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142A - 번들거림 조절 클렌저 - Google Patents

번들거림 조절 클렌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142A
KR20110069142A KR1020117010390A KR20117010390A KR20110069142A KR 20110069142 A KR20110069142 A KR 20110069142A KR 1020117010390 A KR1020117010390 A KR 1020117010390A KR 20117010390 A KR20117010390 A KR 20117010390A KR 20110069142 A KR20110069142 A KR 2011006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composition
skin
hydrolyze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엠. 우
쉬펑 우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6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성이며 번들거리는 피부의 외관을 장기간 동안 조절할 수 있는 번들거림 조절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세정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가수분해 단백질 및 세정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번들거림 조절 클렌저 {SHINE CONTROL CLEANSER}
본 발명은 피부의 처리에 유용한 신규한 조성물, 및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성 포유류 피부를 세정하고 번들거림 조절 및 유분 조절을 제공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제성 피부를 위한 피부 케어 제품이 잘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지성 피부는 번들거리며(shiny), 두껍고 칙칙한 색상이다. 흔히 만성적인 지성 피부는 거칠거나 확장된 모공, 뾰루지, 및 다른 난처한 잡티(blemish)를 갖는다. 지성 피부는 또한 블랙헤드(blackhead)가 있기 쉽다. 이러한 유형의 피부에서는, 유분을 생성하는 피지선이 과활성이어서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유분을 생성한다. 유분은 모낭 밖으로 흘러나와서 피부에 원치않는 기름진 번들거림(shine) 및 감촉을 부여한다. 모공은 확장되고 피부는 거친 외관을 갖는다. 지성 피부는 10대에서 일반적이지만, 어느 연령에서나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표면 상의 유분의 과도한 분비 또는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및 예를 들어 여드름 환자의 환부 피부 영역과 관련하여, 사람 피부의 표면 상의 유분의 분포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세척, 노동, 및 휴양과 같은 외부 인자에 대한 노출에도 불구하고 장벽 및 수분 보유 기능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얼굴 각질층에 도움이 될 얼굴 케어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기존의 헹굼형(rinse-off) 세정 트리트먼트 및 조제품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여 자극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세정 작용 또는 일시적인 물리적 유분 흡수를 통해 지성 또는 번들거리는 피부에 오직 매우 순간적인 완화만을 제공할 수 있다. 1 내지 2 시간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유분 및 번들거림이 빠르게 되돌아올 것이다.
그러므로, 지성 피부의 번들거리는 외관을 장기간 동안 조절하기 위한 신규한 세정 조성물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예상외로, 소정 조성의 피부 케어 세정 조성물이 피지 흐름을 조절하고, 피부의 지성이고 번들거리는 외관을 조절하거나 억제하며, 예를 들어, 여드름과 같이, 그로부터 야기되는 후속 질환을 억제하는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세정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가수분해 단백질 및 세정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세정 조성물은 각질용해제 및 증점제를 추가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세정 조성물은 장기간의 지속시간 동안, 예를 들어, 적어도 6시간 동안 피부 상의 유분의 출현을 조절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세정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9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가수분해 단백질의 조성물 및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세정제를 함유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세정 조성물은 약 0.05 내지 약 5 중량%의 증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증점제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클렌저 조성물에 적절한 점도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6시간 동안 피부 상의 유분의 출현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수분해 단백질 및 세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국소 도포"는, 예를 들어, 손 또는 어플리케이터, 예를 들어 와이프, 롤러 또는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사람 또는 포유류의 외부 피부, 두피 또는 모발 상에 직접 칠하거나 펴 바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은 이 용어가 설명하는 성분들이 과도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자극, 알러지 반응 등이 없이 조직 (예를 들어, 피부 또는 모발)과의 접촉에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효량"은 원하는 이점 또는 화장적 또는 치료적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성분 또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유효량은 처리되는 면적, 사용자의 연령과 피부 또는 모발 유형, 처리 지속시간 및 속성, 사용되는 특정 성분 및 유사한 인자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가수분해 단백질, 세정제 및 선택적으로 증점제를 함유한다.
가수분해 단백질은 완전 가수분해 단백질이거나 또는 부분 가수분해 단백질일 수 있다. 가수분해 단백질은 쌀 단백질 또는 이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밀, 보리, 옥수수, 기장(millet), 수수(sorghum), 귀리, 호밀, 포니오(fonio), 키노아(quinoa), 메밀 또는 이들의 배합물과 같은 곡물로부터 유래한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수분해 단백질은 조성물의 약 0.05 내지 약 95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 단백질은 가수분해 단백질 부분과 비가수분해 단백질 부분의 조합을 함유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가수분해 단백질 부분은 전체 가수분해 단백질의 약 0.05% 내지 95%를 구성한다. 즉, 가수분해 단백질은 전체 단백질의 약 0.05 중량% 내지 100 중량%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쌀 단백질의 얇은 코팅을 피부 상에 침착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잔탄,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구아, 알기네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카르복시메틸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쿼터늄 중합체 또는 염, 예를 들어,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7,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침착 향상제 시스템과 상기 쌀 단백질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전달 시스템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쌀 단백질의 얇은 코팅을 피부 상에 침착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양이온성 화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침착 향상제 시스템 및 상기 쌀 단백질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전달 시스템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이온성 화합물은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 아크릴아미노프로필트라이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쿼터늄 중합체 또는 염, 예를 들어,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7,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음이온성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예를 들어, 카르보폴 아쿠아 (Carbopol Aqua) SF1,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세정제의 예에는 세정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방산, 예를 들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알칼리를 갖는 코코넛유, 이들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소듐 라우릴 설포네이트, 당 설포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반극성(semi-polar)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는 불용성 (또는 가용성)일수 있으며 조성물의 약 1.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지방족 4차 암모늄, 포스포늄, 및 설포늄 화합물의 유도체가 포함되며, 여기서, 지방족 라디칼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으며, 지방족 치환체 중 하나는 약 8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하나는 음이온성 수가용화 기, 예를 들어, 카르복시,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함유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수성 조성물 중에 용해될 때 양으로 하전되는 아미노 또는 4차 암모늄 친수성 부분을 함유할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지방족 2차 및 3차 아민의 유도체가 포함되며, 여기서, 지방족 라디칼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으며, 지방족 치환체 중 하나는 약 8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하나는 음이온성 수가용화 기, 예를 들어, 카르복시,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함유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설포석시네이트, 사코시네이트,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세티오네이트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부분 및 비이온성 친수성 부분을 함유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소수성 부분의 예에는 알킬, 알킬 방향족, 다이알킬 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 및 플루오로-치환된 알킬이 포함될 수 있다. 친수성 부분의 예에는 폴리옥시알킬렌, 포스핀 옥사이드, 설폭사이드, 아민 옥사이드, 및 아미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다른 예에는 알킬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알킬 폴리사카라이드가 포함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증점제를 함유한다. 증점제의 예에는 무기 염, 예를 들어, NaCl, NH4Cl, KCl, Na2SO4, 점토, 실리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섬유질 중합체,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잔탄 검, 지방 알코올,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에테르, 모노- 또는 다이-에탄올아미드의 코크아미드,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쿼터늄-46,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코코다이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쿼터늄-18, PEG-18 글리세롤 올레에이트/코코에이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50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혼합물, 라우레스-3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배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30 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하, "PEG 30") 또는 다이메티콘 코폴리올과 같은 중합체성 유화제를 사용하고, 물을 비히클로서 사용하여, 수중유 에멀젼을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케어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피부 상태, 예를 들어, 여드름, 블랙헤드 및 다른 피부 질환 또는 상태, 예를 들어, 건성 피부 또는 지성 피부를 처리하기 위하여 각질용해제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알려진 각질용해제, 예를 들어, 레티노이드 (예를 들어, 트레티노인, 레티놀 및 레티날), α-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락트산, 글리콜산), β-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살리실산), α-케토산, 아세트산 및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1-피롤리돈-5-카르복실산, 카프릴로일 살리실산, α-하이드록시 데칸산, α-하이드록시옥탄산, 글루코노락톤, 메톡시프로필 글루콘아미드, 옥살산, 말산, 타르타르산, 만델산, 벤질산, 글루콘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레소르시놀, 콜로이드 황, 셀레늄 다이설파이드, 황, 및 페놀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각질용해제가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은 항염제 또는 진정제 (soothing agent)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로는 이로 한정되지 않지만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아세테이트, 하이드로코르티손 부티레이트 등과 같은 스테로이드성 항염제가 포함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에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케트프로펜; 및 식물 추출물, 예를 들어 알란토인, 알로에 베라, 오리나무(alnus), 알파-비사볼롤, 아르니카,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족도리풀(asiasarum root), 자작나무, 비사볼롤, 보스웰리아(boswellia), 금잔화, 마트리카리아(matricaria) (카모밀라 레쿠티타(chamomilla recutita)) 추출물, 천궁(cnidium), 캄프리, 다이포타슘 글리시리지네이트, 피버퓨(feverfew), 회향, 오배자(galla rhois), 녹차 (카멜리아 시네시스(camellia sinesis)) 추출물, 생강 추출물, 호손(hawthorn), 호우투이니아(houttuynia), 하이페리컴, 대추, 키위, 감초, 매그놀리아, 무환자 열매 추출물, 올리브, 판테놀, 판텐산 및 이의 유도체, 텍스판테놀 및 에틸 판테놀, 플라보노이드, 예를 들어, 비치환된 플라바논, 일치환된 플라바논, 및 혼합물; 비치환된 칼콘, 일치환된 칼콘, 이치환된 칼콘, 삼치환된 칼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칼콘; 아이소플라본; 쿠마린; 크로몬; 다이쿠마롤; 크로마논; 크로마놀; 및 강황 (쿠르쿠마 롱가(curcuma longa)) 추출물, 페퍼민트, 필로덴드론(philodendron), 샐비어, 산죽(sasa albo-marginata),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 이미다졸, 케토코나졸 및 엘루비올,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문헌[Gollnick, H. et al. 196(1) Dermatology Sebaceous Glands , Acne and Related Disorders, 119-157 (1998)]에 기재된 것들, 및 이들의 배합물, 유도체, 이성체, 또는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약 0.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항염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방지 활성제 및 레이저 범프(razor bump) 방지 활성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여드름 방지 활성제의 예에는 국소 레티노이드 (트레티노인, 아이소트레티노인, 모트레티나이드, 아다팔렌, 타자로텐, 아젤라산, 레티놀); 살리실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레소르시놀; 항생제, 예를 들어, 테트라사이클린 및 이의 이성체, 에리트로마이신,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드름 방지제의 적합한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10%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연마제 또는 피부 박리제(skin exfoliator), 예를 들어, 1000 마이크로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나 20 마이크로미터 초과인 것과 같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실리카, 점토,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금속 또는 세라믹 입자, 천연 박리 성분, 예를 들어, 옥수수 속대, 타마린드, 분쇄 살구씨, 바다소금을 또한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는 이들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항소양제 및 피부 보호제, 예를 들어, 오트밀, 베타글루칸, 피버퓨, 대두 및 이들의 유도체, 중탄산소다, 콜로이드성 오트밀, 계면활성제 기재 콜로이드성 오트밀 클렌저, 아나갈리스 아르벤시스(Anagallis Arvensis), 오에노테라 비엔니스(Oenothera Biennis),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소양제는 세정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40%,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DHA) 또는 1,3-다이하이드록시-2-프로판온 및 이들의 에스테르 또는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태닝제(tanning agent)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는 비정상적인 색소침착(pigmentation)을 갖는 피부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국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탈색소(de-pigmenting) 또는 피부톤 균일화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또한 피부 표백제 및/또는 미백제,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코즈산, 아르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유도체,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글루코사이드, 및 아스코르빌 글루코사민, 및 천연 추출물, 예를 들어, 오디 추출물, 대두 트립신 억제제, 대두, 아이소플라본, 플라보노이드, 버섯 추출물, 효모 및 그 유도체 및 대두 태반 추출물, 및 탈색소 이점을 갖는 효소, 예를 들어, 리그닌 퍼옥시다아제, 파파인, 파파야, 및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셀룰라이트 방지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셀룰라이트 방지제의 예에는 잔틴 화합물, 예를 들어, 카페인, 테오필린, 테오브로민, 아미노필린 및 이들의 배합물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성물은 주름 방지제 또는 위축 방지제(anti-atrophy agent)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로는 황 함유 D 및 L 아미노산 및 이의 유도체 및 염, 특히 N-아세틸 유도체, N-아세틸-L-시스테인; 티올, 예를 들어, 에탄 티올; 알파-하이드록시산 (AHA) 또는 베타-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살리실산 및 살리실산 유도체, 라이소포스파티드산, 피트산, 리포산 및 페놀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항미생물제, 예를 들어, 퀴놀론, 베타-락탐 유도된 화합물, 메트로니다졸, 독시사이클린, 미코나졸, 클린다마이신, 에리트로마이신, 아연 에리트로마이신, 미노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염산염, 젠타마이신, 에탐부톨, 펜타미딘, 카나마이신, 린오마이신, 메타사이클린, 메테나민, 네오마이신, 케타코나졸, 옥토피록스, 니스타틴, 톨나프테이트, 클로트리마졸, 페녹시에탄올, 헥사미딘, 이세티오네이트, 클로르헥시딘, 아연 피리티온, 벤즈아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아토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배합물과 같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광 반사제, 굴절제, 또는 흡수제,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알루미나, 칼슘 실리케이트, 글리콜 다이올레에이트, 글리콜 다이스테아레이트, 소듐 마그네슘 플루오로실리케이트, 및 산화철, 실리카, 실리콘, 실리콘 유도체, 연초점 광 착색 안료(soft focusing light colored pigment), 예를 들어, 운모, 유기 미립자, 결정 지질(crystal lipid) 및 착색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잔주름(fine line), 주름, 검버섯의 검은 자국, 잡티, 뾰루지 등과 같은 결점을 가리는 데 도움이 되는 피부 외관 수정 성분(skin appearance modifying ingredient)과 같은, 그러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 물이 조성물의 최대 약 99.5 중량%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성분에는 산화방지제 또는 라디칼 스캐빈저(radical scavenger)가 포함되며, 이들의 바람직한 농도는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 내지 약 5% wt/wt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산화방지제의 예에는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의 다른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염, 지방산의 아스코르빌 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사이드, 아스코르빌 소르베이트), 부틸화된 하이드록시 벤조산 및 이의 염, θ-하이드록시-테트라메틸크로만-카르복실산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피부 습윤제 또는 연화제를 포함한다. 습윤제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습윤제의 예에는 비배타적으로: 1)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액체 폴리올; 2) 화학식 HO--(R"O)b--H (여기서, R"는 약 2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고 b는 약 1 내지 약 10의 정수임)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PEG 4; 3) 화학식 CH3--C6H10O5--(OCH2 CH2)c--OH (여기서, c는 약 5 내지 약 25의 정수임)의 메틸 글루코스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4) 우레아; 5) 프럭토스; 6) 글루코스; 7) 벌꿀; 8) 락트산; 9) 말토스; 10) 소듐 글루쿠로네이트; 및 11)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바람직한 습윤제는 글리세린이다.
연화제는 바셀린(petrolatum), 지방산 락테이트, 및 다른 하이드록실산, 이의 염 및 이의 에스테르, 인지질, 예를 들어, 코크아미도프로필 PG-다이모늄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피부 유연제 (softening agent) 및 탄력제(firming agent), 예를 들어, DMAE 및 테트라하이드록시프로필 에틸렌다이아민 (예를 들어, 바스프(BASF)로부터의 뉴트롤(Neutrol)), 또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060193815 A1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모공 청결제 및 축소제, 예를 들어, 아스트린젠트, 및 콜라겐 및 엘라스틴 향상제, 예를 들어, 위치 하젤 (witch hazel)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비배타적으로 벤조카인, 다이부카인, 벤질 알코올, 장뇌, 캡사이신, 캡시컴, 캡시컴 올레오레진, 주니퍼 타르(juniper tar), 멘톨, 메틸 니코티네이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페놀, 레소르시놀, 송진유(turpentine oil),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외용 진통제 및 국부 마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비배타적으로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지르코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한방지제 및 방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비배타적으로 장뇌, 멘톨, 메틸 살리실레이트, 페퍼민트유 및 정향유, 레몬이크타몰(lemmonichtammol),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반대자극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비듬, 지루성 피부염, 및 건선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증상의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적 성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적합한 유익제의 예에는 비배타적으로 아연 피리티온, 안트랄린, 셰일유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설폰화 셰일유, 셀레늄 설파이드, 황; 살리실산; 콜타르; 포비돈-요오드, 이미다졸, 예를 들어, 케토코나졸, 다이클로로페닐 이미다졸로다이옥살란, 클로트리마졸, 이트라코나졸, 미코나졸, 클림바졸, 티오코나졸, 설코나졸, 부토코나졸, 플루코나졸, 미코나졸 니트레이트 및 임의의 가능한 이들의 입체 이성체 및 유도체; 피록톤 올라민 (옥토피록스); 셀레늄 설파이드; 시클로피록스 올라민; 항건선제, 예를 들어, 비타민 D 유사체, 예컨대, 칼시포트라이올, 칼시트라이올, 및 타칼레이트롤(tacaleitrol); 비타민 A 유사체, 예를 들어, 비타민 A의 에스테르, 예컨대,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레티노이드, 레티놀, 및 레틴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르티손, 클로베타손, 부티레이트,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천연 성분, 예컨대, 녹차, 진주 분말, 난초, 레몬, 연잎, 녹두, 세이지 및 은행나무, 카본, 바다소금, 씨 머드(sea mud) 또는 미네랄 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안료"는 표피 세포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어서 피부 또는 모발에 대해 가시적으로 더 어두운 외관을 야기하는 화합물(들)이다. 그러한 안료의 예로는, 멜라닌 및 멜라닌 유도체 (예를 들어, 멜라닌 중합체 및 저분자량 수용성 멜라닌 유도체 둘 모두); 안료를 함유하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의 추출물 (예를 들어, 헤디키움속(Hedychium genus) 또는 월귤나무속(Bearberry genus) 식물로부터의 갈색 안료, 또는 카로테노이드 또는 칸타잔틴을 함유하는 식물로부터의 황색, 주황색 및 적색 안료); 또는 합성 화합물, 예를 들어, 구리를 함유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CuCl2와 같은 구리염) 또는 합성 카로테노이드 또는 칸타잔틴이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멜라닌 유도체의 예는 미국 특허 제5,618,519호, 제5,384,116호 및 제5,227,459호에 개시된다. 가용성 멜라닌 유도체의 예는 미국 특허 제5, 744,125호, 제5,225,435호, 제5,218,079호 및 제5,216,116호에 개시된다. 구매가능한 가용성 멜라닌 유도체의 예에는 샌-마르 래보러터리즈 인코포레이티드 (San-mar laboratories, Inc, 미국 뉴욕주 엘름스포드 소재)로부터의 멜라신(Melasyn)-100(등록상표) 및 자일렙시스(Zylepsis, 영국 켄트 애쉬포드 소재)로부터의 멜란지(MelanZe)(등록상표)가 포함된다.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안료(들)의 양은 사용되는 안료(들)의 유형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안료는 전형적으로 조성물 중에 약 0.0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특히, 약 0.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색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탈색소제에는 대두 트립신 억제제 또는 대두 트립신 억제제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보우맨-버크(Bowman-Birk) 억제제 또는 보우맨-버크 억제제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대두 추출물, 대두 아이소플라본, 아이소플라보노이드 및 이의 유도체; 레티노이드, 예를 들어, 레티놀, 레틴산 및 이의 유도체; 코즈산, 코즈산 다이팔미테이트; 하이드로퀴논; 아르부틴, 트라섹삼산; 비타민, 예를 들어, 이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티아민, 니코틴산, 나이아신, 비오틴, 판토텐산, 콜린, 리보플라빈, 비타민 B3, B6, B12, 피리독신, 이노시톨, 카르니틴을 포함하는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A, C, D, E, K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및 프로비타민, 예를 들어, (즉, 판테놀 (프로비타민 B5) 및 판테놀 트라이아세테이트), 이의 염 및 유도체 및 혼합물 비타민, 비타민 K; 아젤라산, 아스코르브산 폴리펩티드, 진주; 리놀렌산, 글리시레틴산, 및 리놀레산; 플라세르티아(placertia); 감초; 및 추출물, 예를 들어, 이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카모마일, 오세이지 오렌지 (마클루라 포미페라(Maclura pomifera)) 심재, 월귤나무 (아르크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오디, 애플 페논, 레몬(시트러스 메디카 리모눔(citrus medica limonum)) 껍질, 포도씨, 및 녹차; 및 이들의 염, 에스테르, 및 다른 유도체가 포함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탈색소 성분은 드라고스타트(Dragostat) 11, 파파인, 버섯 추출물, 멜라노스타트(Melanostat), 요키노시타(Yokinoshita), 심화이트(Symwhite) 377, 이산(dioic acid), 펩티드 망간 복합체 또는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소 프로테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페릴라(perilla) 추출물이 미백제로서 미국 특허 제제5,980,904호 및 일본 공보 제07025742호, 제07187989호, 제10265322호, 제2001163759호, 및 제2001181173호에 개시된다. 코코넛 열매 추출물이 미백제로서 일본 특허 제2896815B2호에 개시된다. 미국 특허 제5,756,099호에서는 코코넛 조직의 해면질 덩어리의 추출물이 태닝 썬스크린 조성물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상외로 비누, 클렌저, 알코올 함유 아스트린젠트, 점토, 또는 머드 마스크와 비교하여 피부 상의 유분 및 번들거림의 출현을 더 장기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정 조성물 중에 가수분해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은 피부의 유분 생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시험 조성물에 의한 피부 상의 유분의 출현의 감소는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목표 피부 영역을 시험 조성물로 세척한 직후에 목표 피부 영역, 예를 들어 얼굴의 평행 편광된 광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다음, 세척 4시간 후 및 6시간 후에 다시 촬영한다. 전문 채점자에 의해 번들거림을 블라인드 평가하고, 전문 채점자는 각각의 시간 간격에 피부가 번들거리는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상의 유분의 출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국소 도포 후에 적어도 2시간, 예를 들어, 적어도 4시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시간 동안 감소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생체 내 연구는 24세 및 26세인 2명의 건강한 남성 지원자에서 행하였다. 뺨에서의 번들거림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물 3을 제조하였다. 피부를 적신 후에 생성물을 각 지원자의 얼굴 전체에 도포하였다. 생성물을 약 10초 동안 얼굴에 문지른 다음, 따뜻한 수돗물 (약 37℃)로 15초 동안 또는 깨끗해질 때까지 헹구었다. 대상 둘 모두가 기준선과 비교하여 세척 직후에 유분의 유의미한 감소를 언급하였고, 세척 후 6시간 초과 동안의 가시적인 번들거림 조절 효과를 보고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의 조성물 1 (pH =10)을 제조하고 6시간 얼굴 세정 연구에서 구매가능한 클린 앤 클리어(등록상표) 오일 샤인 컨트롤 (Clean & Clear (등록상표) Oil Shine Control)(비교)과 비교하여 시험하였다. 피지측정기(Sebumeter) 수치가 150 ug/㎠ 초과인 15명의 지성 피부 대상에게 얼굴의 한쪽 면에는 조성물 1을 사용하고, 얼굴의 다른쪽 면에는 비교 클렌저 제품을 사용하여 얼굴을 세척하도록 지시하였다. 세척 직후 및 세척 4시간 후에 평행 편광된 광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전문가에 의해 번들거림 평가를 행하였고, 전문가는 비교 클렌저와 비교하여 조성물 1로 처리된 피부에 대해 번들거림이 유의미하게 더 적었는지를 결정하였다. 사진은 또한 세척 4시간 후 및 6시간 후에 얼굴의 조성물 1 처리된 면에서 유분 및 번들거림이 분명히 감소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대조적으로, 세척 4시간 후 및 6시간 후에, 얼굴의 비교 면에서는 번들거림 및 유분이 더 많았다.
쌀 단백질을 알루미늄 전분 옥텐석시네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로 대체하여, 비교 조성물, 표 1의 조성물 A를 제조하였다. 상기에 기재된 절차를 사용하여 시험하였을 때, 번들거림 최소화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3:
0.5%의 가수분해 쌀 단백질을 구매가능한 클린 앤 클리어(등록상표) 모닝 버스트 클렌저 (Morning Burst cleanser)에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클렌저를 스스로 인식하기에(self perceived) 지성인 피부를 갖는 건강한 남성 (25세) 지원자에 대한 그의 번들거림 조절 효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대상은 얼굴 왼쪽 면을 본 발명의 조성물로 세척하고 얼굴의 오른쪽 면을 클린 앤 클리어(등록상표) 모닝 버스트 클렌저로 세척하였다. 세척 직후에, 얼굴에는 유분 및 번들거림이 없었다. 얼굴의 왼쪽 면에서 잔류감이 다소 더 컸다. 대상은 얼굴의 왼쪽 면 상의 유분 및 번들거림이 더 적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세척 후 6시간 초과까지 이러한 차이를 감지하였다.
실시예 4:
표 2에 나타낸 조성물 7 (부분 가수분해 쌀 단백질 포함)을 생체 내 임상 연구에서 조사하였다. 스스로 인식하기에 지성인 피부 및 180 ug/㎠을 초과하는 뺨에서의 피지측정기 수치에 기초하여, 지성이며 번들거리는 얼굴 피부 상태를 나타내는 10명의 대상을 모집하였다. 각 대상은 조성물 7을 사용하여 얼굴을 세척하였다. 세척 직후 및 세척 4시간 후 및 6시간 후에 가시광 디지털 사진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사진의 전문가 패널 평가는 4시간 후 및 6시간 후 둘 모두에서 가시적인 번들거림 감소를 입증하였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5:
표 3에 나타낸 성분들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토너를 제조하였다.
A 상
실온에서 쌀 단백질을 물에 분산시키고 분산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 동안 혼합한다. 이어서, 잔탄 검을 분산물에 첨가하고 분산물이 증점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 동안 그 안에서 혼합한다. 대안적으로, 잔탄 검을 먼저 분산시킨 다음 쌀 단백질을 첨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산물 형성 중에 1,3-다이부틸렌 글리콜을 첨가할 수 있다. 산을 사용하여 분산물의 pH를 약 3 내지 약 4.5의 pH로 조절한다.
B 상
실온에서 살리실산 및 알코올을 알코올 중에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선택적으로, PPG-15 스테아릴 에테르 및 향료를 첨가할 수 있다. 염기를 사용하여 pH를 약 3 내지 약 4로 조절한다.
A 상 + B 상
A 상과 B 상을 혼합하고 선택적으로 착색제를 첨가할 수 있다. 약 3.0 내지 약 4의 pH에 적당하게 산 또는 염기를 첨가하여 pH를 조절할 수 있다. 제조 시점에서 목표 pH는 약 3.5이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조성물 2가지, 조성물 6과 조성물 7, 및 비교 세정 조성물, 조성물 B (모두 표 2에 기재됨)를 제조하고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를 사용하여 10명의 지성 피부 대상에서 시험하였다. 조성물 6과 조성물 7은 번들거림을 즉시 감소시키고 번들거림 감소를 4시간 초과 동안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비교 조성물 B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번들거림 조절 효과가 훨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클렌징 바아(Cleansing Bar)
실시예 7은 표 4에 열거된 성분들을 사용한 정상 내지 지성 피부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렌징 바아의 제조방법을 기술한다.
프리믹스
실온에서 제조한다. PEG-14M을 글리세린 중에 분산시키고 크림형의 균질한 액체가 형성될 때까지 혼합물을 계속 교반한다. 이어서, 연속하여 혼합하면서 물이 든 용기에 성분들을 하기 순서로 첨가한다: PEG-14M/글리세린 혼합물, IPBC 용액, 포타슘 소르베이트를 첨가하였다.
콜로이드성 오트밀, 쌀 단백질, 소듐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및 캡슐화된 벤즈알데하이드를 용기에 첨가하고 약 2 내지 3분 동안 혼합한다. 혼합기를 가동한 채로, 하기 성분들을 차례로 첨가한다: 차가운 프리믹스, 락트산, 소듐 락테이트, 정제수, 및 벤즈알데하이드. 세틸 알코올을 첨가하고 용융된 상태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이어서, 색상이 균일하게 되고, 혼합물이 응어리가 많은 농도(lumpy consistency)가 될 때까지 혼합물을 혼합한다. 락트산 또는 소듐 락테이트를 사용하여 pH를 원하는 3.5 내지 4.5로 조절한다. 혼합된 배치(batch)를 예비 플로더(preliminary plodder)의 공급 호퍼(feed hopper)에 넣고, 압출하고, 압착하고, 포장하여 클렌징 바아를 형성한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8:
다른 보통 사용되는 유분 흡수제와 비교하여 쌀 단백질의 유분 흡수 능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ASTM D1483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행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작은 유리 비이커에서 부드럽게 교반되는 유분 흡수 물질에 아마인 오일을 적가하여 연질 페이스트를 형성한다.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오일의 양을 사용하여 유분 흡수 값을 계산한다. 결과를 표 5에 요약한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9:
표 6에 나타낸 성분들을 사용하여 25 내지 30℃ 및 대기압에서 다음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분 흡수 파우더를 제조한다. 프리믹스 1 및 프리믹스 2를 상이한 강철 용기에서 별도로 제조한다. 기계적 교반기로 혼합물을 균질해질 때까지 약 10분 혼합한다.
프리믹스 1 및 프리믹스 2를 활석에 첨가하고 37 SC 모델 마티어-버트(Mateer-Burt) 분무기와 같은 분무기로 분무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동일 혼합기에서 주위 조건 하에 균질해질 때까지 추가로 혼합한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10:
유분 흡수 식물 섬유, 예를 들어, 대마 또는 합성 펄프로 본 발명에 따른 유분 세정 시트를 제조한다. 종이 경도(hardness)가 적어도 0.7 (g/㎠)인 유분 세정 시트의 제조 중에는 고압축 롤러 프레싱을 행한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4-45591호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종이의 표면을 쌀 단백질로 코팅한다. 쌀 단백질은 유분 흡수를 향상시키고 유분 흡수 시트의 경도 및 조도(roughness)를 고르게 하는 데 도움이 되며 그러한 조도와 관련된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
본 발명에 따른 유분 세정 시트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5-18392호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쌀 단백질을 유분 세정 종이에 첨가하여 유분 세정 종이의 표면에 매끄러운 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분 세정 시트는 유분 세정 종이의 섬유들 사이의 간극에 입자를 함유하기 때문에, 피부 유분은 유분 세정 시트 전부를 촉촉하게 하면서 또한 종이 섬유와 입자 사이의 간극을 채워서, 유분 세정 종이를 더 더욱 투명하게 만드는, 즉, 사용자가 피부 유분이 제거되었음을 충분히 감지하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 12:
쌀 단백질 및 보통 사용되는 두 가지의 유분 흡수제, 실리카와 알루미늄 전분을 피지 흡수 속도에 대해 시험하였다. 흡수 속도는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시험 물질 (쌀 단백질, 실리카, 또는 알루미늄 전분)을 현미경 슬라이드 상에 놓고 4.0 × 2.0 ㎝ 면적 및 0.25 ㎝ 두께 이내로 슬라이드 상에 가볍게 펴 발랐다. 이어서, 슬라이드 및 시험 물질의 합계 중량을 기록하였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40℃에서 핫플레이트 상에 놓고 인공 피지를 슬라이드에 부가하였다. 시험 물질이 포화될 때 까지 시험 물질이 인공 피지를 계속해서 흡수하게 두었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핫플레이트로부터 제거하여 냉각되게 하였다. 흡수되지 않은 여분의 인공 피지를 슬라이드로부터 제거하였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칭량하였다. 피지의 흡수 속도를 (Wf-Wi)/T (여기서, Wf는 슬라이드의 최종 중량이고, Wi는 슬라이드의 최초 중량이고 T는 시간이었음)에 의해 계산하였다. 하기 표 7에 나타낸 결과는 쌀 단백질이 알루미늄 전분 및 실리카보다 5 내지 10배 더 빠르게 인공 피지를 흡수하였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실시예 13:
쌀 단백질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2가지 세정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피부 자극에 대해 시험하였다. 피부 등가물(skin equivalent)을 표 8에서 하기에 나타낸 세정 조성물 100 ul로 2시간 동안 국소 처리하였다. 2시간의 처리 기간 동안 피부 등가물을 37℃에서 인큐베이팅하였다. 2시간의 인큐베이션 기간 후에 각각의 세정 조성물을 피부 등가물로부터 제거하였다. 이어서, 피부 등가물을 실온의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PBS) 용액 1ml로 3회 헹구었다. 이어서, 각각의 등가물을 신선하고 따뜻한 보존 배지 1ml에 넣고 37℃ 인큐베이터에 48시간 동안 다시 넣어 두었다. 48 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처리된 피부 등가물에 의해 방출된, 피부 자극의 표지인 염증유발 시토킨(pro-inflammatory cytokine) IL-1α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하등액(subnatant) 보존 배지를 모두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피부 등가물에 의해 하등액 보존 배지 내로 방출된 락테이트 탈수소효소를 측정하여 염증유발 세포독성을 결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클렌저 A는 아비노(AVEENO(등록상표)) 수딩 크리미 릴리프 워시(Soothing Creamy Relief Wash)였고, 클렌저 B는 헤드-투-토 베이비 워시(Head-to-Toe Baby Wash)였으며, 둘 모두 존슨 앤드 존슨 컨슈머 컴퍼니즈, 인크.(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에 의해 시판된다. 두 세정 조성물 중의 쌀 단백질의 존재는 피부 등가물에 의해 방출되는 염증유발 표지 IL-1α의 양을 감소시켰으나, 쌀 단백질이 첨가된 제품의 세포독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Figure pct00008
실시예 14:
장력계를 사용하여 다양한 쌀 단백질 농도가 물 중의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SLES)와 베타인의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임계 미셀 농도 (CMC)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였다. 표 9에 나타낸 데이터는 쌀 단백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MC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쌀 단백질 농도가 클수록 계면활성제가 쌀 단백질과 더 많이 결합함을 나타내며, 이는 결국 피부와 계면활성제 사이의 더 적은 상호작용으로 인한 더 마일드한 제품을 시사하게 된다.
Figure pct00009
본 명세서가 본 발명의 원리를 기재하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의 다른 양상, 이점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0)

  1. 적어도 하나의 가수분해 단백질 및 세정제를 포함하며, 적어도 6시간 동안 피부 상의 유분의 출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쌀 단백질, 밀 단백질, 보리 단백질, 옥수수 단백질, 기장(millet) 단백질, 수수(sorghum) 단백질, 귀리 단백질, 호밀 단백질, 포니오(fonio) 단백질, 키노아(quinoa) 단백질, 메밀 단백질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상기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가수분해 단백질 부분과 비가수분해 단백질 부분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 부분은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수분해 부분은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들의 염, 알칼리를 갖는 코코넛유,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소듐 라우릴 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피부 세정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각질용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용해제는 살리실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레소르시놀, 콜로이드 황, 셀레늄 다이설파이드, 황,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용해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NaCl, NH4Cl, KCl, Na2SO4, 점토, 실리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섬유질 중합체, 잔탄 검,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에테르, 모노- 또는 다이-에탄올아미드의 코크아미드,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세정용 조성물.
  15. 쌀 단백질의 얇은 코팅을 피부 상에 침착하는 방법으로서, 침착 향상제 시스템 및 상기 쌀 단백질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전달 시스템 조성물을 상기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침착 향상제 시스템은 피탄트라이올,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87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7. 적어도 6시간 동안 피부 상의 유분의 출현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수분해 단백질 및 세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쌀 단백질, 밀 단백질, 보리 단백질, 옥수수 단백질, 기장 단백질, 수수 단백질, 귀리 단백질, 호밀 단백질, 포니오 단백질, 키노아 단백질, 메밀 단백질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상기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은 가수분해 단백질 부분과 비가수분해 단백질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 부분은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수분해 부분은 상기 가수분해 단백질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들의 염, 알칼리를 갖는 코코넛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설페이트 및 라우릴 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1.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각질용해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용해제는 살리실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레소르시놀, 콜로이드 황, 셀레늄 다이설파이드, 황,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용해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29. 제17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적어도 하나의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NaCl, NH4Cl, KCl, Na2SO4, 점토, 실리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섬유질 중합체, 잔탄 검,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에테르, 모노- 또는 다이-에탄올아미드의 코크아미드,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117010390A 2008-10-10 2009-10-09 번들거림 조절 클렌저 KR20110069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49,368 2008-10-10
US12/249,368 US20100093599A1 (en) 2008-10-10 2008-10-10 Shine control clea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142A true KR20110069142A (ko) 2011-06-22

Family

ID=4155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390A KR20110069142A (ko) 2008-10-10 2009-10-09 번들거림 조절 클렌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93599A1 (ko)
EP (1) EP2344115A2 (ko)
KR (1) KR20110069142A (ko)
CN (1) CN102176894A (ko)
BR (1) BRPI0920327A2 (ko)
CA (1) CA2738670A1 (ko)
WO (1) WO201004283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26B1 (ko) * 2022-03-22 2023-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글루코노락톤 및 클림바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4198A (zh) * 2011-05-06 2012-11-07 强生消费者公司 包含水凝胶颗粒的组合物
CN103356428B (zh) * 2013-05-26 2015-09-23 上海珍馨化工科技有限公司 剥离型连翘控油面膜及其制备方法
US20150164919A1 (en) * 2013-12-17 2015-06-18 The Dial Corporation Skin cleansing composition with a deposition component
US20160303043A1 (en) * 2015-04-16 2016-10-20 Kate Somerville Skincare, LLC Self-foa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7693415A (zh) * 2017-09-30 2018-02-16 朱耀灯 一种控油祛痘洁面乳
CN110051614A (zh) * 2019-05-27 2019-07-26 贝德氏(上海)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皱嫩肤精华
WO2022156876A1 (en) * 2021-01-19 2022-07-28 Beiersdorf Ag Protein formulations
CN115969759B (zh) * 2023-02-06 2023-12-08 植物医生(广东)生物科技有限公司 光保护植物提取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782A (en) * 1976-06-24 1979-04-03 William H. Rorer, Inc. Pharmaceutical detergent composition
GB8612550D0 (en) * 1986-05-22 1986-07-02 Lingner & Fischer Gmbh Composition
JPH0959694A (ja) * 1995-08-18 1997-03-04 Henkel Japan Kk 洗浄剤組成物
WO2008115165A2 (en) * 2004-04-20 2008-09-25 Mgp Ingredients, Inc. Method of hydrolyzing rice protein concentrate with protease enzymes
DE102005002486A1 (de) * 2005-01-18 2006-07-27 Henkel Kgaa Tensidhaltiges Reinigungsmittel mit speziellen Proteinen
DE102005006837A1 (de) * 2005-02-14 2006-09-14 Henkel Kgaa Kationische Cellulosederivate in Kosmetik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26B1 (ko) * 2022-03-22 2023-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글루코노락톤 및 클림바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3182714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글루코노락톤 및 클림바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3599A1 (en) 2010-04-15
CN102176894A (zh) 2011-09-07
WO2010042839A4 (en) 2010-09-10
WO2010042839A3 (en) 2010-07-15
EP2344115A2 (en) 2011-07-20
BRPI0920327A2 (pt) 2019-09-24
CA2738670A1 (en) 2010-04-15
WO2010042839A2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142A (ko) 번들거림 조절 클렌저
US20100256031A1 (en) Shine control cleanser
JP5093998B2 (ja) 色素沈着予防又は改善剤
KR101391834B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8066193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EP315018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blackheads
WO2017123512A1 (en)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and compositions therefor
JP5766258B2 (ja) 色素沈着予防又は改善剤
JP7483331B2 (ja) 光及びグルコサミン塩酸塩を使用して皮膚状態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172167A (ja) 洗浄剤組成物
KR20200026112A (ko) 피키아 아노말라 및 n-아세틸 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CN113318008B (zh) 一种沐浴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00074058A (ko) 분지형 지방 알코올을 포함하는 희석 구조화 조성물
EP4259069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sucrose esters and solvents
WO20221325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sucrose esters and solvents
KR101734801B1 (ko) 추출물들의 조합을 이용한 피부 노화 징후 감소 방법
KR101734802B1 (ko) 피부 노화의 징후를 감소시키기 위한 추출물의 조합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KR20100072811A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2212045A (ja) 非アレルギー性肌荒れ改善・予防用皮膚外用剤およびニキビ改善・予防用皮膚外用剤
JP2001335485A (ja) メラノサイトのデンドライトの伸長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WO202204384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CA2986295C (en) Use of potassium hydroxide in the treatment of actinic keratosis
JP2008094819A (ja) 浸透性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