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424A -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424A
KR20110061424A KR1020090118070A KR20090118070A KR20110061424A KR 20110061424 A KR20110061424 A KR 20110061424A KR 1020090118070 A KR1020090118070 A KR 1020090118070A KR 20090118070 A KR20090118070 A KR 20090118070A KR 20110061424 A KR20110061424 A KR 20110061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window panel
stepped
pair
poly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치경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424A/ko
Publication of KR2011006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 처리된 한 쌍의 강화유리; 및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를 합착시키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단차형 윈도우 패널에 관한 것이다.
강화유리, 윈도우, 크랙, 단차

Description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Stepped-Type Window Panel Using Tempered Glass}
본 발명은 단차형 윈도우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차를 이루는 한 쌍의 강화유리를 고분자 수지로 합착시켜 단차 부분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단차형 윈도우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엠피쓰리(MP3),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기기의 동작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윈도우 패널이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윈도우 패널은 강화 처리된 강화유리를 사용하는바, 상기 강화유 리는 마더 글라스(mother glass)라고 하는 원장 글라스 자체를 강화 처리하거나 원장 글라스를 셀(cell) 단위로 커팅한 후 강화처리 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셀(cell) 단위로 커팅한 후 강화 처리하여 강화유리를 제조하는 것은 공정비용을 상승시키고, 제조할 수 있는 강화유리의 용량에 한계가 있다.
한편, 전술한 강화유리를 휴대폰의 윈도우 패널에 적용함에 있어, 그 형태에 따라 평판형 또는 단차형 윈도우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가 없는 평판형 윈도우 패널의 경우 셀 단위로 마더 글라스를 강화 처리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가 있는 단차형 윈도우 패널를 셀 단위로 강화 처리를 하여 제조할 경우, 단차 구간(100)에서 강화처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크랙(crack)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 패널을 구성하는 강화 처리된 한 쌍의 강화유리를 고분자수지로 합착하여 윈도우 패널에 형성되는 단차 부분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화 처리된 한 쌍의 강화유리; 및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를 합착시키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단차형 윈도우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윈도우 패널은 한 쌍의 강화유리를 고분자 수지로 합착시켜 윈도우 패널을 구성하는 강화유리와 강화유리 사이의 단차 부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윈도우 패널은 한 쌍의 강화유리를 고분자 수지로 합착시켜 윈도우 패널을 구성함으로써 윈도우 패널의 파손시 강화유리의 비산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강화 처리된 한 쌍의 강화유리; 및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를 합착시키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단차형 윈도우 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를 구성하는 강화유리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이를 합착시키는 고분자 수지는 접착력을 갖는 투명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윈도우 패널은 휴대용 단말기,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윈도우 패널의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윈도우 패널, 특정적으로강화된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은 강화 처리된 한 쌍의 강화유리(10, 20); 및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10, 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10, 20)를 합착시키는 고분자 수지(3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10, 20)는 각각 셀(cell) 단위면의 6면이 모두 강화 처리된 유리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10, 20)를 구성하는 강화유리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져 한 쌍의 강화유리(10, 20)가 합착되어 윈도우 패널을 구성할 경우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상기 한 쌍의 강하유리(10, 20) 중 임의로 하나의 강화유리를 제 1 강화유리(10)라 하면, 이와 합착되는 다른 강화유리를 제 2 강화유리(20)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강화유리(10)는 제 2 강화유리(20)보다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제 1 강화유리(10)의 변과 제 2 강화유리(20) 사이에 단차부(4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30)는 상기 제 1 강화유리(10) 및 제 2 강화유리(20)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의 강화유리(10, 20)를 서로 합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분자 수지(30)는 제 1 강화유리(10) 및 제 2 강화유리(20)를 합착시키기 위해 접착력을 갖고, 윈도우 패널의 광 투과성을 위해 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특정적으로, 상기 고분자 수지(30)는 접착력을 갖는 투명한 성질을 제공하기 위한 고분자 수지(30)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SVR(super view resin),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고분자 수지(30)를 이용하여 제 1 강화유리(10) 및 제 2 강화유리(20)를 합착하게 되면, 단차부(40)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단일재료로 이루어진 단차형 윈도우 패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윈도우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제 1 강화유리 20 : 제 2 강화유리
30 : 고분자 수지 40 : 단차부

Claims (4)

  1. 강화 처리된 한 쌍의 강화유리; 및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를 합착시키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단차형 윈도우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강화유리 중 하나의 강화유리의 크기가 다른 하나의 강화유리의 크기보다 큰 것인 단차형 윈도우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가 접착력을 갖는 투명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단차형 윈도우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을 갖는 투명한 고분자 수지는 SVR(super view resin),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단차형 윈도우 패널.
KR1020090118070A 2009-12-01 2009-12-01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 KR20110061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70A KR20110061424A (ko) 2009-12-01 2009-12-01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70A KR20110061424A (ko) 2009-12-01 2009-12-01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24A true KR20110061424A (ko) 2011-06-09

Family

ID=4439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070A KR20110061424A (ko) 2009-12-01 2009-12-01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4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557A (ko) * 2013-07-25 2015-0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강화유리 합착장치 및 그 방법
WO2016085089A1 (en) * 2014-11-24 2016-06-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557A (ko) * 2013-07-25 2015-0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강화유리 합착장치 및 그 방법
WO2016085089A1 (en) * 2014-11-24 2016-06-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116777B2 (en) 2014-11-24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8744A1 (en) Flexible Display Cover, Flexible Display Module,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1230774B1 (ko)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전자 기기, 및 입력 장치, 그리고 유리 복합체의 제조 방법
CN110377185B (zh) 曲面盖板和显示面板的贴合方法、显示屏及电子设备
KR101422896B1 (ko) 유리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접촉 감지 디스플레이
CN101523275B (zh) 显示装置
KR10199053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TWI520027B (zh)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KR102368462B1 (ko)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66608B1 (ko) 다층 사파이어 덮개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JP2015506888A (ja) 光電子フロントプレーン基板
CN103304154A (zh) 用于触控面板玻璃的强化方法及其结构
KR20210081374A (ko) 냉간 성형 제품 및 공정을 위한 접착제 선택 방법
US9208707B2 (en) Display window memb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1859040B (zh) 触控显示装置
KR20110061424A (ko) 강화유리를 이용한 단차형 윈도우 패널
CN103085364A (zh) 用于显示器保护的窗及使用该窗的显示器
KR20140117179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201312399A (zh) 觸控面板
KR102463342B1 (ko) 보호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0676A (ko) 유리 복합체, 유리 복합체를 사용한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95698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onding member
JP5084765B2 (ja) タッチパネル
CN114551756A (zh)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806355B1 (ko) 방수, 내충격 및 차광을 위한 테이프
KR20200053820A (ko) 커버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