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271A -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 Google Patents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271A
KR20110074271A KR1020090131185A KR20090131185A KR20110074271A KR 20110074271 A KR20110074271 A KR 20110074271A KR 1020090131185 A KR1020090131185 A KR 1020090131185A KR 20090131185 A KR20090131185 A KR 20090131185A KR 20110074271 A KR20110074271 A KR 2011007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ed ore
inclined plate
chute
chute body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영
전희동
도규헌
류성욱
박흥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3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271A/ko
Publication of KR2011007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26Cooling of roasted, sintered, or agglomerated 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6Particulat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이 최대한 균일하게 혼합되어 냉각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는 내부에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슈트본체와; 일 단부가 상기 슈트본체의 내부의 어느 일 측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제1 경사판과; 일 단부가 상기 제1 경사판이 장착된 슈트본체의 내부면과 대면하는 슈트본체의 내부면 위치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제2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파쇄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이 최대한 균일하게 혼합되어 냉각기로 공급될 수 있고, 소결광의 냉각이 보다 균일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소결광, 냉각, 배출슈트, 혼합, 편석, 편류

Description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DISCHARGING CHUTE OF APPATURS FOR SUPPLYING FOR SINTERED ORE}
본 발명은 파쇄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이 최대한 균일하게 혼합되어 냉각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광은 소결기에 의해 소결이 이루어지고, 적열 상태로 파쇄기에 의해 파쇄되어 냉각기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결기(1)로부터 배출되는 소결광(1)은 소결광 공급장치(20)의 파쇄기(21)에 의해 파쇄가 이루어지는데, 파쇄된 소결광은 그 입도의 분포가 수mm 에서부터 250mm까지 다양하다. 이와 같이 입도가 다른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은 배출슈트(22)를 따라 냉각기(20)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배출슈트(22)를 통과하는 동안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은 하중이나 마찰 등에 의해 이송 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서 서로 분류되어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냉각기(30)의 일 측 영역에는 대립 소결 광(1a)이 상대적으로 많이 적층되고, 냉각기(30)의 다른 일 측 영역에는 소립 소결광(1b) 상대적으로 많이 적층된다.
이와 같이 편석이 발생하게 되면, 입도가 큰 소결광이 적층된 영역은 통기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고, 입도가 작은 소결광이 적층된 영역은 상대적으로 통기성이 떨어지게 된다. 즉, 대립 소결광(1a)이 상대적으로 많이 적층된 영역과 소립 소결광(1b)이 상대적으로 많이 적층된 영역의 냉각 속도가 다르게 되어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이 경우, 요구되는 온도로 전체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냉각시간이 요구되어 작업시간의 단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비동력의 절감이 어렵게 된다. 또한, 냉각이 이루어지더라도 소결광 전체 영역에는 온도 차이가 큰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소결광 공급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냉각기로 공급되는 파쇄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의 혼합이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냉각기에 공급되는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의 편석 또는 편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냉각기에 공급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의 혼합이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져 냉각의 최대한 균일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파쇄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의 혼합이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는 내부에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슈트본체와; 일 단부가 슈트본체의 내부의 어느 일 측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제1 경사판과; 일 단부가 제1 경사판이 장착된 슈트본체의 내부면과 대면하는 슈트본체의 내부면 위치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장 착되는 제2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은 하나 이상이 슈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장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은 하방에 위치되는 단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며 중첩된 길이가 각 경사판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하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기로 공급되는 파쇄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의 혼합이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기에 공급되는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의 편석 또는 편류 발생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기에 공급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의 혼합이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져 냉각의 최대한 균일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 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파쇄된 대경립 소결광과 소경립 소결광의 혼합이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100)는 소결기로부터 소결광이 공급되어 파쇄기(21)에 의해 입자 상태로 파쇄된 후 배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슈트(100)는 입자상으로 파쇄된 소결광(1a,1b)이 통과할 수 있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슈트본체(110)가 구비되며, 상기 슈트본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제1 경사판(120a)과 제2 경사판(120b)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결광(1a,1b)은 상기 슈트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제1 경사판(120a)과 제2 경사판(120b)을 지나면서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의 혼합이 적절히 이루어지로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사판(120a)은 그 일 단부가 상기 슈트본체(110)의 내 부의 어느 일 측에 장착되고, 다른 일 단부가 상기 슈트본체(110)의 내측에 장착된 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 경사판(120a)이 슈트본체(110)의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판(120b)은 일 단부가 상기 제1 경사판(120a)의 단부가 장착된 슈트본체(110)의 내측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장착되고, 제2 경사판(120b)의 다른 일 단부가 제1 경사판(120a)의 다른 일 단부와 같이 슈트본체(110)의 내측에 장착된 단부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2 경사판(120b)이 슈트본체(110)의 하류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경사판(120a)과 제2 경사판(120b)은 상기 슈트본체(110)의 내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경사판(120a)의 위치 보다 제2 경사판(120b)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하류측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경사판(120a)과 제2 경사판(120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교대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패쇄기(21)로부터 배출되는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은 제1 경사판(120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제2 경사판(120b)으로 낙하되면서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 경사판(120b)으로 낙하된 소결광(1a,1b)은 다시 제2 경사판(120b)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하류측에 위치한 다른 제1 경사판(120a)으로 낙하되면서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제1 경사판(120a)과 제2 경사판(120b)이 배치된 수 만큼 반복되어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냉각기에 투입되는 소결광(1a,1b)의 편석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결광(1a,1b)이 냉각기에 적층될 때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이 최대한 고르게 혼합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게 되어 냉각 공기의 편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소결광의 냉각이 원할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소결광(1a,1b)이 상기 경사판(120a,120b)을 따라 흘러내리는 동안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 간의 편향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립 소결광(1a)과 소립 소결광(1b)의 혼합상태가 최대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결광(1a,1b)이 상기 경사판(120a,120b)을 따라 흘러내리는 길이를 가능한 짧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결광(1a,1b)이 상기 경사판(120a,120b)을 따라 흘러내리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 경사판(120a)과 제2 경사판(120b)의 하방에 위치되는 각 단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일 경우, 중첩된 제1 경사판(120a)과 제2 경사판(120b)의 각 단부의 길이는 각 경사판(120a,120b)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경사판(120a,120b)의 경사각은 슈트본체(110)의 길이 또는 소결광(1a,1b)의 낙하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위하여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소결광이 소결기로부터 냉각기로 공급되는 과정과 소결광 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슈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소결광 1a ... 대립 소결광
1b ... 소립 소결광 21 ... 파쇄기
30 ... 냉각기 100 ... 배출슈트
110 ... 슈트본체 120a ... 제1 경사판
120b ... 제2 경사판

Claims (2)

  1. 소결기로부터 공급된 소결광을 파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배출슈트를 통해 냉각기로 급광시키기 위한 소결광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슈트는
    내부에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슈트본체와;
    일 단부가 상기 슈트본체의 내부의 어느 일 측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제1 경사판과;
    일 단부가 상기 제1 경사판이 장착된 슈트본체의 내부면과 대면하는 슈트본체의 내부면 위치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제2 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은 하나 이상이 슈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판과 제2 경사판은 하방에 위치되는 단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며 중첩된 길이는 각 경사판의 전체 길이의 절반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KR1020090131185A 2009-12-24 2009-12-24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KR20110074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185A KR20110074271A (ko) 2009-12-24 2009-12-24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185A KR20110074271A (ko) 2009-12-24 2009-12-24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271A true KR20110074271A (ko) 2011-06-30

Family

ID=4440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185A KR20110074271A (ko) 2009-12-24 2009-12-24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42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0308A (zh) * 2018-11-27 2019-03-26 苏州航明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斜板导流竖式烧结矿冷却和余热回收装置
CN109990605A (zh) * 2018-01-02 2019-07-09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整流装置的立式冷却机及冷却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0605A (zh) * 2018-01-02 2019-07-09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整流装置的立式冷却机及冷却方法
CN109520308A (zh) * 2018-11-27 2019-03-26 苏州航明环保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斜板导流竖式烧结矿冷却和余热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7631C (en) Grinding mill
KR101801763B1 (ko) 미립자 물질의 분리 방법 및 장치
US101802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lag occurring in a combustion chamber of a refuse incineration plant
US20160288135A1 (en) Closed-circuit grinding plant having a pre-classifier and a ball mill
KR20130045375A (ko) 환원철 원료 공급 시스템
KR20110074271A (ko) 소결광 공급장치의 배출슈트
KR20090056056A (ko) 소결 원료의 편석 장입장치 및 그 방법
JP5061468B2 (ja) 焼結鉱の整粒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揺動式分級機
US20230194173A1 (en) Sorting device
JP2009508680A (ja) 投入原料を分級する装置
US10126055B2 (en) Supply chute for sinter material
KR20210033640A (ko) 실리콘 원료칩의 선별 시스템
KR20130050725A (ko) 입도 선별기의 스크린 매트
US10843200B2 (en) Vertical roll mill
JP2018536837A (ja) 原料装入装置及び方法
JP5338308B2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JP2010150643A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JP5338310B2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
RU173609U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питатель
KR20040098471A (ko) 소결광 쿨러용 원료장입 가이드
CN207748465U (zh) 一种斗式提升机装置
KR101703042B1 (ko) 원료처리장치
KR100893269B1 (ko) 소결광 제조 시스템
CN107560427B (zh) 一种水泥熟料冷却机下料端结构
JP2005213579A (ja) 高炉の中心装入コークスの調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