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004A -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004A
KR20110074004A KR1020090130831A KR20090130831A KR20110074004A KR 20110074004 A KR20110074004 A KR 20110074004A KR 1020090130831 A KR1020090130831 A KR 1020090130831A KR 20090130831 A KR20090130831 A KR 20090130831A KR 20110074004 A KR20110074004 A KR 2011007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nscreen
forming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224B1 (ko
Inventor
서유미
이승기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9013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2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형성 폴리머에 라일락 추출물을 첨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능촉진제(booster)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 능을 부여하면서도 피부 안전성이 뛰어나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또한 내수성이 매우 뛰어나고, 자극완화 및 피부장벽회복 효과에 도움을 준다.
라일락 추출물, 필름형성폴리머, 자외선 차단 효능촉진제(Booster), 홍반 억제, 내수성, 화장료, 자극완화, 피부장벽회복

Description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creening UV Rays Comprising Film Forming polymer with Lilac Extract}
본 발명은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Film Forming polymer)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능촉진제(booster)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됨에 따라 자외선에 대한 노출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선번(sun burn), 흑화, 홍반 등의 피부 손상이 날로 가속화되고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삶이 윤택해지면서 생활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뿐만 아니라, 스키, 골프, 해수욕 등의 레저 활동 인구가 늘어나면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요구가 나날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태양광 노출에 대한 방어차원으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다양한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및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기능의 부여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원료, 즉 화학적 차단제와 물리적 차단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화학적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라고도 하며, 자외선 영역의 파장범위를 흡수함으로써 자외선이 피부에 반응하는 것을 방어하며 과량의 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에 자극이나 각종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어 대부분 국가에서 배합 한도량을 규정하고 있다. 물리적 차단제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라고도 하며 자외선 영역의 파장범위의 빛을 산란함으로써 자외선이 피부에 반응하는 것을 방어한다.
한편, 오늘날 소비자들이 원하는 수준으로 높은 자외선 차단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량의 자외선 차단 성분들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에는 백탁 현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에는 그 자체가 상당히 높은 점도를 갖는 액상이 대부분이어서 끈적임을 유발하거나, 그의 용제가 되는 높은 점도를 갖는 오일과 함께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기존의 자외선 차단 제품은 크림 또는 로션 형태로 제조되었으나, 이러한 끈적거림은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감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또한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등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 나, 여전히 피부 안전성 문제는 야기되고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소비자들은 높은 자외선 차단 능을 가지면서도 피부에 안전하며, 끈적임 없이 사용성이 가벼운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다. 따라서 자외선차단제를 소량 사용하면서도 높은 자외선차단 능을 지닌 제품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피부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자극 완화제를 적정량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손상된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는 미흡하다. 무엇보다도 자극원인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을 배제 또는 최소화하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차단제 함량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높은 수치의 자외선차단 능을 지니며, 내수성 및 피부장벽기능 회복 효과 그리고 안전성이 강화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해 연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서, 본 발명자들은 라일락 추출물을 필름 형성 폴리머에 첨가시킴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능을 촉진시키고, 내수성 및 피부장벽효과 및 안정성이 강화된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 형성 폴리머를 함유하여 적은 양의 자외선차단제(유기, 무기포함)로도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 향상 능을 나타내며, 안전성, 내수성, 피부 장벽기능 보호에 효과가 좋은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 1 내지 20 중량%와, 무기자외선 차단제 0.1 내지 25 중량%와, 유기자외선 차단제 0.1 내지 25 중량%와, 오일 또는 왁스 성분 1 내지 50 중량% 및 실리콘폴리머 1 내지 30 중량% 및 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와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와 파라아미노벤조익애씨드(파바),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형성폴리머는 비닐아세테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과 C1-C8 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타크릴산과 C1-C8 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일락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필름형성폴리머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자극 완화효과 또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갖는 화장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 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소량을 배합하고도 필름형성 폴리머만을 함유한 조성물보다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능을 부여하는 동시에, 자외선 A 및 자외선 B 차단효과가 우수하고, 자외선에 의한 홍반 억제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 형성으로 내수성을 향상시키며, 피부장벽 기능 회복에 도움을 주고, 자외선 차단 효능촉진제와 자외선 차단제 입자와 물리적인 결합을 이루어 자외선 차단제가 피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뛰어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효과(실험예 1), 자외선 차단 시너지 효과(실험예 2), 피부자극(안전성)(실험예 3), 내수성(실험예 4), 피부 장벽 보호(실험예 5), 사용성 및 제형 안정성(실험예 6)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차단 효능 촉진제로서,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 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 폴리머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라일락(Syringa vulgaris)은 물푸레 나무과에 속하는 양정향나무라고도 하고, 영어로는 라일락, 프랑스어로는 리라라고 한다. 갑카스와 아프카니스탄이 원산지이다. 밑에서 새로운 싹이나 가지가 돋아서 포기가 되며 높이 5m 정도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가을에도 빛깔이 변하지 않는다. 꽃은 4~5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커다란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향기가 있다. 씨방은 상위이고 2실이며, 열매는 삭과이다. 한국에서 주로 심는 것은 대부분 꽃이 흰색이며 흰서양수수꽃다리라고 한다. 수수꽃다리는 다른 말로 조선정향나무, 개똥나무라고도 한다. 라일락은 향기가 그윽하게 짙고 멀리까지 퍼지기 때문에 ‘꽃보다 향기’라고 그 향기로 더 유명해진 꽃이다. 수수꽃다리 잎을 생약명으로 ‘정향엽’이라고 하는데, 항균소염, 지이의 효능이 있어 피부염이나 여름철 이질에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라일락 추출물은 라일락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가지, 껍질 또는 꽃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꽃, 잎, 가지,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꽃 또는 잎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라일락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였다.본 발명에서 라일락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라이콜,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라일락의 꽃과 잎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라일락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라일락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 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진공 농축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 1998;479: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임계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 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라일락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필름형성폴리머의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01-50.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5.0 중량%이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경미하며, 상기 함량이 5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는 제형의 안정화가 어렵고, 제조 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필름형성폴리머는 피부에 피막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함유될 수 있는 기능의 원료로서 상기 사용된 필름형성폴리머의 경우 비닐아세테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과 C1-C8 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타크릴산과 C1-C8 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필름형성폴리머는 비닐아세테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필름 형성 폴리머는 그라프트 중합에 의해 제조된 후 특이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공정을 거친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된 필름 형성 폴리머는 대한민국 소재 (주)KCI에서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는 제품인 상품명 BVP-30KC임을 밝힌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필름형성폴리머는, 그 자체로는 자외선 차단효과가 없어서 자외선 차단제로서 단독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할 경우 자외선 차단제와 물리적 결합을 하여 자외선 차단제가 피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자외선차단 효과를 지속시키고,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피부에 안전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필름형성폴리머에 상기 기술된 라일 락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을 경우 폴리머 자체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그 사이에 라일락 추출물이 들어감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지 않는 필름형성폴리머가 자외선 차단 효과를 더욱 더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한 홍반이나 유기 자외선 차단원료가 가지는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여 적은 양의 자외선 차단 원료를 사용하고도 최대의 자외선 차단 수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자외선차단제 0.1 내지 25 중량%와, 유기자외선차단제 0.1 내지 25 중량%와, 오일 또는 왁스 성분 1 내지 50 중량% 및 실리콘폴리머 1 내지 30 중량%와 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중량% 와 필름형성폴리머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 이외에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방부제, 향료, 산화안정제, 및 색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필름형성폴리머는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로서, 폴리머 자체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라일락 추출물이 들어감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대시킨다. 이러한 필름형성 폴리머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20.0 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 중량% 사용한다. 또한, 이 필름형성폴리머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라일락 추출물이 0.0001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0%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25 중량 %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 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및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벤조익애씨드(파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 또는 왁스 성분과, 실리콘 폴리머는 당업계에서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며, 그 종류의 적절한 선택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오일 또는 왁스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며, 실리콘 폴리머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의 경우 수중유형 타입의 자외선 차단제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며,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알코올, 세틸팔미테이트, 소르비탄팔미테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이러한 단계를 거친 본 발명에 따른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 를 사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의 경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이를 in vitro 자외선 차단지수(SPF)와 자외선A 차단등급(PA)의 지수를 측정한 결과, 그 효과가 증대되며 내수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피부 안전성이 증대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라일락 추출물 제조
라일락의 꽃과 잎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 거피한 후 미세하게 분말화하였다. 분말화한 라일락 분말 100g에 70% 알코올 수용액을 1-15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3일 동안 침적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3.5g의 건조 추출물을 얻었으며, 상기 건조 추출물을 1% (w/v) 농도가 되도록 50% 1,3-부틸렌 글리콜 용액에 용해하고 여과한 후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2>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의 제조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의 제조에 있어, 본 발명에 사용된 필름형성폴리머의 재료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필름형성폴리머(BVP-30KC)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필름형성 폴리머로서, (주)KCI에서 제조하는 BVP-30KC의 원료 47.5g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라일락 추출물을 2.5g을 첨가하여 Agi Mixer를 이용하여 약 5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구분 INCI 명명 제조사
필름형성폴리머
BVP-30KC
정제수,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에칠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탄올, 폴리소르베이트20, 솔비탄올리에이트 (주)KCI
<실험예 1> 인 비트로 SPF /PA 측정 - 제조물의 자외선차단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in vitro SPF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라일락 추출물과, 제조예 2에 사용된 필름형성폴리머 및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를 0.12g을 도포한 후 15분 경과 후 Optometrics USA, Inc. 의 SPF-290S Analyzer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일락 추출물이나 필름형성폴리머자체는 자외선차단효과가 없지만, 필름형성폴리머에 라일락 추출물을 함유하였을 경우, 인비트로 SPF 및 PA 수치가 높은 것으로 보아 UVA 및 UVB 차단 효과가 더욱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샘플명 인 비트로 SPF 인 비트로 PA
제조예1 1.41 1.27
필름형성폴리머 2.01 1.64
제조예2 2.54 2.26
제형예 1: 선크림의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본 발명의 선크림 및 비교예의 선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A상과 B상을 각각 70℃에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서로 혼합하여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그런 다음, 이 혼합액을 40℃로 냉각하고 C상을 넣은 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상구분 성분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 4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3.0 3.0 3.0 3.0 3.0
제조예1의 라일락 추출물 - - 5.0 - 0.25
필름형성폴리머 - - - 5.0 4.75
제조예2의 라일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필름형성폴리머 5.0 - - - -
암모늄아크로일디메칠타
우레이트/VP폴리머
0.1 0.1 0.1 0.1 0.1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2.5 2.5 2.5 2.5 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B 미립자이산화티탄 3.0 3.0 3.0 3.0 3.0
폴리실리콘-15 3.0 3.0 3.0 3.0 3.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5 2.5 2.5 2.5 2.5
소르비탄올리베이트 2.0 2.0 2.0 2.0 2.0
폴리데센 2.0 2.0 2.0 2.0 2.0
비타민E아세테이트 0.5 0.5 0.5 0.5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
코스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C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Total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2> 인 비트로 SPF /PA 측정 -> 자외선차단 시너지효과측정
일반 제품인 비교예 1~4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인 비트로 SPF & PA수치 차이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시료 2 ㎎/㎠를 폴리포어 테이프 (polypore tape, 3M)에 도포한 후 15분간 건조시키고, 125W CW Xenon arc 램프가 장착된 SPF 290 분석기 (Optometrics LL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나 있다.
샘플명 인 비트로 SPF 인 비트로 PA
실시예1 20.38 14.06
비교예1 12.68 11.38
비교예2 11.50 10.42
비교예3 15.88 11.42
비교예4 16.01 11.88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4 보다 인비트로 SPF & PA수치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필름형성 폴리머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3의 경우에도 비교예 1에 비해 SPF & PA수치가 높아지는데 이는 필름 형성 폴리머가 피부 위에 얇게 피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고르게 분산 시켜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에 라일락 추출물과 필름형성폴리머를 각각 제형에 포함시킨 비교예 4의 경우 PA수치가 변화가 없으나,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SPF 및 PA수치가 월등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인체 적용시 피부 자극 비교 측정
피검자 20-40대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를 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 1과 비교예 1로 제조한 선크림을 각각 15㎍을 Chamber에 적하 시킨 후 시험 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첩포는 24시간 도포하여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es Research Group :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본 발명의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자극정도
실시예 1 0.00
비교예 1 0.48
비교예 2 0.24
비교예 3 0.36
비교예 4 0.24
라일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필름형성폴리머 함유 선크림(실시예 1)에 대한 피부 안전성 실험 결과 자극 정도가 0으로 비교예 1~4에 비교하여 자극 정도가 현저히 줄어들어 피부에 안전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인체 적용시 내수성 효과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내수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료 100 ㎎을 시험자의 양쪽 팔뚝 안쪽 50 ㎠에 도포하고 20분 후에 오른쪽 팔을 20분간 25℃물에 담근 후 다시 20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러한 사이클을 4회 실시하여 물에 담근 시간이 총 80분이 되도록 하였다. 알코올로 양팔의 시험부위를 닦아내고 크로마토그래피 (Waters 2695/Waters 2487, 미합중국)를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제의 잔존양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해 3명의 시험자를 이용하였고, 평균값을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샘플명 자외선차단제의 잔존양(중량%)
실시예 1 80.58%
비교예 1 51.25%
비교예 2 53.73%
비교예 3 72.80%
비교예 4 70.15%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일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필름형성폴리머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라일락 추출물과 필름형성 폴리머를 모두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라일락 추출물만을 함유한 비교예 2 및 필름형성폴리머만을 함유한 비교예 3과 내수성 효과를 비교시 자외선차단제의 잔존양이 많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필름형성폴리머에 의한 막이 자외선차단제가 물에 씻기는 것을 막아주었기 때문이다.
<실험예 5> 피부 장벽 기능 평가(TEWL)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은 피부를 통해 증발되는 수분 (땀은 제외)을 나타내는 지표로 각질층의 손상정도와 피부장벽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높은 수준의 TEWL은 피부장벽이 손상됐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와 비교예 4의 인체 적용시 TEWL을 측정하였다. TEWL의 측정은 항온 (22℃) 및 항습 (47%)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며 단위는 g/h/m2이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테이프-스트립핑 (tape-stripping)을 30회 실시하여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발시켰다.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발 한 후 시험 제품을 도포하기 전 TEWL 수치를 측정하였다. 제품을 적용하고 1시간 간격으로 4시간 동안 TEWL 수치의 변화를 Tewameter TM210 (Courage+Khazaka, 독일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나있다.
샘플명 TEWL 값
도포전 스트리핑 1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실시예 1 7.8 18.8 14.2 9.8 7.4 7.3 5.1
비교예 4 8.2 20.1 15.4 10.2 8.1 7.5 7.5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일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필름형성폴리머가 함유된 실시예 1쪽이 수분손실을 막아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제형안정성 및 사용성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4로 제조된 선크림의 수액적 유화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비교하여 선크림의 균일성을 평가하였으며, 4℃, 40℃, 45℃의 항온상태 및 -4℃~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2개월간 정치하여 분리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을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감 테스트를 위하여 20~4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법으로 상대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표 8에 같이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4
유중수형 선크림의
입자 크기(㎛)
1.3 1.2
실온 1개월
2개월
4℃ 1개월
2개월
40℃ 1개월
2개월
45℃ 1개월
2개월 ×:
Cycling
(-4℃~40℃;2회/1일)
1개월
2개월
사용성 5 3
○ : 양호, △:보통, ×:분리,측정불가
사용성 : 5-매우 우수, 0-매우 나쁨
자외선차단 조성물 실시예 1은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실리콘-15 3.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5%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미립자이산화티탄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각각 5.5%, 3.0%가 첨가되었음에도 깨끗한 외관을 가지며 미끄러지듯 넓게 펴발리는 사용감을 갖는 반면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는 무겁고 두텁게 발리는 사용성을 가져 이로부터 본 발명의 선크림(실시예 1)의 사용성이 상당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 1 내지 20 중량%와, 무기자외선 차단제 0.1 내지 25 중량%와, 유기자외선 차단제 0.1 내지 25 중량%와, 오일 또는 왁스 성분 1 내지 50 중량%와, 실리콘폴리머 1 내지 30 중량% 및 계면활성제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로우손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혼합물,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벤조페논-4, 벤조페논-8(디옥시페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녹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폴리실리콘 -15(디메치코디에칠벤잘말로네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와 그 염류,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와 파라아미노벤조익애씨드(파바),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성폴리머는 비닐아세테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과 C1-C8 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타크릴산과 C1-C8 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일락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필름형성폴리머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자극 완화효과 또는 자외선 차단효과를 갖는 화장 방법.
KR1020090130831A 2009-12-24 2009-12-24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31A KR101086224B1 (ko) 2009-12-24 2009-12-24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31A KR101086224B1 (ko) 2009-12-24 2009-12-24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004A true KR20110074004A (ko) 2011-06-30
KR101086224B1 KR101086224B1 (ko) 2011-11-23

Family

ID=4440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831A KR101086224B1 (ko) 2009-12-24 2009-12-24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844A (ko) * 2019-11-07 2021-05-18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수수꽃다리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US20220160805A1 (en) * 2020-11-25 2022-05-26 Shaanx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yringa pubescens seed extract, its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n antibiotic-resistant infe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14B1 (ko) 2015-07-29 2018-01-3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돌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4553A1 (en) 2002-01-26 2005-04-21 Woong-Sig Moon 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20030152610A1 (en) 2002-01-28 2003-08-14 David Rolf Cosmetic pat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844A (ko) * 2019-11-07 2021-05-18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수수꽃다리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US20220160805A1 (en) * 2020-11-25 2022-05-26 Shaanx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yringa pubescens seed extract, its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n antibiotic-resistant infections
US11712457B2 (en) * 2020-11-25 2023-08-01 Shaanx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yringa pubescens microphylla seed extract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in antibiotic-resistant inf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224B1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09147B (zh) 一种具有高安全性的防晒化妆品组合物及制备方法
EP2236173B1 (fr) Composition filtrante fluide anhydre oleoalcoolique comprenant un polycondensat polyamide lipophile
US9480632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powder
US20190388490A1 (en) Plant extractions,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uses thereof
JP2001072531A (ja) 化粧品配合物またはスキンケア用配合物の耐水性を改善する添加物
WO2011119592A1 (en) Plant extracts,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uses thereof
KR102053215B1 (ko) 자외선, 근적외선 및/또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933194A (zh) 涉及能够原位缩合的化合物的美容处理方法
JP2007291031A (ja) 抗酸化香料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13173798A (ja) アボベンゾンを含有するサンケア組成物の増強された光安定性
EP3675804A2 (en)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antioxidant properties
ITMI962725A1 (it) Soluzioni concentrate di filtro solare derivato della 1,3,5- triazina e loro uso per la preparazione di composizioni cosmetiche
FR2479688A1 (fr) Utilisation de l&#39;huile de cafe comme agent filtrant solaire, composition et procede de protection la mettant en oeuvre
JP3583108B2 (ja) 皮膚外用剤
FR2978037A1 (fr) Additif anti-ultraviolet comprenant un filtre uva, un filtre uvb et une huile solvant desdits filtres,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lorees et/ou parfumees.
KR101086224B1 (ko) 라일락 추출물이 첨가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H08175957A (ja) 皮膚外用剤
JP6592848B2 (ja) 局所組成物
CN102100644B (zh) 有色芳香组合物
KR20130028667A (ko) 쓴맛 화합물, 향료, 스테비아의 추출물 및 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80093574A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H0987155A (ja) 紫外線吸収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JP2007262008A (ja) アルブチンカフェ酸エステルよりなる紫外線吸収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H08231348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