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180A - 약 수납 장치 및 수납 방법 - Google Patents

약 수납 장치 및 수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180A
KR20110071180A KR1020090127667A KR20090127667A KR20110071180A KR 20110071180 A KR20110071180 A KR 20110071180A KR 1020090127667 A KR1020090127667 A KR 1020090127667A KR 20090127667 A KR20090127667 A KR 20090127667A KR 20110071180 A KR20110071180 A KR 20110071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storage
box
holde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669B1 (ko
Inventor
임명은
최재훈
방선리
김대희
박수준
박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7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69B1/ko
Priority to US12/862,555 priority patent/US20110147403A1/en
Publication of KR2011007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약 수납 장치는 1회 복용 단위의 약을 보관하는 약 수납함; 복수 개의 약 수납함을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수납함 보관부; 및 사용자의 배출 명령에 따라 수납함 보관부의 최하단 수납함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형태에 무관한 다량의 처방약을 1회 복용 단위로 구분하여 수납하고 복용 시간에 약을 1회 복용단위로 사용자에게 배출할 수 있다.
복약관리, 약 수납함, 약 복용

Description

약 수납 장치 및 수납 방법{The medicine containing apparatus and contain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 수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과적으로 약의 수납 및 배출을 할 수 있는 약 수납 장치 및 약 수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7-01, 과제명:유비쿼터스 건강관리용 모듈 시스템].
만성질환 환자에게 있어 지속적 복약관리는 질병의 관리를 위해 중요하지만 고령자의 경우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으로 인해 약을 제때에 복용하지 않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이 때문에 규칙적인 약의 복용 지원을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약을 지정된 보관함에 수납하고 약 복용 시간이 되면 복용 알림을 수행하는 복약 지원 장치들이 고안되었다.
한편, 병원에서 처방된 약은 약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조제가 된다. 비닐 또는 종이로 된 약포지에 약을 포장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고, 다량의 알약을 병으로 조제하는 경우도 있으며, 비타민 등은 타블릿 형태로 사전 조제되어 판 매되기도 한다.
따라서 전술한 약복용 지원장치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포장된 약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약의 포장 형태에 무관하게 1회 복용 단위로 약을 구분하여 수납하며, 복용 시간에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층식 약 수납함을 이용하여 약의 1회 복용 단위의 분리 수납 및 포장이 용이하고 수납된 약을 사용자에게 1회 복용 단위로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약 수납 장치 및 약 수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는,
1회 복용 단위의 약을 보관하는 약 수납함;
복수 개의 상기 약 수납함을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수납함 보관부; 및
사용자의 배출 명령에 따라 상기 수납함 보관부의 최하단 수납함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전면부 및 후면부에 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상단부에 상기 약 수납함의 바로 위에 적층되는 약 수납함의 밑면을 지지하는 수납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접은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의 상단부는
펼쳤을 때 각 모서리 부분이 접힌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 모듈은
최하단 약 수납함의 후면부를 배출구로 밀어서 상기 최하단 약 수납함을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밑면에 복수 개의 나선형 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나선형 배출홈을 통해 상기 약 수납함을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알약, 타블릿 형태의 약, 캡슐, 및 약포지로 포장된 약 중 적어도 하나를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적층식으로 보관된 복수 개의 약 수납함의 측면부와 후면부를 둘러싸는 수납틀;
양 측면 수납틀의 밑면 모서리에 연결되며 상기 약 수납함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밑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하단지지대; 및
상기 양 측면 수납틀의 전면 모서리에 연결되며 상기 약 수납함이 전면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전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전면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지지대의 하부 및 후면부 수납틀은 1개의 수납함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접은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수납함 보관부를 탑재하는 약상자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상자 본체는
상기 수납함 보관부의 전후면 및 하단 모서리의 연장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수납함 보관부를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좌우 전면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연결된 좌우 연결형 전면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최상단 약 수납함의 윗면에 배치되며, 적재된 약 수납함을 내부에 고정시켜 상기 약 수납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부 수납함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상기 수납함 보관부의 전면을 덮는 외부 수납함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 수납틀은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함 덮개 또는 상기 외부 수납함 덮개는
양쪽 측면 모서리에
상기 양 측면 수납틀의 홈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상기 수납함 보관부의 상단부 자체를 덮는 수납함 보관부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방법은,
약포지 및 약포장 기구를 이용하여 약포지에 약을 밀봉하는 단계;
상기 약포지를 약 수납함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약 수납함을 수납함 보관부에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적층시키는 단계; 및
내부 수납함 덮개, 외부 수납함 덮개, 또는 수납함 보관부 덮개를 덮어 약의 포장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 및 약 수납 방법에 의하면,
형태에 무관한 다량의 처방약을 1회 복용 단위로 구분하여 수납하고 복용 시간에 약을 1회 복용단위로 사용자에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1회 복용에 필요한 정량을 환자에게 공급할 수 있어 복약 관리가 필요한 대상자가 약을 체계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접을 수 있는 재질의 수납함 및 수납함 보관부(예: 컨테이너)를 이용하면 약국에서부터 약복용 지원 장치에 사용되는 약 포장을 가능하게 하여, 병원 처방 후 약이 환자에 이르기까지 환자의 복잡한 개입 없이 연계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를 이용하는 약 복용 지원장 치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약 복용 지원 장치의 수납함 배출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약 복용 지원장치에서 수납함 배출 전의 수납함 및 배출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d는 도 1a의 약 복용 지원장치에서 수납함 배출 후의 수납함 및 배출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장치를 활용하는 약복용 지원 장치(100)는 투입구(110), 배출구(120), 수납함 보관부(130), 배출 모듈(140)을 포함한다. 이 외에 출력부, 입력부, 통신 모듈과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출력 수단으로서 LCD 및 LED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입력 수단으로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서버로부터 약 복용에 관련된 상황을 전송 받고, 수납함 배출모듈(140)에 의해 배출구(120)를 통해 약 수납함(135)이 외부에 노출된 경우에 배출 정보를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 및 약 복용 지원장치(100) 내부의 각 세부 구성의 구동 커맨드(command) 등을 관장할 수 있다. 이 제어 모듈은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현될 수 있다.
약의 수납 및 배출과 관련하여, 약 복용 지원장치(100)는 수납함 보관부(130)를 약 복용 지원장치(100)에 삽입하기 위한 투입구(110)와 약이 수납된 수납함(135)을 배출하는 배출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함 보관부(130)는 투입구(110)에 삽입되며, 그 내부에 복수 개의 약 수 납함(135)을 적재할 수 있다. 약 수납에 있어서, 1회 복용단위의 약포지(또는 알약, 태블릿 등)가 각각의 약 수납함(135)에 보관될 수 있으며, 약 수납함(135)들은 수납함 보관부(130) 안에서 적층식으로 보관될 수 있다. 해당 수납함 보관부(130)를 투입구(110)를 통해 정해진 수만큼 약 복용 지원장치(100)에 삽입(또는 탑재)함으로써 수납이 완료된다.
수납함 배출 모듈(140)은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약 배출 명령을 받아 약 수납함(135)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수납함 배출 모듈(14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d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수납함의 배출은 수납함 배출 모듈(140)의 동작에 의해 수납함 보관부(130)에서 하나의 약 수납함(135)이 배출구(120)를 통해 약 복용 지원장치(100)의 외부로 보여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수납함(구체적으로는 최하단에 적재된 약 수납함)이 1개 단위로 수납함 보관부(130)에서 빠질 수 있도록 수납함 보관부(130)의 하단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약 수납함(135)이 배출되면 사용자는 배출된 약 수납함(135)에서 약을 꺼내어 복용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수납함 배출 모듈(140)는 나선축(141)과 나선축(141)을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142), 나선축(141)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가이드(143), 이송가이드의 받침대(144), 이송가이드 받침대(144)와 연결된 스프링부재(145) 및 수납함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스위치 센서(146)을 포함한다.
구동부(142)는 사용자로부터의 배출 명령에 따라 제어 모듈에서 구동부(142)에 전진명령을 내리면, 나선축(141)을 아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141-1).
또한, 제어 모듈에서 구동부(142)에 후진명령을 내리면, 나선축(141)을 위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141-2).
이송가이드(143)는 나선축(141)에 연결되어 있다. 이송가이드(143)는 구동부(142)에 의해 나선축(141)이 아래방향으로 회전하면(141-1) 나선축(141)을 따라 배출구 쪽으로 전진할 수 있고, 구동부(142)에 의해 나선축(141)이 윗방향으로 회전하면(141-2) 나선축(141)을 따라 이송가이드 받침대(144)쪽으로 후진할 수 있다.
이송가이드 받침대(144)는 이송가이드(143)와 들어맞게 되어 있다. 이송가이드 받침대(144)는 스프링부재(145)에 연결되어 있어서, 이송가이드(143)의 전진 시, 전진하는 힘에 의해 받침대(144)는 앞쪽으로 더 나가게 되며, 이송가이드(143)의 후진 시, 후진하는 힘에 의해 받침대(144)는 뒤쪽으로 더 밀리게 된다.
스위치 센서(146)는 이송가이드(143)의 전진에 의해 최하단 약 수납함(147)이 앞으로 밀릴 때 최하단 약 수납함(147)의 접촉을 감지하여 약 수납함의 배출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최하단 약 수납함(147)이 스위치 센서(146)에 접촉되면 스위치 센서(146)는 약 수납함의 배출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이송가이드(143)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수납함 보관부 안에 있는 약 수납함은 이송가이드(143)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약 복용 지원장치의 대기상태에서는 이송가이드(143)가 받침대(144)에 끼워져서 최하단 약 수납함(147)의 뒤쪽에 자리하고 있다.
사용자의 약 배출 요구시, 제어모듈은 배출 모듈(140)의 구동부(142)에 전진 명령을 내린다.
제어 모듈로부터의 배출 명령에 의해, 구동부(142)는 일정시간만큼 나선축(141)을 아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이송가이드(143)가 컨베이어 끝에 도달하는 시간을 말한다. 나선축(141)의 회전에 의해 이송가이드(143)는 배출구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수납함 보관부에 약 수납함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 수납함 보관부 안의 최하단 약 수납함(147)은 이송가이드(143)의 전진하는 힘에 의해 배출구 쪽으로 밀린다. 이때, 최하단 약 수납함(147)의 위에 있는 수납함(148)은 이송가이드(143)와 받침대(144) 위에 걸쳐져 있다.
최하단 약 수납함(147)이 배출구 밖으로 나오면서 접촉을 감지하는 스위치 센서(146)에 접촉되면 스위치 센서(146)에 의해 약 수납함의 배출이 감지되고, 배출완료 정보를 제어 모듈로 전송한다.
정해진 시간만큼의 나선축(141)의 회전이 종료되면, 제어모듈로부터 구동부(142)에 후진명령이 전달된다.
제어모듈로부터의 후진 명령에 의해 일정시간만큼 나선축(141)을 윗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나선축(141)의 회전에 의해 이송가이드(143)는 후진하게 된다. 이송가이드(143)가 받침대(144)에 걸리는 순간 스프링부재(145)를 밀어서 받침대(144)와 이송가이드(143)를 함께 뒤쪽으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에 의한 배출요구의 명령이 종료된다. 이때, 배출된 약 수납함만큼의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수납함 보관부 안의 약 수납함들이 자유 낙하하고, 최하단 약 수납함의 위에 있던 수납함(148)은 기존 최하단 약 수납함(147)의 위치에 놓이게 되어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본형 약 수납함(210)(또는 기본형 수납함이라 한다)은 예를 들면, 알약, 타블릿 형태의 약, 캡슐 및 약포지로 포장된 약 등 모든 약의 수납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여러가지 형태의 약들 중 어느 복수 개를 하나의 약 수납함에 함께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본형 수납함(210)의 규격은 알약의 최대 두께와 약포지의 크기에 따라 높이, 넓이, 길이가 가변적일 수 있다. 기본형 수납함(210)의 전면 및 후면부는 손으로는 약을 쉽게 꺼낼 수 있지만 약 배출 시 알약 등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턱(220)이 존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기본형 수납함(210)의 경우 수납함을 적층식으로 적재 시 외부의 기울임 및 진동에 의해 수납함 보관부 내부에서 수납함 간에 이탈(230)이 발생하거나, 약포지 수납 시 약포지의 일부가 수납함 외부로 돌출되어 수납함 배출 모듈을 통해 외부로의 수납함 배출 시 약포지 걸림 등의 문제로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본형 수납함(210)에 수납함 지지대(240)를 부착한 확장형 수납함(250)을 제작할 수 있다. 확장형 수납함(250)은 수납함의 수납함 보관부 내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약포지의 수납함 외부로의 돌 출을 방지(260)할 수 있다.
수납함 배출 모듈의 배출 방식은 도 1c 및 도 1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 수납함의 후면부로부터 최하단 수납함을 배출구 쪽으로 밀어서 이동하는 방식 외에 수납함이 나선형의 배출로를 따라 이동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후면부로부터 최하단 수납함을 밀어서 이동하는 방식은 수납함에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지만, 나선형 배출 방식의 경우 수납함의 하단부에 배출 모듈의 나선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나선 형태의 배출홈(270)이 필요하다. 배출홈(270)은 배출 모듈의 나선축이 회전함에 따라 수납함을 전면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수납함의 재질로 종이 등의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는 접이식 약 수납함의 경우 접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수납함 지지대(240)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납함 이탈(230)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함은 초기 제작 시 접혀있는 형태(280)로 보관되다가 약을 수납할 때에는 좌우를 펼친 형태(290)로 사용할 수 있다. 펼쳐진 수납함(290)의 상단부는 각 모서리 부분이 접힌 형태로 남아있어 수납함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약포지 형태의 약을 수납하기 전 수납함의 보관에 있어 보관 공간을 절약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 보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납함 보관부(130)는 수납틀(310), 하단 지지대(320), 및 전면 지지대(33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수납함 보관부(130)(예: 보관 컨테이너)는 약 수납함(135)을 위로 적층하여 탑재하는 구조이며, 수납틀(310)에 의해 하단 배출부로부터 약을 적층형으로 쌓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수납함 보관부(130)의 상단부, 전면부, 하단부 및 후면부는 일부 혹은 완전 개방되어 있다.
상단부는 완전히 개방되어 약 수납함(또는 수납함)(350)을 아래로 적층하는 입구 역할을 하며, 하단부는 수납함(350)을 전면부로 배출시킬 때 탑재된 수납함이 밑으로 빠지지 않으면서 배출 모듈(140)이 수납함(35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단지지대(320)가 밑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전면부 역시 탑재된 수납함(350)이 앞으로(또는 전면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전면지지대(330)가 지지하고 있다. 전면지지대(330)의 하부는 1개의 수납함이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뚫려있고, 후면부 역시 수납함(350)을 밀어내는 배출 모듈(140)이 수납함(350)을 밀면서 이동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뚫린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는 약상자 본체(340)를 더 포함할 수있다. 약상자 본체(340)는 수납함 보관부(130)를 탑재할 수 있는데, 종이와 같은 얇은 재질로 제작된 수납함 보관부(130)를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380)이 있으며, 장치의 구성에 따라 1개 이상의 수납함 보관부(130)를 탑재할 수 있다.
수납함 보관부(130)는 약상자 본체(340)에 흔들림 없이 밀착됨으로써 배출 시에도 약 수납함(135)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수납함 보관부(130) 역시 종이와 같은 접을 수 있는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경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종이로 제작된 수납함 보관부(130)의 경우 휨이나 구겨짐에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좌우의 전면지지대(330)를 연결하여 좌우 연결형 전면지지대(36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수납함 보관부(130)의 전후면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를 연장(370)하고, 본체의 고정홈(380)에 끼움으로써 약상자 본체(340)에 대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수납함 보관부 및 수납함 보관부에 포함되는 약 수납함의 덮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는 약을 수납한 후 이동 시에 수납함 또는 약 자체가 수납함 보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 수납함 덮개(410), 외부 수납함 덮개(420), 그리고 수납함 보관부 덮개(4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부 수납함 덮개(410)는 적재된 수납함을 내부에 고정시켜 내부 혹은 외부로 약 및 수납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수납함 덮개(410)의 크기는 수납함을 거의 덮을 수 있는 정도일 수 있다. 내부 수납함 덮개(410)는 양쪽 부분에 날개(4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날개(440)를 수납함 보관부의 홈(45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적재되는 수납함의 개수에 따라 수납 높이가 달라지므로 여러 개의 홈이 필요할 수 있다.
외부 수납함 덮개(420)는 수납함 보관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이며, 역시 양 날개를 수납함 보관부의 본체에 고정시킴으로써 약이 앞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함 보관부 덮개(430)는 수납함 보관부의 상단부 자체를 덮개이다. 수납 함 보관부 덮개(430)는 수납된 약 보관함이 상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납함 보관부에 항상 가장 많은 수의 약 수납함이 적재된다면 별도의 내부 수납함 덮개(410)의 필요 없이 수납함 보관부 덮개(430)만으로 약 수납함을 고정시킬 수 있다.
수납함 보관부 역시 종이 등 유연한 재질로 제작된다면 초기 제작 시 접혀있는 형태로 보관하다가 약을 수납할 때에 좌우를 펼친 형태(460)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장치를 이용한 약 포장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약 수납함과 수납함 보관부를 이용하여 약국에서 약을 조제 및 포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약사는 기존의 약포지 및 약포장 기구를 이용하여 일렬로 연결된 약포지에 약을 밀봉한다(S10).
이후 약사는 낱개로 접힌 약 수납함을 펴고 연결된 약포지를 1회 복용분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수납한다(S20).
이후 약 수납함을 복용 순서대로 수납함 보관부에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적층한다(S30).
적층 후 내부 수납함 덮개, 외부 수납함 덮개, 또는 수납함 보관부 덮개를 덮어 약의 포장을 완료한다(S40).
약포지 및 약 수납함 보관부가 사전에 포장된 형태로 제조될 경우(예를 들면, 도 3의 형태) 약사는 개별 약포지를 수납함 전면부의 개방된 구멍을 통하여 바 로 밀어 넣어 수납할 수 있다(S20-1).
약의 수납이 끝나면 마찬가지로 덮개를 덮어 포장을 완료한다(S40).
포장된 수납함 보관부를 복약 지원 장치에 사용할 때에는 덮개를 제거하고 하단부부터 복약 지원 장치의 투입구에 안착시켜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 장치를 이용하는 약 복용 지원장치의 외부 구성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약 복용 지원 장치의 수납함 배출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약 복용 지원장치에서 수납함 배출 전의 수납함 및 배출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약 복용 지원장치에서 수납함 배출 후의 수납함 및 배출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 보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수납함 보관부 및 수납함 보관부에 포함되는 약 수납함의 덮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 수납장치를 이용한 약 포장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약 복용 지원 장치
110: 투입구 120: 배출구
130: 수납함 보관부 135: 약 수납함
140: 배출 모듈 141: 나선축
141-1: 나선축 아랫방향 회전
141-2: 나선축 윗방향 회전
142: 구동부 143: 이송가이드
144: 이송가이드 받침대 145: 스프링부재
146: 스위치 센서 147: 최하단 수납함
148: 최하단 바로 위 수납함
210: 기본형 수납함 220: 턱
230: 수납함 간 이탈 240: 수납함 지지대
250: 확장형 수납함 260: 수납함 외부로의 돌출 방지
270: 배출홈 280: 접혀있는 형태
290: 좌우를 펼친 형태 310: 수납틀
320: 하단지지대 330: 전면지지대
340: 약상자 본체 360: 좌우연결형 전면지지대
370: 전후면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 연장
380: 본체의 고정홈
410: 내부 수납함 덮개 420: 외부 수납함 덮개
430: 수납함 보관부 덮개 440: 날개
450: 수납함 보관부의 홈 460: 좌우를 펼친 형태

Claims (19)

1회 복용 단위의 약을 보관하는 약 수납함;
복수 개의 상기 약 수납함을 적층식으로 수납하는 수납함 보관부; 및
사용자의 배출 명령에 따라 상기 수납함 보관부의 최하단 수납함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모듈을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전면부 및 후면부에 턱을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상단부에 상기 약 수납함의 바로 위에 적층되는 약 수납함의 밑면을 지지하는 수납함 지지대를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접은 형태로 보관이 가능한 약 수납 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의 상단부는
펼쳤을 때 각 모서리 부분이 접힌 형태인 약 수납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모듈은
최하단 약 수납함의 후면부를 배출구로 밀어서 상기 최하단 약 수납함을 이동시키는 약 수납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밑면에 복수 개의 나선형 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모듈은
상기 나선형 배출홈을 통해 상기 약 수납함을 이동시키는 약 수납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 수납함은
알약, 타블릿 형태의 약, 캡슐, 및 약포지로 포장된 약 중 적어도 하나를 수납하는 약 수납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적층식으로 보관된 복수 개의 약 수납함의 측면부와 후면부를 둘러싸는 수납틀;
양 측면 수납틀의 밑면 모서리에 연결되며 상기 약 수납함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밑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하단지지대; 및
상기 양 측면 수납틀의 전면 모서리에 연결되며 상기 약 수납함이 전면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전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전면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지지대의 하부 및 후면부 수납틀은 1개의 수납함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 개방되어 있는 약 수납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접은 형태로 보관이 가능한 약 수납 장치.
제10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수납함 보관부를 탑재하는 약상자 본체를 더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약상자 본체는
상기 수납함 보관부의 전후면 및 하단 모서리의 연장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수납함 보관부를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좌우 전면지지대의 상부 및 하부가 서로 연결된 좌우 연결형 전면지지대를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최상단 약 수납함의 윗면에 배치되며, 적재된 약 수납함을 내부에 고정시켜 상기 약 수납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부 수납함 덮개를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상기 수납함 보관부의 전면을 덮는 외부 수납함 덮개를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 수납틀은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함 덮개 또는 상기 외부 수납함 덮개는
양쪽 측면 모서리에
상기 양 측면 수납틀의 홈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날개를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 보관부는
상기 수납함 보관부의 상단부 자체를 덮는 수납함 보관부 덮개를 포함하는 약 수납 장치.
약포지 및 약포장 기구를 이용하여 약포지에 약을 밀봉하는 단계;
상기 약포지를 약 수납함에 수납하는 단계;
상기 약 수납함을 수납함 보관부에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적층시키는 단계; 및
내부 수납함 덮개, 외부 수납함 덮개, 또는 수납함 보관부 덮개를 덮어 약의 포장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 수납 방법.
KR1020090127667A 2009-12-21 2009-12-21 약 수납 장치 및 수납 방법 KR10129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67A KR101295669B1 (ko) 2009-12-21 2009-12-21 약 수납 장치 및 수납 방법
US12/862,555 US20110147403A1 (en) 2009-12-21 2010-08-24 Medicine storage modul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667A KR101295669B1 (ko) 2009-12-21 2009-12-21 약 수납 장치 및 수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180A true KR20110071180A (ko) 2011-06-29
KR101295669B1 KR101295669B1 (ko) 2013-08-14

Family

ID=4414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667A KR101295669B1 (ko) 2009-12-21 2009-12-21 약 수납 장치 및 수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47403A1 (ko)
KR (1) KR101295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488A (ko) * 2021-09-02 2023-03-10 임준영 다기능 스마트 자동 약통 배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7429B (zh) * 2019-01-24 2024-04-30 北京鸿庄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药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6997A (en) * 1917-11-19 1920-07-20 Us Slicing Machine Co Feed-screw
US2295515A (en) * 1939-06-06 1942-09-08 Harlow M Russell Folding box
US3704823A (en) * 1969-12-08 1972-12-05 Georgia Pacific Corp Open-top stacking carton and blank therefor
US4000821A (en) * 1971-06-03 1977-01-04 Elecompack Company Ltd. Apparatus for storing unstacking and delivering articles
US4676429A (en) * 1986-01-21 1987-06-3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Octagonal tray with vertical stacking posts and stabilized corner panels
US4860948A (en) * 1986-09-19 1989-08-29 Wilhelmus Hofstede Foldable box and blank therefor
US5127546A (en) * 1991-08-08 1992-07-07 Chen Ming Ho Storage bin structur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US5129601A (en) * 1991-09-03 1992-07-1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Jack screw payload deployment system
IT1292842B1 (it) * 1997-04-08 1999-02-11 Azionaria Costruzioni Acma Spa Impianto per i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JP4685280B2 (ja) * 2001-06-27 2011-05-18 エーザイ・アール・アンド・ディー・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薬剤服用管理装置
US6957746B2 (en) * 2002-02-15 2005-10-25 Coinstar,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agnetic cards, integrated circuit cards, and other similar items
WO2005093673A1 (fr) * 2004-03-01 2005-10-06 Philippe Leonetti Appareil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e produits v olumineux et/ou lourds et/ou vendus en packs
US20060043112A1 (en) * 2004-09-02 2006-03-02 Gilmore Mark J Transport mechanism for automated product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488A (ko) * 2021-09-02 2023-03-10 임준영 다기능 스마트 자동 약통 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669B1 (ko) 2013-08-14
US20110147403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592B2 (en) Product packaging material for individual temporary storage of pharmaceutical products
TW420648B (en) Tablet dispenser device
KR101297272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약 복용 지원 장치의 수납함 배출 방법, 약복용 지원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방법
KR20120085677A (ko) 약제 자동 포장기
US20070029339A1 (en) Filler assembly for medication dispenser
KR101295669B1 (ko) 약 수납 장치 및 수납 방법
US20200331641A1 (en) Solid preparation subdividing device and solid preparation subdividing method
EA032787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упаковка
KR101470866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KR20220077280A (ko) 약제 자동배출장치
JP5433329B2 (ja) トレイおよびこれを用いる薬品自動払出装置
JP2000247301A (ja) 薬剤分割装置
JP3198509U (ja) 丸薬の供給装置
KR200375565Y1 (ko) 약주걱 삽입을 위한 약포지 개방장치
KR20130114019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JP2011020694A5 (ko)
AU2021104287A4 (en) A sachet dispenser
KR102515162B1 (ko)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시트 공급기
KR102346557B1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20240037294A (ko) 봉지 디스펜서
JP5130379B2 (ja) 薬袋投入装置
TWI568642B (zh) Packing method of automatic PTP aluminum foil bag machine
JP6418045B2 (ja) Ptp包装シート払出システム
KR20140112680A (ko) 약제불출장치
KR20180117586A (ko) 약포 수납 캐비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