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782A - 하이드로마운트 - Google Patents

하이드로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782A
KR20110074782A KR1020117011617A KR20117011617A KR20110074782A KR 20110074782 A KR20110074782 A KR 20110074782A KR 1020117011617 A KR1020117011617 A KR 1020117011617A KR 20117011617 A KR20117011617 A KR 20117011617A KR 20110074782 A KR20110074782 A KR 20110074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hydromount
surrounding
components
clam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0665B1 (ko
Inventor
플로리안 라인케
디에트하르트 슈나이더
미하엘 클레트케
Original Assignee
콘티테크 바이브레이션 콘트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테크 바이브레이션 콘트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테크 바이브레이션 콘트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7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16F13/1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rtitions between two working chambers
    • F16F13/106Design of constituent elastomeric parts, e.g. decoupling valve elements, or of immediate abutments therefor, e.g.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유압 체적(8)을 둘러싸는 하우징(4) 및 보상 다이어프램(6), 및 유압 체적(8)을 작동 챔버(14)와 보상 챔버(16)로 분할하는 분할 벽(12)을 포함하며, 분할 벽(12)은 2개의 챔버들(14, 16)이 상호 연결되는 이송 채널(18)을 포함하며, 분할 벽(12)은 2개의 구성요소들(22, 24) 사이에 클램핑되는 유연한 탄성중합체 재질의 다이어프램(20)이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이드로마운트(2)에 있어서, 다이어프램(20)은 클램핑의 결과로서 반경방향 프리텐션이 다이어프램(20)에 형성되도록 2개의 구성요소들(22, 24) 사이에 클램핑된다.

Description

하이드로마운트{HYDRO―BEARING}
본 발명은
유압 체적을 둘러싸는 하우징 및 보상 다이어프램 및
상기 유압 체적을 작동 챔버와 보상 챔버로 분할하는 분할 벽을 포함하는
하이드로마운트로서,
상기 분할 벽은 2개의 챔버들이 상호 연결되는 이송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벽은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클램핑되는 유연한 탄성중합체 재질의 다이어프램이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이드로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마운트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DE 10 2004 001 322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들에서 차량 엔진과 섀시 사이에 장착된다. 하이드로마운트는 엔진으로부터 섀시로 그리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더구나 하이드로마운트는 구조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structure-borne noise)의 형상의 음향 진동이 엔진으로부터 차량의 섀시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동 챔버와 보상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분할 벽이 이송 채널뿐만 아니라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클램핑되는 유연한 탄성중합체 재질의 다이어프램이 있는 추가적인 개구부를 가진다. 다이어프램은 통상 마운트의 축방향으로의 다이어프램의 편향을 제한하는 2개의 이동 제한 요소들 사이에 클램핑된다.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클램핑되는 다이어프램을 반경방향으로 프리텐셔닝(pretensioning)하는 것은 독일특허 DE 10 2004 001 322 A1로부터 공지된 실행법이다. 이는 구조로 전달되는 소음 스펙트럼에서 특히 잘 한정된 교란 주파수들이 다이어프램으로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이어프램은 보강 인서트를 가지는 엣지 비드를 가지며, 그 결과로 다이어프램 중앙의 탄성중합체 재질이 다이어프램의 엣지 영역의 탄성중합체 재질보다 다이어프램의 가황 후에 더욱 수축되며, 그에 의해 반경방향의 프리텐션을 일으킨다. 독일특허 DE 10 2004 001 322 A1로부터 공지된 다이어프램이 특히 잘 작동한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보강 인서트가 추가적인 요소로서 다이어프램에 도입되어야 하며 이는 추가적인 노력과 추가적인 비용을 초래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더구나, 여기에서 다이어프램의 탄성중합체 재질이 특히 높은 프리텐션을 가지기 때문에 다이어프램은 오래된 하이드로마운트들의 엣지 비드로의 전환 영역에서 찢어질 수 있다.
독일특허 DE 10 2004 001 322 A1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목적은 매우 긴 사용 수명을 가지는 간단한 구조의 하이드로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따라, 클램핑의 결과로서 반경방향 프리텐션이 다이어프램에 형성되도록, 다이어프램이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클램핑된다는 사실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으로 달성되는 이점은 특히, 하이드로마운트가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는 사실일 수 있다. 특히, 다이어프램은 오로지 유연한 탄성중합체 재질로만 구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에 추가적인 요소들, 예를 들어, 보강 인서트를 도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이어프램은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다이어프램이 그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프리텐셔닝되기 때문에 하이드로마운트가 긴 사용 수명을 가진다는 사실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다이어프램이 단순하여 어떤 원하는 형상(예를 들어 원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제조하기에 용이하다는 사실일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의 편향을 제한하는, 그리드 플레이트들의 형상의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 전개의 이점은 다이어프램이 어떤 경우에라도 하이드로마운트에 존재하는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둘러싸인다는 것이 사실일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넘어 돌출되는 포위 비드(encircling bead)를 가지며, 이 표면과 대면하는 구성요소는 포위 경사면을 가지며, 포위 경사면의 최고점이 포위 비드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위치하며 그에 의해 둘러싸는 비드가 클램핑된다. 이 전개의 이점은 경사면에 의해 클램핑되는 비드의 도움으로 다이어프램에 반경방향 프리텐션을 형성하는 것이 간단한 일이라는 사실일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의 양쪽 표면들을 넘어 돌출되는 포위 비드를 가지며, 이 표면들과 대면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은 포위 경사면을 가지며, 경사면의 최고점이 둘러싸는 비드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위치하며 그에 의해 포위 비드가 클램핑된다. 이 전개의 이점은, 하이드로마운트의 제조 중에, 어떤 배향으로 다이어프램이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배치되고 클램핑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일 수 있다. 따라서 제조상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전개의 다른 이점은 심지어는 하이드로마운트의 축방향으로 2개의 구성요소들의 작은 압축 이동으로도 충분히 큰 프리텐션이 다이어프램에 발생된다는 사실일 수 있다.
청구항 제5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경사면의 각도는 30°내지 60°이다. 이 전개의 이점은, 한편으로는, 다이어프램에 반경방향의 프리텐션을 형성하기 위해 단지 작은 힘만이 가해져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충분히 큰 반경방향의 프리텐션이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주어진 프리텐셔닝 이동을 위해 다이어프램에 형성된다는 사실일 수 있다.
청구항 제6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은 제1 구성요소의 포위 홈으로 끼워지는 포위 벽을 가지는 컵 형상의 디자인을 가지며, 제1 구성요소는 홈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2 구성요소가 포위 돌출부에 의해 커버의 방식으로 맞물리며 그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반경방향으로 프리텐셔닝하는 컵 형상의 리세스를 가진다. 이 전개의 이점은 한정된 반경방향 프리텐션이 돌출부의 높이의 설정에 의해 다이어프램에 설정될 수 있다는 사실일 수 있다(보다 상세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도면들의 설명 참조).
청구항 제7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의 표면들은 윤활제로 코팅된다. 이 전개의 이점은 다이어프램의 표면들과 다이어프램이 클램핑되는 구성요소들의 표면들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며, 그에 의해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다이어프램을 더 쉽게 압축하도록 한다는 사실일 수 있다.
청구항 제8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의 탄성중합체 재료는 다이어프램의 가황 후에 다이어프램의 표면들로 이동하며 윤활제로 작용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 전개의 이점은 첨가제가 가황 전에 간단한 방식으로 다이어프램의 탄성중합체 재료에 혼합될 수 있다는 사실일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이어프램의 제조 후에 윤활제로 다이어프램의 표면들을 코팅할 필요가 없다. 에루카미드(erucamide)가 바람직하게는 윤활제로 사용된다.
청구항 제9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의 주요 확장 방향들에서, 프리텐션에 의해 형성된 추가적인 길이에 대한 하나의 주요 확장 방향으로 프리텐셔닝되지 않은 다이어프램의 길이의 비율은 30:1 내지 50:1이다. 이 전개의 이점은, 한편으로는, 지시된 범위 내에서, 하이드로마운트의 양호한 작용을 보장하기 위해 다이어프램의 충분히 큰 반경방향 프리텐션이 얻어진다는 사실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다이어프램은 반경방향의 프리텐션 때문에 하이드로마운트의 사용 수명 중에 손상될 수 있는 정도로 반경방향으로 프리텐셔닝되지는 않는다.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전개에 따르면, 백분율로 나타낸 프리텐션의 양은 다이어프램의 주요 확장 방향들 간에 상이하다. 이 전개의 이점은 구조로 전달되는 진동이 특히 광대역 주파수 범위에 걸쳐 감소될 수 있다는 사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추가적인 이점들은 다음의 도면들과 함께 설명된다.
도 1은 하이드로마운트를 시스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3은 그리드 플레이트의 형상의 이동 제한 요소를 도시한다.
도 4는 그리드 플레이트의 형상의 이동 제한 요소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이어프램을 도시한다.
도 6은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 사이에 클램핑된 다이어프램을 도시한다.
도 1은 하이드로마운트(2)를 종단면으로 도시한다. 하이드로마운트(2)는 유압 체적(8)이 있는, 2개의 하우징 부분들(4a 및 4b)을 포함하는 하우징(4)을 가진다. 유압 체적(8)은 탄성중합체 지지 스프링(10)에 의해 하이드로마운트(2)의 일 단부(상부 단부로 아래에 언급됨)에서, 그리고 유연한 보상 다이어프램(6)에 의해 하이드로마운트(2)의 타 단부(하부 단부로 아래에 언급됨)에서 폐쇄된다. 유압 체적(8)은 하우징 부분(4b)의 일부분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분할 벽(12)에 의해 작동 챔버(14)와 보상 챔버(16)로 분할된다. 2개의 챔버들(14, 16)은 분할 벽(12) 내의 이송 채널(18)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분할 벽(12)은 하이드로마운트(2)의 반경방향 평면에 배치되며, 하부 그리드 플레이트(22)와 상부 그리드 플레이트(24) 형상의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클램핑되는 다이어프램(20)이 있는 개구부를 가진다(도 1과 뒤이은 도면들은 마운트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마운트의 축방향이 데카르트 좌표계의 z축(26)으로 표시되는 좌표계를 도시하며; 데카르트 좌표계의 x축(27)과 y축(28)은 하이드로마운트(2)의 반경방향 평면을 한정하며; 따라서, 반경방향을 가리킬 때, 이는 마운트의 (반경방향의) xy 평면의 방향이다).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및 24)은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하이드로마운트(2)의 축방향으로 2개의 하우징 부분들(4a 및 4b) 사이에서 압축되며, 압축력은 지지 스프링(10)을 통해 하우징 부분(4a)의 방향으로부터 상부 그리드 플레이트(24)에 가해진다. 다이어프램(20)은 하이드로마운트(2)의 축방향으로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에 대한 압축의 결과로서 그리고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사이의 다이어프램(20)의 클램핑의 결과로서, 다이어프램의 프리텐션이 반경방향으로 얻어지도록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사이에 클램핑된다(하이드로마운트의 반경방향으로의 다이어프램의 프리텐션은 반경방향 프리텐션으로 아래에 언급된다). 반경방향 프리텐션이 다이어프램에 형성되는 방식이 다음의 도면들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II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된 크기로 도시한다. 다이어프램(20)은 다이어프램의 축방향으로, 한편으로는, 다이어프램(20)의 상부 표면(30)을 넘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다이어프램의 하부 표면(32)을 넘어 돌출되는 포위 비드(40)를 가진다. 포위 비드(40)는 어떤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구체적 실시예에서, 비드(40)는 비드의 영역에서의 다이어프램(20)의 두께가 다이어프램(20)의 내측에서부터 외측까지 반경방향으로 증가되는 방식으로 디자인된다. 따라서, 비드(40)의 상부와 비드(40)의 하부 양쪽 모두는 경사면의 최고점이 각각의 경우에 반경방향으로 다이어프램(20)의 외측에 있는 경사면의 형상을 가진다. 다이어프램(20)은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및 24) 사이에 있는 비드(40)로 클램핑된다. 그 반경방향 외부 엣지에서, 하부 그리드 플레이트(22)와 상부 그리드 플레이트(24) 양쪽 모두는 각각 포위 경사면(34 및 36)을 가진다. 포위 비드(40)가. 한편으로는, 경사면(36)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경사면(34)에 대하여 지지되는 방식으로 다이어프램(20)은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사이에 배치된다. 축방향으로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을 압축하여 다이어프램(20)의 포위 비드(40)를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사이의 다이어프램(20)의 클램핑 때문에 다이어프램(20)의 반경방향 프리텐션을 야기한다. 다이어프램(20)의 반경방향 프리텐션의 정도는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이 축방향으로 압축되는 거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 배치에서, 다이어프램(20)이 심지어는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사이에 클램핑될 때에도 일정한 거리에 걸쳐 진동될 수 있으며 오직 이 거리가 초과될 때에만 그 진동이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도록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및 다이어프램(20)의 두께는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진다.
다이어프램의 2개의 표면들(30, 32)과 또한 그에 따른 비드(40)의 전체 표면은, 비드(40)가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에 축방향으로 압축이 가해지는 동안 경사면(34, 36)의 위로 보다 쉽게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윤활제로 코팅될 수 있다. 표면들(30, 32)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어프램(20)의 가황 후에 표면들(30, 32)로 이동되는 첨가제를, 다이어프램의 제조 중에, 다이어프램(20)의 탄성중합체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윤활제로 코팅된다.
도 3은 하부 그리드 플레이트(22)를 도시하며, 도 3a는 그리드 플레이트(22)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종단면도이다. 포위 경사면(34)과 하이드로마운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38)은 330°내지 60°의 각도(α)를 포함한다.
도 4는 상부 그리드 플레이트(24)를 도시하며, 도 4a는 그리드 플레이트(24)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종단면도이다. 포위 경사면(36)과 하이드로마운트의 반경방향을 가리키는 직선(38)은 30°내지 60°의 각도(α)를 포함한다.
도 5는 다이어프램(20)을 도시하며, 도 5a는 다이어프램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다이어프램(20)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위 비드(40)는 상부 그리드 플레이트(24)의 포위 경사면(36)에 그리고 하부 그리드 플레이트(22)의 포위 경사면(34)에 지지된다. 다이어프램(20)은 둥근 모서리들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다이어프램의 2개의 주요 확장 방향들은 폭(B)과 높이(H)이다.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의 사이에서 다이어프램(20)을 압축함으로써(도 1 및 도 2 참조) 프리텐션에 의해 형성된 추가적인 길이에 대한 하나의 주요 확장 방향으로 프리텐셔닝되지 않은 다이어프램(20)의 길이의 비율이 30:1과 50:1 사이가 되도록 다이어프램을 반경방향으로 프리텐셔닝한다.
예:
프리텐셔닝되지 않은 다이어프램의 폭(B): 90 mm
프리텐션에 의해 형성된 추가적인 폭(δB): 90 mm
B/δB의 비율: 45:1
프리텐셔닝되지 않은 다이어프램의 높이(H): 60 mm
프리텐션에 의해 형성된 추가적인 높이(δH): 2 mm
H/δH의 비율: 30:1
그러므로, "폭"으로 언급되는 주요 확장 방향에서, 백분율 프리텐션은 약 2.2%이며, "높이"로 언급되는 주요 확장 방향에서 다이어프램(20)의 반경방향 프리텐션은 약 3.3%이다. 따라서, 도시된 직사각형 다이어프램(20)의 경우에, 백분율로 나타낸 반경방향의 프리텐션의 양은 주요 확장 방향들 간에 상이하다.
도 6은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및 다이어프램(20)에 대한 구체적인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및 다이어프램(20)을 클램핑하기 전에 그리드 플레이트들 사이의 다이어프램(20)을 도시한다. 다이어프램(20)은 포위 벽(42)을 가지는 컵 형상의 디자인을 가진다. 벽(42)은 상부 그리드 플레이트(24)의 포위 홈(44)에 끼워진다. 홈(44)은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다이어프램(20)에 의해 커버되는 리세스(46)를 둘러싼다. 하부 그리드 플레이트(22)는 외부 직경(d)이 대략 내부 직경(D)에서 다이어프램(20)의 두께(X)의 2배를 뺀 것에 상응하는 포위 돌출부(48)를 가진다; d = D - 2X.
도 6b는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사이에 있는 다이어프램(20)과 함께 하이드로마운트(2)(도 1 참조)에 설치될 때의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을 도시한다. 하부 그리드 플레이트(22)는 포위 돌출부(48)에 의해 커버의 방식으로 컵 형상의 리세스(46)에 맞물린다.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은 리세스(46) 내로 포위 돌출부(48)의 삽입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프리텐셔닝된다. 이 배치에서, 반경방향의 프리텐션의 정도는 돌출부(48)의 높이를 설정하여 조절될 수 있다.
2 하이드로마운트 4 하우징
4a, 4b 하우징 부분들 6 보상 다이어프램
8 유압 체적 10 지지 스프링
12 분할 벽 14 작동 챔버
16 보상 챔버 18 이송 채널
20 다이어프램
22 하부 그리드 플레이트
24 상부 그리드 플레이트
26 z축 27 x축
28 y축 30 상부 표면
32 하부 표면 34 경사면
36 경사면 38 직선
40 비드 42 벽
44 홈 46 리세스
48 돌출부

Claims (10)

  1. 유압 체적(8)을 둘러싸는 하우징(4) 및 보상 다이어프램(6), 및
    상기 유압 체적(8)을 작동 챔버(14)와 보상 챔버(16)로 분할하는 분할 벽(12)을 포함하는 하이드로마운트(2)로서,
    상기 분할 벽(12)은 상기 작동 챔버(14)와 상기 보상 챔버(16)이 상호 연결되는 이송 채널(18)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벽(12)은 2개의 구성요소들(22, 24) 사이에 클램핑되는 유연한 탄성중합체 재질의 다이어프램(20)이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이드로마운트(2)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은 클램핑의 결과로서 반경방향 프리텐션이 상기 다이어프램(20)에 형성되도록 상기 2개의 구성요소들(22, 24) 사이에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구성요소들(22, 24)은,
    상기 다이어프램(20)의 편향을 제한하는, 2개의 그리드 플레이트들(22, 24)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상기 다이어프램(20)의 하나 이상의 표면(30, 32)을 넘어 돌출되는 포위 비드(40)를 가지며,
    상기 표면(30, 32)과 대면하는 상기 구성요소(22, 24)는 포위 경사면(34, 36)을 가지며,
    상기 포위 경사면(34, 36)의 최고점이 반경방향으로 상기 포위 비드의 내측에 위치하여서 상기 포위 비드(40)가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양쪽 표면들(30, 32) 모두를 넘어 돌출되는 포위 비드(40)를 가지며,
    상기 표면들(30, 32)과 대면하는 상기 구성요소들(22, 24) 각각은 포위 경사면(34, 36)을 가지며,
    상기 포위 경사면(34, 36)의 최고점이 반경방향으로 상기 포위 비드(40)의 내측에 위치하여서 상기 포위 비드(40)가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34, 36)의 각도는 30°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상기 제1 구성요소(24)의 포위 홈(44)으로 끼워지는 포위 벽(42)을 가지는 컵 형상의 디자인을 가지며,
    상기 제1 구성요소(24)는 상기 포위 홈(44)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제2 구성요소(22)가 포위 돌출부(48)에 의해 커버의 방식으로 맞물리며 그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0)을 반경방향으로 프리텐셔닝하는 컵 형상의 리세스(4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의 표면들(30, 32)은 윤활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의 탄성중합체 재료는 상기 다이어프램(20)의 가황 후에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상기 표면들로 이동하며 윤활제로 작용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주요 확장 방향들에서, 프리텐션에 의해 형성된 추가적인 길이에 대한 하나의 주요 확장 방향으로의 프리텐셔닝되지 않은 다이어프램(20)의 길이의 비율은 30:1과 50:1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분율로 나타낸 상기 프리텐션의 양은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주요 확장 방향들 간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마운트(2).
KR1020117011617A 2008-10-20 2009-09-22 하이드로마운트 KR101790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7471A DE102008037471A1 (de) 2008-10-20 2008-10-20 Hydrolager
DE102008037471.7 2008-10-20
PCT/EP2009/062241 WO2010046191A1 (de) 2008-10-20 2009-09-22 Hydrola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782A true KR20110074782A (ko) 2011-07-01
KR101790665B1 KR101790665B1 (ko) 2017-11-20

Family

ID=4125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617A KR101790665B1 (ko) 2008-10-20 2009-09-22 하이드로마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84334B2 (ko)
EP (1) EP2359025B1 (ko)
KR (1) KR101790665B1 (ko)
CN (1) CN102187116B (ko)
DE (1) DE102008037471A1 (ko)
WO (1) WO2010046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0390A4 (en) * 2010-10-22 2017-11-22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Reduced noise decoupler
JP5683395B2 (ja) * 2011-07-01 2015-03-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防振装置
JP6207614B2 (ja) * 2012-09-24 2017-10-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搾乳器
DE102014226091A1 (de) * 2014-12-16 2016-06-16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Hydrolager, Kraft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Hydrolag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ner integralen Einheit für ein derartiges Hydrolager
EP3156686B1 (de) * 2015-10-12 2020-04-15 Vibracoustic AG Hydrolager, insbesondere zur lagerung eines kraftfahrzeugmotors
US10816094B2 (en) 2017-10-17 2020-10-27 Zhuzhou Times New Material Technology Co. Ltd. Sealing member for liquid composite spring and liquid composite spring
KR102484894B1 (ko) * 2017-10-30 202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유체 봉입형 마운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2999A (en) * 1986-05-16 1988-05-10 Flower Wallace C Quiet acting fluid filled vibration isolator having predictable low level high frequency minimum dynamic stiffness
DE3632670A1 (de) * 1986-09-26 1988-04-07 Boge Ag Hydraulisch daempfendes gummilager
DE3809166A1 (de) * 1988-03-18 1989-10-05 Metzeler Gmbh Hydraulisch daempfendes zweikammer-motorlager
DE4216185C2 (de) * 1992-05-15 1994-12-08 Boge Gmbh Elastisches Gummilager
US7234560B2 (en) * 1994-04-19 2007-06-26 Applied Elastomerics, Inc. Inflatable restraint cushions and other uses
JP3539067B2 (ja) * 1996-05-23 2004-06-1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JP3533980B2 (ja) * 1999-03-18 2004-06-0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液体封入式防振装置
US6499729B1 (en) * 2000-05-19 2002-12-31 Delphi Technologies Inc. Hydraulic engine mounting device
JP4231980B2 (ja) * 2000-09-21 2009-03-04 Nok株式会社 液体封入式マウント
US6523816B1 (en) * 2000-11-07 2003-02-25 Hutchinson Method of damping vibration, active hydraulic anti-vibration mount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mount
DE10064769A1 (de) * 2000-12-22 2002-08-29 Contitech Luftfedersyst Gmbh Hydrofeder
JP3849534B2 (ja) * 2002-01-29 2006-11-2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防振装置
US6910683B2 (en) * 2003-05-29 2005-06-28 Toyo Tire & Rubber Co., Ltd. Fluid-sealed anti-vibration device
DE102004001322B4 (de) 2004-01-08 2014-03-06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Akustisch entkoppeltes Hydrolager
DE102007014242B4 (de) * 2007-03-24 2019-08-29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Aktives, hydraulisch dämpfendes Motorlager
WO2009032669A2 (en) * 2007-09-06 2009-03-12 Polyone Corporation Soft, shock-damping thermoplastic elasto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37471A1 (de) 2010-04-29
US20110221106A1 (en) 2011-09-15
KR101790665B1 (ko) 2017-11-20
EP2359025A1 (de) 2011-08-24
EP2359025B1 (de) 2013-04-24
US9784334B2 (en) 2017-10-10
WO2010046191A1 (de) 2010-04-29
CN102187116B (zh) 2015-02-25
CN102187116A (zh)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4782A (ko) 하이드로마운트
CN107061602B (zh) 减振器
JP4348553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29478B1 (ko) 액체봉입식마운트 및 그 조립방법
JP4529142B2 (ja) 防振装置
US8231115B2 (en) Very high damping body mount, subframe mount or engine mount with bolt-through construction
JP2010520982A (ja) 空気圧式防振マウント
JP4842078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881615B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US8814151B2 (en) Antivibration device
US20170089420A1 (en) Liquid-charged antivibration device
JP2013072484A (ja) 防振装置
US20110198149A1 (en) Anti-vibration device
JP2019108039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アッパサポート
JP5823905B2 (ja) 倒立型液封マウント
EP0855535A2 (en) Vibration isolating apparatus
WO2010119643A1 (ja) 液封入式防振装置
KR20160112619A (ko) 엔진마운트 구조
JPWO2010119645A1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2009008251A (ja) 防振装置
US5540419A (en) Elastic bearing
CN114364900A (zh) 阻尼装置及其安装方法
CN112443578A (zh) 液压轴承和制造液压轴承的方法
KR20170029677A (ko) 엔진마운트
CN218817855U (zh) 减震胶垫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17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12

Effective date: 201709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