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87B1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87B1
KR101121887B1 KR1020090124719A KR20090124719A KR101121887B1 KR 101121887 B1 KR101121887 B1 KR 101121887B1 KR 1020090124719 A KR1020090124719 A KR 1020090124719A KR 20090124719 A KR20090124719 A KR 20090124719A KR 101121887 B1 KR101121887 B1 KR 101121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frigerator
groove
humidity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928A (ko
Inventor
소재현
오상호
김은정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887B1/ko
Priority to EP10192603.8A priority patent/EP2333469B1/en
Priority to US12/955,406 priority patent/US8590334B2/en
Priority to CN2010105878387A priority patent/CN102080917B/zh
Publication of KR2011006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야채 과일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수납부재를 차폐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수분이 응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제1집수홈으로 구성되는 집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수분이 응집된 상태에서는 투명하게 되는 다수의 제2집수홈으로 구성되는 습도 가시화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야채실 내부의 습도를 가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야채실, 집수, 커버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 Refrigerator and drawer cover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고내에 구비된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에는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와같은 상기 서랍과 선반, 바스켓 등은 고내 공간에 다양하게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저장조건을 가지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야채와 과일과 같은 식품들은 장기간 신선함을 유지하면서 저장되기 위해서는 다른 식품과 별도로 저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른 공간과 구획되는 서랍과 커버에 의해 야채실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야채실 내부가 일정습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고내에 형성된 물방울들이 저장중인 식품에 떨어져 식품이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수단이 형성되며,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7493호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215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집수수단은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와 돌기사이에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집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수단은 집수된 물방울이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버는 집수수단에 의해 물방울을 집수하는 단순 기능뿐이며, 야채실 내부의 습도나 집수수단에 집수된 물방울을 양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명한 커버의 하면에 수분이 응집되는 집수부와, 수분의 응집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되는 집수홈으로 이루어지는 습도 가시화부가 형성되어, 수납부재의 내부 습도와 수분의 집수량을 가시화할 수 있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투명한 커버의 하면에 수분의 응집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습도 가시화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습도 가시화부는 서로 다른 크기의 집수홈으로 형성되어 수납부재의 내부 습도와 수분의 집수량을 가시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야채 과일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수납부재를 차폐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수분이 응집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제1집수홈으로 구성되는 집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하고, 수분이 응집된 상태에서는 투명하게 되는 다수의 제2집수홈으로 구성되는 습도 가시화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집수홈은 내측 경사면은 40˚~ 50˚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집수홈은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집수홈은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1:1:0.5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집수홈은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높이의 비율이 상기 제2집수홈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집수홈은 상기 제1집수홈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집수홈은 상기 제2집수홈과 동일한 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집수홈과 제2집수홈이 인접하는 경계선상에는, 상기 제2집수홈과 동일한 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집수홈의 크기보다 더 작은 경계 집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 가시화부는 상기 다수의 제2집수홈에 의해 문자, 도형, 그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에 제공되며, 야채, 과일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상측에 투명소재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분의 응집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되는 다수의 집수홈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상기 집수홈들이 구비되며, 동일한 크기의 상기 집수홈들만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습도 가시화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습도 가시화부는, 상기 커버의 중앙에 크기가 작은 집수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큰 집수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습도 가시화부가 서로 접하는 경계선상에는 크기가 가장 작은 집수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홈은 내측 경사면은 40˚~ 50˚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홈은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집수홈은 개구된 하단의 각 선단이 서로 이웃하여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홈은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1:1:0.5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의하면, 수납부재의 내측에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습도 가시화부의 집수홈 내측에 물방울이 응집되기 시작하며, 물방울의 응집에 의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습도 가시화부의 투명도를 확인하여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를 알 수 있으며, 실제 수분의 응집량 또한 가시화 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 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의 습도가 높아져 수분의 응집량이 과도하게 많아지는 경우 습도를 낮추는 추가의 작업을 진행하거나, 응집된 물방울을 닦거나 직접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수분에 의해 야채 또는 과일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습도 가시화부의 형상을 특정 문자나 무늬 또는 모양으로 형성하게 될 경우 상기 커버를 통해 습도 가시화부의 투명도 변화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 습도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습도 가시화부를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다른 크기의 집수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 습도에 따라서 해당하는 습도 가시화부가 투명하게 되도록 하여 내부 습도의 확인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수납부재와 커버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0)에 의해 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리어(12)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의 내측에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들이 구비되어 내부에 다양한 식품들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장실(30)의 하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수납부재(200)와 커버(300)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재(200)와 커버(300)에 의해 야채, 채소, 과일 등이 수납되는 야채실(100)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야채실(100)은 냉장실(30) 내부 공간과 밀폐 또는 구획되어 형성되며, 내부 습도의 유지 및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야채실(100)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 다수의 서랍이 구비되는 경우 최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각각 차폐할 수 있도록 각각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2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냉동실 도어(42)로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의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44)와 냉동실 도어(42)에는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 홈바 등이 필요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A'와 B-B'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부재(20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장착되는 서랍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주로 야채 또는 과일 등이 수납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인출시 개구된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야채, 과일 등의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200)의 개구된 상면에는 커버(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2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부재(200)와 상기 냉장실(30)의 내부 공간과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200)가 다수의 서랍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선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00)는 전체가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 부분만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은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00)의 하면에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이 응집되는 집수부(310)와,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의 응집시 투명하게 변하는 습도 가시화부(32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310)는 상기 커버(300)의 하면에서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또는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의 외측 부분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제1집수홈(3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수홈(312)은 대략 삼각뿔 형상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하방으로 통해 수분이 응집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집수홈(312)은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집수홈(312)은 가로,세로,높이(h1)의 비율이 대략 1:1:0.25정도로 그 높이의 비율이 아래에서 설명할 제2집수홈(322)의 높이(h2) 비율보다 현저하게 낮게 되며, 이에 따라 내부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 빛의 굴절 각도가 크지 않게 되어 상기 커버(300) 하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집수홈(312)은 상기 커버(300)의 하면에서 함몰 형성되며, 하 방으로 개구된 직육면체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집수홈(312) 내측에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측의 수분이 응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집수홈(312) 내측면이 가지는 표면장력에 의해 집수된 물방울은 맺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집수홈(312)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수홈(312) 내측의 물방울이 상기 수납부재(200)의 인출입 조작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제2집수홈(322)의 크기를 고려할 때 개구된 면의 가로, 세로 길이가 대략 5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00)의 상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집수홈(312)은 수분의 응집과 관계없이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를 제외한 나머지 집수부(310)를 통해 상기 커버(300) 하면의 내부를 확인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집수부(310)는 유리와 같이 완전히 투명한 상태는 아니며 제1집수홈(312)의 무늬 형상 등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집수부(310)가 불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부(310)를 제외한 상기 커버의 다른 일측에는 습도 가시화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는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제2집수홈(322)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집수홈(322)은 상기 커버(300)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집수홈(322)은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기가 응집되어 물방울 상태로 집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 모양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집수홈(322)은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 응집이 용이하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경사면(312)이 형성하는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상기 제2집수홈(322)의 내측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제2집수홈(322)은 내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되며, 이때 상기 경사면(312)의 각도는 대략 40˚~ 5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집수홈(322)의 내측에 물방울이 집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경사면(312)에 의한 굴절에 의해 상기 커버(300)의 상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집수홈(322) 부분이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
반면에, 상기 제2집수홈(322)의 내측에 물방울이 집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집수홈(322)의 내측에 채워진 물에 의해 빛의 굴절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상기 커버(300)의 상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집수홈(322) 부분이 투명한 상태가 되며, 상기 제2집수홈(322)이 다수개 형성된 상기 커버(300)의 영역이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상기 경사면(324)의 각도가 대략 45˚각도일 때에는 상기 제2집수홈(322)으로 입사되는 빛이 굴절되어 상기 제2집수홈(322)의 내측에 수분이 없는 경우 가장 불투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집수홈(322)의 내측에 수분이 채워진 경우 빛의 굴절이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어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집수홈(322)은 정사각뿔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상기 제2집수홈(322)들은 서로 연속하여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집수홈(322)은 하나의 독립된 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제2집수홈(322)은 서로 접하는 상태로 인접하는 제2집수홈(322)의 개구된 하면의 선단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집수홈(322)의 개구된 하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하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와 상기 제2집수홈(322)의 높이(h2)는 대략 1:1:0.5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집수홈(322)은 내부에 응집되는 물방울의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표면장력 및 내부에 수용되는 물방울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상기 수납부재(200)의 인출입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2집수홈(322) 내부의 물방울이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2집수홈(322)의 개구된 하면의 가로 길이는 대략 0.5 ~ 5mm로 형성되어 내부에 집수된 물방울이 응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집수홈(322)을 통한 가시화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2집수홈(322)은 원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집수홈(322)의 크기는 상기 집수부(310)를 형성하는 제1집수홈(312)의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 이 상기 제2집수홈(322)을 먼저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가 보다 빠르게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제2집수홈(322)은 다수개가 서로 접하여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는 상기 다수의 제2집수홈(322)에 의해 특정한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 모양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집수홈(322)에 수분이 응집되어 투명한 상태가 되면, 상기 커버(300)를 통해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가 투명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집수홈(322)의 크기와 수를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적정습도에 맞도록 형성하게 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200)의 습도가 적정습도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의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부(310)와 습도 가시화부(320)가 접하는 부분은 서로 크기가 다르므로,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가 투명하게 될 경우 경계선이 나타나게 되고, 제1집수홈(312)과 제2집수홈(322)의 크기 차이가 클 경우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에 의해 나타나는 무늬의 둘레부분이 거칠게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310)와 습도 가시화부(320)의 사이 경계선을 따라서 대략 가로, 세로의 길이가 0.5mm인 경계 집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 집수홈(330)은 상기 제2집수홈(322)과 같이 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집수홈(312) 또한 제2집수홈(322)과 같이 뿔 형상으로 형성 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1집수홈(312)의 크기는 반드시 상기 제2집수홈(32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집수홈(322)이 먼저 수분이 응집되어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가 투명하게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의 습도 상태에 따른 커버의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커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커버 상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측에 야채나 과일 등이 수납되지 않거나, 수납 후 내부의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300)의 집수부(310)와 습도 가시화부(320) 모두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00)의 상방에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측을 바라보게 되면,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면(312)에서 빛이 굴절되어 내부를 투시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300)의 하면에 형성된 집수부(310)는 상기 제1집수홈의 형상은 나타나지만 내부를 투시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는 상기 제2집수홈(322)부분이 완전히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300)에는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 부분만이 불투명하게 되며,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가 표현하는 무늬가 상기 커버(300)를 통해 확연히 드러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올라가게 되면, 상기 제1집수홈(312)과 제2집수홈(322)의 내부에 수분이 응집되기 시작할 것이며, 상기 집수부(310)와 습도 가시화부(320)를 형성하는 제1집수홈(312)들과 제2집수홈(322)들의 내부에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커버(300)에 맺혀진 물방울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을 쉽게 판단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의 커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의 커버 상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집수부(310)와 습도 가시화부(320)의 제1집수홈(312)과 제2집수홈(322)의 내부에는 수분의 응집이 시작되며, 습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제1집수홈(312)과 제2집수홈(322)의 내부에 응집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집수홈(312)의 크기가 제2집수홈(322)보다 더 크게 되므로 상기 제2집수홈(322)에 물방울이 먼저 채워질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집수홈(322)의 내부에는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집수홈(322)의 내부가 물방울로 채워지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집수홈(322) 내부의 물방울이 상기 경사면(312)을 덮게 되며, 상 기 경사면(312)에서의 빛 반사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어 상기 제2집수홈(322) 부분이 투명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충분한 양의 수분 응집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기 제2집수홈(322) 전체에 물방울이 채워질 수 있게 되며, 결국 상기 제2집수홈(322)의 전체 즉,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 전체가 투명한 상태가 되어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가 나타내는 특정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300)를 상방에서 바라보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물방울이 채워진 상기 다수의 제2집수홈(322)의 영역 즉,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 일부가 투명하게 되며, 상기 커버(300)의 습도 가시화부(320)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를 투시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에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커버(3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제2집수홈(322)에서부터 투명해지기 시작하며, 점차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상기 투명한 영역이 중앙부분에서 외측으로 확장되기 시작하여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 전체가 투명해 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2집수홈(322) 하나의 크기는 물방울이 완전히 채워진 상태에서도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하나의 제2집수홈(322) 내측에 물방울이 완전히 채워진 후에는 인접한 다른 제2집수홈(322)에 수분의 응집이 시작되어 점차적으로 번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가 전체 중 어느 정도 투명한 상태가 되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는 적정 습도가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 전체가 완전히 투명해지게 되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습도 가시화부(320) 전체가 투명하게 되는 경우에만 적정습도가 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를 줄일 수 있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집수홈(312)과 제2집수홈(322)에 맺혀진 물방울들을 닦아서 제거하여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에 수납된 야채 또는 과일에 물방울이 떨어지거나 맺히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집수홈(312) 또는 제2집수홈(322)과 같이 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크기만 더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집수홈(312)에 어느 정도의 물방울이 채워지게 되면, 상기 제1집수홈(312) 또한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수부(310) 또한 투명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높게 되면 상기 커버(300) 전체가 거의 완전하게 투명하게 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가 다소 과습한 상태로 판단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습 및 물방울의 제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커버의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400)의 배면에는 다수의 집수홈(422,432,44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집수홈(422,432,442)들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홈(422,432,442)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습도 가시화부(410)를 형성하는 제2집수홈(322)과 같이 사각 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의 비율만 다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들 다양한 크기의 집수홈(422,432,442)들은 동일한 크기의 집수홈(422,432,442)들끼리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각각 습도 가시화부(410)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400)의 배면에는 다수의 습도 가시화부(410)가 형성되며, 이들 각각의 습도 가시화부(410)는 서로 다른 크기의 집수홈(422,432,442)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습도 가시화부(410)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두개 이상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습도 가시화부(410)가 3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400)의 중앙부에는 제1습도 가시화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420)는 전체적으로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420)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0.5mm, 0.5mm, 0.25mm의 길이로 형성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420)를 형성하는 집수홈(422)들은 아래에서 설명할 집수홈(432,442)들과 비교할 때 가장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420)의 둘레에는 제2습도 가시화부(43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습도 가시화부(430)를 형성하는 집수홈(432)은 대략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mm, 1mm, 0.5mm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습도 가시화부(430)의 둘레에는 제3습도 가시화부(440)가 형성되며, 상기 제3습도 가시화부(440)를 형성하는 집수홈(442)은 대략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5mm, 1.5mm, 0.75mm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커버(400)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집수홈(422,432,442)의 크기는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측에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커버(400)의 중앙부에서 가장 수분의 응집이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400)의 중앙부에는 가장 크기가 작은 집수홈(422)에 수분이 응집되어 가장 먼저 투명하게 변하게 된다. 그리고, 점차 습도가 더 높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420)의 투명한 면적이 넓어지고, 상기 제2습도 가시화부(430)와 제3습도 가시화부(440)까지 점차 투명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습도 가시화부(420)와 제2습도 가시화부(430) 그리고 제3습도 가시화부(440)의 상태를 각각 확인하여 상기 수납부재(200)의 습도를 알 수 있게 되며, 상기 습도 가시화부(410)가 보다 더 많이 형성될수록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는 보다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커버의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500)의 배면에는 도 9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집수홈(522,532,542)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홈(522,532,542)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2집수홈(322)과 같이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집수홈(522,532,542)은 제1습도 가시화부(520)와 제2습도 가시화부(530) 제3습도 가시화부(54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커버(500)의 중앙에서부터 작은 크기의 집수홈(522)으로 이루어지는 제1습도 가시화부(520)가 형성되며, 점차 외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큰 집수홈(532,542)으로 이루어진 제2습도 가시화부(530) 및 제3습도 가시화부(5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크기가 다른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520)와 제2습도 가시화부(530) 및 제3습도 가시화부(540)가 서로 접하는 경계선상에는 그 크기가 가장 작은 경계 집수홈(5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계 집수홈(550)은 그 크기가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520)를 형성하는 집수홈(522)의 크기보다 더 작게 형 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520) 전체가 투명해지게 될 때 상기 제1습도 가시화부(520)의 외측 단부가 거칠게 표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표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커버의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 도 1 참조)의 내부에는 야채 또는 과일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수납부재(20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재(200)의 개구된 상면은 커버(600)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수납부재(200)의 전후방 인출입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개구된 상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6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30, 도 1 참조)의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상측에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0)는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600)의 하측에는 집수부재(720)가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재(720)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측의 수분을 응집시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를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상기 집수홈(612)이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집수부재(720)는 상기 커버(600)와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600)의 하면과 접하도록 상기 커버(300)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커버(600)의 하측에 장착된다.
상기 집수부재(720)의 하면 전체 또는 일부에는 다수의 집수홈(6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집수홈(612)에 의해 상기 집수부재(720)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을 응집하여 습도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를 가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집수홈(612)의 내부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집수홈(612) 부분이 불투명하게 되며, 상기 집수홈(612)의 내부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에서는 상기 집수홈(612) 부분이 투명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집수부재(720)의 상태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 습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300)를 통해서 상기 집수부재(720)의 상태를 확 인할 수 있으며, 상기 집수부재(720)가 투명하게 되어 상기 커버(600)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가 보이는 상태가 되면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상기 집수부재(720)에 형성된 상기 집수홈(612)의 패턴이 보이는 불투명 상태가 되면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집수홈(612)의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는 수납부재 및 커버의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 도 1 참조)의 내부에는 야채 또는 과일을 수납하기 위한 상기 수납부재(20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재(200)는 상기 냉장실(30, 도 1 참조)의 내측에 구비되는 외부 케이스(700)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도 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700)는 전면과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200)가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케이스(700)의 상측에는 커버(71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710)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부재(20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부재(200) 또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710)는 투명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케이스(70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710)의 하방에는 상기 집수부재(7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재(720)는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수분이 응집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부재(200) 내부의 습도를 가시화하는 것으로, 하면에는 다수의 상기 집수홈(722)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재(720)는 그 장착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집수부재(720)는 상기 커버(710)의 하면과 접하도록 상기 커버(710)의 하면에 장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7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200)의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집수부재(720)의 집수홈(722)이 불투명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커버(710)의 상측에서 바라보면 상기 커버(710)를 통해 상기 집수홈(722)의 패턴만이 불투명한 상태로 보여지게 된 다.
반면에, 상기 수납부재(200)의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사기 집수부재(720)의 집수홈(722)이 투명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커버(710)의 상측에서 바라보면 물방울이 맺혀진 상기 집수홈(722)이 투명한 상태가 되어 상기 커버(710)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200)의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와 B-B'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커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의 커버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의 커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수홈에 수분이 응집된 상태의 커버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재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16)

  1. 야채 과일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재의 상방에서 상기 수납부재의 개구된 면을 차폐하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수분이 응집되도록 함몰되는 다수의 제1집수홈으로 구성되는 집수부와,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수분의 응집이 가능하고 동시에 투명도의 변화에 따른 습도의 가시화가 가능한 다수의 제2집수홈으로 구성되는 습도가시화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집수홈은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면에서 빛의 굴절에 의해 상방에서 볼 때 불투명하고, 수분이 응집된 상태에서는 빛이 상기 경사면을 투과하여 상방에서 볼 때 투명하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수홈은 내측 경사면은 40˚~ 50˚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수홈은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수홈은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1:1:0.5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홈은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높이의 비율이 상기 제2집수홈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수홈은 상기 제1집수홈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홈은 상기 제2집수홈과 동일한 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홈과 제2집수홈이 인접하는 경계선상에는,
    상기 제2집수홈과 동일한 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집수홈의 크기보다 더 작은 경계 집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가시화부는 상기 다수의 제2집수홈에 의해 문자, 도형, 그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10.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에 제공되며, 야채, 과일 등이 수납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의 상측에 투명소재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다수의 집수홈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홈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에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수분이 응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경사면에서 빛이 굴절되어 상방에서 볼 때 불투명하고, 수분이 응집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빛이 상기 경사면을 투과하여 상방에서 볼 때 투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습도 가시화부를 형성하며,
    상기 습도 가시화부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습도 가시화부는,
    상기 커버의 중앙에 크기가 작은 집수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큰 집수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습도 가시화부가 서로 접하는 경계선상에는 크기가 가장 작은 집수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은 내측 경사면은 40˚~ 50˚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은 정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집수홈은 개구된 하단의 각 선단이 서로 이웃하여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은 가로 세로 높이의 비율이 1:1:0.5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20090124719A 2009-11-30 2009-12-15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1121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19A KR101121887B1 (ko) 2009-12-15 2009-12-15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EP10192603.8A EP2333469B1 (en) 2009-11-30 2010-11-25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12/955,406 US8590334B2 (en) 2009-11-30 2010-11-29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2010105878387A CN102080917B (zh) 2009-11-30 2010-11-30 用于冰箱的储存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19A KR101121887B1 (ko) 2009-12-15 2009-12-15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28A KR20110067928A (ko) 2011-06-22
KR101121887B1 true KR101121887B1 (ko) 2012-03-19

Family

ID=4440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719A KR101121887B1 (ko) 2009-11-30 2009-12-15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740B1 (ko) 2014-08-07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5806003A (zh) * 2014-12-30 2016-07-2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风冷冰箱
KR102629953B1 (ko) * 2019-03-2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922A (ja) * 1999-03-26 2000-10-06 Sharp Corp 庫内環境表示機能付き冷蔵庫
KR20060111645A (ko) * 2003-12-03 2006-10-27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인디케이터 기능을 갖는 흡습재, 습도 인디케이터 및 포장봉투
KR20070020832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70109777A (ko) * 2006-11-08 2007-11-15 유용식 홀로그램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홀로그램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922A (ja) * 1999-03-26 2000-10-06 Sharp Corp 庫内環境表示機能付き冷蔵庫
KR20060111645A (ko) * 2003-12-03 2006-10-27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인디케이터 기능을 갖는 흡습재, 습도 인디케이터 및 포장봉투
KR20070020832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70109777A (ko) * 2006-11-08 2007-11-15 유용식 홀로그램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홀로그램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28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334B2 (en) Refrigerator and stor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104567B1 (ko) 냉장고 서랍장치
KR10112188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10387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113243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0651307B1 (ko) 냉장고
EP2413075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061808B2 (ja) 冷蔵庫
JP2011179695A (ja) 冷蔵庫
JP7401898B2 (ja) 冷蔵庫
EP3367030B1 (en) Ice-cream display cabinet and ice-cream drawers
KR101871713B1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11503407U (zh) 乙烯吸收单元和具有该单元的家用制冷器具
RU2523063C2 (ru) Холодильный шкаф с барьерами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US10928122B2 (en) Dual asymmetrical and symmetrical architecture cantilever positioning
JP5609156B2 (ja) 冷蔵庫
JP7340932B2 (ja) 冷蔵庫
KR20120086634A (ko) 냉장고용 직립식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6785067B2 (ja) 冷蔵庫
KR20220053324A (ko) 냉장고
KR20210059491A (ko) 냉장고용 김치통
JP6864980B2 (ja) 冷蔵庫
JP2011196673A (ja) 冷蔵庫
KR20060066451A (ko) 냉장고용 선반집출장치
CN110836569A (zh) 制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