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969A -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969A
KR20110056969A KR1020090113486A KR20090113486A KR20110056969A KR 20110056969 A KR20110056969 A KR 20110056969A KR 1020090113486 A KR1020090113486 A KR 1020090113486A KR 20090113486 A KR20090113486 A KR 20090113486A KR 20110056969 A KR20110056969 A KR 2011005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lip piece
connector housing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969A/ko
Publication of KR2011005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 외면에 결합부(24)가 형성되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커넥터 하우징(22)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중, 상기 결합부(24)가 형성된 반대쪽 외면에는 클립편(26)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편(26)은 상대 하우징(40)의 외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이 상대 하우징(4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변형된다. 상기 클립편(26)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28)와, 상기 연결부(28)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그 정점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과 가장 인접하게 되는 탄성누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누름부(30)의 선단에는 상대 하우징(40)의 외면에 형성된 보스(46)가 삽입되는 보스안착공(34)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링부(32)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가 상대 하우징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게 되어 소음발생이 방지되고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확실하게 된다.
커넥터, 유동, 틈새, 클립편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상대물과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정션박스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몸체(1)에는 부품결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결합부(3)에는 정션박스 내부의 버스바와 결합될 릴레이나 퓨즈와 같은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몸체(1)의 타측에는 커넥터장착부(4)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장착부(4)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7)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장착부(4)의 외관을 하우징(5)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은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는 5'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장착부(4)에는 커넥터(7)가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7)는 외관을 커넥터하우징(9)이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9)의 내부에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상기 정션박스 내부의 버스바 등의 단자부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11)가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9)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9)의 외면에는 결합레버(13)가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장착부(4)의 걸림턱에 걸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장착부(4)의 하우징(5) 내면과 상기 커넥터(7)의 커넥터하우징(9) 외면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있어야 한다. 이는 상기 하우징(5)의 내면에 커넥터하우징(9)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틈새의 존재는 커넥터(7)가 커넥터장착부(4)에서 도 1의 화살표 A 및 B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해 상기 틈새를 최소화하게 되면, 커넥터(7)를 커넥터장착부(4)에 삽입하는 것이 매우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가 상대물과 결합되었을 때 그들 사이의 틈새에 의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 외면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터미널 안착부에 삽입되는 도전성 금속재질의 터미널과,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상대 하우징의 외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이 상대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클립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립편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그 정점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과 가장 인접하게 되는 탄성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립편의 선단에는 한쌍의 탄성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링부의 사이에는 입구가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보스안착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이 내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대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 일측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부 및 걸이턱과, 상기 결합부 또는 걸이턱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 하우징의 외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이 상대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클립편과, 상기 클립편의 선단에 형성된 보스안착공에 안착되어 상기 클립편과 상기 상대 하우징이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립편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그 정점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과 가장 인접하게 되는 탄성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립편의 선단에는 한쌍의 탄성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링부의 사이에는 입구가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상기 보스안착공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링부는 상기 클립편의 선단에 통공이 형성됨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선단이 반원의 링형상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및 커넥터 결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또는 박스의 상대 하우 징에 장착될 때, 결합부의 반대쪽에 있는 클립편이 상대 하우징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됨과 동시에 상대 하우징의 고정보스에 결합되므로 상대 하우징에 대해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이 유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가 상대 하우징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소음 발생이 줄어들고 전기적 연결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커넥터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 결합구조가 개략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클립편이 상대 하우징의 결합보스에 결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20)는 외관과 골격을 커넥터 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이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커넥터 하우징(22)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정확한 구성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내부를 관통해서는 터미널안착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에는 터미널이 안착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일측 외면에는 결합부(2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부(2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결합레버에 결합턱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이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하우징(40)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대 하우징(40)의 걸이턱(44)이 커넥터 하우징(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24)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22)의 반대쪽 외면에는 클립편(26)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편(26)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이 상대 하우징(40)의 내면에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클립편(26)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에 연결된 연결부(28)와 상기 연결부(28)의 선단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탄성누름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8)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에 직립되게 돌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누름부(30)는 아치형상의 판상으로 대략 중간부분의 정점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도록 된다. 상기 탄성누름부(30)의 정점, 즉 탄성누름부(30)와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이 가장 가까이 인접해 있는 부분에서는 상기 탄성누름부(30)와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하우징(40)의 해당 부분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탄성누름부(30)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그 정점이 상대 하우징(4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누름부(30)는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도록 되어 상대 하우징(40)의 외면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누름부(30)의 선단에는 탄성링부(32)가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탄 성링부(32)는 상기 탄성누름부(30)에 통공(33)이 각각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선단이 반원의 링형상으로 된다. 상기 통공(33)은 상기 탄성링부(32)가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통공(33)의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는데, 적어도 탄성링부(32)의 선단, 그리고 상기 탄성링부(32)가 서로 인접한 부분이 곡선으로 되면 된다. 물론, 상기 탄성링부(32)의 형상도 그러한데, 적어도 탄성링부(32)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가장자리가 곡선으로 되면 된다.
상기 탄성링부(32)의 사이에는 보스안착공(34)이 형성되는데, 상기 보스안착공(34)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상기 보스안착공(3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2개의 탄성링부(32)는 두개가 나란히 있고, 그 선단이 반원의 링형상이므로, 상기 보스안착공(34)의 입구까지는 상기 탄성링부(32) 사이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된다. 즉, 보스안착공(34)의 입구에서 멀수록 그 사이 간격이 넓고 보스안착공(34)의 입구로 갈수록 탄성링부(32)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될 보스(46)가 상기 보스안착공(34)으로 들어가는 것이 보다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2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은 상대 하우징(40)으로, 상기 상대하우징(4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된다. 상기 상대 하우징(40)은 별도의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거나, 정션박스 등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20)가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상대 하우징(40)에는 상기 커넥터(20)의 커넥터 하우징(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삽입공간(42)이 형성 된다. 상기 삽입공간(42)은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삽입공간(42)과 별개로 구획된 공간의 내면 일측, 즉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결합부(24)와 반대되는 위치에는 걸이턱(4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44)에는 상기 결합부(24)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44)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삽입공간(42)과 구획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삽입공간(42)이 별도로 구획되지 않고 그 내면에 상기 걸이턱(4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대 하우징(40)에서 상기 걸이턱(44)이 형성된 반대쪽의 외면에는 보스(46)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46)는 상기 클립편(26)에 형성된 보스안착공(34)에 삽입되어 클립편(26)과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보스(46)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스안착공(34)에 대응되도록 봉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보스(46)의 형상은 예를 들면 횡단면이 사각형인 기둥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보스(46)의 형성위치는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외면에서 상기 커넥터(20)의 커넥터 하우징(22)이 상대 하우징(40)에 삽입되어 체결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보스안착공(34)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커넥터 결합구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커넥터(20)는 그 커넥터 하우징(22)에 클립편(26)이 구비되어 상대 하우징(40)의 내면에 커넥터 하우징(22)의 내면이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된다. 즉, 상기 클립편(26)의 탄성누름부(30)의 정점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해당되는 부분의 두께보 다 가깝기 때문이다.
즉,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을 상기 상대 하우징(40)에 삽입할 때, 상기 클립편(26)의 탄성누름부(30)의 선단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외면에 상기 탄성누름부(30)의 정점 부분이 밀착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내면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결합부(24)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 즉 커넥터(20)의 터미널과 상기 상대 하우징(40)에 있는 터미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걸이턱(44)에 체결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클립편(26)의 보스안착공(34)에는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보스(46)가 삽입된다. 즉, 상기 클립편(26)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탄성링부(32)의 사이로 상기 보스(46)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보스(46)가 상기 탄성링부(32)사이를 통해 탄성링부(32)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보스안착공(34)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클립편(26)의 탄성누름부(30)는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삽입공간(42) 내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삽입공간(42) 내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46)가 상기 보스안착공(3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클립편(26)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에 결합되면서 화살표 B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은 상기 상대 하우징(40)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클립편(26)의 탄성누름부(30)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외면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삽입공간(42) 내면에 밀착되면, 그 반대쪽에 있는 결합부(24)와 걸이턱(44) 사이가 서로 멀어지게 될 수 있으나, 상기 결합부(24) 역시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탄성변형이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해 두면 이들 사이의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지는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 하우징(22)과 상대 하우징(4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의 양단을, 예를 들어 엄지와 중지로 잡고 검지를 사용하여 상기 결합부(24)를 탄성변형시켜 걸이턱(44)과의 결합을 해제한다.
상기 결합부(24)와 걸이턱(44) 사이의 결합을 해제 한 후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을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클립편(26)과 보스(46)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성링부(32)가 탄성변형이 되면 상기 보스(46)가 상기 보스안착공(34)에서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이 화살표 B방향으로는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하고, 상기 화살표 A방향으로는 틈새를 두면서 상기 클립편(26)을 사용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탄성링부(32)와 보스안착공(34)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메인몸체와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 결합구조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클립편이 상대 하우징의 결합보스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커넥터 22: 커넥터 하우징
24: 결합부 26: 클립편
28: 연결부 30: 탄성누름부
32: 탄성링부 33: 통공
34: 보스안착공 40: 상대 하우징
42: 삽입공간 44: 걸이턱
46: 보스

Claims (7)

  1. 내부에 터미널 안착부가 형성되고 일측 외면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터미널 안착부에 삽입되는 도전성 금속재질의 터미널과,
    상기 결합부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외면에 형성되어 상대 하우징의 외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이 상대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클립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편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그 정점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과 가장 인접하게 되는 탄성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편의 선단에는 한쌍의 탄성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링부의 사이에는 입구가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보스안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이 내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대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 일측과 상기 상대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부 및 걸이턱과,
    상기 결합부 또는 걸이턱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 하우징의 외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이 상대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클립편과,
    상기 클립편의 선단에 형성된 보스안착공에 안착되어 상기 클립편과 상기 상대 하우징이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편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그 정점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과 가장 인접하게 되는 탄성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편의 선단에는 한쌍의 탄성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링부의 사이에는 입구가 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상기 보스안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부는 상기 클립편의 선단에 통공이 형성됨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선단이 반원의 링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구조.
KR1020090113486A 2009-11-23 2009-11-23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 KR20110056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86A KR20110056969A (ko) 2009-11-23 2009-11-23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86A KR20110056969A (ko) 2009-11-23 2009-11-23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969A true KR20110056969A (ko) 2011-05-31

Family

ID=4436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486A KR20110056969A (ko) 2009-11-23 2009-11-23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9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6547B2 (en) 2011-08-26 2014-01-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nnector with a second couling unit extending from a bottom face of a first coupling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6547B2 (en) 2011-08-26 2014-01-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nnector with a second couling unit extending from a bottom face of a first coupl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73826A (ja) カンチレバーを有するフラットコンタクトソケット
JP4175655B2 (ja) シェル付きコネクタ
JP6085527B2 (ja) 雌端子
JP5990333B2 (ja) 電子部品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JP2022107105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KR20110056969A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결합구조
TW201724661A (zh) 電源連接器
JP5355333B2 (ja) 印刷配線基板にリード線を接続するための接続具
KR20090044365A (ko) 커넥터
TWI618302B (zh) 具有插頭殼體用之卡合突件的電接點元件(二)
KR101407734B1 (ko) 커넥터
KR2010001363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76582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100093928A (ko) 커넥터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101001886B1 (ko) 터미널
JP2016207618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部
KR200448593Y1 (ko) 커넥터
WO2015099180A1 (ja) コネクタ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0465856Y1 (ko)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100922154B1 (ko) 커넥터
KR101758673B1 (ko) 커넥터조립체
KR100965506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