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857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857A
KR20110075857A KR1020090132424A KR20090132424A KR20110075857A KR 20110075857 A KR20110075857 A KR 20110075857A KR 1020090132424 A KR1020090132424 A KR 1020090132424A KR 20090132424 A KR20090132424 A KR 20090132424A KR 20110075857 A KR20110075857 A KR 20110075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ower case
liquid crystal
system componen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821B1 (ko
Inventor
최진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8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슬릿이 구비된 하부 케이스; 및 시스템 부품을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시스템 부품과 결합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된 슬릿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시스템 부품을 하부 케이스에 고정하게 되며, 특히, 고정 기구의 고정 위치를 하부 케이스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슬릿을 이용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부품의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상기 고정 기구의 고정 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별도의 구성 변경 없이도 시스템 부품을 하부 케이스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하부 케이스, 시스템 부품, 고정 기구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케이스에 시스템 부품을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동작 전압이 낮아 소비 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는 등의 이점으로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우주선, 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응용분야가 넓고 다양하다.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 하부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액정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계 인가 유무에 따라 상기 액정층의 배열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평판표시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10), 백라이트 유닛(20), 가이드 패널(30), 상부 케이스(40) 및 하부 케이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 패널(10)은 상부 기판,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 액정 패널(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액정 패널(10)로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다른 평판표시장치와 달리 비발광성이므로 상기 액정 패널(10) 하부에 광원으로서 백라이트 유닛(20)이 구성되며,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10) 하부 전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직접 상기 액정 패널(10) 쪽으로 전달하는 직하형 방식과, 상기 액정 패널(10)의 하부 일측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도광판을 통해 상기 액정 패널 쪽으로 전달하는 에지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도 1에는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20)을 도시하였다.
상기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20)은 광원(21), 인쇄회로기판(22), 도광판(23), 광학 시트(24), 및 반사판(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21)으로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요즘에는 발광 효율 면에서 우수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상기 광원(21)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2)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광원(21)과 연결되어 상기 광원(2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광판(23)은 그 일 측면이 상기 광원(21)과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광원(21)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액정 패널(10) 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광학 시트(24)는 상기 도광판(23)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23)을 통해 입사된 광이 상기 액정 패널(10) 쪽으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반사판(25)은 상기 도광판(23)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21)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도광판(23) 하측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 패널(30)은 상기 액정 패널(10)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 케이스(40) 및 하부 케이스(50)는 액정표시장치의 최외곽을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에는 파워 보드(Power board), 시스템 보드(System board) 등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 부품이 추가로 고정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케이스(50)의 하면에 다양한 시스템 부품이 고정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종래에 따른 상기 하부 케이스(50)의 하면에 시스템 부품을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종래의 하부 케이스(50)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종래의 하부 케이스(50)의 하면에 시스템 부품(60)을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하부 케이스(50)의 하면에는 볼트/너트 체결을 위한 제1 체결구(52) 및 시스템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시스템 부품(60)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50)에 형성된 제1 체결구(52)에 대응하는 제2 체결구(62) 및 상기 하부 케이스(50)에 형성된 지지부(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50)와 상기 시스템 부품(60) 사이의 고정은 상기 제1 체결구(52)와 제2 체결구(62)를 이용한 볼트/너트 결합 및 상기 지지부(54)와 상기 홈(64) 사이의 결합을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상기 시스템 부품(60)의 크기가 변경될 경우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식은 상기 하부 케이스(50)에 제1 체결구(52)와 지지부(54)를 고정형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업체의 요구에 의해서 상기 시스템 부품(60)의 크기가 변경될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50)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시스템 부품을 하부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부품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하부 케이스 전체를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슬릿이 구비된 하부 케이스; 및 시스템 부품을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시스템 부품과 결합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된 슬릿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면과 접촉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슬릿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고정 기구에 두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슬릿 중 두 개의 슬릿 각각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 의 제1 고정부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의 일 측변에는 홈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2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와 각각 연결되는 경사진 제1 연결부 및 상기 경사진 제1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홈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는 상기 경사진 제1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기구에 구비된 제2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3 고정부가 구비된 시스템 부품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기구에 구비된 제2 고정부는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스템 부품에 구비된 제3 고정부는 상기 홈 구조의 제2 고정부에 삽입되는 돌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기구 두 개가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고정 기구 각각에 구비된 제2 고정부와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제3 고정부를 구비하는 시스템 부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시스템 부품을 하부 케이스에 고정하게 되며, 특히, 고정 기구의 고정 위치를 하부 케이스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슬릿을 이용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부품의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상기 고정 기구의 고정 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별도의 구성 변경 없이도 시스템 부품을 하부 케이스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업체의 요구에 의해서 시스템 부품의 크기가 변경 되어도 하부 케이스 전체를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단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를 하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100)에는 복수 개의 슬릿(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슬릿(150)은 후술하는 고정 기구가 착탈 가능하게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에는 상기 고정 기구를 통해 시스템 부품이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스(100)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슬릿(150)의 형성 위치는 시스템 부품의 고정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150)의 폭, 상기 슬릿(150)의 형성 개수, 및 상기 슬릿(150) 간의 간격 등은 고정 기구 및 시스템 부품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고정기구가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되는 모습, 및 시스템 부품이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되는 모습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구(200)는 시스템 부품을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구(200)는 제1 고정부(210), 연결부(220) 및 제2 고정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구비된 슬릿(150)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부(210)가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결합함으로써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기구(200)가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제1 돌출부(212) 및 제2 돌출부(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돌출부(212)는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슬릿(150) 근방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외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제2 돌출부(214)는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슬릿(150)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내면과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212)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외면과 접하고 상기 제2 돌출부(214)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내면과 접함으로써, 결국 상기 제1 고정부(210)를 통해서 상기 고정 기구(200)가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1 돌출부(21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214)가 중앙측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2 돌출부(214)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212)가 중앙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212) 및 제2 돌출부(214) 모두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돌출부(212) 및 제2 돌출부(214)가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상기 제1 돌출부(212) 및 제2 돌출부(214)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상기 고정 기구(200)에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기구(200)의 양측에 각각 상기 제1 고정부(210)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제1 고정부(210)는 각각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슬릿(150)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으며, 특히, 두 개의 제1 고정부(21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복수 개의 슬릿(150) 중에서 두 개의 슬릿(150)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21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1 연결부(222) 및 제2 연결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부(222)는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210)와 각각 연결되며, 소정의 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연결부(222)에는 상기 제2 고정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24)는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연결부(22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고정부(230)는 시스템 부품과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제2 고정부(230)와 시스템 부품이 결합함으로써,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기구(200) 에 시스템 부품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2 고정부(230)는 홈 구조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시스템 부품은 상기 홈 구조의 제2 고정부(230)와 결합하기 위한 돌출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돌출 구조와 상기 홈 구조 사이의 결합을 통해서 결국 시스템 부품이 상기 제2 고정부(230)에 고정되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홈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230)는 상기 연결부(220)의 일 측변에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연결부(222)의 일 측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연결부(222)의 일 측변에 홈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2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부품과 상기 제2 고정부(230)의 결합력이 증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 기구(200)가 결합되는 모습, 및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결합된 고정 기구(200)에 시스템 부품이 결합되는 모습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 기구(200)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에서 알 수 있듯이, 하부 케이스(100)에는 두 개의 고정 기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고정 기구(200) 각각은 두 개의 제1 고정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210)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구비된 두 개의 슬릿(150) 각각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결합하게 된다.
다만, 상기 슬릿(150)의 폭을 넓게 형성할 경우 하나의 슬릿(150)을 통해서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210)가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슬릿(150)의 폭을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210) 사이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경우,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210)가 하나의 슬릿(150)의 일측 및 타측을 통해서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5b에는 하부 케이스(100)의 슬릿(150)을 통해 하부 케이스(100)과 결합하는 고정 기구(200)의 단면 모습을 도시하였는데,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 기구(200)에 구비된 두 개의 제1 고정부(210)는 각각 제1 돌출부(212) 및 제2 돌출부(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돌출부(212)는 하부 케이스(100)의 외면과 접하고, 상기 제2 돌출부(214)는 상기 슬릿(150)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00)의 내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제1 고정부(210)는 제1 연결부(222) 및 제2 연결부(224)로 구성된 연결부(220)에 연결되며, 결국 상기 연결부(2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 기구(200)를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 기구(200)가 결합된 전술한 모습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 기구(200)에 시스템 부품(300)을 결합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b는 상기 고정 기구(200)에 시스템 부품(300)을 결합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시스템 부품(300)에는 상기 고정 기구(200)에 구비된 제2 고정부(230)와 결합되는 제3 고정부(3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기구(200)에 구비된 제2 고정부(230)가 홈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시스템 부품(300)에 구비된 제3 고정부(310)는 돌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돌출 구조로 이루어진 제3 고정부(310)가 상기 홈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230) 내에 삽입됨으로써, 결국 상기 시스템 부품(300)이 상기 고정 기구(20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 부품(300)에 구비된 돌출 구조로 이루어진 제3 고정부(310)는 상기 시스템 부품(300)의 일 측변에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얻을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부품(300)의 일 측변에 홈 구조(3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홈 구조(320)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제3 고정부(310)를 얻을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기구(200) 두 개가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고정 기구(200) 각각에 제2 고정부(23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고정 기구(200) 각각에 구비된 제2 고정부(2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 부품(300)에는 두 개의 제3 고정부(310)가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제3 고정부(310)는 상기 시스템 부품(300)의 일 측변 및 타 측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고정 기구(200)는 상기 제2 고정부(230)가 마주하는 형태로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시스템 부품(300)의 일 측변 및 타 측변에 각각 형성된 제3 고정부(310)와 상기 제2 고정부(230)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 기구(200)를 이용하여 시스템 부품(300)을 하부 케이스(100)에 고정하게 되며, 특히, 고정 기구(200)의 고정 위 치를 하부 케이스(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슬릿(150)을 이용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부품(300)의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상기 두 개의 고정 기구(200) 간의 고정 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별도의 구성 변경 없이도 시스템 부품(300)을 하부 케이스(10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150)의 형성 개수 및 슬릿(150) 간의 간격 등을 시스템 부품(300)의 다양한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형성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 기구(200)의 구성, 특히 고정 기구(200)에 구비된 두 개의 제1 고정부(21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시스템 부품(300)을 하부 케이스(10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고정 기구(200)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100)에 시스템 부품(300)을 고정하는 모습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그 외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 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하부 케이스(100)와 함께 액정표시장치의 최외곽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액정 패널은 상부 기판, 하부 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의 구성은 당 업계에 공지된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한 모드에 대응하도록 변경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액정 패널의 일측 아래에 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도광판을 배치하는 에지형 및 상기 액정 패널의 아래 전면에 광원을 배치하는 직하형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하부 케이스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종래의 하부 케이스의 하면에 시스템 부품을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를 하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에 고정 기구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에 고정 기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기구에 시스템 부품을 결합하기 전의 모습 및 결합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 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부 케이스 150: 슬릿
200: 고정 기구 210: 제1 고정부
212: 제1 돌출부 214: 제2 돌출부
220: 연결부 230: 제2 고정부
300: 시스템 부품 310: 제3 고정부

Claims (9)

  1. 복수 개의 슬릿이 구비된 하부 케이스; 및
    시스템 부품을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시스템 부품과 결합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된 슬릿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면과 접촉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슬릿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면과 접촉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고정 기구에 두 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된 복수 개의 슬릿 중 두 개의 슬릿 각각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는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의 일 측변에는 홈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2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제1 고정부와 각각 연결되는 경사진 제1 연결부 및 상기 경사진 제1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홈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고정부는 상기 경사진 제1 연결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에 구비된 제2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3 고정부가 구비된 시스템 부품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기구에 구비된 제2 고정부는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스템 부품에 구비된 제3 고정부는 상기 홈 구조의 제2 고정부에 삽입되는 돌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 두 개가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고정 기구 각각에 구비된 제2 고정부와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제3 고정부를 구비하는 시스템 부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90132424A 2009-12-29 2009-12-29 액정표시장치 KR101625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24A KR101625821B1 (ko) 2009-12-29 2009-12-29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424A KR101625821B1 (ko) 2009-12-29 2009-12-29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857A true KR20110075857A (ko) 2011-07-06
KR101625821B1 KR101625821B1 (ko) 2016-05-31

Family

ID=4491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424A KR101625821B1 (ko) 2009-12-29 2009-12-29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8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2810B1 (ja) * 2005-08-12 2007-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制御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821B1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537B1 (ko) 면상 광원장치
JP5244241B2 (ja)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05254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014691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477124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8911136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EP2177822B1 (en) Backlight unit
WO2010146916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3031829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9311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KR20120007175A (ko) 액정표시장치
WO201420873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885805B1 (ko) 액정표시장치
JP5826881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ティスプレイ装置
KR20220103082A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948170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60131828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v receiver
WO2014181566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3171619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403058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13222030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04998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25821B1 (ko) 액정표시장치
US11815710B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1206970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