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597A - Equipment for the desulfurization of flue gas with seawater and process for treatment of the seawater used in the desulfurization - Google Patents
Equipment for the desulfurization of flue gas with seawater and process for treatment of the seawater used in the desulfuriz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1597A KR20110061597A KR1020117007344A KR20117007344A KR20110061597A KR 20110061597 A KR20110061597 A KR 20110061597A KR 1020117007344 A KR1020117007344 A KR 1020117007344A KR 20117007344 A KR20117007344 A KR 20117007344A KR 20110061597 A KR20110061597 A KR 20110061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water
- flue gas
- gas desulfurization
- mixing tank
- dilution m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2—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solution or susp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30—Alkali metal compounds
- B01D2251/304—Alkali metal compounds of so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1—Sulfu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urification of gaseous efflu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해수 처리 장치(10-1)는, 배기 가스(11) 중의 황 성분을 해수(12)의 일부인 흡수용 해수(12A)와 접촉시켜 정화하는 배연 탈황 흡수탑(13)과,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배연 탈황 흡수탑(13)에서 배기 가스(11) 중의 상기 황 성분을 흡수용 해수(12A)와 접촉시켜 해수 탈황함으로써 생긴 황 성분 흡수 해수(14A)를 본체(15) 내에 송급되는 희석용 해수(12B)와 혼합·희석하는 희석 혼합조(16)를 가짐과 함께,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측벽(17)의 하단측에 희석 혼합조(16)를 덮도록 희석 혼합조(16)의 긴 방향에 따라 연설된 뚜껑부(18)와, 이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그 단부가 매몰하는 제 1 둑(19)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20A)를 갖는다. In the first seawater treatment apparatus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13 for purifying the sulfur component in the exhaust gas 11 by contacting the absorption seawater 12A which is a part of the seawater 12 and purifying it. And sulfur formed by being integrally installed below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13 and contacting the sulfur component in the exhaust gas 11 with the absorbing sea water 12A in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13 to desulfurize sea water.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7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13 while having the dilution mixing tank 16 which mixes and dilutes the component absorption seawater 14A with the dilution seawater 12B supplied to the main body 15. The lid part 18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lution mixing tank 16 so that the dilution mixing tank 16 may be covered by the side, and is dripped from the back surface side of this lid part 18, and the dilution mixing tank 16 is carried out. It has the gas retention part 20A provided with the 1st bank 19 which the edge part embeds in the surface of the wa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업 연소 설비의 배기 가스 중의 산화물 황 등의 황 성분을 해수를 이용하여 탈황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해수 배연 탈황 시스템 및 탈황 해수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and a desulfurization sea water treatment method for desulfurizing sulfur components such as oxide sulfur in exhaust gas of an industrial combustion facility using sea water.
최근,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병설한 화력 발전소가 증가 경향에 있다. 발전소 등에서는 대량의 냉각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바다에 면한 장소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은 것, 탈황 처리의 설비 비용을 석회-석고법에 비하여 낮게 억제할 수 있는 것 등의 관점에서, 해수를 흡수액으로서 이용하여 탈황을 행하는 해수 탈황이 주목되었다. In recent years, thermal power plants with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devices have tended to increase. Since power plants and the like require large amounts of cooling water, seawater is often used as an absorbent liquid in view of the fact that it is often constructed in a location facing the sea, and that the cost of equipment for desulfurization treatment can be kept lower than that of the lime-gypsum method. The desulfurization of seawater using desulfurization has been noted.
통상 화력 발전소에서는, 보일러의 복수기(復水器)에서 다량의 해수를 냉각수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복수기로부터 배출되어 데워진 해수 배액의 일부를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공급하여, 해수 배연 탈황용의 흡수액으로서 이용하여, 배기 가스중의 SO2의 제거가 행하여지고 있다. In thermal power plants, since a large amount of seawater is used as cooling water in a boiler condenser, a portion of the seawater drainage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is heated to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and used as an absorbent for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The removal of SO 2 in the exhaust gas is performed.
종래의 해수를 이용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갖춘 화력 발전 시스템의 흐름도의 일례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이용한 화력 발전 시스템(100)은, 예열된 공기(101)를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버너에 의해 연소시키는 보일러(102)와, 보일러(102)에서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배기 가스(103) 중의 매진(煤塵)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104)와, 배기 가스(103)중의 황 성분을 해수(105)를 이용하여 탈황하고, 탈황함으로써 생성되는 황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한 황 성분 흡수 해수(106)의 수질 회복 처리를 행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A)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A)는, 배기 가스(103) 중의 SO2를 아황산(H2SO3)으로서 회수하는 배연 탈황 흡수탑(108)과, 이 배연 탈황 흡수탑(108)으로부터 배출되는 황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한 황 성분 흡수 해수(106)의 수질 회복 처리를 행하는 산화조(109)로 이루어지는 것이다(특허문헌 1, 2). An example of the flowchart of the 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using the conventional seawater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9, the thermal
보일러(102) 내에서 연소하여 발생하는 배기 가스(103)는 도시하지 않은 배연 탈질(脫窒) 장치에 송급(送給)되어 탈질된 후, 집진 장치(104)로 송급되어, 배기 가스(103) 중의 매진을 제거한다. 그리고, 집진 장치(104)에서 제진된 배기 가스(103)는 유인 팬(110)에 의해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A)의 배연 탈황 장치(108) 내에 공급된다. The
배연 탈황 흡수탑(108)에서는, 배기 가스(103) 중의 황 성분을 바다(111)로부터 퍼 올려지는 해수(105) 중의 일부인 흡수용 해수(105A)를 이용하여 탈황을 행하고 있다. 즉,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생기는 배기 가스(103)에는, SO2 등의 형태로 황산화물(SOX)인 황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해수 탈황에서는, 배연 탈황 흡수탑(108)에서 배기 가스(103)와 해수 공급 라인(112)을 통해서 공급되는 흡수용 해수(105A)를 기액 접촉시켜, 배기 가스(103) 중의 SO2를 흡수용 해수(105A)에 흡수시킨다. 그리고, 배연 탈황 흡수탑(108)에서 탈황된 정화 가스(113)는 정화 가스 배출 통로(114)를 통하여 굴뚝(115)으로부터 대기 중에 방출된다. 배연 탈황 흡수탑(108)에서는, 해수(105A)와 배기 가스(103)의 접촉에 의해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In the flue gas
[반응식 I]Scheme I
SO2(g) + H2O → H2SO3(l) → HSO3 - + H+ SO 2 (g) + H 2 O → H 2 SO 3 (l) → HSO 3 - + H +
해수(105A)와 배기 가스(103)의 기액 접촉에 의해 배기 가스(103) 중의 SO2가 흡수되어 H2SO3이 발생하고, 이것이 해수(105A) 중에서 해리되기 때문에, 해수(105A)와 배기 가스(103)를 기액 접촉시킨 후의 해수(105A)는 HSO3 -의 농도가 상승함과 함께, H+가 방출되기 때문에 pH가 낮아지게 된다. 다량의 황 성분을 흡수시켜 생기는 황 성분 흡수 해수(106)의 pH는 3 내지 6 정도가 된다. The gas-liquid contact between the
배연 탈황 흡수탑(108)으로부터 배출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06)는, 바다(111)로 방출 또는 재이용하기 전에 pH는 6.0 이상까지 상승시켜 놓아야 한다. 그 때문에, 황 성분을 포함한 황 성분 흡수 해수(106)는, 산화조(109)에 있어서 2차 해수 공급 라인(116)에 의해 공급되는 해수(105)의 일부를 희석용 해수(105B)로서 혼합시킴과 함께, 산화용 공기 블로어(117)로부터 공기(118)를 산기관(散氣管)(119)의 노즐(120)을 통해서 산화조(109) 내에 공급하여, 황 성분 흡수 해수와 기액 접촉시켜 다음 식과 같은 반응을 일어나게 하고, 그 후, 3차 해수 공급 라인(121)에 의해 나머지 해수(105)를 희석용 해수(105C)로서 혼합 희석함으로써, COD원이 되는 아황산을 감소시키고, 용존 산소 농도, pH를 상승시켜 수질을 회복시키고, 수질 회복 해수(122)로서 바다(111)로 방출되고 있다. The sulfur
[반응식 II]Scheme II
O2(g) → O2(l)O 2 (g) → O 2 (l)
[반응식 III]Scheme III
HSO3 - + 1/2 O2(l) → + SO4 2- + H+ HSO 3 - + 1/2 O 2 ( l) → + SO 4 2- + H +
[반응식 IV]Scheme IV
HCO3 - + H+ → H2CO3(l) → CO2(g)↑ + H2O HCO 3 - + H + → H 2 CO 3 (l) → CO 2 (g) ↑ + H 2 O
[반응식 V]Scheme V
CO3 2- + 2 H+ → H2CO3(l) → CO2(g)↑ + H2OCO 3 2- + 2 H + → H 2 CO 3 (l) → CO 2 (g) ↑ + H 2 O
이와 같이,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이용한 화력 발전 시스템(100)에서는, 산화조(109)로 SO2의 방산의 방지와 pH를 향상시키기 위해, 황 성분 흡수 해수(106)를 도시하지 않은 복수기로부터 배출되는 해수(105)와 산화조(109)에서 혼합 희석하고, 산화조(109)에서 산화·폭기 처리하는 것으로 아황산을 산화시켜 무해화시킴과 함께, 용존 산소 농도를 증가시키고, 탈탄산하여 황 성분 흡수 해수(106)의 pH를 향상시키고, 해수 배액(122)의 pH를 배수 기준(통상 pH 6.0 이상)을 만족시키도록 하여 배출하고 있다(특허문헌 1, 2). As described above, in the thermal
또한,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은, 종래의 해수 탈황 시스템에 적용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다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B)는, 배기 가스(103) 중의 SO2를 아황산(H2SO3)으로 탈황 반응시키는 배연 탈황 흡수탑(131)과, 배연 탈황 흡수탑(131)의 하측에 설치되고, 황 성분을 포함한 황 성분 흡수 해수(106A)를 희석용 해수(105B)와 희석 혼합하는 희석 혼합조(132)와, 희석 혼합조(132)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황 성분 흡수 해수(106)의 수질 회복 처리를 행하는 산화조(13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특허문헌 3). Moreover, the other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is shown in FIG. 10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seawater desulfurization system. As shown in FIG. 10, another conventional seawater flue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B)에서는, 배연 탈황 흡수탑(131)에 있어서 해수 공급 라인(112)을 통해서 공급되는 해수(105) 중의 일부인 흡수용 해수(105A)를 배기 가스(103)와 기액 접촉시켜, 배기 가스(103) 중의 SO2를 흡수용 해수(105A)에 흡수시킨다. 그리고, 배연 탈황 흡수탑(131)에서 황 성분을 흡수한 황 성분 흡수 해수(106A)는, 배연 탈황 흡수탑(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희석 혼합조(132)에 공급되는 희석용 해수(105B)와 혼합시킨다. 그리고, 희석용 해수(105B)와 혼합 희석된 황 성분 흡수 해수(106B)는, 희석 혼합조(132)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산화조(133)에 송급되어, 산화용 공기 블로어(117)로부터 공기(118)를 산기관(119)의 산화 공기용 노즐(120)을 통해서 공급하여 수질 회복시킨 후,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In the seawater flue
그러나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B)에서는, 희석 혼합조(132)에 있어서, 황 성분 흡수 해수(106A)에 의한 기포의 권입(卷入)에 의해, SO2 농도가 높은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가 희석 혼합조(132) 내의 희석용 해수(105B)에 말려들게 되기 때문에, 옥외에 개방되어 있는 산화조(133)에 그 기포를 포함한 상태로 희석용 해수(105B)와 혼합된 황 성분 흡수 해수(106B)가 흐르면, 산화조(133)에서 SO2가 방산되어 자극 냄새를 발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awater flue
또한,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B)와 같이, 배연 탈황 흡수탑(131)을 희석용으로 이용하는 해수(105)가 흐르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기의 배수로가 되는 희석 혼합조(132)의 상부측에 설치하여, 해수 탈황과, 이용한 해수의 산화 처리를 일체로 한 장치에서는, 희석 혼합조(132)에 공급된 황 성분 흡수 해수(106A)와 해수(105B)가 양자의 온도 차이에 의해 충분히 혼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conventional seawater flue
또한, 배연 탈황 흡수탑(131)을 유하(流下)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06A)가 희석 해수로에 낙하함으로써 배연 탈황 흡수탑(131) 내에 SO2를 포함하는 거품이 축적되어, 배연 탈황 흡수탑(131) 밖으로 고농도의 SO2를 포함하는 거품이 유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106 A of sulfur component absorbing seawater flowing down the flue ga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탈황에 이용한 해수를 산화 처리할 때, 해수 중에 회수한 SO2가 방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이 높은 해수 배연 탈황 장치 및 탈황 해수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 and reliabl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eating desulfurized seawater, which are prevented from dissipating SO 2 recovered in seawater when oxidizing seawater used for desulfurization. Let's make it a task.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배기 가스 중의 황 성분을 해수와 접촉시켜 정화하는 배연 탈황 흡수탑, 및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에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황 성분을 상기 해수와 접촉시켜 해수 탈황함으로써 생긴 황 성분 흡수 해수를 본체 내에 송급되는 해수와 혼합·희석하는 희석 혼합조를 가짐과 함께,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측벽의 하단측에 상기 희석 혼합조를 덮도록 연설(延設)된 뚜껑부, 및 상기 뚜껑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垂下)되어, 상기 희석 혼합조 내의 수면에 그 단부가 매몰하는 제 1 둑[堰]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The 1st invention of this invention for solving the subject mentioned above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which purifies the sulfur component in exhaust gas by contact with seawater, and the said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and is equipped with the said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he tower has a dilution mixing tank for mixing and diluting the sulfur component absorbing seawater produced by contacting the sulfur component in the exhaust gas with the seawater and desulfurizing the seawater with the seawater supplied into the body, and the side wall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A lid part which is extended so as to cover the dilution mixing tank on the lower end side, and a first weir which is dripped from the back side of the lid part and whose end is buried in the water surface in the dilution mixing tank. It is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has a gas retention part provided with.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상기 측벽에서 상기 제 1 둑의 내벽까지의 길이(L1)가, 다음 수학식 1, 2 중 어느 한쪽과 다음 수학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2nd invention WHEREIN: 1st invention WHEREIN: The length L1 from the said side wall of the said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o the inner wall of a said 1st dam satisfy | fills either of following formulas 1 and 2, and following formula (3).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해수 중에 있어서의 기포 직경 dp에 대하여, About bubble diameter dp in seawater,
단, dG1은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τ1은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다. Where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at the outlet of the gas reservoir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1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and U t (dp) is the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Is the terminal ascending velocity of the bubble group of, Cc is the SO 2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SO 2 concentration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and Kg is the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the bubble. It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dp is the bubble diameter, and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bath.
또한, 정지 유체 중의 단일 기포의 종말 상승 속도는, 이하의 하기 수학식 4의 스토크스(Stokes)의 식으로부터 구해지고, 큰 기포일수록 종말 상승 속도가 빨라진다. In addition, the terminal rise rate of the single bubble in a stationary fluid i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e formula of the following Stokes of following formula (4), The larger the bubble, the faster the terminal rise rate.
단, g는 중력 가속도, dp는 기포 직경, ρL은 해수 밀도, ρG는 기체 밀도, μ는 해수의 점도이다. Where g is gravity acceleration, dp is bubble diameter, ρ L is seawater density, ρ G is gas density, and μ is the viscosity of seawater.
또한, 기포 직경이 1mm를 초과하면 유체와의 마찰에 의해 기포 형상이 구상이 되지 않는 것, 또한, 기포군의 상승 속도는 단일 기포의 거동과 다르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일치하지 않지만,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은, 통상 0.5∼1.0mm 정도이며, 크더라도 5.0mm을 넘는 것은 드물고, 해수 중에서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는 200∼300mm/s이고, 최대로도 400mm/s 정도이다. If the bubble diameter exceeds 1 mm, the bubble shape does not become spherical due to friction with the fluid, and since the rising speed of the bubble group is different from the behavior of the single bubble, it does not strictly match, but in seawater The bubble diameter is usually about 0.5 to 1.0 mm, and even if it is large, it is rare to exceed 5.0 mm, and the terminal rise rate of the bubble group in seawater is 200 to 300 mm / s, and at most about 400 mm / s.
제 3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희석 혼합조의 저부에 제 2 둑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3rd invention is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2nd dam i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dilution mixing tank in 1st invention.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상기 측벽에서 상기 제 2 둑의 내벽까지의 길이 L2가, 하기 수학식 5, 6 중 어느 하나와 하기 수학식 7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4th invention WHEREIN: In length 3, length L2 from the said side wall of the said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o the inner wall of a said 2nd dam satisfy | fills any of following formulas (5) and (7). It is in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단, D는 희석 혼합조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τ2는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G2는 해수 액면과 제 2 둑 사이의 액면의 높이이다. However,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2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U t (dp) is the terminal rising rate of the bubble group of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Cc is SO 2 is the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concentration of SO 2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Kg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bubbles, and dp is the bubble diameter. ,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and d G2 is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between the sea level and the second weir.
제 5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 체류부의 내측에 제 3 둑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5th invention is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1st invention WHEREIN: The 3rd dam is provided inside the said gas retention part.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둑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제 1 둑의 내벽까지의 길이 L3이, 하기 수학식 8, 9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10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In a sixth invention, in the fifth invention, the length L3 from the outer wall of the third weir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weir satisfies any one of Equations 8 and 9 and Equation 10 below. Is in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unit.
단, dG1은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τ3은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는 희석 혼합부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dG2는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2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며, MIN(dG1, dG2)는 dG1, dG2의 최소치이다. Where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at the outlet of the gas reservoir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3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and U t (dp) is the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Is the terminal ascending velocity of the bubble group of, Cc is the SO 2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SO 2 concentration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and Kg is the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the bubble.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dp is the bubble diameter,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vessel,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in the dilution mixing vessel, and d G2 is the dilution mixing vessel from the second bank of the gas reservoir outlet. The opening height to the bottom, and MIN (d G1 , d G2 ) is the minimum of d G1 , d G2 .
제 7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희석 혼합조의 저부에 제 2 둑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가스 체류부의 내측에 제 3 둑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invention, a second dam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and a third dam is provided inside the gas reservoir.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둑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제 2 둑의 내벽까지의 길이 L4가, 하기 수학식 11, 12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1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In the eighth invention, in the seventh invention, the length L4 from the outer wall of the third weir to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weir satisfies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1) and (12). Is in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unit.
단, D는 희석 혼합조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τ4는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G1은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dG2는 해수 액면과 제 2 둑 사이의 액면의 높이이며, dG3은 제 3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MIN(dG1, dG2, dG3)은, dG1, dG2, dG3의 최소치이다. However,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4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U t (dp) is the terminal rising rate of the bubble group of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Cc is SO 2 is the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concentration of SO 2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Kg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bubbles, and dp is the bubble diameter. ,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d G2 is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between the sea level and the second bank, and d G3 is It is the height of the opening from 3 banks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and MIN (d G1 , d G2 , d G3 ) is the minimum value of d G1 , d G2 , d G3 .
제 9 발명은, 제 5 내지 8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둑이, 상기 가스 체류부와 상기 해수 사이의 공간과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을 연통하는 통기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The ninth invention is the seawa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wherein the third dam has an air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between the gas reservoir and the seawater and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It is in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unit.
제 10 발명은, 제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수가 복수기로부터 배출되는 배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10th invention is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in any one of 1st-9th invention whose said seawater is drainage discharged from a condenser.
제 11 발명은, 제 1 내지 10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희석 혼합조의 후류(後流)에 설치되고, 상기 희석 혼합조에서 상기 황 성분 흡수 해수와 혼합한 해수 중의 황 성분을 산화시킴과 함께 탈탄산하여, 수질 회복을 행하는 산화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있다. The eleventh invention is one of the first to the tenth invention, provided in the downstrea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oxidizing the sulfur component in seawater mixed with the sulfur component absorption seawater in the dilution mixing tank; It is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having an oxidizing tank which decarbonizes together and performs water quality recovery.
제 12 발명은, 보일러,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증기 발생용의 열원으로서 사용함과 함께, 발생한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하는 증기 터빈, 상기 증기 터빈에서 응축한 물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복수기,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탈질을 행하는 배연 탈질 장치, 상기 배기 가스 중의 매진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 제 1 내지 11 중 어느 한 발명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 및 상기 배연 탈황 장치에서 탈황된 정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탈황 시스템에 있다. A twelfth invention uses a boiler, a steam turbine for driving a generator using steam generated using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as a heat source for steam generation, and a condenser for recovering and circulating water condensed in the steam turbine. , A flue gas denitrific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denitrification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a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removing dust in the exhaust gas,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leventh embodiments, and the desulfurization purification in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The seawater desulfurization system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himney for discharging the gas to the outside.
제 13 발명은, 제 1 내지 11 중 어느 한 발명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이용하여 탈황에 이용한 해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SO2 가스가 외부에 방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황 해수의 처리 방법에 있다.
A thirteenth invention is the liquid in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desulfurization sea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from 1 to 11 using the 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of any of the invention in which the SO 2 gas contained in the sea water used in the desulfurization dissipated to the outside have.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 가스 중의 황 성분을 해수와 접촉시켜 정화하는 배연 탈황 흡수탑, 및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으로부터 유하하여 오는 황 성분 흡수 해수를 본체 내에 송급되는 해수와 혼합하는 희석 혼합조의 연결 부분에 상기 희석 혼합조를 덮도록 연설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뚜껑부를 갖춘 가스 체류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뚜껑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상기 희석 혼합조 내의 수면에 그 단부가 매몰하는 제 1 둑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황 성분 흡수 해수가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으로부터 유하함으로써 상기 해수 중에 말려들게 된 상기 황 성분 흡수 해수 중의 SO2 농도가 높은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를 상기 뚜껑부와 상기 제 1 둑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스 체류부 내의 공간 내에 방산시켜, SO2 가스가 옥외로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for purifying sulfur components in exhaust gas by contact with sea water, and a sulfur component absorbing seawater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under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and flows down from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ilution mixing tank for mixing with the seawater fed into the main body has a gas retention section having a lid portion having a constant length extended to cover the dilution mixing tank, and is received from the back side of the lid section, and the dilution mixing tank Since the end surface is buri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he sulfur-containing absorbing seawater flows from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o contain a gas having a high SO 2 concentration in the sulfur-containing absorbing seawater. A bubble is formed in a space in the gas reservoir formed by the lid and the first weir. T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 2 gas from leaking to outside.
이 결과, 상기 해수를 산화 처리하여 수질 회복을 행할 때, SO2를 함유하는 상기 해수가 산화조로 흘러 나가서 옥외 개방형의 상기 산화조에서 SO2가 방산되어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 및 신뢰성이 높은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seawater is oxidized to recover the water quality, the seawater containing SO 2 can flow out into the oxidizing tank, thereby preventing SO 2 from being dissipated in the oxidizing tank of an open-air outdoor type, thereby preventing the irritating odor. And a highly reliabl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해수 탈황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해수를 이용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갖춘 화력 발전시스템의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해수 탈황 시스템에 적용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다른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awater desulfurization system.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using conventional seawater.
10 is a view briefly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seawater desulfurization system.
이하, 이 발명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he component in the following embodiment includes the thing whi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assume, or the substantially same thing.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shown in FIG.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1)는, 배기 가스(11) 중의 황 성분을 해수(12)의 일부인 흡수용 해수(12A)와 접촉시켜 정화하는 배연 탈황 흡수탑(13)과,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배연 탈황 흡수탑(13)에서 배기 가스(11) 중의 상기 황 성분을 흡수용 해수(12A)와 접촉시켜 해수 탈황함으로써 생긴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를 유하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A)를 본체(15) 내에 송급되는 희석용 해수(12B)와 혼합·희석하는 희석 혼합조(16)를 가짐과 함께,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측벽(17)의 하단측에 희석 혼합조(16)를 덮도록 희석 혼합조(16)의 긴 방향에 따라 연설된 뚜껑부(18)와, 이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그 단부(19a)가 해수면에 매몰하는 제 1 둑(19)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20A)를 갖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1st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contacts the sulfur component in the
또한, 도면 중, 부호 16a는 희석 혼합조(16)의 저부이다. In addition, in the figure, code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해수(12) 중, 배연 탈황 흡수탑(13)에 송급하여 배기 가스(11)의 정화용으로 이용하는 해수를 흡수용 해수(12A)로 하고, 배연 탈황 흡수탑(13)에 송급하여, 희석용으로 이용하는 해수를 희석용 해수(12B)로 한다. 또한, 배연 탈황 흡수탑(13)에서 희석용 해수(12B)와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를 유하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A)가 혼합된 해수를 황 성분 흡수 해수(14B)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water 12 is supplied to the flue gas
배연 탈황 흡수탑(13)에 있어서 사용되는 흡수용 해수(12A)는, 바다(21)로부터 펌프(22)를 이용하여 해수 공급 라인(23)에 퍼 올려진 해수(12) 중, 펌프(24)에 의해 발출된 해수(12)의 일부인 흡수용 해수(12A)가 배연 탈황 흡수탑(13)에 송급된다. 또한, 해수(12)는, 바다(21)로부터 펌프(22)에 의해 직접 퍼 올린 해수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시하지 않은 복수기로부터 배출되는 해수(12)의 배액 등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The
배연 탈황 흡수탑(13)에서는, 배기 가스(11)와 흡수용 해수(12A)를 기액 접촉시켜, 배기 가스(11) 중의 황 성분의 탈황을 행한다. 즉, 배연 탈황 흡수탑(13)에 있어서 배기 가스(11)와 흡수용 해수(12A)를 기액 접촉시켜, 하기 반응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게 하여, 배기 가스(11) 중의 SO2 등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물(SOX) 등의 황 성분을 흡수용 해수(12A)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In the flue gas
[반응식 I]Scheme I
SO2(g) + H2O → H2SO3(l) → HSO3 - + H+ SO 2 (g) + H 2 O → H 2 SO 3 (l) → HSO 3 - + H +
이 해수 탈황에 의해 흡수용 해수(12A)와 배기 가스(11)의 기액 접촉에 의해 발생한 H2SO3가 해리하여 H+가 흡수용 해수(12A) 중에 방출되기 때문에, pH가 낮아지고,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를 유하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A)에는 다량의 황 성분이 흡수된다. 이 때,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를 유하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A)의 pH로서는, 예컨대 3 정도가 된다. 그리고, 황 성분 흡수 해수(14A)는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를 유하하여,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희석 혼합조(16) 내에 모인다. 또한, 배연 탈황 흡수탑(13)에서 탈황된 정화 가스(25)는 정화 가스 배출 통로(26)를 통해서 대기 중에 방출된다. H 2 SO 3 generated by the gas-liquid contact between the absorbing
또한, 해수 공급 라인(23)으로부터 해수(12)의 일부가 희석용 해수(12B)로서 희석용 해수 공급 라인(27)을 통과하여 희석 혼합조(16)에 송급된다. 그리고, 희석 혼합조(16)에서,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를 유하하여 오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A)를 희석용 해수(12B)와 혼합하여 희석한다. 이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를 유하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A)와 희석용 해수(12B)가 혼합된 해수를 황 성분 흡수 해수(14B)로 한다. 황 성분 흡수 해수(14A)를 해수(12B)와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희석 혼합조(16) 내의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pH를 상승시켜, SO2의 재방산을 막을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seawater 12 is supplied from the
또한,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1)는,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희석 혼합조 하류측의 측벽(17)의 하단측에 희석 혼합조(16)를 덮도록 연설된 뚜껑부(18)와, 이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그 단부(19a)가 해수면에 매몰하는 제 1 둑(19)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20A)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제 1 둑(19)이 가스 체류부(20A)로부터 수하하여, 희석용 해수(12B)와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를 유하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A)가 혼합된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일부를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에서 막도록 하고 있다. 2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 part of structure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briefly. As shown in FIG. 2, the 1st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 dilution mixing tank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황 성분 흡수 해수(14A)가 배연 탈황 흡수탑(13)으로부터 유하함으로써,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SO2 농도가 높은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말려들게 된다.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는, 가스 체류부(20A)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 내에 방산된다. 이 때문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가스 체류부(19B)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 내에 멈추게 할 수 있다. The sulfur
도 3은, 도 10에 나타내는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B)는, 배연 탈황 흡수탑(131)의 희석 혼합조 하류측 벽판을 그대로 희석 혼합조(132)의 황 성분 흡수 해수(106B)로 연장하여, 희석 혼합조(132) 내의 수면에 그 단부를 매몰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7B)에서는, 배연 탈황 흡수탑(131) 내를 유하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106A)에 의한 기포의 권입에 의해, 희석용 해수(105B) 중에 말려들게 된 SO2 농도가 높은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가 상승하여 배연 탈황 흡수탑(131) 밖으로 방산되어,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될 우려가 있다.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0. The conventional seawater flue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측벽(17)의 하단측에 희석 혼합조(16)를 덮도록 연설된 뚜껑부(18)와, 이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고,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그 단부가 매몰하는 제 1 둑(19)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20A)를 설치하여, 제 1 둑(19)의 단부(19a)를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매몰시켜, 본체(15) 내의 황 성분 흡수 해수(14B)에 일부 침지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A)가 배연 탈황 흡수탑(13)으로부터 유하하는 것에 의한 기포(28)의 권입에 의해, SO2 농도가 높은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황 성분 흡수 해수(14B)에 말려들게 되더라도,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를 가스 체류부(20A)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 내에 방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SO2 가스를 가스 체류부(19B)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 내에 멈춰,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이 결과, 후술하듯이, 옥외 개방형의 산화조(29)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B)가 흐를 때,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흘러 산화조(29)로 SO2가 방산되어,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ulfur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측벽(17)으로부터 제 1 둑(19)의 내벽(19b)까지의 길이(L1)가, 하기 수학식 1, 2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L1 from the
[수학식 1][Equation 1]
dG1<τ1 Ut(dp)d G1 <τ 1 U t (dp)
[수학식 2][Equation 2]
Cc> C0exp(-6 Kg/dpτ1)Cc> C 0 exp (-6 Kg / dpτ 1 )
[수학식 3]&Quot; (3) "
τ1= L1/UL τ 1 = L1 / U L
단, dG1은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τ1은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다. Where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at the outlet of the gas reservoir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1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and U t (dp) is the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Is the terminal ascending velocity of the bubble group of, Cc is the SO 2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SO 2 concentration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and Kg is the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the bubble. It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dp is the bubble diameter, and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bath.
여기서, 정지 유체 중의 단일 기포의 종말 상승 속도 Ut는, 이하의 스토크스의 수학식 4로부터 구해지며, 큰 기포일수록 종말 상승 속도가 빨라진다. Here, the terminal rising speed U t of the single bubble in the stationary fluid is obtained from Equation 4 of the following Stokes, and the larger the bubble, the faster the terminal rising speed.
[수학식 4]&Quot; (4) "
Ut= g×dp2×(ρL-ρG)/18μU t = g × dp 2 × (ρ L -ρ G ) / 18μ
단, g는 중력 가속도, dp는 기포 직경, ρL은 해수 밀도, ρG는 기체 밀도, μ는 해수의 점도이다. Where g is gravity acceleration, dp is bubble diameter, ρ L is seawater density, ρ G is gas density, and μ is the viscosity of seawater.
또한, 기포 직경이 1mm를 초과하면 유체와의 마찰에 의해 기포 형상이 구상이 되지 않는 것, 또한, 기포군의 상승 속도는 단일 기포의 거동과 다르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일치하지 않지만,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은, 통상 0.5∼1.0mm 정도이며, 크더라도 5.0mm를 넘는 것은 드물고, 해수 중에서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 Ut는 200∼300mm/s이며, 최대로도 400mm/s 정도이다. If the bubble diameter exceeds 1 mm, the bubble shape does not become spherical due to friction with the fluid, and since the rising speed of the bubble group is different from the behavior of the single bubble, it does not strictly match, but in seawater The bubble diameter is usually about 0.5 to 1.0 mm, and rarely exceeds 5.0 mm, and the terminal rising velocity U t of the bubble group in seawater is 200 to 300 mm / s, at most about 400 mm / s.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식을 만족시키도록 함으로써,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 중, 부상 속도가 높은 비교적 큰 기포를 더욱 확실히 가스 체류부(20A)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내에 방산시켜, SO2 가스를 방산시킬 수 있다. 또한,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 중, 부상 속도가 낮은 비교적 작은 기포 중의 SO2 가스를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흡수시킬 수 있다. By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이것 때문에, 희석 혼합조(16)에 있어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산화조(29)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B)와 함께 흘러 산화조(29)로 SO2가 방산되어,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the
이것에 의해, 후술하듯이, 산화조(29)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수질 회복을 행할 때에 발생하는 가스가, SO2 환경 기준 농도를 만족시키도록 하여, 산화조(29)로 방산시킬 수 있다. Thereb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as generated when the water quality recovery of the sulfur
따라서, 희석 혼합조(16)에 있어서 말려들게 된 고농도의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희석 혼합조(16)의 후류측에 설치해 놓은 산화조(29)에서 방산되어,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해수 탈황 흡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그리고, 희석 혼합조(16)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의 기포(28)가 방산된 후, 황 성분 흡수 해수(14B)는 희석 혼합조(16)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산화조(29)에 송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희석 혼합조(16)과 산화조(29)와 일체로서 1개의 조로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희석 혼합조(16)와 산화조(29)를 각각의 조로 하여 희석 혼합조(16)와 산화조(29)를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And after the
산화조(29)는, 희석 혼합조(16)의 하류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의 황 성분을 산화시킴과 함께 탈탄산하여, 수질 회복을 행한다. 산화조(29)에는 공기 공급부(30)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공급부(30)는, 공기(31)를 공급하는 산화용 공기 블로어(32)와, 공기(31)를 송급하는 산기관(33)과, 공기(31)를 산화조(29) 내의 황 성분 흡수 해수(14B)에 공급하는 산화 공기용 노즐(34)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산화조(29)에 있어서, 산화용 공기 블로어(32)에 의해 산기관(33)을 통해서 산화 공기용 노즐(34)로부터 공기(31)를 산화조(29)에 보내 주고, 산화조(29)에서 황 성분이 공기(31)와 접촉하여 다음 반응식 II 내지 V와 같은 산소의 용해, 아황산의 산화 반응과, 탈탄산 반응을 일으킨다. The
[반응식 II]Scheme II
O2(g) → O2(l)O 2 (g) → O 2 (l)
[반응식 III]Scheme III
HSO3 - + 1/2 O2 → SO4 2- + H+ HSO 3 - + 1/2 O 2 → SO 4 2- + H +
[반응식 IV]Scheme IV
HCO3 - + H+ → CO2(g) + H2O HCO 3 - + H + → CO 2 (g) + H 2 O
[반응식 V]Scheme V
CO3 2- + 2 H+ → CO2(g) + H2O CO 3 2- + 2 H + → CO 2 (g) + H 2 O
그리고, 산화조(29)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 중의 아황산수소 이온(HSO3 -)의 산화 반응, 중탄산이온(HCO3 -)의 탈탄산 반응에 의해, 황 성분 흡수 해수(14B)는 수질 회복되어, 수질 회복 해수(35)로 된다. The sulfur
그리고, 수질 회복 해수(35)는 해수 배출 라인(36)을 통해서 해수 폐액으로서 바다(21)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수질 개질 해수(35)의 pH를 상승시킴과 함께, COD를 저감할 수 있어, 수질 회복 해수(35)의 pH, 용존 산소 농도, COD를 해수 방류 가능한 레벨로 하여 방출할 수 있다.The water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1)에 의하면, 배기 가스(11) 중의 황 성분을 해수(12A)와 접촉시켜 정화하는 배연 탈황 흡수탑(13)과,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배연 탈황 흡수탑(13)에서 해수 탈황함으로써 생긴 황 성분 흡수 해수(14A)를 본체(15) 내에 송급되는 희석용 해수(12B)와 혼합·희석하는 희석 혼합조(16)와,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측벽(17)의 하단측에 희석 혼합조(16)를 덮도록 연설된 뚜껑부(18)와, 이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그 단부(19a)가 매몰하는 제 1 둑(19)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20A)를 갖는 것이다. 이 제 1 둑(19)이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하여, 그 단부(19a)를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매몰시켜,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일부를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에서 막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A)가 배연 탈황 흡수탑(13)으로부터 유하함으로써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말려들게 된 SO2 농도가 높은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를 가스 체류부(20A)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 내에 방산하여,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1st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1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flue gas
이 결과, 옥외 개방형의 산화조(29)에 흐른 황 성분 흡수 해수(14B)를 산화 처리하여 수질 회복을 행할 때,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산화조(29)로 흘러 방산되어, SO2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 및 신뢰성이 높은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sulfur component-absorbing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산화조(29)를 배연 탈황 흡수탑(13)에서 해수 탈황에 이용한 해수의 처리를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산화조(29)는, 예컨대 각종 산업에 있어서의 공장, 대형, 중형 화력 발전소 등의 발전소, 전기 사업용 대형 보일러 또는 일반 산업용 보일러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황산화물을 해수 탈황하는 것으로 생기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A) 중의 황 성분의 제거, 탈황 해수에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processes the seawater which used the oxidizing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 전체의 구성도는 생략하고,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와 동일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tructure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whol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omitted, and the seawater flue ga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omit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s a desulfurization apparatus,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which overlaps is abbreviate | omitted.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2)는, 도 1, 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1)의 희석 혼합조(16)의 저부(16a)에 제 2 둑(42)을 설치한 가스 체류부(20B)를 갖는 것이다. 4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2nd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2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dilutes the 1st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shown in FIGS. It has the
본 실시형태와 같이, 희석 혼합조(16)의 저부(16a)에 제 2 둑(42)을 설치함 으로써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액면과 제 2 둑(42)의 단부(42a) 사이의 액면의 높이(dG2)가 낮게 된다. 이 때문에, 산화조(29)에 흐르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의 기포(28)를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액면과 제 2 둑(42)의 단부(42a) 사이에 집중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기포(28)를 가스 체류부(20B)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 내에 방산시킬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the
이것에 의해,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산화조(29)로 흘러 SO2를 방산하여,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by, the
또한, 희석 혼합조(16)에 있어서 탈황 유하액인 황 성분 흡수 해수(14A)가 희석용 해수(12B)와 혼합될 때, 황 성분 흡수 해수(14A)는 배기 가스(11)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액온이 높고, 희석용 해수(12B)는 액온이 낮기 때문에, 단순히 합류시키는 것 뿐으로는 균일하게 혼합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희석 혼합조(16)의 저부(16a)에 제 2 둑(42)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액면과 제 2 둑(42)의 단부(42a) 사이의 액면의 높이(dG2)가 낮아, 산화조(29)로 흐르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A)와 희석용 해수(12B)의 혼합을 촉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ulfur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측벽(17)으로부터 제 2 둑(42)의 내벽(42b)까지의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흐름 방향에서의 길이(L2)가, 하기 수학식 5, 6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7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L 2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sulfur
[수학식 5][Equation 5]
D<τ2 Ut(dp)D <τ 2 U t (dp)
[수학식 6]&Quot; (6) "
Cc> C0exp(-6 Kg/dpτ2)Cc> C 0 exp (-6 Kg / dpτ 2 )
[수학식 7][Equation 7]
τ2= L2/(UL×D/dG2)τ 2 = L2 / (U L × D / d G2 )
단, D는 희석 혼합조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τ2는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G2는 해수 액면과 제 2 둑 사이의 액면의 높이이다. However,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2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U t (dp) is the terminal rising rate of the bubble group of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Cc is SO 2 is the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concentration of SO 2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Kg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bubbles, and dp is the bubble diameter. ,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and d G2 is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between the sea level and the second weir.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식을 만족시키도록 함으로써,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의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를 더욱 확실히 가스 체류부(20B)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 내로 방산하여, SO2 가스를 방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산화조(29)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B)와 함께 흘러 산화조(29)로 SO2가 방산되어,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satisfying the above equation, the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산화조(29)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수질 회복을 행할 때에 발생하는 가스가, SO2 환경 기준 농도를 만족시키도록 하여, 산화조(29)에서 방산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gas generated when the water quality recovery of the sulfur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2)에 의하면, 희석 혼합조(16)의 저부(16a)에 제 2 둑(42)을 설치함으로써 산화조(29)에 흐르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기포(28)를 액면 상부에 집중하여, 희석 혼합조(16)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A)와 희석용 해수(12B)의 혼합을 촉진함과 함께,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의 기포(28)를 가스 체류부(20B)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1) 내에 방산시킬 수 있다. 이것 때문에,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산화조(29)로 흘러 산화조(29)에서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이 높은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2nd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2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sulfur which flows through the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대하여, 도 5,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 전체의 구성도는 생략하고,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와 동일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tructure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whol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omitted, and the seawater flue ga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omit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s a desulfurization apparatus,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which overlaps is abbreviate | omitted.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부분 확대도이다.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여기서, 해수 탈황 흡수탑인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탑내에서 다량의 해수 유하액인 황 성분 흡수 해수(14A)가 희석 해수로인 희석 혼합조(16) 상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이 거품의 발생량은 해수의 수질이나 배기 가스(11) 중의 SO2 가스 농도에도 의존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고, 다량의 거품이 발생한 경우에는,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부의 희석 혼합조(16)는 거품으로 다 덮여,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흐름에 의해 외부로 유출할 가능성이 있다. Here, in the tower of the flue gas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3)는, 가스 체류부(20C)의 내측에 제 3 둑(43)을 설치한 가스 체류부(20C)를 갖는 것으로, 제 3 둑(43)이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고,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그 단부(43a)가 매몰하여, 해수(12B)와 황 성분 흡수 해수(14)가 혼합된 해수(12C)의 일부를 배연 탈황 흡수탑(13) 내에서 막아, 흡수탑인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유출을 막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5, the 3rd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3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provides the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된 제 3 둑(43)의 단부(43a)를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매몰시킴으로써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일부의 흐름이 막힘으로써 희석 혼합조(16)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A)와 희석용 해수(12B)의 혼합을 촉진하여, 가스 체류부(20C)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과 제 3 둑(43)으로 형성되는 공간(S2) 내에 기포(28)를 방산하여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산화조(29)로 흘러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ilution mixing by blocking the flow of a part of the sulfur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둑(43)에 가스 체류부(20C)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과 제 3 둑(43)으로 형성되는 공간(S2)과 배연 탈황 흡수탑(13)을 연통하는 통기공(44)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 체류부(20B)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과 제 3 둑(43)으로 형성되는 공간(S2)에 충만된 SO2 가스를 배연 탈황 흡수탑(13)측으로 방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o FIG. 5, 6,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둑(43)의 단부(43a)와 희석 혼합조(16)의 저면(16a) 사이의 높이(dG3)는, 제 1 둑(19)의 단부(19a)와 희석 혼합조(16)의 저면(16a) 사이의 높이(dG1)와 같은 높이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르게 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d G3 between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3 둑(43)의 외벽(43b)으로부터 제 1 둑(19)의 내벽(41a)까지의 해수(12C)의 흐름 방향에서의 길이(L3)가, 하기 수학식 8, 9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10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L3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seawater 12C from the
[수학식 8][Equation 8]
dG1<τ3 Ut(dp)d G1 <τ 3 U t (dp)
[수학식 9][Equation 9]
Cc> C0exp(-6 Kg/dpτ3)Cc> C 0 exp (-6 Kg / dpτ 3 )
[수학식 10][Equation 10]
τ3= L3/(UL×D/MIN(dG1, dG2))τ 3 = L3 / (U L × D / MIN (d G1 , d G2 ))
단, dG1은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τ3은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는 희석 혼합부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dG2는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2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며, MIN(dG1, dG2)는 dG1, dG2의 최소치이다. Where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at the outlet of the gas reservoir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3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and U t (dp) is the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Is the terminal ascending velocity of the bubble group of, Cc is the SO 2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SO 2 concentration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and Kg is the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the bubble.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dp is the bubble diameter,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vessel,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in the dilution mixing vessel, and d G2 is the dilution mixing vessel from the second bank of the gas reservoir outlet. The opening height to the bottom, and MIN (d G1 , d G2 ) is the minimum of d G1 , d G2 .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식을 만족시키도록 함으로써,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의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를 더욱 확실히 가스 체류부(20C)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과 제 3 둑(43)으로 형성되는 공간(S2) 내에 방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산화조(29)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B)와 함께 흘러 산화조(29)에서 SO2가 방산되어,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막아,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satisfying the above equation, the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산화조(29)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수질 회복을 행할 때에 발생하는 가스가 SO2 환경 기준 농도를 만족시키도록 하여, 산화조(29)에서 방산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gas generated when the water quality recovery of the sulfur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3)에 의하면,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흐름 방향의 가스 체류부(20C)의 내측에 제 3 둑(43)을 설치하여, 희석 혼합조(16)의 저부(16a)와 제 3 둑(43) 사이의 액면의 높이를 낮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희석 혼합조(16)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A)와 희석용 해수(12B)의 혼합을 촉진하여, 가스 체류부(20C)의 뚜껑부(18)와 제 1 둑(19)과 제 3 둑(43)으로 형성되는 공간(S2) 내에 기포(28)를 방산하여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이것 때문에,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기포(28)가 산화조(29)로 흘러 산화조(29)에서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 및 신뢰성이 높은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3rd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3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제 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 전체의 구성도는 생략하고,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와 동일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structure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whol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omitted, and the seawater flue ga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omit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s a desulfurization apparatus,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which overlaps is abbreviate | omitted.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간략히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4)는, 도 1,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1)와, 도 4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2)와, 도 5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3)를 조합한 것이다.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4 which concerns on 4th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the 1st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by this invention shown in FIG. The apparatus 10-1, the 2nd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2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by this invention shown in FIG. 4, and the agent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by this invention shown in FIG. It combines 3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3.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4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4)는, 배연 탈황 흡수탑(13)의 측벽(17)의 하단측에 희석 혼합조(16)를 덮 도록 희석 혼합조(16)의 긴 방향에 따라 연설된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그 단부(19a)가 매몰하는 제 1 둑(19)과, 희석 혼합조(16)의 저부(16a)에 제 2 둑(42)과, 뚜껑부(18)의 내측에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고, 희석 혼합조(16) 내의 수면에 그 단부(43a)가 매몰하는 제 3 둑(43)을 설치한 가스 체류부(20C)를 갖는 것으로, 제 1 둑(19) 및 제 3 둑(43)은 뚜껑부(18)로부터 수하하여, 희석용 해수(12B)와 황 성분 흡수 해수(14A)가 혼합된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일부를 배연 탈황조(13) 내에서 막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4th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4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uses the
가스 체류부(20D)의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된 제 1 둑(19)을 설치하고, 희석 혼합조(16)의 저부(16a)에 제 2 둑(42)을 설치함과 함께, 뚜껑부(18)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된 제 3 둑(43)을 설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황 성분 흡수 해수(14A)와 희석용 해수(12B)의 혼합을 촉진하면서, 산화조(29)로 향하여 흐르는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유속을 빠르게 하여, 희석 혼합조(16)에서의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의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를 가스 체류부(20D)의 제 1 둑(19)과 제 3 둑(43)으로 형성되는 공간(S2) 내로 방산할 수 있다.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3 둑(43)의 외벽(43b)으로부터 제 2 둑(42)의 내벽(42b)까지의 길이(L4)가, 하기 수학식 11, 12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13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L4 from the
[수학식 11][Equation 11]
D<τ4 Ut(dp)D <τ 4 U t (dp)
[수학식 12][Equation 12]
Cc> C0exp(-6 Kg/dpτ4)Cc> C 0 exp (-6 Kg / dpτ 4 )
[수학식 13][Equation 13]
τ4= L4/(UL×D/MIN(dG1, dG2, dG3))τ 4 = L4 / (U L × D / MIN (d G1 , d G2 , d G3 ))
단, D는 희석 혼합조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τ4는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G1은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dG2는 해수 액면과 제 2 둑 사이의 액면의 높이이며, dG3은 제 3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MIN(dG1, dG2, dG3)은 dG1, dG2, dG3의 최소치이다. However,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4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U t (dp) is the terminal rising rate of the bubble group of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Cc is SO 2 is the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concentration of SO 2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Kg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bubbles, and dp is the bubble diameter. ,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d G2 is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between the sea level and the second bank, and d G3 is It is the height of the opening from 3 banks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and MIN (d G1 , d G2 , d G3 ) is the minimum of d G1 , d G2 , d G3 .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식을 만족시키도록 함으로써,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에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를 더욱 확실히, 가스 체류부(20D)의 제 1 둑(19)과 제 3 둑(43)으로 형성되는 공간(S2) 내에 방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산화조(29)에 황 성분 흡수 해수(14B)와 함께 흘러 산화조(29)에서 SO2가 외부로 방산되어 누설하는 것을 막아, 자극 냄새를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satisfying the above equation, the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산화조(29)에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B)의 수질 회복을 행할 때에 발생하는 가스가 SO2 환경 기준 농도를 만족시키도록 하여, 산화조(29)에서 방산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gas generated when the water quality recovery of the sulfur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4 해수 배연 탈황 장치(10-4)에 의하면, 희석 혼합조(16)에 있어서 황 성분 흡수 해수(14A)와 희석용 해수(12B)의 혼합을 더욱 촉진함과 함께, 황 성분 흡수 해수(14B) 중의 기포(28)를 가스 체류부(20D)의 제 1 둑(19)과 제 3 둑(43)으로 형성되는 공간(S2) 내에 방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희석 혼합조(16)에서 말려들게 된 SO2 가스를 포함하는 기포(28)가 흘러 산화조(29)에서 SO2가 외부로 흘러 산화조(29)에서 SO2 가스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 및 신뢰성이 높은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fourth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 5 실시형태][Fifth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이용한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탈황 시스템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eawater desulfur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using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해수 탈황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해수 배연 탈황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해수 배연 탈황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은 생략한다.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awater desulfurization system. Since the structure of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by 1st Embodiment-5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here.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탈황 시스템(50)은, 공기 예열기(AH)(51)에서 예열된 공기(52)를 이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버너에 의해 연소시키는 보일러(53)와, 보일러(5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54)를 증기 발생용의 열원으로서 사용함과 함께, 발생한 증기(55)를 이용하여 발전기(56)를 구동하는 증기 터빈(57)과, 이 증기 터빈(57)에서 응축한 물(58)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복수기(59)와, 보일러(5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54)의 탈질을 행하는 배연 탈질 장치(60)와, 보일러(53)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54) 중의 매진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61)와, 배기 가스(54) 중의 황 성분을 해수(62)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배연 탈황 흡수탑(71)과, 배연 탈황 흡수탑(71)에서 생성되는 황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한 황 성분 흡수 해수(63A)의 수질 회복 처리를 행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64)와, 배연 탈황 흡수탑(71)에서 배기 가스(54)가 탈황 처리된 정화 가스(65)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66)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8, the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52)는 압입 팬(67)에 의해 공기 예열기(51)에 송급되어 예열된다. 도시하지 않은 연료와 공기 예열기(51)에서 예열된 공기(52)가 상기 버너에 공급되고, 상기 연료가 보일러(53)에서 연소되어 증기 터빈(57)을 구동하기 위한 증기(55)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는, 예컨대 기름 탱크 등으로부터 공급된다. The
보일러(53) 내에서 연소하여 발생하는 배기 가스(54)는 배연 탈질 장치(60)에 송급된다. 이 때, 배기 가스(54)는 복수기(59)로부터 배출되는 물(58)과 열교환하여, 증기(55)를 발생하는 열원으로서 사용되고, 발생한 증기(55)는 증기 터빈(57)의 발전기(56)를 구동하고 있다. 그리고, 증기 터빈(57)에서 응축한 물(58)을 다시 보일러(53)로 되돌려, 순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The
그리고, 보일러(53)로부터 배출되어, 배연 탈질 장치(60)로 유도된 배기 가스(54)는 배연 탈질 장치(60) 내에서 탈질되고, 공기 예열기(51)에서 공기(52)와 열교환한 후, 집진 장치(61)에 송급되어, 배기 가스(54) 중의 매진을 제거한다. Then, the
그리고, 집진 장치(61)에서 제진 처리된 배기 가스(54)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64)에 송급된다. 해수 배연 탈황 장치(6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가 사용된다. 즉, 해수 배연 탈황 장치(64)는, 배기 가스(54) 중의 황 성분을 해수(62)의 일부인 흡수용 해수(62A)와 접촉시켜 정화하는 배연 탈황 흡수탑(71)과,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71)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배연 탈황 흡수탑(71)에서 배기 가스(54) 중의 상기 황 성분을 흡수용 해수(62A)와 접촉시켜 탈황함으로써 생긴 황 성분 흡수 해수(63A)를 본체(72) 내에 송급되는 희석용 해수(62B)와 혼합·희석하는 희석 혼합조(73)를 가짐과 함께, 배연 탈황 흡수탑(71)의 측벽(74)의 하단측에 희석 혼합조(73)를 덮도록 희석 혼합조(73)의 긴 방향에 따라 연설된 뚜껑부(75)와, 이 뚜껑부(75)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희석 혼합조(73) 내의 수면에 그 단부가 매몰하는 제 1 둑(76)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77)를 갖는 것이다. 또한, 희석 혼합조(73)의 하류측에 산화조(78)가 희석 혼합조(73)와 일체로 설치되고, 황 성분 흡수 해수(63B) 중의 황 성분을 산화시킴과 함께 탈탄산하여, 수질 회복을 행한다. 또한, 황 성분 흡수 해수(63B)는, 배연 탈황 흡수탑(71)에서 희석용 해수(62B)와 배연 탈황 흡수탑(71) 내를 유하하는 황 성분 흡수 해수(62A)가 혼합된 해수이다. 산화조(78)에는, 공기(79)를 공급하는 산화용 공기 블로어(80)와, 공기(79)를 송급하는 산기관(81)과, 공기(79)를 산화조(78) 내의 해수(62C)에 공급하는 산화 공기용 노즐(82)이 설치되어 있다. Then, the
구체적으로는, 배기 가스(54)는, 유인 팬(83)에 의해 배연 탈황 흡수탑(71)내에 공급된다. 이 때, 배기 가스(54)는 열교환기(84)에서 배연 탈황 흡수탑(71)에서 탈황되어 배출되는 정화 가스(65)와 열교환된 후, 배연 탈황 흡수탑(71) 내에 공급된다. Specifically, the
배연 탈황 흡수탑(71)에서는, 배기 가스(54) 중에 함유되어 있는 황 성분을 바다(85)로부터 퍼 올려진 해수(62)의 일부를 흡수용 해수(62A)로서 이용하여 해수 탈황을 행한다.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생기는 배기 가스(54)에는, SO2 등의 형태로 황산화물(SOX)인 황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배연 탈황 흡수탑(71)에서 배기 가스(54)와 해수 공급 라인(86)을 통해서 공급되는 흡수용 해수(62A)를 기액 접촉시켜, 배기 가스(54) 중의 SO2를 흡수용 해수(62A)에 흡수시켜 해수 탈황을 행한다. 또한, 펌프(87)로 바다(85)로부터 퍼 올려진 해수(62)는 복수기(59)로 열교환한 후, 복수기(59)의 배액(排液)인 해수(62)의 일부인 흡수용 해수(62A)를 펌프(88)로 배연 탈황 흡수탑(71)에 송급한다. 또한, 배연 탈황 흡수탑(71)에서 탈황된 정화 가스(65)는 굴뚝(66)으로부터 대기 중에 방출한다. In the flue gas
황 성분 흡수 해수(63A)는, 배연 탈황 흡수탑(71)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희석 혼합조(73)에 회수된다. 또한, 해수(62)의 일부를 희석용 해수(62B)로서 희석용 해수 공급 라인(89)을 통해서 희석 혼합조(73)에 송급한다. 이것에 의해, 황 성분 흡수 해수(63A)를 희석용 해수(62B)에서 희석할 수 있음과 함께, 황 성분 흡수 해수(63B)의 pH를 상승시킬 수 있다. 63 A of sulfur component absorption seawater is collect | recovered in the
또한, 배연 탈황 흡수탑(71)의 측벽(74)의 하단측에 희석 혼합조(73)를 덮 도록 희석 혼합조(73)의 긴 방향에 따라 가스 체류부(77)가 연설된 뚜껑부(75)와, 이 뚜껑부(75)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희석 혼합조(73) 내의 수면에 그 단부가 매몰하는 제 1 둑(76)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77)를 갖고 있다. 이것 때문에, 희석 혼합조(73)의 저부(73a)에서 말려들게 된 고농도의 SO2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90)를 가스 체류부(77) 내의 공간(S11) 내에 방산시켜, 이 공간(S11) 내에 멈추어, SO2 가스가 후류의 산화조(77)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d portion in which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64)로서, 전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 2 내지 제 4 해수 배연 탈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it demonstrated using the 1st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mentioned above as seawater flue
그리고, 산화용 공기 블로어(80)로부터 공기(79)를 산기관(81)을 통해서 산화 공기용 노즐(82)로부터 산화조(78) 내에 공급하여, 황 성분 흡수 해수(63B) 중의 아황산수소 이온을 산화시킴과 함께, 중탄산 이온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탈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황 성분 흡수 해수(63B)는 수질 회복되어, 수질 개질 해수(91)로 된다. Then, the
그 후, 산화조(78)에서 수질 회복 처리가 된 수질 개질 해수(91)는, 해수 배출 라인(92)을 통해서 해수 배액으로서 바다(85)로 방출된다. Thereafter, the water-modifi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 탈황 시스템(50)에 의하면, 산화조(77)에서 해수 탈황함으로써 생기는 황 성분 흡수 해수(63)를 희석 혼합조(73)에서 회수하고, 희석용 해수(62B)로 혼합·희석함과 함께, 희석 혼합조(73)의 저부에서 희석용 해수(62B)에 황 성분 흡수 해수(63A)의 유하에 의해 말려들게 되어 생기는 고농도의 SO2 가스를 함유하는 기포(90)가, 후류의 옥외 개방된 산화조(77)로 방산되어, SO2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 및 신뢰성이 높은 해수 탈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 배연 탈황 장치는, 해수 탈황에 의해서 생기는 황 성분 흡수 해수가 희석용 해수와 혼합할 때에 해수 중에 말려들게 된 SO2가 산화 처리를 행할 때에 외부에 방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해수 탈황에 이용한 해수를 해양에 방출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ulfur-absorbed seawater generated by seawater desulfurization from being mixed with dilution seawater so that SO 2 entrained in seawater is not dissipated to the outside during oxidation treatment. Since it is possible to do so, it is suitable for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which adjusts to discharge | release the seawater used for seawater desulfurization to the ocean.
10-1 내지 10-4: 제 1 해수 배연 탈황 장치 내지 제 4 해수 배연 탈황 장치
11: 배기 가스
12, 12A, 62, 62A: 해수(흡수용 해수)
12B, 62B: 희석용 해수
13, 71: 배연 탈황 흡수탑
14A, 14B: 황 성분 흡수 해수
15, 72: 본체
16, 73: 희석 혼합조
16a: 저부
17, 74: 측벽
18, 75: 뚜껑부
18a: 단부
19, 76: 제 1 둑
19a: 단부
19b: 내벽
20A 내지 20D, 77: 가스 체류부
21, 85: 바다
22, 24: 펌프
23, 86: 해수 공급 라인
25: 정화 가스
26: 정화 가스 배출 통로
27, 88: 희석용 해수 공급 라인
28, 90: 기포
29, 78: 산화조
30: 공기 공급부
31, 79: 공기
32, 80: 산화용 공기 블로어
33, 81: 산기관
34, 82: 산화 공기용 노즐
35, 91: 수질 개질 해수
36, 92: 해수 배출 라인
42: 제 2 둑
42a: 단부
42b: 내벽
43: 제 3 둑
43a: 단부
43b: 외벽
44: 통기공
50: 해수 탈황 시스템
51: 공기 예열기(AH)
52, 78: 공기
53: 보일러
54: 배기 가스
55: 증기
56: 발전기
57: 증기 터빈
58: 물
59: 복수기
60: 배연 탈질 장치
61: 집진 장치
63: 황 성분 흡수 해수
64: 해수 배연 탈황 장치
65: 정화 가스
66: 굴뚝
67: 압입 팬
83: 유인 팬
84: 열교환기
87, 88: 펌프
S1 내지 S2, S11: 공간10-1 to 10-4: 1st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to 4th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11: exhaust gas
12, 12A, 62, 62A: Seawater (absorption seawater)
12B, 62B: dilution seawater
13, 71: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14A, 14B: sulfur component absorption seawater
15, 72: main body
16, 73: dilution mixing tank
16a: bottom
17, 74: side wall
18, 75: lid
18a: end
19, 76: first bank
19a: end
19b: inner wall
20A to 20D, 77: gas reservoir
21, 85: sea
22, 24: pump
23, 86: seawater supply line
25: purifying gas
26: purge gas discharge passage
27, 88: dilution seawater supply line
28, 90: bubble
29, 78: oxidation tank
30: air supply
31, 79: air
32, 80: air blower for oxidation
33, 81: diffuser
34, 82: nozzle for oxidizing air
35, 91: water reforming seawater
36, 92: seawater discharge line
42: second dam
42a: end
42b: inner wall
43: third dam
43a: end
43b: outer wall
44: ventilator
50: seawater desulfurization system
51: air preheater (AH)
52, 78: air
53: boiler
54: exhaust gas
55: steam
56: generator
57: steam turbine
58: water
59: avengers
60: flue gas denitrification device
61: dust collector
63: sulfur component absorption seawater
64: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65: purifying gas
66: chimney
67: indentation fan
83: manned fan
84: heat exchanger
87, 88 pump
S1 to S2, S11: space
Claims (13)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에서 상기 배기 가스 중의 상기 황 성분을 상기 해수와 접촉시켜 해수 탈황함으로써 생긴 황 성분 흡수 해수를 본체 내에 송급되는 해수와 혼합·희석하는 희석 혼합조를 가짐과 함께,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측벽의 하단측에 상기 희석 혼합조를 덮도록 연설된 뚜껑부, 및 상기 뚜껑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수하되어, 상기 희석 혼합조 내의 수면에 그 단부가 매몰하는 제 1 둑을 구비한 가스 체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A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for purifying the sulfur component in the exhaust gas by contact with sea water, and
The sulfur component absorbing seawater,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under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and is formed by contacting the seawater with the sulfur component in the exhaust gas in the exhaust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and desulfurized by seawater, is mixed and diluted with seawater supplied into the main body. While having a dilution mixing tank to say,
And a lid portion extended to cover the dilution mixing tank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and a first weir received from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lid portion, and the end of which is embedded in the water surface in the dilution mixing tank.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having one gas reservoir.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1 둑의 내벽까지의 길이(L1)가, 하기 수학식 1, 2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에 대하여,
[수학식 1]
dG1<τ1 Ut(dp)
[수학식 2]
Cc> C0exp(-6 Kg/dpτ1)
[수학식 3]
τ1= L1/UL
단, dG1은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τ1은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다. The method of claim 1,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L1 from the side wall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dam satisfies any one of Equations 1 and 2 below.
About bubble diameter dp in seawater,
[Equation 1]
d G1 <τ 1 U t (dp)
[Equation 2]
Cc> C 0 exp (-6 Kg / dpτ 1 )
[Equation 3]
τ 1 = L1 / U L
Where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at the outlet of the gas reservoir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1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and U t (dp) is the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Is the terminal ascending velocity of the bubble group of, Cc is the SO 2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SO 2 concentration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and Kg is the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the bubble. It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dp is the bubble diameter, and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bath.
상기 희석 혼합조의 저부에 제 2 둑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dam at a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의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2 둑의 내벽까지의 길이(L2)가, 하기 수학식 4, 5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6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수학식 4]
D<τ2 Ut(dp)
[수학식 5]
Cc> C0exp(-6 Kg/dpτ2)
[수학식 6]
τ2= L2/(UL×D/dG2)
단, D는 희석 혼합조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τ2는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G2는 해수 액면과 제 2 둑 사이의 액면의 높이이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L2 from the side wall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to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weir satisfies any one of Equations 4 and 5 below.
[Equation 4]
D <τ 2 U t (dp)
&Quot; (5) "
Cc> C 0 exp (-6 Kg / dpτ 2 )
&Quot; (6) "
τ 2 = L2 / (U L × D / d G2 )
However,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2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U t (dp) is the terminal rising rate of the bubble group of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Cc is SO 2 is the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concentration of SO 2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Kg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bubbles, and dp is the bubble diameter. ,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and d G2 is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between the sea level and the second weir.
상기 가스 체류부의 내측에 제 3 둑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dam is provided inside the gas reservoir.
상기 제 3 둑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제 1 둑의 내벽까지의 길이(L3)가, 하기 수학식 7, 8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9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수학식 7]
dG1<τ3 Ut(dp)
[수학식 8]
Cc> C0exp(-6 Kg/dpτ3)
[수학식 9]
τ3= L3/(UL×D/MIN(dG1, dG2))
단, dG1은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τ3은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는 희석 혼합부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dG2는 가스 체류부 출구의 제 2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며, MIN(dG1, dG2)는 dG1, dG2의 최소치이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length L3 from the outer wall of the third dam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dam satisfies any one of Equations 7, 8 and 9 below.
&Quot; (7) "
d G1 <τ 3 U t (dp)
&Quot; (8) "
Cc> C 0 exp (-6 Kg / dpτ 3 )
[Equation 9]
τ 3 = L3 / (U L × D / MIN (d G1 , d G2 ))
Where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at the outlet of the gas reservoir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3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and U t (dp) is the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Is the terminal ascending velocity of the bubble group of, Cc is the SO 2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SO 2 concentration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and Kg is the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the bubble.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dp is the bubble diameter, U L is the outlet flow rate at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vessel,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in the dilution mixing vessel, and d G2 is the dilution mixing vessel from the second bank of the gas reservoir outlet. The opening height to the bottom, and MIN (d G1 , d G2 ) is the minimum of d G1 , d G2 .
상기 희석 혼합조의 저부에 제 2 둑을 설치함과 함께,
상기 가스 체류부의 내측에 제 3 둑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ile installing a 2nd dam at the bottom of the said dilution mixing tank,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dam is provided inside the gas reservoir.
상기 제 3 둑의 외벽으로부터 상기 제 2 둑의 내벽까지의 길이(L4)가, 하기 수학식 10, 11 중 어느 한쪽과 하기 수학식 12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수학식 10]
D<τ4 Ut(dp)
[수학식 11]
Cc> C0exp(-6 Kg/dpτ4)
[수학식 12]
τ4= L4/(UL×D/MIN(dG1, dG2, dG3))
단, D는 희석 혼합조의 해수의 액 깊이이고, τ4는 가스 체류부에서의 해수의 체류 시간이며, Ut(dp)는 해수 중에서의 기포 직경 dp의 기포군의 종말 상승 속도이고, Cc는 SO2 환경 기준 농도이며, C0는 배기 가스의 배연 탈황 흡수탑의 입구에서의 SO2 농도이고, Kg는 기포의 기액 계면에 있어서의 SO2 가스의 총괄 물질 이동 계수이며, dp는 기포 직경이고, UL은 희석 혼합조의 저부의 출구 유속이며, dG1는 제 1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dG2는 해수 액면과 제 2 둑 사이의 액면의 높이이며, dG3은 제 3 둑으로부터 희석 혼합조의 저부까지의 개구 높이이고, MIN(dG1, dG2, dG3)은 dG1, dG2, dG3의 최소치이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length (L4) from the outer wall of the third weir to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weir satisfies any one of Equations 10 and 11 and Equation 12 below.
[Equation 10]
D <τ 4 U t (dp)
[Equation 11]
Cc> C 0 exp (-6 Kg / dpτ 4 )
[Equation 12]
τ 4 = L4 / (U L × D / MIN (d G1 , d G2 , d G3 ))
However, D is the liquid depth of the seawater of the dilution mixing tank, τ 4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seawater in the gas reservoir, U t (dp) is the terminal rising rate of the bubble group of bubble diameter dp in the seawater, Cc is SO 2 is the environmental reference concentration, C 0 is the concentration of SO 2 at the inlet of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of the exhaust gas, Kg is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SO 2 gas at the gas-liquid interface of bubbles, and dp is the bubble diameter. , U L is the outlet flow rate of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d G1 is the opening height from the first bank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d G2 is the height of the liquid level between the sea level and the second bank, and d G3 is It is the height of the opening from 3 banks to the botto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and MIN (d G1 , d G2 , d G3 ) is the minimum of d G1 , d G2 , d G3 .
상기 제 3 둑이, 상기 가스 체류부와 상기 해수 사이의 공간과 상기 배연 탈황 흡수탑을 연통하는 통기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And said third dam has a vent therein for communicating the space between said gas reservoir and said seawater and said flue gas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상기 해수가 복수기로부터 배출되는 배액(排液)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상기 희석 혼합조의 후류에 설치되고,
상기 희석 혼합조에서 상기 황 성분 흡수 해수와 혼합한 해수 중의 황 성분을 산화시킴과 함께 탈탄산하여, 수질 회복을 행하는 산화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배연 탈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Installed in the downstream of the dilution mixing tank,
A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n oxidizing tank for oxidizing and decarbonizing the sulfur component in the seawater mixed with the sulfur component absorbing seawater in the dilution mixing tank to recover the water quality.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증기 발생용의 열원으로서 사용함과 함께, 발생한 증기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하는 증기 터빈,
상기 증기 터빈에서 응축한 물을 회수하여, 순환시키는 복수기,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탈질을 행하는 배연 탈질 장치,
상기 배기 가스 중의 매진을 제거하는 집진 장치,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해수 배연 탈황 장치, 및
상기 배연 탈황 장치에서 탈황된 정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탈황 시스템. Boiler,
A steam turbine which uses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boiler as a heat source for steam generation and drives the generator using the generated steam;
A condenser for recovering and circulating water condensed in the steam turbine,
Flue gas denitrification apparatus for denitrifying exhaust gas discharged from said boiler,
A dust collector for removing dust in the exhaust gas,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d
Seawater desulfurization system comprising a chimney for discharging the purge gas desulfurized in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to the outside.
A method for treating desulfurized seawater, wherein the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s prevented from dissipating SO 2 gas contained in seawater used for desulfurization to the out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9/058780 WO2010131327A1 (en) | 2009-05-11 | 2009-05-11 | Equipment for the desulfurization of flue gas with seawater and process for treatment of the seawater used in the desufuriz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1597A true KR20110061597A (en) | 2011-06-09 |
KR101269707B1 KR101269707B1 (en) | 2013-05-30 |
Family
ID=4308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7344A KR101269707B1 (en) | 2009-05-11 | 2009-05-11 | Equipment for the desulfurization of flue gas with seawater and process for treatment of the seawater used in the desulfurization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9707B1 (en) |
MY (1) | MY170614A (en) |
SA (1) | SA109300664B1 (en) |
WO (1) | WO2010131327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26320A (en) * | 2012-03-29 | 2014-10-30 | 두산 렌트제스 게엠베하 | A flue gas purification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43209B (en) * | 2011-09-28 | 2013-04-17 | 西安交通大学 | Seawater flue gas desulphurization (FGD) system applying boiler blowdown water |
JP2013158720A (en) * | 2012-02-06 | 2013-08-19 | Mitsubishi Heavy Ind Ltd | Desulfurization seawater treatment system |
KR101422760B1 (en) | 2014-03-06 | 2014-07-23 |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ulfur compounds in flue gases using the sea water |
KR20180079756A (en) * | 2017-01-02 | 2018-07-11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Construction and treatment of seawater desulfurization facility using seawater concentrated water of seawater desalination facilities |
CN114853250B (en) * | 2022-06-06 | 2023-02-07 | 萍乡市新安环保工程有限公司 | Coking desulfurization foam and waste liquid drying equipment and method for drying coking desulfurization foam and waste liquid by us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9363Y2 (en) * | 1975-10-24 | 1980-02-29 | ||
JPS5580010U (en) * | 1978-11-27 | 1980-06-02 | ||
JPS5790706U (en) * | 1980-11-21 | 1982-06-04 | ||
JPS61139890U (en) * | 1985-02-21 | 1986-08-29 | ||
JPS62106605U (en) * | 1985-12-23 | 1987-07-08 | ||
JPH03109699U (en) * | 1990-02-28 | 1991-11-11 | ||
JP2003117349A (en) * | 2001-10-17 | 2003-04-22 | Mitsubishi Heavy Ind Ltd | Flue gas treating apparatus |
JP5259964B2 (en) * | 2007-02-28 | 2013-08-0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
JP5166791B2 (en) * | 2007-07-24 | 2013-03-2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Flue gas desulfurization equipment |
-
2009
- 2009-05-11 KR KR1020117007344A patent/KR10126970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9-05-11 WO PCT/JP2009/058780 patent/WO201013132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5-11 MY MYPI2011001306A patent/MY170614A/en unknown
- 2009-11-09 SA SA109300664A patent/SA109300664B1/en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26320A (en) * | 2012-03-29 | 2014-10-30 | 두산 렌트제스 게엠베하 | A flue gas purific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Y170614A (en) | 2019-08-21 |
WO2010131327A1 (en) | 2010-11-18 |
KR101269707B1 (en) | 2013-05-30 |
SA109300664B1 (en) | 2014-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9707B1 (en) | Equipment for the desulfurization of flue gas with seawater and process for treatment of the seawater used in the desulfurization | |
CN102361825B (en) | Oxidation tank, apparatus for treating seawater, and system for desulfurizing seawater | |
WO2010116482A1 (en) | Seawater desulfation treatment apparatus, method for treating desulfurized seawater, and power gener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has been applied | |
JP5773687B2 (en) |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
WO2014156985A1 (en) | Seawater flue-gas desulfur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JP2009166011A (en) |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and its method of coal fired boiler | |
CN204073811U (en) | System of flue-gas desulfurization with seawater and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 |
JPWO2011145160A1 (en) |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ombustion system, and combustion method | |
JP2010269248A (en) | Apparatus for desulfurizing/absorbing flue gas, and method of treating flue gas | |
JP2013244454A (en) |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 |
JP2017077537A (en) |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sulfur absorptive solution | |
CN204107298U (en) | Oxidation trough, system of flue-gas desulfurization with seawater and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 |
JP5144967B2 (en) |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 |
JP2010240624A (en) |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and exhaust gas treatment method | |
JP2001170444A (en) |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equipment | |
JP4381130B2 (en) | Gasification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
JP201322037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awater desulfurization | |
JPH11290643A (en) | Removal of acidic component of combustion gas by sea water | |
JP4590657B2 (en) | Seawater flue gas desulfurization equipment | |
JP3786786B2 (en) | Flue gas desulfurization method | |
JP4547800B2 (en) | Decomposi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refractory components in desulfurization waste water | |
JPS5898126A (en) | Desulfurization of stack gas | |
JP2008036497A (en) |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JPH11114365A (en) | Hexavalent selenium generation suppression device | |
WO2019176642A1 (en) | Gas pur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