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335A -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2335A KR20110072335A KR1020090129213A KR20090129213A KR20110072335A KR 20110072335 A KR20110072335 A KR 20110072335A KR 1020090129213 A KR1020090129213 A KR 1020090129213A KR 20090129213 A KR20090129213 A KR 20090129213A KR 20110072335 A KR20110072335 A KR 201100723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mounting
- display
- wall fixing
- mounting unit
- st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설치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은 벽면 고정부,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 제1 스토퍼, 그리고 제2 스토퍼를 포함한다. 벽면 고정부는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상기 벽면 고정부의 좌측 부분에 위치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벽면 고정부에 연결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상기 벽면 고정부의 우측 부분에 위치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벽면 고정부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벽면 고정부로부터 양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 장착부에 미리 설치한 후 각종 케이블의 연결 및 플러그 장착 작업을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여 내부 잔류 케이블의 여장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벽면 고정부로부터 개방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위치한 여러 장치 및 케이블, 플러그의 점검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도 매우 편리하다.
디스플레이, 모니터, 멀티, 다중, 월, 벽, 마운트, 프레임, LC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를 벽면에 설치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멀티 디스플레이 벽면 설치 작업의 경우 그 특성상 작업할 수 있는 후면의 공간이 없어, 미리 디스플레이에 모든 케이블 및 플러그를 연결하고 난 후 벽면 프레임에 걸어서 설치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 경우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를 벽면 프레임에 걸기 전에 케이블 및 플러그를 모두 미리 연결해 놓아야 하므로 케이블의 길이가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만 작업진행이 가능하여 작업 공간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각종 케이블 연결, 플러그 장착 등의 작업을 위해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를 세워두거나 고정해둘만한 장소도 마땅히 확보하기 힘들다. 그렇다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케이블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설치 후 내부 잔류 케이블의 여장 확보가 어려워진다.
또한 디스플레이나 케이블, 플러그 등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케이블과 플러그가 모두 연결되어 있는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를 일일이 벽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야만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위치한 여러 장치 및 케이블, 플러그의 점검이 가 능하므로 설치 후 유지보수도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의 벽면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은 벽면 고정부,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 제1 스토퍼, 그리고 제2 스토퍼를 포함한다. 벽면 고정부는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상기 벽면 고정부의 좌측 부분에 위치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벽면 고정부에 연결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상기 벽면 고정부의 우측 부분에 위치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벽면 고정부에 연결된다.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벽면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벽면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벽면 고정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회동 시에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롤러장 치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상기 벽면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잠금장치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상기 슬롯에 삽입될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 조절 장치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조절 장치는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연결부재의 탈, 부착을 위한 삽입 영역,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 영역, 그리고 상기 삽입 영역과 상기 고정 영역 사이에 형성된 이동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고정부는 벽면에 고정되기 전 수평을 맞추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특정 회동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특정 회동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상기 벽면 고정부로부터 최대로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상기 벽면 고정부로부터 최대로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로드의 일단이 이동되는 슬라이딩 로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과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일단은 각각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 상기 벽면 고정부에 수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다른 일단은 상기 가이드 로드의 길이 방향 이동의 구속 여부와 수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회동의 구속 여부의 조절이 가능한 체결장치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로드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벽면 고정부로부터 양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 장착부에 미리 설치한 후 각종 케이블의 연결 및 플러그 장착 작업을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여 내부 잔류 케이블의 여장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케이블과 플러그가 모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일일이 벽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거치지도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벽면 고정부로부터 개방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위치한 여러 장치 및 케이블, 플러그의 점검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벽면 고정부 사이에 스토퍼가 설치됨으로써, 디스 플레이 장착부의 회동 움직임을 제한하여 작업 여건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작업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하단에 롤러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벽면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롤러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벽면 고정부로부터 개방되어 벽면 고정부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롤러장치가 벽면 고정부의 지지면을 따라 굴러가면서 마찰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슬롯에 레벨 조절 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수평 균형 및 근접한 디스플레이 간의 접합부(seam) 맞물림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디스플레이의 탈, 부착을 위한 영역과 고정을 위한 영역을 구분하고 양 영역 간의 이동 경로를 형성해 둔 슬롯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개별적인 탈, 부착 작업이나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개폐 작업 시 근접한 디스플레이의 작업 영역 간섭으로 인한 작업 지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은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벽면 장착용 프레임을 좌우 양측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원화하여 각종 케이블 연결 및 플러그 장착 등의 설치 작업과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벽면 고정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벽면 고정부로부터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100)은 벽면 고정부(110),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 제1 스토퍼(140), 그리고 제2 스토퍼(150)를 포함한다. 벽면 고정부(110)는 벽면(3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는 벽면 고정부(120)의 좌측 부분에 위치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벽면 고정부(110)에 연결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는 벽면 고정부(120)의 우측 부분에 위치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벽면 고정부(110)에 연결된다. 제1 스토퍼(14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벽면 고정부(110)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스토퍼(15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와 벽면 고정부(110)에 각각 연결되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벽면 고정부(110)로부터 양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200)를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에 미리 설치한 후 각종 케이블의 연결 및 플러그 장착 작업을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줄여 내부 잔류 케이블의 여장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케이블과 플러그가 모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200)를 일일이 벽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거치지도 않더라도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를 벽면 고정부(110)로부터 개방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200)의 후면에 위치한 여러 장치 및 케이블, 플러그의 점검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도 매우 편리하다.
제1 스토퍼(14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가 특정 회동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제2 스토퍼(15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특정 회동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4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가 벽면 고정부(110)로부터 최대로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제2 스토퍼(15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벽면 고정부(110)로부터 최대로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140)와 제2 스토퍼(15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벽면 고정부(110)로부터 최대로 회동하는 각도를 60도로 각각 제한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점선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점선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140)와 제2 스토퍼(150)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151a)이 형성된 가이드 로드(141, 151)와 가이드 홀(151a)을 따라 로드의 일단이 이동되는 슬라이딩 로드(143, 15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로드(141, 151)의 일단과 슬라이딩 로드(143, 153)의 일단은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벽면 고정부(110)에 수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슬라이딩 로드(143, 153)의 다른 일단은 가이드 로드(141, 151)의 길이 방향 이동의 구속 여부와 수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회동의 구속 여부의 조절이 가능한 체결장치(145, 155)에 의해 가이드 홀(151a)에 체결됨으로써 가이드 로드(141, 15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140) 또는 제2 스토퍼(15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와의 연결부(147, 157)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디스플레이 벽면 설치 작업 시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제1 스토퍼(140) 또는 제2 스토퍼(150)를 탈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토퍼(15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와의 연결부(157)는 가이드 로드(151)와 힌지로 연결되는 탈착 부재(157a), 탈착 부재(157a)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157b) 및 하부 플레이트(157c), 그리고 볼트(157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토퍼(140) 또는 제2 스토퍼(150)와 벽면 고정부(110)의 연결부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와 벽면 고정부(110) 사이에 제1 스토퍼(140) 및 제2 스토퍼(150)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회동 움직임을 제한하여 작업 여건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작업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고정부(110)는 벽면 고정부(110)의 하단에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벽면 고정부(110)는 벽면(300)에 맞닿는 플레이트 구조(119)의 둘레를 따라 상부 프레임(113b), 측면 프레임(113c), 하부 프레임(11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 하부 프레임(113a)이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113a)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점선 부분의 뒷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는 회동 시에 지지부(113a)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롤러장치(121, 13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롤러장치(121, 131)는 지지부(113a)에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회동 시에는 지지부(113a) 상면에서의 회전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지지부(113)를 벗 어나거나 지지부(113)에 진입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하단에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수평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하단에 각각 롤러장치(121, 131)가 설치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벽면 고정부(11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롤러장치(121, 131)가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벽면 고정부(110)로부터 개방되어 벽면 고정부(110)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각각의 롤러장치(121, 131)가 벽면 고정부(110)의 지지부(113a)를 따라 굴러가면서 마찰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는 벽면 고정부(1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잠금장치(123, 13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는 장착된 디스플레이(200)에 형성된 연결부재(21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125, 135)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는 슬롯(125, 135)에 삽입될 연결부재(210)를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 조절 장치(127, 137)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레벨 조절 장 치(127, 137)는 연결부재(210)를 지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137a)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는 디스플레이(200)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재(210)와 체결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125, 135)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슬롯에 체결된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 조절 장치(127, 137)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37a)의 일단은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하여 외부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머리(137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슬롯에 레벨 조절 장치(127, 137)가 설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수평 균형 및 근접한 디스플레이 간의 접합부(seam) 맞물림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고정부(110)는 벽면(300)에 고정되기 전 수평을 맞추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용 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벽면 고정부(110)는 벽면 고정을 위한 복수의 홀(117)을 포함하고 있지만, 벽면 고정부(110)를 벽면(300)에 고정하는 작업 시 미세한 수평 균형을 맞추기 위해 우선 높이조절용 홀(115)을 통해 점진적으로 고정하면서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 균형을 맞춘 후 잔여 홀(117)을 통해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벽면 고정 작업 시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작업 공간 간섭으로 인해 작업에 지장이 있을 경우 제1 스토퍼(140) 또는 제2 스토퍼(150)를 탈거한 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를 벽면 고정부(110)로부터 개방하고 벽면 고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벽면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탈거한 제1 스토퍼(140) 또는 제2 스토퍼(150)는 반드시 재장착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작업 중 상단 및 하단 디스플레이 간의 수직 밀착 작업 진행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작업 중 좌측 및 우측 디스플레이 간의 수평 밀착 작업 진행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25, 135)은 연결부재(210)의 탈, 부착을 위한 삽입 영역(125a, 135a), 연결부재(210)의 고정을 위한 고정 영역(125b, 135b), 그리고 삽입 영역(125a, 135a)과 고정 영역(125b, 135b) 사이에 형성된 이동 경로(125c, 135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롯(125, 135)는 삽입 영역(125a, 135a)에 디스플레이(200)의 연결 부재(210)가 장착된 경우 외부 힘에 의해 연결부재(210)가 삽입 영역(125a, 135a)에서 이동 경로(125c, 135c)로 쉽게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경로(125c, 135c)로의 진입부에 작은 돌기(125d, 135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가 디스플레이의 탈, 부착을 위한 영역과 디스플레이의 고정을 위한 영역을 구분하고 양 영역 간의 이동 경로를 형성해 둔 슬롯(125, 135)을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개별적인 탈, 부착 작업이나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개폐 작업 시 근접한 디스플레이의 작업 영역 간섭으로 인한 작업 지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슬롯(125, 135)에 복수의 디스플레이(200) 각각의 연결부재(210)를 장착할 때 하단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터 장착하면 이후 상단부의 디스플레이 장착 시 하단부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가 파손된 우려가 있으므로 상단부에 위치하게 될 디스플레이부터 장착 작업을 하고, 같은 이유로 해체는 하단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부터 하는 것을 권장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200)가 각각의 연결부재(210)를 통해 슬롯(125, 135)의 삽입 영역(125a, 135a)에 장착되고 나면 다음과 같이 멀티 디스플레이 벽면 설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들을 삽입 영역(125a, 135a)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하단부에 이웃하여 장착된 디스플레이와 밀착하고 수직으로 일체화되도록 정렬한다. 이 때 레벨 조절 장치(127, 137)를 통해 하단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의 수평 균형 및 상 하단 디스플레이 간의 수직 정렬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를 벽면 고정부(110)로부터 개방하고, 제1 스토퍼(140)와 제2 스토퍼(150)의 각각의 체결장치(145, 155)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를 특정 회동 각도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뒤 각종 케이블 연결 및 플러그 장착 작업을 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벽면 고정부(110)로부터의 회동 각도는 안전을 위해 60도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각종 케이블 연결 및 플러그 장착 작업이 완료되면 제1 스토퍼(140)와 제2 스토퍼(150) 각각의 체결장치(145, 155)의 고정을 해제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와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를 벽면 고정부(110)쪽으로 회동시켜 부착한 후 잠금장치(123, 133)를 잠근다. 이 때 잠금장치(123, 133)의 잠금 순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에 설치된 벽면 고정부(110)와의 잠금장치(123)를 먼저 잠그고,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에 설치된 벽면 고정부(110)와의 잠금장치(133)를 나중에 잠근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100)에 있어서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의 슬롯(135)은 디스플레이(200)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경로(135c)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의 슬롯(125)은 디스플레이(200)가 수평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이동경로(125c)가 형성되어 있어 디스플레이(200) 장착 후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에 설치된 잠금장치(123)가 디스플레이 후면으로 숨어 버리기 때문에,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에 설치된 잠금장치(133)를 잠그기 전에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에 설치된 잠금장치(123)를 먼저 잠그는 것이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130)에 장착되어 수직으로 일체화되도록 정렬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120)에 장착되어 수직으로 일체화되도록 정렬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쪽으로 수평 이동시켜 밀착하여 멀티 디스플레이 벽면 설치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벽면 고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벽면 고정부로부터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점선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점선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점선 부분의 뒷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작업 중 상단 및 하단 디스플레이 간의 수직 밀착 작업 진행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작업 중 좌측 및 우측 디스플레이 간의 수평 밀착 작업 진행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Claims (11)
-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면 고정부,상기 벽면 고정부의 좌측 부분에 위치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벽면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상기 벽면 고정부의 우측 부분에 위치하는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벽면 고정부에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벽면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 그리고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벽면 고정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1항에서,상기 벽면 고정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회동 시에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롤러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1항에서,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상기 벽면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잠금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1항에서,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을 각각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4항에서,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는 상기 슬롯에 삽입될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벨 조절 장치를 각각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5항에서,상기 레벨 조절 장치는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4항에서,상기 슬롯은 상기 연결부재의 탈, 부착을 위한 삽입 영역, 상기 연결부재의 고정을 위한 고정 영역, 그리고 상기 삽입 영역과 상기 고정 영역 사이에 형성된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1항에서,상기 벽면 고정부는 벽면에 고정되기 전 수평을 맞추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높이조절용 홀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1항에서,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특정 회동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특정 회동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1항에서,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상기 벽면 고정부로부터 최대로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착부가 상기 벽면 고정부로부터 최대로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제1항에서,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스토퍼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로드의 일단이 이동되는 슬라이딩 로드를 각각 포함하고,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과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일단은 각각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착부, 상기 벽면 고정부에 수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의 다른 일단은 상기 가이드 로드의 길이 방향 이동의 구속 여부와 수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회동의 구속 여부의 조절이 가능한 체결장치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로드와 연결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213A KR101087056B1 (ko) | 2009-12-22 | 2009-12-22 |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213A KR101087056B1 (ko) | 2009-12-22 | 2009-12-22 |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335A true KR20110072335A (ko) | 2011-06-29 |
KR101087056B1 KR101087056B1 (ko) | 2011-11-25 |
Family
ID=4440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213A KR101087056B1 (ko) | 2009-12-22 | 2009-12-22 |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705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3858B1 (ko) * | 2011-09-01 | 2012-03-16 | (주)블루픽셀 | 전면 개폐식 멀티비젼용 엘씨디 모니터의 조립 및 셋팅 장치 |
KR101128839B1 (ko) * | 2011-09-01 | 2012-03-23 | (주)블루픽셀 | 전면 개폐식 멀티비젼용 엘씨디 모니터의 보조 거치장치 |
KR20160093201A (ko) * | 2015-01-28 | 2016-08-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70051977A (ko) * | 2015-11-03 | 2017-05-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
CN112944116A (zh) * | 2019-11-26 | 2021-06-11 |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 挂架及显示设备 |
WO2023286886A1 (ko) * | 2021-07-14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19681A (ja) | 1997-10-20 | 1999-04-30 | Fujitsu General Ltd | マルチビジョン表示装置 |
KR100898682B1 (ko) | 2008-04-22 | 2009-05-22 |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 멀티비전용 유니버설 거치대 |
-
2009
- 2009-12-22 KR KR1020090129213A patent/KR1010870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3858B1 (ko) * | 2011-09-01 | 2012-03-16 | (주)블루픽셀 | 전면 개폐식 멀티비젼용 엘씨디 모니터의 조립 및 셋팅 장치 |
KR101128839B1 (ko) * | 2011-09-01 | 2012-03-23 | (주)블루픽셀 | 전면 개폐식 멀티비젼용 엘씨디 모니터의 보조 거치장치 |
KR20160093201A (ko) * | 2015-01-28 | 2016-08-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70051977A (ko) * | 2015-11-03 | 2017-05-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
CN112944116A (zh) * | 2019-11-26 | 2021-06-11 |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 挂架及显示设备 |
US11788677B2 (en) | 2019-11-26 | 2023-10-17 | Optoma Corporation | Hanger and display device |
WO2023286886A1 (ko) * | 2021-07-14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7056B1 (ko) | 2011-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7056B1 (ko) | 멀티 디스플레이 장착용 프레임 | |
KR101698309B1 (ko)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 |
AU201230197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oollessly, releasably attaching components to an optical fiber distribution frame | |
CN107728710A (zh) | 多显示屏组合装置 | |
EP2626325B1 (en) | Elevator car | |
US20240106050A1 (en) | Modular installation of energy storage system | |
WO2016043355A1 (ko) | 회전식 도어의 도어 힌지 높이 조절 장치 | |
CN209976240U (zh) | 一种共享伞设备专用锁具 | |
CN211287281U (zh) | 一种扇轨合一的侧挂门 | |
CN210444663U (zh) | 一种便于检修和维护的电梯控制柜 | |
CN108324305A (zh) | 一种ct机及其后罩的锁紧装置 | |
CN212277809U (zh) | 压板闭锁装置 | |
CN103459231B (zh) | 用于公交车门的基板结构 | |
KR20210147275A (ko) | 건축 내외장용 패널 지지장치 | |
CN206831109U (zh) | 挂壁组件 | |
CN111754888A (zh) | 显示模组及led显示屏 | |
CN221075818U (zh) | 连接装置以及具有其的led显示装置 | |
CN218547390U (zh) | 一种吊挂和落地双用式显示器 | |
CN215924072U (zh) | 一种电梯轿厢用控制箱 | |
CN213829801U (zh) | 一种炼胶机 | |
KR102582144B1 (ko) | 가공배전선 연결용 애자탑재형 고정기구 | |
CN111930192B (zh) | 一种侧板旋式机箱及其制备方法 | |
WO2022126735A1 (zh) | 一种具有可旋转可折叠键盘支架的机柜 | |
KR20100089593A (ko) | 파티션 벨트라인 힌지장치 | |
CN211880805U (zh) | 一种用于大数据一体机的快装保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