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443A - 의료용 절개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절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443A
KR20110065443A KR1020117003757A KR20117003757A KR20110065443A KR 20110065443 A KR20110065443 A KR 20110065443A KR 1020117003757 A KR1020117003757 A KR 1020117003757A KR 20117003757 A KR20117003757 A KR 20117003757A KR 20110065443 A KR20110065443 A KR 2011006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blade
rotating element
medical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961B1 (ko
Inventor
지안 핑 선.
디오 히 에드몬드 탄
훼 친 링
Original Assignee
메디퍼포즈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퍼포즈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메디퍼포즈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06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59Improved gripping, e.g. with high friction pattern or projections on the housing surface or an ergonometric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42Blade-like piercing elements, e.g. blades, cutters, knives, for cut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85Preventing re-use
    • A61B5/150916Preventing re-use by blocking components, e.g. piston, driving device or fluid passagew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1Semi-automatically triggered, e.g. at the end of the cocking procedure, for instance by biasing the main drive spring or when reaching sufficient contact pressure, the piercing device is automatically triggered without any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26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 A61B5/15128Means for controlling the lancing movement, e.g. 2D- or 3D-shaped elements, tooth-shaped elements or sliding guides comprising 2D- or 3D-shaped elements, e.g. cams, curved guide rails or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 A61B5/15144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piercing unit into the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절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절개 장치에서 회전요소는 트리거에 의해 작동되고, 절개 블레이드는 유연한 커넥터에 의해 회전요소에 부착되고, 캠 요소는 환부를 절개할 때 블레이드를 본질적으로 포물선 경로로 움직이게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절개 장치{A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본 발명은 의료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부를 절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란셋에 관한 것이다.
란셋은 환부를 절개하기 위해, 예를 들면 혈액을 체취하기 위해 유아의 뒤꿈치를 절개하는데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작고 손에 들고 사용가능한 의료용 절개 장치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란셋을 종종 "힐 스틱(heel sticks)"이라고 부른다. 수많은 종래의 란셋이 제안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몇가지를 열거하면 미국 특허 5,314,441; 5,951,582; 6,221,089를 포함한다. 그러나, 모든 종래의 란셋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비이상적인 형상의 절개부를 발생시키고, 원하는 것보다 더 많은 고통을 유발하고, 다른 의료인에 의해 사용됨에 따라 절개부가 변화되기 쉽다. 게다가, 종래의 란셋은 제조비용이 매우 비싸고, 일단 한번 사용되고 나면 폐기 처분해야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란셋의 문제점을 제거 또는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의료용 절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절개 장치는 회전요소, 트리거 및 블레이드가 실질적으로 포물선 경로로 절개하는 움직임을 가지도록 회전요소에 유연하게 연결되는 절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도 1은 란셋의 하단의 정면도;
도 2는 란셋의 평면도
도 3a은 트리거 버튼의 사시도;
도 3b는 트리거 버튼의 정면도;
도 4는 절개 메카니즘이 설치되기 전에 케이싱의 하부 내측 벽의 평면도;
도 5는 제1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로서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제2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로서 평면도;
도 8은 제3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로서 평면도;
도 9는 대략 절개의 중간지점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평면도;
도 10은 절개 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로서 평면도;
도 11은 중심을 벗어난 포물선 모양의 블레이드의 절개 경로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개 경로의 확대도;
도 13은 란셋의 제2구현예에 따른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상부커버가 제거된 제2구현예의 평면도;
도 16은 제1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의 제3구현예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선 17-17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은 제2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3구현예의 평면도
도 19는 제3절개 전 위치에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3구현예의 평면도
도 20은 절개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3구현예의 평면도
도 21은 절개 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3구현예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선 22-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3은 제1절개 전 위치에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4구현예의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선 24-24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5는 제2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4구현예의 평면도
도 26은 제3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4구현예의 평면도
도 27은 절개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4구현예의 평면도
도 28은 절개 후 위치에서 절개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제4구현예의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란셋(Lancet)의 메카니즘은(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 케이싱(upper casing half;14)과 하부케이싱(lower casing half;16)으로 구성된 클램셀 케이싱(clam shell;대합조개) 안에 수용된다. 상기 케이싱은 도 1의 일부 단면에서 보듯이 각 케이싱의 둘레부에서 예를 들면 핀(18)과 홀(20)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또한, 접착제 또는 주지된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이 사용중에는 측면이 되도록 케이싱은 사용자의 손으로, 엄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 사이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작은 란셋을 최대한 고정하기 위해,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불규칙하고 고마찰 돌출부, 예를 들면 상방향으로 돌출된 원형부(22) 및/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와플 패턴(waffle pattern;24)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형태의 고마찰 표면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기 케이싱(12)은 환부를 절개하기 위해 절개 블레이드(30)가 케이싱에서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2개의 케이싱의 가장자리부(28-29)에 슬롯(26)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26)에 인접한 가장자리부(28-29)는 예를 들면 유아의 뒤꿈치 부분과 같은 환자의 절개영역에 맞는 개량된 작업계(ergometric)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슬롯의 위 아래(32)에 경사져 있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란셋(10)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는 케이싱의 바깥쪽 표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홈(21) 안에 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측벽(19)을 가지는 트리거 버튼(trigger button;34)을 포함한다. 트리거 버튼(34)은 홀더(54)에 설치되는 블레이드(30)를 포함하는 절개 메카니즘을 작동시키고, 다음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트리거 버튼의 상부 표면(33)은 버튼을 하방향으로 누르도록 사용자의 집게손가락에 의해 눌려지고, 바람직하게 버튼으로 주조된 예를 들면 복수의 이랑(ridge) 및 홈(groove;33)와 같은 고마찰 표면이 버튼의 상부에 제공된다. 또한 물론 트리거 버튼을 누를 때 사용자의 집게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고마찰 표면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3b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트리거 버튼은 케이싱의 내부면에서 홈(36)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는 한쌍의 다리(37)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의 버튼부는 케이싱의 바깥쪽에서 홈(39) 안으로 미끄러지는 두개의 확장된 단부(38)를 포함한다. 홈(39)의 상단부는 확장된 단부가 홈(39) 안에 고정되도록 밀폐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이 란셋의 제조 중에 일단 케이싱에 삽입되면 버튼은 수직방향의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연히 트리거 버튼의 누름을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세이프티 록(safty lock;40)이 제공된다. 도 1-10에 도시된 바에 따른 제1구현예에서 세이프티 록은 수동으로 제거가능한 록(40)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록은 버튼(34)에 기대어지는 상단과 가장자리부(28-29)에 대하여 눌려지는 하단에 손잡이부(41)를 가진다. 상기 록은 버튼(34)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홀에 수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록킹핀(42)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트리거 버튼(34)은 우연히 눌려질 수 없지만, 오히려 사용자가 록(40)을 당겨 케이싱과 트리거 버튼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킨 후에 눌려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싱(16)은 절개 메카니즘의 설치 전에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하부 케이싱(16)은 유도캠(47)과 트레일링 캠(48)을 가지는 V-형 캠(CAM;46)을 포함한다. 캠(46)은 또한 V-형 슬롯(70)과 제2셋트의 캠 표면(49,73)을 가진다. 상세한 캠의 작용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5로부터 예를 들면 캠 표면(47,48)은 블레이드 홀더(54)에 설치된 제2캠 종동핀(follower pin;66)에 의해 접촉되고, 캠 표면(49,73)은 블레이드 홀더(54)에 설치된 제2캠 종동핀(68)에 의해 접촉된다. 캠(46)은 별개의 요소로 제조되고 케이싱(16)에 고정되지만, 캠이 한 피스(piece), 즉 케이싱(16)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표면부로 케이싱의 내부면에 주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캠(46)은 케이싱(16)의 두꺼운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고, 도 4-6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한 것처럼 중심부에 위치한 홀 또는 저널(journal;45)을 포함하고, 스터브 샤프트(52)를 수용하기 위해 이하에서 더 설명된다. 물론 캠부와 저널부는 일체화되는 것으로 도시될 수 있지만, 그것들은 두개의 분리된 피스로 주조 또는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4)은 케이싱이 조립될 때 스터브 샤프트(52)가 저널의 양끝에서 체결되도록 저널(45')을 가진 동일한 거울 이미지의 캠을 포함한다.
내부 절개 메카니즘은 도 5-10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절개 메카니즘은 주지된 수단에 의해 블레이드 홀더(54)에 고정되는 이전에 설명된 블레이드(3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홀더(54)는 상대적으로 얇은 C-형 스프링 요소(element;72)에 의해 일체의, 한 개(piece)의 요소로서 바람직하게 주조되는 이전에 설명된 스터브 샤프트(52)를 가지는 회전 허브 플레이트(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축(52)은 저널(45)에서 회전하고, 허브 플레이트(50)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한다. 허브 플레이트(50)는 트리거 버튼(34)의 이격 다리(leg;37) 사이에 수용되는 부드럽거나 원형의 단부(58)를 가지는 일체의, 한 개의 트리거 암(56)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버튼의 누름으로 인해 플레이트(50)가 저널(45)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허브 플레이트(50)는 이하 "트립암"으로 불리워지는 제2암(60)을 더 포함하고, 도 5에 도시된 미리 절개되는 위치에서 암의 단부(61)는 케이싱의 돌출되는 정지부(62)에 기대어 지지된다. 주조된 플라스틱과 같은 한개 플레이트(50)의 구조 및 단면적으로 인해, 트립암(60)은 미리 결정된 양의 유연성을 가진다. 따라서, 트리거 버튼(34)이 눌리면 단부(61)는 딸깍 거리며 정지부(62) 위로 재빨리 이동하고, 그리고 암(56,60), 블레이드 홀더(54)를 포함하여 한개 허브 플레이트(50) 전체가 도 5에 도시된 절개 전의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절개 후의 위치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재빨리 회전한다. 절개 전과 절개 후 사이의 이러한 전체 움직임은 사실상 순식간에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다음의 뚜렷한 단계의 움직임으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위치까지 수동으로 버튼(34)을 누른 후, 버튼의 하방향 움직임은 정지된다. 왜냐하면 버튼의 버튼부(35)는 케이싱에서 홈(21)의 상단(23)에 닿게 되거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버튼의 다리(37)가 홈(36)의 닫힌 끝에 닫게 된다. 여하간에 버튼의 움직임이 정지됨에 따라 허브 플레이트(50)와 블레이드(30)의 회전운동은 각 부품들의 운동량에 기인한 것이고 사용자의 힘 또는 손재주와 별개다. 이것은 받침대(abutment;62) 위로 이동하기 전에 유연한 핑거에 짜맞춘 기본적인 힘에 기인한 것이고, 이 힘은 매우 높은 아치형의 속도 및 운동량을 전체 한개 플레이트와 블레이드에 부여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 플레이트(50)는 축(52)을 중심으로 계속해서 회전하고, C-형 텐션 스프링(72)은 캠 종동부(66)를 유도캠 단부(47)에 접촉시키면서 블레이드 홀더(54)에 지지한다. 왜냐하면 V-형 캠 때문에, 블레이드는 슬롯(26)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되고, 캠 종동부는 캠 표면(73)을 따라 미끄러진다. 이러한 운동은 허브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동안 계속됨으로써, 암(drawing;56)과 단부(58)를 버튼(34)의 이격된 다리(37) 사이에 하방향으로 잡아당기고, 블레이드(30)는 도 8에 보여준 바와 같이 슬롯(26)의 오른쪽에 접근한다.
도 9는 환부에 가장 깊게 침투된 지점에서 절개를 보여준다. 이 지점에서, 캠 종동부(66)는 유도캠 표면(47)의 끝에 있고, 트레일링 암 표면(48)을 따라 상방향으로 막 움직이려고 한다. 또한 캠 종동부(68)는 블레이드 홀더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텐션스프링(72)으로 인해 슬롯(70)의 캠 표면(49)을 따라 상방향으로 막 움직이기 시작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게다가, 허브 플레이트(50)는 추가암(74)과, 블레이드 홀더(54)로부터 암(74)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76)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람직하다면 암(74)의 형상과 각도, 및 돌출부(76)의 길이는 암이 돌출부를 이용하여 절개 단계에서 블레이드 홀더에서 누름력을 증가시키도록 만들어지게 디자인될 수 있다. 그러나, 암(74)과 돌출부(76)가 전체적으로 제거됨으로써 메카니즘의 비용 절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힘이 전체적인 절개 메카니즘의 실질적인 운동량 이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블레이드가 절개를 완료한 최종적인 절개 후 위치를 도시하고, 그 블레이드는 가까이에 있는 의료인에게 위험하지 않도록 케이싱의 내부로 전체가 쑥 들어가게 된다. 블레이드와 홀더의 이러한 움직임은 미리 결정된 인장되지 않은 형상으로 복귀되는 스프링(72)의 작용 아래에서 캠 종동부가 슬롯에서 빠져나오도록 캠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opening;71)의 제공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 1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 B는 블레이드(30) 단부의 절개 경로를 도시하고, 블레이드의 절개경로가 전체적으로 들쑥날쑥함이 없이 부드러운 곡선임에 주목해야한다. 또한 절개경로의 초기 부분 X는 상대적으로 날카롭고 환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슬롯(26)에 대하여 45도보다 작은 예리한 각도이다. 이것은 Z 부분에서 깨끗하게 실질적으로 끌어당겨질 때까지 더욱 넓게 된 깨끗하고 날카로운 초기 절개를 발생시키고, 이 Z 부분은 예리한 각도이긴 하지만 X 부분보다 덜 예리하다. 이하에서 "중심을 벗어난 포물선"이라고 불리고, 이와 같이 정확하게 정의되는 경로는, 받침대(62) 위로 올라가기 전에 암(60)의 저장 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블레이드의 고속운동 및 운동량과 협력하여, 실질적으로 덜 고통스러운 방법으로 필요한 혈액량을 발생시키는 실질적으로 개선된 절개를 형성하기 위해 발견되었다. 또한 절개의 속도와 정확성은 사용자의 손가락 운동의 강도 또는 솜씨에 관계없이 절대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불균일한 압력 또는 구동스프링의 갑작스런 움직임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들쑥날쑥한 절개를 자주 발생시키는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란셋은 환자, 보통은 유아에게 가해지는 고통이 덜하면서 혈액 샘플을 얻기 위해 깨끗하고 부드럽고 들쑥날쑥하지 않은 이상적인 형상의 절개를 형성한다. 게다가 모든 이동 부품과 절개 메카니즘의 요소가 단일의 한개의 요소를 포함한다는 사실은 전체 메가니즘이 이전에 가능한 것보다 실질적으로 비용이 덜 들게끔 한개의 허브 플레이트만을 주조함으로써 제조되는 매스가 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단부의 절개 경로와, 결과적으로 절개 형상은 블레이드 단부가 피부로 들어가서 깊이 D로 침투할 때 절개의 폭 W 방향으로 운동성분을 가진다. 그 다음, 상기 단부는 B에서 부드럽게 거꾸로 올라가는 곡선을 그리며, 그 다음 블레이드가 폭을 따라 더 작은 성분의 움직임과, 최소의 절개 폭으로 블레이드를 뒤로 빼게 하는 절개의 깊이 방향으로 더 큰 성분의 움직임을 가지는 경로 Z를 따라 빠진다. 이와 같이 정확하게 정의된 결과, 반복적인 절개 형상, 절개의 폭과 깊이는 최소화되고, 완전하게 충분한 혈액 샘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구현예는 도 13-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구현예의 절개 메카니즘은 이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고,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 1-12와 동일하게 도 13-15에 적용된다. 제1구현예로부터 제2구현예의 차이점은 적극적인 세이프티 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도 13 및 15에서 가장 명확하게 보인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케이싱(14,16)의 각각은 케이싱의 각 측면에 두개의 회전되는 레버를 만들기 위해 아치형 슬롯(80,80',81,81')을 가지며 절개된다. 각각의 두개의 회전된 레버는 상대적으로 큰 부분(86,86')과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87,87')을 가진다. 슬롯 사이에서 케이싱은 더 작은 부분에 비해 레버의 큰 부분의 움직임을 경사지게 하는 것을 허용하는 피벗(pivot) 기능을 하는 연결부(82,82',84,84')를 형성하기 위해 절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가 엄지와 중지손가락으로 일부(86,86')를 란셋 안으로 누르고, 더 작은 부분(87,87')은 케이싱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도 14에서 가장 명확하게 보인 바와 같이 록킹핀(88,88')은 더 작은 회전레버부(87,87')에 연결되어 이 회전레버부에 의해 운반된다. 상기 레버가 눌리지 않으면, 록킹핀(88-88')은 절개 메카니즘으로 연장되고, 암(ARM) 중 하나를 허브 플레이트(50), 예를 들면 암들(56,60) 사이에 고정한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암들(56,60)은 도 14 및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 얇은 부분(83)과 더 두꺼운 단부(85)로 구성된다. 따라서, 레버부(86,86')가 눌리지 않으면 록킹핀은 더 두꺼운 부분(85)의 단부를 고정한다. 이러한 록킹 상태는 암(56,60)의 움직임을 방지함으로써 허브 플레이트(50)를 고정 및 록킹 위치에 고정한다. 그러나, 회전레버부(86,86')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고, 일부(87,87')가 케이싱의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록킹핀을 암(56,60)과의 고정으로부터 당김으로써 이전에 설명된 것처럼 회전운동을 위해 허브 플레이트를 해제시킨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2구현예는 제1구현예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모든 기능과 이점을 가지고, 다른 형태의 회전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핀, 받침대 또는 이와 같은 것에 의해 고정되는 홀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여질 것이다.
이하, 도 16-21을 참조하여 또 다른 구현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구현예에서 요소들의 대다수는 이전에 설명된 것들과 동일하고, 동일한 요소들에 동일한 번호가 적용된다. 도 16-21의 각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구현예의 첫번째 차이점은 트리거 버튼(34)이 일체의, 한 개 부분의 허브 플레이트(50),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주조된 부분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50)의 중간연결부(89)에 의해 연결된다.
이전에 설명된 구현예와의 제2차이점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일체의, 한 개 부분의 허브 플레이트(50)인 록킹 탭(90)의 제공이다. 도 16 및 17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 탭(90)은 케이싱 사이에 형성된 슬롯(94)을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슬롯의 하단에서 탭의 버튼 단부(91)가 케이싱을 때림으로써 버튼을 우연하게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탭(90)은 또한 홈 또는 다른 취약한 부분(92)을 포함하고, 절개하기 위해 란셋을 사용하기 전에 이 취약부에 의해 록킹 탭이 사용자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탭(90)을 파괴하면 플레이트의 연결부(89)가 슬롯(94)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화살표 A방향으로 허브 플레이트(50)를 회전시키는 것에서 자유롭게 된다.
이전에 설명된 것으로부터 이 구현예의 제3차이점은 도 21 및 22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후 록의 제공이다. 이 절개 후 록에 의해 절개 후 케이싱으로 복귀되는 블레이드가 절개 후 위치에 적극적으로 록킹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이러한 절개 후 록은 주조되거나 각 케이싱의 내표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돌출부(96,9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허브 플레이트(50)에 의해 운반되는 한쌍의 멈춤쇠(98,98')의 바닥 표면에 의해 고정되는 부드럽고 약간 경사진 표면이 돌출부(96,96')에 제공된다. 따라서, 도 22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 플레이트(50)가 거의 완전한 회전운동을 완료하면, 블레이드는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싱의 안전한 위치로 복귀하고, 플레이트의 마지막 운동으로 멈춤쇠(DETENT;98,98')가 케이싱 벽(WALL)의 약간의 유연성으로 인해 약간 뻗은 돌출부(96,96') 아래 및 사이에 하방향으로 강제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허브 플레이트가 돌출부(96,96')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 플레이트(50), 블레이드 홀더(50) 및 블레이드(30)는 어느 근접한 의료인에게 상해를 가하지 않기 위해 적극적으로 안전한 복귀 위치에 록킹된다.
이러한 구현예의 작용의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트리거 버튼을 사용자의 집게손가락으로 아래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허브 플레이트(50)가 회전되는 것에서 자유롭게 하는 록킹 탭(90)을 파괴한다. 그러나, 이때 핑거(61)는 받침대(62)와 연결되고, 그것의 길이와 탄성 정도는 힘의 어느 정도가 버튼을 아래로 누르는데 필요한 것이다. 사용자가 버튼에 더 큰 압력으로 힘을 증가시킴에 따라, 최종적으로 핑거(61)는 받침대(62) 위로 재빠르게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플레이트(50)는 화살표 A방향으로 매우 빨리 회전된다. 허브 플레이트의 고속은 충분한 운동량을 생성시켜 도 18-21에 도시된 절개 및 절개 후 위치를 통해 이전 구현예에서 설명된 것처럼 캠(46)의 캠 표면과 스프링(72)의 작용 하에서 플레이트와 블레이드를 완전하게 운반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에서 필요한 전체 힘은 운동량에 의해 제공되고, 단지 사용자의 손가락은 버튼을 최종 위치로 누르기 보다 버튼의 운동을 따라간다.
또한, 이러한 구현예의 란셋은 수동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이 수동모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 16 내지 도 21의 위치로부터 그 경로를 따라 버튼을 계속해서 누름으로써, 더 작은 속도 및 따라서 더 작은 운동량을 발생시키는 더 짧은 및/또는 더 유연한 핑거(61)의 사용으로부터 생기는 더 작은 양의 운동량을 보조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이러한 구현예의 란셋은 한가지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이 방법에 의해 핑거(61)의 디자인은 충분한 운동량을 생성하여 수동적인 보조 없이 필요한 절개를 하기 위한 것이지만, 추가의 수동적인 힘은 절개가 완료된 후 버튼에 적용된다. 즉, 추가의 수동적인 힘이 최종 단계에서 보조하여 멈춤쇠(98)가 돌출부(96)를 관통하고 블레이드를 케이싱에 후로킹(POST-LOCK)시킨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블레이드 홀더(54)는 첫번째의 구현예에서처럼 돌출부(7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돌출부(76)의 크기와 모양 및 허브(50)의 일부(99)는 상기 일부(99)가 돌출부(76)를 때림으로써 절개하기 위한 운동량의 힘을 보조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첫번째 구현예에서처럼 돌출부(76)는 제거될 수 있고, 란셋은 상기 두개의 설명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현예의 특정한 구성에 맞게 설계되는 운동량의 특별한 양을 생성하기 위해 설명된 구현예의 각각에 핑거(61)의 특별한 설계가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또 다른 구현예를 도 23-2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구현예의 요소의 대다수는 이전의 구현예의 요소들과 동일하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 관한 번호만 도 23-27에서 요소에 적용된다. 이전 구현예로부터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27 각각에 보인 바와 같이, 이 구현예의 첫번째 차이점은 트리거 버튼(34)이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된다. 트리거 버튼의 형상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의 형상에 맞도록 되어 있다. 이 형상은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더 작은 스트레인(STRAIN;변형률)을 생성시킨다.
두번째 차이점은 트리거 버튼(34)에 인접한 상부케이싱(14)과 하부케이싱(16)의 형상(150)이 트리거 버튼의 이동거리를 감소시키도록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그 형상의 일부(151)가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트리거 암의 더 짧은 이동 거리를 발생시킨다. 상부케이싱(14)과 하부케이싱(16)은 서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60)을 포함한다.
세번째 차이점은 하부케이싱을 향해 상부케이싱의 주요 벽 중 하나 또는 상부케이싱을 향해 하부케이싱의 주요 벽 중 하나의 내측 경사에 저항하기 위해, 하우징의 센터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하우징(160)에 작은 돌출부 또는 핀과 같은 보강구조(165)의 제공이다. 상기 보강구조(165)는 바람직하게는 캠(46)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핀의 목적은 상부 및 하부케이싱 사이의 갭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절개 장치를 잡을 때 케이싱이 블레이드 홀더(54)에 끼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블레이드 홀더가 꼭 끼게 될 때, 그것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절개 장치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네번째 차이점은 연속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블레이드 홀더(54)에서 융기선(RIDGE;170)이 제공되는 것이고, 오는 사람(COMER)들이 움직이는 캠(46)의 측면으로부터 우연히 막히게 되면 블레이드 홀더 허브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오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다섯번째 차이점은 유도캠 표면(47)이 이전의 구현예와 비교할 때 더 길다는 점이다. V 캠 형상의 더욱 긴 유도캠 표면을 가짐으로써, 절개 길이가 증가될 것이다.
그 다음 차이점은 하우징(160)의 하부케이싱(16)과 암(60)에서 받침대(62)의 배치 및 형상이다. 받침대(62)의 단부에서 제1정지부(STOP;175)와 암(60)에 대응하는 걸림부(CATCH;180)가 제공된다. 상기 암은 탄성이 있는 암이고, 걸림부는 절개 전 위치에서 제1정지부(175)에 걸려 있다. 사용자가 트리거 버튼을 누르면, 회전되는 허브 플레이트(50)는 회전하고, 이로 인해 걸림부가 제1정지부로부터 해제되는 경사진 위치로 암(60)의 경사가 이루어진다. 경사진 후 암(60)과 회전되는 요소(50)의 위치는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회전되는 요소가 경사지면 회전되는 요소는 절개 블레이드가 절개 위치를 통해 움직이면서 회전 및 빨리 이동하는 것에서 자유롭게 된다. 걸림부(180)가 제1정지부(175)로부터 완전히 해제되기 전에 걸림부와 제1정지부가 있음으로 인해 커팅 블레이드의 약간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절개 블레이드의 조기 노출을 방지한다. 바꿔 말하면 이러한 전후관계에서 조기 노출은 절개 블레이드가 절개 위치를 통해 최고 속도로 움직이기 전에 하우징의 슬롯(26)에서 바깥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마지막 차이점은 하우징(160)의 하부케이싱(16)에 제2정지부(185)를 제공하는 것이다. 블레이드 홀더가 회전되는 요소의 회전작용 중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에 응력이 유연한 스프링 요소(72)에 축적되고,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되고, 탄성 한도 이상의 힘의 작용으로 인해 길이가 늘어난다. 이어서 블레이드 홀더가 움직임에서 자유로워지면 길어진 스프링 요소(72)는 절개 블레이드(54)를 슬롯(26)의 바깥에서 누르고, 절개 블레이드는 자유롭게 매달리고 사용자에게 위험을 준다. 스프링 요소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2정지부(185)는 응력이 스프링 요소에 축적되는 경우에 스프링 요소가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Claims (30)

  1. a) 트리거 암을 포함하는 회전 요소;
    b) 절개 블레이드;
    c) 상기 회전 요소에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유연한 스프링 요소; 및
    d) 상기 트리거 암의 움직임과 동시에 포물선 경로를 따라 상기 블레이드를 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위치로 및 절개 위치를 통해 움직이기 위해 상기 유연한 스프링 요소와 함께 작동하는 크기와 모양의 캠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는 상대적으로 유연한 암과, 상기 유연한 암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트리거 암의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유연한 암이 유연하여 고정수단을 이길 수 있을 때까지 상기 회전요소의 회전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캠 표면과 트레일링 캠 표면을 가지는 V-형 캠과, 상기 유도 및 트레일링 캠 표면을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캠 종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V-형 슬롯과, 블레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슬롯에 결합되는 캠 종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요소가 절개 전 위치에서 블레이드의 절개 위치로 및 절개 위치를 통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슬롯은 상기 블레이드가 실질적으로 선형 경로로 움직이도록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암에 연결되는 트리거 요소를 포함하고, 트리거 버튼을 누름으로써 회전요소를 블레이드의 절개 전 위치에서 블레이드의 절개 위치를 향해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블레이드 홀더와, 상기 블레이드 홀더와 결합으로 회전하는 회전요소에 연결되는 제3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리거 요소와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록(LOCK)을 포함하고, 상기 록은 돌출부가 상기 트리거 요소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회전요소를 잠금 위치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상기 트리거 요소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와 트리거 암과 유연한 암은 단일의, 한개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록을 포함하고, 상기 록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는 회전레버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때까지 절개 블레이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로킹핀을 가지는 제2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1. a) 회전요소;
    b) 절개 블레이드;
    c)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블레이드 홀더;
    d) 상기 회전요소에 블레이드 홀더를 연결하는 유연한 스프링 요소; 및
    e) 상기 회전요소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블레이드 홀더와 블레이드를 직선 방향으로 복귀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 블레이드 홀더와 함께 작동하는 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스프링은 C-형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 홀더가 복귀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의 모양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트리거 요소를 포함하고, 유연한 스프링은 인장 하에서 블레이드 홀더를 연장 위치에서 최종 복귀 위치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와 트리거 요소는 단일의, 한개의 요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와 트리거 요소와 블레이드 홀더는 단일의, 한개의 요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한개의 요소는 단일의 주조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거가능한 적극적인 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적극적인 록을 포함하고, 상기 록은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요소는 회전요소의 록킹 위치로 및 록킹 위치에서 움직이기 위한 록킹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19. a) 환부에 절개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 블레이드; 및
    b) 중심에서 벗어난 포물선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를 따라 절개 수단을 절개 전 위치에서 연장된 절개 위치를 통해 복귀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계적인 수단;
    을 포함하는 란셋.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블레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 경로는 상기 슬롯에 대하여 예리한 각도로 연장되는 제1경로부와, 상기 블레이드 슬롯에 대하여 덜 예리한 각도로 연장되는 제2경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회전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요소의 질량과 속도는 절개부의 절개 시 추가적인 힘을 작용시키지 않고 절개부를 절개하기 위해 상기 회전요소가 회전운동을 하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회전요소와, 상기 회전요소에 연결된 트리거 암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요소의 질량과 속도는 블레이드를 절개 전 위치에서 경로를 통해 복귀 위치로 향해 움직이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23. a. 트리거 암을 포함하는 회전요소;
    b. 절개 플레이트;
    c.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요소에 연결하는 유연한 스프링 요소;
    d. 상기 트리거 암의 움직임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포물선 경로를 따라 절개 전 위치에서 절개 위치로 및 절개 위치를 통해 블레이드를 움직이기 위해 상기 유연한 스프링 요소와 함께 작동하는 크기와 모양의 캠 요소; 및
    e. 상기 회전요소에 연결되어 운반되고, 파괴되기 전에 회전요소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깨지기 쉬운 록킹 요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트리거 암과 견고하게 연결되는 트리거 버튼을 포함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와 트리거 암과 상기 버튼은 단일의, 한개의 요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26. 청구항 23에 있어서, 회전요소에 의해 운반되는 제1록킹수단과, 복귀되는 절개 후 위치에서 블레이드 홀더를 록킹시키기 위해 정적으로 일치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27. a. 회전요소;
    b. 상기 회전요소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c. 절개 블레이드 홀더;
    d. 상기 블레이드 홀더를 회전요소에 연결하는 스프링 수단; 및
    e. 상기 블레이드 홀더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요소의 회전운동 중 회전요소에 의해 회전되도록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셋.
  28. 청구항 1에 있어서,
    a. 제1정지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b. 회전요소는 탄력있는 암에 설치되어 절개 전 위치에서 블레이드와 함께 제1정지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를 가지고, 회전요소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트리거 암의 작용에 따라 하우징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힘으로 인해 탄력있는 암을 편향된 위치로 편향시켜 걸림부가 제1정지부로부터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절개 블레이드가 탄력있는 암의 작용에 의해 보조되며 절개 위치를 통해 움직여 편향된 위치로부터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유연한 스프링 요소가 과도하게 구부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에 구비된 제2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주요 벽이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의 다른 하나를 향해 내측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절개 장치.
KR1020117003757A 2008-07-30 2009-07-30 의료용 절개 장치 KR101664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805669-9 2008-07-30
SG200805669-9A SG158777A1 (en) 2008-07-30 2008-07-30 A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PCT/SG2009/000269 WO2010014044A1 (en) 2008-07-30 2009-07-30 A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443A true KR20110065443A (ko) 2011-06-15
KR101664961B1 KR101664961B1 (ko) 2016-10-11

Family

ID=4161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757A KR101664961B1 (ko) 2008-07-30 2009-07-30 의료용 절개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840634B2 (ko)
EP (1) EP2303123B1 (ko)
JP (1) JP5615817B2 (ko)
KR (1) KR101664961B1 (ko)
CN (1) CN102112052B (ko)
AU (1) AU2009277209B2 (ko)
CA (1) CA2728237C (ko)
ES (1) ES2430058T3 (ko)
HK (1) HK1153634A1 (ko)
MX (1) MX2011001086A (ko)
MY (1) MY151955A (ko)
SG (1) SG158777A1 (ko)
WO (1) WO20100140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0634B2 (en) 2008-07-30 2014-09-23 Medipurpose Pte Ltd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520A1 (en) * 2010-10-13 2012-04-19 Mi Technologies Pte. Lt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an incision
SG182858A1 (en) 2011-01-07 2012-08-30 Wah Leong Lum Contact activated incision device
WO2012111620A1 (ja) * 2011-02-14 2012-08-23 株式会社旭ポリスライダー ランセット・デバイス
WO2013112877A1 (en) 2012-01-25 2013-08-01 Tasso, Inc. Handheld device for drawing, collecting, and analyzing bodily fluid
GB2498772A (en) * 2012-01-27 2013-07-31 Owen Mumford Ltd Lancing device moving lancet needle in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lancet needle and lancing device with anti-recocking means
SG194252A1 (en) * 2012-04-20 2013-11-29 Medipurpose Pte Ltd A lancet
CA2937991A1 (en) 2014-01-28 2015-08-06 Intrinsyk, LLC Lancet assembly
PL234889B1 (pl) 2014-02-14 2020-04-30 Htl Strefa Spolka Akcyjna Urządzenie nacinające skórę
EP3174463B1 (en) 2014-08-01 2020-07-29 Tasso, Inc. Systems for gravity-enhanced microfluidic collection, handling and transferring of fluids
GB2533620B (en) * 2014-12-23 2018-06-06 Owen Mumford Ltd Skin pricking device
EP3760106B1 (en) 2015-12-21 2024-04-10 Tasso, Inc. Devices for actuation and retraction in fluid collection
CN107569243B (zh) * 2017-08-30 2021-03-19 天津华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足跟采血器
CN107951493B (zh) * 2017-12-15 2020-05-01 太仓迈励鑫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推发键安全转动解锁型婴幼儿采血器
CN108720922A (zh) * 2018-06-12 2018-11-02 上海市普陀区中心医院 一种回缩式高频针形电刀
JP7460607B2 (ja) 2018-09-14 2024-04-02 タッソ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体液収集装置および関連方法
CN111166349B (zh) * 2018-11-12 2022-09-06 天津华鸿科技股份有限公司 采血器
CN109938697B (zh) * 2019-03-29 2023-07-25 重庆金山医疗技术研究院有限公司 弹性式夹持结构和检测设备夹持装置
CN110226935B (zh) * 2019-07-05 2024-04-26 廊坊新耀医疗器械有限公司 自动微切口式末梢采血器
CN111449660B (zh) * 2020-03-18 2022-09-06 天津华鸿科技股份有限公司 采血器
CN112370105B (zh) * 2020-11-13 2021-08-06 磅客策(上海)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压脉器
WO2022183062A1 (en) 2021-02-26 2022-09-01 Tasso, Inc. Bodily fluid collec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516A (en) * 1948-01-02 1952-03-25 Breymann Maruja Acosta De Von Trigger safety for firearms
US4628929A (en) * 1985-08-16 1986-12-16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Retractable blade bleeding time device
US6042595A (en) * 1999-03-02 2000-03-28 Apls Co., Ltd. Lancet apparatus for producing a precisely controlled incision
WO2008066491A1 (en) * 2006-12-01 2008-06-05 Medipurpose Pte Ltd A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441A (en) 1992-10-16 1994-05-24 International Technidyne Corporation Disposable slicing lancet assembly
US5397334A (en) * 1994-01-11 1995-03-14 Sherwood Medical Company Distal movement limiting assembly for finger stick device
US5772677A (en) * 1996-09-24 1998-06-30 International Technidyne Corporation Incis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y
US6221089B1 (en) 1997-07-07 2001-04-24 International Technidyne Corporation Skin incision device with compression spring assembly
US5951582A (en) 1998-05-22 1999-09-14 Specialized Health Products, Inc. Lancet apparatus and methods
US6402595B1 (en) 1999-08-27 2002-06-11 Rodel Holdings Inc. Method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WO2002078533A2 (en) * 2001-03-29 2002-10-10 Inverness Medical Limited Integrated sample testing meter
US7879058B2 (en) 2004-04-26 2011-02-01 Asahi Polyslider Company, Limted Lancet device for forming incision
BRPI0609634B8 (pt) 2005-04-07 2021-06-22 Becton Dickinson Co dispositivo de lanceta ativado por dedo
SG158777A1 (en) 2008-07-30 2010-02-26 Medipurpose Pte Ltd A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516A (en) * 1948-01-02 1952-03-25 Breymann Maruja Acosta De Von Trigger safety for firearms
US4628929A (en) * 1985-08-16 1986-12-16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Retractable blade bleeding time device
US6042595A (en) * 1999-03-02 2000-03-28 Apls Co., Ltd. Lancet apparatus for producing a precisely controlled incision
WO2008066491A1 (en) * 2006-12-01 2008-06-05 Medipurpose Pte Ltd A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0634B2 (en) 2008-07-30 2014-09-23 Medipurpose Pte Ltd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77209B2 (en) 2014-05-15
US20110264131A1 (en) 2011-10-27
ES2430058T3 (es) 2013-11-18
MX2011001086A (es) 2011-03-30
AU2009277209A1 (en) 2010-02-04
CN102112052B (zh) 2013-10-16
MY151955A (en) 2014-07-31
CA2728237C (en) 2016-03-08
HK1153634A1 (en) 2012-04-05
SG158777A1 (en) 2010-02-26
CN102112052A (zh) 2011-06-29
JP5615817B2 (ja) 2014-10-29
US8840634B2 (en) 2014-09-23
CA2728237A1 (en) 2010-02-04
WO2010014044A1 (en) 2010-02-04
JP2011529376A (ja) 2011-12-08
KR101664961B1 (ko) 2016-10-11
EP2303123A1 (en) 2011-04-06
EP2303123A4 (en) 2011-08-31
EP2303123B1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5443A (ko) 의료용 절개 장치
US5797940A (en) Adjustable skin incision device
EP1033109B1 (en) Lancet apparatus for producing a precisely controlled incision
US5571132A (en) Self activated finger lancet
US8257380B2 (en) Adjustabable disposable/single-use lancet device and method
EP2083688B1 (en) A device for performing an incision
JP4592689B2 (ja) インシジョンを形成するためのランセット装置
JP6083583B2 (ja) ランセット
MXPA06012800A (es) Dispositivo de lanceta activado por contacto.
US10034627B2 (en) Lancet assembly
CN111166349B (zh) 采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