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175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175A
KR20120007175A KR1020100067787A KR20100067787A KR20120007175A KR 20120007175 A KR20120007175 A KR 20120007175A KR 1020100067787 A KR1020100067787 A KR 1020100067787A KR 20100067787 A KR20100067787 A KR 20100067787A KR 20120007175 A KR20120007175 A KR 2012000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set cover
cover
front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290B1 (ko
Inventor
박경재
황학모
윤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290B1/ko
Priority to US13/180,043 priority patent/US8780288B2/en
Priority to CN201110192690.1A priority patent/CN102338944B/zh
Publication of KR2012000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액정 패널, 백라이트 유닛 및 가이드 프레임을 수용하면서 제품 커버 역할을 하는 후방 세트 커버와 전방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세트 커버는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 기판의 상면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 기판의 측면과 마주하고 있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모듈화를 위해 사용되었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줄어들고, 특히,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를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상부 기판의 상면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상부 기판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고 테두리부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사이의 단차가 제거되어 마치 액정표시장치의 전면이 하나의 구조물로 인식되는 미적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얇고 미감이 증진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우주선, 항공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응답속도나 화질 등과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한편, 최근에는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액정표시장치 두께의 최소화 노력이나 미감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발은 종전의 구성요소를 그대로 채용하면서 그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거나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즉,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하부 및 상부 케이스를 이용하여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를 수용함으로써 모듈을 제작하고, 그와 같은 모듈을 노트북, 모니터, TV 등과 같은 완제품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하부 및 상부 외장 커버가 추가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모듈 제작을 위한 케이스와 완제품화를 위한 외장 커버가 별도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두께가 증가될 수밖에 없었고, 특히, 완제품화를 위한 외장 커버를 적용함에 있어서 상부 외장 커버가 액정표시장치의 테두리부에 돌출형성되어 있어 다양하고 미감 있는 디자인을 고안하는데 장애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 필수구성으로 여겨졌던 구성요소를 과감하게 생략함으로써 두께를 최소화하고 미감이 증진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액정 패널, 백라이트 유닛 및 가이드 프레임을 수용하면서 제품 커버 역할을 하는 후방 세트 커버와 전방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세트 커버는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 기판의 상면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 기판의 측면과 마주하고 있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는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와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사이에는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해서 상기 전방 세트 커버와 액정 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양면 테이프, 열경화형 접착제, UV경화형 접착제, 또는 순간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상에는 외부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회로 기판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는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상단 높이는 상기 액정 패널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와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 기판 사이에 밀봉 부재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전방 세트 커버 사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후방 세트 커버 사이, 및 상기 전방 세트 커버와 후방 세트 커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는 돌기와 체결홈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후방 세트 커버 사이에 커버 바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모듈화를 위해 사용되었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를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상부 기판의 상면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상부 기판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하부 기판의 상면에 형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의 상단 높이를 액정 패널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테두리부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사이의 단차가 제거되어 마치 액정표시장치의 전면이 하나의 구조물로 인식되는 미적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노트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A-A라인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의 B-B라인에 해당하는 분해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노트북(10)의 사시도이고, 도 2, 도 3a 내지 도 3c,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라인의 단면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후방 세트 커버(100), 가이드 프레임(200), 전방 세트 커버(300), 액정 패널(400), 백라이트 유닛(500) 및 결합 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 세트 커버(100)와 전방 세트 커버(30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 액정 패널(400) 및 백라이트 유닛(500)을 수용하면서 노트북과 같은 완제품의 외부 커버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은 상기 액정 패널(400)과 백라이트 유닛(500)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액정 패널(400)과 백라이트 유닛(50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후방 세트 커버(10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을 지지하면서 완제품의 후면 커버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부(110) 및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절곡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전체 구성들을 지지하면서 완제품의 후면 커버역할을 하고, 상기 절곡부(120)는 상기 후방 세트 커버(100)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 및 전방 세트 커버(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은 제1 안내부(210), 지지부(220) 및 제2 안내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안내부(210) 및 지지부(220)는 상기 액정 패널(400)의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액정 패널(40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안내부(210)는 상기 액정 패널(400)의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액정 패널(400)의 하부 기판(42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액정 패널(400)의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제1 안내부(2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액정 패널(400)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안내부(230)는 상기 지지부(220)에서 연장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의 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는 측벽부(310) 및 상기 측벽부(31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테두리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부(310)는 노트북과 같은 완제품의 측면 커버역할을 하고, 상기 테두리부(320)는 노트북과 같은 완제품의 전면 커버역할을 한다.
상기 테두리부(320)는 액정 패널(400)을 구성하는 상부 기판(410)의 상면에 위치하지 않고 상부 기판(41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전방 세트 커버(300)가 액정 패널(400) 보다 돌출하지 않게 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두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320)의 상단 높이를 액정 패널(400)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경우 상기 테두리부(320)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사이의 단차가 제거되어 마치 액정표시장치의 전면이 하나의 구조물로 인식되는 미적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20)는 액정 패널(400)의 상부 기판(41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액정 패널(400)의 하부 기판(420)의 상면 상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액정 패널(40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완제품의 전면 커버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테두리부(320)와 액정 패널(400)의 하부 기판(420) 사이에 결합 부재(6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가 상기 액정 패널(40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제1 안내부(210)와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의 측벽부(310) 사이에도 별도의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과 전방 세트 커버(30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의 제2 안내부(230)와 상기 후방 세트 커버(100)의 절곡부(120) 사이에도 별도의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200)과 후방 세트 커버(10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세트 커버(100)의 절곡부(120)와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의 측벽부(310) 사이에도 별도의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 세트 커버(100)와 전방 세트 커버(30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40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프레임(200)의 제1 안내부(210)에 의해 그 위치가 안내되고, 가이드 프레임(200)의 지지부(2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액정 패널(400)은 상부 기판(410), 하부 기판(420), 상부 편광판(430), 및 하부 편광판(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기판(410) 및 하부 기판(420)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기판(410) 및 하부 기판(4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액정 패널(400)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420) 상에는 다양한 배선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배선들은 외부의 구동부와 연결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기판(420)의 길이가 상기 상부 기판(41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액정 패널(400)의 가장자리 영역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차진 액정 패널(400)의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의 테두리부(320)를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기판(41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상기 하부 기판(420)의 상면 위에 상기 테두리부(320)를 위치시킴으로써, 두께가 얇고 미감이 증진된 액정표시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상부 편광판(430)은 상기 상부기판(4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하부 편광판(440)은 상기 하부기판(42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상부 편광판(430)과 하부 편광판(440)의 조합에 의해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블랙 또는 화이트의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상기 액정 패널(4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액정 패널(400)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프레임(200)의 제2 안내부(230)에 의해 그 위치가 안내되고 후방 세트 커버(100)의 플레이트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상기 액정 패널(400)의 하부 전면(全面)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직접 상기 액정 패널(400) 쪽으로 전달하는 직하형 방식과, 상기 액정 패널(400)의 하부 일측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광을 도광판을 통해 상기 액정 패널(400) 쪽으로 전달하는 에지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직하형 방식 또는 에지형 방식 어느 것이나 적용가능하다. 다만,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에지형 방식이 보다 유리할 수 있고, 따라서, 도면에는 에지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500)을 도시하였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은 도광판(510), 다수의 광학 시트들(520), 및 반사판(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광판(510)의 측면과 마주하면서 발광 다이오드 또는 형광 램프 등의 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도광판(510)으로 입사된 후 상기 액정 패널(400) 쪽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이와 같은 광경로 변경을 위해서, 상기 도광판(510)에는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광학 시트들(520)은 상기 도광판(510)의 상면에 형성되어 광을 균일하게 액정 패널(40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판(530)은 상기 도광판(510)의 하면에 형성되어 도광판(510)의 하면으로 누설되는 광을 상면으로 반사시켜 광효율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 부재(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와 액정 패널(4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의 테두리부(320)와 상기 액정 패널(400)의 하부 기판(42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600)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열경화형 접착제, UV경화형 접착제, 순간 접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들 각각은 전방 세트 커버(300)의 테두리부(320)와 액정 패널(400)의 상부 기판(410) 사이에 밀봉 부재(710, 720, 730)를 추가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공정 오차 발생을 감안할 때,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의 테두리부(320)와 액정 패널(400)의 상부 기판(410) 사이에 갭(Gap)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갭(Gap)이 발생하게 되면, 갭을 통해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갭으로 인해서 액정표시장치의 미적 디자인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각각,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의 테두리부(320)와 액정 패널(400)의 상부 기판(410) 사이에 제1, 제2, 제3 밀봉 부재(710, 720, 730)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갭을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갭으로 인한 미적 디자인 효과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미적 디자인 효과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제2, 제3 밀봉 부재(710, 720, 730)는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밀봉 부재(710)는 테두리부(320) 위에서 상부 기판(410) 위까지 연장된 헤드부(711)와 상기 헤드부(711)에서 상기 갭(gap) 내로 연장된 심부(7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부(711)와 심부(713)로 이루어진 제1 밀봉 부재(710)를 적용할 경우, 밀봉 효과 이외에도 전방 세트 커버(300)와 액정 패널(400) 사이의 결합력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밀봉 부재(720)는 전방 세트 커버(300)의 테두리부(320)와 액정 패널(400)의 상부기판(410) 사이의 갭을 밀봉하는 링(ring)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c에서 알 수 있듯이, 제3 밀봉 부재(730)는 액정 패널(400)의 상면에서 전방 세트 커버(300)의 테두리부(320) 위까지 형성된 필름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필름 구조물로 이루어진 제3 밀봉 부재(730)를 적용할 경우, 밀봉 효과 이외에도 전방 세트 커버(300)와 액정 패널(400) 사이의 결합력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필름 구조물이 테두리부(320)의 끝단까지 연장형성되면 상기 필름 구조물이 쉽게 벗겨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필름 구조물은 상기 테두리부(320)의 끝단까지 연장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테두리부(320)에 필름 구조물의 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름 구조물의 벗겨질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는 후방 세트 커버(100)와 전방 세트 커버(300) 사이의 결합 방식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세트 커버(100)와 전방 세트 커버(300)를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공정이 복잡해지고 재료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 세트 커버(100), 구체적으로는 후방 세트 커버(100)의 절곡부(120)에 돌기(122)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 구체적으로는 전방 세트 커버(300)의 측벽부(310)에 체결 홈(312)을 형성함으로써, 양면 테이프와 같은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후방 세트 커버(100)와 전방 세트 커버(300)를 결합시킨 것이다. 상기 돌기(122) 및 체결홈(312)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후방 세트 커버(100)에 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 세트 커버(300)에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돌기와 체결홈을 이용하여 후방 세트 커버(100)와 가이드 프레임(200)을 결합할 수도 있고, 가이드 프레임(200)과 전방 세트 커버(30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커버 바텀(cover bottom)(800)이 추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 바텀(800)은 백라이트 유닛(500)과 후방 세트 커버(1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백라이트 유닛(50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 바텀(800)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500)에서 발생되는 열을 균일하게 전달하여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가 커질 경우 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5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증가될 수 있고, 그 경우 백라이트 유닛(5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방열기구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바텀(800)을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경우, 백라이트 유닛(50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커버 바텀(800)을 통해 전달되면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결국, 커버 바텀(800)을 적용할 경우에는 후방 세트 커버(100)의 재료를 열전도율을 고려하지 않고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외관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제1, 제2, 제3 밀봉부재(710, 720, 730), 및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돌기(122)와 체결 홈(312)을 이용한 결합관계는 도 5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가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과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 사이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a는 도 6의 A-A라인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의 B-B라인에 해당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액정 패널(400)은 상부 기판(410)에 비하여 하부 기판(42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하부 기판(420)의 가장자리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하부 기판(420)의 가장자리 영역중 일부 영역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450)와 같은 회로기판이 구성되어 있어, 상기 FPC(450)를 통해서 외부의 구동부에서 하부 기판(420) 상의 배선들에 각종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로 노출된 하부 기판(420)의 가장자리 영역 상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결합 부재(600)와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320)가 차례로 형성되는데, 상기 FPC(450) 형성 영역에도 결합 부재(600)와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320)를 동일하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FPC(450)에 하중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FPC(450)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상기 결합 부재(600)와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320)를 상이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에서 알 수 있듯이, 하부 기판(420) 상에는 결합부재(600)가 형성되지만, 상기 FPC(450) 형성 영역에는 결합부재(600)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FPC(450) 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테두리부(320) 영역에는 상기 FPC(45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22)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테두리부(320)에 의해서 상기 FPC(450)에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후방 세트 커버 110: 플레이트부
120: 절곡부 122: 돌기
200: 가이드 프레임 210: 제1 안내부
220: 지지부 230: 제2 안내부
300: 전방 세트 커버 310: 측벽부
312: 체결홈 320: 테두리부
400: 액정 패널 410: 상부 기판
420: 하부 기판 430: 상부 편광판
440: 하부 편광판 450: FPC
500: 백라이트 유닛 510: 도광판
520: 광학 시트 530: 반사판
600: 결합 부재 710, 720, 730: 제1, 제2, 제3 밀봉 부재

Claims (10)

  1.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액정 패널, 백라이트 유닛 및 가이드 프레임을 수용하면서 제품 커버 역할을 하는 후방 세트 커버와 전방 세트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세트 커버는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 기판의 상면에는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 기판의 측면과 마주하고 있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는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와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사이에는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 부재에 의해서 상기 전방 세트 커버와 액정 패널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양면 테이프, 열경화형 접착제, UV경화형 접착제, 또는 순간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상에는 외부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회로 기판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 상에는 외부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는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상단 높이는 상기 액정 패널의 상단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세트 커버의 테두리부와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 기판 사이에 밀봉 부재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전방 세트 커버 사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후방 세트 커버 사이, 및 상기 전방 세트 커버와 후방 세트 커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는 돌기와 체결홈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후방 세트 커버 사이에 커버 바텀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00067787A 2010-07-14 2010-07-14 액정표시장치 KR101684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787A KR101684290B1 (ko) 2010-07-14 2010-07-14 액정표시장치
US13/180,043 US8780288B2 (en) 2010-07-14 2011-07-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1110192690.1A CN102338944B (zh) 2010-07-14 2011-07-11 液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787A KR101684290B1 (ko) 2010-07-14 2010-07-14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75A true KR20120007175A (ko) 2012-01-20
KR101684290B1 KR101684290B1 (ko) 2016-12-21

Family

ID=4546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787A KR101684290B1 (ko) 2010-07-14 2010-07-14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80288B2 (ko)
KR (1) KR101684290B1 (ko)
CN (1) CN102338944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339A (ko) * 2013-07-31 2015-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236237B2 (en) 2012-08-14 2016-0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65668A (ko) * 2014-12-01 2016-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9429782B2 (en) 2013-12-06 2016-08-3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supporting flat liquid-crystal display of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CN107209411A (zh) * 2015-02-03 2017-09-26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CN110579899A (zh) * 2019-10-17 2019-12-17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一种无胶框超薄显示器模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7856B (zh) * 2012-03-01 2015-03-2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
CN102610173B (zh) * 2012-04-01 2013-11-06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2707465B (zh) * 2012-06-13 2015-06-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987094B1 (ko) 2012-06-15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522690B (zh) 2012-07-26 2016-02-2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複合式導光板與顯示裝置
CN102929006A (zh) * 2012-10-15 2013-02-13 中航华东光电有限公司 一种多功能显示器
CN103672724B (zh) * 2013-11-27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遮光结构、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150072172A (ko) 2013-12-19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5931B1 (ko) * 2013-12-31 202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간격 스페이서와 누름 스페이서를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
KR102269968B1 (ko) * 2014-12-08 202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15290A1 (en) * 2016-01-22 2017-07-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duced bezel display device
KR20220077662A (ko) * 2020-12-02 2022-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353B1 (en) * 1998-04-22 2002-06-25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ts upper and lower cases clamped by crimping portions thereof
KR20070063285A (ko) * 2005-12-14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62683A (ko) * 2007-12-13 200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JP2009134269A (ja) * 2007-10-29 2009-06-18 Sharp Corp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6971C (zh) 2005-03-03 2008-03-26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液晶显示装置
JP4883523B2 (ja) * 2006-03-22 2012-02-2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290600B1 (ko) * 2007-10-05 2013-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WO2009057550A1 (ja) * 2007-10-29 2009-05-07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US7978286B2 (en) * 2008-06-24 2011-07-12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Illumination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09436B1 (ko) * 2012-08-10 2018-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353B1 (en) * 1998-04-22 2002-06-25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ts upper and lower cases clamped by crimping portions thereof
KR20070063285A (ko) * 2005-12-14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9134269A (ja) * 2007-10-29 2009-06-18 Sharp Corp 表示装置
KR20090062683A (ko) * 2007-12-13 200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6237B2 (en) 2012-08-14 2016-01-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15339A (ko) * 2013-07-31 2015-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429782B2 (en) 2013-12-06 2016-08-3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supporting flat liquid-crystal display of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KR20160065668A (ko) * 2014-12-01 2016-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7209411A (zh) * 2015-02-03 2017-09-26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CN110579899A (zh) * 2019-10-17 2019-12-17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一种无胶框超薄显示器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38944B (zh) 2016-04-06
US20120013818A1 (en) 2012-01-19
CN102338944A (zh) 2012-02-01
KR101684290B1 (ko) 2016-12-21
US8780288B2 (en) 201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175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458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72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200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623117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映像表示装置
US9013886B2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30027113A (ko) 액정표시장치
WO2013031829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300268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261721B2 (en) Display apparatus
EP3449310B1 (en) Display apparatus and back light unit included therein
KR20180076693A (ko) 패널 모듈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07342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220103082A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28199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048110B2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flat sections
KR10192206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6119A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115417A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505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4870B1 (ko)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JP2013171619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08001331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8584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771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