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546A - 방전 램프의 동작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전 램프의 동작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546A
KR20110056546A KR1020117008635A KR20117008635A KR20110056546A KR 20110056546 A KR20110056546 A KR 20110056546A KR 1020117008635 A KR1020117008635 A KR 1020117008635A KR 20117008635 A KR20117008635 A KR 20117008635A KR 20110056546 A KR20110056546 A KR 20110056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switch
circuit arrangement
coupled
discharge lamp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로이스 브라운
발터 림머
맥시밀리언 슈미들
Original Assignee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filed Critical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Publication of KR2011005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control circuits for the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9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 H05B41/39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 H05B41/3921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 H05B41/3925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continuously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thyristor with possibility of light intensity variations by frequency varia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방전 램프의 동작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본 발명은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공급 전압을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입력 단자(E1) 및 제2 입력 단자(E2)를 갖는 입력부; 제어 전극, 작동 전극 및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전자 스위치(Q1) ― 상기 작동 전극은 상기 제1 입력 단자(E1)에 커플링됨 ―; 제1 다이오드(D1) ―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상기 제2 입력 단자(E2)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제1 정션 포인트(N)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의 상기 기준 전극에 커플링됨 ―;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의 상기 제어 전극에 커플링되는 제어 디바이스(12); 출력 전압(UA)을 상기 방전 램프(La)에 제공하기 위해 제1 출력 단자(A1) 및 제2 출력 단자(A2)를 갖는 출력부; 상기 출력 단자들 중 하나(A1; A2)와 직렬로 배열되는 인덕터(LZ); 상기 제1 정션 포인트(N)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A1) 사이에 커플링되는 램프 인덕터(L1); 상기 제1 출력 단자(A1) 및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상기 애노드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를 온-시간 동안에 도전 상태로, 그리고 오프-시간 동안에 비-도전 상태로 연속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부가하여, 상기 출력 전압(UA)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측정 디바이스(10)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측정 디바이스(10)는 상기 측정된 출력 전압(UA)과 상관되는 신호를 자신의 출력부에서 제공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전압-측정 디바이스(10)는 상기 신호의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12)에 커플링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측정된 출력 전압(UA)의 함수로써 상기 오프-시간(Toff)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은 부가하여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전 램프의 동작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공급 전압을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입력 단자 및 제2 입력 단자를 갖는 입력부, 제어 전극, 작동 전극 및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전자 스위치 ― 상기 작동 전극은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커플링됨 ―, 제1 다이오드 ―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제1 정션 포인트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 전자 스위치의 상기 기준 전극에 커플링됨 ―, 상기 제1 전자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스위치의 상기 제어 전극에 커플링되는 제어 디바이스, 출력 전압을 상기 방전 램프에 제공하기 위해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를 갖는 출력부, 상기 출력 단자들 중 하나와 직렬로 배열되는 인덕터, 상기 제1 정션 포인트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 사이에 커플링되는 램프 인덕터, 상기 제1 출력 단자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상기 애노드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전자 스위치를 온-시간 동안에 도전 상태로, 그리고 오프-시간 동안에 비-도전 상태로 연속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은 부가하여,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본질적으로 방전 램프를 위한 다운스트림-연결된 점화 또는 발화 디바이스를 갖는 벅 컨버터(buck converter)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언급된 인덕터는 점화 인덕터를 나타낸다. 실제로, 이러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상에서 동작되는 방전 램프들이 때때로 꺼진다는 것이 이제 인지되었다. 부가적인 옴 저항기들의 출력 회로 안으로의 도입, 즉 직렬인 방전 램프 안으로의 도입의 결과로서, 소등을 방지하는 것이 넓은 범위까지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솔루션은 결과적인 전력 소모에 관련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전 램프의 소등이 거의 전력 소모 없이 신뢰성 있게 방지되도록, 도입부에서 언급된 종류의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을 개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언급된 특징들을 갖는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그리고 청구항 제14항에 언급된 특징들을 갖는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오실레이션들이 출력 회로 내에서 점화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의 함수로써 발생할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낮은 램프 임피던스들에서, 오실레이션들은 제한된 정도까지만 감쇠되고 램프의 동작을 간섭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램프 전류가 오실레이팅되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범용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종래의 추가적인 와이어링에서, 출력 전류의 측정이 제공되고, 이때 출력 전류는 제1 전자 스위치의 대응하는 활성화에 의해 고정된 주파수에서 피크-투-피크로 레귤레이팅된다. 오실레이션이 이제 출력 회로 내에서 발생한다면, 이는 주기들이 완전히 생략되도록 만들고 유효 제어 주파수가 점화 인덕터 및 제1 커패시터에 의해 본질적으로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에 접근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 회로는 "오실레이션에 관련(involve)"되게 된다. 이 경우, 전류는 심지어 음(negative)의 범위로 오실레이팅할 수 있고 이로써 램프의 소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옴 저항기들을 출력 회로 안으로 삽입하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접근법은 우연히 오실레이션을 감쇠시키는데 공헌했지만, 원치 않게 높은 전력 소모를 유도했다.
이러한 발견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위에서-언급된 문제점을 제거하며, 여기서는 회로 어레인지먼트가 고정된 주파수에서 연속적인 모드로 거의 동작되지 않지만 대신에 제1 전자 스위치의 오프-시간이 가변된다. 언급된 공진 주파수로부터의 거리는 출력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공진 주파수로부터의 충분한 거리가 오프-시간을 가변시킴으로써 구축된다. 이를 통해, 제어 회로의 오실레이션에서의 "관련(involvement)"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그 결과로, 방전 램프의 소등이 심지어 출력 회로를 감쇠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옴 저항기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오프-시간을 출력 전압에 비례하여, 특히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비례하여 가변시키도록 구현된다. 제어 디바이스는 출력 전압에서의 증가가 존재한다면 특히 오프-시간을 단축시키도록 구현되거나 그 반대이다. 만일 Ton이 온-시간을 나타내고, Toff가 오프-시간이고, LZ가 출력 단자들 중 하나와 직렬로 배열된 인덕터이고, C1이 제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라면, 제어 디바이스는 특히 하기가 적용되는 방식으로 오프-시간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된다:
Figure pct00001
오프-시간을 가변시킴으로써, 제어 디바이스는 특히 바람직하게 공진 주파수의 20 퍼센트 미만 내지 20 퍼센트 초과의 범위(range of 20 percent below to 20 percent above the resonance frequency)를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하기가 적용된다:
Figure pct00002
공진 주파수의 하모닉들이 또한 방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하기가 또한 적용된다:
Figure pct00003
; 여기서, n = 1, 2, 3...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에는 각각의 주파수의 20 퍼센트 미만 내지 20 퍼센트 초과의 범위가 방지되고, 그래서 하기가 적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4
; 여기서, n = 1, 2, 3...이다.
특히, 출력에 연결될 방전 램프의 임피던스가 무시되지 않을 때, 출력에 연결될 방전램프의 임피던스에 기인한 제1 커패시터 및 인덕터로 구성된 오실레이팅 회로의 이조(detuning)가 각각의 위에서-언급된 공식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다루어지는 제어 기능에서 방지될 그리고 고려될 주파수들에 대하여 특히 정확한 값들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바람직하게도, 부가하여, 전류-측정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측정 저항기는 제1 전자 스위치의 도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자 스위치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및 제2 입력 단자 사이에서 커플링되고, 이때 제어 디바이스는 전류-측정 저항기에 커플링되고, 전류를 미리정의될 수 있는 값으로 레귤레이팅하기 위해 온-시간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온-시간은 특히 평균 전류가 상이한 오프-시간들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레귤레이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전술된 실시예 변형들은 특히 단일 전자 스위치를 갖는 구현들에 관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개념은 또한 특히 풀-브릿지 토폴로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또한 제2,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 풀-브릿지를 나타내는 제1, 제2,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 제1 브릿지 중심점을 나타내는 제1 정션 포인트를 포함하고, 이때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제1 전자 스위치에 병렬로 커플링된 제2 다이오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스위치는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커플링되고, 상기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는 제2 브릿지 중심점을 나타내는 제2 정션 포인트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서로 커플링되며, 상기 제2 브릿지 중심점은 제2 출력 단자를 나타내고, 제어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를 구동하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도, 제1 위상에서 제3 전자 스위치를 도전 상태로 스위칭하고 제4 전자 스위치 및 제1 전자 스위치를 비-도전 상태로 스위칭하고, 제2 위상에서 제4 전자 스위치를 도전 상태로 스위칭하고 제3 전자 스위치 및 제2 전자 스위치를 비-도전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현되고, 이때 제1 및 제2 위상은 특히 저-주파수 범위에 놓인 제1 미리정의될 수 있는 주파수에서 연속적으로 교번하고, 제어 디바이스는 추가로, 특히 고-주파수 범위에 놓인 제2 미리정의될 수 있는 주파수에서, 제1 위상에서 제2 전자 스위치를 도전 상태 및 비-도전 상태로 교번하여 스위칭하고 제2 위상에서 제1 전자 스위치를 도전 상태 및 비-도전 상태로 교번하여 스위칭하기 위해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측정된 출력 전압의 함수로써 오프-시간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된다.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도 각각의 경우에 제3 및 제4 전자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다.
부가하여,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바람직하게도, 제1 입력 단자 및 제1 출력 단자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커패시터로부터의 총 커패시턴스가 제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대신에 위의 공식들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 변형들이 종속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를 참조하여 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 변형들 및 그들의 장점들은 그들이 적용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단일 전자 스위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제1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풀-브릿지 토폴로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제2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피크-투-피크 레귤레이션에서의 다양한 전류들의 시간에서의 변동을 나타낸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진의 경우에 대응하는 변수들의 시간의 흐름에서의 변동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제1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공급 전압이 연결될 수 있는 제1 입력 단자(E1)와 제2 입력 단자(E2)를 갖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들 사이에는 입력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선택적 커패시터(CE)가 배열된다.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제어 전극, 작동 전극 및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전자 스위치(Q1)를 포함한다. 작동 전극은 제1 입력 단자(E1)에 커플링된다. 또한, 다이오드(D1)이 존재하며,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정션 포인트(N)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전자 스위치(Q1)의 기준 전극에 커플링된다.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또한 출력 전압(UA)이 방전 램프(La)로 제공되는 제1 출력 단자(A1) 및 제2 출력 단자(A2)를 갖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정션 포인트(N) 및 제1 출력 단자(A1) 사이에는 램프 인덕터(L1) 및 점화 인덕터(LZ)로 구성된 직렬 연결부가 배열된다. 램프 인덕터(L1) 및 점화 인덕터(LZ) 사이의 정션 포인트는 커패시터(C1)를 통해 제2 출력 단자(A2)에 커플링된다. 마찬가지로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출력 단자(A2)에 커플링된다.
출력 전압(UA)을 측정하기 위해 전압-측정 디바이스(10)가 제공된다. 측정된 출력 전압(UA)과 상관되는 변수가 제어 디바이스(12)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전자 스위치(Q1)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자 스위치(Q1)의 제어 전극에 커플링된다. 부가하여, 제어 디바이스(12)는 전류-측정 디바이스(14)에 커플링되고, 상기 전류-측정 디바이스(14)는 전류-측정 저항기(RS)를 통해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전류-측정 저항기(RS)는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및 제2 입력 단자(E2) 사이에 커플링되고 상기 전압을 제어 디바이스(12)에 제공한다. 도면에서 점선에 의해 점화 커패시터(Cz1)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12)는 측정된 출력 전압(UA)의 함수로써 스위치(Q1)의 오프-시간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된다. 오프-시간은 특히, 스위치(Q1)가 구동되는 주파수가 점화 인덕터(LZ) 및 제1 커패시터(C1)에 의해 본질적으로 정의되는 공진 주파수 및 상기 공진 주파수의 배수들과 상이하도록 가변된다. 램프 인덕터(L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IL1에 의해 지시되고, 램프(La)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ILa에 의해 지시되며, 스위치(Q1)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IQ1에 의해 지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제2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여기서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이제 풀-브릿지 토폴로지를 갖는다. 도 1과 관련하여 소개된 기준 부호들은 유사 및 유사-동작 컴포넌트들에 계속 적용되고, 그러므로 이곳에서 재소개될 필요가 없다.
이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부가하여 제2 스위치(Q2), 제3 스위치(Q3) 및 제4 스위치(Q4)를 포함한다. 제2 다이오드(D2)는 스위치(Q1)과 병렬로 연결된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1 입력 단자(E1) 및 제1 출력 단자(A1) 사이에 커플링된다. 제1 브릿지 중심점(BM1)이 제1 스위치(Q1) 및 제2 스위치(Q2) 사이에 형성되고, 제2 브릿지 중심점(BM2)이 제3 스위치(Q3) 및 제4 스위치(Q4)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어레인지먼트에서, 점화 인덕터(LZ)는 제2 출력 단자(A2) 및 제2 브릿지 중심점(BM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추가적인 선택적 점화 커패시터(CZ2)가 표시되며, 상기 추가적인 선택적 점화 커패시터(CZ2)는 점화 커패시터(CZ1)의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두 개의 출력 단자들(A1, A2)에 병렬로 커플링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회로 어레인지먼트의 동작은 스위치들(Q1 내지 Q4)의 대응하는 활성화에 의해 제어 디바이스(12)에 의하여 구현된다. 이를 위해, 제어 디바이스(12)는 제1 위상에서 스위치(Q4)를 도전 상태로 그리고 스위치들(Q3 및 Q2)을 비-도전 상태로서 구동시킨다. 제2 위상에서, 스위치(Q3)는 도전 상태로 스위칭되고, 스위치들(Q4 및 Q1)은 비-도전 상태로 스위칭된다. 제1 및 제2 위상은 특히 저-주파수 범위 내에 놓은 제1 미리정의될 수 있는 주파수에서 연속적으로 교번한다. 제1 위상에서의 스위치(Q1) 및 제2 위상에서의 스위치(Q2)는 특히 고-주파수 범위 내에 놓은 제2 미리정의될 수 있는 주파수에서 교번하여 도전 상태 및 비-도전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 경우, 오프-시간은, 제어 주파수가 본질적으로 커패시터들(C1, C2) 및 점화 인덕터(LZ)에 의해 정의되는 공진 주파수 및 상기 공진 주파수의 배수들과 상이한 방식으로, 측정된 출력 전압(UA)의 함수로써 가변된다.
도 3 및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이 기초하는 고려들 및 발견들을 다시 한 번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기본 토폴로지에 관하여, 도 3은 ― 비록 신규한 제어기 없이도 ― 스위치(Q1)를 통과하는 전류(IQ1)의 피크-투-피크 레귤레이션의 경우에 다양한 전류들의 시간에 따른 변동을 도시한다. 컷-오프 전류 임계치(IS)가 다이어그램에서 표현된다. 상기 스위치를 통과하는 전류가 상기 전류 값(IS)에 도달하자마자, 스위치(IQ1)는 비-도전 상태로 스위칭된다. 온-시간은 Ton과 동등하고, 램프 인덕터(L1)를 통과하는 전류(IL1)에서의 증가를 유도한다. 스위치(Q1)가 턴 오프 된 이후, 즉 램프 인덕터(L1)의 자기소거 위상에서, 램프 인덕터(IL1)를 통과하는 전류는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Toff를 참조하라. 또한 도면에는 프리휠링 위상에서, 즉 스위치(Q1)가 오픈된 상태에서 전류(ID1)가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방전 램프(La)에 제공되는 전류(ILa)가 입력되며, 상기 전류는 램프 인덕터(L1)를 통과하는 평균 전류(IL1횡단)에 대응한다.
도 4는 출력 회로 내에서 발생하는 오실레이션의 경우에, 즉 출력 전류(ILa)의 오실레이션의 경우의 상황을 도시한다. 오실레이션이 출력 회로 내에서 발생하면, 전류-측정 저항기(RS)를 통과하는 전류는 오실레이션의 최대치에서 "오프셋"에 도달한다, 즉 턴-오프 시간 인스턴트가 조기에 도달되고 초기에 온-시간(Ton)이 감소한다. 오실레이션의 최소치에서, 온-시간(Ton)은 이전과 같이 유지된다, 즉 최대치에서보다 최소치에서 더 많은 에너지가 커플링된다. 특히, 에너지는 점화 인덕터(LZ) 및 커패시터(C1, C2)로 구성된 오실레이팅 회로의 고유 주파수에서 커플링된다. 후속하여, 회로는 오실레이팅 업(oscillate up)하고, 최대치에서의 오프셋은 상기 오프셋이 너무 높아서, 스위치(Q1)의 턴-온 시간 인스턴트 ― 도 4 참조 ― 에서 컷-오프 임계치가 이미 도달될 때까지 증가한다. 그 결과, 스위치(Q1)는 더 이상 스위칭 온 되지 않는다. 에너지 전부는 최소치에서 커플링되고, 회로는 자신의 공진 주파수에서 여기된다. 다시 말해: 제어 회로는 "오실레이션에서 관련되게 된다".

Claims (14)

  1.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로서,
    공급 전압을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입력 단자(E1) 및 제2 입력 단자(E2)를 갖는 입력부;
    제어 전극, 작동 전극 및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전자 스위치(Q1) ― 상기 작동 전극은 상기 제1 입력 단자(E1)에 커플링됨 ―;
    제1 다이오드(D1) ―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상기 제2 입력 단자(E2)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제1 정션 포인트(N)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의 상기 기준 전극에 커플링됨 ―;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의 상기 제어 전극에 커플링되는 제어 디바이스(12);
    출력 전압(UA)을 상기 방전 램프(La)에 제공하기 위해 제1 출력 단자(A1) 및 제2 출력 단자(A2)를 갖는 출력부;
    상기 출력 단자들 중 하나(A1; A2)와 직렬로 배열되는 인덕터(LZ);
    상기 제1 정션 포인트(N)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A1) 사이에 커플링되는 램프 인덕터(L1);
    상기 제1 출력 단자(A1) 및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상기 애노드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1 커패시터(C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를 온-시간 동안에 도전 상태로, 그리고 오프-시간 동안에 비-도전 상태로 연속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부가하여, 상기 출력 전압(UA)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측정 디바이스(10)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측정 디바이스(10)는 상기 측정된 출력 전압(UA)과 상관되는 신호를 상기 전압-측정 디바이스(10)의 출력부에서 제공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전압-측정 디바이스(10)는 상기 신호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12)에 커플링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측정된 출력 전압(UA)의 함수로써 상기 오프-시간(Toff)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오프-시간(Toff)을 상기 출력 전압(UA)에 비례하여, 특히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비례하여 가변시키도록 구현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출력 전압(UA)에서의 증가가 존재한다면 상기 오프-시간(Toff)을 단축시키고 그 역이 성립하도록 구현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Figure pct00005

    가 적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오프-시간(Toff)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되고,
    여기서, Ton은 상기 온-시간을 나타내고, Toff는 상기 오프-시간을 표현하며, L은 상기 출력 단자들 중 하나(A1; A2)와 직렬로 배열된 인덕터(LZ)를 나타내고, C1은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내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06

    가 적용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07
    이고,
    여기서, n = 1, 2, 3, ...인,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Figure pct00008
    이고,
    여기서, n은 1, 2, 3, ...인,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연결될 상기 방전 램프(La)의 임피던스의 결과로서 상기 제1 커패시터(C1) 및 상기 인덕터(LZ)로 구성된 오실레이팅 회로의 이조(detuning)가 각각의 공식에서 고려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의 도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를 통과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및 상기 제2 입력 단자(E2) 사이에 커플링되는 전류-측정 저항기(RS)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전류-측정 저항기에 커플링되고, 상기 전류를 미리정의될 수 있는 값으로 레귤레이팅하기 위해 상기 온-시간(Ton)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부가하여 제2 전자 스위치(Q1), 제3 전자 스위치(Q4) 및 제4 전자 스위치(Q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2), 상기 제2 전자 스위치(Q1), 상기 제3 전자 스위치(Q4) 및 상기 제4 전자 스위치(Q3)는 풀-브릿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정션 포인트(N)는 제1 브릿지 중심점을 나타내고,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부가하여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2)에 병렬로 커플링된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자 스위치(Q1)는 상기 제1 다이오드(D1)에 병렬로 커플링되고, 상기 제3 전자 스위치(Q4) 및 상기 제4 전자 스위치(Q3)는 제2 브릿지 중심점을 나타내는 제2 정션 포인트를 형성하면서 서로 커플링되며, 상기 제2 브릿지 중심점은 상기 제2 출력 단자(A2)를 나타내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2), 상기 제2 전자 스위치(Q1), 상기 제3 전자 스위치(Q4) 및 상기 제4 전자 스위치(Q3)를 구동하도록 구현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제1 위상에서 상기 제3 전자 스위치(Q4)를 도전 상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4 전자 스위치(Q3) 및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2)를 비-도전 상태로 스위칭하고, 제2 위상에서 상기 제4 전자 스위치(Q3)를 도전 상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3 전자 스위치(Q4) 및 상기 제2 전자 스위치(Q1)를 비-도전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1 위상 및 제2 위상은 특히 저-주파수 범위에 놓인 제1 미리정의될 수 있는 주파수에서 연속적으로 교번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부가하여, 특히 고-주파수 범위에 놓인 제2 미리정의될 수 있는 주파수에서, 상기 제1 위상에서의 상기 제2 전자 스위치(Q1) 및 상기 제2 위상에서의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2)를 도전 상태 및 비-도전 상태로 교번하여 스위칭하기 위해 그리고 그렇게 함에 있어 측정된 출력 전압의 함수로써 상기 오프-시간을 가변시키도록 구현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프리휠링 다이오드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3 전자 스위치(Q4) 및 상기 제4 전자 스위치(Q3)에 병렬로 연결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부가하여 상기 제1 입력 단자(E1)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A1)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14. 회로 어레인지먼트 상에서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회로 어레인지먼트는,
    공급 전압을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입력 단자(E1) 및 제2 입력 단자(E2)를 갖는 입력부; 제어 전극, 작동 전극 및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전자 스위치(Q1) ― 상기 작동 전극은 상기 제1 입력 단자(E1)에 커플링됨 ―; 제1 다이오드(D1) ―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상기 제2 입력 단자(E2)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제1 정션 포인트(N)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의 상기 기준 전극에 커플링됨 ―;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의 상기 제어 전극에 커플링되는 제어 디바이스(12); 출력 전압(UA)을 상기 방전 램프(La)에 제공하기 위해 제1 출력 단자(A1) 및 제2 출력 단자(A2)를 갖는 출력부; 상기 출력 단자들 중 하나(A1; A2)와 직렬로 배열되는 인덕터(LZ); 상기 제1 정션 포인트(N)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A1) 사이에 커플링되는 램프 인덕터(L1); 상기 제1 출력 단자(A1) 및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상기 애노드 사이에 커플링되는 제1 커패시터(C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는 상기 제1 전자 스위치(Q1)를 온-시간 동안에 도전 상태로, 그리고 오프-시간 동안에 비-도전 상태로 연속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출력 전압(UA)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출력 전압(UA)과 상관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12)에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 디바이스(12)를 통해: 상기 측정된 출력 전압(UA)의 함수로써 상기 오프-시간(Toff)을 가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회로 어레인지먼트 상에서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117008635A 2008-09-17 2008-09-17 방전 램프의 동작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KR201100565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62358 WO2010031430A1 (de) 2008-09-17 2008-09-17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ntladungslam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546A true KR20110056546A (ko) 2011-05-30

Family

ID=4115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8635A KR20110056546A (ko) 2008-09-17 2008-09-17 방전 램프의 동작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31122B2 (ko)
EP (1) EP2327276B1 (ko)
JP (1) JP5542824B2 (ko)
KR (1) KR20110056546A (ko)
CN (1) CN102160467B (ko)
TW (1) TW201014469A (ko)
WO (1) WO2010031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4374B (zh) * 2009-11-02 2015-05-27 香港城市大学 用于驱动dc供电的照明设备的装置或电路
HUP1000062A3 (en) * 2010-01-27 2012-08-28 Gradix Holdings Ltd Apparatus for discharging and operating tube igniter
TWI586205B (zh) * 2012-11-26 2017-06-01 魏慶德 Led驅動電路之直流核心電路
JP6667520B2 (ja) * 2014-11-14 2020-03-18 プロフォト・アーベー Fp同期に適合されたストロボに電力を供給するための閃光発生器
CN111934548B (zh) * 2020-07-31 2022-01-07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控制电路以及应用其的开关变换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0691A (en) * 1999-04-30 2000-02-01 Matsushita Electric Works R & D Laboratory, Inc. Driving circuit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electronic ballast
EP1472911A1 (en) * 2002-01-15 2004-1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ischarge lamp
DE10207105A1 (de) * 2002-02-20 2003-08-2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Betriebsgerät für Lampen mit geregeltem SEPIC-Wandler
DE10328718A1 (de) * 2003-06-25 2005-01-13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ieb mindestens einer Niederdruckentladungslampe und Betriebsgerät für mindestens eine Niederdruckentladungslampe
JP4349017B2 (ja) * 2003-07-09 2009-10-2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圧放電ランプ点灯装置
CN1965616B (zh) * 2004-03-31 2010-06-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操作灯的电路装置
GB0427682D0 (en) * 2004-12-17 2005-01-19 Havard Engineering Plc Power control
DE102005045569A1 (de) * 2005-05-31 2006-12-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Ladevorrichtung für einen Ladekondensator, insbesondere zur Speisung von Entladungslam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7276A1 (de) 2011-06-01
WO2010031430A1 (de) 2010-03-25
EP2327276B1 (de) 2013-06-19
JP5542824B2 (ja) 2014-07-09
TW201014469A (en) 2010-04-01
CN102160467B (zh) 2014-01-22
CN102160467A (zh) 2011-08-17
JP2012503270A (ja) 2012-02-02
US8531122B2 (en) 2013-09-10
US20110169427A1 (en)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6057B2 (ja) Ledドライバの調光
JP4972151B2 (ja) 放電灯点灯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6397406B2 (ja) 蛍光灯バラストとledとの間の駆動回路
KR101997926B1 (ko) 영 전압 스위칭 압전구동회로
CN101461288B (zh) 灯驱动电路
KR20110056546A (ko) 방전 램프의 동작을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및 방법
JP2007018960A (ja) 放電灯点灯回路
US8222828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igniting and operating a discharge lamp
RU2695817C2 (ru) Схема возбуждения нагрузки
JP2008507946A (ja) 直列共振スイッチモード電源装置のための自動周波数制御
US7397196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preventing high peak currents
KR20040021531A (ko) 방전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
KR100994525B1 (ko) 돌입 전류 저감 회로 및 전기 기기
KR100675568B1 (ko) 방전관 점등장치
KR20070101858A (ko) 고감도 방전 밸러스트
JP2011192399A (ja) Led点灯回路
US8415891B2 (en) Lamp ballast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3937780B2 (ja) 電源装置
CN1956616B (zh) 放电灯点亮装置
JP2009514155A (ja) 単一のインバータを使用して複数のガス放電ランプを駆動する方法及び回路
CN202857113U (zh) 用于驱动至少一个放电灯的电子镇流器和方法
CN104041192B (zh) 电子镇流器
JP2005135619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US6707260B2 (en) Circuit arrangement including DC-AC converter having a dependable start circuit
KR20100112097A (ko)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타입의 방전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 밸러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