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874A - 향상된 접근 감지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향상된 접근 감지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874A
KR20110074874A KR1020117009112A KR20117009112A KR20110074874A KR 20110074874 A KR20110074874 A KR 20110074874A KR 1020117009112 A KR1020117009112 A KR 1020117009112A KR 20117009112 A KR20117009112 A KR 20117009112A KR 20110074874 A KR20110074874 A KR 20110074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operator control
radiation
control element
illumin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060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벨러
카타리나 바흐피셔
레나트 벤드발드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07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1Activation of instrument input devices by approaching fingers 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02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 H03K2217/94108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making use of r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포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터치되기 전에 조작자 제어 요소에 사용자의 작동 요소, 특히 신체 부분에 의한 접근을 감지하도록 설계된 접근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접근 검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전체 체적을 포함하지 않는 공간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4) 내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전자기 검출 방사선(35)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과,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접근될 때 사용자의 작동 요소에서 산란되고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35)의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요소(28)를 포함하는 반사광 배리어를 포함하고, 접근 검출 장치는 수신된 검출 방사선의 강도에 기초하여 접근을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향상된 접근 감지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OPER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OR CONTROL APPARATUS WITH IMPROVED APPROACH SENSING}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청구항 14의 특징을 갖는 조작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현대식 자동차에서, 조작자 제어 요소가 작동되기 전에, 작동 요소,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부분의 접근의 함수로서 자동으로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가 증가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경은 예를 들어 백라이트의 적응일 수 있다. 증가적으로, 사용자의 작동 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접촉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결정 측정 센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또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이라 칭한다. 예를 들어, 또한 가상 조작자 제어 요소라 칭하는 조작자 제어 요소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되고, 상기 조작자 제어 요소는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응 가상 조작자 제어 요소가 표현되어 있는 영역에서 터치될 때 수행되는 관련 기능 및/또는 동작이다.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또한 정보를 출력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작동 동작이 사용자의 부분 상에 수행되지 않을 때 정보의 전달을 위해 가능한 한 많은 디스플레이 표면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 중에도 이들의 표현 영역에서 거의 무실패 접촉을 허용하는 크기로 가상 조작자 제어 요소를 표시하는 것 또는 적어도 이들을 표현하는 것은 단지 사용자의 부분 상의 작동 의도가 검출될 때에만 발생한다.
작동 의도가 대응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작동 요소의 접근을 검출함으로써 검출되는 조작자 제어 장치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이러한 인터랙티브 조작자 제어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DE 10 2006 037 156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한 작동 요소의 위치가 공간에서 3차원으로 결정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 목적으로, 터치스크린에 인접하여 배열된 복수의 거리 측정 센서가 사용되고, 작동 요소의 위치는 삼각 측량(triangulation)에 의해 결정된다. 거리 측정 센서는 상이한 원리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일 설명된 측정 원리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고주파수 신호가 사용된다. 고주파수 송신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근접하여 배열된다. 자동차에서, 이러한 고주파수 송신기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시트 내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위치된다. 사용자의 신체 내에 입력된 고주파수 신호는 거리 측정 센서에 의해 정전 용량식으로 수신된다.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신체 부분의 거리는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공간에서의 신체 부분의 위치는 센서 장치 내에 배열된 복수의 이러한 거리 측정 센서에 기초하여 삼각 측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기본 원리는 예를 들어 WO 2004/07 85 36호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DE 10 2006 037 156호는 대안적으로 광학 센서 유닛으로 구성된 측정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광학 센서 유닛은 예를 들어 이하의 원리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전송 LED는 광학 또는 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구형파 형태로 진폭 변조되는 광 신호를 조사한다. 물체에서 반사되는 광 신호가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포착된다. 180°의 위상 오프셋을 갖고 또한 구형파 형태로 진폭 변조되는 기준 광 신호가 일정한 광 경로에 걸쳐 보상 LED로부터 포토다이오드로 전송된다. 보상 LED는 송신기 LED의 수신된 반사된 광 신호 및 보상 LED의 수신된 기준 광 신호가 포토다이오드에서 서로 상쇄되고 공통 모드 신호가 검출되는 방식으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 루프에 의해 보상된다. 제어 신호의 변화는 작동 요소 또는 물체로부터의 거리의 척도이다. 이 원리에 따라 구성된 센서 유닛은 온도 및 휘도의 변동에 거의 무관하다.
공지의 장치는 이들이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근을 신뢰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수의 거리 측정 센서를 필요로 하는 사실을 공통적으로 갖는다. 이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근이 인접하게 배열된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접근과는 상이하도록 의도되는 경우에 특히 적용된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정전 용량식 입력이 예를 들어 공기 습도 및/또는 사용자의 피부의 개별 전도도와 같은 환경적인 영향, 또는 광학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측정 센서의 경우에 작동 요소의 반사율에 의존하기 때문에, 거리 측정 센서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접근을 신뢰적으로 확고하게 검출하고 종래 기술로부터의 공지의 단점을 갖지 않는 접근 검출 수단을 조작자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기술적 문제점에 기초한다.
기술적인 문제점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14의 특징을 갖는 이러한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에서 발견될 수 있다.
특히, 조작자 제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포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터치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사용자의 작동 요소, 특히 신체 부분에 의한 접근을 감지하도록 설계된 접근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가 제안되고, 접근 검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전체 체적을 포함하지 않는 공간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 내로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전자기 검출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접근될 때 사용자의 작동 요소에서 산란되고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요소를 포함하는 반사광 배리어를 포함하고, 접근 검출 장치는 수신된 검출 방사선의 강도에 기초하여 접근을 검출하도록 설계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로부터 작동 요소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전자기 방사선은 접근을 신뢰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서 본질적으로 전체 공간을 포함하는 큰 공간 각도 범위 내로 조사되는 반면, 본 발명은 검출 방사선이 단지 국부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된다. 국부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은 작동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와 작동 트리거링 접촉을 수행하기 전에 및/또는 수행하는 동안 이 검출 영역을 관통하고 그리고/또는 통과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관련하여 배열되고 구성된다. 접근을 검출하기 위해, 따라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반사된 그리고/또는 산란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을 수신하는데 충분하다. 임계값은 검출 방사선의 스펙트럼 범위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임계값은 배경 방사선이 이 스펙트럼 범위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 내에서 사용의 장소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규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광학 또는 적외선 파장 범위 내의 검출 방사선이 사용되면, 예를 들어 차량 내에서의 사용의 경우에 차량 윈도우를 통해 진입하는 가시광 및/또는 적외선광을 대응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조작자 제어 장치가 사용자 입력을 포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터치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사용자의 작동 요소, 특히 신체 부분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에 의해 전자기 검출 방사선이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서 공간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되고, 검출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의 전체 체적을 포함하지 않고, 작동 요소에서 산란되고 그리고/또는 이 작동 요소에 의해 반사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은 사용자의 작동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접근할 때 수신기 요소에 의해 수신되고, 접근은 검출 방사선의 수신된 부분의 강도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조작자 제어 장치는 차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내의 조작자 제어 장치로서 특히 유리하게 구체화된다. 방법은 차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내의 조작자 제어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대응적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는 터치스크린이고, 접근이 검출될 때 터치스크린 상의 표현이 적응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 목적으로, 터치스크린은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에 연결되거나,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그래픽 표현을 제어하는 이러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에 추가하여, 조작자 제어 장치는 빈번하게 예를 들어 푸시버튼 스위치, 트위스트 및 푸시 스위치, 슬라이딩 제어기 등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는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접근으로부터 이러한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에 의한 접근을 차별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포착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에지에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의 검출 방사선은 터치스크린의 에지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 사이에서 검출 평면 내에 있는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되고, 검출 평면과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평면은 90°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제공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작동이 작동 요소가 검출 영역을 통과하지 않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 조종석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설치 위치에 따라, 따라서 사용자는 검출 방사선이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서 방출되는 검출 영역을 통과하지 않고,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따라 배열된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를 접촉 형성 방식으로 자동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 즉 터치스크린의 접촉 형성 작동의 경우에, 작동 요소가 각각의 경우에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하부 에지 상에 중첩되거나 덮는 방식으로 중앙 콘솔 내에 배열된다.
반사광 배리어가 따라서 평면 디자인을 갖는 공간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 내로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표면 법선에 대해 경사지게 터치스크린의 아래로부터 방출되는 방식으로 구체화되면, 작동 요소는 접촉 형성 작동의 경우에 이 검출 영역을 통과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터치스크린의 하부 에지에 인접하여 배열된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작동되면, 접촉 형성 작동은 예를 들어 손가락 마디가 검출 영역을 통과하지 않고 가능하고,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접촉 형성 방식으로 작동된다.
개별 조명 수단에 의해 방출되는 검출 방사선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의 검출 영역을 완전하고 균일하게 충전하는 것이 종종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개량예에서, 접근 검출 장치는 검출 영역 내로 검출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조명 수단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 및 추가의 조명 수단은 검출 영역의 상이한 공간 영역 내로 이들의 검출 방사선을 각각 방출하는 것이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들 상이한 공간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공간 영역은 이들이 매우 거의 또는 완전히 분리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검출 방사선의 적합한 방출이 주어지면, 터치스크린의 일 에지에 인접한 조작자 제어 요소는 하나의 에지와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 사이에서 가능하고,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되거나 터치스크린의 다른 에지에 인접하여 배열된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접촉 형성 작동은 종종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서 작동 요소가 검출 영역을 통과하지 않고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인접하여 배열된 단지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가 작동되는 이러한 상황에서 표현이 그래픽적으로 적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접근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접근을 차별화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 목적으로, 접근 검출 장치는 전자기 검출 방사선을 검출 영역과는 상이한 다른 검출 영역 내로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 수단과, 조명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방출된 검출 방사선을 변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조 장치로서, 그 결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되는 적어도 다른 검출 방사선이 그 변조의 견지에서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되는 검출 방사선과는 상이하게 되는 변조 장치와, 그 변조의 견지에서 수신된 반사된 그리고/또는 산란된 검출 방사선을 분석하여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의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부분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다른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된/반사된 부분을 결정하고, 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된 수신된 반사된 그리고/또는 산란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의 강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 내로의 작동 요소의 통과를 검출하도록 설계된 분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제어 장치는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접근에 추가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 내로의 작동 요소의 통과가 검출되면 표현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 수단에 의해, 검출 방사선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위치되지 않은 다른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되고, 다른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은 검출된 영역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과는 상이하게 변조되고, 수신된 산란된/반사된 검출 방사선은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되고 반사된/산란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 및 다른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되고 반사된/산란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을 개별적으로 결정하고, 수신된/반사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의 강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 내로 작동 요소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해 변조의 견지에서 분석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변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 및 추가의 조명 수단에 의해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을 조명 수단 특정 기반으로 변조하도록 설계되고, 분석 유닛은 조명 수단 특정 기반으로 변조의 견지에서 수신된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을 분석하여 검출 영역의 상이한 공간 영역 내에서 반사된/산란된 부분을 개별적으로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서 작동 요소의 위치를 그로부터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이 정보는 향상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조작자 제어 의도에 표현의 적응을 적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근 검출 유닛은 연대순으로 연속하여 감지되는 작동 요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정보는 또한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 상에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서, 특히 자동차에서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운전자/전방 시트 승객 검출을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지원하기 위해 이러한 이동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작동 요소가 각각의 사용자에 가장 근접하게 인접한 검출 영역의 공간 영역을 각각 먼저 통과하는 것으로 가정되면, 사용자 검출은 이 위치 정보 및/또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그리고/또는 지원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가 조명 수단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적외선 파장 범위의 검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적외선 파장 범위가 사용자에게 비가시적이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조명 수단에 의해 발광된 광, 즉 전자기 검출 방사선이 단지 팬의 형태로 바람직하게 구체화되는 공간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에서만 방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광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조명 수단에 결합된다. 이러한 광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평면 내에 방출된 광을 포커싱하는 실린더 렌즈를 포함한다. 평면 내에 펼침을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학 장치는 편향 프리즘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감광성 반도체 소자로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감광성 다이오드 또는 감광성 트랜지스터로서 구체화되는 수신기 요소 상에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산란된 반사된 방사선을 안내하기 위해, 수광 장치라 칭하는 광학 장치가 또한 수신기 요소의 전방에 배열된다. 상기 수광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렌즈를 포함한다. 수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의 검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의 모두로부터 산란된/반사된 검출 방사선을 공동으로 수신하고 검출할 수 있도록 이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조명 수단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캐리어 회로 기판 상에 배열된다. 게다가, 다양한 조명 수단이 집적 회로 또는 칩 내에 바람직하게 구체화되는 공통의 작동 전자 기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들 작동 전자 기기는 검출 방사선의 변조가 조명 수단 특정 기반으로 수행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서, 평면의 형태로 구체화되고 디스플레이 표면의 평면과 대략 70°의 각도를 이루는 검출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거기에 배열된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측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다른 검출 영역이 또한 평면의 형태로 구체화되지만, 디스플레이 표면의 평면에 관련하여 상당히 작은 각도 범위를 이룬다.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그래픽 표현의 적응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자가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의 작동 동작 도중에 또는 몇몇 다른 동작 도중에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를 "지나 도달하는" 상황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제어 유닛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접근이 검출된 후에 표현을 변경하지 않도록 설계되고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평균 이동의 경우에, 검출 영역 내로 검출된 수신된 반사된 그리고/또는 산란된 검출 방사선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접근의 검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된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접근의 검출 사이에서 검출되는 것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검출 영역이 에지 배열된 조작자 제어 요소를 따라 또는 에지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이 검출 영역 내로 검출 방사선이 조명 수단을 사용하여 방출되고, 그 결과 이들 에지로의 도달이 또한 검출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검출 방사선의 적합한 변조에 의해, 하나의 수신기 요소에 의해 모든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을 검출하는 것이 각각 가능하다.
수신기 요소의 높은 레벨의 감도를 성취하기 위해, 스크린이 수신기 요소의 전방 또는 주위에 제공되고, 이 스크린은 조명 수단으로부터 광의 직접 입사를 방해하거나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유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 내에서 사용 장소에 존재하는 배경 방사선의 보상은, 고정된 일정한 조명 경로에 걸쳐 검출 요소 상에서 검출 방사선의 방출에 대해 연대순으로 교번 방식으로 지향되는 다른 조명 수단에 동일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구체화되는 기준 조명 수단으로부터 기준 방사선에 의해 검출 방사선의 주파수 범위에서 수행된다. 상이한 검출 시간에서 기준 방사선에 대해 측정된 강도의 보상에 기초하여, 배경 방사선의 변화를 추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온도 변동에 기초하여 조명 수단의 조사 특징의 변화를 추가로 고려하기 위해, 연속 작동 중에, 기준 측정이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에 의한 어떠한 접근도 검출되지 않으면 추가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대응 특징과 동일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접근을 신뢰적으로 확고하게 검출하고 종래 기술로부터의 공지의 단점을 갖지 않는 접근 검출 수단을 조작자 제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반사광 배리어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반사광 배리어를 구현하기 위한 광학 유닛의 개략 분해도.
도 3은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되는 조작자 제어 요소에 인접한 반사광 배리어의 설치를 설명하고 있는 개략도.
도 4는 복수의 검출 영역을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의 개략도.
도 5는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된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의 검출 영역이 상이한 서브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조작자 제어 장치의 개략도.
도 6은 조작자 제어 장치가 사용자 검출 장치에 추가로 결합되어 있는 도 4에 따른 것과 유사한 개략도.
도 7은 수직 도달이 검출될 수 있는 조작자 제어 장치의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수평 및 수직 도달의 모두가 검출될 수 있는 광학 제어 장치의 상이한 개략도.
도 1은 반사광 배리어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1)의 개략도이다. 조작자 제어 장치는 터치스크린(2)으로서 구체화된 조작자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 정보가 제어 장치에 의해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작동 요소(미도시)가 터치스크린(2)에 접근할 때 디스플레이 표면(3) 상의 그래픽 표현을 구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어 장치는 접근 검출 장치에 결합된다. 접근 검출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 장치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접근 검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파장 범위 내에서 공간 평면 내에서 공간적으로 제한된 방식으로 배열된 검출 영역(4) 내에 전자기 검출 방사선을 방출한다. 검출 영역(4)의 생성을 위한 검출 방사선의 방출은 사용자의 작동 요소, 예를 들어 손이 사용자와 관련하여 터치스크린(2)의 배열의 함수로서 검출 영역(4)을 통과하거나 접촉 형성 작동 전에 상기 검출 영역(4)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조작자 제어 장치(1)의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검출 영역(4)이 배열되는 평면은 디스플레이 표면(3)의 평면과 90°미만인 각도(α)를 형성한다.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75°이다. 검출 방사선은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의 하부 에지(5)에 인접한 터치스크린의 전방에서 공간 내로 방출된다. 푸시버튼 스위치로서 구체화된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7)는 검출 방사선에 투과성인 방출 윈도우(6) 아래에 그리고 하부 에지(5) 아래에 제공된다. 반사광 배리어의 검출 영역(4)이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7)가 또한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평면의 표면 법선을 따라 방출되지 않는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상기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7)는 작동 요소가 반사광 배리어의 검출 영역(4)에 진입하지 않고 그리고 반사광 배리어를 트리거링하지 않고 작동 요소에 의해 접촉 형성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조작자 제어 장치(1)가 자동차의 중앙 콘솔에 배열될 때 유리하다.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7)는 작동 요소가 반사광 배리어의 검출 영역(4)을 통과하지 않고 사용자의 작동 요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각도(α)를 적합하게 선택함으로써, 이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이 착석하는 시트의 시트 표면 높이에 대해 상이한 설치 높이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0, 11)가 측방향 에지(8, 9)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게다가,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3)가 재차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의 상부 에지(12) 위에 배열된다.
도 2는 반사광 배리어의 광학 유닛(20)의 개략 분해도이다. 검출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은 캐리어 회로 기판(21) 상에서 서로로부터 본질적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은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로서 구체화된다. 실린더 렌즈(23)가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의 전방에 배열된다. 상기 실린더 렌즈(23)는 검출 방사선이 평면 내에 포커싱되게 한다. 검출 방사선이 검출 평면 내에서 각도 범위에 걸쳐 확장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검출 프리즘(24a 내지 24d)이 제공되고, 이들 중 2개가 광학 요소(25)에 각각 조합된다. 광학 유닛(20))은 덮개 다이어프램 또는 방출 윈도우(26)에 의해 폐쇄된다. 방출 윈도우는 검출 방사선의 파장 범위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투과성이다. 포토다이오드로서 바람직하게 구체화되는 수신기 요소(28)가 캐리어 회로 기판(21)의 중심(27)에 배열된다. 조명 수단(22a 내지 22d)으로부터 산란된 방사선의 수집 또는 직접 방사선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 개구(30)를 포함하는 스크린(29)이 수신기 요소(28)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명 수단(22a 내지 22d)과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 기준 조명 수단(31)은 수신기 요소(28)와 함께 스크린(29)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기준 조명 수단(31)은 조명 수단(22a 내지 22d)에 대해 연대순으로 교번적인 방식으로, 조명 수단(22a 내지 22d)과 동일한 파장 범위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기준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해, 그리고 이 방식으로 예를 들어 차량 내의 사용의 장소에서 배경 방사선의 견지에서 보상을 허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스크린(29)의 입구 개구(30)의 전방에는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의 작동 요소에서 산란되고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을 수신기 요소(28) 상에 포커싱하기 위해 다른 실린더 렌즈(32)가 제공되고, 이 검출 방사선은 방출 윈도우(26)를 통해 통과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광학 유닛(20)은 캐리어 회로 기판(21) 상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작동 전자 기기에 의해 보충된다. 상기 작동 전자 기기는 바람직하게는 집적 회로에 구체화되고, 조명 수단(22a 내지 22d) 뿐만 아니라 기준 조명 수단(31)을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조명 수단 특정, 바람직하게는 주파수 변조된 방식으로, 개별 조명 수단(22a 내지 22d) 및 기준 조명 수단(31)에 의해 결정된 검출 방사선 또는 기준 방사선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근 검출 유닛은 또한 강도의 견지에서 수신된 산란된/반사된 검출 방사선 및/또는 기준 방사선을 평가하는 평가 전자 기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평가 전자 기기 및 접근 검출 유닛의 작동 전자 기기는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체화된 조작자 제어 요소의 디스플레이 표면(3) 상의 그래픽 표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스크린(2)에 인접한 광학 유닛(20)의 설치의 개략도이다. 광학 유닛(20)은 터치스크린(2)의 능동 디스플레이 표면(3)을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프레임(36) 아래에 배열된다. 디스플레이 프레임(36) 및 광학 유닛(20)의 모두는 검출 방사선(35)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영역 또는 윈도우 영역(34)을 포함하는 커버 다이어프램(33)에 의해 덮여진다. 윈도우 영역(34)을 갖는 커버(33)는 도 2에 따른 광학 유닛(20)의 방출 윈도우(26)를 대체할 수 있다. 광학 유닛(20)은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의 평면에 대해 광학 유닛이 배향되는 것을 허용하는 조정 요소(미도시)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체화된다. 게다가, 광학 유닛(20)의 광학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검출 방사선이 캐리어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방출되지 않고 오히려 디스플레이 표면(3)과 90°미만의 각도(α)를 이루는 평면 내에서 그에 경사지게 방출되는 방식으로 구체화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것과 유사하지만 검출 영역(4)에 추가하여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0, 11)의 전방에서 대응 방식으로 구체화되어 있는 다른 검출 영역(41, 42)이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의 전방에 구체화되어 있는 방식의 조작자 제어 장치(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검출 영역(41, 42)은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의 평면에 대해 검출 영역(4)이 위치되어 있는 평면과 디스플레이 표면(3)의 평면에 의해 둘러싸인 각도(α)보다 작은 각도(β)를 이루는 공간 평면에서 구체화된다.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 검출 방사선을 방출하는 다른 조명 수단이 유리하게는 검출 영역(4) 내로 검출 방사선을 방출하는 이들 조명 수단과 동일한 캐리어 회로 기판 상에 배열된다.
개별 검출 영역(4, 41, 42)에 할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작동 요소에서 반사된 검출 방사선은 접근 검출 장치의 수신기 요소에 의해 포착되고, 상이한 검출 영역(4, 41, 42) 내에 방출된 검출 방사선은 적어도 검출 영역 특정 기반으로 변조된다. 따라서, 개별 검출 영역(4, 41, 42)으로의 할당은 수신된 검출 방사선의 변조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사용자의 작동 요소는 터치스크린(2)에 접근하지만 터치스크린(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작동 동작은 수행되지 않고 대신에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0, 11) 중 하나가 작동되는 작동 상황을 차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 상의 표면이 적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의 좌측에 착석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표면(3)의 측방향 에지(9)의 우측에 배열된 조작자 제어 요소(11) 중 하나를 작동하면, 작동 요소는 검출 영역(4) 및 다른 검출 영역(42)의 모두를 통과한다. 적합한 논리 연산을 적용함으로써, 접근 검출 유닛 및/또는 제어 유닛이 이러한 상황을 검출하고 표현의 적응을 수행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실패하는 것이 가능하다. 억제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2)에 대한 접근 및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1) 중 하나에 대한 접근의 모두가 검출되는 상황에서 발생하게 되고, 게다가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근은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1)에 대한 접근에 앞서 검출되어 있다. 논리 변수(IR1, IR2, IR3)가 이 순서로 개별 검출 영역(4, 41, 42)에 할당되면 그라고 검출 영역(IRX) 내로의 접근이 검출되는 시간이 T(IRX)에 의해 표현되면, 논리 조건은 이하와 같이 공식화될 수 있다.
(IR1 & IR3 = 참) & (T(IR1)<T(IR3))
대응적으로, 터치스크린(2)의 우측에 배열된 전방 시트 승객에 의한 작동의 경우에서의 억제는 이하의 논리 조건이 부합되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IR1 & IR2 = 참) & (T(IR1)<T(IR2))
도 5는 검출 영역(4)이 논리 변수(IR1a 내지 IR1d)가 할당되는 서브영역(4a 내지 4d)으로 분할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검출 방사선은 조명 수단 중 하나로부터 각각 서브영역(4a 내지 4d)의 각각 내로 방출되고, 여기서 검출 방사선은 상이한 서브영역(4a 내지 4d)에서 각각 상이하게 변조된다. 이는 개별 서브영역(4a 내지 4d)에 할당될 수 있는 수신된 부분에 기초하여 검출 영역(4) 내의 작동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작동 요소의 이동은 추가로 시간 분해능의 평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대응 서브영역(4a 내지 4d) 내의 작동 요소의 반사면의 부분 또는 거리는 개별 서브영역(4a 내지 4d)에 할당된 검출 방사선의 강도 부분에 기초하여 추측될 수 있다. 이동 방향이 이어서 또한 도 5에 화살표(51)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간 분해능의 분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따른 것과 유사한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게다가, 사용자 내에 입력되는 고주파수 신호를 정전 용량식으로 감지하도록 설계된 다른 수신 유닛(61)의 개략도가 제공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차량, 특히 자동차에서의 운전자/전방 시트 승객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명백하게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 상의 표현의 적응은 이하가 적용되는 경우에 억제되고,
(IR1 & IR3 = 참) & (F = 참) 또는 (IR1 & IR2 = 참) & (B = 참)
여기서, F 및 B는 운전자 또는 전방 시트 승객을 표현한다. 물론, 임의의 다른 시스템이 또한 운전자/전방 시트 승객의 검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예를 들어 조작자 제어 요소(13)가 작동되는 경우,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 상의 표현의 적응의 억제가 수직 도달의 경우에 억제될 수 있는 조작자 제어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목적으로, 검출 방사선이 상부 에지(12)와 조작자 제어 요소(13) 사이에서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에 대해 수직으로 구체화된 평면 내에 바람직하게 위치된 검출 영역(71) 내로 방출되는 것이 제공되어 있다. 존재가 검출 영역(4) 및 추가의 검출 영역(71)에서 감지되면, 추가의 검출 영역(71) 내로의 통과 전에 검출 영역(4) 내로의 통과가 발생하고, 표현의 변화는 억제된다. 약어 주해로, 논리 조건은 이하와 같이 판독되고,
(IR1 & IR4 = 참) & (T(IR1)<T(IR4))
여기서 논리 변수(IR4)가 추가의 검출 영역(71)에 할당된다.
도 8은 도 4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조합에 대응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 도 3에 따른 다른 검출 영역(41, 42)에 대응하는 검출 영역(91, 92)이 디스플레이 표면의 하부 에지(5)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표면(3)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방출되는 검출 방사선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 실시예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대신에, 검출 방사선은 측방향 에지(8, 9)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표면(3)에 대해 각각 수직으로 방출된다. 그 결과, 검출 영역(91, 92)이 형성되고, 이 검출 영역(91, 92)에는 논리 지정(IR2 및 IR3)이 대응적으로 할당된다.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하의 논리 조건 중 하나가 부합되면 억제가 발생한다.
(IR1 & IR4 = 참) & (T(IR1)<T(IR4))
이는 디스플레이 표면(3)의 상부 에지(12) 위의 조작자 제어 요소(13) 중 하나의 조작자 제어 작동에 대응하고, 또는
(IR1 & IR3 = 참) & (T(IR1)<T(IR3))
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면(3)의 좌측에 위치된 운전자에 의한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1)의 조작자 제어 작동에 대응하고, 또는
(IR1 & IR2 = 참) & (T(IR1)<T(IR2))
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면(3)의 우측에 배열된 전방 시트 승객에 의한 디스플레이 표면(3)의 좌측에 배열된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8)의 조작자 제어 작동에 대응한다.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다. 설명된 실시예의 개별 특징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조작자 제어 장치 2: 터치스크린
3: 디스플레이 표면 4: 검출 영역
α: 각도 5: 하부 에지
6: 방출 윈도우 7: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
8, 9: 측방향 에지 10, 11: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
12: 상부 에지 13: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
20: 광학 유닛 21: 캐리어 회로 기판
22a 내지 22d: 조명 요소 23: 실린더 렌즈
24a 내지 24d: 편향 프리즘 25: 광학 요소
26: 방출 윈도우 27: 중심
28: 수신기 요소 29: 스크린
30: 입구 개구 31: 기준 조명 수단
32: 다른 실린더 렌즈 33: 커버 플레이트
34: 출구 영역 또는 윈도우 영역 35: 검출 방사선
36: 디스플레이 프레임 41, 42: 다른 검출 영역
51: 화살표 61: 다른 수신기 유닛
71: 검출 영역 91, 92: 다른 검출 영역
β: 각도

Claims (23)

  1. 사용자 입력을 포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터치되기 전에 상기 조작자 제어 요소에 사용자의 작동 요소, 특히 신체 부분에 의한 접근을 감지하도록 설계된 접근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전체 체적을 포함하지 않는 공간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4) 내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전자기 검출 방사선(35)을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가 접근될 때 사용자의 작동 요소에서 산란되고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35)의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 요소(28)를 포함하는 반사광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접근 검출 장치는 수신된 검출 방사선의 강도에 기초하여 접근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는 상기 작동 요소에 의한 접근이 검출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 상의 그래픽 표현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에 연결된 터치스크린(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포착하기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의 에지(5)에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7)가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의 검출 방사선은 상기 터치스크린(2)의 에지(5)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7) 사이에서 검출 평면 내에 있는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되고, 상기 검출 평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3)의 평면은 90°미만의 각도(α)를 이루고, 그 결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조작자 제어 요소(7)의 작동이 상지 작동 요소가 상기 검출 영역(4)을 통과하지 않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출 장치는 상기 검출 영역(4) 내에 검출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은 각각 이들의 방사선을 상기 검출 영역(4)의 상이한 공간 영역(4a 내지 4d) 내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출 장치는 전자기 검출 방사선을 상기 검출 영역(4)과는 상이한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 방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 수단과, 상기 조명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방출된 검출 방사선을 변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조 장치로서, 그 결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 방출되는 적어도 다른 검출 방사선이 그 변조의 견지에서 상기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되는 검출 방사선과는 상이하게 되는 변조 장치와, 그 변조의 견지에서 수신된 반사된 그리고/또는 산란된 검출 방사선을 분석하여 상기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의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부분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의 적어도 하나의 산란된/반사된 부분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 방출된 수신된 반사된 그리고/또는 산란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의 강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의 작동 요소의 통과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분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접근에 추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의 작동 요소의 통과가 검출되면 표현을 변경하는 것을 실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 및 추가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에 의해 상기 검출 영역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35)을 조명 수단 특정 기반으로 변조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분석 유닛은 조명 수단 특정 기반으로 변조의 견지에서 수신된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을 분석하여 검출 영역(4)의 상이한 공간 영역(4a 내지 4d) 내에서 반사된/산란된 부분을 개별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서 상기 작동 요소의 위치를 그로부터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출 유닛은 연대순으로 연속하여 감지된 작동 요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작동 요소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 및/또는 하나의 조명 수단 또는 추가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 수단은 팬형 공간 영역 내로의 검출 방사선의 방출을 편향시키는 광학 장치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는 공간 평면 내로 검출 방사선을 포커싱하기 위한 실린더 렌즈(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는 검출 방사선(35)이 공간 평면 내에서 각도 범위에서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 편향 프리즘(24a 내지 24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은 그에 공통이 되도록 구성된 전자 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이 경과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접근이 검출된 후에 표현을 변경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1)에 대한 작동 요소의 평균 이동의 경우에, 상기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된 수신된 반사된 그리고/또는 산란된 검출 방사선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에 대한 작동 요소의 접근의 검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42) 내로 방출된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1)에 대한 접근의 검출 사이에서 검출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14. 조작자 제어 장치(1)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조작자 제어 장치(1)는 사용자 입력을 포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와, 상기 조작자 제어 요소가 터치되기 전에 상기 조작자 제어 요소에 사용자의 작동 요소, 특히 신체 부분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전자기 검출 방사선이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에 의해 상기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서 공간적으로 제한된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되고, 상기 검출 영역(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의 전체 체적을 포함하지 않고, 수신기 요소(28)에 의해, 상기 작동 요소에서 산란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작동 요소에 의해 반사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이 사용자의 작동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접근할 때 수신되고, 상기 접근은 상기 검출 방사선의 수신된 부분의 강도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는 터치스크린(2)이고, 접근이 검출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2) 상의 표현이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의 검출 방사선(35)은 광학 장치에 의해 팬형 공간 영역 내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의 검출 방사선(35)은 상기 터치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표면(3)의 에지(5)에 인접하여 검출 평면 내에 놓인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되고, 상기 검출 평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3)의 평면은 90°미만의 각도(α)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방사선은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의 전방에 위치되지 않은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명 수단에 의해 방출되고, 상기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은 상기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된 검출 방사선과는 상이하게 변조되고, 수신된 산란된 검출 방사선은 상기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되고 반사된/산란된 검출 방사선(35)의 부분 및 상기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 방출되고 반사된/산란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을 개별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41, 42) 내로의 작동 요소의 통과는 수신된 반사된/산란된 다른 검출 방사선의 부분의 강도에 기초하여 검출하기 위해 변조의 견지에서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현의 적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대한 접근에 추가하여, 상기 작동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검출 영역(41, 42)을 통과하는 것이 검출되면 발생하는 것이 실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검출 방사선은 상기 다른 검출 영역(41, 42)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작자 제어 요소에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조작자 제어 요소(10, 11)의 전방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방사선에 추가하여, 추가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의 추가의 검출 방사선은 상기 검출 영역(4) 내로 방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 및 추가의 조명 수단(22a 내지 22d)은 서로로부터 각각 상이한 검출 영역(4)의 서브영역(4a 내지 4d) 내로 검출 방사선을 방출하고, 상기 검출 방사선 및 추가의 검출 방사선은 조명 수단 특정 기반으로 변조되고, 수신된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검출 방사선은 조명 수단 특정 기반으로 산란된 그리고/또는 반사된 부분을 결정하기 위해 변조의 견지에서 평가되고, 상기 작동 요소의 위치는 그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은 조명 수단 특정 기반으로 시간 분해능으로 평가되고, 상기 작동 수단의 이동이 그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 방사선이 검출 방사선(35)의 방출에 대해 연대순으로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기준 조명 수단에 의해 수신기 요소(28) 상에 안내되고, 배경 방사선 영향이 과도하게 상이한 시간에 결정된 수신된 기준 방사선 강도로부터 결정되고, 반사된 그리고/또는 산란된 검출 방사선의 부분의 강도의 결정시에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KR1020117009112A 2008-09-22 2009-09-09 향상된 접근 감지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KR101592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48821A DE102008048821A1 (de) 2008-09-22 2008-09-22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mit verbesserter Annäherungserfassung
DE102008048821.6 2008-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874A true KR20110074874A (ko) 2011-07-04
KR101592060B1 KR101592060B1 (ko) 2016-02-05

Family

ID=4168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112A KR101592060B1 (ko) 2008-09-22 2009-09-09 향상된 접근 감지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76125B2 (ko)
EP (1) EP2331362B1 (ko)
KR (1) KR101592060B1 (ko)
CN (1) CN102159420B (ko)
DE (1) DE102008048821A1 (ko)
ES (1) ES2428007T3 (ko)
WO (1) WO201003156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4575A1 (de) 2010-12-15 2012-06-21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von Audioausgaben für ein Wiedergabesystem mit parallelen Nutzeranwendungen
MX2014001472A (es) * 2011-09-12 2014-10-13 Gerd Reime Dispositivo de medicion optica para un vehiculo y un vehiculo correspondiente.
DE102012015255A1 (de) * 2012-08-01 2014-02-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KR102176575B1 (ko) 2013-12-30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E102014205909B3 (de) * 2014-03-31 2015-03-05 Technisat Digital Gmbh Annäherungssensoreinrichtung für eine Bedieneinrichtung
DE102014016225B4 (de) * 2014-10-31 2016-12-15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einrichtung eines Kraftwagens und Anzeigesystem für einen Kraftwagen sowie Kraftwagen mit einem Anzeigesystem
DE102016000626A1 (de) * 2016-01-22 2017-07-27 Audi Ag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KR101809925B1 (ko) * 2016-04-25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US10281990B2 (en) * 2016-12-07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user in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9582183A (zh) * 2018-08-20 2019-04-05 福建出彩教育科技有限公司 遮光输入法
JP7358018B2 (ja) * 2019-12-19 2023-10-1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近接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1138A1 (en) * 1990-10-17 1992-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DE4336669C1 (de) * 1993-10-27 1994-12-15 Ziegler Horst Eingabefeld
US9513744B2 (en) * 1994-08-15 2016-12-06 Apple Inc. Control systems employing novel physical controls and touch screens
FI961459A0 (fi) * 1996-04-01 1996-04-01 Kyoesti Veijo Olavi Maula Arrangemang foer optisk fjaerrstyrning av en anordning
AU6451698A (en) * 1997-03-06 1998-09-22 Robert B. Howard Wrist-pendant wireless optical keyboard
JP2000329577A (ja) 1999-05-18 2000-11-30 Fujitsu Ten Ltd 電子装置
US6611252B1 (en) * 2000-05-17 2003-08-26 Dufaux Douglas P. Virtual data input device
DE50310654D1 (de) 2002-08-15 2008-11-27 Ident Technology Ag Schaltungsanordnung zur selektiven schaltsignalgenerierung
JP4246466B2 (ja) * 2002-10-04 2009-04-0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DE102004033275A1 (de) 2004-07-09 2006-02-02 Daimlerchrysler Ag Frei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reigeben oder Sperren einzelner vorbestimmter Funktionen eines Gerätes
DE102004044396A1 (de) * 2004-09-14 2006-03-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vorrichtung für Haushaltsgeräte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DE102004055376A1 (de) * 2004-11-08 2006-05-11 E.G.O. Elektro-Gerätebau GmbH Bedieneinrichtung, Elektrogerät mit einer solchen Bedieneinrichtung, Anordnung eines Glaskeramik-Kochfeldes mit einer solchen Bedien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Bedieneinrichtung
DE102005048021B3 (de) * 2005-10-06 2007-04-12 Abb Patent Gmbh Lokal bedienbares Automatisierungsgerät
JP3938193B2 (ja) 2005-10-07 2007-06-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DE102006037156A1 (de) 2006-03-22 2007-09-27 Volkswagen Ag Interaktive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interaktiven Bedienvorrichtung
JP4984748B2 (ja) 2006-08-30 2012-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者判定装置及び操作者判定装置を備えた車載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76125B2 (en) 2015-03-10
ES2428007T3 (es) 2013-11-05
WO2010031565A2 (de) 2010-03-25
KR101592060B1 (ko) 2016-02-05
CN102159420B (zh) 2014-05-14
EP2331362A2 (de) 2011-06-15
WO2010031565A3 (de) 2011-03-24
US20110221696A1 (en) 2011-09-15
EP2331362B1 (de) 2013-07-03
CN102159420A (zh) 2011-08-17
DE102008048821A1 (de)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060B1 (ko) 향상된 접근 감지를 갖는 조작자 제어 장치 및 조작자 제어 장치 작동 방법
US9463955B2 (en) Elevator operator interface with virtual activation
KR101520161B1 (ko) 조절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조절 장치
US8748804B2 (en) Optical pushbutton or switch
KR101576010B1 (ko) 차량 내 조작 장치의 작동 방법 및 작동자 조작 장치
US8887323B2 (en) Apparatus for electrically triggering water discharge
CA2454244A1 (en) Opto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and movement and method associated therewith
MX2014001472A (es) Dispositivo de medicion optica para un vehiculo y un vehiculo correspondiente.
WO2008091528A2 (en) Motion sensor with led alignment aid
CN113885717A (zh) 相对不同工作表面使用不同光源的轨迹追踪装置
JP6971420B1 (ja) 操作ボタンスイッチ、操作装置、エレベータおよび自動運転車両
JP2007031103A (ja) エレベータの乗客検出装置
EP2904705B1 (en) Multiple function arrangement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RU2597072C2 (ru) Панель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измерительного прибора
US11921955B2 (en) Proximity sensitive display element
EP2749911A1 (en) Object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for an automotive input device in a vehicle
KR101784577B1 (ko)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 그리고 디스플레이 및 조작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N113972903A (zh) 压力按钮
EP4009525B1 (en) Sensor button with gesture control
US20170201252A1 (en) Optoelectronic sensor
EP4343509A1 (en) Proximity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roxim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