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840A -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840A
KR20110056840A KR1020090113321A KR20090113321A KR20110056840A KR 20110056840 A KR20110056840 A KR 20110056840A KR 1020090113321 A KR1020090113321 A KR 1020090113321A KR 20090113321 A KR20090113321 A KR 20090113321A KR 20110056840 A KR20110056840 A KR 20110056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sensing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감연
나준혁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840A/ko
Publication of KR2011005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60R2021/01129Problems or faults
    • B60R2021/01136Cu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8En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이에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은, 주 전원의 절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이 절단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보조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이 절단된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의 공급 재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의 공급 재개가 감지된 경우 재개된 시점에 대한 제2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차량의 이용에 따라 정상적으로 운행 정보의 생성 및 저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의 검증이 용이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차량, 거치 장치, 영상 저장 장치, 운행 정보

Description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for carrying out ver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 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이에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화되어 감에 따라 주정차 문제, 교통 문제 및 교통사고 등의 부작용도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교통사고는 당사자간에 합의에 따라 원만하게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과실 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뺑소니 사고의 경우에는 도의적인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통사고 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 고 있으며,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항공기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를 차량에도 실제 탑재하여 사고 처리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즉,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는 타입과 촬영되는 또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해당 장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타입들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저장 장치(110)는 프로그램 저장부(120), 영상 입력부(125), 인코딩/디코딩부(130), 영상 저장부(135), 표시부(140), 정보 제공부(145), 정보 저장부(150) 및 제어부(155)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20)에는 영상 저장 장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5), 인코딩/디코딩부(13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120)에 저장 유지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25)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125)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Image Signal Processor)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 부(125)는 예를 들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일 수 있다.
인코딩/디코딩부(130)는 영상 입력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용한 인코딩을 수행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저장부(135)에 저장하거나, 영상 저장부(13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영상 저장부(135)는 인코딩/디코딩부(130)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수단이다.
표시부(140)는 영상 저장 장치(110)의 동작 상태, 인코딩/디코딩부(130)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 등 중 하나 이상을 시각적 정보로서 출력한다.
정보 제공부(145)는 GPS 수신 정보(예를 들어, 위치 좌표 등) 또는/및 차량 엔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정보 저장부(150)는 정보 제공부(145)로부터 제공된 정보가 저장되는 수단이다.
제어부(155)는 영상 저장 장치(110)의 각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5)는 정보 제공부(145)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정보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사고 발생 시점 전후의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사고 처리시 책임 소재 판단의 객관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그 용도나 목적이 사고 관련 영상 저장으로 제한될 뿐, 사고 발생 가능성을 사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용량(예를 들어, 주행 거리, 운행 시간 등)이 증가하거나 운전자의 운전 습관이 방어적이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과속, 급 가속, 과도한 핸들 조작 등) 사고 확률이 증가하게 되지만, 이러한 요인이 자동차 보험의 예상 손해율이나 보험료 결정에 반영되지 않아 운전자의 적절한 운전 습관을 유도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경우 차량에서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이를 관제 서버와 연동하여 운전자의 주행 거리 등의 운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등이 없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경우 차량으로부터 탈착한 후 차량 이외의 장소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키거나 차량 내부와 비슷한 상황을 만들어 운행 정보를 위조하거나 변조하는 행위에 대하여 감지 혹은 판단 방법 등이 없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자동자의 사용량이나 차량 운전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운전자에게 적절한 혜택이나 불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의 탈부착 여부, 차량용 거치 장치에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미부착 운행에 대해서는 패널티 부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이용에 따라 정상적으로 운행 정보의 생성 및 저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의 검증이 용이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은, 주 전원의 절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이 절단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보조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이 절단된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의 공급 재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의 공급 재개가 감지된 경우 재개된 시점에 대한 제2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정보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제1 센싱 정보는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절단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이고, 상기 제2 센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재개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싱 정보와 상기 제2 센싱 정보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주 전원이 정상적으로 단선되어 상기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주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단선되어 상기 운행 정보가 비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은, 전원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화를 감지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 시점 마다의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정보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전압이 배터리 전압에서 알터네이터 전압으로 변화하거나 알터네이터 전압에서 배터리 전압으로 변화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은, 차량 시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 시동이 감지된 경우 차속 신호 및 RPM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장치가 정상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판별하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장치가 에러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전원 전압이 배터리 전압에서 알터네이터 전압으로 변화하는 시점을 상기 차량 시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은, 차량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상황인 경우 센싱부 를 통해 감지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은 주 전원의 단선, 전원 전압의 변화, 일부 차량 정보의 수신 불가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는 차속 신호 및 RPM 신호 중 하나 이상과, 주 전원의 절단 여부와, 전원 전압의 변화 여부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이용에 따라 정상적으로 운행 정보의 생성 및 저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의 검증이 용이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자동자의 사용량이나 차량 운전에 따른 사고 발생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운전자에게 적절한 혜택이나 불이익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에의 탈부착 여부, 차량용 거치 장치에의 탈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미부착 운행에 대해서는 패널티 부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이용에 따른 운행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제하고, 사용자 정보 수집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정보인 운행 정보를 추가적인 비용(예를 들어, 통신망 이용료 등) 발생 없이 관제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녹화된 영상이 암호화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암호화된 영상의 해독을 위한 해독 키 정보의 전송 이전에 운행 정보의 전송이 선행되도록 함으로써 운행 정보의 전송이 강제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100)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차량용 거치 장치(2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에 고정 부착되며, 거치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연결 하우징(400)의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에 따른 탈부착 정보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거나 센싱 정보를 감지하거나 이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하며, 차량 정보, 센싱 정보, 탈부착 정보, 운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연결된 경우에 이 정보를 전송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거치되어 차량의 내부 또는/및 외부 영상을 녹화한다. 또한, 차량 정보, 센싱 정보, 탈부착 정보 혹은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송받거나 내부에 구비된 구성 요소(예를 들어, 차량 정보 수집부, 센싱부, 운행 정보 생성부 등 중 하나 이상)를 이용하여 수집, 감지 혹은 생성하여 저장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며, 통신 장치에 연결되거나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차량 정보, 센싱 정보,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 및 녹화된 영상을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통신 장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관제 센터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며, 해당 정보를 수신 완료한 관제 센터로부터 해독 키(decryption key) 정보를 전송받고,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녹화 영상을 해독하여 통신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는 해독 키 정보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서 암호화된 녹화 영상을 해독하여 재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 센싱부(220), 탈부착 감지부(230), 인터페이스부(240), 데이터 저장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운행 정보 생성부(270) 또는/및 운행 정보 검증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예를 들어 출력부, 전원 공급부, 보조 전원부, 프로그램 저장부, 무선 통신부, 타이머부 등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제어부(260), 운행 정보 생성부(270), 운행 정보 검증부(280) 등)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 요소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차량에서 출력 가능한 다양한 차량 정보들을 수집한다. 수집 가능한 차량 정보는 차속 신호, RPM 신호, 브레이크 신호, 가속페달 신호, 연료량 신호, 연료분사량 신호, 지시등 신호, 안전벨트 신호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후술할 관리 프로그램에서 이벤트에 대한 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차량 사고 등에서 분쟁 해결을 위한 참고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 정보는 수집 시점의 시각과 연동함으로써 히스토리 관리가 가능하며, 운전자의 운전 습관 분석, 차계부 생성 등에도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차량에 구비된 자기 진단 장치(예를 들어, OBD(On Board Diagnostics), KOBD(Korea On Board Diagnostics) 등)로부터 차량 정보(예를 들어, 차량 엔진 정보, 엔진 회전수, 냉각수 온도 등 중 하나 이상)를 수집한다.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자기 진단 장치 커넥터에 접속되어 해당 정보를 제공받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자기 진단 장치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진단 장치가 브레이크 신호, 안전벨트 신호, 방향등 표시 신호, 차간 거리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부가적인 차량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들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부가적인 차량 정보를 자기 진단 장치로부터 더 수집할 수도 있다. 물론, 부가적인 차량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들이 차량 정보 수집부(210)와 연결되는 경우 차량 정보 수집부(210)는 해당 센서들로부터 부가적인 차량 정보를 직접 수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차량 정보 취득부가 차량에 구비되며,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해당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취득부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유선 통신의 경우 예를 들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의 경우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WiFi, ISM 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RF 방식을 통해 차량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다.
센싱부(220)는 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한다.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 정보 유닛,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관성 센서 유닛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유닛은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수신 지점의 위도, 경도, 고도, 시간 등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할 제어부(260) 또는/및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위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속도, 방위각 등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 거리를 계산하거나, 이동 경로를 기록하거나, 차량 사고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사고 지점의 위치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관성 센서 유닛은 관성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와 GPS 음영 지역에서 차량 이동거리의 정확한 계산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260) 또는/및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사고 상황인지를 판별하거나, 사고 분석시 사고 전후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예를 들어 관성 센서 유닛의 출력값이 사고 여부의 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일정시간 동안 출력값의 추이를 감시하여 변화량이 일정량을 초과하 는 경우 사고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탈부착 감지부(230)는 후술할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탈부착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 감지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를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거치하기 위한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공유하고 있는 특정 신호의 레벨(level) 혹은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때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요청(request)에 대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정상 응답(response)의 수신 여부를 이용하여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특정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어 연결 하우징을 통한 해당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탈부착 감지부(23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차량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실시예에서 탈부착 감지부(23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환경 정보를 출력하는 환경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센서 유닛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 등 중 하나 이상과 같이 설치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정보는 온도, 습 도, 밝기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환경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마다 획득되는 센싱값과 차량 내부에 대한 센싱 기대값 혹은 센싱 평균값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정상 설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2 실시예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설치됨에 있어서 설치 부분에 구비된 접점식 스위치를 이용하여 접점 단속 정보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정상 설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탈부착 감지부(230)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운행 정보는 탈부착 감지부(230)에서 생성된 탈부착 정보와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탈부착 감지부(230)에서 감지한 결과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고정 설치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고정 설치된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이 다음과 같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유저 데이터 영역에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탈착되었음을 나타내는 탈착 정보가 삽입된 운행 정보를 생성하거나 탈착 정보 및 운행 정보를 통합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 후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추후 정상 연결될 때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된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포함된 차량 정보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차량 정보, 센싱부(220)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하고, 연결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해당 정보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0)는 연결 하우징을 통해 연결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및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신호레벨 변환 회로, ESD 회로, 전원보호 회로 등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50)에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 일정 시점마다 수집되는 차량 정보, 센싱 정보 또는/및 탈부착 감지 정보, 후술하는 운행 정보 생성부(270)에 의해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하는 사용자 정보도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5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내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 또는/및 착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된 경우 연결 시점을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혹은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250)에서 삭제 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60)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각 구성 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후술하는 운행 정보 생성부(270)와 물리적 또는/및 개념적으로 통합된 제어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6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획득 정보를 참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250)에 획득 정보의 저장,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수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탈부착 감지부(230)로부터 입력되는 탈부착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차량에의 정상 설치 여부 판별,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의 탈부착 여부 판별, 시스템 자가 진단 등에 의해 출력부(예를 들어, 표시부, 음성 출력부, 경보 출력부 등)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경보하거나 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표시부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벤트 상황, 경고 상황, 동작 상황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운전자 혹은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현재 상황에 대한 인지 및 용이한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표시부는 LED, 세그 먼트(Segment), 액정 디스플레이(LCD),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음성 출력부 또는 경보 출력부는 이벤트 상황, 경고 상황, 동작 상황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음성 또는 경보로 알려주며, 스피커 또는 버저(buzzer)일 수 있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생성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로부터 제공받은 획득 정보(즉, 차량 정보 수집부(210)에 의한 차량 정보, 센싱부(220)에 의한 센싱 정보 등 중 하나 이상)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를 생성한다. 운행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나 운행 정보의 생성 형식은 다양할 수 있다.
생성된 운행 정보에 의해 해당 차량의 주행 거리, 주행 속도, 안전벨트 착용 여부 등에 관한 정보가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운전자에게 혜택(예를 들어, 보험료 할인, 차량 요일제 운영에 따른 혜택 등)을 부여하거나 불이익을 부여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탈부착 감지부(230)에서 출력된 탈부착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내에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정상적으로 거치되어 있는지,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중에 정상적으로 운행 정보가 생성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검증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정보 검증부(28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분석한다. 해당 차량 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상황(예를 들어, 주 전원의 단선, 전원 전압의 변화, 일부 차량 정보의 수신 불가 등)으로 판단되면, 센싱부(220)를 통해 감지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 생성부(270)에 의한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한다. 운행 정보 검증부(28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전원 공급부, 보조 전원부, 프로그램 저장부, 무선 통신부, 타이머부 등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원 공급부는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연결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한다. 12V 혹은 24V의 공급전압을 가지는 차량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 30V 정도의 입력전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전원부는 차량의 배터리 교체 또는 차단,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 절단 등의 이벤트 발생시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도 획득 정보의 수집, 감지 혹은 운행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이벤트 발생시 해당 시점의 시각 및 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저장부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 차량 정보 수집부(210), 탈부착 감지부(230), 운행 정보 생성부(270), 운행 정보 검증부(28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 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정보 취득부로부터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도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어 데이터의 효율적인 획득이 가능하다.
그리고 차량 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설치된 차량 정보 취득부와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내부에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TPMS(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이 무선 통신으로만 구성되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치에 대해서도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며, 획득한 정보에 대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은 예를 들어 WiBro, WiFi, CDMA와 같은 이동통신망, 블루투스, 지그비, ISM 대역을 이용하는 일반 RF 통신망일 수 있다.
타이머부는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실시간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전원 차단시에도 시간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조 전원부 혹은 전용 백업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영상 입력부(310), 데이터 처리부(320), 데이터 저장부(330), 제1 인터페이스부(340), 제2 인터페이스 부(350),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 운행 정보 생성부(370), 운행 정보 검증부(380) 등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예를 들어 오디오 입력부, 키 입력부, 전원 공급부, 보조 전원부, 출력부, 신호 생성부, 유/무선 전송부 등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320), 제어부(360), 운행 정보 생성부(370), 운행 정보 검증부(380) 등)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둘 이상의 구성 요소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우선 연결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운행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운행 정보는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탈부착 정보와 함께 전송되며, 이하에서는 탈부착 정보가 통합된 운행 정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영상 입력부(310)는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입력부(310)에서 출력하는 영상 신호는 데이터 처리부(320)에 의한 압축 또는/및 암호화 처리를 위해 미리 지정된 신호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영상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둘 이상의 렌즈,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멀티채널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처리부(32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입력부(310)는 예를 들어 차측 방향(즉,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 또는/및 차량 내부 중 하나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영상 입력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하거나 또는 임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실시간 저장된 후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의 인코딩 처리, 디코딩 처리, 암호화 처리, 해독 처리 등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32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특정 운전자 혹은 사용자의 영상임을 인증하기 위해 워터마크(watermark)를 삽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오디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320)는 영상 입력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파일은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 각각을 인코딩하여 독립적으로 생성되거나 하나로 통합되어 생성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예를 들어 JPEG 등의 정지 영상 압축 방식 또는/및 비디오 압축 방식(예를 들어, MPEG4, H.263, H.264, WMV, DIVX, XVID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될 수 있고,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압축 방식(예를 들어, AAC, MP3, MP2, WMA, OGG, G.729, 713, AMR 등 중 하나 이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통합되어 형성되는 데이터 파일은 MPEG4 등의 파일 포맷을 가지도록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20)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통합되어 형성되는 데이 터 파일 내의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내에 구비된 운행 정보 생성부(370)에 의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32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내에 구비된 운행 정보 생성부(370)에 의해 생성된 운행 정보에 대하여 암호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를 수행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기기 시리얼 번호를 암호화 키로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30)는 영상 신호 또는/및 오디오 신호가 인코딩 또는/및 암호화 처리된 데이터 파일,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정보(차량 정보, 센싱 정보, 탈부착 정보 등 중 하나 이상) 혹은 운행 정보 생성부(370)에 의해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30)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구비된 차량 정보 수집부(210)에 의해 수집된 차량 정보 및 센싱부(220)에 의해 감지된 센싱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30)에는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을 해독 처리하기 위해 관제 센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 해독 키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30)는 예를 들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내장되는 메모리 장치 또는/및 착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340)는 연결 하우징을 통해 연결된 차량용 거치 장 치(2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및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2 인터페이스부(350)는 통신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USB 등을 이용한 유선 통신과, 예를 들어 WiFi, 지그비,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320)에 의해 암호화된 운행 정보 또는/및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36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각 구성 요소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360)는 데이터 처리부(320) 또는/및 운행 정보 생성부(370)와 물리적 또는/및 개념적으로 통합된 제어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획득 정보를 참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330)에 획득 정보의 저장, 데이터 파일 내에 획득 정보의 삽입, 저장 공간의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수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통신 장치와 연결되어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360)는 데이터 처리부(320)에 의하여 암호화 처리되어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또는/및 운행 정보를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에 전송된 운행 정보는 예를 들어 암호화되어 저장된 영상 정보의 재생을 위한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관제 센터에 접속하는 시점, 사용자 스스로 운행 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한 시점,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시점 등에서 관제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선 이탈 경보, 선행 차량 충돌 경보, 차선 변경시 안전 상태 경보, 보행자 충돌 경보, 위험지역 경보 등을 수행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되는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운행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운행 정보 생성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정보 생성부(370)는 제1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구비된 차량 정보 수집부 또는 센싱부로부터 출력된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차량 정보 수집부 또는/및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정보 수집부 또는/및 센싱부는 도 3에 도시된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와 각각 그 기능이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센싱부는 관성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성 센서 유닛의 센 싱값을 이용하여 차량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대하여 센싱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로 판별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의 센싱값의 추이를 확인하고 변화량이 일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이벤트로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이벤트 영상으로서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하게 되며, 해당 이벤트 영상은 추후 차량 사고 등으로 인한 분쟁시 시시비비 판단을 위한 영상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실시예에 따라 운행 정보 검증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운행 정보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서 생성된 운행 정보에 대하여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검증한다.
운행 정보 검증부(380)는 제1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 혹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별도로 구비된 차량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분석한다. 해당 차량 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상황(예를 들어, 주 전원의 단선, 전원 전압의 변화, 일부 차량 정보의 수신 불가 등)으로 판단되면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한다. 운행 정보 검증부(38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신호 생성부, 출력부, 전원 공급부, 보조 전원부, 프로그램 저장부, 유무선 통신부 등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 다.
신호 생성부는 소정의 부착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부착 신호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정상적으로 거치되는 경우에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 전송되며,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는 부착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출력부는 표시부, 음성 출력부, 경보 출력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표시부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녹화 영상을 표시한다. 이벤트 상황, 경고 상황, 동작 상황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운전자 혹은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현재 상황에 대한 인지 및 용이한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표시부는 LED, 세그먼트, 액정 디스플레이, VFD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음성 출력부 또는 경보 출력부는 이벤트 상황, 경고 상황, 동작 상황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음성 또는 경보로 알려주며, 스피커 또는 버저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연결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한다.
보조 전원부는 차량의 배터리 교체 또는 차단,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 절단, 차량 사고 등의 이벤트 발생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도 소정 시간 영상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하 여 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등의 데이터 처리 및 저장과, 운행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이벤트 발생시 해당 시점의 시각 및 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저장부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 영상 입력부(310), 데이터 처리부(32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
타이머부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실시간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전원 차단시에도 시간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조 전원부 혹은 전용 백업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차량 정보의 수집, 센싱 정보의 감지, 운행 정보의 생성은 차량용 거치 장치(200) 또는/및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정보 수집, 센싱 정보의 감지 및 운행 정보의 생성을 수행하고, 수집된 차량 정보, 감지된 센싱 정보, 생성된 운행 정보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생 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의 시동 온(On)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직접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전원 입력 단자가 차량의 전원 공급 단자(예를 들어, 시거잭 등)에 결합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에도 운행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보조 전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의 감지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 변화로부터 판단하거나, 차량의 ACC 전원의 온/오프(On/Off)를 확인하거나, 차량의 시동 신호를 직접 입력받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전압 변화로부터 판단하는 경우, 초기 소정 회수 이상의 시동 오프시 전압, 시동 온시 전압을 제어부(260)에서 확인한 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일반적인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12V 정도이며, 시동이 걸리는 경우 13.5V 정도로 전압이 상승하게 되는 바, 12V에서 13.5V 정도의 전압 변화가 있는 경우 시동이 걸린 것으로 판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히스테리시스 방식에 의해 시동이 걸린 후 바로 오프되는 경우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만일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이 감지되면, 단계 S32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동작 개시된 후,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운행 정보를 생성하 여 저장한다.
운행 정보는 차량이 주행 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지 아니면 주차 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에게 혜택 또는 불이익을 제공하기 위한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정보를 관제 센터로 제공되어 각 보험사간에 공유되는 경우 보험료 차등 산정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을 감지하면, 운행 정보의 생성 이전에 대기 상태에 있는 구성 요소가 정상 동작하는지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부는 통신을 통해 시간이 정상적으로 흐르고 있는지 여부, 차량 정보 수집부(210), 센싱부(220), 탈부착 감지부(230) 등에 소정의 명령을 전송하고 정상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함으로써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 비정상적인 구성 요소가 있다면, 출력부를 통해 오류 메시지, 오류 음성 또는 경보를 출력하고, 데이터 저장부(250)에 해당 이력을 기록할 수 있다.
단계 S331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 감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탈부착 감지부(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공유하고 있는 특정 신호의 레벨 혹은 차량용 거치 장치(200)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연결 하우징(40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때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요청에 대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응답의 유무를 이용하여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부착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연결 하우징(400)을 통한 해당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된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단계 S332에서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에서 출력하는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운행 정보 생성부(270)는 탈부착 정보를 포함하여, 취득한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운행 정보의 생성은 운행 정보 생성부(2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 정보 수집부(210) 또는/및 센싱부(220)로부터 제공받은 획득 정보(즉,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 및 탈부착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운행 정보는 예를 들어, 운행일자, 주행거리, 주행속도, 좌/우회전시 방향 지시등 신호, 안전벨트 착용 여부, 가속 페달 신호, 브레이크 신호, 연료량 신호, 연료분사량 신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정보는 후술되는 검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333에서 이미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차량 정보, 센싱 정보, 이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 및 단계 S332에서 취득한 획득 정보 또는/및 생성된 운행 정보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로 전송한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34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탈착 상태를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 혹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그리고 단계 S335에서 일정 시간마다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들(예를 들어, 차량 정보, 센싱 정보, 이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운행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데이터 저장부(250)에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단계 S34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또는/및 전원 입력 단자가 차량의 전원 공급 단자에서 분리되는 경우 등에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 경우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보조 전원부의 충전된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차량의 시동 오프 등에 의해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차량용 거치 장치(200)의 구동이 종료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만일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유지되면 단계 S331로 다시 진행한다. 하지만,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단계 S310으로 다시 진행한다.
만일 단계 S31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턴 오프(동작 종료) 상태로 유지되면, 단계 S350으로 진행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일정 시간 주기로 지정되거나 임의의 시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이용이 없어 전원 공급(또는 턴 온이며, 이하 동일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차량의 이용이 있음에도 부정한 목적(예를 들어, 정확한 운행 정보의 생성 및 저장에 의해 받게 될 불이익 방지 등)에 의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설정된 시각이 아닌 경우, 단계 S31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설정된 시각인 경우 단계 S360으로 진행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동작 개시된 후, 단계 S370에서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운행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단계 S331 이하의 과정과는 달리,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보조 전원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므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여부 또는 차량의 위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예를 들어, 주행 거리나 GPS 위치 좌표 등)만을 인식하여 저장하는 동작으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380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동작을 종료한 후 단계 S310으로 다시 진행한다.
상술한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은 차량용 거치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 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단계 S332, S335, 혹은 S370을 통해 생성된 운행 정보 또는 해당 운행 정보의 생성을 위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용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검증용 데이터 및/또는 검증 결과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차량의 이용(예를 들어, 주행 등)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주차 등)들에 대한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운행 정보의 정상적 생성이 유지되고 있는지, 운전자의 부정한 목적에 의한 동작 불능 상태 야기가 없었는지 등을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검증하는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설명되는 실시예들 이외에도 동일한 목적을 위한 검증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검증을 위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이 조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 정보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상황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센싱부(220)에서 감지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 등을 검증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정보 중 주 전원의 절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 단선 여부를 감지하여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S411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주 전원이 절단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주 전원이 절단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412로 진행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주 전원이 절단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413으로 진행하여, 보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단계 S414에서 주 전원이 절단된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이후 단계 S415에서 주 전원 공급이 재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주 전원 공급이 재개되는지 여부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확인하거나 주 전원 공급이 재개되는 시점을 감지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주 전원 공급이 재개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 전원 공급이 재개될 때까지 단계 S415를 반복한다.
주 전원 공급이 재개된 경우 단계 S416으로 진행하여 주 전원의 공급이 재개된 시점에 대한 제2 시간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단계 S417에서 주 전원이 절단된 시점에 저장된 제1 시간 정보 및 주 전원의 공급이 재개된 시점에 저장된 제2 시간 정보에 각각 상응하는 제1 센싱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로부터 추출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주 전원 의 절단이 정상적인 전원 단선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1 센싱 정보 및 제2 센싱 정보는 위치 정보,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센싱부(2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된 센싱 정보가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센싱 정보는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점, 즉 주 전원의 절단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즉, 절단 이전 센싱부(220)가 주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 혹은 절단 직후 센싱부(220)가 보조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이며, 제2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센싱 정보는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점, 즉 주 전원의 절단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즉, 주 전원의 공급 재개 이전 센싱부(220)가 보조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 혹은 공급 재개 직후 센싱부(220)가 주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일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센싱부(220)가 실시간으로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주 전원의 절단 혹은 주 전원의 공급 재개에 함께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센싱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7에서 주 전원의 절단이 정상적인 전원 단선인지 여부의 판별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차량의 배터리를 교환하기 위해 주 전원이 절단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운행 정보의 위조 혹은 변조를 위해 고의로 주 전원을 절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하여 절단 시점에서의 센싱 정보와 재개 시점에서의 센싱 정보를 비교한 경우 그 오차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주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동안 차량의 이동이 없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정상적인 전원 단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오차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이 운행되어 위치 정보 혹은 환경 정보가 변화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고의로 주 전원을 절단한 것으로 보고 비정상적인 전원 단선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각 시점에서의 시간 정보 및 센싱 정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동작 불능 상태로 유지된 시간 및 동작 불능 상태에서의 위치 이동 등에 대해 사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전원 단선에 의해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동작 불능 상태로 유지되는 기간이 지정된 기간 이상이면 패널티 부과, 그 기간 내의 사고에 대한 보험금 미지급 등의 불이익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정보 중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S421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전원 전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차량에 있어서 알터네이터와 배터리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시동이 걸리기 전에는 배터리가 전원 소스(source)가 되며, 시동이 걸린 후에는 알터네이터가 전원 소스가 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이 배터리 전압에서 알터네이터 전압으로 변화하는 시점이 시동이 걸리는 시점인 것으로, 알터네이터 전압에서 배터리 전압으로 변화하는 시점이 시동이 꺼지는 시점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전원 전압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422로 진행하여 변화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변화 시점은 시동이 걸리는 시점, 시동이 꺼지는 시점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 S423에서 변화 시점마다 저장된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운행 정보의 위조 혹은 변조에 대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시동이 걸린 시점과 시동이 꺼진 시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두 시점 간의 위치 변화 또는/및 환경 변화를 알 수 있어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에 정상적으로 거치되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센싱부(220)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된 센싱 정보가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센싱 정보는 시간 정보에 따른 시점, 즉 시동이 걸리는 시점 및 시동이 꺼지는 시점에 각각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일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센싱부(220)가 실시간으로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시동이 걸리는 시점 및 시동이 꺼지는 시점에 각각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센싱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차량 정보 중 차속 신호, RPM 신호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S431에서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차량 시동을 감지한다. 차량 시동의 감지는 도 6b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배터리 전압에서 알터네이터 전압로의 변화 감지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챠랑 시동이 감지되면, 단계 S432로 진행하여 차속 신호, RPM 신호 등과 같은 차량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단계 S433으로 진행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가 정상적으로 거치되어 있어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보고, 차량용 거치 장치(2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차량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계 S434로 진행하여 시스템 에러(error) 상황으로 인식하고,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를 통해 화면 상에 에러 메시지 혹은 에러 이미지를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알리거나 음성 출력부 또는 경보 출력부를 통해 경고 음성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여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서 검증이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운행 정보 또는 후술되는 것과 같이 내부에서 생성한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용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단계 S510에서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차량의 내부 또는/및 외부 영상을 녹화한다. 단계 S520에서 데이터 처리부(320)는 녹화된 영상에 대하여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단계 S530a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부착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제1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전송되는 운행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40a에서 운행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단계 S510 내지 S520과, 단계 S530a 내지 S540a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계 S530b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부착된 차량용 거치 장치(200)로부터 제1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전송되는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535b에서 차량 정보 또는/및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40b에서 운행 정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이 경우 단계 S510 내지 S520과, 단계 S530b 내지 S54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운행 정보의 암호화 및 저장이 수행된 이후, 단계 S550에서 차량용 영상 저 장 장치(300)는 통신 장치를 거쳐 혹은 직접 관제 센터로 운행 정보를 제공하고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560에서 수신한 해독 키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 즉 녹화 영상을 해독하고 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의 전송 구조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의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사고 영상 등의 녹화 및 저장을 위한 기능뿐 아니라 운행 정보의 전송 기능을 더 수행한다. 또한, 관제 센터(580)로의 운행 정보 전송을 유도하기 위해 녹화 및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즉, 영상 데이터 또는/및 운행 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암호화된 데이터 파일은 운행 정보의 전송 이후에 관제 센터(580)로부터 수신되는 해독 키 정보에 의해 해독 처리된다.
운행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570)에 설치된 후술할 매니지먼트 프로그램(management program)이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결합되었음을 인식한 시점, 암호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재생을 위한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관제 센터(580)에 접속하는 시점, 사용자 스스로 운행 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한 시점,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시점 등에서 관제 센터(58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8에서 하나의 관제 센터(580)가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해독 키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상술한 동작을 통합적으로 수행하거나, 부분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수행 주체를 통칭하는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경우 각 동작 수행의 주체는 상이할 수도 있다.
만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운행 정보의 전송을 위해 유/무선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된 운행 정보를 관제 센터(580)로 전송하고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할 수 없는 경우 통신 장치(570)(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 컴퓨터 장치 등 중 하나 이상)에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어, 해당 통신 장치(570)가 구비한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된 운행 정보를 관제 센터(580)로 전송하고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운행 정보를 독출하여 관제 센터(580)로 전송하는 등의 처리를 위한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또는/및 통신 장치(57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만일, 데이터 저장부(330)가 착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만을 탈착하여 통신 장치(570)에 결합되는 리더기(reader)에 결합한 후, 통신 장치(570)에 설치된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이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운행 정보를 독출하여 관제 센터(580)로 전송하고,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며 운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다만,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가 통신 장치(570)와 통신 케이블로 연결되고, 통신 장치(570)에 설치된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이 운행 정보를 독출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은 단계 S610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결합됨을 인식하고, 단계 S620에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 내에 저장된 암호화된 시리얼 넘버를 독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센터(580)로 전송한다.
관제 센터(580)는 수신된 암호화된 시리얼 넘버를 해독한 후, 해당 시리얼 넘버가 유효한 것인지 판단한 후, 유효한 시리얼 넘버인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으로 운행 정보의 전송을 지시한다.
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운행 정보를 독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센터(580)로 전송한다.
이후, 관제 센터(580)로부터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해독하기 위한 해독 키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의 임의의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암호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운행 정보의 전송을 유도하기 위해 해당 해독 키 정보는 예를 들어 직전의 운행 정보 전송 이후 금번 운행 정보를 전송한 시점 이전에 생성된 암호 화된 데이터 파일만의 해독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관제 센터(580)로 전송된 운행 정보는 보험료 차등 산정 및 지급에 대한 자료로 사용가능하며, 차량 요일제 대응 정보로 이용가능하다.
또한, 운행 정보뿐 아니라 검증 정보를 수신하거나,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용 거치 장치(200)를 차량이 아닌 타소에서 전원 인가하여 동작시키거나 차량 내부와 유사한 상태를 만들어 운행 정보를 위조 혹은 변조하는 행위를 감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300)를 차량용 거치 장치(200)에 거치하지 않고 운행하는 경우에 운행 정보에 통합되어 있는 탈부착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부착 운행에 따른 패널티 부과 등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거치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서의 운행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의 전송 구조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정보의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15)

  1.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주 전원의 절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이 절단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보조 전원부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이 절단된 시점에 대한 제1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의 공급 재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주 전원의 공급 재개가 감지된 경우 재개된 시점에 대한 제2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제2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정보 및 상기 제2 센싱 정보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센싱 정보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저장되는 경우,
    상기 제1 센싱 정보는 상기 제1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절단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이고, 상기 제2 센싱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재개 시점에 가장 근접한 시점에 저장된 센싱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싱 정보와 상기 제2 센싱 정보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주 전원이 정상적으로 단선되어 상기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주 전원이 비정상적으로 단선되어 상기 운행 정보가 비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5.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전원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화를 감지한 시점의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 시점마다의 상기 시간 정보에 상응하는 센싱 정보를 추출하여 비교하고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센싱부에서 감지한 위치 정보 및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전압이 배터리 전압에서 알터네이터 전압으로 변화하거나 알터네이터 전압에서 배터리 전압으로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8.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차량 시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 시동이 감지된 경우 차속 신호 및 RPM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장치가 정상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운행 정보가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판별하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장치가 에러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전원 전압이 배터리 전압에서 알터네이터 전압으로 변화하는 시점을 상기 차량 시동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11.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에서 운행 정보를 검증하는 방 법으로서,
    차량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상황인 경우 센싱부를 통해 감지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운행 정보의 정상적인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황은 주 전원의 단선, 전원 전압의 변화, 일부 차량 정보의 수신 불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차속 신호 및 RPM 신호 중 하나 이상과, 주 전원의 절단 여부와, 전원 전압의 변화 여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는 차량용 거치 장치 혹은 상기 차량용 거치 장치에 착탈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 정보 검증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운행 정보 검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90113321A 2009-11-23 2009-11-23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10056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21A KR20110056840A (ko) 2009-11-23 2009-11-23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21A KR20110056840A (ko) 2009-11-23 2009-11-23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40A true KR20110056840A (ko) 2011-05-31

Family

ID=4436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321A KR20110056840A (ko) 2009-11-23 2009-11-23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8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134B1 (ko)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운행 정보 제공 방법
JP6342858B2 (ja) 運転評価装置
EP3656604B1 (en) Charging station monitoring system
JP6773024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8053309A1 (en) Electronic logging device (el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7001146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llection of Sensor Data for Vehicle Trips with High-Integrity Vehicle Identification
JP6339537B2 (ja) 運転評価装置
EP3094521A1 (en) Vehicle control system
JP5642302B2 (ja) 監視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098774B1 (ko) 차랑용 거치 장치,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운행 정보 제공 방법
JP6063189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729438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071153B1 (ko)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557283B1 (ko) 차량 주행 거리 조작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WO2019146488A1 (ja) 運転状況監視装置、運転状況監視方法、および運転状況監視システム
JP4841532B2 (ja) 違法駐車取締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56845A (ko)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또는 차량용 거치 장치의 탈부착 판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056840A (ko) 운행 정보 검증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134634B1 (ko) 차랑용 거치 장치 및 이에 착탈 가능한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구비되는 연결 하우징
KR101217537B1 (ko) 차량용 전자단말기기 및 그를 이용한 휴일제 관리시스템
CN110662173A (zh) 一种车载智能终端的信息控制方法
CN115567775B (zh) 一种商品车监控系统
JP6568406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20160139549A (ko) 전압이상 알림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시스템
JP2018120398A (ja) 車載器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