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490A -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패널 - Google Patents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490A
KR20110062490A KR1020090119231A KR20090119231A KR20110062490A KR 20110062490 A KR20110062490 A KR 20110062490A KR 1020090119231 A KR1020090119231 A KR 1020090119231A KR 20090119231 A KR20090119231 A KR 20090119231A KR 20110062490 A KR20110062490 A KR 2011006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ynthetic resin
waste
composition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993B1 (ko
Inventor
신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
Priority to KR102009011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9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및 폐비닐 분쇄품을 주원료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합성수지와 폐비닐을 주원료로 혼합하여 내부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체의 외부는 내부체와는 조성이 다른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외부체를 형성함으로써, 기존 합판 및 유사 패널에 비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휨 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안정된 두께팽창율과 저함수율 및 고밀도의 표면을 갖으면서도 내수성, 침지박리성, 내마모성, 열충격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화산석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목칩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수지조성물,폐비닐패널,이중합성수지패널,합성수지패널

Description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패널{DOUBLE COMPOSITE SYNTHETIC RESIN COMPOSITION AND PANEL THEREFROM}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및 폐비닐 분쇄품을 주원료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폐합성수지와 폐비닐을 주원료로 혼합하여 내부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체의 외부는 내부체와는 조성이 다른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외부체를 형성함으로써, 기존 합판 및 유사 패널에 비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휨 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안정된 두께팽창율과 저함수율 및 고밀도의 표면을 갖으면서도 내수성, 침지박리성, 내마모성, 열충격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적재 차량 및 컨테이너의 바닥 그리고 선박 및 각종 건축 구조물 등의 내장과 외장재로 목재와 합성수지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패널은 판상의 목재를 층상으로 적층 하여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작된 목재패널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목재 자원의 공급량 부족으로 수요를 충당할 수 없었다.
목재패널의 대체재로써,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합성수지 소 재로 제조된 합판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밴딩 강도와 외부의 충격에 대한 강도가 약하고 콘크리트 거푸집 등과 같이 일부 특수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화학반응을 일으켜 변형이 발생 되고 중량이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990-006296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992-021310호에 개시된 기술은, 단일소재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된 합성수지 패널의 단점을 개량한 것으로 소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1990-006296호의 기술은,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판재 제조방법으로 개시된 것으로, 열 매체 보일러에서 200℃ ~ 300℃로 가열된 오일을 가열로 내부에 순환시키면서 가압 롤러로 폐합성섬유를 가압하여 판재를 형성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목재패널의 일부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으나, 여러 종류의 재료가 혼재되어 있는 폐합성섬유를 가열 롤러로 압착 성형한 것이므로, 완성된 합판은 강도, 휨 등이 약했고, 구조적으로도 불안정하여 고 품질 패널을 얻고자 하는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992-021310호의 기술은, 상하로 폐합성섬유를 공급하고, 120℃ ~ 160℃의 열풍을 공급하여 1차적으로 적당한 뚜께로 압착, 성형한 후, 약 230℃ ~ 260℃의 열을 갖는 가열압착 롤러로 10mm 기준으로 100kg/㎠의 압력을 가하여 가열,압착시켜 양 표면에 고체화된 표피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표피층 사이에는 불완전 용해된 상태의 내부쿠션이 형성되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 기술로 제조된 합판은, 내부쿠션이 미융용 상태로 표피층과 접합 되므로 박리가 쉽게 일어나고,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며 형상 변형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기술로 소개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2001-073635호의 '폐자재를 이용한 합판 및 그 제조방법'은 목재합판이나 단일수지 합판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대체할 수 있도록 제시된 기술이다. 이 기술은, 폐합성수지와 폐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주원료에 석분, 유리섬유, 불연소성소재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하거나 또는 식물성섬유(인조, 면, 펄프 등)를 혼합하여 이를 혼합, 가압 혼련 및 T-다이를 통한 압출 합판을 형성하고, 표피층에 PP, PE 등의 수지를 일정두께(12mm 합판의 경우 각각 1mm 표피층)로 융착 하여 열 롤러 성형 및 진공냉각성형, 가열 및 소둔과정을 거쳐 합판을 제조한 것으로, 대표적인 제조방법은, 폐합성수지와 폐합성섬유 분쇄품이 혼합된 주원료 60∼80중량%와 보조원료인 폐천연섬유 10∼20%, 펄프류 10∼20%를 완전 혼합하여 가압 혼련 하고 압출한 후, 1차열 롤러로 압착하고, 양 표피층에 PP, PE 등 단일 신소재를 융착시켜 냉각 성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목재합판을 대체하기 위한 합성수지재 합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 차량의 바닥, 컨테이너용 바닥 패널 등과 같이 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곳에 사용하기는 강도가 부족해 사용하기 어려웠다.
한편, 고순도 화합물로 조성된 고가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경우 목재패널을 능가하면서도 물성적으로 우수한 특성과 휨 강도를 얻을 수 있으나 경제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라 저가의 폐자재를 활용하는 방안들이 제시되었으며 몇 가지 사례가 있다.
목재의 대체재로서 합성수지재 그리고 폐합성수지재를 포함한 여러 재료를 활용하는 방안은 기본적으로 충분한 휨 강도와 양호한 물성, 그리고 경제적으로 패 널을 생산할 수 있는지에 맞춰져 있다. 즉 컨테이너용 바닥 패널 및 화물 차량용 바닥 패널은 내구성과 고강도의 물성이 필요한 것과 같이 폐합성수지재를 활용하는 패널의 제작에서는 경제적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충분한 강도와 우수한 품질을 갖는 패널을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기존 합판 및 유사 패널에 비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휨 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안정된 두께팽창율과 저함수율 및 고밀도의 표면을 갖으면서도 내수성, 침지박리성, 내마모성, 열충격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휨 강도와 압축 강도를 크게 하고 변형을 적게 하여 컨테이너 및 화물차량 바닥재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을 제공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화산석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목칩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체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를 사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자수정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목칩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체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를 사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화산석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옥수수대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체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를 사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자수정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옥수수대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체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를 사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와 각종 폐자재를 혼합하여 내부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체의 외부는 내부체와는 성분과 조성이 다른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외부체를 형성함으로써, 기존 합판 및 유사 패널에 비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휨 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안정된 두께팽창율과 저함수율 및 고밀도의 표면을 갖으면서도 내수성, 침지박리성, 내마모성, 열충격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이중 복합 합성수지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휨 강도와 압축강도가 크고 변형이 적어 컨테이너 및 화물 차량의 바닥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은, 화산석 또는 자수정, 글래스 화이바, 폐합성수지, 폐비닐, 폐목칩, 발포제, 플라이 애쉬를 각각 혼합 대상 원료로 선택하여 그 선택된 원료를 용융 압출 성형하여 내부체(110)로 구성하였고, 내부체(110)의 표면층을 형성하도록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 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내부체(110)의 표면에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 외부체(120)로 구성하였다.
상기 내부체(110)를 구성하는 조성물의 비율은, 화산석 또는 자수정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목칩 또는 폐옥수수대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체(12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16.34중량%로 조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폐합성수지는, 합성수지 성분이 함유된 폐기처리대상 제품들 중 폐어망, 불용성 광케이블, 합성수지 로프, 폴리에틸렌 화이바, 핸드폰케이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폐기처리대상 제품을 용융 처리하여 칩 상태로 가공한 뒤 이를 성형장치에 투입하여 내부체(110) 구성성분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폐합성수지를 폐어망, 불용성 광케이블, 합성수지 로프를 용융시켜 구성 성분으로 할 경우, 전체 구성 성분 비율 중 바람직한 조성 비율의 예는, 폐어망 7.00 중량%, 불용성광케이블 1.00중량%, 합성수지로프 3.00중량%, 기타 합성수지 22.38 중량% 이다.
상기 플라이 애쉬는, 분산체와 실리콘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전체 구성 성분비율 중 분산체 0.037 ~ 0.050중량%, 실리콘오일 0.250 ~ 0.350%를 조성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내부체(110)를 구성하는 조성물 성분 특징은 다음과 같다.
화산석은,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 성분 중 약 0.32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광물로써, 기능은 색상 연출과 강도에 관여한다. 화산 분출물 중 비교적 다공질이 많은 현무암의 암괴를 분말 가공하여 마스터 뱃지로 고형화시켜 사용되며, 자연미가 아름답고, 암질에 따른 색상이 다양하고 자연 본연의 색으로 중후한 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변질 및 변색이 없어 내부체(110)의 색상 선택과 연출에 유용하게 쓰인다. 원석, 화분석, 모자이크 판석, 규격판석, 혹두기석 등의 제품군들 중에서 적당한 화산석을 선택할 수 있다.
자수정은,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 성분 중 약 0.32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원료 광물로써, 내부체(110)의 부족한 강도를 개선한다. 내부체(110) 전체 구성 물질 부피 중 미량을 차지하지만 알갱이 입자로 가공되어 혼합될 경우 폐합성수지 발포 성형에서 공동 사이에 침투하여 강도를 개선한다.
난연제는,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 성분 중 약 1.00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의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물질로써, 가연성인 합성수지제의 발화를 억제하고 지연시키도록 선택된 물질이다.
글래스 화이바(Glass Fiber)는,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 성분 중 약 0.60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원료로써, 내부체(110)의 인장력을 높히는데 관여한다.
폐합성수지는,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 성분 중 가장 많은 약 35.38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의 주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재료로써, 내부체(110)의 전 체 강도와 형상을 유지시키는 모재이다. 폐합성수지는, 합성수지 성분이 함유된 폐기처리대상 제품들 중 폐기처리 대상 합성수지 어망 및 어구, 불용성광케이블, 합성수지 로프, 폴리에틸렌 화이바, 핸드폰케이스 등 그 밖에 합성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활 및 산업 폐기처리 대상물을 원료 성분으로 선택한 것이다.
폐합성수지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소각 및 폐기되는 합성수지 대상물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입자상으로 가공한 뒤 다른 성분 재료들과 혼합하여 성형기에 투입된다.
폐비닐은,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 성분 중 약 21.32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의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재료로써, 폐합성수지와 함께 내부체(110)의 물성과 형상을 유지시키는 재료로 선택된 것이다. 폐비닐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나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버려지는 것을 수거하여 이를 활용한 것이다. 폐비닐은 통상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수거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수거 후 가열로에 넣어 융융시켜 입자상으로 가공한 뒤 다른 성분 재료들과 혼합하여 성형기에 투입된다.
폐목칩 또는 폐옥수수대는,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 성분 중 폐비닐과 비슷한 약 22.23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의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재료로써, 폐합성수지, 폐비닐과 함께 내부체(110)의 형상 유지와 강도를 유지시키는 재료로 선택된 것이다. 폐목재는 통상 칩상으로 가공하여 가공 합판 등을 제조할 때 많이 쓰이며 다른 재료와 섞이면 연성을 낮추지만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도 강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내부체(110)의 대부분의 구성 성분 폐합성수지와 폐비닐 을 활용한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어 약 20 ~ 25 중량%의 폐목칩 또는 폐옥수수대가 혼합되더라도 취성이 급격히 높아지거나 연성이 급격이 떨어지는 결함을 나타내지는 않으며, 전체 무게를 줄이면서 강도를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발포제는,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의 성분 중 약 0.81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의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재료로써, 성형기에서 용융되는 폐합성수지와 폐비닐을 발포시켜 성형하기 위하여 선택된 것이다.
플라이 애쉬(Fly Ash)는,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의 성분 중 약 2중량%를 점유하도록 내부체(110)의 구성 성분으로 선택된 재료로써, 통상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서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플라이 애쉬는 다른 성분들과의 접착력과 각 성분 간 상호 결합 밀도를 높혀 고품질의 내부체(110) 성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부체(120)는, 이중 혼합 합성수지 조성물의 성분 중 약 16.34중량%를 점유하도록 폴리프로펠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13 ~ 19중량%로 조성하여 이루어진다.
실시 예 1
구분 내부체(83.66중량%) 외부체(16.34중량%)



성 분

조성비
화산석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목칩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애쉬 (2.00중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16.34중량%)
실시 예2
구분 내부체(83.66중량%) 외부체(16.34중량%)



성 분

조성비
자수정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목칩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애쉬 (2.00중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16.34중량%)
실시 예3
구분 내부체(83.66중량%) 외부체(16.34중량%)



성 분

조성비
화산석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옥수수대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애쉬 (2.00중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16.34중량%)
실시 예4
구분 내부체(83.66중량%) 외부체(16.34중량%)



성 분

조성비
자수정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옥수수대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애쉬 (2.00중량%)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16.34중량%)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1 내지 4와 같이, 화산석 또는 자수정, 난연제, 글래스화이바, 폐합성수지, 폐비닐, 폐목칩 또는 폐옥수수대, 발포제, 플라이 애쉬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내부체(110)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내부체(110)의 외부를 외부체(120)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복합 합성수 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100)은, 도 1과 같이 내부체(110) 성형 압출기(10)와 외부체(120) 성형 압출기(20)를 통하여 제조된다.
내부체(110)를 성형하는 성형 압출기(10)의 호퍼(11)에 투입하는 원료는, 상기 실시 예와 같은 성분 조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에 칩이나 알갱이 상태로 가공하여 공급한다. 즉, 화산석, 자수정, 난연제, 글래스화이바, 폐합성수지, 폐비닐, 폐목칩, 폐옥수수대는 부피가 크므로 이를 알갱이 입자상태로 사전 가공하고 발포제 및 플라이 애쉬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호퍼(11)에 공급한다.
여기서, 폐합성수지는, 이중 혼합 합성수지 패널(100) 성분 중 가장 많은 약35.38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의 주성분이다. 합성수지 성분이 함유된 폐기처리대상 제품들 중 폐기처리 대상 합성수지 어망 및 어구, 불용성광케이블, 합성수지 로프, 폴리에틸렌 화이바, 핸드폰케이스 등 그 밖에 합성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활 및 산업 폐기처리 대상물을 가열로에서 가열하여 용융시켜 수지를 추출한 후 이를 칩 상태로 형성하여 다른 원료와 혼합하여 내부체(110) 성형 압출기(10)에 투입되는 것으로, 폐기되는 자원을 저가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폐비닐은, 이중 혼합 합성수지 패널(100) 성분 중 약 21.32중량%를 점유하는 내부체(110) 성분으로 조성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나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버려지는 것을 수거하여 이를 활용하는 것으로, 폐비닐은 통상 농업용으로 사용되어 폐기되는 비닐하우스 등을 수거하여 가열로에 넣어 융융 시켜 입자상으로 수지를 추출한 후 이를 칩 상태로 형성하여 다른 원료와 혼합하여 내부체(110) 성형 압출기(10)에 투입되는 것으로, 폐기되는 자원을 저가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폐합성수지 및 폐비닐은 폐기되는 자원을 가열로에서 용융시켜 칩상으로 가공하여 다른 원료들인 입자상으로 분쇄된 화산석, 입자상으로 분쇄된 자수정, 칩 상으로 형성된 글래스화이바, 칩 상으로 가공 처리된 폐목칩 또는 폐옥수수대, 발포제, 플라이 애쉬를 혼합물로 조성하여 내부체(110) 성형 압출기(10)의 호퍼(11)에 공급하여 성형 압출기(10)를 통해 성형금형(30)으로 압출시킨다.
이때, 폐합성수지와 폐비닐은 발포제에 의해 발포층을 형성하여 화학 반응물을 흡수 차단하고 내부체(110)의 중량을 줄일 수 있게 하며, 플라이 애쉬는 화산석 또는 자수정, 글래스화이바, 폐목칩 또는 폐옥수수대 등의 원료 간 결합 강도를 증진시킨다.
한편, 외부체(120)는 공급호퍼(21)를 통하여 외부체 성형 압출기(20)로 신소재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공급하여 성형금형(30)으로 압출하여 내부체(110)의 외부에 외부체(120)가 압출 성형 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내부체(110)의 표면이 신소재인 외부체(120)로 일체화되도록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100)이 연속적으로 성형되면, 냉각기(40)를 통하여 고온으로 압출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100)을 냉각하면서, 인출기(50)를 통해 인출하고, 절단기(60)를 통하여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완제품을 얻는다.
외부체(120)는 내부체(110)의 표피층에 단일 신소재 층을 내부체(110)의 표면에 융착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표면이 미려하고, 절단 및 조립시 적절한 강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100)로써, 내부체(110)의 외부를 외부체(120)로 모두 감싸도록 구성한 예이고, (b)는 내부체(110)의 외부를 상하부 표면만 외부체(120)로 구성한 예이다.
도 3의 (a)와 같이, 내부체(110)의 외부를 외부체(120)로 모두 감싸도록 한 구조는 내부체(110)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표면이 모두 외부체(120)로 구성된 것으로써 미감 처리를 필요로 하는 실내 마감재나 내장재로 사용에 적합하다.
이에 대하여 도 3의 (b)와 같이, 내부체(110)의 표면을 외부체(120)로 처리한 구조는, 측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도 3의 (a)와 같은 미감 처리가 우선되는 실내 마감재나 내장재로써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100)은, 컨테이너 및 화물 차량의 바닥재 등과 같이 휨 강도가 우수하고 물성적으로 변형이 적을 것을 요구하는 바닥재 용도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폐합성수지와 폐비닐을 다양한 원료와 혼합하거나, 신소재층을 양면에 형성하는 것은 패널의 강도 및 용도에 따라 각각 압출 성형하거나 동시에 같이 압출 성형하여도 된다. 내부체(110)의 원료로써 폐천연섬유나 펄프류도 강도 및 용도에 따라 각각 적당한 비율로 혼합 사용하여도 되며, 또한 석분, 유리섬유를 동시, 혹은 단독 혼합하여도 되고 불연소성 소재를 혼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이중 혼합 합성수지 패널의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편규격>
가. 12, 18, 28mm 공통
구 분 시험편 크기 (mm) 시험편 수량 비 고
밀도 100 X 100 10
침지박리(내수성) 75 X 75 10
열충격 시험 75 X 75 10
압축강도 25 X 50 10 방향성 있을경우
방향별로 각각 10EA
내마모시험 100 X 100 10
내산,내알칼리시험 75 X 75 10
인장접착력 25 X 81 20 방향성 있을경우
방향별로 각각 10EA
기타 여분 300 X 300 5
나. 휨강도 시험편
구 분 시험편 크기 (mm) 시험편 수량 비 고
12mm 50 X 350 10 방향성 있을경우
방향별로 각각 10EA
18mm 50 X 500 10
28mm 50 X 750 10
다. 콘크리트양생 시험편
구 분 시험편 크기 (mm) 시험편 수량 비 고
12mm 200 X 200 8
<시험평가대상제품사진>
Figure 112009074812218-PAT00001
<시험샘플>
이중 복합합성수지 패널
12mm 18mm 28mm
구 성 단판 PP, PE 3layer 복합체 PP, PE 3layer 복합체 PP, PE 3layer 복합체
중판
병판
접착방식 열융착 열융착 열융착
<물성 및 휨 강도 시험방법>
가. 시험장비 : 인스트론(Instron) 8801
나. 12mm(50×350mm), 18mm(50×500mm), 28mm(50×750mm) 시편 각 10개를 시차를 두고 시험장비의 휨 시험 지그에 장착하고, 일정시험 속도로 압축하중을 부하하면서 시편이 파단될 때까지 변형 시키며 이때의 하중-변위 곡선을 평가.
다. 휨 강도 시험 후 시편 파단면의 대표적 사진
Figure 112009074812218-PAT00002
라. 기타 물성 및 콘크리트 양생 시험은 별도로 평가.
<휨 강도를 포함한 물성시험결과>
구 분 폐플라스틱 복합보드
12mm 18mm 28mm
두 께 (mm) 11.78 17.75 28.34
밀 도 (g/㎤) 0.96 0.91 0.91
함 수 율 (%) - - -
접착력 (㎏/㎠) 16.01 - -
휨강도
(㎏/㎠)
261.26 266.36 188.02
- - -
압축강도
(㎏/㎠)
303.23 270.08 185.86
- - -
휨강성(mm) - - -
내마모시험
마모감량 (g)
마모없음 - -
내수침지박리
(72hr)
박리없음 박리없음 박리없음
내알칼리시험
(5% NaOH)
이상무 이상무 이상무
열충격시험 이상무 이상무 이상무
콘크리트양생시험 양호 - -
선팽창율 (80℃) 0.2% 0.34% 0.37%
두께팽창율 (80℃) 1.08% 1.07% 1.85%
위 시편에 대한 휨 강도 및 물성시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패널이 목재패널대체재로서 사용이 가능 한지 여부, 그리고 컨테이너 및 화물 차량용 등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부분에 쓰일 수 있는 패널로서 충분한 휨 강도를 갖는지에 대한 평가이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패널은 목재패널을 능가하는 물성과 하중 및 스트레스에 대한 휨 강성이 양호하여 컨테이너, 화물 차량용 등의 바닥 패널로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합판 및 유사 패널에 비해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휨 강도와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안정된 두께팽창율과 저함수율 및 고밀도의 표면을 갖으면서도 내수성, 침지박리성, 내마모성, 열충격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하고 물성적으로 안정된 이중 복합 합성수지패널로 평가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조성물에 의하여 구성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은 목재패널 및 다른 합성수지 패널과 비교할 때, 휨강도, 불연성, 단열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볍고, 원자재공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변형 요인이 되는 두께팽창율과 함수율이 안정된 상태로 나타나고, 수분 침투에 의한 변형 요인이 되는 내수성이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내부체와 외부체의 침지박리가 없고, 마모와 열충격이 적으며, 알칼리 성분에 대한 화학 반응이 적어 물성적으로 안정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목재패널의 대체품으로 적합하고 특히, 컨테이너 및 화물 차량의 바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폐자재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 방지에 유용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의 성형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의 단면도로써, (a)는 내부체를 외부체로 감싸도록 압출 성형한 패널 도식도 이고, (b)는 내부체의 표면을 외부체가 표면을 이루도록 압출 성형한 패널 도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내부체압출성형기
11:호퍼
20:외부체압출성형기
21:호퍼
30:성형금형
40:냉각기
50:인출기
60:절단기
100:이중혼합합성수지패널
110:내부체
120:외부체

Claims (9)

  1.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화산석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목칩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체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를 사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3.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자수정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목칩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체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를 사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5.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화산석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옥수수대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체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를 사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7.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이중 압출 패널에 있어서, 내부체는 폐합성수 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체는 신재 합성수지로 성형하되,
    상기 내부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자수정 0.32중량%,
    난연제 1.00중량%,
    글래스 화이바 0.60중량%,
    폐합성수지 35.38중량%,
    폐비닐 21.32중량%,
    폐옥수수대 22.23중량%,
    발포제 0.81중량%,
    플라이 애쉬 2.00중량%를 원료로 혼합 조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체를 구성하는 신재인 합성수지는 16.34중량%로 조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체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의 합성수지를 를 사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
  9.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중 복합 합성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
KR1020090119231A 2009-12-03 2009-12-03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 조성물 KR101237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31A KR101237993B1 (ko) 2009-12-03 2009-12-03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31A KR101237993B1 (ko) 2009-12-03 2009-12-03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490A true KR20110062490A (ko) 2011-06-10
KR101237993B1 KR101237993B1 (ko) 2013-02-26

Family

ID=4439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231A KR101237993B1 (ko) 2009-12-03 2009-12-03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1356A (zh) * 2020-01-19 2020-06-05 广州康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木塑复合材料混色流纹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558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플로아테크 폐합성수지를 재활용한 건축용 이중바닥패널 제조방법
CN108840607A (zh) * 2018-06-21 2018-11-20 嘉善海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树脂混凝土阻燃复合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635A (ko) * 2000-01-19 2001-08-01 김석기 폐자재를 이용한 합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609516B1 (ko) * 2003-08-18 2006-08-04 유중형 옥수숫대 플라스틱 제조방법
KR100789957B1 (ko) 2007-03-28 2008-01-02 주식회사 제이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이중 압출 패널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070088427A (ko) * 2007-08-08 2007-08-29 정호석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차체 내장구조물 보호용 강화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1356A (zh) * 2020-01-19 2020-06-05 广州康森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木塑复合材料混色流纹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993B1 (ko)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4869C2 (ru) Композитные изделия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1960865B (zh) 热塑性复合片型材料、其制造方法及由其制造的制品
WO2018126436A1 (zh) 复合环氧树脂板材及其成形方法
KR101166899B1 (ko) 다층 압출구조의 다이스를 갖는 압출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 판재의 압출성형방법
CN1987018A (zh) 建筑工程木塑模板
CN107206620A (zh) 尤其呈木塑复合材料形式的木质材料板和用于其制造的方法
CN102431263A (zh) 一种轻质高强夹层结构木塑复合板材及其一次成型的制造方法
KR101237993B1 (ko) 이중 복합 합성수지 패널 조성물
WO2009072914A1 (en) Cork-polymer composite (cpc) materials and processes to obtain the same
CN107175857B (zh) 一种植物纤维基地板砖及其制备方法
UA56237C2 (uk) Тришарова вогнетривка панель
CN107849303B (zh) 聚(氯乙烯)基材及其制造方法
KR100745175B1 (ko) 산화마그네슘을 주재로 하는 불연성 건축 내장재의 연속제조 방법 및 그 장치
AU2002309314B2 (en) Method of forming building materials mostly consisting of magnesium oxide
CN102448693A (zh) 通过控制冷却制备包含回收的pet的组合物的方法
KR100446710B1 (ko) 합성목재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1856887A (zh) 木塑复合板及其制造方法
KR101229534B1 (ko) 목재 대체용 합성수지 봉목재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제조장치
KR102020431B1 (ko) 폐기되는 친환경 소재를 재활용하여 방수 및 난연성이 우수한 복합판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판재
KR20010073635A (ko) 폐자재를 이용한 합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6978A (ko) 폐합섬 및 폐비닐을 이용한 내,외장 합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96756B1 (ko) 천연섬유 복합수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제조방법
JP4226805B2 (ja) 木質セメン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49039A (ko) 그린형 데크루바재 및 이의 제조 장치, 방법
ITSV990001A1 (it) Lastra,pannello,o simili di materia plastica termoformabile e metodoper la produzione degli stes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