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603A -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603A
KR20110072603A KR1020090129603A KR20090129603A KR20110072603A KR 20110072603 A KR20110072603 A KR 20110072603A KR 1020090129603 A KR1020090129603 A KR 1020090129603A KR 20090129603 A KR20090129603 A KR 20090129603A KR 20110072603 A KR20110072603 A KR 2011007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put module
detects
violin
exerci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구 강
조재만
Original Assignee
현구 강
조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구 강, 조재만 filed Critical 현구 강
Priority to KR102009012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603A/ko
Publication of KR2011007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올린을 시작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인 바이올린 운지법(Fingering) 과 활긋기(Bowing) 연습을 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올린의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어려운 불편함을 접이식관절 구조로 부피를 기존 바이올린보다 매우 작게 하여 이동성을 쉽게 하였고 연습기에 외장형 스피커와 이어폰 잭이 있어 상황에 따라서 어디서든 외부에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연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처음 바이올린을 배우는 자가 바이올린 지판 위에 있는 4줄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확한 음계위치를 누르기가 어렵고 정확한 음을 눌렀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바이올린과 흡사한 구조로 된 악기 중 기타와 같은 경우 현 아래에 돌출이 되어있는 세로줄 칸이 있어 상기 칸과 칸 사이가 명확히 구분이 되어있어 세로줄칸 사이에만 운지 되면 정확한 음이 나는 것과 달리 바이올린은 음계를 구분하여 주는 세로 칸이 없다. 그러므로 연습자가 원하는 음계의 현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정상적인 위치를 눌렀는지 소리만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상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정상음계의 각각의 운지위치에 입력모듈을 장착하여 연습자로 하여금 정해진 위치에서 소리와 눈으로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연습효과를 높이고자한다.
본 발명은 바이올린 실제 규격과 동일한 위치의 바이올린 지판(Finger Board)(11) 위에 28개의 입력모듈 또는 스위치(1a~4g)와 활긋기 감지 입력모듈 또는 스위치(19~22)를 이용하여 바이올린의 운지위치와 활긋는 위치를 표준화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 연습기에 내장된 운지법과 활긋기의 연습프로그램이 구동되며 이를 전자 디스플레이모듈(6)에서 시각과 청각적으로 연습자와 소통할 수 있게 하여 즐겁고 재미있게 바이올린 연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연습기에 디스플레이모듈(6)에서 바이올린 연습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실시간으로 운지위치와 활긋기가 옳게 되었는지 눈과 귀로 확인하면서 쉽고 재미있게 연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연습기에 운지지판(11)의 현(14~17)의 형상과 활긋기모듈(5)의 형상이 실제 바이올린의 현의 높이와 각도가 동일한 위치와 입력모듈이 있어서 실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느낌을 극대화 하였으며 또한 활이 현과 교차되고 활 이 지나가는 이동로를 표준화하여 바이올린 현의 일정한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연습기의 연습자의 체형에 바뀔 때마다 크기가 같이 변해야한다. 이럴 경우 매번 새로운 상기 연습기를 다시 구매하여야 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습기의 크기를 연습자의 체형에 맞게 크기가 가변 되게 하여 상기 연습기를 재구매하여 발생 되는 경제적 손실을 줄였다.
본 발명은 상기 연습기에 휴대용 접이식 활을 포함하여 부피가 긴 기존 바이올린용 활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연습기 , 바이올린 , 악기연습기 , 전자바이올린 , 바이올린연습기 , 휴대용바이올린연습기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 Portable Electronic Violin Trainer }
본 발명은 바이올린 운지법(Fingering) 과 활긋기(Bowing) 연습을 하기 위한 것으로 적용된 기술은 바이올린 운지위치와 활긋는 위치를 표준화시킨 입력모듈의 신호를 받아 오디오와 비디오로 출력 되도록 하는 제어체계를 통하여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모듈(6)에 소리와 영상처리 하는 것과 이것을 학습프로그램에서 효과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과 휴대성과 이동성을 용이하게 하게 위하여 접이식 구조로써 기구형태를 최소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바이올린 연습법은 운지법과 활긋기를 배우기 위해서 관련 책자나 기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지법과 활긋기를 연습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들은 실제 바이올린을 가지고 할 수 있는 방법들로 되어있다.
바이올린을 처음배우는 자와 실력을 키우고자 하는 자는 운지법과 활긋기 실력이 꾸준하게 향상돼야 한다. 그러나 실력을 올리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투자와 연습을 해야 하며 또한 연습을 하려면 바이올린을 어느 곳이든 가지고 가야 한다. 그러나 바이올린의 부피 때문에 휴대하기가 어렵고 바이올린의 현에 운지점이 나와 있지 않으므로 학습자의 스스로의 능력으로 올바른 운지지점을 확인하면서 연습하기 어렵다. 또한 활긋기자세를 잡기는 더욱 어렵다. 그러므로 숙련된 운지법과 활긋기법을 익히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개선하려고 한다.
바이올린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어느 곳을 가든지 바이올린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데 부피가 크기 때문에 간편하게 휴대하기가 어렵다. 이것을 부피가 작은 형상으로 만들어 휴대하기 쉽게 하여 작은 가방에도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바이올린연습 시 확인이 어려웠던 운지 위치를 표준화하여 실제 바이올린의 현의 정해진 음계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위치한 28개의 입력모듈(1a~4g)를 포함한 운지지판(11)과 4개의 활긋기 인식용 입력모듈(14~17)을 포함한 활긋기모듈(5)을 이용하여 연습자로 하여금 시각과 청각적으로 운지와 활긋기 정보를 확인하게 한다.
본 발명의 연습기를 쉽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기의 몸통부분 중 필요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몸통부분을 크 게 3등분을 하고 2개의 관절구조로 하여 관절이 접혔을 때 매우 작은 크기로 변형이 되게 한다.
바이올린의 부피가 커서 이동시 불편한 점을 보완하여 항상 휴대할 수 있다.
타인에게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지 연습할 수 있다.
바이올린 레슨 기간을 단축하게 함으로써 고가의 레슨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연습자의 체형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여러 대의 바이올린 필요 없다.
바이올린을 배우는데 있어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과 대중화를 이룰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실제 바이올린의 자세를 취하기 위한 최소한의 형상만을 가지고 있다. 바이올린의 자세를 갖추기 위해 사용자의 몸이 직간접적으로 바이올린에 닿는 부분은 운지지판몸체(10)와 어깨받침과 턱받침(1)과 활긋기모듈(5)이다. 상기 3부분(10,1,5)이 실제 바이올린의 위치와 같지 않으면 올바른 바이올린 자세를 잡을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연습기의 상기 세 곳(10,1,5)의 위치를 표준화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연습기에 세 곳을 학습자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실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것과 동일한 자세를 갖고 연습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운지지판몸체(10)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운지지판에 입력모듈 28개(1a~4g)와 현(14~17)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운지지판(11)에 나열된 28개 입력모듈(1a~4g)은 실제 바이올린의 현에 보이지 않는 음계위치를 표준화하여 상기 입력모듈(1a~4g)의 위치를 동일하게 위치시켰고 그 위에 현(14~17)은 실제 바이올린의 운지지판(11)의 상면에 대해 평행각도와 수직각도를 동일하게 하였다.
운지지판(11) 위에 28개 입력모듈은 각자의 음을 갖고 있으며 입력모듈(1a)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1b)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1c)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1d)이 감지하면 시 음이 나고, 입력모듈(1e)이 감지하면 도 음이 나고, 입력모듈(1f)이 감지하면 도# 음이 나고, 입력모듈(1g)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2a)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2b)이 감지하면 미 음이 나고, 입력모듈(2c)이 감지하면 파 음이 나고 , 입력모듈(2d)이 감지하면 파# 음이 나고, 입력모듈(2e)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2f)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2g)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3a)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3b)이 감지하면 시 음이 나고, 입력모듈(3c)이 감지하면 도 음이 나고, 입력모듈(3d)이 감지하면 도# 음이 나고, 입력모듈(3e)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3f )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3g)이 감지하면 미 음이 나고, 입력모듈(4a)이 감지하면 파 음이 나고, 입력모듈(4b)이 감지하면 파# 음이 나고, 입력모듈(4c)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4d)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4e)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4f)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4g)이 감지하면 시 음이 나게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활긋기모듈(5)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현의 역할을 하는 활긋기입력모듈(19~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활긋기입력모듈(19~22)에 나열된 4개 입력모듈(19~22)은 실제 바이올린의 활 긋는 위치에 대해 평행각도와 수직각도를 동일하게 하였다.
활긋기모듈(5)에 포함된 입력모듈(19~22)은 스피커(11)나 이어폰을 통하여 입력모듈(19)이 감지하면 미 음이 나고, 입력모듈(20)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21)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22)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게 하였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연습기가 휴대가 용이한 형상의 바뀌기 위해 접히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모듈(6)을 접고 그 다음 운지지판 몸체(10)를 활긋기몸체(7)의 하부로 접고 그 다음 어깨받침과 턱받침(1)을 활긋기몸체(7)에 접는다. 이렇게 하면 [도 5]의 휴대가 용이한 형상으로 되어 바뀌게 되어 소형가방에도 들어갈 수 있는 크기가 된다.
디스플레이모듈(6)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으로 되어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6)을 통해 운지법 과 활긋기를 체계적 연습할 수 있는 연습프로그램이 실행된 화면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상기 연습기는 연습자의 체형에 따라 크기가 변할 수 있게 하였다. 바이 올린은 4가지 규격( 1“, 3/4”,1/2“,1/4”)이 있다. 상기 연습기는 크기가변모듈(23)에 위치이동에 의해 축(2)으로 묶여있는 턱받침과 어깨받침대(1)를 연습자의 체형에 맞는 위치로 이동 할 수 있게 하여 상기 규격화된 크기에 맞게 어깨받침과 턱받침(1)의 위치 4곳을 표준화하여 연습자가 자기 체형에 맞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형상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지지판에 대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활긋기모듈에 대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구형상을 휴대하기 위한 형상으로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습기가 휴대하기 어려운 형상에서 관절구조에 의하여 휴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바뀌어져 있는 것을 표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어깨받침과 턱받침 3 : 스피커
5 : 활긋기모듈 6 : 디스플레이모듈
7 : 활긋기몸체 8 : 운지지판몸체 회전축
10 : 운지지판 몸체 11 : 운지지판(Finger Board)
23 : 크기가변모듈

Claims (11)

  1. 바이올린 운지법과 활긋기 연습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바이올린 연습기에 있어서,
    바이올린의 현에 운지 되는 28개의 음계위치와 상기 연습기의 동일한 곳에 위치되는 28개의 입력모듈(1a~4g);및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접이식 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모듈(6)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3. 제 1항 있어서
    어깨받침과 턱받침(1); 및 어깨받침과 턱받침(1)과 연결돼 있는 바이올린규격별 크기가변모듈(23)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4. 28개의 입력모듈(1a~4g)은 스피커(6)나 이어폰을 통하여 입력모듈(1a)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1b)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1c)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1d)이 감지하면 시 음이 나고, 입력모듈(1e)이 감지하면 도 음이 나고, 입력모듈(1f)이 감지하면 도# 음이 나고, 입력모듈(1g)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2a)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2b)이 감지하면 미 음이 나고, 입력모듈(2c)이 감지하면 파 음이 나고 , 입력모듈(2d)이 감지하면 파# 음이 나고, 입력모듈(2e)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2f)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2g)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3a)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3b)이 감지하면 시 음이 나고, 입력모듈(3c)이 감지하면 도 음이 나고, 입력모듈(3d)이 감지하면 도# 음이 나고, 입력모듈(3e)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3f )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3g)이 감지하면 미 음이 나고, 입력모듈(4a)이 감지하면 파 음이 나고, 입력모듈(4b)이 감지하면 파# 음이 나고, 입력모듈(4c)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4d)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고, 입력모듈(4e)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4f)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4g)이 감지하면 시 음이 나는 것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5. 활긋기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입력모듈(19~22)을 포함한 활긋기모듈(5)을 더 포함한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6. 제 5항에 있어서
    입력모듈(19~22)은 본체에 스피커(6)나 이어폰을 통하여 입력모듈(19)이 감지하면 미 음이 나고, 입력모듈(20)이 감지하면 라 음이 나고, 입력모듈(21)이 감지하면 레 음이 나고, 입력모듈(22)이 감지하면 솔 음이 나는 것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7. 제 5항 있어서
    활긋기모듈(5)의 위치가 앞뒤로 이동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8. 제 1항 있어서
    상기 연습기에 고급사용자를 위한 하이포지션 연습용 입력모듈을 더 포함한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9. 제 1항 있어서
    상기 연습기의 본체(7)에 왼손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지지모듈을 더 포함한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10.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기의 입력모듈(1a~4g),(19~22)이 센서 또는 스위치중 하나인 것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11.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길이가 작아지는 활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KR1020090129603A 2009-12-23 2009-12-23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KR20110072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03A KR20110072603A (ko) 2009-12-23 2009-12-23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03A KR20110072603A (ko) 2009-12-23 2009-12-23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603A true KR20110072603A (ko) 2011-06-29

Family

ID=4440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603A KR20110072603A (ko) 2009-12-23 2009-12-23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6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2714A (zh) * 2014-10-30 2015-03-04 冯山 一种电子小提琴
KR20160139089A (ko) 2015-05-26 2016-1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에 발생하는 힘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481584A (zh) * 2017-09-21 2017-12-15 深圳市搜罗乐器有限公司 一种和弦指法练习器
KR101964004B1 (ko) * 2018-06-12 2019-03-29 권범철 휴대용 전기기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2714A (zh) * 2014-10-30 2015-03-04 冯山 一种电子小提琴
KR20160139089A (ko) 2015-05-26 2016-12-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에 발생하는 힘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481584A (zh) * 2017-09-21 2017-12-15 深圳市搜罗乐器有限公司 一种和弦指法练习器
KR101964004B1 (ko) * 2018-06-12 2019-03-29 권범철 휴대용 전기기타
CN110211557A (zh) * 2018-06-12 2019-09-06 權範哲 携带式电吉他
US10504493B1 (en) 2018-06-12 2019-12-10 Bum Cheol Kweon Portable electric guitar
CN110211557B (zh) * 2018-06-12 2020-06-30 權範哲 携带式电吉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5317B2 (en) Bow-to-string pressure training device for bowed string music instruments
EP1729711B1 (en) Rehabilitation with music
Chan Embodied Pronunciation Learning: Research and Practice.
US8346552B2 (en) Storage medium storing pronunciation evaluating program, pronunciation evaluating apparatus and pronunciation evaluating method
CN104537925B (zh) 语障儿童语言训练辅助系统及方法
CN109035968B (zh) 钢琴学习辅助系统和钢琴
KR20110072603A (ko) 휴대용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TW201743302A (zh) 用於鋼琴教學的電腦輔助方法和電腦系統
US20050109196A1 (en) Portable exerciser for stringed instrument players
JP6195608B2 (ja) 学習を補助する装置およびシールド
CN103198733A (zh) 用于弦乐器的电子显示指板
KR100926754B1 (ko) 골프교습시스템
JP3218363U (ja) 鍵盤楽器の練習用補助具及び練習用補助具セット
CN207123963U (zh) 一种新型钢琴教学乐谱架
van der Linden et al. Towards a real-time system for teaching novices correct violin bowing technique
KR20110101812A (ko) 전자 바이올린 연습기
Seol et al. Learning guitar with an embedded system
JP5436061B2 (ja) 運動教習システム
CN109785710B (zh) 一种钢琴练习辅助器
KR200412767Y1 (ko) 마우스형 본체에 멀티미디어기기가 탈부착 가능한 학습기
WO2007034652A1 (ja) あん摩マッサージ指圧の術法の表記方法
JP2011221472A (ja) 画像表示装置付きギター
van der Linden et al. Good vibrations: Guiding body movements with vibrotactile feedback
Sanborn Airflute: a virtual flute and tutoring system
KR101131823B1 (ko)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