는 조제 약품 패턴 정보 확인 단계, 조제 약품의 포장별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수집하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약품 영상을 분석하여, 각 약품을 독립 영역으로 추출하는 영상 분석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약품의 패턴 정보와 상기 조제 정보의 약품 패턴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약품 패턴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은 조제된 약품을 포장별로 촬영 후, 영상 분석을 통해 조제 약품의 정상여부를 검사함으로써, 약품 조제의 불량률을 낮추고 조제 약품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별코드인식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제 약품 포장지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약품의 조제 정보 조회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포장 약품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각 약품의 패턴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약품별 기본 정보 및 패턴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영상 촬영된 약품의 패턴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벨생성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제 약품의 포장별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라벨을 생성하고, 부착하여, 결함 조제 약품을 식별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바코드 인식, 조제 약품의 촬영 및 라벨 부착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품의 크기, 수량, 외형 등의 다양한 패턴 정보로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조제 약품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에 재배치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약포 내의 중첩된 약품 또는 촬영 방향이 잘못된 약품을 흔들어 재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은 촬영된 조제 약품을 영상을 분석하여, 약품의 패턴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조제 약품 검사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품의 개별 포장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함으로써, 조제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품의 컬러 영상과 더불어 흑백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약품의 개별 영역 분석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품 영상을 개별 약품의 독립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개별 약품의 패턴 정보를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제정보의 약품과 촬영된 약품의 외형에 따른 히스토그램 정보를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조제 약품 검사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조제정보와 촬영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또는 약품 외형 히스토그램 정보와 불일치할 경우, 결함라벨을 부착함으로써, 결함 약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 조절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제 약품 포장지에 형성된 식별코드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획득된 약품 영상의 촬영 상태를 확인하여, 분석이 불가능한 약품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영상 분석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크게 검사부(100) 및 조제정보서버(200)로 구성된다.
상기 조제정보서버(200)는 약품의 조제 정보 및 약품의 개별 포장별로 형성된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병원 또는 약국의 서버를 말한다.
상기 약품의 조제 정보는 환자, 담당자, 약품처방일시, 처방전 내용, 복용기간, 조제 약품 수량 등 약품 조제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는 각 약품의 조제 정보 조회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코드로 구성하였으나, 그 외 RFID 태그 또는 일련의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된 별도의 식별코드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검사부(100)는 상기 조제정보서버(200)와 연결되어, 조제정보서버(200)로부터 조제 정보 및 식별코드를 제공받고, 조제 약품을 포장별로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촬영된 약품의 포장별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약품 조제 정보와 일치여부 확인으로, 약품 조제의 결함을 판단하는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사부(100)는 전원부(10), 제어부(20), 이동부(30), 바코드인식부(40), 영상처리부(50), 약품패턴분석부(60), 라벨생성부(70) 및 저장부(8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0)는 제어부(20)를 통해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조제정보서버(200)와 연결되어, 상기 조제정보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약품 조제 정보에 따른 포장별 약품의 조제 이상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코드인식부(40)는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어, 개별 포장된 약품이 입고되면, 바코드인식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약품 포장지에 형성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제어부(20)에 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제정보서버(200)로부터 약품 조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부(50)는 상기 제어부(20)에 연결되어, 바코드 인식 작업이 완료된 약품의 포장별 영상을 조제 약품의 단일 포장 별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영상처리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51), 촬영부(53), 영상획득부(55) 및 영상분석부(57)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부(51)는 촬영부(53)의 약품 포장별 촬영 시, 약품의 형태가 선명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촬영 모드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약품 포장지의 불균일 표면과 표면 난반사를 방지하여, 바코드인식부(40)의 바코드 인식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촬영부(53)는 개별 포장된 약품의 전면을 촬영하는 역할하며, 상기 조명부(52)의 조절 및 컬러채널 조절로, 하나의 촬영부를 통해 흑백영상과 컬러영상을 동시에 획득하여, 상기 영상획득부(55)에 전달한다.
상기 촬영부(53)의 촬영 영상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약품 포장지는 무색의 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획득부(55)는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설정된 기준 간격마다 수집하 는 역할을 하며, 수집된 영상 프레임은 상기 영상분석부(57)에 전달된다.
상기 영상분석부(57)는 상기 영상획득부(55)로부터 전달된 약품 영상을 분석하여, 각 약품별 패턴정보를 도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약품별 패턴정보는 약품의 크기, 수량, 외형, 컬러, 심볼마크, 무게, 두께를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분석부(57)는 임계값을 이용한 영상이진화 작업을 수행한다.
더불어 영상의 코너의 중심에서 일정한 구간의 원형영상을 추출하여, 영상의 면적과 분리선의 각도를 측정하여 약품 접합코너를 판별하여, 각 약품을 독립영역으로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분리된 각 약품의 독립영역의 영상을 통해 약품의 크기와 수량에 따른 약품 패턴 정보를 제어부(20)에 전달하여, 조제 정보와 일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약품패턴분석부(60)는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어, 각 약품별 영상 분석을 통해 약품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촬영된 약품 영상의 약품 패턴을 분석하여, 조제 약품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약품패턴분석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패턴입력부(61), 약품패턴저장부(63) 및 약품패턴판단부(65)로 구성된다.
약품패턴입력부(61)는 개별 약품의 기본 정보 및 약품 외형을 촬영한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를 입력하는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약품별 명칭, 제조사, 용도, 등 약품의 기본정보 정보를 입력하는 작업을 말한다.
상기 약품패턴저장부(63)는 약품패턴입력부(61) 및 약품패턴분석부(65)와 연결되어, 개별 약품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약품패턴판단부(65)에서 분석된 개별 약품의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약품패턴판단부(65)는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에서 전달된 약품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와 상기 약품패턴저장부(63)에 저장된 약품의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약품의 패턴 정보는 약품의 외형에 따른 히스토그램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약품 패턴 정보는 약품의 컬러, 심볼마크, 무게, 두께 등 많은 분석 조건을 더 구비함에 따라 조제 약품 검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된 라벨생성부(70)를 더 구비하였다.
상기 라벨생성부(70)는 상기 약품패턴분석부(60)에서 판단된 결함여부에 따 라 약품 포장별로 정상 또는 이상 라벨을 생성하여, 약품 포장지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라벨 생성 및 부착을 통해서 결함으로 판단된 조제 약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저장부(80)는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발생된 영상 정보 및 약품패턴분석부(60)에서 발생하는 조제 약품의 결함여부에 따른 검사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된 이동부(30)를 더 구비하였다.
상기 이동부(30)는 상기 바코드인식부(40)의 약품 포장별 바코드 인식 작업, 영상처리부(50)의 영상 촬영 및 라벨생성부(70)의 라벨 부착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포장된 조제 약품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부(30)를 포함함으로써, 순차적인 검사 과정이 수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조제 약품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부(30)는 재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배치부는 상기 영상획득부(55)로부터 수집된 영상의 각 약품의 촬영상태가 양호하지 못할 경우, 약품을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어 약품을 재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재배치부를 포함함에 따라 분석 작업이 곤란한 약품 영상을 이동 시, 재촬영하게 함으로써, 영상 분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을 이용한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
먼저, 약품의 개별 포장별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별코드는 바코드를 이용하므로, 상기 S10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인식부(40)를 이용하여, 약품 포장지 상에 형성된 바코드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명부(51)를 이용하여, 조명 조건을 조절하면, 포장지의 불균일 표면과 표면 난반사를 방지하여, 바코드 인식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조제정보서버(200)로부터 약품 조제 정보를 검색하는 조제 정보 호출 단계를 수행한다.(S20)
상기 S20단계는 병원 또는 약국의 약품 처방전 관련 정보 즉, 약품의 명칭 및 수량 등의 정보를 호출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바코드 정보로 조제 정보의 검색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제정보서버(200)로부터 전달된 조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조제정보에 따라 약품패턴분석부(60)에 저장된 약품 패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
상기 약품 패턴 정보는 사전에 약품패턴분석부(60)의 약품패턴저장부(63)에 저장된 약품의 크기, 외형, 컬러, 심볼마크, 무게, 두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영상처리부(50)를 이용하여, 조제 약품의 포장별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수집하는 영상 획득 단계를 수행한다.(S40)
[도 7]은 상기 S40 단계의 세부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먼저 촬영부(53)를 이용하여, [도 8]의 (b)와 같이, 조제 약품의 RGB 컬러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획득부(55)를 통해 영상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1)
다음으로, 상기 RGB 컬러 영상에서 B채널을 분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3)
다음으로, [도 8]의 (a)와 같이, 조제 약품의 흑백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5)
이때 상기 조명부(51)의 조절로 하나의 촬영부로 컬러영상과 흑백영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획득된 약품 영상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7)
상기 S47 단계는 상기 획득된 영상의 각 약품이 분석이 가능한 형태로 촬영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만일 상기 S47 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영상이 분석 가능한 양호 상태가 아닐 경우, 약품을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어 재배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9)
상기 S49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중첩된 약품 또는 촬영 방향이 잘못 이루어진 약품을 재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획득된 약품 영상을 분석하여, 각 약품을 독립 영역으로 추출하는 영상 분석 단계를 수행한다.(S50)
[도 9]는 상기 S50 단계의 세부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먼저 조제 약품의 흑백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
[도 10]의 (a)는 상기 S51 단계의 조제 약품의 흑백 영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상기 흑백 영상을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진화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3)
상기 S53의 임계값은 상기 흑백영상을 이진화하기 위한 기준 화소값을 말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진화된 영상을 각 약품 연결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55단계는 이진화 영상의 코너의 중심에서 일정 한 구간의 원형영상을 추출하여, 영상의 면적과 분리선의 각도를 측정하여 약품 접합코너를 판별하는 작업을 방법으로 수행된다.
다음으로 각 약품별 독립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7)
[도 10]의 (b)는 상기 S57단계의 조제 약품의 독립 영역으로 분리된 영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약품의 독립영역의 크기, 중심점, 및 수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9)
다음으로, 상기 S50단계의 영상 분석을 통해 도출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크기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60)
상기 S60단계에서 상기 영상 분석을 통해 도출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크기 및 수량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결함라벨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5)
만일 상기 S60단계에서 상기 영상 분석을 통해 도출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크기 및 수량이 일치할 경우, 상기 촬영된 약품의 패턴 정보와 상기 조제 정보의 약품 패턴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약품 패턴 분석 단계를 수행한다.(S70)
[도 11]은 상기 S70단계의 세부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먼저 약품 의 독립영역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1)
[도 12]는 S70의 세부 흐름에 따른 약품 패턴 분석 영상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S71단계의 수행에 따라 (a) 독립영역 영상에서 (b) 영상과 같이 외곽선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의 (c)와 같이, 약품의 외곽선과 중심점 간의 접선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3)
다음으로, [도 12]의 (d)와 같이, 약품의 형상 외곽선의 히스토그램을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5)
다음으로, 상기 약품의 히스토그램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0)
상기 S80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된 타원형 약품은 [도 13]에 도시된 약품패턴저장부의 (b) 약품과 일치하며, (b)약품이 조제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약품의 히스토그램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정보가 일치하며, 라벨생성부(70)를 이용하여, 정상라벨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1)
다음으로, 정상라벨 또는 결함라벨(71)을 부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9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상라벨과 결함라벨을 모두 생성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약품 조제 정보 또는 정상라벨만을 생성하여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개별 약품 포장지당 결함 또는 정상을 표시하는 라벨을 부착할 경우, 외부에서 쉽게 약품의 조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제 약품을 검사를 시행하면, 정확하고, 신속한 약품 검사 작업을 수행으로 결함 약품을 판별하여, 약품 조제의 불량률을 낮추고 나아가 조제 약품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누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조제 약품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의 영상처리부의 상세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의 약품패턴분석부의 상세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의 동작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S10 단계의 동작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S40단계의 상세흐름도.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S45단계와 S41단계의 영상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S50단계의 상세흐름도.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S51단계와 S57 단계의 영상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S70단계의 상세흐름도.
도 1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S71 내지 S75단계의 영상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의 약품패턴저장부에 저장된 약품의 외형별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검사부 200 : 조제정보서버
10 : 전원부 20 : 제어부
30 : 이동부 40 : 바코드인식부
50 : 영상처리부 51 : 조명부
53 : 촬영부 55 : 영상획득부
57 : 영상분석부 60 : 영상패턴분석부
61 : 영상패턴입력부 63 : 영상패턴저장부
65 : 영상패턴판단부 70 : 라벨생성부
80 : 저장부

Claims (18)

  1. 약품의 조제 정보 및 약품의 개별 포장별로 형성된 식별코드를 관리하는 조제정보서버;
    상기 조제정보서버와 연결되어, 약품을 포장별로 촬영하고, 촬영된 약품의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약품 조제 정보와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약품 조제의 결함을 판단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 및 조제정보서버와 연결되어, 약품 조제 정보에 따른 포장별 약품의 조제 이상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제 약품의 단일 포장 별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각 약품별 영상 분석을 통해 약품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촬영된 약품 영상의 약품 패턴을 분석하여, 조제 약품의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약품패턴분석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제 약품 검사에 따라 발생된 검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제 약품의 단일 포장지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영상처리부는, 조제 약품을 단일 포장별로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수집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획득부와 연결되어, 약품 영상을 분석하여, 각 약품별 패턴정보를 도출하는 영상분석부 및
    상기 촬영부의 약품 포장지 및 내부 약품의 촬영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약품패턴분석부는, 개별 약품의 기본 정보 및 약품 외형을 촬영한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를 입력하는 약품패턴입력부;
    상기 약품패턴입력부와 연결되어, 개별 약품의 기본 정보 및 패턴 정보를 저장하는 약품패턴저장부 및
    상기 약품패턴저장부 및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된 약품 영상의 약품 패턴 정보와 상기 약품패턴저장부에 저장된 약품의 패턴 정보를 비교 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약품패턴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와 연결되어, 약품 포장별로 정상 또는 이상 라벨을 생성하여, 약품 포장지에 부착하는 라벨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조제 약품을 포장별 바코드 인식 작업, 영상 촬영 및 라벨 부착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포장된 조제 약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의 패턴 정보는, 약품의 크기, 수량, 외형, 컬러, 심볼마크, 무게, 두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약품 영상 상태가 불량할 경우, 약품을 좌우 또는 상하로 흔 들어 재배치할 수 있는 재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시스템
  10. 조제정보서버로부터 약품 조제 정보를 검색하는 조제 정보 호출 단계;
    조제 정보에 따른 약품패턴분석부의 약품 패턴 정보를 확인하는 조제 약품 패턴 정보 확인 단계;
    영상처리부를 이용하여, 조제 약품의 포장별 영상을 촬영하여, 이를 수집하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약품 영상을 분석하여, 각 약품을 독립 영역으로 추출하는 영상 분석 단계 및
    약품패턴분석부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약품의 패턴 정보와 상기 조제 정보의 약품 패턴 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약품 패턴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조제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이전에 약품의 개별 포장별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단계는,
    조제 약품을 RGB 영상으로 촬영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약품 영상에서 B(Blue)채널을 분리하는 단계 및
    약품의 흑백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단계는,
    조제 약품의 흑백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진화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진화된 영상을 각 약품 연결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
    각 약품별 독립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독립영역의 크기, 중심점, 및 수량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크기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크기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약품과 조제정보의 약품의 크기 및 수량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결함라벨을 생성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패턴 분석 단계는
    약품 영상의 독립영역의 외곽선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약품의 외곽선과 중심점 간의 접선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약품의 형상 외곽선의 히스토그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약품의 히스토그램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의 히스토그램 정보와 조제 정보의 약품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촬영된 약품과 조제정보의 약품의 히스토그램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결함라벨을 생성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의 개별 포장별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약품 포장지의 불균일 표면과 표면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조명 조건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단계 수행 후, 영상의 약품별 촬영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약품 영상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재배치부를 이용하여, 약품을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어 재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를 수행 후, 상기 영상 획득 단계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제 약품 자동 검사 방법.
KR1020090134416A 2009-12-30 2009-12-30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2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416A KR101224384B1 (ko) 2009-12-30 2009-12-30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ES14150921T ES2880928T3 (es) 2009-12-30 2010-12-22 Sistema de gestión de medicamentos y procedimiento que utiliza el mismo
EP14150921.6A EP2720030B8 (en) 2009-12-30 2010-12-22 Medici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EP10196588.7A EP2341331B1 (en) 2009-12-30 2010-12-22 Medicine management system
ES10196588.7T ES2685772T3 (es) 2009-12-30 2010-12-22 Sistema de gestión de medicamentos
US12/977,378 US8791993B2 (en) 2009-12-30 2010-12-23 Medici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1010624511.2A CN102117442B (zh) 2009-12-30 2010-12-30 药物管理系统和使用该系统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416A KR101224384B1 (ko) 2009-12-30 2009-12-30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759A true KR20110077759A (ko) 2011-07-07
KR101224384B1 KR101224384B1 (ko) 2013-01-21

Family

ID=4491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416A KR101224384B1 (ko) 2009-12-30 2009-12-30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3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790A (ko) * 2013-02-20 2015-11-0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감사 장치 및 약제 분포 시스템
KR101877248B1 (ko) * 2016-11-28 2018-07-1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009721B1 (ko) 2018-02-20 2019-08-12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약품 이미지와 약품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약품 식별 방법
CN112883958A (zh) * 2021-01-11 2021-06-01 壹药网耀方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药品货位盘点方法
KR20210130993A (ko) * 2020-04-23 2021-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품 조제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포장지 정품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361199B1 (ko) 2021-06-16 2022-02-1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제약 자동 검사 시스템 및 검사 방법
KR20220146090A (ko) * 2021-04-23 2022-11-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객체 탐지를 이용한 의약품 검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검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912A (ja) * 1995-05-30 1996-12-10 Sanyo Electric Co Ltd 錠剤検査システム
JPH09231342A (ja) * 1996-02-26 1997-09-05 Sanyo Electric Co Ltd 錠剤検査方法及び装置
JPH09253163A (ja) * 1996-03-19 1997-09-30 Tokyo Shokai:Kk 薬剤監査支援システム
KR100787807B1 (ko) * 2006-12-22 2007-12-2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수동분배트레이 검사방법 및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790A (ko) * 2013-02-20 2015-11-04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감사 장치 및 약제 분포 시스템
KR101877248B1 (ko) * 2016-11-28 2018-07-1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
KR102009721B1 (ko) 2018-02-20 2019-08-12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약품 이미지와 약품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약품 식별 방법
KR20210130993A (ko) * 2020-04-23 2021-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품 조제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포장지 정품 인식 장치 및 방법
CN112883958A (zh) * 2021-01-11 2021-06-01 壹药网耀方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药品货位盘点方法
CN112883958B (zh) * 2021-01-11 2023-12-05 壹药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药品货位盘点方法
KR20220146090A (ko) * 2021-04-23 2022-11-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객체 탐지를 이용한 의약품 검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검색 방법
KR102361199B1 (ko) 2021-06-16 2022-02-14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제약 자동 검사 시스템 및 검사 방법
WO2022265340A1 (ko) * 2021-06-16 2022-12-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제약 자동 검사 시스템 및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384B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1864B2 (en) Drug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224384B1 (ko) 조제 약품 자동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US10594956B2 (en)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US10565545B2 (en) Drug inspectio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KR20120124234A (ko) 조제 약품 재검사 장치 및 그 재검사 방법
US8791993B2 (en) Medici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EP2702978A1 (en) Medicine checking device and apparatus for separately packaging medicines
US20160104277A1 (en) Packeted drug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US11551798B2 (en) Image acquisition for medical dose preparation system
US11759401B2 (en) Method of monitoring medication regimen with portable apparatus
JP5033267B1 (ja) 薬剤検査システム
JP2021503976A (ja) Iv調合用のマルチカメラ撮影
KR20120124235A (ko) 약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조제 약품 제공 방법
US11123265B2 (en) Medication support apparatus, medication support system, medic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102361199B1 (ko) 조제약 자동 검사 시스템 및 검사 방법
US11354528B2 (en) Reading a plurality of codes
JP6454249B2 (ja) 薬剤監査装置及び方法
CN114845682A (zh) 图像处理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