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931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931A
KR20110075931A KR1020090132504A KR20090132504A KR20110075931A KR 20110075931 A KR20110075931 A KR 20110075931A KR 1020090132504 A KR1020090132504 A KR 1020090132504A KR 20090132504 A KR20090132504 A KR 20090132504A KR 20110075931 A KR20110075931 A KR 20110075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efrigerator
visualization
cover
patter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434B1 (ko
Inventor
소재현
오상호
김은정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43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서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서랍장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상기 수납부재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서랍 커버; 상기 서랍 커버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의 내부 습도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를 통해 가시화되는 무늬부가 형성되는 가시화부재; 상기 서랍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가시화 부재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무늬부로 물이 이동되도록 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 내부의 과습시 발생되는 이슬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무늬부로 이동되어, 상기 무늬부가 상기 서랍 커버를 통해 외부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서랍 내부의 습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서랍, 습도, 커버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 Refrigerator and drawer cover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서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고내에 구비된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에는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와같은 상기 서랍과 선반, 바스켓 등은 고내 공간에 다양하게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저장조건을 가지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야채와 과일과 같은 식품들은 장기간 신선함을 유지하면서 저장되기 위해서는 다른 식품과 별도로 저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른 공간과 구획되는 서랍과 커버에 의해 야채실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야채실 내부가 일정습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고내에 형성된 물방울들이 저장중인 식품에 떨어져 식품이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수단이 형성되며,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7493호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215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집수수단은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와 돌기사이에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집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수단은 집수된 물방울이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버는 집수수단에 의해 물방울을 집수하는 단순 기능뿐이며, 야채실 내부의 습도나 집수수단에 집수된 물방울을 양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서랍 내부의 습도를 서랍 커버를 통해 가시화하는 냉장고 서랍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장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상기 수납부재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서랍 커버; 상기 서랍 커버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의 내부 습도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를 통해 가시화되는 무늬부가 형성되는 가시화부재; 상기 서랍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가시화 부재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무늬부로 물이 이동되도록 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 내부의 과습시 발생되는 이슬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무늬부로 이동되어, 상기 무늬부가 상기 서랍 커버를 통해 외부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는 유리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의 하면에는 다수의 미세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턴부는 상방에서 볼 때,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투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부재의 둘레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시화부재로 물방울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랍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가시화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서랍 커버의 중앙에서 상기 냉동실과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가시화부재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가시화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압입되어 상기 가시화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다수의 돌기가 상기 가시화부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서랍 내부의 냉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냉기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늬부는 돌출 형성되며, 서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서랍장치는 서랍 커버의 하면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경우 가시화되는 무늬가 형성된 가시화 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랍 내부의 습도가 높을 경우 발생되는 이슬이 가시화부재에 유입되면, 상기 서랍 커버에 의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상기 서랍의 내부 습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서랍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운전을 실시하거나, 습도 조절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므로 저장성능 및 성능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시화부의 상측에 유리소재의 중간부재를 구비하여 결로를 촉진하고, 물방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동실과 가까운 위치에 상기 가시화부가 위치되어 결로가 촉진되어 습도의 가시화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중간부재 일측에 패턴부를 형성하여 상기 서랍 내부의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가시화부가 불투명하고, 상기 서랍 내부의 습도가 높아 상기 패턴부에 물이 채워지게 되면 상기 가시화부가 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상기 서랍 내부의 습도 상태에 따른 시각적 변화를 보다 강조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서랍 내부의 습도 상태 전달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수납부재와 커버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 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0)에 의해 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리어(12)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의 내측에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들이 구비되어 내부에 다양한 식품들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각각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2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동실 도어(42)로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의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에는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 홈바 등이 필요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서랍들 중 어느 하나에는 서랍 커버(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200)과 서랍 커버(300)는 서랍장치(100)를 구성하며, 야채, 채소, 과일 등이 수납되는 야채실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야채실로 사용되는 서랍 장치는 상기 냉장실(30) 내부 공간과 밀폐 또는 구획되어 형성되며, 내부 습도의 유지 및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장치(10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장치(10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서랍들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서랍(200)과 서랍 커버(300)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커버(300)의 상면이 고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서랍들 중 상기 야채실을 형성하는 서랍(200)과 서랍 커버(300)를 서랍장치(100)로 통칭하여 부르기로 하며, 이하에서 서랍은 상기 서랍장치를 구성하는 서랍인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서랍(200)은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냉장실(30)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200)의 인출시 개구된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야채, 과일 등의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200)의 상방에는 서랍 커버(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00)는 상기 서랍(2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서랍(200)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랍(200) 내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200)이 다수의 서랍(200)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랍 커버(300)는 상기 서랍(200)의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선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커버(30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커버(300)는 상기 냉장실(30)에 별도 구비되는 중간부 재(410)에 의해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커버(300)는 전체가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커버(300)는 테두리 부분만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고,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은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커버(3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서랍(200)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00)의 하면에는 상기 서랍(200) 내부의 습도가 높을 경우 수분이 응집되어 물방울이 맺히는 집수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310)는 다수개의 함몰된 홈에 의해 형성되며, 함몰된 홈은 사각 격자형 또는 다각형 뿔 형상 등 물방울이 맺혀진 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서랍 커버(300)의 하면에는 상기 서랍(200)의 내부 습도를 가시화시키는 습도 가시화 유닛(400)이 구비된다.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400)은 상기 서랍(200)의 내부 습도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서랍 커버(300)의 외측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가시화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400)은 결로가 발생되기 쉽도록 상기 서랍(200)의 내측 중 온도가 낮은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서랍 커버(3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서랍 커버(300)의 중앙에서 상기 냉동실(20)과 가까운 쪽 즉, 상기 베리어(12)와 인접하는 상기 서랍 커버(300)에 위치하여 습도의 가시화를 위한 결로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4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랍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부재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화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서랍 커버를 하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400)은 장착부(320)와 중간부재(410) 및 가시화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320)는 상기 중간부재(410) 및 가시화부재(42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서랍 커버(300)의 하면에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20)는 온도가 낮은 상기 냉동실(20)과 인접하는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위치되며, 사용자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20)는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둘레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322)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322)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돌기(322) 사이에는 냉기가 출입될 수 있는 냉기 유동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320)에 장착된 중간부재(410) 및 가시화부재(420)에 냉기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20)를 형성하는 다수의 돌기(322)는 상기 가시화부재(420)가 압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돌기(322) 하단에는 걸림부(324)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24)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장착시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둘레를 구 속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가시화부재(420)가 상기 중간부재(410)의 하면에 접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부재(410)의 하면과 상기 가시화부재(420)는 상면은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이 이동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20)에 대응하는 상기 서랍 커버(300)의 하면 일부에는 집수부(310)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320)에 대응하는 상기 서랍 커버(300)의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320) 하방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부재(410)는 상기 중간부재(410)의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 중간부재(410)는 습도의 가시화를 위한 결로를 촉진함과 동시에 결로된 이슬이 이동되면서 물방울 상태로 상기 가시화부재(420)로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중간부재(410)는 투명한 유리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410)는 유리소재의 특성상 투명하여 하방의 투시가 가능하며, 열전도성이 높아 표면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으며, 결로시 매끄러운 표면을 따라 이슬 또는 물방울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중간부재(410)는 상면(412)의 지름보다 하면(414)의 지름이 더 작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중간부재(410)의 둘레에는 하향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416)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재(410) 표면의 물방울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방의 상기 가시화부재(420)로 전달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부재(410)의 상면은 상기 장착부(320)의 내경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재(410)는 상기 장착부(32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가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410)의 하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무늬부(432)가 형성된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상면의 지름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410)의 하면(414)에는 패턴부(418)가 형성된다. 상기 패턴부(418)는 상기 중간부재(410)의 하면 전체 또는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418)는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한 다수의 요철형상에 의해 형성되며, 상방에서 볼 때 상기 패턴부(418)가 불투명하게 보이도록 한다. 상기 패턴부(418)는 미세한 모래 또는 구슬 등을 이용한 샌드블라스트 방식으로 성형하거나, 부식에 의한 표면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418)는 상기 패턴부(418)를 형성하는 미세한 홈에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하지만, 상기 홈에 물이 채워지는 경우에는 빛의 산란 및 굴절을 줄여 투명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418)는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무늬부(432)와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턴부(418)는 상기 중간부재(410)의 하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적어도 상기 무늬부(43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재(410)에서 결로에 의해 유도되는 물방울은 상기 패턴부(418)와 무늬부(432)의 사이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서랍 커 버(300)의 상방에서 가시화된 무늬부(432)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부재(410)의 하방에는 가시화부재(4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시화부재(420)는 상기 서랍(200)의 내부 습도상태에 따라 외부로 가시화 되도록 하는 것으로, 플레이트부(430)와 고정부(4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430)는 상기 장착부(320)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43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분과의 접촉시 가시화가 증진될 수 있도록 푸른색과 같은 원색 계열의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430)의 상면에는 무늬부(432)가 형성된다. 상기 무늬부(432)는 상기 서랍(200) 내부의 습도에 따른 가시화부재(420) 외부로 표현되는 부분으로, 소정의 문자 또는 그림을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늬부(432)는 상기 플레이트부(43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재(410)의 패턴부(418)와 인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늬부(432)의 상면과 상기 패턴부(418)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이 이동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무늬부(432)는 상기 플레이트부(430)의 둘레에서 시작하여 상기 무늬부(432)를 형성하는 부분이 모두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부(430) 외측의 무늬부(432)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무늬부(43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무늬부(432) 전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430)의 외측에는 고정부(44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플레이트부(430)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부(442)와, 상기 한쌍의 연장부(442)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형상의 벤딩부(44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440)는 상기 플레이트부(430)의 양측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벤딩부(444)까지의 직경은 상기 장착부(320)의 내경에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벤딩부(444)는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장착시 상기 장착부(320)의 내측면과 접하여 벤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소 서랍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2의 I-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랍 내부의 습도에 따른 가시화부재의 가시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내가 냉각 중인 상태에서, 상기 서랍(200)에는 저온 저장을 위한 과일 또는 야채 등이 보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랍(200)의 내부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서랍 커버(300)의 하면 및 상기 중간부재(410)에 물방울이 잘 맺히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시화부재(420) 측으로 물방울이 이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재(410)의 패턴부(418)에 물이 채워지지 않게 되고, 가시화부재(420)의 무늬부(432)를 따라 수분이 이동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418)는 불투명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서랍 커버(300)의 외측에서 볼 때,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무늬부(432)가 명확하게 보이지 않게 되거나 전혀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서랍 커버(300)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랍(200)의 내부 습도가 낮은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200)의 내부에 식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200)의 내부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서랍 커버(300) 하면의 집수부(310)와 상기 중간부재(410)에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중간부재(410)는 상기 베리어(12)와 인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냉동실(20)과 가깝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커버(30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할 때 상기 중간부재(410)가 위치되는 지점의 온도가 낮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중간부재(410)의 표면과 상기 서랍(200)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중간부재(410)의 표면에 결로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부재(410)에 맺힌 이슬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도 7 에서와 같이 상기 중간부재(410)의 경사면(416)을 따라서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이슬은 물방울이 되어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둘레측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둘레에 도달한 물방울은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무늬부(432)와 상기 중간부재(410) 하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모세관현상에 의해 이동 된다.
즉, 상기 중간부재(410) 하면과 상기 무늬부(432)의 사이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무늬부(432)를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무늬부(432)와 상기 중간부재 사이의 공간을 물로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무늬부(432)와 인접하는 상기 중간부재 하면의 패턴부(418)에 물이 채워지게 되며, 물이 채워진 패턴부(418)는 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한 패턴부를 통해 상기 무늬부(432)가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서랍 커버(300)의 외측에서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400)을 바라보게 되면,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무늬부(432)의 형상이 확연하게 나타나게 된다. 특히, 상기 가시화부재(420)가 파란색과 같이 투명하지 않은 진한 색상을 가지게 되는 경우 수분에 의해 색상이 보다 진해지게 되며, 상기 서랍 커버(300)를 통해 그 형상이 보다 명확하게 표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랍 커버(300)의 외측에서 바라볼 때, 도 9 에서와 같이 상기 무늬부(432)가 명확하게 보이게 되면, 상기 서랍(200)의 내부 습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서랍의 내부의 습도가 과도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서랍(200) 내부의 식품이 상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습을 위한 운전을 조작하거나, 상기 서랍(200) 내부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서랍(2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가시화부재(420)의 설정 여부에 따라서 상기 서랍(200)의 내부가 적정 습도인 경우에 상기 무늬부(432)가 외부로 나타날 수 있도 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서랍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부재의 하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화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랍 커버를 하방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I-I'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랍 내부의 습도에 따른 가시화부재의 가시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0)

  1.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상기 수납부재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서랍 커버;
    상기 서랍 커버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의 내부 습도에 따라 상기 서랍 커버를 통해 가시화되는 무늬부가 형성되는 가시화부재;
    상기 서랍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가시화 부재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무늬부로 물이 이동되도록 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 내부의 과습시 발생되는 이슬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무늬부로 이동되어, 상기 무늬부가 상기 서랍 커버를 통해 외부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유리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의 하면에는 다수의 미세한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부가 형성되며,
    상기 패턴부는 상방에서 볼 때,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투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의 둘레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시화부재로 물방울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가시화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서랍 커버의 중앙에서 상기 냉동실과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가시화부재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상기 가시화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압입되어 상기 가시화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다수의 돌기가 상기 가시화부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 배 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서랍 내부의 냉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냉기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부는 돌출 형성되며, 서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KR1020090132504A 2009-12-29 2009-12-29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1132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504A KR101132434B1 (ko) 2009-12-29 2009-12-29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504A KR101132434B1 (ko) 2009-12-29 2009-12-29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931A true KR20110075931A (ko) 2011-07-06
KR101132434B1 KR101132434B1 (ko) 2012-03-30

Family

ID=4491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504A KR101132434B1 (ko) 2009-12-29 2009-12-29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4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6372A1 (de) * 2014-12-16 2016-06-23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frischhaltefach
EP2473799A4 (en) * 2009-09-02 2016-09-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OMPRISING A DECORATIVE ELEMENT CAPABLE OF DISPLAYING HUMID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CORATIVE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922A (ja) 1999-03-26 2000-10-06 Sharp Corp 庫内環境表示機能付き冷蔵庫
KR100524785B1 (ko) 2002-10-23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최적상태 보존 장치
KR100830463B1 (ko) 2006-03-03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3799A4 (en) * 2009-09-02 2016-09-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OMPRISING A DECORATIVE ELEMENT CAPABLE OF DISPLAYING HUMID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CORATIVE ELEMENT
WO2016096372A1 (de) * 2014-12-16 2016-06-23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frischhaltefa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434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6685B1 (en) Refrigerator and drawer for refrigerator
US8590334B2 (en)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9157674B2 (en) Cabinet refrigerating system
KR101643641B1 (ko) 냉장고
US9091473B2 (en) Float-type ice making assembly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KR20060075158A (ko) 냉장고의 결로방지 도어
KR10113243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1721760B1 (ko)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KR100651307B1 (ko) 냉장고
KR101404342B1 (ko) 냉장고
KR10112188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10387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EP2413075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367403B2 (ja) 冷却貯蔵庫
KR20110051350A (ko) 냉장고
KR101085654B1 (ko) 냉장고
KR101350011B1 (ko) 냉장고
KR100651308B1 (ko) 냉장고
KR20210059491A (ko) 냉장고용 김치통
KR101584804B1 (ko) 냉장고의 습도가시화장치
KR20210059490A (ko) 냉장고용 김치통
KR101096849B1 (ko) 저장용기
KR20090101717A (ko) 냉장고의 외기 온도 센서 결합 장치
KR20090131212A (ko) 냉장고의 컨트롤 박스
KR19990011288U (ko) 직냉식 소형 냉장고의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