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519A -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519A
KR20110071519A KR1020090128113A KR20090128113A KR20110071519A KR 20110071519 A KR20110071519 A KR 20110071519A KR 1020090128113 A KR1020090128113 A KR 1020090128113A KR 20090128113 A KR20090128113 A KR 20090128113A KR 20110071519 A KR20110071519 A KR 20110071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m
cosmetic composition
vitamin
weight
leci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059B1 (ko
Inventor
박문규
Original Assignee
박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규 filed Critical 박문규
Priority to KR102009012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0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3More than one co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카페익 애씨드(Caffeic Acid),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 및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를 이용하여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이에 의해, 비타민 C가 삼중으로 안정화되어 비타민 C의 역가 유지가 탁월하여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비타민 C, 미백, 삼중 안정화

Description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SCROBIC ACID STABILIZED BY THREE LAYER}
본 발명은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페익 애씨드(Caffeic Acid),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 및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를 이용하여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피부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인 노화현상으로 인하여 주름이 생기고 탄력이 떨어지며, 거칠어지고 건조해지거나, 기미, 주근깨 등이 생기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 파괴로 야기되는 자외선 양의 증가로 인하여 피부가 자외선에 심하게 노출되어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의 합성 및 방출이 더욱 극대화되어 기미,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이 유발되는 등과 같은 광노화가 급격히 진행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색이 검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멜라닌 생성 과정 중 일부 반응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합성 자체를 감소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미백 원료라 바로 비타민 C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C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리작용을 통하여 노화현상을 억제하거나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 오래전부터 식품, 의약, 또는 화장품에 응용되어 오고 있다.
비타민 C는 인체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고, 프롤릴히드록시화제의 활성을 촉진시켜 히드록시 프롤린 생합성을 촉진하여 삼중나선 구조인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갖는다. 비타민 C는 UVA에 대한 자외선 차단 기능이 강하고 UVB로 인해 발생한 홍반 및 부종을 감소시킨다.
또한, 비타민 C는 피부, 혈액 및 기타 조직에서 강력한 생체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 라디칼 및 과산화물에 의해 생체 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 노화의 원인을 차단하는 항산화효과를 가지고있다. 또한, 비타민 C는 멜라닌 색소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색소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비타민 C는 열, 빛, 산소 등에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대기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그 역가가 떨어지며, 변색, 변취 등이 발생하여 안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안정한 비타민 C를 대체하기 위하여 비타민 C 유도체들이 연구되어 사용되어져 왔으나 이는 순수 비타민 C보다 그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불안정한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제형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덱스트린, 지오라이트, 리포좀 등에 함입시키는 물리적 기술을 이용하기도 하고, 비타민 C를 코팅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을 이용하여도 비타민 C를 충분히 안정화시키지 못할 뿐 만 아니라 화장료의 제형으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비타민 E 등의 항산화제를 이용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고자 하였으나, 변취 또는 변색 등의 문제로 인하여 화장료의 제형으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 또는 수중에서 안정화된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페익 애씨드(Caffeic Acid),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 및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를 이용하여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카페익 애씨드(Caffeic Acid),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 및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를 이용하여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레시틴은 대두 레시틴이다.
여기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카페익 애씨드를 중화하는 3가 또는 4가 알킬아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콜레스테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타민 C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서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카페익 애씨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레시틴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팩, 에센스, 에프터세이빙크림, 자외선차단크림, 썬텐용 오일, 비누, 바디 샴푸, 프레스파우드, 루스파우더, 아이새도, 핸드크림, 립스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는 화장품 조성물에 적용하여도 비타민 C의 역가의 유지가 탁월하여 순수 비타민 C가 갖는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여,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카페익 애씨드,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 및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를 이용하여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비타민 C는 피부, 혈액, 기타 생체 조직에서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즉,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 라디칼 및 과산화물에 의해 생체 성분이 산화,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노화의 원인을 차단하는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멜라닌 색소 형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색소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인체 면역 기능의 향상, 콜라겐 생합성 촉진, 피부주름 개선효과 및 강력한 자외선 차단 기능, UVB로 인한 홍반 및 부종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비타민 C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서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서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페익 애씨드(Caffeic Acid)는 일반적으로 항산화제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카페익 애씨드는 햇빛에 노출된 경우, 자외선을 흡수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비타민 C의 산화를 지속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을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한다. 따라서, 비타민 C와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 효과를 가져 피부미백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상기 카페익 애씨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페익 애씨드는 물에 잘 용해가 되지 않아 유기염을 사용하여 중화하여 사용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카페익 애씨드를 중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염은 3가 또는 4가 알킬아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 ami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가 또는 4가 알킬아민은 본 조성물의 전체 조성물에서 0.01 내지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가 또는 4가 알킬아민은 상기 카페익 애씨드와 1:2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은 세포막의 구성 성분으로서 피부 친화도가 뛰어난 양친매성 물질로서 화장품, 식품 등에 유화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레시틴을 극성용매에 용해한 후에 소량의 물을 첨가하면 겔과 같은 거대한 물/오일 마이크로에멀젼(water in oil) 계가 생성되는데, 상기 계의 구조는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용성인 비타민 C를 감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페익 애씨드로 산화 안정화된 비타민 C가 상기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 내에서 안정화될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은, 바람직하게는 대두 레시틴이다.
상기 레시틴은 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서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서 1 내지 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올을 유기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희망하는 양의 비타민 C를 용해하기 위하여 과량을 물을 첨가하게 되면 생성된 마이크로 에멀젼의 안정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적절한 양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더욱 안정화된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레시틴을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콜레스테롤은 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레스테롤은 상기 레시틴에 대하여 1:6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고분자로서, 상기 비타민 C가 함유된 마이크로 에멀젼을 상기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에 균일하게 분배시킨다. 이에 의하여, 상기 비타민 C 함유된 마이크로 에멀젼-하이드로 겔 내에서 자유수의 존재를 감소시켜 결합수의 양이 증대되어 비타민 C의 안정화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치는 이온 활동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가 비타민 C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비타민 C의 산화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는 폴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는 본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서 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다양한 형태 의 화장품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화장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로서, 유액, 크림, 화장수, 패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비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팩, 에센스, 에프터세이빙크림, 자외선차단크림, 썬텐용 오일, 비누, 바디 샴푸, 프레스파우드, 루스파우더, 아이새도, 핸드크림, 립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필수 성분들과 더불어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하여도 무방한 배합성분으로서는 비타민, 유화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은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어떤 타입의 수용성 비타민 또는 유용성 비타민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유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α-토코페롤, d-α-토코페롤, d-δ-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 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폴리솔베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유지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유지는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아미노코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코스몰 EMI, 라네토 0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게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POP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α-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친산페닐, 살리친산옥틸, 살리친산벤질, 살리친산부틸페닐, 살리친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 -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 -(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 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로서는 녹두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가능하며,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안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의 제조
대두 레시틴(Lipoid S75-3) 6g, 에탄올 10g, MCT(Medium chain triglyceride) 10g, 콜레스테롤 1g을 10분 동안 75℃에서 가열하여, 용해하였다.
상기 용해된 용액에 글리세롤(Glycerol) 43g, 물 10g, 비타민 C 10g을 첨가하였다. 또한, 실온에서 카페익 애씨드 1g 및 트리에탄올 아민 0.5g을 물 8.8g에 용해하여 획득한 용액을 더 첨가하여 레시틴 마이크로 에멀젼으로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제조하였다.
상기 에멀젼에 폴리아크릴레이트 0.2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 후 트리에탄올로 중화하여 수용성 하이드로 겔 폴리머로 점증된,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 에멀젼-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영양크림에 포함되는 각 성분들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성분
성분 함량 (전체 조성물에 대한 중량%)
실시예 1의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 에멀젼-겔 20.0
코스몰 EMI 3.0
라네토 O 1.5
스테아릭산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유동파라핀 10.0
올리벰1000 2.0
폴리솔베이트 2.5
솔비탄 0.5
스쿠알란 3.0
1,3-B.G 3.0
글리세린 5.0
아미노코트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
녹두 추출물 2.0
방부제, 색소 적량
적량
정제수 적량
합계 100
비교예 1. 안정화되지 않은 비타민 C
본 발명과 같이 삼중 안정화되지 않은, 순수 비타민 C 10g을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첨가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비타민 C의 역가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영양크림과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영양크림 조성물 내에서 비타민 C의 초기 역가를 100으로 하고, 1개월 후의 비타민 C 역가, 변색여부를 25℃, 35℃, 및 45℃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2에서 보는 바와 같다.
비타민 C 역가 측정 결과
실시예 2 비교예 1
25℃ 99 변색없음 70 엷은 노란색
35℃ 95 변색없음 40 짙은 노란색
45℃ 88 엷은 노란색 15 짙은 갈색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가, 그렇지 못한 비교예 1 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훨씬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임상 실험에 의한 미백 효과 측정
기미, 주근깨, 및 색소 침착증을 가지고 있는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무작위로 A, B 두 그룹으로 나누어, A 그룹에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영양크림을, B 그룹에는 상기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1일 2회씩 12주간 적용한 후 피부색의 변화를 크로마메터(Minolta CR300)을 이용하여 색의 밝기변화(△L)를 측정하였다.
또한 숙련자에 의한 객관적 육안관찰과 피검자에 의한 주관적 육안적 관찰을 실시하여 하기 7등급의 미백 효능 기준에 따라 그 효과를 점수화 하였다.
<미백 효능 평가 기준>
-3: 매우 악화 -2: 악화
-1: 약간 악화 0: 변화없음
1: 약간 개선 2: 개선
3: 매우 개선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3에서 보는 바와 같다.
미백효과에 대한 임상결과
피검자 피부색 밝기 변화(?L)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A B A B A B
1 8.5 5.2 3 1 2 2
2 7.5 4.7 3 2 2 3
3 7.2 4.9 3 3 3 3
4 6.8 4.3 3 2 2 1
5 8.3 5.1 3 2 3 1
6 7.6 4.7 3 3 2 1
7 8.5 5.3 3 1 3 0
8 7.9 4.5 3 0 3 2
9 8.1 5.5 3 2 3 3
10 8.3 5.6 3 1 3 2
평균값 7.87 4.98 3.0 1.9 2.7 1.9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함유한 영양크림(실시예 2)을 적용한 A 그룹이, 안정화되지 않은 비타민 C를 함유한 영양크림(비교예 1)을 적용한 B 그룹에 비하여 3가지 평가에서 모두 현저히 우수한 미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Claims (9)

  1. 카페익 애씨드(Caffeic Acid),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 및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를 이용하여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대두 레시틴인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익 애씨드를 중화하는 3가 또는 4가 알킬아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 마이크로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콜레스테롤을 더 포함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서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익 애씨드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하이드로겔 폴리머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서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콜드크림, 모이스처크림, 세안크림, 세안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팩, 에센스, 에프터세이빙크림, 자외선차단크림, 썬텐용 오일, 비누, 바디 샴푸, 프레스파우드, 루스파우더, 아이새도, 핸드크림, 립스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28113A 2009-12-21 2009-12-21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8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13A KR101085059B1 (ko) 2009-12-21 2009-12-21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13A KR101085059B1 (ko) 2009-12-21 2009-12-21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519A true KR20110071519A (ko) 2011-06-29
KR101085059B1 KR101085059B1 (ko) 2011-11-21

Family

ID=4440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113A KR101085059B1 (ko) 2009-12-21 2009-12-21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10A1 (ko) * 2013-02-12 2014-08-21 (주)아비오 고농도 비타민c 및 비타민c 유도체의 투명 졸, 겔 조성물
CN105581928A (zh) * 2014-10-22 2016-05-18 曹涛 食用级抗皱、抗衰老卸妆水
KR102081788B1 (ko) 2018-10-18 2020-02-27 (주)한국미라클피플사 비타민 c 안정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88B1 (ko) 2017-11-02 2020-04-03 콜마비앤에이치 주식회사 뷔베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021B1 (ko) 2007-06-19 2008-07-29 (주)더페이스샵코리아 카페익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10A1 (ko) * 2013-02-12 2014-08-21 (주)아비오 고농도 비타민c 및 비타민c 유도체의 투명 졸, 겔 조성물
CN105581928A (zh) * 2014-10-22 2016-05-18 曹涛 食用级抗皱、抗衰老卸妆水
KR102081788B1 (ko) 2018-10-18 2020-02-27 (주)한국미라클피플사 비타민 c 안정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059B1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7495C (en)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8540350A (ja) 共役リノール酸およびナイアシンアミドを含む美白組成物
KR10108673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09155317A (ja) 抗炎症剤および皮膚外用品
JP2003277223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皮膚弾力性維持化粧料。
JP2006028148A (ja) 外用組成物
KR101085059B1 (ko) 삼중 안정화된 비타민 c함유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17530975A (ja) 10−ヒドロキシステアリン酸を含む化粧用組成物の使用
KR20080049328A (ko) 이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씨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BRPI1106832A2 (pt) Composições que compreendem extratos de lilium martagon e usos das mesmas
KR20150094832A (ko) 여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위한 여주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H07101844A (ja) 多層エマルジョン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2090971B1 (ko) 화장료 조성물
JP2017193506A (ja) 皮膚化粧料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05726351B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KR20080059820A (ko) 동백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제
KR20190020950A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277261A (ja) 皮膚外用剤
JP2007314427A (ja) リポ酸含有複合体
KR2005004542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138679B2 (ja) 刺激緩和剤
US7829068B2 (en) Cosmetic bronzing agent based on dihydroxyace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