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938A - 가스 재순환이 개선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스 재순환이 개선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938A
KR20110076938A KR1020117008800A KR20117008800A KR20110076938A KR 20110076938 A KR20110076938 A KR 20110076938A KR 1020117008800 A KR1020117008800 A KR 1020117008800A KR 20117008800 A KR20117008800 A KR 20117008800A KR 20110076938 A KR20110076938 A KR 20110076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gas
cathode
cell stack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베 버마이스터
요한 후버
노르베르트 오트만
슈테판 페터한스
볼프강 바그너
크리스토프 바이저
Original Assignee
엠티유 온싸이트 에너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유 온싸이트 에너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엠티유 온싸이트 에너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7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8/14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45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comprising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48Molten electrolytes used at high temperature
    • H01M2300/0051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01M8/04022Heating by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하나의 양극, 음극 그리고 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료 전지를 구비하고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전지 스택을 갖춘 연료 전지 어셈블리와 관련이 있다; 이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연소 가스를 연료 전지들의 양극들에 공급하기 위한 연소 가스 공급 수단들, 양극 배출 가스를 양극들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양극 가스 배출 수단들, 음극 가스를 연료 전지들의 음극들에 공급하기 위한 음극 가스 공급 수단들, 연료 전지들로부터 음극 배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음극 가스 배출 수단들, 그리고 양극 배출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 및/또는 음극 배출 공기를 연료 전지들의 음극들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재순환 수단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상기 재순환 수단들이 연료 전지 스택의 세로 측에 배치된 그리고 역류할 배출 가스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집 라인(59)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 라인은 연료 전지 스택의 정면에 배치된 이송 장치(20, 22)의 유입구 내부로 통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음극 가스 공급 수단들과 연통되는 배출구(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재순환이 개선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 {FUEL CELL ASSEMBLY WITH IMPROVED GAS RECIRCULATION}
본 발명은 고온-연료 전지 어셈블리, 특히 용융 탄산염-연료 전지 어셈블리 그리고 이와 같은 연료 전지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들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연료 전지가 스택(stack)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연료 전지들은 각각 양극(anode), 음극(cathode) 그리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한다. 개별 연료 전지들은 각각 양극성 플레이트들(bipolar plate)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콘택팅 된다. 양극들 및 음극들에는 각각 전류 콜렉터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전류 콜렉터들은 한 편으로는 양극들과 음극들을 전기적으로 콘택팅 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반응 가스들이 상기 양극들과 음극들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양극, 음극 및 전해질 매트릭스의 에지 영역에는 각각 밀봉 부재들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밀봉 부재들은 연료 전지들 및 그와 더불어 연료 전지 스택의 측면을 밀봉시켜서 양극 가스 및 음극 가스의 배출을 막아준다.
용융 탄산염 연료 전지의 경우에 전해질 재료는 통상적으로 기공성 매트릭스 안에 고정되어 있는 2가 또는 3가의 알칼리 탄산염 용융물들(예를 들면 리튬 탄산염과 칼륨 탄산염으로 이루어진 혼합 용융물들)로 구성된다. 작동 중에는 용융 탄산염 연료 전지들이 통상적으로 약 650℃의 작동 온도에 도달한다. 이 경우 양극 측에서는 탄산염 이온과 수소가 반응하여 전자를 방출하면서 물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음극 측에서는 이산화탄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전자를 흡수하면서 탄산염 이온이 생성된다. 이때 열이 발생한다. 전해질로서 사용되는 알칼리 탄산염 용융물은 한 편으로는 양극 절반 반응을 위해서 필요한 탄산염 이온들을 방출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음극 절반 반응시에 생성되는 탄산염 이온들을 흡수한다. 실제로 연료 전지의 양극 측에는 대부분 예를 들어 천연 가스 또는 바이오 가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메탄과 같이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에너지 운반체 그리고 물이 공급되며, 상기 물로부터는 내부 개질(reformation)에 의하여 양극 절반 반응을 위해서 필요한 수소가 얻어진다. 양극 배출 가스는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된 후에 연소 가스의 임의의 잔류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촉매 반응에 의해서 산화된다. 이때 생성되는 가스 혼합물이 이산화탄소와 산소,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음극 절반 반응을 위해서 필요한 가스들을 함유함으로써, 양극 배출 가스는 신선한 공기를 공급한 후에 그리고 촉매 반응하는 산화 작용 후에 곧바로 음극 절반 전지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음극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배출 공기는 유해 물질이 없고, 열에 의해서 계속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융 탄산염-연료 전지의 전기 효율은 이미 45 내지 50%에 달하며, 전체 프로세스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해서 약 90%의 전체 효율에 도달할 수 있다.
출원인은 연료 전지 스택 및 고온에서 작용하는 모든 계통 성분들을 하나의 공통된 기밀성 보호 하우징 안에 통합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한 편으로는 설비 효율이 개선되며, 다른 한 편으로는 음극 가스 흐름이 상기 보호 하우징의 내부 공간 안에서 자유롭게 순환하고 양극 배출 가스 흐름이 상기 순환하는 음극 가스 흐름 안으로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는 어셈블리가 구현될 수 있었다. 종래의 연료 전지 스택들에서는 이 연료 전지 스택에 대하여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방식으로 밀봉되어야만 하는 가스 분배기 또는 가스 수집기가 양극 유입구, 양극 배출구, 음극 유입구 및 음극 배출구에 각각 제공되어 있는 한편, 본 출원인의 공지된 설비에서는 보호 하우징 안에서 자유롭게 순환하는 음극 가스 흐름 때문에 연료 전지 스택에 대하여 밀봉되는 가스 분배기가 양극 유입구에는 제공되지만, 음극 유입구에서는 가스 분배기가 전혀 필요치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구성이 훨씬 더 단순해질 수 있다.
출원인의 상기 공지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국제 특허 출원서 WO 96/02951 A1호 및 WO 96/20506 A1호 그리고 독일 특허 출원서 DE 195 48 297 A1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주요 소자들은 도 1 및 도 2에 정면 횡단면도 및 측면 횡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기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수평으로 놓여 있는 연료 전지 스택(11), 즉 수직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모양의 소자들로 이루어진 연료 전지 스택을 구비하며, 이 연료 전지 스택은 열에 의해서 절연되는 기밀 방식의 보호 하우징(12) 안에 배치되어 있다. 연소 가스는 연소 가스 라인(13)을 통해 상기 기밀 방식 보호 하우징(12) 내부로 가이드 되고, 열 교환기(14)를 거쳐서 연료 전지 스택(11)의 하부면에 있는 양극 유입구(15)에 배치된 연소 가스 분배기(16) 안으로 그리고 상기 연료 전지 스택(11)의 양극 챔버들 내부로 유입된다. 연소 가스는 양극 챔버들을 실제로 수직 방향으로 관류하여 연료 전지 스택의 상부면에 있는 양극 배출구 측(17)에서 재차 배출된다. 상기 열 교환기(14)는 한 편으로는 연소 가스에 의해서 관류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상기 기밀 방식 보호 하우징(12) 내부에서 순환하는 음극 가스 흐름에 의해서 관류되는 가스/가스-열 교환기이다. 음극 가스는 측면에 배치된 음극 유입구(18)에서 연료 전지 스택(11) 안으로 유입되고,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마주 놓인 측에 있는 음극 배출구(19)에서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된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극 가스 및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들은 서로 수직이다. 보호 하우징(12)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가스 흐름은 연료 전지 스택(11) 위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전동기들(22, 23)에 의해서 구동되는 두 개의 송풍기(20, 21)에 의하여 유지된다. 연료 전지 스택(11)의 양극 배출구(17) 바로 위에는 확산기(diffuser)(24)가 배치되어 있고, 이 확산기 뒤에는 고정식 믹서(2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식 믹서(25) 안에서는 양극 배출구(17)로부터 배출되는 양극 배출 가스가 하우징(12) 내부에서 순환하는 음극 가스 흐름과 혼합된다. 또한, 라인(26)을 통해 신선한 공기가 상기 고정식 믹서(25) 안으로 유입된다. 양극 배출 가스, 순환된 음극 가스 및 신선한 공기로 구성된 상기 가스 혼합물은 송풍기들(20, 21)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고정식 믹서(25) 위에 배치된 촉매 버너(27) 안으로 유입되며, 상기 촉매 버너 안에서는 양극 배출 가스의 연소 가능한 잔류 성분들이 촉매 반응에 의해서 연소되어 유효 열로 변환된다. 이때부터 산소 및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음극 반응의 주요 성분들을 함유하고 상기 촉매 버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가스 혼합물은 송풍기들(20, 21)을 거쳐서 음극 유입구(18)로 가이드 되며, 상기 음극 유입구에서 가스 혼합물은 연료 전지 스택(11)을 수평으로 가로지른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음극 배출구(19)에서 배출 작용이 이루어진 후에는 음극 가스의 일부분의 흐름이 고정식 믹서(25)로 역으로 가이드 된다. 음극 유입구(18) 앞에는 바람직하게 스타트 가열기(28)가 더 배치되어 있으며, 이 스타트 가열기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10)가 스타트할 때에 공정 가스의 작동 온도를 약 600℃까지 가열한다. 음극 유입구(18) 앞에는 또한 확산체(29)가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 확산체는 송풍기들(20, 21)과 음극 유입구(18) 사이에 제공된 추가의 삽입체들과 함께 전지 스택의 균일한 유입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열 교환기(14)가 음극 유입구(18) 앞에 배치되면, 열 교환기의 적합한 형상에 의해서도 전지 스택의 균일한 유입 흐름이 보증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의 확산체(29)가 생략될 수도 있다. 초과량분의 음극 배출 공기는 도면에 개략적으로만 암시되어 있는 음극 배출 공기 라인(30)을 통해서 연료 전지 스택(11)으로부터 배출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해당 출원인에 의하여 원통형 보호 하우징 안에 담긴 상태로 HM 300이라는 제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상기 공지된 구조적 원리에서는 고정식 믹서, 촉매 버너 그리고 그 뒤에 연결되는 송풍기들이 연료 전지 스택의 양극 배출구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 상태는 순환 송풍기들에 대하여 유동 기술적으로 높은 수준의 조건들을 요구하게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고정식 믹서 안에서 이루어지는 신선한 공기, 양극 배출 가스 및 음극 배출 공기의 균일한 완전 혼합을 보증하기 위한 송풍기의 흡인 특성과 관련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 혼합물이 전지 스택을 균일하게 관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송풍기의 배출 흐름 특성과 관련해서도 높은 수준의 조건들을 요구한다. 지금까지의 구조상으로 볼 때 상기와 같은 요구 조건들은 단지 유동 경로 안에 제공된 정류기 및 삽입물에 의해서만 보증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정류기 및 삽입물은 압력 손실을 야기하여 재차 더 높은 수준의 송풍기 파워를 요구하게 된다. 수백 개의 개별 전지를 갖춘 전지 스택에서는 또한 균일한 유동 특성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전지 스택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송풍기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공지된 구조의 또 다른 단점은 촉매 버너가 고정식 믹서와 송풍기 사이에서 전지 스택 위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촉매가 작동 실행 시간 동안에 오염물들에 노출되어 유동 관류 상황을 악화시키고 압력 손실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결국에는 촉매를 규칙적으로 세척해야만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어셈블리에서는 세척을 위하여 전체 전지 스택을 해체해야만 하고, 이와 같은 해체 작업은 매우 높은 작업 비용과 결부되어 있고 오로지 제조자에 의해서만 실행될 수 있다.
공지된 구조의 추가의 단점은, 믹서가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믹서를 양극 배출구 바로 위에 매우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높은 압력 손실을 야기하는 다수의 삽입물에 의해서만 만족스러운 수준의 혼합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된 믹서의 제조 비용은 높을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공지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단지 낮은 수준의 구조적인 자유도(degree of freedom)만을 허용한다. 따라서, 원통형 보호 하우징의 사용으로 인해 연료 전지 스택 및 상기 보호 하우징 안에 배치된 추가 소자들의 높이와 폭의 비율은 실제로 사전에 설정될 수밖에 없고, 보호 하우징 안에 배치된 소자들의 배열 상태 및 치수 설계와 관련된 자유도도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 또한, 특이하게 상호 적응된 개별 소자들의 설계 방식도 해당 설비의 파워 설계 방식에 따라 다수의 소자들을 새로 구성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야기한다. 더욱이 지금까지 사용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조립 비용도 높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음극 가스 흐름이 하나의 보호 하우징 안에서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연료 전지 스택이 상기 보호 하우징 안에 통합되어 있는 전술된 구조적 기본 원리를 더욱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선한 공기, 양극 배출 가스 및 음극 배출 공기로 구성된 혼합물을 촉매 버너의 횡단 배치 후에 곧바로 송풍기를 이용해서 흡인하지 않고, 우선 송풍기 내부와 연결된 흡인 파이프 안에 수집하는 방식이 제안된다. 흡인된 가스의 혼합 및 촉매 연소 작용이 흡인 파이프에 도달하기 이전에 이미 이루어지기 때문에, 송풍기에 의한 최상의 흡인 결과가 보증된다. 흡인 파이프 안에서 유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송풍기는 보호 하우징 옆에 배치될 수 있고, 표준화된 흡인관 및 배출관에 의해서 하우징 내부 챔버와의 연통이 가능하다. 보호 하우징 그리고 플랜지에 의해서 상기 보호 하우징에 일체로 연결된 송풍기가 두 가지 별도의 부품 그룹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두 가지 부품 그룹은 상호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최적화될 수 있다. 송풍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혼합물을 길이 방향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분배기가 전지 스택 위에서 확보되는 공간 안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송풍기의 흡인 특성들 및 배출 특성들조차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연료 전지 스택의 세로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쐐기 모양으로 좁아지는 유동 분배기를 이용하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정류기 및 삽입물 없이도 전지 스택의 균일한 유입 흐름이 보장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압력 손실은 종래의 구성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송풍기에 대하여 요구되는 파워 조건의 수준도 낮아진다. 놀라운 사실은,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어셈블리에 의해서는 단 하나의 송풍기를 구비한 600개까지의 개별 전지를 갖춘 전지 스택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촉매 버너를 음극 배출구 측에서 연료 전지 스택과 보호 하우징 벽 사이에 배치하는 방식도 제안된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에 의해서는 촉매에 대한 접근이 더 용이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세척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관리가 손쉬워진다. 보호 하우징의 벽 안에 예를 들어 세척-/충진 개구들이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전지 스택을 해체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그렇기 때문에 촉매의 세척 작업은 사용자에 의해서도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사용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와 달리 촉매 버너는 위로부터 아래로 관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벌크 재료(bulk material) 촉매의 사용도 가능해진다. 선행 기술에서는 벌크 재료 촉매가 전혀 사용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아래로부터 위로 관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공기 흐름 안에서 촉매 입자의 부유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부유 현상은 촉매 바디를 기계적으로 매우 심하게 마모시킨다. 그러나 지금까지 선호되던 하니콤(honeycomb) 촉매는 변경된 어셈블리에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하고도 압력 손실이 없는 가스 믹서도 제공된다. 이 가스 믹서는 음극 배출 공기가 신선한 공기와 혼합되는 제 1 혼합 구역 그리고 양극 배출 가스가 음극 배출 공기 및 신선한 공기로 구성된 혼합물 안으로 유입되는 제 2 혼합 구역을 포함한다. 상기 믹서는 바람직하게 음극 배출구 측의 전지 스택과 보호 하우징 벽 사이에서 마찬가지로 그곳에 제공된 촉매 버너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길이가 긴 혼합 구역들이 실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음극 배출 가스 흐름 및 양극 배출 가스 흐름과 신선한 공기의 균일한 완전 혼합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소수의 삽입물 및 혼합 소자들만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믹서 내부에서의 압력 손실도 연료 전지 스택 위에 배치된 공지된 믹서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믹서는 단순한 플레이트부들에 의해서 손쉽고도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전체 비용을 줄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전반적으로 상호 독립적으로 치수 설계되어 최적화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그룹 안에 배치되어 있다.
한 가지 기능 그룹은 양극 유입구 가스 분배기 및 양극 배출구 가스 수집기를 구비한 연료 전지 스택으로 이루어진다. 연료 전지 스택이 열교환기, 고정식 믹서 및 촉매 버너와 같은 소자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종래의 구성과 달리 본 발명에서 제안된 상기 부품 그룹은 훨씬 더 단순하게 구성되었다. 다른 기능 그룹은 분배기 채널, 스타트 가열기 및 열교환기를 구비한 음극 가스 공급 장치로 이루어진다. 이 기능 그룹은 컨테이너 외부에서 완전히 예비 조립되어 스택을 삽입하기 이전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기능 그룹은 신선한 공기, 음극 배출 공기 및 양극 배출 가스를 혼합하기 위한 플레이트 삽입물을 구비한 믹서- 및 촉매 유닛, 촉매 하우징 그리고 방향 전환 플레이트들을 구비한 촉매 배출 흐름 수집기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하나의 기능 그룹은 흡인관을 거쳐서 촉매 배출구 하우징까지 연결되고 압력 측에서는 음극 가스 분배기 채널까지 연결되는 흡인 측 연결부들 그리고 런닝 휠(running wheel) 하우징들을 구비한 순환 송풍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보호 하우징을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며,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 소자들이 폭 대 높이의 비율과 상관없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 그룹들은 대부분 모듈 외부에서 예비 조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도 가속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2는 선행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를 측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원 Ⅳ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를 도 3의 선 Ⅴ-Ⅴ를 따라 절단한 후에 측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를 도 3의 선 Ⅵ-Ⅵ을 따라 절단한 후에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한 변형 예에 따른 기밀 방식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선행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이미 앞에서 기술되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두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가 기술될 것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부품들과 동일한 부품들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는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기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선행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와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모양의 소자들로 이루어진 그리고 수평으로 놓인 연료 전지 스택(11)을 구비하며, 이 연료 전지 스택은 열에 의해서 절연되는 기밀 방식의 보호 하우징(12) 안에 배치되어 있다. 선행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보호 하우징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10)의 보호 하우징은 실제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기밀 방식 보호 하우징(12)은 상호 연결된, 예를 들어 상호 용접된 개별 금속 플레이트들(31)로 이루어지며, 이 금속 플레이트들의 외측은 특히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연료 전지 어셈블리(10)에 필요한 강도를 제공해주는 강철 캐리어(32)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들(31)의 내측에는 보호 하우징(12)의 내부 공간을 열적으로 절연하기에 적합한 단열 재료(29)가 제공되어 있다. 보호 하우징(12)은 연료 전지 스택의 변경된 치수에 쉽게 적응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은 상이한 파워를 갖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들의 경제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연료 전지 스택(11)은 재차 음극 유입구 측(18), 음극 배출구 측(19), 양극 유입구 측(15) 그리고 양극 배출구 측(17)을 갖는다.
연소 가스는 연소 가스 라인(13)을 포함하는 연소 가스 공급 수단을 통해 상기 기밀 방식 보호 하우징(12) 내부에 도달하고, 선행 기술과 달리 제일 먼저 연료 전지 스택(11) 위에 배치된 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10)에서는 열교환기(14)가 가스/가스-열교환기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가스/가스-열교환기를 한 편으로는 연소 가스가 관류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기밀 방식 보호 하우징(12) 내부에서 순환하는 음극 가스 흐름이 관류함으로써, 결국 연소 가스는 연료 전지 스택(11) 안으로 유입되기 전에 예열된다. 열교환기(14)를 관류한 후에 가열된 연소 가스는 연료 전지 스택(11)의 정면에 배치된 라인(33)을 통해서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하부면에 배치된 연소 가스 분배기(16) 내부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 연소 가스 분배기는 연료 전지 스택의 개별 연료 전지들의 양극 챔버 유입구들에 연소 가스를 분배한다. 하지만,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소 가스는 곧바로 양극 챔버들 내부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연료 전지 스택(11)의 전지 소자들 사이에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된 개질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개질 소자들은 연소 가스가 연료 전지들의 양극 챔버들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연소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지된 방식으로 개질시킨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이한 실시 예에서는 가열된 양극 가스가 라인(33)을 통하여 우선 중공 라인(34)으로 형성된 그리고 길이 방향 분배기로서 이용되는 상기 양극 가스 분배기(16)의 에지부 안으로 가이드 된다. 상기 분배기 라인들의 단부들에 배치된 V자 모양의 분배기 헤드들(36)을 거쳐서 플레이트 모양으로 별도로 형성된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개질 유닛들의 유입구들 안으로 연소 가스를 가이드 하는 다수의 분배기 라인(35)이 측면에서 상기 중공 라인(34)을 따라 분기된다. 예를 들어 연료 전지 소자들의 대체물로서 연료 전지 스택(11) 안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개수의 연료 전지 소자들 뒤에, 예컨대 항상 다섯 개의 연료 전지 소자 뒤에 각각 제공되는 상기 개질 유닛들을 관류한 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질된 연소 가스는 상기 연소 가스 분배기(16)의 내부 챔버 안으로 역류되고, 상기 내부 챔버로부터 연료 전지 스택의 연료 전지 소자들의 양극 유입구들 내부에 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소위 간접적인 내부 개질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별도의 개질 소자들에 추가로 연료 전지 소자들의 양극 챔버들 안에도 소위 직접적인 내부 개질을 위한 개질 촉매가 배치되어 있다.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비밀봉성으로 인해 연소 가스 분배기(16)의 내부 챔버 안에 직접 도달하게 되는 개질되지 않은 연소 가스가 연료 전지 소자들 내에서 직접 개질될 수도 있기 때문에, 분배기 라인들(35)과 연소 가스 분배기(16)의 내부 챔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밀봉은 그다지 중요치 않다. 연료 전지 스택(11)을 아래로부터 위로 관류한 후에 양극 배출 가스는 연료 전지 스택(11)의 상부면에 있는 양극 배출구(17)에서 배출되어, 양극 배출 가스 수집기(37)에 의하여 수집되고, 측면에서 가스 믹서(25)까지 가이드 되며, 이와 같은 가이드 과정은 도 3에서 그리고 특히 도 4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고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기밀 방식의 보호 하우징(12) 안에서 순환하는 음극 가스는 연료 전지 스택(11)의 개방된 음극 유입구 측(18)에서 연료 전지 소자들의 음극 챔버들 안으로 유입되고, 연료 전지 스택을 실제로 수평으로 관류한 후에 음극 배출 공기 수집기(38)가 배치되어 있는 음극 배출구 측(19)에서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된다. 음극 배출 공기 수집기(38)는 개구들(39)을 통해 음극 배출 공기 라인(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극 배출 공기 라인을 통해서는 초과량분의 음극 배출 공기가 연료전지 어셈블리(10)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하지만, 음극 배출 공기의 일부분은 또한 보호 하우징(12) 내에서도 순환하고, 가스 믹서(25) 안에서 양극 배출 가스 및 신선한 공기와 혼합된 후에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될 촉매 버너(27) 내에서 재연소되어 소위 음극 가스로서 재차 음극 유입구 측(18)에서 연료 전지 스택(11) 안으로 유입된다.
음극 배출구 측에 배치된 음극 배출 공기 수집기(38)는 자체 상부 영역(41)에 실제로 연료 전지 스택(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간극 개구(42)를 구비하며, 상기 간극 개구를 통해서는 보호 하우징(12) 안에서 순환하는 상기 음극 배출 가스의 부분이 그 뒤에 접속된 가스 믹서(25) 내부에 도달하게 된다. 가스 믹서(25)는 간극 개구(42)를 통해 음극 배출 공기 수집기를 벗어나는 음극 배출 공기 및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혼합 구역(43)을 포함한다. 신선한 공기는 연료 전지 스택에 대하여 실제로 평행하게 뻗는 신선한 공기 라인(26)을 통해서 공급되며, 상기 신선한 공기 라인은 믹서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44), 예컨대 세로 방향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간극 개구 또는 신선한 공기가 제 1 혼합 구역(43)에 도달할 때에 통과하게 되는 다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가스 믹서(25)는 또한,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 1 믹서(43) 아래 쪽에 배치된 제 2 혼합 구역(45)을 포함하며, 제 2 혼합 구역 내에서는 양극 배출 가스가 음극 배출 공기 및 신선한 공기로 구성된 혼합물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가스 흐름은 제 1 혼합 구역(43) 내에서는 실제로 수평으로 진행되는 한편, 제 1 혼합 구역으로부터 제 2 혼합 구역으로 넘어가는 전이 구역(46) 내에서는 아래쪽으로 방향 전환된다. 또한, 제 1 혼합 구역(43)의 유동 횡단면 그리고 유입될 양극 배출 가스의 유동 횡단면이 제 2 혼합 구역(45) 쪽으로 가면서 점차 감소하도록 가스 믹서(25)가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양극 배출 가스 그리고 음극 배출 공기와 신선한 공기로부터 사전에 혼합된 혼합물은 제 2 혼합 구역(45) 쪽으로 가면서 점차 가속된다. 제 1 혼합 구역의 높이에서는 그리고 제 1 혼합 구역으로부터 제 2 혼합 구역으로 넘어가는 전이 영역에서는 양극 배출 가스의 유동 그리고 음극 배출 공기와 신선한 공기로 구성된 혼합물의 유동이 실제로 평행하게 진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양극 배출 가스 흐름은 음극 배출 공기와 신선한 공기로 구성된 혼합물 안으로 실제로 접선 방향으로 유입된다. 제 1 혼합 구역(43)의 영역에서 양극 배출 가스 흐름 그리고 음극 배출 공기와 신선한 공기로 구성된 혼합물은 제 1 혼합 구역으로부터 제 2 혼합 구역으로 넘어가는 전이 영역에서 종료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7)에 의해서 분리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7)의 단부는 다수의 설형부(49)(tongue)를 구비하며, 상기 설형부들은 세로 방향으로 위쪽 및 아래쪽으로 교대로 휘어져 있고, 가스 믹서(25)의 하우징(52)의 상부면(50) 또는 하부면(51)과 용접되어 있다. 상기 설형부(49)는 가스 혼합물의 추가 난류를 형성하고, 양극 배출 가스, 음극 배출 공기 및 신선한 공기의 균일한 혼합을 보증해준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다른 고정식 혼합 소자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밖에 제 2 혼합 구역(45)은 분배기(53)를 포함하고, 이 분배기는 상기 분배기의 유입구(54)에서의 제 1 유동 횡단면으로부터 상기 분배기의 배출구(55)에서의 제 2 유동 횡단면으로 확장되며, 이 경우 상기 분배기의 배출구에서의 유동 횡단면은 실제로 가스 믹서(25) 뒤에 배치된, 양극 배출 가스 안에 함유된 연소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촉매 버너(27)의 상부면에 있는 유입 개구의 면적에 상응한다. 특히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스 믹서(25)는 실제로 연료 전지 스택을 둘러싸는 기밀 방식 보호 하우징의 측벽(56)과 연료 전지 스택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 비해 길이가 더 긴 혼합 구역이 구현될 수 있다. 그밖에, 유동 저항을 높여주는 다수의 고정된 혼합 소자들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인 완전 혼합에 도달할 수 있다.
가스 믹서(25)에 연결되는 촉매 버너(27)도 마찬가지로 기밀 방식 보호 하우징(12)의 측벽(56)에서 연료 전지 스택(11) 옆쪽에 배치되어 있다. 촉매 버너(27)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개구(57)를 갖는 상부면을 구비하며, 상기 유입 개구는 양극 배출 가스, 음극 배출 공기 및 신선한 공기를 혼합하기 위하여 가스 믹서(25)와 연통된다. 상기 촉매 버너는 자체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58)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개구는 음극 유입구로 역류할 배출 가스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집 라인(59)과 연통된다. 촉매 버너(27)는 예를 들어 하니콤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가스의 유동이 본 발명에 따라 위로부터 촉매를 거쳐서 아래로 가이드 되기 때문에, 촉매 재료는 상승된 마모에 전혀 노출되지 않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촉매 버너(27)는 특히 벌크 재료 촉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촉매 버너(27)가 연료 전지 스택 옆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촉매 버너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10)의 보호 하우징(12)의 측벽(56) 바로 가까이에 존재하며, 그 결과 촉매 재료는 특히 간단하게 세척 또는 교체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보호 하우징(12)의 측벽(56)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세척 개구(60)가 제공되어 있다. 이 세척 개구들(60)은 특히 도 3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 예의 한 변형 예인 도 7의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촉매 재료는 세척 개구들(60)을 통해 예를 들어 흡인 송풍기에 의해서 흡인 여과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선행 기술과 달리 복잡한 해체 과정이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된다. 상기 촉매 버너가 상응하는 높이에 영구적으로 개방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보호 하우징(12)의 측벽(56)의 내부면과 상기 통로의 에지가 전반적으로 기밀 방식으로 격리된 경우에는, 측벽(56)에 있는 세척 개구들(60)을 통해서 곧바로 촉매 재료에 접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촉매 버너(27) 또는 상기 버너 바로 위에 놓여 있는 상기 분배기(53)의 비스듬한 섹션은 상기 세척 개구들(60)의 높이에 촉매 재료 쪽으로 폐쇄될 수 있는 입구 개구(61)를 구비한다(도 5 참조).
음극 가스, 즉 음극 배출 공기, 양극 배출 가스 및 신선한 공기로 구성되어 촉매 버너 내에서 재연소된 혼합물의 순환을 유지하기 위하여, 양극 배출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 그리고 음극 배출 공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역류시키기 위한 역류 수단들이 상기 연료 전지 스택(11)의 연료 전지 음극 챔버들의 음극 유입구들(18) 쪽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역류 수단들은 연료 전지 스택의 세로 측에 배치된, 역류하는 배출 가스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집 라인(59)을 포함하며, 이 수집 라인은 연료 전지 스택의 정면에 배치된 그리고 순환 송풍기(20) 및 전동기(22)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의 한 유입구(62) 내부와 통한다. 상기 순환 송풍기는 음극 가스 공급 수단들과 연통되는 배출구(63)를 구비하며, 상기 음극 가스 공급 수단들은 가스 혼합물을 음극 챔버들의 입구로 가이드 한다.
수집 라인(59)은 실제로 수평으로 뻗는 수집 라인으로서, 이 수집 라인은 연료 전지 스택(11)의 푸트(foot) 영역에서 실제로 연료 전지 스택(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수집 라인(59) 안에는 다수의 방향 전환 플레이트(64)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 전환 플레이트들은 가스 믹서(25) 및 촉매 버너(27)로부터 유래하는 수직의 가스 흐름을 상기 수집 라인(59)의 종축을 따라서 진행하는 수평의 가스 흐름으로 바꾸어준다. 상기 방향 전환 플레이트들(64)이 구부러진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어긋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추가의 와류 없이도 균일한 수평의 유동이 발생한다. 상기 방향 전환 플레이트들은 바람직하게 한 공간 대각선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공간 대각선은 순환 송풍기(20)의 유입구(62)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수평 섹션의 하단부, 즉 수집 라인(59)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유입구(62) 쪽을 향하는 상기 수평 섹션의 상단부, 즉 수집 라인(59)의 상단부까지 뻗는다. 상기 수평 섹션, 즉 수집 라인(59)의 단부에는 재차 방향 전환 플레이트들(65)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방향 전환 플레이트들은 가스 흐름을 위로, 상기 순환 송풍기(20)의 유입구(62)에 대하여 실제로 수직인 라인 섹션(66) 내부로 편향시킨다. 상기 순환 송풍기(20)의 배출구(63)에는 가스 분배기(67)가 연결되며, 이 가스 분배기는 연료 전지 스택의 헤드 영역에서는 실제로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가스 분배기(67)는 자신의 종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분배 배치된 측면 배출 개구들(68)을 구비하고, 이 측면 배출 개구들을 통해서는 가스 혼합물이 상기 가스 분배기의 배출 개구들 뒤에 배치되어 스타트 가열기로서 이용되는 가열 장치(28) 안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특히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스 분배기(67)의 종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상기 가스 분배기의 내부 챔버의 횡단면이 상기 순환 송풍기(20)의 배출구(63)에 배치된 단부로부터 마주 놓인 단부로 가면서 크기가 점차 줄어듦으로써, 결과적으로 배출 개구들(68) 측면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량은 가스 분배기(67)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실제로 일정하다. 가스 분배기(67) 다음에 배치된 스타트 가열기(28)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10)가 스타트할 때에 순환하는 가스 혼합물의 온도를 작동 온도까지 가열시킨다. 스타트 가열기(28)에는 이미 앞에서 언급한 열교환기(14)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서는 순환하는 음극 가스가 상기 보호 하우징(12) 안으로 유입되는 연소 가스와 열적으로 접촉된다. 순환하는 음극 가스는 열교환기(14)를 관류한 후에 자유롭게 상기 보호 하우징(12)의 내부 챔버(69)를 거쳐서 연료 전지 스택(11)의 음극 측 유입구(18)로 역류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의 변형 예는 단지 다음과 같은 내용에서만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들과 상이하다: 도 7의 변형 예에서는 연료 라인(13)이 직선으로 열교환기(14)의 높이에서 보호 하우징(12) 내부와 통하는 한편, 도 4 내지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연료 라인(13)이 신선한 공기 라인(26) 아래에서 보호 하우징 내부와 통하고, 특히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하우징 내부에서는 위로 열교환기(14)의 방향으로 편향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서로 연통된 상호 독립된 부품 그룹들로부터 형성되는 모듈 방식의 구성을 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어셈블리에서 제 1 부품 그룹은 연소 가스 공급 수단들, 다시 말해 특히 연소 가스 라인(13) 및 신선한 공기 공급 라인을 구비한 연료 전지 스택(11) 그리고 양극 가스 방출 수단들, 다시 말해 특히 양극 배출 가스 수집기(37)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배출 가스 수집기(37)는 하우징 안에 있는 인장 장치(70)에 의해서 연료 전지 스택과 그리고 양극 유입구에 배치된 연소 가스 분배기(16)와 단단히 조여진다.
제 2 부품 그룹은 음극 가스 분배기(67), 스타트 가열기(28) 및 열교환기(14)를 구비한 음극 가스 공급 수단들을 포함하며, 상기 소자들은 조립 프레임(71) 안에서 상기 보호 하우징(12)의 덮개(72) 하부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 3 부품 그룹은 음극 배출 공기 수집기(38), 음극 배출 공기 라인(40), 신선한 공기, 음극 배출 공기 및 양극 배출 가스를 혼합하기 위한 가스 믹서(25), 촉매 버너(27) 그리고 역류 수단들의 수집 라인(59)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제 3 부품 그룹은 음극 배출 공기 수집기(38) 및 음극 배출 공기 라인(40)을 포함하는 제 1 하부 그룹, 그리고 가스 믹서(25), 촉매 버너(27) 및 역류 수단들의 수집 라인(59)을 포함하는 제 2 하부 그룹으로 세분된다.
마지막으로, 제 4 부품 그룹은 역류 수단들의 이송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장치는 런닝 휠 하우징(72), 상기 제 3 부품 그룹의 수집 라인(59)과 연통되는 흡인 측 연결부들(63) 및 상기 제 2 부품 그룹의 음극 가스 분배기(67)와 연통되는 압력 측 연결부들(64)을 구비한 순환 송풍기(20) 그리고 상기 순환 송풍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품 그룹들은 기밀 방식의 보호 하우징(12)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호 하우징은 실제로 정방형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특별한 한 가지 장점은, 제 1 부품 그룹 및 제 3 부품 그룹이 삽입되기 이전에 앞서서 제 2 부품 그룹 및 제 4 부품 그룹이 보호 하우징의 내벽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13)

  1. 연료 전지 어셈블리로서,
    각각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다수의 연료 전지를 갖춘, 수평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료 전지 스택;
    연소 가스를 연료 전지들의 양극들에 공급하기 위한 연소 가스 공급 수단들;
    양극 배출 가스를 양극들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양극 가스 배출 수단들;
    음극 가스를 연료 전지들의 음극들에 공급하기 위한 음극 가스 공급 수단들;
    음극 배출 공기를 연료 전지들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음극 가스 배출 수단들;
    양극 배출 가스 및/또는 음극 배출 공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료 전지들의 음극들로 역류시키기 위한 역류 수단들을 구비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역류 수단들은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세로 측에 배치된, 역류할 배출 가스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집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 라인은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정면에 배치된 이송 장치의 한 유입구 내부와 통하며,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음극 가스 공급 수단들과 연통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라인은 연료 전지 스택의 푸트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그리고 실제로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전체 세로 측에 걸쳐서 연장되는, 수평으로 뻗는 수집 라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라인은 이 수집 라인의 상부면에 배치된, 역류할 배출 가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입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라인 안에는 다수의 방향 전환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방향 전환 플레이트는 상기 유입 개구를 통해 실제로 수직 방향으로 유입되는 배출 가스를 이송 장치 쪽으로 방향 설정된 수평의 배출 가스 흐름으로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플레이트들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어긋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의 배출구에는 가스 분배기가 연결되고, 상기 가스 분배기는 연료 전지 스택의 헤드 영역에서는 실제로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전체 세로 측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배기는 자체 종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분배 배치된 측면 배출 개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가스 분배기의 종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상기 가스 분배기의 내부 챔버의 횡단면은 상기 이송 장치의 배출구에 배치된 상기 가스 분배기의 단부로부터 마주 놓인 단부로 가면서 점차 크기가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배기의 배출 개구들 다음에는 가열 장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 다음에는 열교환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서는 음극들로 역류하는 가스 혼합물이 양극들에 공급되는 연소 가스와 열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 및 열교환기가 연료 전지 스택 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순환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어셈블리는 기밀 방식의 보호 하우징에 의해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KR1020117008800A 2008-09-19 2009-09-16 가스 재순환이 개선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 KR20110076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7919 2008-09-19
DE102008047919.5 2008-09-19
DE102009013599.5 2009-03-17
DE102009013599A DE102009013599A1 (de) 2008-09-19 2009-03-17 Brennstoffzellenanordnung mit verbesserter Gasrückfüh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938A true KR20110076938A (ko) 2011-07-06

Family

ID=4169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800A KR20110076938A (ko) 2008-09-19 2009-09-16 가스 재순환이 개선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71544A1 (ko)
EP (1) EP2338200B1 (ko)
JP (1) JP2012503281A (ko)
KR (1) KR20110076938A (ko)
DE (1) DE102009013599A1 (ko)
WO (1) WO2010031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7148B4 (de) 2009-08-06 2014-02-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Festoxid-Brennstoffzellen-System
DE102012223864B3 (de) 2012-12-19 2014-04-03 New Enerday GmbH Vorrichtung zur Aufnahme mindestens einer Komponente eines SOFC-Brennstoffzellensystem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KR20150129790A (ko) 2013-03-15 2015-11-20 엑손모빌 리서치 앤드 엔지니어링 컴퍼니 통합형 발전에서 NOx의 경감
US9077008B2 (en) 2013-03-15 2015-07-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9556753B2 (en) 2013-09-30 2017-01-3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ower generation and CO2 capture with turbines in series
US9819042B2 (en) 2013-09-30 2017-11-1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integration within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US9755258B2 (en) 2013-09-30 2017-09-05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solid oxide fuel cells
US11211621B2 (en) 2018-11-30 2021-12-2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Regen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for deep CO2 capture
WO2020112812A1 (en) 2018-11-30 2020-06-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 2 utilization
KR102610184B1 (ko) 2018-11-30 2023-12-04 퓨얼셀 에너지, 인크 용융 탄산염 연료 전지를 위한 연료 전지 스테이징
WO2020112895A1 (en) 2018-11-30 2020-06-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Reforming catalyst pattern for fuel cell operated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WO2020112806A1 (en) 2018-11-30 2020-06-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ayered cath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US11424469B2 (en) 2018-11-30 2022-08-23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Elevated pressure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CA3162231A1 (en) 2019-11-26 2021-06-03 Exxonmobile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high electrolyte fill level
WO2021107933A1 (en) 2019-11-26 2021-06-0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module assembly and systems using same
US11978931B2 (en) 2021-02-11 2024-05-07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low baffl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344B2 (ja) * 1985-05-13 1994-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
DE4425186C1 (de) * 1994-07-16 1996-03-07 Mtu Friedrichshafen Gmbh Brennstoffzell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stoffzellenanordnung
DE4446841A1 (de) 1994-12-27 1996-07-04 Mtu Friedrichshafen Gmbh Brennstoffzellenmodul
DE19548297C2 (de) 1995-12-22 2001-03-08 Mtu Friedrichshafen Gmbh Brennstoffzell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DE19947565A1 (de) * 1999-10-02 2001-04-05 Ruhrgas Ag Vorrichtung zum Mischen von fluidförmigem Brennstoff mit zwei Gasströmen
US6632556B2 (en) * 2000-12-19 2003-10-14 Utc Fuel Cells, Llc Manifold assembly for a fuel cell power plant
US7067208B2 (en) * 2002-02-20 2006-06-27 Ion America Corporation Load matche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solid oxide fuel cell and a heat pump and an optional turbine
AU2003243867B2 (en) * 2002-06-21 2008-09-18 Versa Power Systems, Ltd. Fuel cell insulating heat exchanger
US6902840B2 (en) * 2002-07-02 2005-06-07 Fuelcell Energy, Inc. Fuel cell system with mixer/eductor
DE10307278B4 (de) * 2003-02-20 2008-03-27 Staxera Gmbh Brennstoffzellenstapel
US7323270B2 (en) * 2004-08-11 2008-01-29 Fuelcell Energy, Inc. Modular fuel-cell stac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13599A1 (de) 2010-03-25
US20110171544A1 (en) 2011-07-14
JP2012503281A (ja) 2012-02-02
EP2338200B1 (de) 2012-10-31
WO2010031547A1 (de) 2010-03-25
EP2338200A1 (de)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6938A (ko) 가스 재순환이 개선된 연료 전지 어셈블리
KR101675255B1 (ko) 개선된 촉매 버너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KR20110076939A (ko) 모듈 방식의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어셈블리
JP2821388B2 (ja) 燃料電池装置
US8309263B2 (en) Fuel cell assembly and electricity generation unit used in same
AU2003264576A1 (en) Cooled turbine integrated fuel cell hybrid power plant
NL1003862C2 (nl) Werkwijze voor het bedrijven van een gesmolten-carbonaat-brandstofcel, een brandstofcel en een brandstofcelstapel.
JP2013501319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JP6153066B2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装置
JP5336573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における排熱回収システム
JP6332621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6153068B2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装置
US20110020718A1 (en) Fuel cell arrangement
JP2005038826A (ja) 燃料電池極板の流場構造
JP6311876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6150055B2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装置
KR101339238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의 가습장치
KR20060059461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스택
WO2010031549A1 (de) Brennstoffzellenanordnung mit verbessertem gasmischer
JP2015225827A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JP2015225828A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