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370A -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370A
KR20110076370A KR1020090133064A KR20090133064A KR20110076370A KR 20110076370 A KR20110076370 A KR 20110076370A KR 1020090133064 A KR1020090133064 A KR 1020090133064A KR 20090133064 A KR20090133064 A KR 20090133064A KR 20110076370 A KR20110076370 A KR 20110076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blue phase
phase mode
mode liquid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규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6370A/ko
Publication of KR2011007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93Blue ph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높은 구동전압을 요하는 블루상 모드 액정을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화소 설계를 갖는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블루상 모드 액정이 네가티브 성질을 갖도록 함으로써,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수직전계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횡전계 방식에 비해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도 높은 구동전압을 요하는 블루상 모드 액정의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등방성 액정, 수직전계 구동

Description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Blue phase mode LCD}
본 발명은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높은 구동전압을 요하는 블루상 모드 액정을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화소 설계를 갖는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등이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며 각광받고 있다.
이중에서도 액정표시장치는 동화상 표시에 우수하고 높은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로 인해 노트북, 모니터, TV 등의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액정으로는 네마틱(nematic)액정, 스멕틱(smectic)액정 및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 등이 있으며, 주로 네마틱 액정이 이용된다.
한편,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낮아 잔상에 의한 화질의 저하 등이 수반된다. 또한, 다중 배향이나 추가의 광학필름의 채용 없이는 좁은 시야각을 갖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속 응답속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에, 블루상(blue phase) 액정을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블루상 모드 액정은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등방성이 이방성을 갖도록 변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전기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액정분자의장축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유전율 이방성(△ε)이 양(+)인 포지티브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블루상 모드 액정은 전압 무인가 시에 광학적으로 등방이고, 전압 인가에 의해 전압 인가 방향으로 복굴절성을 유기함으로써, 액정패널의 면내 방향(가로 방향)으로 전계를 인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블루상 모드 액정을 이용한 액정패널은 횡전계 방식(in-plane switching mode)의 전극 구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높은 구동전압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응답속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구동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차이에 비례하는 픽셀 전압에 따라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전압 무인가시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블루상(blue phase) 액정층을 포함하는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화소전극 또는 상기 공통전극 중 선택된 하나는 꺽임형상을 갖는 전계왜곡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계왜곡수단은 슬릿(slit) 또는 리브(rib)이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투과축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상하 편광판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상하 편광판의 각각의 투과축 방향은 상기 전계왜곡수단과 각각 45ㅀ로 어긋나며, 상기 제 1 기판의 내측면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과, 이들 두 배선과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상기 화소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과 박막트랜지스터에 대응되며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과, 상기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블루상 모드 액정을 네가티브 성질을 갖도록 하여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수직전계 구동 방식으로 구동함으로써, 기존의 횡전계 방식에 비해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도 높은 구동전압을 요하는 블루상 모드 액정의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액정표시장치를 블루상 모드 액정으로 형성한 것이다.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은 등방성(isotropic) 액정으로, 등방성 액정은 전압 무인가 시에는 3차원 또는 2차원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등방이기는 하지만, 전계를 인가하면, 그 방향으로만 복굴절이 생기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전압 인가시에는 광학적으로 일축성을 나타내게 되고, 네마틱 액정과 마찬가지로 투과율에 시야각 의존성이 생긴다. 또한, 등방성 액정은 광학적 이방성(optical anisotropic)이 있는 초기 배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계 방향을 따라 배향되는 점에서 네마틱 액정과 다르다.
이러한,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은 스메틱 블루상과 콜레스테릭 블루상이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블루상 모드 액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각각의 액정이 꼬인형태로 원기둥 내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구조를 더블 트위스트 실린더(double twist cylinder : DTS, 이하 DTS라 함)(220) 구조라 한다.
이러한 블루상 모드 액정(210)들은 DTS(220)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덤 꼬이게 배치된다. 즉, 블루상 모드 액정(210)들은 DTS(220)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트위스트 축(X, Y)을 따라 꼬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블루상 모드 액정(210)들은 DTS(2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DTS(220) 내에서 방향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DTS(220)들은 격자(lattice : 230) 구조로 배치된다.
이러한,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키랄 네마틱상(chiral nematic phase)과 등방상(isotropic phase) 사이의 온도영역에서 나타는 액정상으로, 1 ~ 2℃의 좁은 범위에서만 발현하기 때문에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고분자와 결합되어 안정화된 고분자 안정화 블루상 모드 액정(210)으로 이루어진다.
고분자 안정화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고분자가 혼합된 블루상 모드 액정(210)으로서, DTS(220)들의 격자(230) 구조와 안정된다. 즉, 블루상 모드 액정(210)에 고분자를 혼합하면 고분자는 DTS(220)를 이루는 액정들 즉 방향성을 갖 는 액정들보다 방향성을 갖지 않는 액정들과 더 잘 결합한다. 이에 따라 DTS(220)들이 격자(230) 구조가 안정화되고, 이를 통해 블루상이 발현되는 온도 대역이 0 ~ 50 ℃ 이하로 확대된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전기장이 인가되는 방향과 액정분자의 장축이 수직하게 배열되는 유전율 이방성(△ε)이 음(-)인 네거티브 성질을 갖는다.
이렇게 네거티브 성질을 갖는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일예로 다음과 같은 액정물질일 수 있다.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1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2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3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4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5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6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7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8
Figure 112009081317496-PAT00009
Figure 112009081317496-PAT00010
또한, 4-시아노-4'-펜틸비페닐(4-cyano-4'-pentylbiphenyl)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액정 물질들을 혼합한 조성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블루상은 모노머(monomer), 광개시제(photoinitiator) 및 결합제(binder)와 같은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모노머는 일예로 다음과 같은 물질일 수 있다.
Figure 112009081317496-PAT00011
Figure 112009081317496-PAT00012
여기서, 모노머는 광에 의해서 중합될 수 있는 화합물로서,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 및 탄소-탄소 고리형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 등이 포함된다. 일예로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계 화합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고분자화합물은 블루상 모드 액정(210)을 안정화하며, 안정화된 블루상 모드 액정(210)의 발현하는 온도가 0 ~ 50 ℃ 로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광개시제는 광 중합 개시제로서 적어도 1종 이상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이 포함된다. 일예로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모노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이 포함된다.
또한, 광개시제에는 벤조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및 트리아진계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벤조인계 화합물에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화합물에는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등이 포함되며, 트리아진계 화합물에는 2,4-트리 클로로메틸-(피퍼오닐)-6-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등이 포함된다.
결합제는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및 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며, 불포화 카르복실산에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이 포함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에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비닐톨루엔 등이 포함된다.
고분자화합물에 의해 안정화된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무질서하게 배열되고,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전기력선을 따라 배열된다.
이러한,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인가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이방성 굴절률이 인가전압의 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이와 같이 등방성 유극성 물질에 전계를 인가하였을 때 굴절률이 인가전압의 제곱에 비례하는 광학효과를 커 효과(kerr effect)의 특성을 가지며, 표시장치의 응답속도가 매우 빠른 특성을 갖는다.
또한,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전계가 형성되는 영역 별로 굴절률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전계가 형성되는 영역이 일정하게 형성되면 균일한 휘도를 구현할 수 있어, 표시장치의 표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배향할 필요가 없으므로, 표시장치에 배향막 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러빙공정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술한 특성을 갖는 블루상 모드 액정(210)을 이용하여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 내에 개재하여,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로 이용하게 되면 전계 인가시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 사이에 개재된 블루상 모드 액정층을 다이나믹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응답시간이 빨라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표시특성이 향상되고, 배향막 및 러빙공정을 삭제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전극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전계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액정층(200)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네거티브 성질을 갖는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전압 무인가 시에 광학적으로 등방이고, 전압 인가에 의해 전압 인가 방향으로 복굴절성을 유기함으로써, 이 성질로부터, 블루상 모드 액정(210)의 투과율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하 편광판을 서로의 편광축이 수직하도록 크로스로 배치하고, 액정패널의 수직 방향(세로 방향)으로 전계를 인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전기장이 인가되는 방향과 액정분자의 장축이 수직하게 배열되는 네거티브 성질을 갖도록 함으로써, 수직전계 구동 모드(vertical field driving mode)의 전극 구조가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도 2a ~ 2b는 블루상 모드 액정의 전계 인가 여부에 따라, 광학 이방성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 및 이의 배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로 이루어지며, 이중 액정패널(110)은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을 사이에 두고 대면된 어레이기판 및 컬러필터기판(101, 102) 그리고 어레이기판 및 컬러필터기판(101, 102)의 각 외면에 부착된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을 포함한다.
이때, 액정패널(110)은 수직전계 방식으로, 어레이기판(101)의 안쪽면에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화소전극(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컬러필터기판(102)의 안쪽면에는 블랙매트릭스(미도시) 및 컬러필터층(미도시) 그리고 공통전극(1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컬러필터기판(102)의 안쪽면에는 블랙매트릭스(미도시) 및 컬러필터층(미도시)을 덮는 오버코트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의 액정분자(210)는 네거티브 성질을 가짐으로써, 기판(101, 102)에 수직한 수직전계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전계방향으로 굴절률이 발현된다.
따라서, 최대 휘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은 각 편광축이 서로 수직하게 부착된다.
그리고, 백라이트는 자연광에 가까운 산란광을 액정패널로 공급한다.
이에, 도 2a와 같은 전압이 오프 상태일 때,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된 산란광은 제 1 편광판(120)에 의해 이의 편광축과 나란한 선형편광만이 투과되나, 블루상 모드 액정(210)은 전압의 오프(off) 상태에서는 블루상 모드 액정(210)의 DTS(도 2의 220) 들이 구(球) 형태가 되어 광학적으로 등방성(nx=ny) 성질을 갖게 된다.
이에,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된 산란광은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되어 블랙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2b와 같이 화소전극(140)과 공통전극(150)에 전압을 인가하면 블루상 모드 액정(210)의 DTS(도 2의 220) 들이 배치된 격자(도 2의 230) 구조가 왜곡되어 일정한 방향으로의 복굴절이 발생함으로써, 액정분자(210)가 전계에 수평한 타원(??圓)으로 되어, 광학적 이방성(nx>ny)을 발현하게 된다.
따라서, 백라이트로부터 출사된 산란광은 제 1 편광판(120)에 의해 이의 편광축과 나란한 선형편광만이 투과되고 나머지는 흡수되며, 제 1 편광판(120)을 투과한 선형편광 중 액정분자(210)와 나란한 선형편광이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의 액정분자(210)와 나란하여,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을 투과한 선형편광 중 제 2 편광판(130)의 편광축과 나란한 선형편광이 제 2 편광판(130)을 투과해서 화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100)는 수직전계를 인가함으로써, 격자 대칭성을 갖는 구조에 왜곡이 발생하여, 복굴절이 발생하기 때문에 양호한 화이트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복굴절이 발생하는 방향은 일정하고, 그 크기가 전계인가에 의해 변화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패널(110)의 수직 방향으로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기존의 횡전계 방식의 전극 구조에 비해 강한 전계가 형성되어, 높은 구동전압을 요하는 블루상 모 드 액정(210)의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횡전계 방식 전극 구조는 어레이기판 상에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에 전계를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횡전계 방식 전극 구조는 전극이 형성된 영역과 전극으로부터 멀어지는 영역의 전계 세기가 달라지는 단점이 있다. 즉, 어레이기판 근처의 영역에 형성되는 전계의 세기에 비해 컬러필터층이 형성되는 컬러필터기판 근처의 영역에 형성되는 전계의 세기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컬러필터기판 근처에 위치하는 블루상 모드 액정(210)의 광학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구동전압을 인가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100)는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을 수직전계를 통해 구동함으로써, 기존의 횡전계 방식 전극 구조에 비해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여도,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 전체에 균일한 수직전계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높은 구동전압을 요하는 블루상 모드 액정(210)의 광학 특성을 기존의 횡전계 방식 전극 구조에 비해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도 블루상 모드 액정(210)의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100)는 기존의 횡전계 방식 전극 구조에 비해 개구율 및 투과율 또한 향상된다.
한편,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100)는 정면을 기준으로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한 각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색이 반전되거나 영상이 왜곡되는 등의 시야각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100)는, 어레이기판(101)과 컬러필터기판(102)이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으며, 이 어레이기판 및 컬러필터기판(101, 102) 사이에는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이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어레이기판(101) 상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116, 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116, 118)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는, 게이트배선(116)과 연결되는 게이트전극(121)과, 게이트전극(121) 상부의 순수 비정질 실리콘의 액티브층(125a)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의 오믹콘택층(125b)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125)과, 반도체층(125) 상부에 위치하고 데이터배선(118)과 연결되는 소스전극(127)과, 소스전극(127)과 이격된 드레인전극(129)을 포함한다. 게이트전극(121) 상부에는 게이트절연막(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스 및 드레인전극(127, 129) 상부에는 보호층(1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소영역(P)에 마련된 투명 화소전극(140)이 형성되어 있다.
어레이기판(101) 상의 투명 화소전극(14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와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 IZO)를 포함하는 투명도 전성물질로 이루어진다. 투명 화소전극(140)은, 보호층(126)에 형성된 드레인콘택홀(128)을 통해 드레인전극(129)과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투명 화소전극(140)은, 슬릿(slit : S)을 포함하는데, 슬릿(S)은 전계를 왜곡하기 위한 전계왜곡구조물에 해당된다.
슬릿(S)은 중심부가 꺾여진 꺾임형상(셰브론(chevron)형상)을 가지며, 슬릿(S)은 한번이상 꺾여진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은 슬릿(S)을 통해, 하나의 화소영역(P) 내에 다중 도메인을 구성함으로써 광시야각 구동 시 특정 각도에서의 색반전 현상을 억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블루상 모드 액정층(200)을 사이에 두고 이와 마주보는 컬러필터기판(102)의 일면에는 어레이기판(101)의 데이터배선(118)과 게이트배선(116)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 등의 비표시 요소를 가리면서 투명 화소전극(140) 만을 노출시키도록 화소영역(P)을 두르는 격자 형상의 블랙매트릭스(131)가 구성된다.
또한, 이들 격자 내부에서 각 화소영역(P)에 대응되게 순차적으로 반복 배열되는 일례로 적(R), 녹(G), 청색(B)의 컬러필터층(133) 그리고 이들 모두를 덮는 투명 공통전극(150)을 포함한다.
투명 공통전극(150)은 투명 화소전극(140)과 전계를 형성하는데, 투명 공통전극(150)은, 인듐-틴-옥사이드와 인듐-징크-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투명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슬릿(S)을 어레이기판(101) 상의 투명 화소전 극(140) 상에 형성하였으나, 슬릿(S)은 투명 공통전극(150)에도 형성 가능하며, 또는 투명 화소전극(140)과 투명 공통전극(150) 모두에 형성가능하다.
또한, 슬릿(S) 외에도 리브(ri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어레이기판 및 컬러필터기판(101, 102)의 각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이 부착되는데,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은 각 편광축이 서로 수직하게 부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편광판(120, 130)은 서로 수직한 각 편광축이 투명 화소전극(140)에 형성된 슬릿(S)에 45°로 어긋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블루상 모드 액정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 2b는 블루상 모드 액정의 전계 인가 여부에 따라, 광학 이방성 정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Claims (5)

  1.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화소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차이에 비례하는 픽셀 전압에 따라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전압 무인가시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블루상(blue phase) 액정층
    을 포함하는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 또는 상기 공통전극 중 선택된 하나는 꺽임형상을 갖는 전계왜곡수단을 포함하는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왜곡수단은 슬릿(slit) 또는 리브(rib)인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투과축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상하 편광판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상하 편광판의 각각의 투과축 방향은 상기 전계왜곡수단과 각각 45ㅀ로 어긋나는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내측면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과, 이들 두 배선과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상기 화소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기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과 박막트랜지스터에 대응되며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과, 상기 공통전극이 형성된 수직전계 구동 방식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KR1020090133064A 2009-12-29 2009-12-29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KR20110076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064A KR20110076370A (ko) 2009-12-29 2009-12-29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064A KR20110076370A (ko) 2009-12-29 2009-12-29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370A true KR20110076370A (ko) 2011-07-06

Family

ID=4491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064A KR20110076370A (ko) 2009-12-29 2009-12-29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63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8969A1 (ko) * 2011-07-13 2013-0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고분자 안정화된 블루상 액정 표시 장치
CN103217819A (zh) * 2013-02-05 2013-07-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及其驱动方法
JP2014186045A (ja) * 2011-07-13 2014-10-02 Kyungpook National Univ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液晶表示装置
WO2015158123A1 (zh) * 2014-04-14 2015-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8969A1 (ko) * 2011-07-13 2013-0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고분자 안정화된 블루상 액정 표시 장치
JP2014186045A (ja) * 2011-07-13 2014-10-02 Kyungpook National Univ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液晶表示装置
CN103217819A (zh) * 2013-02-05 2013-07-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及其驱动方法
CN103217819B (zh) * 2013-02-05 2015-11-1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及其驱动方法
WO2015158123A1 (zh) * 2014-04-14 2015-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柔性显示器
US9939669B2 (en) 2014-04-14 2018-04-10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716B1 (ko) 높은 구동전압을 요구되는 액정 모드를 위한 액정표시장치
JP6820417B2 (ja) 表示装置
JP4476137B2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027941B2 (ja) 表示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817948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00145B1 (ko)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
KR101280830B1 (ko) 광학보상필름을 포함하는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US8339556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interdigital electrode portions on at least first and second substrates which are non-overlapping in a direction normal to the substrates
KR101286498B1 (ko) 블루상 액정표시장치
KR101011610B1 (ko)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형성 방법
JP5236529B2 (ja) 電気光学素子および表示装置
WO2005078516A1 (ja) 液晶表示素子
KR20130067339A (ko) 시야각 조절 액정표시장치
KR102380640B1 (ko) 액정캡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43844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4212938A (ja) Ocbモード液晶表示装置
WO2006030512A1 (ja) 液晶表示素子
KR20110076370A (ko) 블루상 모드 액정표시장치
US2011031709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5037784A (ja) 液晶表示素子
KR2007004635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00068636A (ko) 블루상 액정을 이용한 프린지필드 스위칭 액정표시소자
JP2007156453A (ja) 液晶ディスプレイ
KR20120015683A (ko) 액정표시장치
JP200921069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