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298A -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298A
KR20110054298A KR1020090110898A KR20090110898A KR20110054298A KR 20110054298 A KR20110054298 A KR 20110054298A KR 1020090110898 A KR1020090110898 A KR 1020090110898A KR 20090110898 A KR20090110898 A KR 20090110898A KR 20110054298 A KR20110054298 A KR 2011005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ydrotalcite
derived
raw material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340B1 (ko
Inventor
고창현
나정걸
김종남
이광복
박성열
박종호
범희태
이보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340B1/ko
Priority to PCT/KR2010/008121 priority patent/WO2011062410A2/ko
Priority to US13/510,403 priority patent/US8513475B2/en
Publication of KR2011005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07Mixed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2Boron or 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4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2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or beryll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20Carbon compounds
    • B01J27/232Carbonates
    • B01J27/236Hydroxy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2Catalytic treatment
    • C10G3/44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11Biomass
    • C10G2300/1014Biomass of veget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11Biomass
    • C10G2300/1018Biomass of anim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2Gaso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4Diesel 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지질, 동물성 지질, 거대조류 및 미세조류에서 추출된 지질과 같이 생물체로부터 유래된 재생가능한 원료들을 촉매반응을 이용해서 탄화수소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를 소모하지 않고 원료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해서 휘발유나 경유에 적합한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생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료물질을 촉매인 하이드로탈사이트와 접촉시켜 탈탄산 또는 탈카보닐화반응을 통해 산소를 제거하여서 제조되며, 상기 원료물질은 생물체로부터 유래된 재생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지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이드로탈사이트, 바이오매스, 탈탄산, 탄화수소

Description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Method of hydrocarbon production from biological origins using hydrotalcites as catalysts}
본 발명은 식물성 지질, 동물성 지질, 거대조류 및 미세조류에서 추출된 지질과 같이 생물체로부터 유래된 재생가능한 원료들을 촉매반응을 이용해서 탄화수소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를 소모하지 않고 원료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해서 휘발유나 경유에 적합한 탄화수소를 선택적으로 생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유 고갈, 이산화탄소 배출에 의한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 공급원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재생 가능한 에너지 공급원 중에서 생물체에서 얻어지는 바이오매스(biomass)를 이용한 수송용 연료의 생산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수송용 연료 제조의 대표적인 예로는 바이오디젤이 있는 데, 상기 바이오디젤은 트리글리세라이드와 메탄올을 원료로 사용하고 전 이에스테르반응을 통해서 지방산 메틸 에스터(R1-COO-R2, R1: 지방산의 해당 알킬기, R2: 메틸기) 형태의 바이오디젤이 얻어져 왔다.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대부분 콩, 유채, 해바라기씨 등에서 얻어지는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바이오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것은 탄소중립적이므로 이탄화탄소 배출 경감에 도움이 되지만 저온에서 유동성이 떨어지므로 저온 기후 지역에서 사용되기 어려우며 바이오디젤의 분자구조인 지방산 메틸 에스터 구조에 카복실기 (-COO-) 형태로 존재하는 산소로 인해서 산성을 나타내므로 내연기관 부식 및 연료 장기보관에 어려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이오디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첨탈산소반응(HDO, hydrodeoxygenation)이 연구되었다. 문헌(참조: G. W. Huber et al., Applied Catalysis A:General 329 (2007) 120-129)에 따르면 경유나 휘발유 내에 포함된 황화합물을 제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첨탈황 촉매(CoMo/Al2O3, NiMo/Al2O3 등) 및 설비를 기반으로 실험한 결과 원료인 트리글리세라이드에 포함된 산소가 물(H2O),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형태로 제거되고 탄화수소가 생성되었다. 그러나 문헌에 나타난 반응조건으로 볼 때 공정압력이 높고 수소 소모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운전비용과 장치비용가 많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네스테 오일의 특허와(EP 168133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94913) 여러 학술논문들(I. Kubickova et al., Catalysis Today 106 (2005) 197-200, 및 I. Simakova et al., Applied Catalysis A:General 355 (2009) 100-108)에서 팔라듐, 백금이 담지된 활성탄을 이용해서 트리글리세라이드 내에 포함된 산소를 이산화탄소 혹은 일산화탄소 형태로 제거하면서 수소의 소모량을 수첨탈산소반응 공정에 비해서 줄이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및 논문들의 방법은 수첨탈산소반응 공정에 비해서 수소의 소모량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수소를 사용하므로 운전비용, 장치비용이 많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귀금속이 담지된 촉매를 사용하면 비교적 저온에서 탈탄산(decarboxylation) 또는 탈카보닐(decarbonylation) 반응에 의해서 산소가 이산화탄소 또는 일산화탄소의 형태로 제거되지만 촉매의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촉매의 안정화를 위해서 수소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생물체에서 얻어지는 에너지 공급원을 탄화수소로 바꾸는 과정에서 수소와 귀금속 촉매를 사용하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귀금속 담지 촉매에 비해서 가격이 저렴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촉매로 사용해서 수소의 소모 없이 탄화수소를 제조함으로써, 공정의 운전비용과 장치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료물질을 촉매인 하이드로탈사이트와 접촉시켜 탈탄산 또는 탈카보닐화반응을 통해 산소를 제거하여서 제조되며, 상기 원료물질은 생물체로부터 유래된 재생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지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물질과 촉매의 접촉은 200∼450℃의 온도 및 0.1∼15MPa의 압력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탄산 및 탈카보닐화반응은 액상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마그네슘산화물의 함량이 30∼80wt%이며, 나머지는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이루어진 이중층상물질 (layered double hydr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마그네슘산화물의 함량이 50∼80w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물질은 식물, 육상동물, 어류, 거대조류 및 미세조류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에서 얻어지는 지질, 식품산업의 재활용 지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료물질은 채종유, 유채유, 팜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카놀라유, 콩기름, 코코넛유, 자트로파유, 톨유, 돈지, 어유, 유지, 우유, 거대조류 및 미세조류 중 1종 이상에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귀금속 촉매나 수소의 소모 없이 수송용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탄화수소를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수소와 귀금속 촉매를 사용해서 탄화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에 비해서 운전비용과 장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종래의 귀금속 담지 촉매에 비해서 가격이 저렴한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를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의 소모 없이 원료 물질로 부터 산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원료물질을 촉매인 하이드로탈사이트와 접촉시켜 탈탄산 또는 탈카보닐화반응을 통해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경유와 휘발유 등에 적합한 탄화수소를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료물질은 생물체로부터 유래된 재생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지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의미하는 바, 식물, 육상동물, 어류, 거대조류 및 미세조류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에서 얻어지는 지질, 식품산업의 재활용 지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료물질은 채종유, 유채유, 팜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카놀라유, 콩기름, 코코넛유, 톨유, 돈지, 어유, 유지, 우유, 조류, 녹조류 및 갈조류 중 1종 이상에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원료물질인 지질의 탈탈산 반응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일어난다.
Figure 112009070503075-PAT00001
(여기서 a, b, c, d, e, f 는 자연수)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탈탄산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선택하는 것은 반응식 2에서와 같이, 원료물질인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지방산 유도체 등에 포함된 카복실기(-COO-)는 일종의 산으로 작용하므로 염기성을 지닌 고체물질과 반응하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인 바,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MgAl2O4)는 염기성을 지니고 있으며 대표적인 염기성 고체인 마그네슘산화물(MgO)의 함량이 높아지면 보다 많은 염기성을 제공하는 활성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료물질인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지방산 유도체 등에 포함된 카복실기(-COO-)는 CO2 형태로 제거될 수 있는 바,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의 CO2 흡착/탈착 능력을 통해서 반응을 증진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9070503075-PAT00002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촉매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예비처리를 통해 마그네슘산화물(MgO)의 함량이 조절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해서 원료, 즉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에 포함된 산소를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형태로 제거하고 탄화수소 를 생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예비처리란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면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분이 제거된 아르곤, 질소, 산소 또는 공기를 흘려주면서 100∼6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촉매로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예비처리를 통해 마그네슘산화물의 함량이 30∼80wt%이며, 나머지는 산화알루미늄(Al2O3)로 이루어진 이중층상물질(layered double hydroxide)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산화물의 함량이 50∼80wt%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슘산화물의 함량을 30∼80wt%로 하는 이유는 상기 마그네슘산화물의 함량이 30wt% 미만일 경우 촉매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80wt%를 초과할 경우 촉매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wt% 이상이 되면 촉매의 활성은 높아지면서 안정성은 유지가 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료물질과 촉매의 접촉은 즉 탈탄산 또는 탈카보닐화반응 200∼450℃의 온도 및 0.1∼15MPa의 압력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온도가 200℃ 미만이면 하이드로탈사이트가 반응에 관여해서 지방산이나 트리글리세라이드로부터 반응 중간체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더라도 이를 원활하게 탈착하지 못하여 촉매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450℃를 초과하면 열분해반응이 우세해져서 기체성분이 많이 생성됨에 따라 액체수율이 저하되고 고온으 로 인한 촉매안정성의 저하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압력이 0.1MPa 미만이면서 고온일 경우 반응물이 기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15MPa를 초과하면 장치비 및 운전비가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탈탄산 또는 탈카보닐화반응은 액상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그 생성물질, 즉 탄화수소 역시 액체상태로 제조되는 것이며, 반응완료 후 필터링을 통해 촉매를 제거하여 탄화수소만을 획득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료물질로서 올레익산(oleic acid)을 준비하였으며, 촉매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준비하였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MgO의 함량에 따라서 MG30(MgO 30wt% 함유), MG63(MgO 63wt% 함유), MG70(MgO 70wt% 함유)를 각각 준비하였다.
(실시예1-MG30)
고압반응기 3개를 준비한 후, 각각의 고압반응기에 상기 올레익산 55.0g과 촉매인 MG30 2.75g을 투입하고, 각각 573K, 623K, 673K의 온도(압력은 상압)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필터로 촉매를 걸러내고 액상 생성물만 획득하였다.
(실시예2-MG63)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촉매로서 MG63을 사용하였다.
(실시예3-MG70)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촉매로서 MG70을 사용하였다.
(비교예-Blank)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촉매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를 통해 획득한 액상 생성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램, 원소분석,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을 사용해서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의 올레익산의 전환율을 확인하여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촉매의 종류에 상관없이 온도가 높아져서 673K에 이르면 올레익산이 대부분 다른 물질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온도에서는 MgO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올레익산의 전환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올레익산 전환율은 올레익산이 다른 물질로 바뀐 정도를 나타낸 것이므로 전환율이 높아지더라도 본 발명의 목표인 지방산에 포함된 산소가 제거되어서 탄화수소가 생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생성물을 분석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 내지 2c에서와 같이, 적외선 분광법 스펙트럼상에서 카르복실기 (-COO-)를 보여주는 C=O 해당 피크의 강도는 반응온도가 증가 할수록, 동일한 반응온도에서는 촉매 내의 MgO 함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c를 통해서 하이드로탈사이트 촉매를 사용하면 지방산의 탈탄산 혹은 탈카보닐 반응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촉매로 이용한 경우 주성분이 탄소와 수소인 탄화수소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생성물의 원소분석을 실시하여, 반응온도 및 촉매의 종류에 따른 생성물의 산소 농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산소의 농도는 반응온도가 높아지면 감소하였지만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의 경우 초기 7 wt%에서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촉매를 사용하더라도 623K까지는 크게 산소가 줄어들지 않았으며, 반응온도를 673K 까지 올리고 촉매도 MgO 함량이 높은 MG63 및 MG70를 사용해야만 산소농도 0.7wt% 이하의 탄화수소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반응온도 및 촉매의 종류에 따른 올레익산의 전환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2a, 2b 및 도 2c는 반응온도 및 촉매의 종류에 따른 반응물의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FT-IR)도.
도 3은 반응온도 및 촉매의 종류에 따른 반응물의 산소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Claims (6)

  1. 원료물질을 촉매인 하이드로탈사이트와 접촉시켜 탈탄산 또는 탈카보닐화반응을 통해 산소를 제거하여서 제조되며,
    상기 원료물질은 생물체로부터 유래된 재생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어지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물질과 촉매의 접촉은 200∼450℃의 온도 및 0.1∼15MPa의 압력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마그네슘산화물의 함량이 30∼80wt%이며, 나머지는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이루어진 이중층상물질 (layered double hydr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는 마그네슘산화물의 함량이 50∼8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물질은 식물, 육상동물, 어류, 거대조류 및 미세조류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에서 얻어지는 지질, 식품산업의 재활용 지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물질은 채종유, 유채유, 팜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카놀라유, 콩기름, 코코넛유, 자트로파유, 톨유, 돈지, 어유, 유지, 우유, 미세조류, 거대조류 중 1종 이상에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KR1020090110898A 2009-11-17 2009-11-17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KR10114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98A KR101140340B1 (ko) 2009-11-17 2009-11-17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PCT/KR2010/008121 WO2011062410A2 (ko) 2009-11-17 2010-11-17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US13/510,403 US8513475B2 (en) 2009-11-17 2010-11-17 Method for making hydrocarbons by using a lipid derived from a biological organism and hydrotalc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898A KR101140340B1 (ko) 2009-11-17 2009-11-17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298A true KR20110054298A (ko) 2011-05-25
KR101140340B1 KR101140340B1 (ko) 2012-05-03

Family

ID=4406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898A KR101140340B1 (ko) 2009-11-17 2009-11-17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13475B2 (ko)
KR (1) KR101140340B1 (ko)
WO (1) WO201106241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401A1 (ko) * 2013-04-09 2014-10-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바이오 매스-유래 지방산으로부터 고품질의 윤활기유를 제조하는 방법
CN115779883A (zh) * 2022-12-13 2023-03-14 新疆至臻化工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草酸烷基酯定向合成碳酸烷基酯的催化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3007004A (es) * 2010-12-24 2013-12-06 Univ Tulsa Produccion de compuestos aromaticos de recursos renovables.
CN108686664B (zh) * 2016-07-18 2020-10-20 山东省科学院能源研究所 多功能金属催化剂在生物质催化热解过程中的应用方法
CN108855101B (zh) * 2016-07-18 2020-10-20 山东省科学院能源研究所 利用铁基复合催化剂在线提质生物油的方法
CN110129086B (zh) * 2019-03-13 2021-07-13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催化裂解植物沥青制备生物航煤的方法
CN117642488A (zh) * 2021-06-30 2024-03-01 英国石油北美有限公司 从可再生原料中去除有机氯化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1123A (en) 1990-09-20 1993-03-02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xyl-containing compounds
WO2006014486A1 (en) 2004-07-07 2006-02-09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rocess to upgrade oil using metal oxides
US7781619B2 (en) * 2006-03-20 2010-08-24 Albemarle Netherlands B.V. Process for the decarboxylation of fatty acids
MX2008014179A (es) * 2006-05-05 2009-02-04 Bioecon Int Holding Nv Proceso mejorado para convertir material portador de energia basado en carbono.
EP2071005A1 (en) 2007-12-03 2009-06-17 BIOeCON International Holding N.V. Process for the selective de-oxygenation of biomass
BR112013019652A2 (pt) * 2011-02-03 2019-09-24 Univ Louisville Res Found Inc processo para converter ácido graxos em hidrocarbonetos lineares parafínicos, processo para produzir hidrocarbonetos parafínicos ramificados à partir de ácidos graxos e hidrocarboneto parafínic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401A1 (ko) * 2013-04-09 2014-10-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바이오 매스-유래 지방산으로부터 고품질의 윤활기유를 제조하는 방법
KR20140123609A (ko) * 2013-04-09 2014-10-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바이오 매스-유래 지방산으로부터 고품질의 윤활기유를 제조하는 방법
US9976098B2 (en) 2013-04-09 2018-05-22 Sk Innovation Co., Ltd. Method for preparing high-quality lubricant from biomass-derived fatty acid
CN115779883A (zh) * 2022-12-13 2023-03-14 新疆至臻化工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草酸烷基酯定向合成碳酸烷基酯的催化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2410A2 (ko) 2011-05-26
US8513475B2 (en) 2013-08-20
WO2011062410A3 (ko) 2011-11-03
KR101140340B1 (ko) 2012-05-03
US20120253091A1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ldhe et al. Biodiesel synthesis from microalgal lipids using tungstated zirconia as a heterogeneous acid catalyst and its comparison with homogeneous acid and enzyme catalysts
Behera et al. Algal biodiesel production with engineered biochar as a heterogeneous solid acid catalyst
Ambat et al. Recent advancement in biodiesel production methodologies using various feedstock: A review
Esmaeili A critical review on the economic aspects and life cycle assessment of biodiesel production using heterogeneous nanocatalysts
Dawodu et al. Effective conversion of non-edible oil with high free fatty acid into biodiesel by sulphonated carbon catalyst
KR101140340B1 (ko) 생물체에서 유래된 지질과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이용한 탄화수소 생산방법.
Vadery et al. Room temperature production of jatropha biodiesel over coconut husk ash
Kamel et al. Smart utilization of jatropha (Jatropha curcas Linnaeus) seeds for biodiesel production: Optimization and mechanism
Ambat et al. Nano-magnetic potassium impregnated ceria as catalyst for the biodiesel production
Kavitha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dairy waste scum using eggshell waste
Laskar et al. Taming waste: waste Mangifera indica peel as a sustainable catalyst for biodiesel production at room temperature
Sangar et al. Methyl ester production from palm fatty acid distillate (PFAD) using sulfonated cow dung-derived carbon-based solid acid catalyst
Patil et al. Transesterification of camelina sativa oil using heterogeneous metal oxide catalysts
Ayodele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Calophyllum inophyllum oil using a cellulose-derived catalyst
Chen et al. Waste limescale derived recyclable catalyst and soybean dregs oil for biodiesel production: analysis and optimization
Singh et al. Optimization of biodiesel synthesis from microalgal (Spirulina platensis) oil by using a novel heterogeneous catalyst, β-strontium silicate (β-Sr2SiO4)
CN108586181B (zh) 一种无氢条件下油脂脱羰为长链烷烃的方法
Olutoye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fuel by transesterification of different vegetable oils with methanol using Al2O3 modified MgZnO catalyst
AU2008210273A1 (en) Biodiesel production
Ljupković et al. Significance of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CaO catalyst in the production of biodiesel: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US8389782B2 (en) Biofuel production through catalytic deoxygenation
KR20160097203A (ko) 수소화 분해 처리용 촉매 및 탄화수소의 제조 방법
Almeida et al. Synthesis of ethyl biodiesel from soybean oil, frying oil and chicken fat, using catalysts based on vanadium pentoxide
Pecchia et al. Stabilisation of camelina oil methyl esters through selective hydrogenation
Erenturk et al. Effectiveness of activated mistalea (Viscum album L.) as a heterogeneous catalyst for biodiesel partial hydroge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