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832A -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복합 보드 - Google Patents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복합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832A
KR20110057832A KR20090114402A KR20090114402A KR20110057832A KR 20110057832 A KR20110057832 A KR 20110057832A KR 20090114402 A KR20090114402 A KR 20090114402A KR 20090114402 A KR20090114402 A KR 20090114402A KR 20110057832 A KR20110057832 A KR 20110057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board
geopolymer
composition
wood fi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1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9552B1 (ko
Inventor
정재열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09011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5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0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mineral polymers, e.g. geopolymers of the Davidovits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04B28/26Silicates of the 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적용한 복합보드 제조 관련 내용이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보드가 국내에 생산, 유통되고 있으나,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주 원료로 가공된 하이브리드 Type의 복합 보드에 대해서는 적어도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적용한 복합 보드는 신소재 친환경
개념에서 해석될 수 있는 신개념 복합보드이며, 현재까지 주로 사용된 석고보드와
무기소재 보드와는 차별화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적용하여 종래 석고 보드를 대체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못지지력과 경량성, 강도 및 내크랙성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친환경 복합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복합 보드, 지오폴리머, 목섬유

Description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복합 보드 {A Composition for preparing The Hybrid Composite Board using Wood Fiber and Geopolymer and The Hybrid Composite Board}
본 발명은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적용한 복합보드 제조 관련 내용이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보드가 국내에 생산, 유통되고 있으나,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주 원료로 가공된 하이브리드 Type의 복합 보드에 대해서는 적어도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적용한 복합 보드는 신소재 친환경
개념에서 해석될 수 있는 신개념 복합보드이며, 현재까지 주로 사용된 석고보드와
무기소재 보드와는 차별화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적용하여 종래 석고 보드를 대체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못지지력과 경량성, 강도 및 내크랙성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친환경 복합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장재 용도로 다양한 보드가 사용되고 있으며, 내/외장 벽재나 천장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경량성 항목은 필수적으로 만족되어야 하 는 물성이며, 경량성 항목 이외에 못지지력은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시 상당히 중요한 요구 물성이라 할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건물 내장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석고 보드의 경우, 보드가
갖추어야 할 대부분의 기본 물성은 우수하나, 못지지력 물성만큼은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만약 인테리어 용도의 벽재에 강도, 난연성, 재단성, 경량성 이외에 못지지력 물성이 보완된다면 보드 관련 시장에서 상당한 호응이 예상된다. 이 같은 점을
종합하여 볼 때, 석고 보드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경량성을 지니면서도 석고
보드의 단점인 못지지력과 내크랙성, 강성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나아가, 제조시에 석고보드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현저한 상대적 감소와
라돈가스로 인한 인체 유해성의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친환경성을 지닐 수 있는 제품을 제시할 수 있다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석고 보드를 대체할 물질로서 목섬유를 사용하되,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적정량 배합하여 석고 보드의 경량성은 유지하면서 못지지력과 강성, 내크랙성과 같은 석고 보드에 의한 단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최적의 배합 처방을 개선하는 것이 최우선 해결 과제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석고 보드의 대체물로서 우수한 물성을 보유할 뿐 아니라 친환경적인 복합 보드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 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은,
건축내장용 보드 제조용 조성물에 있어서,
지오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섬유 1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복합 보드는,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며, 친환경일 뿐 아니라 우수한 못지지력, 강도, 경량성, 내크랙성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같은 석고 보드 대체용 하이브리드 타입의 복합 보드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지오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섬유 1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오폴리머는 Al 과 Si 를 주성분으로 하는 알루미노규산염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지오폴리머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슬래그 미분, 플라이애쉬, 제지애쉬, 실라카흄, 카올린계 광물, 칼슘 실리케이트계 광물, 칼슘 알루미네이트계 광물, 소성 분쇄 점토(분쇄 벽돌), 유혈암 애쉬(oil shale ash, 유혈암: 역청질 석회 함유 혈암)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섬유는 목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소재 중 분쇄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하여 조성되는 조성물에는 알칼리 활성화제가 바인더 역할을 하게 되며, 그 종류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NaOH, NaAl2O3, Na2CO3, Na2SO4·2H2O, Na2SO4, KOH, KAl2(OH)3, Ca(OH)2, Sodium Silicate Soluti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알칼리 활성화제로는 NaOH, KOH, Sodium Silicate Solution 등이 사용될 수 사용될 수 있으며, 지오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로부터 상온 또는 중온(40~80도)에서 경화 과정을 거치면 친환경 하이브리드 타입의 복합 보드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로부터 친환경 복합 보드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보드는 못지지력, 강도, 경량성, 내크랙성이 모두 우수하므로 우수한 석고 보드 대체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복합 보드는 친환경적이면서도 못지지력과 경량성, 강도 및 내크랙성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어 건축 내장용 석고 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대체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주요 성분이 알루미노규산염으로 구성되어진 지오폴리머로서 슬래그, 플라이애쉬, 카올린을 각각 수집한 다음 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섬유로서 톱밥과 알칼리성 활성화제를 하기 표 1에 기재한 중량부의 범위 내로 배합하여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상온에서 경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지오폴리머 종류 목섬유 함량(중량부) 알칼리성 활성화제 함량(중량부)
고로슬래그 20 (1∼40) 25 (1∼50)
플라이애쉬 20 (1∼40) 25 (1∼50)
카올린 20 (1∼40) 25 (1∼50)
비교예
통상 건축자재로 사용하는 석고보드를 준비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복합 보드로 못지지력을 확인하였다.
못지지력 테스트는 간이 시험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진동드릴공구를 사용하여 나사못을 시편에 완전히 조였다, 풀었다를 10회 반복하였으며, 못지지력에 대한
물성 결과를 촬영한 사진을 도 1로서 첨부하였다.
그 결과,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 보드의 경우에는 못지지력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 보드의 경우 석고보드 대비 못지지력, 및 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로슬래그와 목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된 복합보드 시편에 전동드릴공구를 사용하여 나사못을 조였다 풀었다를 10회 반복하면서 못지지력 물성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Claims (5)

  1. 건축내장용 보드 제조용 조성물에 있어서,
    지오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목섬유 1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폴리머는 슬래그 미분, 플라이애쉬, 제지애쉬, 실라카흄, 카올린계 광물, 칼슘 실리케이트계 광물, 칼슘 알루미네이트계 광물, 소성 분쇄 점토, 유혈암 애쉬(oil shale ash)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섬유는 목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소재 중 분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보드는 나아가 알칼리 활성화제를 바인더로 사용하며, 상기 알칼리 활성화제는 NaOH, NaAl2O3, Na2CO3, Na2SO4·2H2O, Na2SO4, KOH, KAl2(OH)3, Ca(OH)2, Sodium Silicate Soluti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복합 보드.
KR20090114402A 2009-11-25 2009-11-25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복합 보드 KR10116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4402A KR101169552B1 (ko) 2009-11-25 2009-11-25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복합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4402A KR101169552B1 (ko) 2009-11-25 2009-11-25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복합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832A true KR20110057832A (ko) 2011-06-01
KR101169552B1 KR101169552B1 (ko) 2012-07-27

Family

ID=4439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14402A KR101169552B1 (ko) 2009-11-25 2009-11-25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복합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55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939A (zh) * 2013-12-30 2014-05-21 广西启利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地聚物基纤维板
KR101430802B1 (ko) * 2012-03-30 2014-08-18 (주)엘지하우시스 폴리락트산과 목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CN104058621A (zh) * 2014-06-30 2014-09-24 山东宏艺科技股份有限公司 粉煤灰活性激发剂及其制备方法
KR101505708B1 (ko) * 2012-03-29 2015-03-24 (주)엘지하우시스 가교된 폴리락트산을 이용한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9096469B2 (en) 2013-08-15 2015-08-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poxy-multilayer polymer RDP geo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5016663A (zh) * 2015-08-06 2015-11-04 济南大学 一种含有造纸污泥灰的硅酸钙板及其制备方法
CN109369047A (zh) * 2018-12-03 2019-02-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高早强土聚水泥及其制备方法
CN112209667A (zh) * 2020-10-26 2021-01-12 清华大学 一种用于制备板材的组合物、密度板及其制备方法
CN112388801A (zh) * 2020-10-26 2021-02-23 北京马普新材料有限公司 复合浆体组合物、复合浆体及复合夹层板
CN112979223A (zh) * 2021-02-08 2021-06-18 上海力阳道路加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热抗裂高延性地聚合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105207A (zh) * 2020-01-10 2021-07-13 北京林业大学 一种木质纤维掺杂发泡无机胶凝材料复合板及其制备方法
WO2024069279A1 (en) * 2022-09-26 2024-04-04 Unilin, Bv Method for producing a geopolymeric panel, and geopolymeric panel obtained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142Y1 (ko) 2006-02-17 2006-04-27 장재식 건축용 복합보드
US20080185749A1 (en) 2007-02-01 2008-08-07 Kastner Kenneth P Sodium silicate treated fibrous composites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708B1 (ko) * 2012-03-29 2015-03-24 (주)엘지하우시스 가교된 폴리락트산을 이용한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0802B1 (ko) * 2012-03-30 2014-08-18 (주)엘지하우시스 폴리락트산과 목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US9096469B2 (en) 2013-08-15 2015-08-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poxy-multilayer polymer RDP geo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3803939A (zh) * 2013-12-30 2014-05-21 广西启利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地聚物基纤维板
CN104058621A (zh) * 2014-06-30 2014-09-24 山东宏艺科技股份有限公司 粉煤灰活性激发剂及其制备方法
CN105016663B (zh) * 2015-08-06 2017-03-08 济南大学 一种含有造纸污泥灰的硅酸钙板及其制备方法
CN105016663A (zh) * 2015-08-06 2015-11-04 济南大学 一种含有造纸污泥灰的硅酸钙板及其制备方法
CN109369047A (zh) * 2018-12-03 2019-02-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高早强土聚水泥及其制备方法
CN113105207A (zh) * 2020-01-10 2021-07-13 北京林业大学 一种木质纤维掺杂发泡无机胶凝材料复合板及其制备方法
CN112209667A (zh) * 2020-10-26 2021-01-12 清华大学 一种用于制备板材的组合物、密度板及其制备方法
CN112388801A (zh) * 2020-10-26 2021-02-23 北京马普新材料有限公司 复合浆体组合物、复合浆体及复合夹层板
CN112979223A (zh) * 2021-02-08 2021-06-18 上海力阳道路加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导热抗裂高延性地聚合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4069279A1 (en) * 2022-09-26 2024-04-04 Unilin, Bv Method for producing a geopolymeric panel, and geopolymeric panel obtain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552B1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552B1 (ko) 목섬유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복합 보드
MXPA02008921A (es) Materiales de construccion de fibras-cemento, con aditivos de baja densidad.
RU251124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плит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Sarmin et al.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geopolymer to produce inorganic-bonded wood composites for multifunctional construction material–a review
KR101169551B1 (ko) 아크릴계 폴리머와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보드 제조용 조성물 및 유/무기 복합 보드
WO2018195606A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s
CN105585330A (zh) 一种节能保温加气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US7097706B2 (en) Non-heating clay composites for building materials
JP2009057226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CN106186958A (zh) 一种再生微粉轻骨料高强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4692722A (zh) 一种轻质复合墙板及其制备方法
KR101810089B1 (ko) 규조토를 이용한 벽마감재 조성물
KR20190027994A (ko) 방수형 기포콘크리트 블록의 습식 제조방법
JP2012116685A (ja) セメント系無機質板
CN114988784B (zh) 一种硅酸钙板及其制备方法
RU237626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на гипсо-магнезиальном вяжущем
CN110698160A (zh) 一种石膏板浆料及其制备方法
AU2010246457C1 (en) Fiber cement building materials with low density additives
KR101580537B1 (ko)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이용한 무시멘트 경량패널
CN106904920B (zh) 一种阻燃复合板及其制造方法
KR101583013B1 (ko) 석탄재를 이용한 압출성형콘크리트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4926232A (zh) 绿色装配式建筑墙专用硅钙水泥板及其生产方法
KR101234923B1 (ko) 폐석분을 활용한 압출성형용 콘크리트 패널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압출 성형 패널
KR101065495B1 (ko) 내화용 무석면 압출성형 시멘트 복합재
KR102486513B1 (ko) 섬유를 이용한 구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모르타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