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848A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848A
KR20110066848A KR1020100115103A KR20100115103A KR20110066848A KR 20110066848 A KR20110066848 A KR 20110066848A KR 1020100115103 A KR1020100115103 A KR 1020100115103A KR 20100115103 A KR20100115103 A KR 20100115103A KR 20110066848 A KR20110066848 A KR 2011006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it board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op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5691B1 (en
Inventor
가즈야 미도리카와
신지 와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Abstract

PURPOSE: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is provided to prevent disturbance of housing from a regular location. CONSTITUTION: Gap is formed between a groove bottom plane(13) of housing(10) and side counter part(24) in a near location to a second connection unit(22). In near loc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21), the side counter unit is contacted to the groove bottom surface by an elastic pressure. A curved unit(23) is expand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unit. The curved unit is accepted in a maintenance groove unit(11) of the housing.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이러한 전기 커넥터로서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과,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서로 대향하는 그 하우징의 2 개의 측면에서 복수의 단자가 배열된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 전기 커넥터의 단자는,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인 수납부에 수납되는 본체편과, 그 본체편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고정 단자편과, 그 본체편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어 다른 회로 기판과 탄성 접촉하는 접촉 단자편을 갖고 있다. 상기 고정 단자편은, 상반부와 하반부를 갖고, 상반부가 회로 기판의 후술하는 단자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하반부는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갖고 그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is known as such an electrical connector.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housing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on two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facing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the circuit board. The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includes a main body piece housed in a housing portion which is a reces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 fixed terminal piece exten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piece and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and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piece. It is convexly curved toward and has contact terminal piece which elastically contacts another circuit board. The fixed terminal piece has an upper half and a lower half, and an upper half passes through a terminal insertion ho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lower half extends along the side with a constant gap between the sides of the housing.

상기 고정 단자편이 고정되는 회로 기판에는, 그 고정 단자편의 상반부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단자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여 하우징의 수납부에서 유지되어 있는 1 쌍의 단자는, 그 고정 단자편들끼리의 자유 상태에서의 간격이 그 단자 삽입 통과 구멍끼리의 간격보다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장착할 때는, 1 쌍의 고정 단자편은 서로 떨어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간격을 넓혀, 대응하는 단자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된다. 그 결과, 그 고정 단자편의 하반부와 하우징의 측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그리고, 그 고정 단자편은 그 회로 기판의 상면측에서 땜납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에 고정된다.In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fixed terminal piece is fixed, a terminal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upper half of the fixed terminal piece is formed. The pair of terminals held in the housing section of the housing facing each other has a smaller spacing in the free state of the fixed terminal pieces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 insertion holes. Therefore, when mounting an electrical connector on a circuit board, a pair of fixed terminal pieces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y may mutually separate, and a space | interval is extended, and is inserted and passed through the corresponding terminal insertion passage hole. As a result, the space | interval of the lower half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can be widened. And the fixed terminal piece is fixed to a circuit board by soldering conn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circuit board.

그리고, 상기 특허문헌 1 에서는, 납땜에 의하여 충분한 강도로 고정 단자편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유지 고정을 보조하는 유지 금구 등의 필요가 없어진다고 되어 있다.And in the said patent document 1, since it fixes a fixed terminal piece with sufficient strength by soldering, it is supposed that the need of the holding bracket which assists the holding fixing of an electrical connector is eliminat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5793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2002-15793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의 전기 커넥터에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되기 전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편의 하반부와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 그 하반부의 전역에 걸쳐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기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장착되면, 회로 기판의 단자 삽입 통과 구멍에 의하여 고정 단자편이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을 받고, 그 결과, 고정 단자편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그 간극은 더욱 넓어진다. 즉, 그 고정 단자편의 하반부와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는 항상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의의 외력에 기인하여 하우징이 그 간극의 범위에서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electrical connector of the said patent document 1, before attaching to a circuit board, the clearance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half part of the said fixed terminal piece and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over the whole lower half part. When the electrical connector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the fixed terminal piece is forc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by the terminal insertion through hole of the circuit board, and as a result, the gap becomes wider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ll. That is, since a clearance gap is always formed between the lower half of the fixed terminal pie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the housing may be shifted from the normal position in the range due to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정규 위치로부터의 하우징의 어긋남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in which the deviation of the housing from the regular position is reliably prevented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과, 서로 대향하는 하우징의 2 개의 측면에 각각 배열되고, 그 하우징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그 단자가, 그 피유지부에 추가하여 상기 회로 기판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그 회로 기판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그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 사이에서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Comprising: The terminal and the several terminal in which the to-be-held part hold | maintained by the housing is respectively arrange | positioned at two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which mutually oppose.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circuit board side and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in addition to the held portion, and formed at an end of the circuit board side opposite to the other circuit board. It has a 2nd connection part connected, and the side facing part extended along the said side surface between the 1st connection part and the 2nd connection part.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의 측면 대향부는, 제 2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 간극을 갖고, 제 1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고, 일방의 측면에 맞닿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와 타방의 측면에 맞닿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 사이에 하우징을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opposing portion of the terminal has a gap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close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an elast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side surface at a position near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housing is sandwiched between a side opposing portion of the terminal which abuts and abuts on one side and a side opposing portion of the terminal which abuts on the other side.

하우징의 양 측면에 배열된 단자의 측면 대향부가, 각각 대향하는 하우징의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그 하우징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그 하우징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 측면 대향부가 하우징의 측면과 맞닿는 것은, 회로 기판에 땜납 고정되는 제 1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이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에서 하우징이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하우징의 유지력이 증대되어 유지가 확실해진다.The side opposing portions of the terminal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but on the sides of the opposing housings with elastic pressure to sandwich the housings,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usings. Moreover, since the side opposing part abuts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it is a position near the 1st connection part soldered to a circuit board, and the holding force of a housing increases by the intervening housing in such a position, and maintenance is ensured.

하우징의 측면에는, 제 1 접속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의 제 1 접속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절결부를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그 제 1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었을 때, 땜납이 그 절결부 내에도 흘러들기 때문에 그 만큼 땜납 필렛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나아가서는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대하여 더욱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otch part which forms a clearance gap with the 1st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By forming a notch in the side of the housing which forms a gap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terminal, 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soldered with the corresponding circuit part of the circuit board, the solder flows into the notch part as well. The solder fillet can be formed as large as possible. Therefore, the terminal and also the connector can be more securely fixed to the circuit board.

하우징의 측면에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대향하여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오목부를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만일, 단자의 측면 대향부와 하우징의 측면 사이를 땜납 및 플럭스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올라왔다고 해도, 상기 오목부의 위치에서 상기 측면 대향부와 측면의 간격이 많이 넓어져 있기 때문에, 땜납 및 플럭스는 그 오목부의 위치로부터 올라오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땜납 및 플럭스가 제 2 접속부에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 2 접속부와 다른 회로 기판의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ed part opened in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facing a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pposing part of a terminal. By forming such a recess on the side of the housing, even if solder and flux have risen between the side fac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the side of the housing by the capillary phenomenon, the gap between the side facing portion and the side at the position of the recess is increased. Since it is much wider, the solder and flux do not rise from the position of the recess. Therefore, since solder and flux do not reach a 2nd connection part, the favorable connection state of a circuit board different from a 2nd connection part can be ensu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가 하우징의 양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고, 그 측면 대향부에 의하여 하우징이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하우징이 불의의 외력을 받아도 그 하우징이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측면 대향부는 회로 기판에 땜납 고정되는 제 1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면과 맞닿아 그 하우징을 사이에 끼우기 때문에, 그 만큼 하우징의 유지력이 증대되어 유지가 확실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de opposing portions of the terminal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housing with elastic pressure, and the housing is sandwiched between the opposing side portions of the housing, even if the housing is subjected to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the housing remains uninterrupted. The deviation from a normal position can be prevented. Moreover, since the side opposing part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at the position near the 1st connection part soldered to a circuit board, and sandwiches the housing between them, the holding force of a housing increases by that much, and maintenance is ensured.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II-II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 는 도 1 의 전기 커넥터의 Ⅱ-Ⅱ 단면도로서, 단자 위치에서의 그 전기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1)(이하, 간단히 「커넥터 (1) 」이라고 한다) 는,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됨과 함께, 상방으로부터 부여된 다른 회로 기판과 접촉하고, 이러한 2 개의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다 (도 2 참조).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sectional view II-II of the electrical connector of FIG. 1,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t the terminal position. The electrical connector 1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in contact with another circuit board provided from above, such two circuit boards Is an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see FIG. 2).

커넥터 (1) 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의 하우징 (10) 과,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그 하우징 (10) 의 2 개 측면의 각각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후술하는 피유지부에서 그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 (20) 를 갖고 있다. 상기 2 개의 측면에 배열되는 단자 (20)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서 유지되고 있고, 복수 쌍을 이루고 있으며, 각 쌍을 이루는 단자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하, 하우징 (10) 의 양 측면의 단자끼리가 대향하는 방향 (도 2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을 「단자 대향 방향」이라고 한다.The connector 1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housing 1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housing 10 facing each other at right angles to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to be described later. The part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20 held in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s 20 arranged on the two side surfaces are hel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form a plurality of pairs, and the terminals forming each pair face each other. . Hereinafter, the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FIG. 2) which the terminal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 oppose is called "terminal opposing direction."

하우징 (10) 의 상기 양 측면은,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 위치에서, 도 1 및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부분이 단자 대향 방향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이루어 몰입되어 있고, 이 몰입 부분이 후술하는 단자 (20) 의 만곡부 (23) 를 수용하여 그 단자 (20) 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홈부 (11) 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유지홈부 (11) 는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10) 의 중앙부 근방까지 몰입되어 있다.Both sides of the housing 10 are immersed in the terminal posit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by forming a curved shap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convex in the terminal facing direction. The immersion portion is formed as a retaining groove portion 11 for accommodating the curved portion 23 of the terminal 20 described later and holding the terminal 20. As can be seen in FIG. 2, the retaining groove 11 is immers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housing 10 in the terminal opposing direction.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양 측면의 중간 부분에는, 도 1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자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쌍을 이루는 2 개의 돌조부 (12) 가 복수 쌍 형성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2 개의 돌조부 (12) 와 그 2 개의 돌조부 (12)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10) 의 측면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는 후술하는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부 (14) 로서 기능한다. 즉, 상기 쌍을 이루는 2 개의 돌조부 (12)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 (10) 의 측면은 수용홈부 (14) 의 바닥면을 이루고 있다. 이하, 그 측면을 「홈 바닥면 (13) 」이라고 한다.In the middle portions of the both side surfa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 two protrusions 12 forming a pai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t each terminal posit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 Are formed in plural pairs. A groove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which is located between two pair of protrusion parts 12 and the two protrusion parts 12, and this groove part accommodates the side opposing part of the terminal 20 mentioned later. It functions as a receiving groove 14 for the purpose. In other words,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s 12 constitu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14. Hereinafter, the side surface is called "groove bottom surface 13".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홈 바닥면 (13)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후술하는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의 길이 방향 (상하 방향) 의 일부에 대향하여 개구되는 몰입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몰입부 (15) 는 상기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1) 중앙부 근방까지 몰입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mmersion part opened in the up-down middle part of the said groove bottom face 13 opposing a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of the side opposing part 24 of the terminal 20 mentioned later. (15) is formed. The immersion part 15 is immersed to the vicinity of the center part of the connector 1 in the said terminal opposing direction.

하우징 (10) 의 상기 양 측면의 각 수용홈부 (14) 의 하방 위치, 즉 하단측 부분은,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대향 방향에서 상기 홈 바닥면 (13) 보다 하우징 (10) 의 중앙부측으로 몰입되도록 절결된 절결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절결부 (16) 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다.The downward position, ie, the lower end portion, of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14 on the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in the connector oppos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2. The notch 16 cut | disconnected so that it may be immersed to the center part side is formed. As shown in FIG. 2, the notch 16 is open downward.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 (1) 의 복수 쌍의 단자 (20) 중의 1 쌍을 하우징으로부터 꺼낸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 와 함께 도 3 도 참조하여 단자 (20) 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자 (20) 는 금속판을 타발 (打拔) 하여 얻어진 긴 띠 형상의 부재를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다. 그 단자 (20) 는 하단부에 형성되어 회로 기판 (P1) 과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21) 와, 상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회로 기판 (P2) 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 (22) 와, 그 제 2 접속부 (22) 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 (10) 의 유지홈부 (11) 내에 수용되는 가로로 누은 U 자 형상의 만곡부 (23) 와,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만곡부 (23) 와 제 1 접속부 (21) 를 연결하는 직선 형상의 측면 대향부 (24) 를 갖고 있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pair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20 of the connector 1 in FIG. 1 taken out from the housing. Hereinafter, the terminal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long with FIGS. 1 and 2. The terminal 20 is made by bending the long strip-shaped member obtained by punching out a metal plat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The terminal 20 has a first connection portion 21 formed at the lower end and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P1,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2 formed at the upper end and connected to the other circuit board P2, and the second A horizontally-shaped U-shaped curved portion 23 which extend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2 and is received in the holding groove portion 11 of the housing 10 and extends along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of the housing 10 to bend the curved portion. It has the linear side surface opposing part 24 which connects 23 and the 1st connection part 21. As shown in FIG.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만곡부 (23) 는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여 단자 대향 방향 (횡 방향) 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아암부와, 그 2 개의 아암부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가로로 누은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2 개의 아암부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하아암부는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피유지부 (23A) 로서 기능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피유지부 (23A) 의 양 가장자리에는, 그 피유지부 (23A) 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피유지 돌기부 (23A-1)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피유지 돌기부 (23A-1) 가 하우징 (10) 의 유지홈부 (11) 의 대향 내벽면으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그 피유지부 (23A) 가 유지된다. 또, 상기 2 개의 아암부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상아암부와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다른 회로 기판 (P2) 이 제 2 접속부 (22) 와 접촉했을 때, 그 제 2 접속부 (22) 의 탄성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을 갖는 탄성 아암부 (23B) 로서 기능한다. 그 탄성 아암부 (23B) 는,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 부분이 경사 상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고 하우징 (10) 상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 2 접속부 (22) 로 이행한다.As can be seen in FIG. 2, the curved portion 23 is composed of two arm portions extending in a terminal opposing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ends of the two arm portions. It is formed in a U-shape that is roughly horizontal. The lower arm portion located below the two arm portions functions as a holding portion 23A held by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held projections 23A-1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eld portion 23A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held portion 23A. The held portion 23A is held by the projection 23A-1 digging into the opposing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ding groove 11 of the housing 10. Moreover, the part which consists of the upper arm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located in the upper side among the said two arm parts, when another circuit board P2 contacts the 2nd connection part 22,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2nd connection part 22 is changed. It functions as an elastic arm portion 23B having flexibility that enables it. As can be seen clearly in FIG. 2, the elastic arm portion 23B is bent toward the inclined upper side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wall of the housing 10 to move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

측면 대향부 (24) 는 하우징 (10) 의 수용홈부 (14) 내에 수용되어, 상기 만곡부 (23) 의 피유지부 (23A) 의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 측면 대향부 (24) 는 도 2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에서 상기 홈 바닥면 (13) 사이에 간극을 갖고 있음과 함께, 하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 구체적으로는 몰입부 (15) 보다 하방 위치의 부분에서 상기 홈 바닥면 (13) 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다. 즉, 그 측면 대향부 (24) 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홈 바닥면 (13) 으로 향하고, 하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에서 접하도록, 바꾸어 말하면, 그 측면 대향부 (24) 와 홈 바닥면 (13) 의 간극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있다.The side facing part 24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art 14 of the housing 10, and the groove bottom face 13 of the housing 10 face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holding part 23A of the curved part 23. Extends along. As can be seen in FIG. 2, the side facing portion 24 has a gap between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in a portion near the top, and a portion near the bottom, specifically immersed.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at a portion below the portion 15. That is, the side facing part 24 faces the groove bottom face 13 gradually as it goes downward, and in other words, the side facing part 24 and groove bottom face ( 13) extends so that the gap gradually narrows.

도 2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 (21)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10) 의 바닥면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부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하우징 (10) 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접속부 (21) 는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 (P1) 의 대응 회로부 (도시 생략) 에 땜납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is bent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opposing portion 24 at a posi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as to form the housing 10. Extend in the direction away from Such a 1st connection part 21 is solderable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art (not shown) of the circuit board P1.

제 2 접속부 (22) 는 만곡부 (23) 의 탄성 아암부 (23B) 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 (10) 의 상면보다 상방 위치에서,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의 중앙부측으로 감기듯이 만곡되어 있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제 2 접속부 (22) 가 감긴 선단은 하방을 향하고 있다. 그 제 2 접속부 (22) 는, 만곡부 (23) 의 탄성 아암부 (23B) 및 그 제 2 접속부 (22) 의 휨 변형에 의하여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2nd connection part 22 extends from the elastic arm part 23B of the curved part 23, and it curves so that it may be wound to the center part side of the housing 10 in a terminal opposing direction in the upp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FIG. It is. As can be seen in FIG. 2, the tip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is wound downwar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is elastically displaceable by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astic arm portion 23B of the curved portion 23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다음으로, 커넥터 (1) 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 (1) 는 하우징 (10) 의 양 측면의 유지홈부 (11) 내로 단자 (20) 의 만곡부 (23) 를 볼록 만곡 부분측부터 압입하고, 그 단자 (20) 를 장착함으로써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만곡부 (23) 의 압입에 의하여 그 만곡부 (23) 의 피유지부 (23A) 의 피유지 돌기부 (23A-1) 가 유지홈부 (11) 의 내벽면으로 파고 들어가 단자 (20) 가 하우징 (10) 에 유지된다.Next, the assembly of the connector 1 is demonstrated. The connector 1 is assembled by press-fitting the curved portion 23 of the terminal 20 into the holding grooves 11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from the convex curved portion side, and mounting the terminal 20. Specifically, the holding projection 23A-1 of the holding portion 23A of the curved portion 23 digs in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lding groove 11 by press-fitting the curved portion 23 and the terminal 20. Is held in the housing 10.

단자 (2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측면 대향부 (24) 는 수용홈부 (14) 내에 수용된다. 또, 그 측면 대향부 (24) 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홈 바닥면 (13) 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고, 그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 가까운 위치에서 홈 바닥면 (13) 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는다. 이 결과, 하우징 (10) 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된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가 그 하우징 (10) 의 양 홈 바닥면 (13) 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음으로써, 복수 쌍의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의 양측 사이에 그 하우징 (10) 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로써, 커넥터 (1) 의 조립이 완료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terminal 20 is mounted on the housing 10, the side facing portion 24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portion 14. Moreover, the side surface opposing part 24 extends so that it may gradually approach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as it goes downward, and the elastic pressure may be equal to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in the position near the lower end of the side opposing part 24. Abuts. As a result, the side opposing portions 24 of the terminals 20 mount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 abut against each groove bottom surface 13 of the housing 10 with elastic pressure,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pairs. The housing 10 is sandwiched between both sides of the side opposing portions 24 of the terminal 20. In this way, the assembly of the connector 1 is comple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 는 하우징 (10) 의 각 수용홈부 (14) 의 하방 위치에 절결부 (16)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측 부분 및 제 1 접속부 (21) 가 하우징 (10) 과의 사이에 단자 대향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위치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notch 16 is formed in the downward position of each accommodating groove 14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side part and the 1st connection part 21 are located at intervals in the terminal opposing direction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10.

다음으로, 커넥터 (1) 에 의한 2 개의 회로 기판끼리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P1) 상에 배치되고, 제 1 접속부 (21) 와 회로 기판 (P1) 의 대응 회로부 (도시 생략) 가 땜납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 (P1) 에 장착되어 고정된다.Next, the connection of two circuit boards by the connector 1 is demonstrated. First, as shown in FIG. 2, the connector 1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circuit board P1, and the circuit board (not shown) is solder-connected by the 1st connection part 21 and the corresponding circuit part (not shown) of the circuit board P1. It is mounted on and fixed to P1).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결부 (16) 의 존재에 의하여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측 부분 그리고 제 1 접속부 (21) 와 하우징 (10) 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제 1 접속부 (21) 가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면, 땜납이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로부터 제 1 접속부 (21) 로 이행되는 굴곡 부분에까지 부착되어 땜납 필릿을 형성한다. 그 때, 상기 절결부 (16) 내, 즉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측 부분과 하우징 (10) 의 측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땜납 필릿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단자 (20) 나아가서는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P1) 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side portion of the side opposing portion 24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housing 10 due to the presence of the notch 16. have. Therefore,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is solder-connected with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the solder is attached from the side facing portion 24 of the terminal 20 to the bent portion which is transferr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to form the solder fillet. . In that case, since sufficient space is formed in the said notch 16, ie, between the lower end side part of the side opposing part 24,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 a solder fillet can be made large by that much. As a result, the terminal 20 and also the connector 1 can be fixed reliably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P1.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에는 몰입부 (15) 가 형성되어 있고, 그 몰입부 (15) 의 위치에 있어서,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와 홈 바닥면 (13) 의 간격이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와 홈 바닥면 (13) 사이를 땜납 및 플럭스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올라 왔다고 해도, 그 땜납 및 플럭스는 상기 몰입부 (15) 의 위치로부터 올라오지 않는다. 이 결과, 땜납 및 플럭스가 제 2 접속부 (22) 에까지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접속부 (22) 와 다른 회로 기판 (P2) 의 양호한 접속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immersion part 15 is formed in the groove bottom face 13 of the housing | casing 10, and the side facing part 24 of the terminal 20 in the position of the immersion part 15 is carried out. ) And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are large. Therefore, even if the solder and the flux have risen between the side facing portion 24 of the terminal 20 and the groove bottom surface 13 by the capillary phenomenon, the solder and the flux from the position of the immersion portion 15 It doesn't come up. As a result, since solder and flux do not reach the 2nd connection part 22, the favorable connection state of the 2nd connection part 22 and the other circuit board P2 can be ensured.

다음으로, 도 2 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회로 기판 (P2) 을 커넥터 (1) 의 상방으로 가져와 소정 위치에 설정한다. 이 다른 회로 기판 (P2) 이 소정 위치에 설정되면, 제 2 접속부 (22) 가 그 회로 기판 (P2)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 (도시 생략) 와 맞닿고, 제 2 접속부 (22) 및 만곡부 (23) 의 탄성 아암부 (23B) 가 하방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그 제 2 접속부 (22) 와 그 대응 회로부가 탄성 접촉된다.Next, as shown by the arrow of FIG. 2, the other circuit board P2 is brought above the connector 1, and is se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is other circuit board P2 is s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abuts against a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P2,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and the curved portion ( By elastically displacing the elastic arm portion 23B of the lower portion 23,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and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are elastically contac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속부 (22) 는, 단자 대향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중앙부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대향 방향에서 하우징 (10) 의 중앙부로부터 떨어진 방향을 향하여 만곡시켜 제 2 접속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탄성 아암부 (23B) 로부터 제 2 접속부 (22) 에 걸쳐서 탄성 변위 가능한 부분의 길이가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만큼, 제 2 접속부 (22) 의 탄성 변위량은 커지기 때문에, 그 제 2 접속부 (22) 를 충분한 탄성 변위량하에서 다른 회로 기판 (P2) 의 대응 회로부와 큰 접압을 갖고 접촉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is bent toward the center portion side of the housing 10 in the terminal facing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is bent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housing 10 in the terminal facing direction and thus secon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connection part is formed, the length of the part which can be elastically displaced from the elastic arm part 23B to the 2nd connection part 22 becomes large. Therefore, since the elastic displacement amount of the 2nd connection part 22 becomes large by that, it can contact the 2nd connection part 22 with a large contact pressure with the corresponding circuit part of the other circuit board P2 under sufficient elastic displacement amount.

이와 같이, 제 1 접속부 (21) 가 회로 기판 (P1) 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 커넥터 (1) 가, 제 2 접속부 (22) 에서 다른 회로 기판 (P2) 의 대응 회로부와 탄성 접촉함으로써, 그 회로 기판 (P1) 과 다른 회로 기판 (P2)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this way, the connector 1 hav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solder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P1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the other circuit board P2 a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The circuit board P1 and the other circuit board P2 are electrically connect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의 양 측면에 배열된 복수 쌍의 단자 (20) 의 측면 대향부 (24) 에 의하여 그 하우징 (10) 이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P1) 상에 장착된 후, 단자 대향 방향에서 불의의 외력을 받아도 그 하우징 (10) 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자 대향 방향에 있어서 그 하우징 (10) 이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ousing 10 is sandwiched by the side opposing parts 24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20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the connector 1 is a circuit board ( After being mounted on P1), the position of the housing 10 is kept fix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unexpectedly applied in the terminal opposing direction. In this way, the housing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ifted from the normal position in the terminal opposing direction.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면 대향부 (24) 가 하우징 (10) 의 홈 바닥면 (13) 과 맞닿고 그 하우징 (10) 을 사이에 끼우는 것은, 그 측면 대향부 (24) 의 하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 즉 회로 기판 (P1) 에 땜납 고정되는 제 1 접속부 (21) 에 가까운 위치의 부분이기 때문에, 그 측면 대향부 (24) 가 하우징 (10) 을 사이에 끼우는 것이 그 측면 대향부 (24) 의 상단 가까운 위치의 부분인 경우와 비교하여, 하우징 (10) 의 유지력이 커져 유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ide opposing part 24 abuts against the groove bottom face 13 of the housing 10, and sandwiching the housing 10 between them is a position near the lower end of the side opposing part 24. Since the side opposing portion 24 sandwiches the housing 10 between the side opposing portion 24, that is, the portion close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soldered to the circuit board P1, the side opposing portion 24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the position near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of the c), the holding force of the housing 10 is increased, so that the holding can be assur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이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하우징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우징의 양 측면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된 형상의 측면 대향부를 갖는 단자가 하우징의 양 측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형상의 단자가 장착됨에 따라서, 그 단자의 측면 대향부는, 그 하단 가까운 위치에서 하우징의 양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그 하우징을 사이에 끼운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mutually opposing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make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a circuit board was demonstrated, The shape of a housing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s both sides of a housing face upward, they are mutually close. It may be inclined to lose. In this case, terminals having side opposing portions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the circuit board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s the terminal of this shape is mounted, the side opposing part of the terminal abuts with elastic pressur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near the lower end thereof, and sandwiches the housing therebetween.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가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방을 향함으로써 하우징의 측면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단자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측면 대향부가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그 측면 대향부의 하단 가까운 위치의 일부가 하우징의 측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 만곡 부분이 하우징의 측면과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하우징을 사이에 끼우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side opposing part of a terminal is linear and extended so that it may become closer to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by facing downward, the shape of a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side opposing part is provided. While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the circuit board, a part of the position near the lower end of the side oppos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ly curved toward the side of the housing, and this convex curved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housing with an elastic pressure to contact the housing. I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양 측면에 배열되는 단자는,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 대신에 각 측면에 배열되는 단자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 있어,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re hel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but instead the terminals arranged on each side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You may hold | maintain in what is called a zigzag shape.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양 측면에 배열되는 단자의 수가 동수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 대신에 각 측면에서 서로 상이한 수의 단자가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erminal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is assumed to be the same, but instead, the number of terminals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arranged on each side.

1 커넥터 10 하우징
13 홈 바닥면 (측면) 15 몰입부 (오목부)
16 절결부 20 단자
21 제 1 접속부 22 제 2 접속부
23A 피유지부 24 측면 대향부
1 connector 10 housing
13 Groove bottom (side) 15 Immersion (concave)
16 cutout 20 terminals
21 First connection part 22 Second connection part
23A Hold part 24 Side facing part

Claims (3)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과, 서로 대향하는 하우징의 2 개의 측면에 각각 배열되고, 그 하우징에 의하여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그 단자가, 그 피유지부에 추가하여, 상기 회로 기판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제 1 접속부와, 그 회로 기판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다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제 2 접속부와, 그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 사이에서 상기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대향부를 갖고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측면 대향부는, 제 2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제 1 접속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측면에 탄성압을 갖고 맞닿아 있고, 일방의 측면에 맞닿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와 타방의 측면에 맞닿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가 하우징을 사이에 끼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An electrical connect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the housing comprising: a housing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each arranged on two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a holding portion held by the housing, wherein the terminal is held; In addition to the part, the 1st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edge part of the said circuit board side and connected with the circuit board, the 2nd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edge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ircuit board side, and connected with another circuit board, and the 1st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having a side fac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side surface between a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 side facing part of the terminal has a gap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close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buts with elastic pressure on the side surface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pposing portion of the terminal abutting the side oppos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sandwiched between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면에는, 제 1 접속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in which the notch part which forms a clearance gap with a 1st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면에는, 단자의 측면 대향부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대향하여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in which the recessed part which opens in the side surface of a housing and opposes a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pposing part of a terminal is formed.
KR1020100115103A 2009-12-08 2010-11-18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KR1016256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8320 2009-12-08
JP2009278320A JP4854096B2 (en) 2009-12-08 2009-12-08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848A true KR20110066848A (en) 2011-06-17
KR101625691B1 KR101625691B1 (en) 2016-05-30

Family

ID=4428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103A KR101625691B1 (en) 2009-12-08 2010-11-18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54096B2 (en)
KR (1) KR101625691B1 (en)
CN (1) CN102157808B (en)
TW (1) TWI437769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0950B2 (en) 2014-08-01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card socket having a terminal with a loop-shaped por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0652B2 (en) * 2011-10-11 2016-06-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Circuit assembly, method of assembling circuit assembly, electrical connector
JP2017092020A (en) * 2015-11-10 2017-05-25 山一電機株式会社 Module connector
EP3451465A4 (en) 2016-04-28 2019-04-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unting fit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0243A (en) * 1995-03-15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ng structure
JPH0982430A (en) * 1995-09-14 1997-03-28 Amp Japan Ltd Electric connector and its manufacture
JP2001135382A (en) 1999-11-04 2001-05-18 I-Pex Co Ltd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parallel substrates
JP2002015793A (en) * 2000-06-30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holding structure
US6625881B2 (en) 2001-09-11 2003-09-30 Xytrans, Inc. Solderless method for transferring 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signals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s
JP2004127611A (en) * 2002-09-30 2004-04-22 Jst Mfg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682655B2 (en) * 2002-10-28 2005-08-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2004165694A (en) * 2004-01-13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rinted board connection structure
JP3991988B2 (en) * 2004-01-13 2007-10-17 松下電工株式会社 PCB connection structure
JP2006120448A (en) * 2004-10-21 2006-05-11 Sony Corp Mounting structure for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0950B2 (en) 2014-08-01 2016-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circuit card socket having a terminal with a loop-shaped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7808A (en) 2011-08-17
TWI437769B (en) 2014-05-11
KR101625691B1 (en) 2016-05-30
JP2011124010A (en) 2011-06-23
JP4854096B2 (en) 2012-01-11
TW201131899A (en) 2011-09-16
CN102157808B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079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metal fittings and guide portions
JP4592462B2 (en) Board connector
JP4526428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JP4912187B2 (en) Surface mount connector
JP5553502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JP6712794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used for the connector
JP2015228341A (en) connector
JP6006356B2 (en)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JP5356621B1 (en) connector
JP2021048099A (en) Floating connector
KR20110066848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JP2019149325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for circuit board
JP2014049331A (en) Substrate connector
US20090137140A1 (en) Floating-type connector
CN114514657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14165065A (en) Connector
JP4536120B2 (en) Connector and hermaphroditic connector
JP2014165091A (en) Connector
JP4498890B2 (en) Pair of header contacts and header connector using the same
JP2019149326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KR20120134005A (en) Electric connector
CN110729575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2020068060A (en) connector
JP6095412B2 (en) connector
KR102442364B1 (en) probe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