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042A -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042A
KR20110061042A KR1020090117562A KR20090117562A KR20110061042A KR 20110061042 A KR20110061042 A KR 20110061042A KR 1020090117562 A KR1020090117562 A KR 1020090117562A KR 20090117562 A KR20090117562 A KR 20090117562A KR 20110061042 A KR20110061042 A KR 20110061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roreflective
resin layer
adhesive layer
form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636B1 (ko
Inventor
최상석
Original Assignee
최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955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6104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석 filed Critical 최상석
Priority to KR102009011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6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0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2/00Powdered glass; Bead compositions
    • C03C12/02Reflective be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점착층(500)과, 상기 점착층(500)의 상부에 배치된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80)과, 상기 점착층 상부의 수지층(30)과, 상기 수지층 상부의 접착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귀반사시트(1000)를 제공한다. 다음, 상기 재귀반사시트(1000)의 점착층(500)의 상부를 커팅하여 모양을 이루는 모양물(4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모양물(430)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1000)를 그 접착층(40)이 원단과 같은 대상물(200)을 향하도록 상기 대상물(200)의 상면에 배치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접착층(40)을 상기 대상물(200)에 접착시킨다, 이후 상기 점착층(500)을 이형하여 제거한다.
재귀반사, 원단, 접착, 재귀반사모양물

Description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Method for producing an retro-reflective shape and retro-reflective sheet us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의류 등과 같은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이룰 수 있는 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가방 등의 대상물에 재귀반사시트를 이용하여 모양을 이루는 모양물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의류, 가방 등에 특정 문양이 재귀반사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재귀반사시트를 이용하여 의류 또는 가방 등에 형성되는 모양물은 재귀반사성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재귀반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식별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모양물이 이루는 모양에 더하여 그 재귀반사성으로 미감을 창출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재귀반사모양물은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 1은 종래 이러한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다.
우선 일반적인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가 제공된다. 일반적인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의 구조가 도 1의 (a)에 보인다.
일반적인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는 PET 재질의 이형지(10)가 제공되고 그 상면에 PE와 같은 열가소성수지를 라이네이팅하여 열가소성수지층(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수지층(20)에는 무수히 많은 유리구슬(8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수지(20)의 상면에 우레탄과 같은 수지가 도포되어 수지층(30)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층(30)의 상면에 핫멜트접착시트와 같은 접착층(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리구슬(80)의 상면에는 알루미늄 증착층과 같은 반사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에 모양을 형성하게 되는데, 보통은 커팅플로터(cutting floater)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의 (b)는 이와 같이 모양을 구성하는 모양물(430)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이와 같이 모양물(430)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100)를 원단 등의 대상물(200)에 부착하게 된다. 즉 도 1의 (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접착층(40)을 대상물(200)을 향하도록 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접착층(40)이 대상물(200)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후, 도 1의 (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이렇게 대상물(200)에 부착된 재귀반사시트(100)에서 그 이형지(10)와 열가소성수지층(20)을 제거하며 이에 따라 대상물(200)에는 재귀반사를 이루는 재귀반사모양물(430)이 형성된다.
종래 이와 같은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를 이용하여 대상물(200)에 재귀반사모양물(430)을 형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우선, 상기 모양물(430)이 형성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대상물(200)에 부착할 때, 상기 모양물(430)의 형성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열가소성수지층 부분(28)이 상기 대상물(200)에 접할 수 있는데, 이 부분(28)은 접착성분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부에서 가해지는 열과 압력에 의하여 대상물(200)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열가소성수지층 부분(28)이 대상물(200)에 접착되지 않도록 적절한 열과 압력을 가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작업자의 숙련도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요인이 된다.
둘째, 상기 모양물(430)이 형성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를 대상물(200)에 접착하고 그 이형지(10)와 열가소성수지층(20)을 점차적으로 떼어내어 이를 제거할 때, 만일 접착층(40)이 충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모양물(430)도 같이 박리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상기 이형지(10)와 열가소성수지층(20)을 다시 모양물(430)에 붙이고 재작업을 할 수는 없어 전체가 불량이 되어버린다.
이와 같이 종래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를 이용하여 대상물(200)에 재귀반사모양물(430)을 형성하는 방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하고 작업상 일부 실수에 따라 전체 불량을 일으켜 불량률이 높고 생산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자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에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며, 이형지를 분리할 때 재귀반사물이 일부 같이 박리되어도 수정이 가능하여 불량률을 크게 낮추며, 작업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과, 상기 점착층 상부의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상부의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는 재귀반사시트제공단계와; 상기 재귀반사시트의 점착층 상부를 커팅하여 모양을 이루는 모양물을 형성하는 모양물형성단계와; 상기 모양물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를 그 접착층이 대상물을 향하도록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배치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접착층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상기 점착층을 이형하여 제거하는 이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이루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재귀반사시트의 점착층은 점착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재귀반사시트는 이형지의 상면에 열가소성수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이 배치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의 상면에 수지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층의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에서 이형지와 열가소성수지층을 이형하여 제거하고, 상기 수지층에 대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재귀반사시트의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에 점착필름을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이형지의 상면에 열가소성수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이 배치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의 상면에 수지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층의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에서 이형지와 열가소성수지층을 이형하여 제거하고, 상기 수지층에 대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재귀반사시트의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에 점착필름을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과; 상기 점착층 상부의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상부의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점착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상물에 재귀반사시트의 배치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상 일부 실수가 있어도 수정이 가능하여, 의류, 가방 등의 원단과 같은 대상물에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할 때 불량률을 크게 줄이고 생산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원단 등의 대상물에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1000)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500)이 제공되고 그 상부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80)이 무수히 배치되며, 상기 점착층(500)의 상부에 수지층(30)이 형성되고 다시 그 상부에 핫멜트접착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접착층(40)이 형성된다.
상기 유리구슬(80)은 상기 수지층(30)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하부의 점착층(500)은 상기 수지층(30)에 점착되어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점착층(500)은 점착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면에 점착체가 코팅된 점착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점착층(500)을 이루는 점착체는 아크릴 또는 실리콘 계열로서 리무벌(removal)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재귀반사시트(1000)를 형성하는 방법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우선 도 3의 (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전술한 일반적인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가 제공된다. 즉 PET 등의 이형지(10)의 상면에 PE 등의 열가소성수지층(20)이 형성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20)에 무수히 많은 유리구슬(80)이 배치되고 그 상면에 수지층(30)이 형성되며, 다시 그 상면에 핫멜트접착시트와 같은 접착층(40)이 형성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유리구슬(80)의 상면에는 알루미늄 증착층과 같은 반사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100)에 대하여, 도 3의 (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이형지(10)와 열가소성수지층(20)을 이형하여 제거한다.
다음, 도 3의 (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점착필름(500)을 제공하고 이를 상기 수지층(30)에 대하여 점착한다.
이에 따라 도 3의 (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대상물에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1000)가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상물(200)에 재귀반사모양물(430)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다.
우선, 도 4의 (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에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1000)를 제공한다.
다음, 도 4의 (b)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재귀반사시트(1000)에 커팅플로터 등을 사용하여 모양물(43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재귀반사시트(1000)의 점착층(500)의 상부를 커팅하여 모양을 이루는 모양물(430)을 형성한다.
다음, 도 4의 (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이렇게 모양물(430)이 형성된 재귀반 사시트(1000)를 접착층(40)이 의류 등의 접착대상물(200)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접착대상물(200)의 상면에 배치하고, 상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접착층(40)이 상기 접착대상물(200)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재귀반사모양물(430)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1000)가 접착대상물(200)에 부착된다.
다음, 도 4의 (d)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점착층(500)을 떼어내어 제거한다. 이에 따라 도 4의 (e)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의류 등의 대상물(200)에 재귀반사물(43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재귀반사모양물(430)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1000)를 상부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대상물(200)에 접착되도록 할 때, 상기 재귀반사모양물(430)의 형성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점착층(500)의 부분(508)이 상기 대상물(200)과 접하여도 이 부분은 접착성분을 가지지 않아 상기 대상물(200)에 접착되지 않으며 단지 점착이 될 뿐으로서 상기 점착층(500)을 이형하여 제거할 때 쉽게 떼어져 제거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특별한 작업자의 숙련도를 요구하지 않으며 불량률이 급격히 감소한다.
둘째, 종래 모양물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100)를 이용하여 대상물(200)에 열프레스를 하는 경우 그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상기 모양물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100)의 위치가 일부 틀어지거나 가운데가 뜨거나 하여 불량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모양물(430)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1000)를 의류 등의 접착대상물(200)에 배치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점착층(500)의 부분(508) 이 접착대상물(200)에 점착됨으로 일단 제대로 된 위치를 잡으면 그 위치가 고정되어 불량률이 현격히 감소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모양물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1000)를 의류 등의 접착대상물에 접착한 후, 그 접착층(40)이 충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점착층(500)을 박리하는 경우 그 모양물(430)이 일부 박리가 되어도 상기 점착층(500)을 다시 모양물(430)에 붙이고 이후 충분히 경화가 이루어진 뒤 박리를 하면 된다. 이에 따라 불량률이 또한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상물에 재귀반사시트의 배치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상 일부 실수가 있어도 수정이 가능하여, 의류, 가방 등의 대상물에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할 때 불량률을 크게 줄이고 생산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은 종래 대상물에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물을 형성하는 방법을 보이는 도면.

Claims (8)

  1. (a)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과, 상기 점착층 상부의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상부의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는 재귀반사시트제공단계와;
    (b) 상기 재귀반사시트의 점착층 상부를 커팅하여 모양을 이루는 모양물을 형성하는 모양물형성단계와;
    (c) 상기 모양물이 형성된 재귀반사시트를 그 접착층이 대상물을 향하도록 상기 대상물의 상면에 배치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접착층을 상기 대상물에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d) 상기 점착층을 이형하여 제거하는 이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이루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시트의 점착층은 점착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이루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시트는 이형지의 상면에 열가소성수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이 배치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의 상면 에 수지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층의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에서 이형지와 열가소성수지층을 이형하여 제거하고, 상기 수지층에 대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이루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시트의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에 점착필름을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이루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
  5. 이형지의 상면에 열가소성수지층이 형성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이 배치되고 상기 열가소성수지층의 상면에 수지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층의 상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유리구슬타입의 재귀반사시트에서 이형지와 열가소성수지층을 이형하여 제거하고, 상기 수지층에 대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시트의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에 점착필름을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 법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제조방법.
  7.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상부에 배치된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리구슬과; 상기 점착층 상부의 수지층과; 상기 수지층 상부의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점착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에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
KR1020090117562A 2009-12-01 2009-12-01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 KR10112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62A KR101125636B1 (ko) 2009-12-01 2009-12-01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62A KR101125636B1 (ko) 2009-12-01 2009-12-01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42A true KR20110061042A (ko) 2011-06-09
KR101125636B1 KR101125636B1 (ko) 2012-03-27

Family

ID=4439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562A KR101125636B1 (ko) 2009-12-01 2009-12-01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1180A (zh) * 2017-10-31 2018-03-30 惠州市华隆工艺品有限公司 一种具有反光功能的硅胶贴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1180A (zh) * 2017-10-31 2018-03-30 惠州市华隆工艺品有限公司 一种具有反光功能的硅胶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636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866B1 (ko) 디스플레이보호용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KR20140047150A (ko) 레티클 척 클리너 및 레티클 척 클리닝 방법
US9612529B2 (en) Pellicle frame and a pellicle
CN104777533A (zh) 一种全反光材料及其制备方法、一种全反光布
JP6861596B2 (ja) ペリクルフレーム及びペリクル
KR101125636B1 (ko) 재귀반사모양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재귀반사시트의 구조
JP2013038060A (ja) マスキングフィルム貼合導光板原板
JP2005338722A (ja) ペリクルフレーム及びフォトリソグラフィー用ペリクル
JP5767730B2 (ja) 収納容器からの大型ペリクルの取出し方法
JP2009126159A (ja) フィルム固定治具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TWI547773B (zh) 防塵薄膜組件
US20150191265A1 (en) Method of packing glass substrates
KR102259620B1 (ko) 펠리클
KR101025373B1 (ko) 로고 라벨 제조방법
KR101064059B1 (ko) 로고 라벨 및 그의 제조방법
JP6306715B2 (ja)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20150085265A1 (en) Pellicle
JP2011218654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1762288B1 (ko) 필름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706433B (zh) 软性元件表面自动化成形异形光学胶脂的方法
JP2009280796A (ja)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412699B2 (ja) 剥離シート
KR101785522B1 (ko) 뷰에어리어 치수정밀도 향상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용 필름 제조방법 및 그 필름구조체
KR200379915Y1 (ko) 옥외용 고휘도 반사필름
JP6053875B1 (ja) 密着型支持具の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115

Effective date: 201507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