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164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164A
KR20110062164A KR1020090118769A KR20090118769A KR20110062164A KR 20110062164 A KR20110062164 A KR 20110062164A KR 1020090118769 A KR1020090118769 A KR 1020090118769A KR 20090118769 A KR20090118769 A KR 20090118769A KR 20110062164 A KR20110062164 A KR 20110062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dentification
mailbox
print medium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2164A/ko
Priority to US12/801,057 priority patent/US8514437B2/en
Publication of KR20110062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2Pat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1Ejecting or stacking
    • H04N1/00633Ejecting or stacking selectively to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서 인쇄매체의 출력 측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본체로부터의 인쇄매체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의 제어회로부는, 복수 메일박스 모듈의 총 수에 대응하는 채널을 가지고, 본체로부터 메일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면 이 채널 중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채널을 턴온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턴온된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액티브신호를 구동부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매체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메일박스 모듈과 같은 옵션박스 모듈이 적용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 상에 현상제 또는 잉크 등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으로 구현된다. 화상형성장치는 다양한 방식의 옵션박스 모듈(option-box module)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본체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옵션박스 모듈에는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매체를 후처리하기 위한 메일박스(mail-box) 모듈이 있다.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메일박스 모듈은 본체에 대해 복수 개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각 메일박스 모듈은 인쇄매체가 적재될 수 있는 출력트레이와,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매체를 출력트레이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가진다. 그리고, 메일박스 모듈은 이러한 가이드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 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가진다.
각 메일박스 모듈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본체로부터 수신한 식별 아이디(ID) 정보가 자체 메일박스 모듈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가이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인쇄매체가 자체 출력트레이로 출력되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구성의 경우, 각 메일박스 모듈의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코스트가 높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탑재되어야 한다. 본체에 결합되는 메일박스 모듈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이러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코스트 부담이 증가한다.
만일, 각 메일박스 모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설치하지 않고 본체의 컨트롤러에서 각 메일박스 모듈의 구동부를 직접 제어하는 구성의 경우, 본체의 컨트롤러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또한, 본체 컨트롤러로부터 각 구동부 별로 신호 라인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배선 구조가 복잡해지며, 메일박스 모듈의 추가 확장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에 장착하는 메일박스 모듈과 같은 확장형 옵션박스 모듈에 있어서, 코스트가 높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적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코스트가 낮은 로직 회로를 적용한 옵션박스 모듈을 구현하고,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체의 컨트롤러로부터 각 메일박스 모듈에 연결되는 신호 배선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출력 측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의 상기 인쇄매체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의 총 수에 대응하는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채널 중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채널을 턴온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턴온된 상기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액티브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각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식별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은,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출력트 레이와;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출력트레이에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되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부에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식별 아이디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본체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복수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각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턴온하는 제2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제2시프트 레지스터의 상기 복수 채널의 턴온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상기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각 상기 비교부는, 오픈 컬렉터 출력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본체로 출력하는 신호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화상이 형성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게 상기 어느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를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에 출력하는 본체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제어부는,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상기 본체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은,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출력트 레이와; 상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출력트레이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입력 측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트레이와, 상기 적재된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의 총 수에 대응하는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채널 중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채널을 턴온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턴온된 상기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액티브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각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식별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공급박스 모듈은, 상기 적재트레이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의 양이 기 설정량 이하이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부에 출력하는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식별 아이디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본체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복수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각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턴온하는 제2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제2시프트 레지스터의 상기 복수 채널의 턴온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상기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각 상기 비교부는, 오픈 컬렉터 출력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본체로 출력하는 신호 라인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게 상기 어느 하나의 공급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를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에 출력하는 본체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제어부는,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기 설정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상기 본체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공급박스 모듈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적재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로 공급되게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복수 개가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한 인쇄매체의 입력 또는 출력을 각각의 상기 설치단 별로 구분하여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옵션박스 모듈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한 인쇄매체의 입력 또는 출력이 수행되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복수의 상기 옵션박스 모듈의 총 수에 대응하는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옵션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채널 중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채널을 턴온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턴온된 상기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액티브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의 상기 인쇄매체가 출력되게 구동하는 구동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본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일박스 모듈에 대응하는 식별 아이디 정보를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에 공통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 상기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 중에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구동부가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상기 메일박스 모듈로 상기 본체로부터의 인쇄매체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공통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가 상기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로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되어 있음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 중에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메일박스 모듈에 상기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인쇄매체를 적재하며 상기 적재된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에 공급하게 구동하는 구동부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급박스 모듈에 대응하는 식별 아이디 정보를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에 공통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 상기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 중에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구동부가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상기 공급박스 모듈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공통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가 상기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로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이 기 설정량 이하인 것 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 중에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박스 모듈에 상기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하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박스 모듈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에 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대신 시프트 레지스터 및 멀티플렉서를 적용함으로써, 메일박스 모듈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어회로부의 구성을 공급박스 모듈에 응용함으로써, 인쇄매체가 각각 적재된 복수 공급박스 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쇄매체를 본체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모든 메일박스 모듈이 본체제어부에 대한 신호 라인을 공유함으로써, 배선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메일박스 모듈의 확장이 용이하다.
또한, 제어회로부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각 메일박스 모듈마다 동일하게 구성하므로, 제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부품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시프트 레지스터 및 비교부의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본체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메일박스 모듈에 기 설정량 이상의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는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각 메일박스 모듈의 비교부의 출력을 오픈 컬렉터 출력으로 상호 연결 함으로써, 각 메일박스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 설정량 이상의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하나의 신호 라인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배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화상형성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복사기(copier)로 구현되는 것으로 표현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인쇄매체(M)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printer),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와, 본체(10) 하측에 적층되며 본체(10)에 대해 인쇄매체(M)를 공급하는 공급박스 모듈(20)과, 본체(10)의 인쇄매체(M) 출력측에 결합되며 화상형성부(11)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가 본체(10)로부터 출력되어 각각 적재되는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3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인쇄매체(M)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1)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1)는 공급박스 모듈(20)로부터 공급되는 인쇄매체(M) 상에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부(11)는 현상제에 의하여 흑백 또는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공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10)는 소정의 원고를 스캐닝하는 스캐너(scanner)(12)를 더 포함하며, 화상형성부(11)는 스캐너(12)로부터 출력되는 원고의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는 원고의 화상을 인쇄매체(M)에 복사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부(11)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를 외부로 출력하며, 인쇄매체(M)가 출력되는 본체(10) 외측에 하나 또는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30)이 적층 결합된다.
메일박스 모듈(30)은 복수 개가 다단으로 적층 설치되며, 본체(10)에 설치되는 메일박스 모듈(30)의 총 수는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수의 메일박스 모듈(30)을 적층시켜 본체(10)에 장착할 수 있다. 본체(10)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매체(M)는 이러한 각 메일박스 모듈(30)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어 적재된다.
이하, 메일박스 모듈(30)의 구성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메일박스 모듈(30a, 30b)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난 점선은 인쇄매체(M)의 이송 경로이며, 인쇄매체(M)를 이송하는 롤러 구성(미도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박스 모듈(30a, 30b)은 본체(10)로부터 순차적으로 상향 적층된다. 즉, 본체(10)에서 인쇄매체(M)의 출력측에 제1메일박스 모 듈(30a)이 장착되고, 제1메일박스 모듈(30a) 상측에 제2메일박스 모듈(30b)이 장착되는 바, 이와 같이 각 메일박스 모듈(30a, 30b)은 타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대해 적층된다.
각 메일박스 모듈(30a, 30b)은 외형을 형성하는 메일박스하우징(31a, 31b)과, 메일박스하우징(31a, 31b) 외측에 결합된 출력트레이(35a, 35b)와, 이송되는 인쇄매체(M)를 출력트레이(35a, 35b)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도록 회동하는 가이드(37a, 37b)와, 출력트레이(35a, 35b)에 적재된 인쇄매체(M)의 양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0a, 100b)와, 가이드(37a, 37b)를 작동시키는 구동부(200a, 200b)와, 구동부(200a, 200b)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300a, 300b)를 포함한다.
메일박스하우징(31a, 31b)은 실질적인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그 상면 및 하면은 다른 메일박스하우징(31a, 31b) 간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평평하다. 메일박스하우징(31a, 31b)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본체(10)로부터의 신호 배선이 설치되며, 적층된 타 메일박스하우징(31a, 31b)에 설치된 신호 배선과의 통전을 위해 외측에 단자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메일박스하우징(31a, 31b)은 인쇄매체(M)의 이송 경로를 따라서 배치되는 바,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한 메일박스하우징(31a, 31b)의 일측에는 홀이 형성됨으로써 인쇄매체(M)의 이송을 간섭하지 않는다.
메일박스하우징(31a, 31b)은 가이드(37a, 37b)에 의해 안내된 인쇄매체(M)가 출력트레이(35a, 35b)로 출력되도록, 출력트레이(35a, 35b)가 결합된 일면에 관통 형성된 배출홀(33a, 33b)을 가진다.
출력트레이(35a, 35b)는 메일박스하우징(31a, 31b) 외측의 배출홀(33a, 33b) 하측에 결합된다. 출력트레이(35a, 35b)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짐으로써, 배출홀(33a, 33b)에서 출력된 인쇄매체(M)를 그 판면 상에 적재한다.
가이드(37a, 37b)는 메일박스하우징(31a, 31b) 내의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설치된다. 가이드(37a, 37b)는 구동부(200a, 200b)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대기위치(P1) 및 안내위치(P2) 사이를 회동한다. 가이드(37a, 37b)는 대기위치(P1)에 있을 때 인쇄매체(M)의 이송을 간섭하지 않는 바, 이 때 인쇄매체(M)는 상측에 적층된 타 메일박스하우징(31a, 31b)으로 이송된다. 반면, 가이드(37a, 37b)는 안내위치(P2)에 있을 때, 인쇄매체(M)를 간섭하여 배출홀(33a, 33b)로 출력되게 안내한다.
센서(100a, 100b)는 메일박스하우징(31a, 31b)의 외측에, 출력트레이(35a, 35b) 및 배출홀(33a, 33b) 사이에 설치된다. 센서(100a, 100b)는 포토센서(photo-sensor)로 구현되며, 출력트레이(35a, 35b)에 적재된 인쇄매체(M)의 양이 센서(100a, 100b)가 위치한 높이까지 도달하면 감지신호를 제어회로부(300a, 300b)에 출력한다.
구동부(200a, 200b)는 제어회로부(300a, 300b)의 제어에 따라서 가이드(37a, 37b)를 회동시킨다. 구동부(200a, 200b)는 솔레노이드(solenoid), 모터(motor) 등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로 구현된다.
구동부(200a, 200b)는 제어회로부(300a, 300b)로부터 액티브(active)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되어, 가이드(37a, 37b)의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구동부(200a, 200b)는 액티브신호를 수신하면 턴온되어 가이드(37a, 37b)를 안내위치(P2)로 회동시킨다. 반면, 구동부(200a, 200b)는 액티브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턴오프되어 가이드(37a, 37b)를 대기위치(P1)로 회동시킨다.
제어회로부(300a, 300b)는 본체(10), 자세하게는 후술할 본체제어부(17)로부터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식별 아이디(ID)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자체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상이하게 작동한다. 식별 아이디는 각 메일박스 모듈(30a, 30b) 간을 구별하기 위하여 메일박스 모듈(30a, 30b) 별로 개별 설정된다.
제어회로부(300a, 300b)는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면, 구동부(200a, 200b)에 대해 액티브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구동부(200a, 200b)를 구동시킨다.
반면, 제어회로부(300a, 300b)는 수신한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지 않으면, 구동부(200a, 200b)에 대해 액티브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로써, 구동부(200a, 200b)는 구동하지 않으며, 가이드(37a, 37b)는 대기위치(P1)를 유지한다.
여기서, 각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제어회로부(300a, 300b)는 본체(10)로부터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는데, 그 중에서 구동부(200a, 200b)를 구동시키는 것은 해당 식별 아이디의 제어회로부(300a, 300b) 하나뿐이다. 따라서, 본 체(10)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매체(M)는 해당 식별 아이디의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출력트레이(35a, 35b)로 출력 및 적재된다.
또한, 제어회로부(300a, 300b)는 센서(100a, 100b)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본체(10)에 전달한다. 제어회로부(300a, 300b)는 센서(100a, 100b)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본체(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이 감지신호를 본체(10)로 출력한다. 반면, 본체(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제어회로부(300a, 300b)는 이 감지신호를 본체(10)로 출력하지 않는다.
이하, 본체(10) 및 메일박스 모듈(30a, 30b) 간의 제어 및 신호 전달 관계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체(10) 및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화상형성부(11)와, 본체(10)의 제반 설정 및 작동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13)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기 설정된 입력이 수행되는 입력부(15)와, 본체제어부(17)를 포함한다.
표시부(13)는 본체(10) 외측에 설치된 액정 패널로 구현된다. 표시부(13)는 본체제어부(17)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다양한 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메시지, 또는 사용자가 입력부(15)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의 설정을 지정할 때 그 설정 정보 등의 다양한 내용을 표시한다.
입력부(15)는 본체(10) 외측에 표시부(13)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입력부(15)는 기계적 또는 전자적 키(key)를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표시부(13) 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5)는 본체(10)에 설치되지 않고, 본체(10)에 로컬 또는 네트워크로 접속된 호스트(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5)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다양한 기 설정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입력된 커맨드를 본체제어부(17)에 전달함으로써 해당 커맨드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15)를 통해, 화상형성부(11)에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M)가 출력될 메일박스 모듈(30a, 30b)을 선택할 수 있다.
본체제어부(17)는 화상형성부(11)를 포함한 본체(10) 구성, 예를 들면 인쇄매체(M)의 공급, 스캐너(12)의 동작, 다양한 레벨의 직류전원 공급 등을 제어한다. 이 외에도, 본체제어부(17)는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각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출력함으로써, 해당 메일박스 모듈(30a, 30b)로 인쇄매체(M)가 출력되게 한다.
또한, 본체제어부(17)는 이와 같이 식별 아이디 정보를 출력하였을 때에 센서(100a, 100b)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출력한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적재된 인쇄매체(M)의 양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본체제어부(17)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13)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린다.
각 메일박스 모듈(30a, 30b)은 센서(100a, 100b), 구동부(200a, 200b) 및 제어회로부(300a, 300b)를 가지며, 모든 제어회로부(300a, 300b)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의 신호 라인을 공유한다. 즉, 본체제어부(17)로부터 소정의 식별 아이디 정보 가 출력되면, 모든 제어회로부(300a, 300b)에 이 정보가 전달된다. 각 제어회로부(300a, 300b) 중에서, 수신된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제어회로부(300a, 300b)만이 구동부(200a, 200b)를 제어하는 바, 이에 의하여 인쇄매체(M)는 해당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출력된다.
이와 같이,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수에 상관없이 모든 메일박스 모듈(30a, 30b)이 본체제어부(17)에 대한 신호 라인을 공유하므로, 본체(10) 및 메일박스 모듈(30a, 30b) 간의 신호 배선 구성이 용이하다. 이에, 메일박스 모듈(30a, 30b)을 본체(10)에 추가 장착하거나 또는 분리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 도 3의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제어회로부(300a)의 회로 구성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기타 메일박스 모듈(30b)의 경우는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제어회로부(300a)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제어부(17)에는 7개의 신호 라인이 연결된다. 각 신호 라인은 래치(latch) 신호가 출력되는 L1, L2와, 출력 인에이블(output-enable) 신호가 출력되는 OE와, 클럭(clock) 신호가 출력되는 CL과,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식별 아이디 정보가 출력되는 ID와,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센서(100a)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F와, 제어회로부(300a)의 오작동 시 제어회로부(300a)를 리셋(reset)하기 위한 리셋 신호가 출력되는 R을 포함한다.
L1, L2, OE, CL, ID 및 R의 신호 라인은 본체제어부(17)로부터 출력되는 신 호를 전송하며, F의 신호 라인은 본체제어부(17)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송한다. 각 신호에 관해서는 이하 제어회로부(300a)의 각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제어회로부(300a)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는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와,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와의 사이에 복수의 채널을 구성하며 구동부(200a)에 대해 액티브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320)와,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고유한 식별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설정부(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어회로부(300a)는 구동부(200a)의 선택적인 구동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제어회로부(300a)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는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와,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로부터의 식별 아이디 정보 및 아이디설정부(330)에서 설정된 식별 아이디를 비교하여 센서(100a)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본체제어부(17)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비교부(3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어회로부(300a)는 현재 제1메일박스 모듈(30a)에 인쇄매체(M)가 기 설정값 이상 적재되어 있음을 본체제어부(17)에 알릴 수 있다.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소자로 구현된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내부에 복수의 플립플롭(flip-flop)이 캐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구성되며, 시리얼 데이터가 최초 데이터 입력단에 입력된 이후, 매 클럭 주기마다 모든 비트를 한 자리씩 이동시키는 레지스터이다.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 L1, OE, CL, ID 및 R이 입력된다. 여기서, 각 메일박스 모듈(30)의 모든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L1, OE, CL, ID 및 R의 신호 라인을 각각 공유한다. 예를 들면, 모든 메일박스 모듈(30)의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동일한 ID의 신호 라인에 연결된다. 이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 ID의 신호 라인을 통해 식별 아이디 정보가 출력되면, 이 출력된 정보는 모든 메일박스 모듈(30)의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에 동일하게 입력됨을 의미한다.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복수의 출력 채널을 가진다. 이 출력 채널의 수는 본체(10)에 장착된 메일박스 모듈(30)의 총 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총 16개의 메일박스 모듈(30)이 본체(10)에 장착된 경우,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의 출력 채널 수는 각각의 메일박스 모듈(30)에 대응하도록 16개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CH00부터 CH15까지 총 16개의 채널을 가진다. 각 채널은 본체제어부(17)로부터의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한다.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ID, CL, L1 및 OE 신호 라인을 통해 각각 식별 아이디 정보, 클럭 신호, 래치 신호 및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한다.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클럭 신호 및 래치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하며, 복수의 출력 채널 중에서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을 턴온시킨다. 이 채널의 턴온 타이밍은 출력 인에이블 신호에 따르는 바, 본체제어부(17)는 인쇄매체(M)의 현재 위치에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320)는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와의 사이에 상기한 CH00 내지 CH15의 채널을 구성한다. 또한, 멀티플렉서(320)는 A0 내지 A3의 4비트 입력 채널 을 가지는데, 이 입력 채널은 아이디설정부(330)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있는 상태이다.
멀티플렉서(320)의 A0 내지 A3의 채널은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됨으로써, 2진수 [0,0,0,0]부터 [1,1,1,1]까지 4비트, 즉 CH00 내지 CH15의 채널에 각각 대응하는 총 16가지의 경우의 수가 가능하다. 이러한 A0 내지 A3의 채널 상태로부터 기 설정된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식별 아이디를 나타낼 수 있다. 즉, A0 내지 A3의 채널 상태에 의해, 멀티플렉서(320)에 식별 아이디가 설정된다.
멀티플렉서(320)는 CH00 내지 CH15의 채널 중에서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에 의해 어느 한 채널이 턴온되면, 이 턴온된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액티브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멀티플렉서(320)는 턴온된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면 액티브신호를 출력하며, 턴온된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지 않으면 액티브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아이디설정부(330)는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식별 아이디를 설정한다. 아이디설정부(33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썸 휠 스위치(sum wheel switch)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일박스 모듈(30)이 본체(10)에 최초 장착될 때, 사용자는 아이디설정부(330)를 조작하여 해당 메일박스 모듈(30)의 식별 아이디를 지정한다.
아이디설정부(330)는 S0 내지 S3 채널의 4비트 출력에 따른 총 16가지 경우의 아이디를 2진수로 설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정된 S0 내지 S3 채널은 멀티플렉서(320)의 A0 내지 A3 채널과, 비교부(350)의 후술할 4개의 1차논리게이트(351)에 각각 대응한다.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시프트 레지스터 소자로 구현된다.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L2, OE, CL, ID 및 R의 신호 라인에 연결된다.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OE, CL, ID 및 R의 신호 라인은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와 공유하나,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와 별개의 구성이므로 래치 신호는 L1 신호 라인과는 별도의 L2 신호 라인을 사용한다. 물론, 모든 메일박스 모듈(30)의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L2 신호 라인을 공유한다.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Q0 내지 Q3의 4비트 출력 채널을 가지며, 이는 식별 아이디의 총 경우의 수인 16개에 대응한다.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 입력된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Q0 내지 Q3 채널을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한다.
비교부(350)는 아이디설정부(330)의 S0 내지 S3 채널과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의 Q0 내지 Q3 채널을 일대일로 비교하는 복수의 1차논리게이트(351)와, 1차논리게이트(351)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센서(100a)의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2차논리게이트(352)와, F 신호 라인에 대해 오픈 컬렉터(open collector) 출력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353)를 포함한다.
1차논리게이트(351)는 S0와 Q0, S1과 Q1, S2와 Q2, S3와 Q3를 각각 개별 비교하는 4개의 게이트(gate)로 구성된다. 1차논리게이트(351)는 비교 대상의 두 입력값이 같으면 0을, 다르면 1을 출력한다.
2차논리게이트(352)는 4개의 1차논리게이트(351)로부터의 결과가 [0,0,0,0]이면, 즉 본체제어부(17)로부터의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 응하면, 센서(100a)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2차논리게이트(352)는 4개의 1차논리게이트(351)로부터의 결과에서 적어도 하나의 1이 포함되면, 즉 본체제어부(17)로부터의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지 않으면, 센서(100a)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353)는 2차논리게이트(352)의 출력단에 설치된다. 모든 메일박스 모듈(30)에 설치된 트랜지스터(353)는 오픈 컬렉터 출력으로 F 신호 라인에 연결됨으로써, 모든 메일박스 모듈(30)의 비교부(350)가 F 신호 라인을 공유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내부 회로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고유 식별 아이디는 01번 내지 16번까지 총 16개 중에서 01번, 아이디설정부(330)에 의해 2진수로 [0,0,0,0]으로 기 설정된 경우를 예시로 한다.
첫째로, 본체제어부(17)로부터의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며, 출력트레이(35a, 35b)의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하이므로 센서(100a)가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
본체제어부(17)는 ID 신호 라인을 통해 01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출력한다.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ID 신호 라인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01번의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CH00 채널을 턴온시킨다.
아이디설정부(330)에 의해 멀티플렉서(320)의 A0 내지 A3 채널은 식별 아이디 01번에 대응하는 [0,0,0,0]으로 맞추어져 있으므로, 턴온된 CH00 채널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인 01번과 대응한다. 이에, 멀티플렉서(320)는 구동부(200a)에 대 해 액티브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 입력된 01번의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Q0 내지 Q3 채널을 [0,0,0,0]으로 맞춘다.
4개의 1차논리게이트(351)는 아이디설정부(330) 및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으로부터, 각각 [0,0], [0,0], [0,0], [0,0]의 입력값의 쌍을 형성한다. 각 입력값 쌍을 형성하는 두 입력값이 상호 동일한 바, 1차논리게이트(351)로부터 2차논리게이트(352)에 입력되는 값은 [0,0,0,0]을 나타낸다.
2차논리게이트(352)는 1차논리게이트(351)로부터의 입력되는 값이 모두 0을 나타내므로, 센서(100a)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런데, 센서(100a)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비교부(350)로부터 감지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둘째로, 본체제어부(17)로부터의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며, 출력트레이(35a, 35b)의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상이므로 센서(100a)가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본체제어부(17)는 ID 신호라인을 통해 01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출력한다.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ID 신호라인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01번의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CH00 채널을 턴온시킨다.
턴온된 CH00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인 01번과 대응하므로, 멀티플렉서(320)는 구동부(200a)에 대해 액티브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 입력된 01번의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Q0 내지 Q3 채널을 [0,0,0,0]으로 맞춘다.
4개의 1차논리게이트(351)는 아이디설정부(330) 및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으로부터, 각각 [0,0], [0,0], [0,0], [0,0]의 입력값의 쌍을 형성한다. 각 입력값 쌍을 형성하는 두 입력값이 상호 동일한 바, 1차논리게이트(351)로부터 2차논리게이트(352)에 입력되는 값은 [0,0,0,0]을 나타낸다.
2차논리게이트(352)는 1차논리게이트(351)로부터의 입력되는 값이 모두 0을 나타내므로, 센서(100a)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허용한다. 출력된 감지신호는 F 신호 라인을 통해 본체제어부(17)로 전달된다.
본체제어부(17)는 01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출력하였을 때에 감지신호가 수신되므로, 01번의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제1메일박스 모듈(30a)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기 설정값 이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체제어부(17)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13)에 표시한다.
셋째로, 본체제어부(17)로부터의 식별 아이디 정보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
본체제어부(17)는 ID 신호 라인을 통해 01번과 상이한, 예를 들면 02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출력한다.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ID 신호 라인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로부터, 02번의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CH01 채널을 턴온시킨다.
턴온된 CH01 채널은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인 01번에 대응하지 않으므로, 이에 멀티플렉서(320)는 구동부(200a)에 대해 액티브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본체제어부(17)로부터 입력된 02번의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Q0 내지 Q3 채널을 [0,0,0,1]로 맞춘다.
4개의 1차논리게이트(351)는 아이디설정부(330) 및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으로부터, 각각 [0,0], [0,0], [0,0], [0,1]의 입력값의 쌍을 형성한다. 이러한 입력값 쌍에 기초하여, 1차논리게이트(351)로부터 2차논리게이트(352)에 입력되는 값은 [0,0,0,1]을 나타낸다.
2차논리게이트(352)는 1차논리게이트(351)로부터의 입력되는 값 중에 적어도 하나의 1을 포함하므로, 센서(100a)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더라도 이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일박스 모듈(30)의 제어회로부(300a)에 마이크로 프로세서 대신 시프트 레지스터(310) 및 멀티플렉서(320)를 적용함으로써, 본체제어부(17)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구동부(200a)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30)에 하나의 구동부(200a)만 설치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30)에서 두 개의 구동부(200a)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경우, 멀티플렉서(320)는 이 두 개의 구동부(200a)에 액티브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다른 하나의 구동부(200a)에 대응하는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 및 멀티플렉서(320)의 구성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OE, CL, ID 및 R 신호 라인은 공유하되, L1 신호 라인은 공유하지 않는 다. 즉, 추가된 제1시프트 레지스터(310)는 래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 라인을 가진다.
센서(100a) 또한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3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되는 센서(100a)에 대응하는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 및 비교부(350)가 추가된다.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30) 내의 복수의 제2시프트 레지스터(340)는 L2를 제외한 OE, CL, ID 및 R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바, 래치 신호를 위한 신호 라인은 각각 별개로 마련된다. 또한, 추가된 비교부(350)는 F 신호 라인을 공유하지 않으며, 각각 별개의 신호 라인을 가진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메일박스 모듈(30)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이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에 적용된 경우를 제2실시예로 하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난 점선은 인쇄매체(M)의 이송 경로이며, 인쇄매체(M)를 이송하는 롤러 구성(미도시)은 본 실시예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은 본체(10) 하측에 복수 개가 적층된다. 각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은 공급박스하우징(21)과, 공급박스하우징(21) 내에 설치되며 본체(10)에 공급되기 위한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23a, 23b, 23c)와, 적재플레이트(23a, 23b, 23c) 상의 인쇄매체(M)를 픽업하여 본체(10)에 공급하는 픽업롤러(25a, 25b, 25c)와, 픽업롤러(25a, 25b, 25c)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0a, 50b, 500c)와, 구동부(500a, 50b, 500c)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부(600a, 600b, 600c)를 포함한다.
프린트 작업이 개시되면, 각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부터 인쇄매체(M)가 픽업되어 본체(10)로 공급된다. 공급된 인쇄매체(M)는 본체(10)의 화상형성부(11)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다. 1회의 프린트 작업 시 본체(10)에 공급되는 인쇄매체(M)는 1매이므로,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 중에서 인쇄매체(M)를 공급할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이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선택은 본체(10)로부터 각 제어회로부(600a, 600b, 600c)에 대해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의 식별 아이디 정보가 전송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6은 본체(10) 및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화상형성부(11), 입력부(15), 표시부(13) 및 본체제어부(1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체(10)의 각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각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은 고유한 식별 아이디가 기 설정된다.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은 적재플레이트(23a, 23b, 23c)에 적재된 인쇄매체(M)의 양이 기 설정량 이하이면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400a, 400b, 400c)와, 픽업롤러(25a, 25b, 25c)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0a, 50b, 500c)와, 제어회로부(600a, 600b, 600c)를 포함한다.
센서(400a, 400b, 400c)는 그 구성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적재플레이트(23a, 23b, 23c) 상에 설치된 압전소자로 구현됨으로써 적재플레이트(23a, 23b, 23c) 상의 적재된 인쇄매체(M)의 중량을 감지하거나, 포토센서로 구현됨으로써 인쇄매체(M)의 적재량에 따라서 높이가 변화하는 적재플레이트(23a, 23b, 23c)를 감지하는 등 다양한 구성 적용이 가능하다.
구동부(500a, 50b, 500c)는 그 구성이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픽업롤러(25a, 25b, 25c)가 본체(10)의 구동원(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경우, 이 구동력의 전달을 단속하는 클러치(clutch)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구동부(500a, 50b, 500c)는 제어회로부(600a, 600b, 600c)로부터 액티브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력 전달을 허용함으로써 픽업롤러(25a, 25b, 25c)를 작동시키고, 제어회로부(600a, 600b, 600c)로부터 액티브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구동력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픽업롤러(25a, 25b, 25c)를 정지시키는 구성이 가능하다.
프린트 작업 시, 사용자는 입력부(15)를 통해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체제어부(17)는 입력부(15)에 의해 선택된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각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에 출력한다.
각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 중에서, 본체제어부(17)로부터 수신한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의 제어회로부(600a, 600b, 600c)만이 구동부(500a, 50b, 500c)를 작동시킨다. 이에, 해당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의 픽업롤러(25a, 25b, 25c)가 인쇄매체(M)를 픽업하여 본체(10)로 공급한다.
만일, 해당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에 적재된 인쇄매체(M)의 양이 기 설정값 이하이거나 인쇄매체(M)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회로부(600a, 600b, 600c)는 센서(400a, 400b, 400c)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본체제어부(17)로 전달한다.
본체제어부(17)는 소정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출력하였을 때에 이러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식별 아이디의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에 적재된 인쇄매체(M)의 양이 기 설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본체제어부(17)는 표시부(13)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부(600a, 600b, 600c)의 자세한 구성은 제1실시예의 제어회로부(300a, 300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일박스 모듈(30) 또는 공급박스 모듈(20a, 20b, 20c)과 같이 본체(10)의 입출력측에 다단으로 설치하여, 본체(10)에 대한 인쇄매체(M)의 입출력을 각각의 설치단 별로 구분하여 수행하는 옵션박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옵션박스 모듈의 제어회로부의 구성함에 있어서, 시프트 레지스터 및 멀티플렉서의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각 옵션박스 모듈의 선택적 제어가 가능하다.
이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서 인쇄매체(M)를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출력하기 위한 본체제어부(17)의 제어 과정에 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본체제어부(17) 및 제어회로부(300a, 300b) 사이의 신호 배선 구성과 제어회로부(300a, 300b)의 구성은 도 4의 구성에 준한다.
또한, 본체제어부(17)에 의해 각 신호 라인이 로우(low) 또는 하이(high)로 설정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로우일 때 액티브로 설정되거나, 반면 하이일 때 액티브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어느 신호 라인이 로우일 때 액티브이거나 또는 하이일 때 액티브인 것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5)를 통해 인쇄매체(M)를 출력할 메일박스 모듈(30a, 30b)을 선택 지정한다(S100). 이 때, ID 및 L1 신호 라인은 로우 상태이며(S110), 본체제어부(17)는 구동부(200a)를 제어하기 위하여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총 수에 대응하게 마련된 구동부 제어변수에서, 지정된 메일박스 모듈(30a, 30b)을 온으로 설정한다(S120).
만일 구동부 제어변수를 bGateOnData[i]라고 하고,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총 수인 i가 i=16이며, 지정된 메일박스 모듈(30a)이 첫 번째인 경우, 구동부 제어변수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bGateOnData[16]={"ON","OFF","OFF","OFF","OFF","OFF","OFF","OFF","OFF","OFF","OFF","OFF","OFF","OFF","OFF","OFF"}
본체제어부(17)는 각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순서대로, 구동부 제어변수에 지정된 상태에 기초하여 ID 신호라인을 제어한다(S130 내지 S190). 여기서, 본체제어부(17)는 한 번의 ID 신호라인 제어 시 CL 신호라인을 통해 클럭신호의 펄스 하나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메일박스 모듈(30a, 30b)이 총 16개인 경우, 본체제어부(17)는 총 16회 펄스의 클럭신호 출력에 대응하여 ID 신호라인을 제어한다.
본체제어부(17)는 n번째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대응하는 구동부 제어변수 bGateOnData[n]이 온 상태이면(S140), ID 신호라인을 하이 상태로 하고(S150), 클럭신호의 펄스 하나를 출력한다(S160). 그리고, n+1번째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대비하여 ID 신호라인을 다시 로우 상태로 한다(S170).
만일, S140 단계에서, n번째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대응하는 구동부 제어변수 bGateOnData[n]이 오프 상태이면, 본체제어부(17)는 ID 신호라인을 로우 상태로 유지하고, 클럭신호의 펄스 하나를 출력한다(S160). 그리고, n이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총 수와 동일한지 판단하여(S180), 동일하지 않으면 n에 1을 더하고 S140단계로 회귀한다(S190).
n이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총 수와 동일하여 모든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대한 구동부 제어변수의 실행이 종료하면, L1을 하이 상태로 하여 래치 신호를 출력하고, OE를 로우 상태로 하여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S200). 이에 의하여, 지정된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구동부(200a)가 구동하여 인쇄매체(M)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 S130단계에서는 n의 초기값이 1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만일, S130단계에서 n의 초기값이 0으로 지정되는 경우에는, 본체제어부(17)는 S180단계에서 n이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총 수보다 1이 작은 수일 때 모든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대한 구동부 제어변수의 실행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서 소정의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인쇄매체(M)가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본체제어부(17)의 제어 과정에 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5)를 통해 인쇄매체(M)의 적재량을 감지하고자 하는 메일박스 모듈(30a, 30b)을 선택 지정한다(S300). 이 때, ID 및 L2 신호 라인은 로우 상태이며(S310), 본체제어부(17)는 지정된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대응하는 식별 아이디를 이진수화하여, 각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센서(100a)에 대응하게 마련된 센서감지변수에 설정한다(S320).
센서감지변수를 bFullSensorNo라 하고,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총 수가 16개인 경우 이를 이진수화하면 4비트이므로, 첫 번째 메일박스 모듈(30a, 30b)이 지정된 경우에 센서감지변수는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bFullSensorNo=00000001[2]
위의 센서감지변수에서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식별 아이디는 하위 4비트 영역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본체제어부(17)는 센서감지변수의 하위 4비트 정보를 상위 4비트 영역으로, 또는 우측의 4비트 정보를 좌측의 4비트 영역으로 시프트시킨다(S330). 시프트된 센서감지변수는 다음과 같다.
bFullSensorNo=00010000[2]
이 상태에서, 본체제어부(17)는 센서감지변수를 좌측으로 1비트씩 시프트시킴으로서 제일 좌측의 1비트의 정보를 출력하며(S340), 출력된 1비트의 정보가 0인 지 여부를 확인한다(S350). 본체제어부(17)는 상기한 출력 정보가 0이 아니면 ID 신호라인을 하이 상태로 하고(S360), 클럭신호의 펄스 하나를 출력한 후(S370), ID 신호라인을 로우 상태로 한다(S380). 반면, 본체제어부(17)는 상기한 출력 정보가 0이면 ID 신호라인을 로우 상태로 유지하고, 클럭신호의 펄스 하나를 출력한다(S370).
이와 같이 모든 메일박스 모듈(30a, 30b)에 대한 센서감지변수의 실행이 종료하면(S390), L2를 하이 상태로 하여 래치 신호를 출력하고, OE를 로우 상태로 하여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S400).
이러한 프로세스가 종료한 후, 본체제어부(17)는 F 신호라인의 상태를 확인한다(S410). 본체제어부(17)는 F 신호라인이 로우 상태이면 해당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S420),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430). 반면, 본체제어부(17)는 F 신호라인이 하이 상태이면 해당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기 설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의하여, 지정된 메일박스 모듈(30a, 30b)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메일박스 모듈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 및 메일박스 모듈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제1메일박스 모듈의 제어회로부의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급박스 모듈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 및 공급박스 모듈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매체를 메일박스 모듈에 출력하기 위한 본체제어부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메일박스 모듈에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본체제어부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10 : 본체
11 : 화상형성부 13 : 표시부
15 : 입력부 17 : 본체제어부
20, 20a, 20b, 20c : 공급박스 모듈
21 : 공급박스하우징 23a, 23b, 23c : 적재플레이트
25a, 25b, 25c : 픽업롤러 30, 30a, 30b : 메일박스 모듈
31a, 31b : 메일박스하우징 33a, 33b : 배출홀
35a, 35b : 출력트레이 37a, 37b : 가이드
100a, 100b, 400a, 400b : 센서
200a, 200b, 500a, 500b, 500c : 구동부
300a, 300b, 600a, 600b, 600c : 제어회로부
310 : 제1시프트 레지스터 320 : 멀티플렉서
330 : 아이디설정부 340 : 제2시프트 레지스터
350 : 비교부 351 : 1차논리게이트
352 : 2차논리게이트 353 : 트랜지스터
M : 인쇄매체

Claims (23)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출력 측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의 상기 인쇄매체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의 총 수에 대응하는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채널 중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채널을 턴온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턴온된 상기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액티브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각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식별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은,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출력트레이와;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출력트레이에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되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부에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식별 아이디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본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복수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각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턴온하는 제2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제2시프트 레지스터의 상기 복수 채널의 턴온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상기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각 상기 비교부는, 오픈 컬렉터 출력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본체로 출력하는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상이 형성된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출력되게 상기 어느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를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에 출력하는 본체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제어부는,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상기 본체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메일박스 모듈은,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출력트레이와;
    상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출력트레이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기 인쇄매체의 입력 측에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트레이와, 상기 적재된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의 총 수에 대응하는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채널 중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채널을 턴온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턴온된 상기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액티브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각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식별 아이디를 설정하는 아이디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공급박스 모듈은,
    상기 적재트레이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의 양이 기 설정량 이하이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부에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식별 아이디 정보가 상기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본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복수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여 각 상기 채널을 선택적으로 턴온하는 제2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제2시프트 레지스터의 상기 복수 채널의 턴온 상태가 상기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센서로부터의 상기 감지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각 상기 비교부는, 오픈 컬렉터 출력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본체로 출력하는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게 상기 어느 하나의 공급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를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에 출력하는 본체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제어부는,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인쇄매체 적재량이 기 설정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상기 본체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공급박스 모듈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적재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로 공급되게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복수 개가 다단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한 인쇄매체의 입력 또는 출력을 각각의 상기 설치단 별로 구분하여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옵션박스 모듈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대한 인쇄매체의 입력 또는 출력이 수행되게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복수의 상기 옵션박스 모듈의 총 수에 대응하는 채널을 가지고, 상기 본체로 부터 상기 옵션박스 모듈의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채널 중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어느 한 채널을 턴온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턴온된 상기 채널이 기 설정된 식별 아이디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액티브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옵션박스 모듈.
  20.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의 상기 인쇄매체가 출력되게 구동하는 구동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본체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메일박스 모듈에 대응하는 식별 아이디 정보를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에 공통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 상기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 중에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메일박스 모듈의 구동부가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상기 메일박스 모듈로 상기 본체로부터의 인쇄매체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공통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가 상기 복수의 메일박스 모듈로부터 상기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되어 있음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 메일박스 모듈 중에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메일박스 모듈에 상기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상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2.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인쇄매체를 적재하며 상기 적재된 인쇄매체를 상기 본체에 공급하게 구동하는 구동부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급박스 모듈에 대응하는 식별 아이디 정보를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에 공통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수신한 상기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 중에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박스 모듈의 구동부가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부가 구동하는 상기 공급박스 모듈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를 공통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가 상기 복수의 공급박스 모듈로부터 상기 인쇄매체의 적재량이 기 설정량 이하인 것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 공급박스 모듈 중에서 상기 식별 아이디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공급박스 모듈에 상기 인쇄매체가 기 설정량 이하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118769A 2009-12-02 2009-12-0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2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769A KR20110062164A (ko) 2009-12-02 2009-12-0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801,057 US8514437B2 (en) 2009-12-02 2010-05-1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769A KR20110062164A (ko) 2009-12-02 2009-12-0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164A true KR20110062164A (ko) 2011-06-10

Family

ID=4406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769A KR20110062164A (ko) 2009-12-02 2009-12-02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4437B2 (ko)
KR (1) KR201100621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3605B2 (en) * 2012-09-27 2017-08-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ing an available capac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914A (en) * 1976-05-17 1977-08-16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Microprogrammed control of foreign processor control functions
JP2759011B2 (ja) * 1991-10-28 1998-05-28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5525031A (en) * 1994-02-18 1996-06-11 Xerox Corporation Automated print jobs distribution system for shared user centralized printer
EP0724354B1 (en) * 1995-01-24 2002-06-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sorter unit
JP2001056625A (ja) * 1999-08-19 2001-02-27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426601B1 (ko) 2002-04-18 2004-04-14 (주)케이알디씨 용지 후처리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450881B2 (en) * 2002-04-18 2008-11-11 Krdc Co., Ltd. Finish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3898577B2 (ja) * 2002-06-12 2007-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8569A1 (en) 2011-06-02
US8514437B2 (en)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866B2 (ja)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0308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control program
JP2018093328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US11172087B2 (en) Multifunction machine, image scann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multifunction machin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at controls conveyance of a document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of the document
EP3648444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that reads original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CN102244706A (zh) 图像显示装置以及具有其的图像形成装置
CN111458995A (zh) 图像读取设备以及图像读取设备的控制方法
US10264141B2 (en) Abnormality notifica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bnormality notification method
KR20110062164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443580B (zh) 图像读取设备和图像读取设备的控制方法
JP4630771B2 (ja) 画像形成装置
US9540205B2 (en) Sheet sorting apparatus
JP639055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2008001397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9341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ith error detecting and line switching function
US83227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323417B2 (ja) 画像形成装置
JP5577293B2 (ja) 原稿読取装置
JP4811009B2 (ja) 液晶表示制御装置、液晶表示制御方法、液晶表示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12061748A (ja) 多段積載型デジタル複合機
US5592615A (en) Malfunctioning parts detecting device and a method of detecting malfunctioning parts
JPH08220945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6583180B2 (ja) 画像形成装置
JP6459915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55742B1 (ko) 화상형성기기의 용지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